KR101546816B1 -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16B1
KR101546816B1 KR1020120126980A KR20120126980A KR101546816B1 KR 101546816 B1 KR101546816 B1 KR 101546816B1 KR 1020120126980 A KR1020120126980 A KR 1020120126980A KR 20120126980 A KR20120126980 A KR 20120126980A KR 101546816 B1 KR101546816 B1 KR 101546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lymer
independently
formula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440A (ko
Inventor
홍영택
이장용
김태호
유덕만
김석제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16B1/ko
Priority to PCT/KR2013/010209 priority patent/WO2014073934A1/ko
Publication of KR2014006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440A/ko
Priority to US14/709,264 priority patent/US99759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reactions, in the absence of non-macromolecu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 C08G65/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derived from phenols from phenols (I) and other compounds (II), e.g. OH-Ar-OH + X-Ar-X, where X is halogen atom, i.e. leaving group
    • C08G65/4012Other compound (II) containing a ketone group, e.g. X-Ar-C(=O)-Ar-X for polyether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20Polysulfones
    • C08G75/23Polyethersulf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C08G2261/126Copolymers bloc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2Side-cha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5Side-chains containing sulfur
    • C08G2261/1452Side-chain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yl or sulfonate-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4Side-groups
    • C08G2261/148Side-chains having aromatic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2Non-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benz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44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partially-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heteroatoms
    • C08G2261/3444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1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 C08G2261/412Yamamoto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1Charge transport
    • C08G2261/516Charge transport ion-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체; 상기 이온전도체를 전해질막 또는 분리막으로 사용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Ion conducting polymer comprising partially branched multiblock copolyme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체; 상기 이온전도체를 전해질막 또는 분리막으로 사용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을 포함한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전환 장치로써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오염물 배출이 적은 친환경적인 특징으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연구 개발되어져 왔다.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k.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낮은 작동온도, 고체 전해질 사용으로 인한 누수문제 배제, 빠른 구동 등의 장점으로 휴대용, 차량용 및 가정용 전원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사용되는 전해질막은 불소화된(perfluorinated) 고분자 전해질과 탄화수소계(hydrocarbon) 고분자 전해질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불소화된 고분자 전해질은 탄소-불소(C-F)간의 강한 결합력과 불소원자의 특징인 가림(shielding) 효과로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인 물성도 우수하고, 특히 수소이온 교환막으로 전도성이 우수하여 현재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의 고분자막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미국 듀퐁(Du Pont)사의 상품인 네피온(Nafion, 퍼플루오르화 술폰산 중합체)은 상용화된 수소이온 교환막의 대표적인 예로서 이온전도도, 화학적 안정성, 이온 선택성 등이 우수하여 현재 가장 많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불소화된 고분자 전해질막은 우수한 성능에 반하여 높은 가격으로 인해 산업용으로서의 이용도가 낮으며, 메탄올이 고분자막을 통과하는 메탄올 투과성(methanol crossover)이 높고, 80 ℃ 이상에서의 고분자막의 효율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어 가격면에서 경쟁이 가능한 탄화수소 이온 교환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은 연료전지 구동시 요구되는 조건에서 안정해야 하므로 사용가능한 고분자가 방향족 폴리에테르(aromatic polyether; APE) 등으로 매우 제한된다. 연료전지 구동 시 가수분해, 산화, 환원반응 등이 고분자막의 분해를 야기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ket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계열의 폴리아릴렌에테르(polyaryleneether) 고분자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이를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되어 왔다.
이온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친수성 작용기를 도입한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4,625,000호는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fone)의 후처리 술폰화(post-sulfonation) 공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후처리 술폰화 방법은 황산(sulfuric acid)과 같은 강산을 술폰화제로 사용하고, 술폰산기(sulfonic acid group, -SO3H)가 고분자 골격에 무작위로 도입되므로 술폰산기의 분포, 위치, 수 등의 제어가 어렵다.
또한, 유럽특허 제1,113,517 A2호는 술폰산기를 가진 블록, 술폰산기를 가지지 않는 블록으로 구성된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지방족(aliphatic) 블록과 방향족(aromatic) 블록으로 구성되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강산인 황산을 사용하여 후처리 술폰화하므로, 술폰화 과정에서 지방족 고분자의 화학결합이 분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방향족 블록을 구성하는 환에 술폰산기가 무작위로 도입되어 고분자 골격 내 술폰산기의 위치, 수 등의 제어가 어려웠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47074호는 플루오렌(fluorene)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클로로황산(chlorosulfonic acid, HSO3Cl), 또는 황산을 사용하여 술폰산기를 고분자의 플루오렌에 도입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플루오렌(fluorene) 화합물을 구성하는 환에 술폰기가 무작위로 도입된다.
전술한 종래기술에서 제시한 고분자 술폰화 방법들은, 상용화된 나피온(Nafion, Dupont)과 유사한 수소이온 전도도를 구현하고자 술폰산기 함량(술폰화도; DS, Degree of sulfonation)을 증가시킬 경우, 전해질막의 물 함량 및 메탄올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해 전해질막이 메탄올에 용해되는 등 전해질막의 기계적 집적도를 현저히 떨어뜨려 연료전지 구동시 요구되는 전해질막의 물성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에 가지가 있으면 선형 고분자와는 여러 가지 중요한 성질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여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개발한 결과, 종래 선형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이온교환능(ion exchange capacity, IEC), 물 흡수율 및/또는 치수변화도를 가지면서도, 향상된 전도도 및 신장강도, 신장률 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고분자 막을 제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partially branched multi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상기 소수성 제2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이 특징인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B 및 B'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6-이며, 이때 R26은 C1 내지 C6 알킬기;
M은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Ar은 1개 이상의 술폰산기(-SO3H)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치환된 방향족 분자 또는 방향족 분자 그룹;
a 및 b는 각각 0 내지 10에 속하는 정수, k는 1 내지 4에 속하는 정수이고,
c는 1 내지 10,000에 속하는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D1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4
, D2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5
,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8-이며, 이때 R28은 C1 내지 C6 알킬기;
E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9-이며, 이때 R29은 C1 내지 C6 알킬기;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X), 알킬기(alkyl),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halogen-substituted alkyl), 알릴기(allyl), 시안기(cyano), 아릴기(aryl), 술폰산기, 인산기(-PO3H2), 아세트산기(-CO2H), 니트로기(-NO2), 퍼플루오로알킬기(perfluoroalkyl),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perfluoroalkylaryl), 퍼플루오로아릴기(perfluoroaryl)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naphthyl), 안트라세닐기(anthracenyl),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6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7
이며, 이때 P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0-(R30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8
,
Figure 112012092410711-pat00009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0
이며, 이때 P'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1-(R31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R2 내지 R21 및 R2' 내지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술폰산기, 인산기 및 아세트산기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p는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 t 및 t'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5에 속하는 정수이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에 속하는 정수로서 t+y=5이고 t'+y'=5인 수의 조합임.
상기 화학식 3에서,
D1' 및 D2'은 각각 상기 화학식 2의 D1 및 D2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D1과 D1' 및 D2와 D2'은 각각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E'은 전자주게기로서 상기 화학식 2의 E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E와 E'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R22 내지 R25 및 R22' 내지 R2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상기 화학식 3에서 술폰산기, 인산기 및 아세트산기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q 및 q'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에 속하는 정수, p'은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임.
이때, p와 p'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분자, 제2 고분자 및 제3 고분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종 고분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1

