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628B1 - 음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628B1
KR101546628B1 KR1020140117531A KR20140117531A KR101546628B1 KR 101546628 B1 KR101546628 B1 KR 101546628B1 KR 1020140117531 A KR1020140117531 A KR 1020140117531A KR 20140117531 A KR20140117531 A KR 20140117531A KR 101546628 B1 KR101546628 B1 KR 10154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dy
lid
button
engaging piec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211A (ko
Inventor
야스히로 구라베
신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2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조작만으로 주둥이 부재로부터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오는 문제가 없고, 액체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인시의 내압(內壓) 감소를 해제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덮개체(7)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47)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47)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64)를 버튼 부재(42)에 마련하고,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여, 덮개체(7)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통기 구멍(33)이 외기와 개방된 후, 내측 걸림편(47)과 내측 걸림부(64)가 걸림으로써 덮개체(7)가 일시 정지 상태가 되며, 그 후 버튼 부재(41)의 밀어 움직임을 해제하면, 덮개체(7)의 일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버튼 부재(4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해당 버튼 부재(42)가 통기 구멍(33)을 폐색함과 아울러, 수직벽(72)에 의한 스트로 유닛(19)의 밀봉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이하의 것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통기 구멍을 덮개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폐색하고 있고, 덮개는 락 구조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락 부재(락 버튼)를 조작하여 덮개 폐쇄 상태를 해제하면, 스트로(straw, 주둥이부)의 폐색 해제와 통기 구멍의 폐색 해제가 거의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에, 통기 구멍과 스트로의 양쪽 모두로부터 내압(內壓)이 개방되어 버려, 이 때문에 스트로로부터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올 우려가 있다. 또, 덮개 개방시에는 통기 구멍이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전도(轉倒)했을 때 등에 통기 구멍으로부터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올 가능성이 있다.
다음으로,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서는, 락 부재에의해 통기 구멍을 해방한 후에 덮개체(스트로 캡)가 열려 스트로로 액체 음료를 흡인하지만, 덮개체를 닫을 때, 덮개체를 닫은 후에 락 부재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거롭다. 또, 락 부재를 조작하여 통기 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용기가 넘어졌을 때 등에 통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액체 음료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상기 스트로 부착 음료 용기에서는, 스트로 캡을 닫은 상태(스트로 폐색 상태)에서 마개체를 닫고, 진동 등에 의해 스트로 내의 일부에 액체 음료가 체류해 버린 경우, 내압 상승에 의한 흘러 나옴은 락 부재의 조작에 의해 막을 수 있지만, 스트로가 개방했을 때의 스트로 내부로의 액면(液面) 상승에 의해 스트로 내에 체류한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올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스트로 음료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서는, 락 부재를 조작하면 락 부재가 밸브 본체에 외력을 가하고, 이 외력에 의해 밸브 본체에 마련된 슬릿이 변형하여 내압을 개방하며, 그 후에 덮개체(스트로 캡)가 개방됨과 동시에 락 부재가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와 밸브 본체가 복원함으로써 내압 해제와 슬릿(통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의 액체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슬릿은 매우 얇지 않으면 누설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가공이 요구된다. 또, 슬릿을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액체 음료가 누설할 우려도 있다.
다음으로, 음료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서는, 힌지 내부에 통기 구멍을 개폐하는 회동 베이스부를 마련하고, 덮개체의 회동 동작과 함께 회동 베이스부가 힌지 내부에서 회동하여 내압을 개방하는 기구이지만, 회동시의 마모에 의해 회동 베이스부가 마모할 우려가 있어, 내구성에 의문이 남는다. 또, 덮개체 개방 상태에서는 통기 구멍이 폐색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스트로를 흡인하면 감압 상태가 되어 계속 흡인할 수 없게 된다. 게다가, 힌지 내부에 회동 베이스부를 마련하기 때문에 힌지가 크게 되어, 컴팩트화를 저해하는 부차적인 폐해도 있다.
다음으로, 음료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서는, 덮개(후드 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개폐하는 구조이지만, 덮개의 조작이 복잡하고, 조작 거리도 길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다. 또,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폐색하지만, 슬라이드시의 마모에 의해 폐색 부재가 마모할 우려가 있어, 내구성에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덮개 개방 상태에서는 통기 구멍이 폐색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스트로를 흡인하면 감압 상태가 되어 계속 흡인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음료 용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6)에서는, 덮개(덮개판)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개폐하는 구조이지만, 덮개의 조작 거리가 길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다. 또,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폐색하지만, 슬라이드시의 마모에 의해 폐색 부재가 마모할 우려가 있어, 내구성에 의문이 남는다.