화학식 4에서, 각 약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l과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며, n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t 및 t'은 각각 화학식 2로 표기되는 단량체에서 치환기 X 및 X'의 갯수를 나타내는 t 및 t'에 상응하는 것으로써, 이웃한 블록과의 가지결합 갯수임.
본 발명에서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2
는 분기점으로부터 t개의 이웃한 블록과의 가지결합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 표기형식이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4로 표기되는 고분자는 양 말단에 위치한 페닐링 즉, 분기점으로부터 각각 t 및 t'개의 이웃한 블록과 가지결합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친수성 제1 고분자를 형성하는 친수성 단량체를 준비하는 제1단계; 소수성 제2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2단계;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친수성 단량체, 소수성 제2 고분자,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혼합하여 콜론 커플링 반응에 의해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체를 제공한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체는 전해질막, 분리막 또는 수처리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전해질막 또는 분리막을 구비한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partially branched multiblock copolymer)를 포함하되,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가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1개의 반응기를 갖는 친수성 고분자와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1개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종래 선형의 블록 공중합체와 달리, 본 발명의 일구체예는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고분자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a)와 종래 선형 블록 공중합체(b)를 도식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partially branched block co-polymer)는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2종 이상의 블록 중합체 중 1종 이상의 비가지형 블록 중합체를 포함하여 전체 블록 공중합체에서가 아닌 일부 부분에서만 가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과 가지형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 즉, 국부적으로 밀집된 술폰화 구조(densely&locally sulfonated structure)가 가능하여 친수성 도메인(hydrophilic domain)과 소수성 도메인(hydrophobic domain)사이의 상분리가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미세 상분리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일반 선형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무정형도(amorphousity)가 증대되어 유기 용매에서의 용해도가 더 우수하다. 따라서,용액 공정을 기본으로 하는 멤브레인의 제조 공정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빗모양(comblike)일 수도 있고, 가지치기가 심한 경우 가지로부터 다른 가지, 즉 가지친 가지가 뻗어 나와서 나무 가지 모양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형의 가지형, 서로 교차결합하는 그물형 또는 이의 조합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제1 블록(hydrophilic block)이 단단한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성 제2 블록 및/또는 소수성 제3 블록이 유연한 ether bond(-O-)를 포함하는 poly(arylene ether)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hydrophilic block)이 단단한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면,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sulfonic acid로 치환된 phenyl ring의 이웃한 site에 ether bond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라디칼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친수성 제1 블록을 일부분으로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면,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용 전해질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소수성 제2 블록 및/또는 소수성 제3 블록은 에테르 결합(ether bond; -O-)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에테르)(poly(arylene ether))를 골격으로 포함함으로써 고분자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hydrophilic block oligomer)은 화학식 1로 표시되며, 페닐렌(phenylene) 반복단위를 골격(backbone)으로 하고 그 측쇄에는 적어도 하나의 술폰산기(sulfuric acid group; -SO3H)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치환된 하나 이상의 아릴기(aryl)를 갖는 단량체로 구성된 중합체일 수 있다.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도입된 상기 화학식 1의 Ar은 하나 이상의 술폰산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이 치환된 페닐, 나프틸, 티오페닐 또는 피리디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친수성 제1 블록은 도입된 술폰산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을 통해 수소이온(proton; H+) 전도성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alkali metal salt; -SO3M, M=Na, K, Li etc.)"은 Na, K, Li, Rb, Cs 또는 Fr 등의 알칼리족 금속의 양이온이 술폰산의 양성자를 대신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나트륨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술폰산기 및 이의 알칼리 금속염은 친수성이므로, 고분자 내에서 이들 친수성 제1 블록의 비율이 높으면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내수성이 악화되고 물 함량 증가에 따른 팽윤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막의 기계적 강도, 집적도 저하 등에 의하여 연료전지 구동시 요구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물성을 충족시키기 힘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로 구성되는 소수성 제2 블록(hydrophobic block oligomer) 및/또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소수성 제3 블록(hydrophobic block oligomer)를 포함함으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의하면, 동일한 IEC(이온 교환능; ion exchange capacity)을 가지며 물 흡수율이나 치수 변화도가 거의 유사한 선형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가 약 20% 향상된 전도도 및 보다 우수한 물리적 특성 예컨대, 영률(Young's modulus)이라고도 하는 인장탄성계수, 신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신장률(elongation)을 나타내었다(표 1).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10,000 내지 1,000,000의 Mn(수평균 분자량;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또는 10,000 내지 10,000,000의 Mw(중량평균 분자량;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분자량이 낮은 경우 예컨대, 10,000 이하인 경우, 필름 형성이 어려우며, 수분 함유량이 증대되고 라디칼의 공격에 쉽게 분해되어 전도도 및 내구성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분자량이 높은 경우 예컨대, 1,000,000 이상인 경우, 급격히 증대된 점도로 인해 고분자 용액의 제조 및 필름으로의 성형이 어려워져 막 제조 공정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중량평균 분자량과 점도평균 분자량은 서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고분자의 고유점도를 측정하여 분자량을 예측하였다.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면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고분자와 같이 술폰산기가 치환된 경우 술폰산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데이터를 신뢰하기 어려우므로 점도를 측정하여 분자량을 예측하였다.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에서, 상기 반응기는 할로겐 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로겐 원소로는 F(fluorine; 불소), Cl(chlorine; 염소), Br(bromine; 브롬), I(iodine; 요오드) 등이 있다. 할로겐 원소는 높은 유효핵전하로 인한 높은 전기음성도로 인해 유기화합물에 치환기로 도입되었을 때 반응성이 뛰어나므로 축합, 치환 등의 반응을 위한 자리에 널리 도입되는 치환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할로겐 원소는 염소 원자일 수 있다.
한편, 과다한 가지결합은 고분자의 겔화(gelation)를 촉진시킬 수 있다. 겔화는 교차결합 시스템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겔은 정류상태로 흐르지 않아 액체와는 달리 성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과다한 가지결합으로 인한 겔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소수성 제3 블록 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의 일구체예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3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모든 친수성 제1 블록을 형성하는 단위체의 총 갯수(l) : 소수성 제2 블록 갯수와 소수성 제3 블록 갯수의 합(m+n) = 0.1:1 내지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몰비가 0.1:1 미만인 경우에는 이온 전도도가 거의 없으며, 100:1 이상인 경우 고분자가 물에 녹아 실제 분리막으로서 작용할 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50:1,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30:1의 비율로 제조할 수 있다.
소수성 제2 블록 갯수와 소수성 제3 블록 갯수의 비율은 지나친 가지결합으로 인해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 가지형 소수형 제2 블록의 비율이 5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효과적인 상분리 및 분자량의 증가를 위해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의 일구체예에서 A는 -(C=O)-; Ar은 1개의 술폰산기 또는 이의 나트륨염으로 치환된 페닐; a 및 b는 각각 0이고, D1 및 D2는 모두 -O- 또는 각각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5
로서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O-;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6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7
로서, 이때 P는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Ar''은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8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E는 -O-; R1 내지 R21은 모두 수소원자; p는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 t는 1이며 y는 3이며,
q=1일 때, D1' 및 D2'은 -O- 또는 각각
Figure 112012092410711-pat0001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0
로서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O-;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1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2
로서, 이때 P는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Ar''''은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3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E는 -O-; R2 내지 R25는 모두 수소원자; p'은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
또는 q=0일 때, Ar'''은
Figure 112014031292950-pat00213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4031292950-pat00024
,
Figure 112014031292950-pat00025
또는
Figure 112014031292950-pat00026
로서, 이때 P'은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E는 -O-; R2 내지 R25는 모두 수소원자; p'은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친수성 제1 블록은 3-(s,5-디클로로벤조일)술폰산벤젠 또는 이의 나트륨염(3-(2,5-dichlorobenzoyl)benzenesulfonic acid 또는 sodium 3-(2,5-dichlorobenzoyl)benzenesulfonate; M1)을 단량체로 하여 형성되는 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소수성 제2 블록은 하기 화학식 5 내지 3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7
[화학식 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8
[화학식 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29
[화학식 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0
[화학식 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1
[화학식 1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2
[화학식 1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3
[화학식 1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4
[화학식 1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5
[화학식 1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6
[화학식 1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7
[화학식 1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8
[화학식 1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39
[화학식 1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0
[화학식 1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1
[화학식 2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2
[화학식 2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3
[화학식 2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4
[화학식 2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5
[화학식 2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6
[화학식 2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7
[화학식 2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8
[화학식 2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49
[화학식 2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0
[화학식 2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1
[화학식 3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2
본 발명에서, 소수성 제3 블록은 하기 화학식 31 내지 75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화학식 3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3
[화학식 3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4
[화학식 3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5
[화학식 3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6
[화학식 3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7
[화학식 3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8
[화학식 3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59
[화학식 3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0
[화학식 3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1
[화학식 4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2
[화학식 4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3
[화학식 4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4
[화학식 4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5
[화학식 4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6
[화학식 4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7
[화학식 4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8
[화학식 4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69
[화학식 4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0
[화학식 4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1
[화학식 5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2
[화학식 5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3
[화학식 5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4
[화학식 5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5
[화학식 5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6
[화학식 5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7
[화학식 5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8
[화학식 5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79
[화학식 5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0
[화학식 5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1
[화학식 6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2
[화학식 6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3
[화학식 6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4
[화학식 6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5
[화학식 6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6
[화학식 6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7
[화학식 66]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8
[화학식 67]
Figure 112012092410711-pat00089
[화학식 68]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0
[화학식 69]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1
[화학식 70]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2
[화학식 71]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3
[화학식 72]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4
[화학식 73]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5
[화학식 74]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6
[화학식 75]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7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친수성 제1 고분자를 형성하는 친수성 단량체를 준비하는 제1단계; 소수성 제2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2단계;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친수성 단량체, 소수성 제2 고분자,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혼합하여 콜론 커플링 반응에 의해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은 친수성 제1 고분자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는데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각각의 블록을 형성하는 고분자들을 별도로 제조한 후 이들을 반응시켜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친수성 블록 부분은 친수성 제1 고분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별도로 거치지 않고 친수성 제1 고분자를 형성하는 단량체를 직접 소수성 제2 고분자 및/또는 소수성 제3 고분자와 반응시켜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친수성 단량체를 소수성 제2 고분자 및/또는 소수성 제3 고분자와 반응시킨다 하더라도 유사한 물성을 갖는 친수성 단량체끼리 상호작용할 확률이 높으므로 우선적으로 반응하여 친수성 고분자를 형성한 후 함께 반응시킨 소수성 제2 고분자 및/또는 소수성 제3 고분자와 결합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조방법은 친수성 제1 고분자를 분리된 공정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절감 및 수율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친수성 단량체는 합성하거나 상용화하여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술폰화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술폰산기를 포함하지 않는 단량체로부터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술폰화하는 단계는 농축 황산과 60 내지 100℃에서 12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시키면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단량체에 치환된 술폰산기는 프로톤 형태 또는 알칼리 금속염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나트륨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4 및 4' 위치에 서로 같거나 다른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이 치환된 비스페닐술폰 및 벤조페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반응물로 하여 K2CO3와 함께 DMAc 및 톨루엔(toluene)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130 내지 16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 생성물을 하나의 벤젠고리의 각기 다른 탄소에 두 개의 염소원자가 치환되고 다른 하나의 벤젠고리에 불소원자가 치환된 벤조페논 또는 각기 다른 탄소에 두 개의 염소원자와 하나의 불소원자가 치환된 벤젠과 위와 동일한 반응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반응은 하기 제3단계와 유사하게 반응물에 치환된 반응성이 높은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기 간의 친핵성 치환(nucleophilic substitution)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생성되는 화합물 역시 말단에 반응성이 높은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 가지므로 온화한 반응조건 및 시간을 조절하여 지나치게 중합화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2단계의 두 번째 단계는 가지결합 가능한 2개 이상의 반응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과정으로 각기 다른 탄소에 하나의 불소원자와 두 개의 염소원자가 치환된 유기분자를 이용함으로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높은 불소원자로부터 중간 생성된 소수성 중합체와 친핵성 치환반응에 의해 추가적인 골격구조를 형성하고 두 개의 염소원자는 이후 다른 중합체와의 결합을 위한 반응기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4 및 4' 위치에 서로 같거나 다른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이 치환된 비스페닐술폰 및 벤조페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반응물로 하여 K2CO3와 함께 DMAc 및 톨루엔(toluene)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130 내지 16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의 반응은 반응물에 치환된 반응성이 높은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기 간의 친핵성 치환(nucleophilic substitution) 반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생성되는 화합물 역시 말단에 반응성이 높은 할로겐 원자를 치환기로 가지므로 온화한 반응조건 및 시간을 조절하여 지나치게 중합화하지 않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는 각 단계의 생성물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반응물로부터 각각의 생성물을 생산하는 과정이므로 순서에 상관없이 각각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침전, 여과 및/또는 세척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의 콜론 커플링 반응은 양말단에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소를 반응기로 갖는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 준비한 단량체 및 고분자를 환원되는 금속과 촉매하에 반응시켜 탄소-탄소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폴리페닐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환원되는 금속으로는 아연(Zn), 마그네슘(Mg), 망간(Mn), 알루미늄(Al) 또는 칼슘(Ca)을 사용할 수 있으며, 촉매로는 2,2'-바이피리딘(2,2'-bipyridine) 또는 트리페닐포스핀(PPh3, triphenylphosphine; TPP)을 NiBr2, NiCl2, Br2, (acac)2·H2O, (OOCCH3)·4H2O, I2·6H2O 또는 이외의 할라이드 염(F<Cl<Br<I)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DMAc(dimethylacetamide)를 용매로 하여 60 내지 100℃에서 NiBr2,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및 아연과 6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 형성 후 아연을 제거하는 단계, 세척하는 단계 또는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에 의해 이온전도체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체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체일 수 있다. 성형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전해질막, 분리막 또는 수처리막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점착부여제, 가소제, 가교제, 소포제, 분산제 등 각종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이를 압출하고 방사, 압연 또는 캐스트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섬유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성형체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를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 NMP),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과 같은 용매에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유리판 등의 플레이트에 부어 부착된 고분자를 건조시켜 수 내지 수백 μm, 바람직하게 10 내지 120 μm, 보다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 μm 두께의 필름을 얻은 다음 플레이트로부터 탈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시한 용매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고분자를 용해시키고 건조조건에서 증발될 수 있는 것이면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제조시 사용된 유기용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조된 고분자를 NMP에 녹여 일정한 크기의 실리콘 주형에 부어 주고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 70 내지 90℃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 18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하여 막을 얻을 수 있다. 수득한 막은 황산용액과 증류수로 차례로 세척하여 프로톤 형태의 고분자 막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막 제조방법은 반응물로서 술폰산기 또는 이의 알칼리염이 치환된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고, 이후 황산으로의 추가적인 세척과정에 의해 간편하게 프로톤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반면, 종래의 고분자 막 제조방법은 중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친수성 단량체에 치환된 나트륨 염 형태의 술폰산기를 2단계에 걸쳐 알킬 또는 알콕시기로 보호하는 단량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추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러한 치환기 보호를 위한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합성 단계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이에 따른 현저한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 즉, 고분자 막은 전지용 전해질막 또는 분리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전해질 막을 구비한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전해질막을 적용할 수 있는 전지는 양성자 교환막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k.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또는 산화환원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종래 선형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와 비교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이온교환능(ion exchange capacity, IEC), 물 흡수율 및/또는 치수변화도를 가지면서도, 향상된 전도도 및 신장강도, 신장률 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고분자 막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A) 및 종래 선형 블록 공중합체(B)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적색 굵은 선에 (-)로 표지된 부분이 친수성 블록 중합체(친수성 제1 블록 중합체)를 검은 실선이 소수성 블록 중합체(소수성 제2 또는 제3 블록 중합체)를 나타내며, 2개 이상의 블록(친수성 또는 소수성)과 연결된 검은 실선이 가지결합된 소수성 블록 중합체 즉, 소수성 제2 블록 중합체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친수성 단량체의 합성
농축 황산(concentrated sulfuric acid) 150 ml에 2,5-디클로로벤조페논(2,5-dichlorobenzophenone; 2,5-DCBP) 100 g(398 mmol)을 넣고 완전히 녹인 후, dropping funnel을 이용하여 발연황산(fuming sulfuric acid) 150 ml을 한 방울씩 적하시키고 온도를 80℃까지 올려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다량(약 2 L)의 빙냉수에 붓고 200 g의 NaCl을 첨가하였다. 이때, 생성되는 흰색 분말을 여과하여 다시 약 2 L의 탈이온수에 녹이고 pH가 6 내지 7이 될 때까지 10% NaOH를 가한 후, 150 g의 NaCl을 첨가하여 다시 침전을 얻었다. 상기 침전을 여과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후, 약 1 L의 DMSO(dimethylsulfoxide)에 넣고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은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남은 조생성물은 탈이온수로 2회 재결정하여 24시간 동안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84 g의 하기 화합물 M1(sodium 3'-(2,5-dichlorobenzophenone)sulfonate; 2,5-SDCBP)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8