다음으로, 음료 용기용 캡(예를 들면 특허 문헌 7)에서는, 덮개체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개폐하는 구조이지만, 덮개체의 조작이 복잡하고, 조작 거리도 길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다. 또,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통기 구멍을 폐색하지만, 슬라이드시의 마모에 의해 폐색 부재가 마모할 우려가 있어, 내구성에 의문이 남는다. 게다가, 덮개체 개방 상태에서는 통기 구멍이 폐색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스트로를 흡인하면 감압 상태가 되어 계속 흡인할 수 없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 제452468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 제461077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제2011-05725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특허 제4518595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특허 제468848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특허 제5088785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특허공개 제2007-176537호 공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주둥이 부재로부터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오는 문제가 없어, 액체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흡인시의 내압 감소를 해제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음료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는 마개체와, 해당 마개체의 일단에 힌지축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서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lock) 기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된 주둥이 부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되어 음료용 용기 본체와 외기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외측을 향해 마련된 맞물림편과,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 상기 덮개체를 축 지지하는 힌지축과 대략 평행한 버튼 힌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에 상기 맞물림편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지는 버튼 부재와, 해당 버튼 부재를 상기 맞물림편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를 상기 버튼 부재에 마련하고, 상기 버튼 부재에 상기 연통부를 폐색(閉塞)하는 맞닿음부를 마련하며,
상기 주둥이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맞물림편과 상기 맞물림부가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벽부에 의해 굴곡 상태로 폐색됨으로써 밀봉되고, 해당 주둥이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연통부가 상기 버튼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버튼 부재를 밀어 움직여, 상기 덮개체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맞닿음부가 떨어져 상기 연통부가 외기와 개방된 후, 상기 내측 걸림편과 상기 내측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덮개체가 일시 정지 상태가 되며, 그 후, 상기 버튼 부재의 밀어 움직임을 해제하면, 상기 덮개체의 일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버튼 부재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해당 버튼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연통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벽부에 의한 상기 주둥이 부재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음료용 용기는, 상기 연통부가 상기 주둥이 부재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청구항 3의 음료용 용기는, 상기 마개체와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의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에 사용되는 마개체 씰 부재가 상기 연통부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음료용 용기는,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는 마개체와, 해당 마개체의 일단에 힌지축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서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lock) 기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된 주둥이 부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되는 밸브용 연통부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외측을 향해 마련된 맞물림편과,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 상기 덮개체를 축 지지하는 힌지축과 평행한 버튼 힌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에 상기 맞물림편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지는 버튼 부재와, 해당 버튼 부재를 상기 맞물림편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를 상기 버튼 부재에 마련하고, 상기 밸브용 연통부에는 밸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둥이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맞물림편과 상기 맞물림부가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벽부에 의해 굴곡 상태로 폐색됨으로써 밀봉되고, 해당 주둥이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구성에 따르면, 버튼 부재의 맞물림부와 덮개체의 맞물림편이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는 주둥이 부재가 굴곡 상태로 폐색되고,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주둥이 부재가 굴곡 상태가 됨으로써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며, 버튼 부재를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 폐쇄 상태를 이루는 맞물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연통부가 개방 통기되므로 덮개체를 개방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이들 내압 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다.