실시예 2: 소수성 블록 중합체의 합성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bis(4-hydroxyphenyl)sulfone; BHPS) 10 g(39.957 mmol), 비스(4-클로로페닐)술폰(bis(4-chlorophenyl)sulfone; DCPS) 12.130 g(42.240 mmol) 및 K2CO3 6.617 g(47.948 mmol)을 120 ml DMAc(dimethylacetamide)와 40 ml 톨루엔에 녹였다. 1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165℃로 올려 톨루엔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내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메탄올에 부어 침전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침전은 고온의 메탄올로 한번 더 세척한 후 여과하여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19.8 g의 화합물 O1(Mn=8.2K)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099
상기 수득한 O1 15 g을 4-클로로-4'플루오로벤조페논(4-chloro-4'-fluorobenzophenone; CFBP) 1.76 g(7.5 mmol) 및 K2CO3 0.31 g(2.25 mmol)과 함께 100 ml DMAc(dimethylacetamide)와 30 ml 톨루엔에 녹였다. 1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165℃로 올려 톨루엔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내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메탄올에 부어 침전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침전은 고온의 메탄올로 한번 더 세척한 후 여과하여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14.3 g의 화합물 O1-1(Mn=8.6K)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0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dihydroxybenzophenone; DHBP) 10 g(46.681 mmol), 4,4'-디클로로벤조페논(dichlorobenzophenone; DCBP) 12.356 g(49.204 mmol) 및 K2CO3 7.73 g(56.017 mmol)을 120 ml DMAc(dimethylacetamide)와 40 ml 톨루엔에 녹였다. 1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165℃로 올려 톨루엔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내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메탄올에 부어 침전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침전은 고온의 메탄올로 한번 더 세척한 후 여과하여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20.2 g의 O2(Mn=8.7K)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1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4,4'-dihydroxybenzophenone; DHBP) 5 g(45.409 mmol), 4,4'-디클로로벤조페논(dichlorobenzophenone; DCBP) 11.8 g(47.06 mmol) 및 K2CO3 7.52 g(54.491 mmol)을 120 ml DMAc(dimethylacetamide)와 40 ml 톨루엔에 녹였다. 1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165℃로 올려 톨루엔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내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메탄올에 부어 침전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침전은 고온의 메탄올로 한번 더 세척한 후 여과하여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14.3 g의 화합물 O3(Mn=8.6K)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2