또, 버튼 부재는 가압 수단에 의해 연통부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견뢰(堅牢)한 지수(止水)성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따르면,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는 연통부는 버튼 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버튼 부재를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 폐쇄 상태를 이루는 맞물림이 해제되어 주둥이 부재에 의해 가압된 덮개체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그 후 버튼 부재의 내측 걸림부와 덮개체의 내측 걸림편이 걸려, 덮개체가 소정 위치에서 일시 정지하며, 이 덮개체 일시 정지 상태에서는 주둥이 부재가 폐색된 상태에서 연통부가 개방 통기되지만, 버튼 부재의 밀어 움직임 조작을 해제하여 덮개체를 개방 상태로 하면 재차 버튼 부재가 연통부를 폐색하기 때문에, 전도(轉倒) 등에 의해 연통부로부터 외부로 액체 음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둥이 부재의 폐색이 해제된 시점에서 연통부가 폐색되기 때문에, 주둥이 부재 내부로의 액면(液面) 상승이 억제되어, 주둥이 부재 내부에 체류한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의 구성에 따르면, 연통부를 주둥이 부재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구성에 따르면, 연통부를 씰 부재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의 구성에 따르면, 마개체에 밸브용 연통부를 마련하고, 해당 밸브용 연통부에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액체 음료를 흡인하여 용기 내부가 감압이 된 경우에도 밸브가 작동하여 감압을 해제하기 때문에, 더 간편하게 액체 음료를 계속 흡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덮개체 폐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 일시 정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덮개체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락 기구 주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개체를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마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마개체와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마개체를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마개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스트로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도 1 ~ 도 8에서, 1은 전체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음료 용기를 나타내고,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용기 본체(2)와, 해당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인 용기 개구(3)에 피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마개체(4)를 구비하고, 해당 마개체(4)의 천장부(5)의 일단측에 마련된 힌지축(6)을 매개로 하여 컵 모양의 덮개체(7)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해당 힌지축(6)의 대향측에 마련한 락 기구(8)에 의해서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
상기 마개체(4)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천장부(5)를 마련한 상부에 저부를 가지는 통 모양으로 형성된 마개체 본체(11)를 가지며, 이 마개체 본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에 의해서 용기 본체(2)의 상부 외주면에 마련한 통 모양의 수나사부(13)에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개체 본체(11)에는, 천장부(5)의 이면(裏面) 거의 중앙 위치에 위치 결정용 오목부(15)와 주둥이 부재용 구멍(16)으로 이루어지는 주둥이 부재 장착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둥이 부재 장착부(17)에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된 튜브 모양의 주둥이부(18)를 구비한 스트로(straw) 유닛(19)이 해당 주둥이부(18)의 선단을 약간 마개체(4)의 타단측으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둥이 부재인 스트로 유닛(19)은, 주둥이부(18)의 좌우 측부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평판 모양의 위치 결정부(20)를 가짐과 아울러, 해당 주둥이부(18)의 근원(根元)에 형성한 확폭부(擴幅部, 2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통 모양의 통 부재(22)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위치 결정부(20)의 형상이 위치 결정용 오목부(15)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주둥이 부재 장착부(17)는, 스트로 유닛(19)의 위치 결정부(20)가 위치 결정용 오목부(15)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주둥이부(18)가 주둥이 부재용 구멍(16)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고, 해당 주둥이부(18)에 의해서 주둥이 부재용 구멍(16)을 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스트로 유닛(19)만을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하여 마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마개체 본체(11)에는, 천장부(5)의 하면에 고리 모양 홈(5A)이 형성되고, 해당 고리 모양 홈(5A)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고리 모양 홈(5A)의 폭 치수보다 약간 폭 치수가 작게 형성된 고리 모양의 폐색 부재(25)가 해당 고리 모양 홈(5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마개체 본체(11)의 천장부(5)에는, 락 기구(8)측에 구멍부(26)가 뚫려 마련되며, 이 구멍부(26)에 원통 모양의 통 모양 돌기부(27)가 착탈 가능하게 압입 고정되며, 이 예에서는 통 모양 돌기부(27)는 폐색 부재(25)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폐색 부재 본체(28)가 마개체(4)와 음료용 용기 본체(1)와의 사이를 지수(止水, 물이 새는 것을 막음)한다.
상기 폐색 부재(25)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며, 적당한 정도의 경도를 구비하면서 외부로부터 힘이 부여되면, 약간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폐색 부재(25)는, 두께가 얇은 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폐색 부재 본체(28)를 가지며, 이 폐색 부재 본체(28)의 측면부 전체 둘레에 노치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29)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색 부재(25)가 마개체 본체(11)의 이면에 마련되어, 마개체 본체(11)가 용기 본체(2)의 용기 개구(3)에 장착되면, 해당 용기 개구(3)의 꼭대기부가 맞닿고, 이것에 의해 노치된 내부 공간이 찌부러져 용기 개구(3)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노치부(29)는, 밑부분에 단면이 타원 형상인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외주면측과 비교하여 이 내부 공간이 용이하게 찌부러지기 쉽게 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용기 본체(2)를 확실히 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것에 더하여, 폐색 부재 본체(28)는, 그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중심부를 향하여 만곡(灣曲) 모양으로 팽출(膨出)하는 것에 의해 일면 및 타면의 표면적이 크게 형성된 팽출부(31)가 마련되며, 이 팽출부(31)의 일면에 수직 모양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통기 기능을 구비한 상기 통 모양 돌기부(27)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실제상, 통 모양 돌기부(27)는, 폐색 부재 본체(28)가 마개체 본체(11)의 이면에 장착되었을 때, 해당 마개체 본체(11)에서의 천장부(5)의 구멍부(26)에 삽입되고, 그 탄성력에 의해서 해당 구멍부(26)를 폐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통 모양 돌기부(27)는, 천장부(5)의 구멍부(26)에 삽입되었을 때에 선단이 해당 천장부(5)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선정되어 있다.
또, 통 모양 돌기부(27)는, 축방향을 따라서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관통한 연통부인 통기 구멍(33)이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측면부의 소정 높이 위치에 플랜지 모양으로 돌출한 탈락 방지 리브(34)가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탈락 방지 리브(34)는, 통 모양 돌기부(27)가 천장부(5)의 구멍부(26)에 삽입되었을 때, 해당 천장부(5)의 외표면에 닿거나, 통 모양 돌기부(27)의 선단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해당 통 모양 돌기부(27)가 구멍부(2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탈락 방지 리브(34)의 돌기의 형상을 링 모양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천장부(5)의 외표면에 탈락 방지 리브(34)가 닿는 영역이 증가하고, 일단(一段)과 통 모양 돌기부(27)가 천장부(5)의 구멍부(26)로부터 탈락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폐색 부재 본체(28)의 내주면에는, 소정 위치에 중심부로 향하여 원형 모양으로 팽출하는 것에 의해,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돌출한 위치 결정용 및 손잡이용 탭(tab, 37)이 마련되고, 마개체 본체(11)에서의 이면의 고리 모양 홈(5A)에 형성된 위치 결정 노치부(5B)로부터 해당 탭(37)이 돌출하도록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며, 마개체 본체(11)의 이면에 대해서 폐색 부재(25)를 정확하게, 또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락 기구(8)의 락 버튼(41)은,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표면부인 버튼 부재(42)를 구비하며, 이 버튼 부재(4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버튼 부재(42)의 상부 이면에, 상기 덮개체(7)의 덮개측 맞물림편(43)에 맞물려 해당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버튼 맞물림부(44)가 내측을 향해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 덮개측 맞물림편(43)의 하면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 안내면(43A)이 마련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경사 안내면(43A)에 맞물리는 경사 안내면(44A)이 상기 버튼 맞물림부(44)에 마련되고, 이 경사 안내면(44A)은 상기 버튼 맞물림부(44)의 상면에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체(7)의 반(反)힌지축측에는, 정면에서 볼 때 역 U자형의 덮음부(45)를 마련하고, 이 덮음부(45) 내에 좌우 방향의 내벽부(46)를 마련하고, 이 내벽부(46)의 하단 전측에 상기 덮개측 맞물림편(43)이 외측을 향해 돌출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내벽부(46)의 후측에 내측 걸림편(47)이 내측을 향해 돌출 마련되고, 이 내측 걸림편(47)은 상기 덮개측 맞물림편(43)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게다가, 상기 버튼 맞물림부(44)의 위치보다 하부에서, 버튼 부재(42)의 상부 이면의 좌우에 암부(51, 51)가 내측을 향해 돌출 마련되고, 이들 좌우의 암부(51, 51)에 횡방향의 축 구멍(51A, 51A)을 뚫어 마련하며, 이들 축 구멍(51A, 51A)에 회전 중심이 되는 버튼 힌지축(52)이 삽입 통과된다.
상기 버튼 부재(42)의 이면에는, 원기둥 모양의 장착부(53)가 내측을 향해 돌출 마련되고, 이 장착부(53)는 상기 축 구멍(51A)의 위치보다 하부에서 좌우 방향대략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그 장착부(53)에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54)의 기단(基端)측이 장착되어 있다. 이 장착부(53)에 대응하여 상기 마개체(4)의 마개체 본체(11)의 외면에 장착부(55)를 돌출 마련하고, 락 버튼(41)을 마개체 본체(11)에 장착한 상태에서, 장착부(53, 55) 사이의 상기 코일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버튼 맞물림부(44)가 상시 덮개체(7)를 락(lock)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상기 버튼 맞물림부(44)가 상기 락하는 방향은 우측 방향이다.