실시예 3: 가지결합 가능한 소수성 블록 중합체의 합성
상기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O1 3 g을 4'-플루오로-2,5-디클로로벤조페논(4'-fluoro-2,5-dichlorobenzophenone; 2,5-FDCBP) 0.4 g(1.48 mmol) 및 K2CO3 0.061 g(0.45 mmol)과 함께 20 ml DMAc(dimethylacetamide)와 10 ml 톨루엔에 녹였다. 14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온도를 165℃로 올려 톨루엔을 증발시켜 완전히 제거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내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메탄올에 부어 침전을 얻었다. 상기 수득한 침전은 고온의 메탄올로 한번 더 세척한 후 여과하여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통해 3 g의 화합물 O1-2(Mn=8.7K)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3

실시예 4: 부분적으로 가지결합된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
각각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합성된 친수성 단량체 2,5-SDCBP(M1) 4g, 소수성 블록 중합체 O1-1 1.2g 및 가지결합 가능한 소수성 블록 중합체 O1-2 0.13 g을 20 ml의 DMAc에 녹였다. 0.17 g의 NiBr2, 1.5 g의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및 3.2 g의 아연을 10 ml의 DMAc에 녹인 후, 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친수성 단량체(M1), 소수성 블록 중합체(O1-1) 및 가지결합 가능한 소수성 블록 중합체(O1-2)를 녹인 용액을 첨가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8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에탄올-염산 혼합용액(9:1, v/v)에 부어 아연을 제거한 후 고온의 에탄올과 고온의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합성된 블록 공중합체는 8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 3.4 g의 고분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분자는 나트륨 염의 형태로 제조되었다.
상기 합성된 고분자 0.5 g을 5 ml의 NMP(N-methyl-2-pyrrolidone)에 녹여 8 cm×8 cm 크기의 실리콘 주형에 부어 8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막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막은 1.5 M 황산 수용액과 증류수에 각각 24시간 동안 담가 하기 화학식(P1)의 프로톤 형태의 고분자 막을 얻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4
소수성 블록 중합체로서 O-1을 O2로 대체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나트륨 염 형태의 고분자 및 하기 P2의 화학식을 갖는 프로톤 형태의 고분자 막을 얻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5
또한 소수성 블록 중합체로서 O-1을 O3으로 대체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나트륨 염 형태의 고분자 및 하기 P3의 화학식을 갖는 프로톤 형태의 고분자 막을 얻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6

비교예 1: 선형 블록 공중합체의 합성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막의 제조
각각 실시예 1과 2에 의해 합성된 친수성 단량체 2,5-SDCBP(M1) 4g과 소수성 블록 중합체 O1-1 1.34g을 20 ml의 DMAc에 녹였다. 0.17 g의 NiBr2, 1.5 g의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및 3.2 g의 아연을 10 ml의 DMAc에 녹인 후, 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친수성 단량체(M1)와 소수성 블록 중합체(O1-1)를 녹인 용액을 첨가하였다. 온도를 유지하면서 약 8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하고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에탄올-염산 혼합용액(9:1, v/v)에 부어 아연을 제거한 후 고온의 에탄올과 고온의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합성된 블록 공중합체는 8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 3.3 g의 고분자를 수득하였다. 상기 고분자는 나트륨 염의 형태로 제조되었다.
상기 합성된 고분자 0.5 g을 5 ml의 NMP(N-methyl-2-pyrrolidone)에 녹여 8 cm×8 cm 크기의 실리콘 주형에 부어 8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막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막은 1.5 M 황산 수용액과 증류수에 각각 24시간 동안 담가 하기 화학식(C1)의 프로톤 형태의 고분자 막을 얻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7