상기 마개체 본체(11)의 반힌지축측에는, 상기 락 기구(8)의 장착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장착부(56)는 좌우의 세로 벽부(57, 57)의 사이에서, 상기 마개체 본체(11)의 외면에 상기 장착부(5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56)는 좌우의 세로 벽부(57, 57)의 하부를 만곡(灣曲)한 하벽부(5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을 이루며, 좌우의 세로 벽부(57, 57)에는 장착 구멍(57A, 57A)을 마련하고, 이들 장착 구멍(57A, 57A)에 상기 버튼 힌지축(52)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버튼 힌지축(52)을 중심으로 상기 락 버튼(41)이 마개체(4)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상기 버튼 부재(42)의 이면에는 후방(내부)을 향해 가로판부(61)를 일체로 돌출 마련하고, 이 가로판부(61)는 상기 락(lock)시에 대략 수평이며, 상기 버튼 힌지축(52)과 버튼 맞물림부(44)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로판부(61)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통 모양 돌기부(27)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부(이하, 이것을 폐색용 돌출부라고 함)(62)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버튼 맞물림부(44)가 덮개측 맞물림편(43)에 걸려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했을 때에, 폐색용 돌출부(62)의 선단을 상기 통 모양 돌기부(27)의 선단에 꽉 누르도록 되어 있다. 이 때 통 모양 돌기부(27)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약간 찌그러지는 것에 의해 폐색용 돌출부(62)와 밀착하고, 이것에 의해 통기 구멍(33)이 폐색용 돌출부(62)에 의해서 확실히 폐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이 실시 형태의 경우, 맞닿음부로서의 폐색용 돌출부(62)의 선단(62A)은 만곡 모양으로 형성되고, 통 모양 돌기부(27)의 선단에는, 폐색용 돌출부(62)의 선단의 형상에 대응시켜 만곡 모양의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단(62A) 및 오목부(63)는 원기둥면 모양으로 만곡하고 있지만, 구면 모양으로 만곡하고 있어도 괜찮다.
따라서, 통 모양 돌기부(27) 및 폐색용 돌출부(62)는, 덮개체(7)의 폐쇄 상태시, 통 모양 돌기부(27)의 오목부(63)에 폐색용 돌출부(62)의 선단이 위치 결정 된다.
이 때 통 모양 돌기부(27)는, 그 탄성력에 의해서 약간 찌그러지는 것에 의해 폐색용 돌출부(62)와 밀착하고, 이것에 의해 통기 구멍(33)이 폐색용 돌출부(62)에 의해서 확실히 폐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가로판부(61)의 상면에는, 상기 내측 걸림편(47)에 걸리는 내측 걸림부(64)가 전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 마련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 맞물림부(44)가 덮개측 맞물림편(43)에 걸린 걸림 상태로부터, 락 버튼(41)의 하부를 가압하고, 락 버튼(41)이 경동(傾動, 기울어져 움직임)하여 상기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덮개체(7)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내측 걸림부(64)의 선단측 하면이 상기 내측 걸림편(47)에 걸린다. 또, 내측 걸림부(64)의 선단은 상부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체(7)에는, 스토퍼(71)가 돌출 마련되고, 이 스토퍼(71)는 상기 폐색용 돌출부(62)보다 외측에서 상기 가로판부(6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측 맞물림편(43)에 버튼 맞물림부(44)가 걸린 상태에서는, 가로판부(61)는 스토퍼(71)에는 맞닿지 않고, 폐색용 돌출부(62)가 통 모양 돌기부(27)의 오목부(63)에 압접하여, 통기 구멍(33)이 확실히 폐색되며, 한편, 덮개체(7)를 개방한 상태에서, 마개체(4)로부터 폐색 부재(25)와 함께 통 모양 돌기부(27)를 떼어낸 경우에, 가로판부(61)의 하면이 스토퍼(71)와 맞닿아, 락 버튼(41)이 위치 결정된다.
또, 상기 덮개체(7)의 이면에는 벽부인 수직벽(72)이 아래를 향해 돌출 마련 됨과 아울러, 이 수직벽(72)에 대응하여, 상기 천장부(5)에는 볼록한 모양 만곡면(73)이 형성되고, 덮개측 맞물림편(43)에 버튼 맞물림부(44)가 걸린 상태에서, 덮개체(7)는, 수직벽(72)에 의해 주둥이부(18)를 2개소에서 절곡하여 S자 모양으로 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7)의 내부 공간에 주둥이부(18)를 수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둥이부(18)의 연통로를 찌부러뜨려 해당 주둥이부(18)로부터 음료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1개소의 절곡 개소에서는, 주둥이부(18)는 수직벽(72)의 하단과 볼록한 모양 만곡면(73)에 끼워진다. 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주둥이부(18)가 절곡되는 것에 의해, 덮개체(7)를 여는 방향으로 그 주둥이부(18)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 맞물림부(44)가 덮개측 맞물림편(43)에 걸린 걸림 상태에서, 내측 걸림부(64)의 선단(64S)과 내측 걸림편(47)은, 상하 방향 및 내외 방향으로 간격(K1, K2)을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개방 상태로부터 덮개체(7)를 폐쇄 방향으로 회동하면, 내측 걸림부(64)가 내측 걸림편(47)에 접촉하지 않고, 내측 걸림부(64)의 선단(64S)이 내측 걸림편(47)의 위치를 통과하면 거의 동시에, 버튼 맞물림부(44)의 경사 안내면(44A)에 덮개측 맞물림편(43)의 경사 안내면(43A)이 닿거나, 경사 안내면(44A)과 경사 안내면(43A)의 맞물림에 의해, 버튼 맞물림부(44)가 외측을 향하도록 락 버튼(41)이 회동하며, 이 후, 코일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락 버튼(41)이 락 위치로 회동하여, 덮개측 맞물림편(43)에 버튼 맞물림부(44)가 걸려, 덮개체(7)가 락된다.
한편, 도 1의 덮개체(7)의 락 상태로부터, 덮개체(7)를 열기 위해서, 락 버튼(41)의 하부를 가압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 버튼(41)이 회전하여 덮개측 맞물림편(43)으로부터 버튼 맞물림부(44)가 빠져, 락이 해제되고, 그 락 버튼(41)의 회전에 의해 내측 걸림부(64)가 회전하여, 주둥이부(1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체(7)가 열리며, 덮개체(7)의 걸림편(47)이 내측 걸림부(64)에 걸려, 덮개체(7)의 회동이 일시 정지한다. 이와 같이 락 버튼(41)을 밀어 락 버튼(41)이 회동하는 것에 의해, 통 모양 돌기부(27)로부터 폐색용 돌출부(62)가 떨어져, 통기 구멍(33)이 열려 용기 본체(2)의 내압을 개방하여, 용기 본체(2)와 외부를 동일 압력으로 할 수 있다.
이들 동작은 연속하여 단시간에 행해지며, 즉, 락 버튼(41)의 아래를 가압하는 것과 같은 원 액션(one action)에 의해 행해지며, 가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4)의 가압에 의해, 폐색용 돌출부(62)에 통 모양 돌기부(27)가 압접하여, 다시 통기 구멍(33)이 폐색된다. 도 2와 같이, 덮개체(7)가 약간 열려, 내압이 개방된 후, 덮개체(7)가 전개(全開)하여, 도 3과 같이 주둥이부(18)의 연통로가 개방되기 때문에, 내압에 의해 주둥이부(18)로부터 내부의 음료가 누설되지 않는다. 또, 도 2의 일시 정지 상태에서는, 주둥이부(18)의 연통로는 폐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휴대용 음료 용기(1)에서는, 마개체 본체(11)의 천장부(5)를 관통하여 천장부(5)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통 모양 돌기부(27)를 마련하고, 이 통 모양 돌기부(27)에 용기 본체(2) 내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통기 구멍(33)을 마련함과 아울러, 락 버튼(41)에 일체로 마련한 폐색용 돌출부(62)에 의해 통 모양 돌기부(27)의 통기 구멍(33)을 폐색하고, 락 버튼(41)을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락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음료 용기(1)에서는, 폐색용 돌출부(62)를 통 모양 돌기부(27)에 확실히 꽉 누를 수 있으므로, 락 기구(8)에 의해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유지했을 때,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가압된 폐색용 돌출부(62)에 의해 통기 구멍(33)을 확실히 계속 폐색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용기 본체(2)를 넘어뜨려 버려도 해당 용기 본체(2) 내로부터 음료가 누출되는 것을 종래 보다도 방지할 수 있다.