실험예 1: 선형 블록 공중합체 및 부분적으로 가지결합된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 비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들의 물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먼저, AC 임피던스 분석기(Solatron 1280, Impedance/gain phase analyzer)를 이용하여 25℃ 및 80℃ 온도의 100% 상대습도 하에서 양성자(proton)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Four prove conductivity cell을 이용하여 0.1 내지 20 kHz 범위에서 동일한 위상(in-phase) 방향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전 항온항습 챔버에서 30분간 온도를 유지시켰으며 하기의 식으로 전도도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8
이때, I는 전극사이의 거리, R은 막의 임피던스, S는 양성자가 이동하는 표면적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치수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치수 변화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조된 막을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담근 후 젖은 막의 부피(Vwet)를 측정하고 상기 젖은 막을 120℃에서 24시간 동안 다시 진공건조시켜 부피(Vdry)를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된 수치를 하기 식에 대입하여 치수 변화도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09
마지막으로 물 흡수율(water uptake; WU)을 측정하였다. 상기 물 흡수율은 상기 젖은 상태의 막의 질량(Wwet) 및 건조된 막의 질량(Wdry)을 측정하여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0
분자량은 고유점도를 측정하여 환산하였다. 고유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고분자를 NMP에 녹여 0.5 g/dl의 농도로 제조한 용액의 점도를 25℃ 항온조 안에서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얻은 결과를 종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1

Claims (23)

  1.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partially branched multiblock copolymer)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 주사슬 상에 곁가지를 형성하는 분기점(branching point)을 형성하도록 양 말단에 각각 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며,
    상기 소수성 제2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상기 제3 블록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이 특징인 이온전도성 고분자:
    [화학식 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2

    [화학식 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3

    [화학식 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B 및 B'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6-이며, 이때 R26은 C1 내지 C6 알킬기;
    M은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Ar은 1개 이상의 술폰산기(-SO3H)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치환된 방향족 분자 또는 방향족 분자 그룹;
    a 및 b는 각각 0 내지 10에 속하는 정수, k는 1 내지 4에 속하는 정수이고,
    c는 1 내지 10,000에 속하는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D1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5
    , D2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6
    ,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8-이며, 이때 R28은 C1 내지 C6 알킬기;
    E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9-이며, 이때 R29은 C1 내지 C6 알킬기;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X), 알킬기(alkyl),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halogen-substituted alkyl), 알릴기(allyl), 시안기(cyano), 아릴기(aryl), 술폰산기, 인산기(-PO3H2), 아세트산기(-CO2H), 니트로기(-NO2), 퍼플루오로알킬기(perfluoroalkyl),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perfluoroalkylaryl), 퍼플루오로아릴기(perfluoroaryl)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naphthyl), 안트라세닐기(anthracenyl),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7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8
    이며, 이때 P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0-(R30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Figure 112012092410711-pat00119
    ,
    Figure 112012092410711-pat00120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121
    이며, 이때 P'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1-(R31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R2 내지 R21 및 R2' 내지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술폰산기, 인산기 및 아세트산기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p는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 t 및 t'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5에 속하는 정수이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에 속하는 정수로서 t+y=5이고 t'+y'=5인 수의 조합임.
    상기 화학식 3에서,
    D1' 및 D2'은 각각 상기 화학식 2의 D1 및 D2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D1과 D1' 및 D2와 D2'은 각각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E'은 전자주게기로서 상기 화학식 2의 E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E와 E'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R22 내지 R25 및 R22' 내지 R2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상기 화학식 3에서 술폰산기, 인산기 및 아세트산기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q 및 q'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에 속하는 정수, p'은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은 하나 이상의 술폰산기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이 치환된 페닐, 나프틸, 티오페닐 또는 피리디닐인 것인 고분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염소인 것인 고분자.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분자, 제2 고분자 및 제3 고분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종 고분자인 것이 특징인 이온전도성 고분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제1 고분자로 된 제1 블록은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진 골격을 갖는 것인 고분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2 고분자로부터 유래된 제2 블록 또는 소수성 제3 고분자로 된 제3 블록은 골격 내에 에테르 결합(-O-)을 포함하는 것인 고분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골격을 갖는 것인 고분자:
    [화학식 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22

    화학식 4에서 각 약자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고,
    l과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며, n은 0 이상의 정수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와 p'은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인 것인 고분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10,000 내지 1,000,000의 Mn(수평균 분자량;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또는 10,000 내지 10,000,000의 Mw(중량평균 분자량;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의 분자량을 갖는 것인 고분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 내에서 l:m+n(몰비)는 0.1:1 내지 100:1인 것인 고분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0.5 ≤ n/(m+n) < 1 인 고분자.
  12. 제1항에 있어서,
    선형의 가지형, 서로 교차결합하는 그물형 또는 이의 조합형인 것이 특징인 고분자.
  13. 제7항에 있어서,
    A는 -(C=O)-;
    Ar은 1개의 술폰산기 또는 이의 나트륨염으로 치환된 페닐;
    a 및 b는 각각 0이고,
    D1 및 D2는 모두 -O- 또는 각각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3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4
    로서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O-;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4031292950-pat00214
    또는
    Figure 112014031292950-pat00215
    로서, 이때 P는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Ar''은
    Figure 112014031292950-pat00216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E는 -O-;
    R1 내지 R21은 모두 수소원자;
    p는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 t는 1이며 y는 3이며,
    q=1일 때,
    D1' 및 D2'은 -O- 또는 각각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5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6
    로서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C=O)-,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O-;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7
    또는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8
    로서, 이때 P는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Ar''''은
    Figure 112014031292950-pat00129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E는 -O-;
    R2 내지 R25는 모두 수소원자;
    p'은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
    또는 q=0일 때,
    Ar'''은
    Figure 112014031292950-pat00217
    로서, 이때 P'은 -(C=O)- 또는 -(SO2)-;
    Ar''''은 비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Figure 112014031292950-pat00130
    ,
    Figure 112014031292950-pat00131
    또는
    Figure 112014031292950-pat00132
    로서, 이때 P'은 단일결합, -(C=O)-, -(SO2)-, -(C(CH3)2)- 또는 -(C(CF3)2)-;
    E는 -O-;
    R2 내지 R25는 모두 수소원자;
    p'은 1 내지 50에 속하는 정수인 것이 특징인 고분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2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5 내지 30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고분자.
    [화학식 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3