또, 휴대용 음료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2)를 폐색하기 위해서 탄력성을 구비한 폐색 부재(25)에 통기 기능을 구비한 통 모양 돌기부(27)를 일체 성형한 것에 의해, 해당 통 모양 돌기부(27)에도 연질인 탄력성을 부여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하여 폐색용 돌출부(62)를 꽉 눌렀을 때에 탄성력에 의해 약간 압축시켜, 폐색용 돌출부(62)에 의해 통기 구멍(33)을 확실히 폐색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통 모양 돌기부(27)에 탈락 방지 리브(34)를 마련한 것에 의해,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했을 때에 생기는 폐색용 돌출부(62)로부터의 꽉 누름 힘에 의해서 통 모양 돌기부(27)가 구멍부(26)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히 폐색용 돌출부(62)를 통 모양 돌기부(27)에 꽉 누를 수 있다.
또, 휴대용 음료 용기(1)에서는, 폐색 부재(25)에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한 탭(37)을 마련한 것에 의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2) 등을 세정하기 위해서 각 부를 분해할 때, 탭(37)을 잡게 하는 것에 의해 마개체(4)로부터 폐색 부재(25)를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마개체 본체(11)는, 이면에 탭(37)을 고리 모양 홈(5A)의 위치 결정 노치부(5B)에 끼워 넣기만 하면, 마개체 본체(11)의 이면에 장착하는 면을 잘못하여 뒤집지 않고, 또한 최적인 위치에 폐색 부재(25)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1)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1)의 상부 개구부인 용기 개구(3)에 피착되는 마개체(4)와, 해당 마개체(4)의 일단에 힌지축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7)와, 마개체(4)의 타단에서 덮개체(7)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 기구(8)와, 마개체(4)에 마련된 주둥이 부재인 스트로 유닛(19)과, 마개체(4)에 마련되어 음료용 용기 본체(1)와 외기를 연통하는 연통부인 통기 구멍(33)을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락 기구(8)는, 덮개체(7)의 회동단에 외측을 향해 마련된 맞물림편인 덮개측 맞물림편(43)과, 마개체(4)의 타단에 덮개체(7)를 축 지지하는 힌지축(6)과 대략 평행한 버튼 힌지축(5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덮개측 맞물림편(43)과 맞물리는 맞물림부인 버튼 맞물림부(44)를 가지는 버튼 부재(42)와, 해당 버튼 부재(42)를 상기 덮개측 맞물림편(43)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코일 스프링(54)을 구비하며, 스트로 유닛(19)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덮개측 맞물림편(43)과 버튼 맞물림부(44)가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 덮개체(7)의 내면에 마련된 벽부인 수직벽(72)에 의해 굴곡 상태로 폐색됨으로써 밀봉되며, 해당 스트로 유닛(19)의 탄성에 의해 덮개체(7)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게다가 통기 구멍(33)이 버튼 부재(42)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것으로,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통기 구멍(33)이 외기와 개방되기 때문에, 버튼 부재(42)의 버튼 맞물림부(44)와 덮개체(7)의 덮개측 맞물림편(43)이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는 스트로 유닛(19)이 굴곡 상태로 폐색되고,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트로 유닛(19)이 굴곡 상태가 됨으로써 덮개체(7)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며,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 폐쇄 상태를 이루는 맞물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통기 구멍(33)이 개방 통기되므로 덮개체(7)를 개방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이들 내압 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간편하다.