    [화학식 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4

    [화학식 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5

    [화학식 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6

    [화학식 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7

    [화학식 1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8

    [화학식 1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39

    [화학식 1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0

    [화학식 1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1

    [화학식 1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2

    [화학식 1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3

    [화학식 1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4

    [화학식 1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5

    [화학식 1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6

    [화학식 1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7

    [화학식 2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8

    [화학식 2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49

    [화학식 2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0

    [화학식 2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1

    [화학식 2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2

    [화학식 2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3

    [화학식 2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4

    [화학식 2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5

    [화학식 2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6

    [화학식 2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7

    [화학식 3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8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3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31 내지 7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고분자.
    [화학식 3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59

    [화학식 3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0

    [화학식 3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1

    [화학식 3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2

    [화학식 3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3

    [화학식 3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4

    [화학식 3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5

    [화학식 3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6

    [화학식 3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7

    [화학식 4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8

    [화학식 4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69

    [화학식 4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0

    [화학식 4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1

    [화학식 4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2

    [화학식 4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3

    [화학식 4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4

    [화학식 4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5

    [화학식 4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6

    [화학식 4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7

    [화학식 5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8

    [화학식 5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79

    [화학식 5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0

    [화학식 5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1

    [화학식 5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2

    [화학식 5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3

    [화학식 5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4

    [화학식 5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5

    [화학식 5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6

    [화학식 5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7

    [화학식 6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8

    [화학식 6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89

    [화학식 62]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0

    [화학식 63]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1

    [화학식 64]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2

    [화학식 65]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3

    [화학식 66]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4

    [화학식 67]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5

    [화학식 68]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6

    [화학식 69]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7

    [화학식 70]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8

    [화학식 71]
    Figure 112012092410711-pat00199

    [화학식 72]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0

    [화학식 73]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1

    [화학식 74]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2

    [화학식 75]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3

  16.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
    [화학식 4]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4

    A는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B 및 B'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6-이며, 이때 R26은 C1 내지 C6 알킬기;
    M은 수소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Ar은 1개 이상의 술폰산기(-SO3H)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으로 치환된 방향족 분자 또는 방향족 분자 그룹;
    a 및 b는 각각 0 내지 10에 속하는 정수, k는 1 내지 4에 속하는 정수이고,
    c는 1 내지 10,000에 속하는 정수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D1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5
    , D2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7'-(이때 R27'은 C1 내지 C6 알킬기),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6
    , 이때, G 및 G'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또는 -(C(CF3)2)-, J 및 J'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8-이며, 이때 R28은 C1 내지 C6 알킬기;
    E는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29-이며, 이때 R29은 C1 내지 C6 알킬기;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X), 알킬기(alkyl),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halogen-substituted alkyl), 알릴기(allyl), 시안기(cyano), 아릴기(aryl), 술폰산기, 인산기(-PO3H2), 아세트산기(-CO2H), 니트로기(-NO2), 퍼플루오로알킬기(perfluoroalkyl),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perfluoroalkylaryl), 퍼플루오로아릴기(perfluoroaryl)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naphthyl), 안트라세닐기(anthracenyl),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7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8
    이며, 이때 P는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0-(R30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Ar''은 비치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및 -O-퍼플루오로아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그룹으로 치환된 아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Figure 112012092410711-pat00209
    ,
    Figure 112012092410711-pat00210
    또는
    Figure 112012092410711-pat00211
    이며, 이때 P'은 단일결합, 전자주게기로서 -O-, -S-, -NH- 또는 -NR31-(R31은 C1 내지 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기, 또는 전자끌게기로서 -(C=O)-, -(P=O)-, -(SO2)-, -CF2-, -(C(CH3)2)- 또는 -(C(CF3)2)-;
    R1 및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X 및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원자;
    R2 내지 R21 및 R2' 내지 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p는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 t 및 t'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5에 속하는 정수이며 y 및 y'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에 속하는 정수로서 t+y=5이고 t'+y'=5인 수의 조합임.
    D1' 및 D2'은 각각 상기 화학식 2의 D1 및 D2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D1과 D1' 및 D2와 D2'은 각각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Ar''''은 상기 화학식 2의 Ar''과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Ar''과 Ar''''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E'은 전자주게기로서 상기 화학식 2의 E와 같은 범위의 작용기가 도입될 수 있고, 이때 E와 E'은 같거나 다를 수 있음;
    R22 내지 R25 및 R22' 내지 R25'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알킬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 알릴기, 시안기, 아릴기, 술폰산기, 인산기, 아세트산기, 니트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선택적으로 그 쇄에 하나 이상의 산소, 질소 또는 황원자를 포함하는 퍼플루오로알킬아릴기, 퍼플루오로아릴기 또는 -O-퍼플루오로아릴기;
    상기 화학식 4에서 술폰산기, 인산기 및 아세트산기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q 및 q'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에 속하는 정수, p'은 1 내지 1000에 속하는 정수이고,
    l과 m은 각각 독립적으로 1 이상의 정수이며, n은 0 이상의 정수임.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으로서,
    친수성 제1 고분자를 형성하는 친수성 단량체를 준비하는 제1단계;
    소수성 제2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2단계;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준비하는 제3단계;
    상기 친수성 단량체, 소수성 제2 고분자, 및 선택적으로 소수성 제3 고분자를 혼합하여 콜론 커플링 반응에 의해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고분자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단량체의 술폰산기는 프로톤 형태 또는 알칼리 금속염 형태인 것인 제조방법.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분자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성형체인 것이 특징인 이온전도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수처리막인 것인 이온전도체.
  22. 삭제
  23. 삭제
KR1020120126980A 2012-11-09 2012-11-09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KR101546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80A KR101546816B1 (ko) 2012-11-09 2012-11-09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PCT/KR2013/010209 WO2014073934A1 (ko) 2012-11-09 2013-11-11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US14/709,264 US9975995B2 (en) 2012-11-09 2015-05-11 Ion conducting polymer comprising partially branched block copolymer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980A KR101546816B1 (ko) 2012-11-09 2012-11-09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440A KR20140060440A (ko) 2014-05-20
KR101546816B1 true KR101546816B1 (ko) 2015-08-25

Family

ID=5068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980A KR101546816B1 (ko) 2012-11-09 2012-11-09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75995B2 (ko)
KR (1) KR101546816B1 (ko)
WO (1) WO2014073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16B1 (ko) 2012-11-09 2015-08-25 한국화학연구원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CN105705972B (zh) * 2013-12-20 2018-09-04 株式会社Lg化学 光学膜
KR101595829B1 (ko) * 2014-04-14 2016-02-29 한국화학연구원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로부터 제조된 격리막 및 이를 구비한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9962662B2 (en) 2014-06-30 2018-05-08 Pall Corporation Fluorinated polymer and use thereof in the preparation of hydrophilic membranes (vi)
US9394407B2 (en) 2014-06-30 2016-07-19 Pall Corporation Hydrophilic block copolymers and membranes prepared therefrom (I)
US9718924B2 (en) 2014-06-30 2017-08-01 Pall Corporation Hydrophilic block copolymers and membranes prepared therefrom (II)
US9303133B2 (en) 2014-06-30 2016-04-05 Pall Corporation Hydrophilic membrane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IV)
US9309367B2 (en) 2014-06-30 2016-04-12 Pall Corporation Membranes comprising cellulosic material and hydrophilic block copolymer (V)
US9260569B2 (en) 2014-06-30 2016-02-16 Pall Corporation Hydrophilic block copolymer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III)
KR101991429B1 (ko) * 2014-12-19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KR102420011B1 (ko) * 2015-06-22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798499B1 (ko) 2017-03-14 2017-11-1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이온 전도성을 갖는 가지형 술폰화 폴리페닐렌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KR102118182B1 (ko) * 2018-08-23 2020-06-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아릴렌에테르케톤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1207672B2 (en) * 2018-10-22 2021-12-28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Alkaline anion exchange membranes derived from diphenylethylene and co-monomer feedstock
US11591294B2 (en) * 2019-11-14 2023-02-2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Fluorenone/fluorenol derivatives for aqueous redox flow batteries
CN112952167A (zh) * 2019-12-10 2021-06-11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酸碱交联离子传导膜在液流电池中的应用
CN115298247A (zh) * 2020-03-03 2022-11-04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高电导率聚合物电解质的配体附接化学的设计
CN111370723B (zh) * 2020-03-19 2021-04-09 辽宁科京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微结构可调控的全氟磺酸膜的制备方法
US11465139B2 (en) * 2020-03-20 2022-10-11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Thermally stable hydrocarbon-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and ionomers
CN115568272A (zh) * 2022-10-28 2023-01-03 江苏振宁半导体研究院有限公司 一种离子液体聚合物致动器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42A (ja) 2005-05-03 2006-11-16 General Motors Corp <Gm> 酸性基を有するトリブロックコ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000A (en) 1985-06-12 1986-11-25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sulfonated poly(aryl ether) resins
JP4802354B2 (ja) 1999-12-27 2011-10-26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08599B2 (ja) 2001-11-16 2010-02-03 東洋紡績株式会社 スルホン酸基含有芳香族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化合物および高分子電解質膜
KR20050016399A (ko) * 2002-05-13 2005-02-21 폴리퓨얼, 인코포레이티드 이온 전도성 블록 공중합체
GB0400626D0 (en) * 2004-01-13 2004-02-11 Johnson Matthey Plc Polymer
US7897650B2 (en) * 2007-08-31 2011-03-01 Sayre Jay R Ionically conductive polymers for use in fuel cells
KR100948347B1 (ko) * 2007-11-29 2010-03-22 한국화학연구원 부분 가교된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막의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부분 가교된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JP4864107B2 (ja) * 2009-02-17 2012-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ロック共重合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用固体高分子電解質、燃料電池用固体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KR20130011676A (ko) 2011-07-22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연료전지
JP6198198B2 (ja) 2012-03-16 2017-09-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電解質組成物、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及び高分子電解質膜の製造方法
KR101546816B1 (ko) 2012-11-09 2015-08-25 한국화학연구원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2742A (ja) 2005-05-03 2006-11-16 General Motors Corp <Gm> 酸性基を有するトリブロックコポリマ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934A1 (ko) 2014-05-15
US20150307659A1 (en) 2015-10-29
KR20140060440A (ko) 2014-05-20
US9975995B2 (en)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816B1 (ko) 부분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US7897691B2 (en) Proton exchang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KR101532306B1 (ko) 2개 이상의 술폰화 방향족기로 치환된 페닐 펜던트를 포함하는 고분자 이온전도체
JP5740030B2 (ja) ヒドロキシ基を含有するスルホン化ポリエーテルスルホンの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及びそ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
Wang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highly branched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 as proton exchange membranes
CN101426836B (zh) 芳香族化合物和磺化聚芳撑系聚合物
KR20060071690A (ko) 브랜치된 술폰화 멀티 블록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전해질막
US7473714B2 (en) Materials for use as proton conducting membranes for fuel cells
KR101161483B1 (ko) 고분자 전해질막
KR20060115886A (ko) 양자 교환 멤브레인용의 친수성-소수성 부분을 함유하는다중블록 공중합체
JP4706023B2 (ja) スルホン酸化芳香族ポリエーテル、その製造方法及び電解質膜
WO2005030840A1 (ja)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JP2007294408A (ja) Ppp型炭化水素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ppp、並びに、ppp型炭化水素電解質を用いた電解質膜、触媒層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060115381A (ko)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용도
KR100963409B1 (ko)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교대 공중합체와 고분자사슬 말단에 가교구조를 함유한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 교대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KR101223708B1 (ko) 트리 블록 공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해질 막
KR101605049B1 (ko) 조절된 갯수의 술폰산기가 치환된 폴리페닐술폰 구조를 포함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및 이의 용도
JP4241237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JP2007106986A (ja)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高分子電解質、触媒組成物、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KR100954060B1 (ko)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가교된 고분자 전해질막
JP5692226B2 (ja) スルホン酸基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ならびにその用途
KR101546370B1 (ko) 높은 이온전도성을 보이는 술폰산화 멀티블록형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시스템
JP4895570B2 (ja) 高分子電解質
WO2011049211A1 (ja) 側鎖にホスホン酸基を含む芳香環を有するポリアリーレン系共重合体
KR101517011B1 (ko) 테트라 술폰화된 폴리 아릴렌 비페닐 설폰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 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