또, 버튼 부재(42)는 코일 스프링(54)에 의해 통기 구멍(33)을 폐색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견뢰한 지수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덮개체(7)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47)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47)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64)를 버튼 부재(42)에 마련하고,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여, 덮개체(7)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연통부인 통기 구멍(33)이 외기와 개방된 후, 내측 걸림편(47)과 내측 걸림부(64)가 걸림으로써 덮개체(7)가 일시 정지 상태가 되며, 그 후 버튼 부재(42)의 밀어 움직임을 해제하면, 덮개체(7)의 일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버튼 부재(4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해당 버튼 부재(42)가 통기 구멍(33)을 폐색함과 아울러, 벽부인 수직벽(72)에 의한 스트로 유닛(19)의 밀봉이 해제되기 때문에,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는 통기 구멍(33)은 버튼 부재(42)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임으로써 덮개체 폐쇄 상태를 이루는 맞물림이 해제되어, 스트로 유닛(19)에 의해 가압된 덮개체(7)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그 후 버튼 부재(42)의 내측 걸림편(47)과 덮개체(7)의 내측 걸림부(64)가 걸려, 덮개체(7)가 소정 위치에서 일시 정지하며, 이 덮개체 일시 정지 상태에서는 스트로 유닛(19)이 폐색된 상태에서 통기 구멍(33)이 개방 통기되지만, 버튼 부재(42)의 밀어 움직임 조작을 해제하여 덮개체(7)를 개방 상태로 하면 재차 버튼 부재(42)가 통기 구멍(33)을 폐색하기 때문에, 전도 등에 의해 통기 구멍(33)으로부터 외부로 액체 음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트로 유닛(19)의 폐색이 해제된 시점에서 통기 구멍(33)이 폐색되기 때문에, 스트로 유닛(19) 내부로의 액면 상승이 억제되어, 스트로 유닛(19)의 내부에 체류한 액체 음료가 흘러 나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마개체(4)와 음료용 용기(1)의 지수에 사용되는 마개체 씰 부재인 폐색 부재 본체(28)가 연통부인 통기 구멍(33)과 일체로 되었기 때문에, 통기 구멍(33)을 폐색 부재 본체(28)와 일체화시킴으로써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실시예상의 효과로서, 덮개체(7)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47)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47)이 걸림 이탈하는 걸림부(64)를 버튼 부재(42)에 마련하고, 버튼 부재(42)를 밀어 움직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덮개측 맞물림편(43)으로부터 버튼 맞물림부(44)가 빠진 위치에서, 내측 맞물림편(47)의 회동 범위에 내측 걸림부(47)의 선단(64S)이 위치하기 때문에, 덮개체(8)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내측 맞물림편(47)과 내측 걸림부(47)의 걸림이 확실히 행해진다. 또, 폐색용 돌출부(62)를 마련한 가로판부(61)를 이용하여, 내측 걸림편(47)에 걸리는 내측 걸림부(64)를 락 버튼(41)에 마련할 수 있다. 게다가, 가로판부(61)의 내측단(端) 측에 폐색용 돌출부(62)를 마련했기 때문에, 통기 구멍(33)을 확실히 폐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마개체(4)의 천장부(5)에 밸브용 연통부(81)가 마련되고, 이 밸브용 연통부(81)에는 하부로부터 밸브(8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도 9 ~ 도 12에서는 내측 걸림편(47) 및 내측 걸림부(64)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내측 걸림편(47) 및 내측 걸림부(64)는 마련해도 괜찮다.
상기 밸브용 연통부(81)는, 상기 천장부(5)에 관통 형성한 원형의 관통 구멍(82)과, 이 관통 구멍(82)으로부터 외측으로 슬릿 모양으로 형성된 흡기 구멍(83, 83)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흡기 구멍(83, 83)은 관통 구멍(82)과 힌지축측과 반(反)힌지축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82)에 상기 밸브(85)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여 배치되며, 이 밸브(85)는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85)의 축부(86)는 거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관통 구멍(82)을 관통하고, 밸브(85)의 상부(85U)는 천장부(5)의 상면(5U) 보다도 약간 돌출 마련되며, 이 상부(85U)의 반경은, 관통 구멍(82)의 반경, 즉 밸브(85)의 축부(86)의 반경 보다도 지름이 크게 되어 위를 향하여 끝부분이 잘린 원추 모양으로 돌출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부분이 잘린 원추 모양의 상부(85U)의 하면이 상면(5U)에 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흡기 구멍(83)의 선단(83S)은 상기 상부(85U)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밸브(85)의 상기 축부(86)의 하부에는, 역지(逆止, 역류 방지) 밸브(87)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역지 밸브(87)는 평면에서 볼 때 원 고리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측이 오목하게 되는 만곡 모양의 얇은 판 모양을 이루며, 그 역지 밸브(87)의 외부 가장자리부(87S)는 플랜지 모양으로 넓어지고, 외부 가장자리부(87S)의 상면측이 상기 천장부(5)의 하면(5K)에 면접촉 상태로 밀착하여 상기 흡기 구멍(83)을 폐쇄한다. 즉, 역지 밸브(87)의 직경은, 상기 흡기 구멍(83, 83)의 선단(83S, 83S)의 간격보다 크다.
따라서, 용기 본체(2) 내의 음료를 흡인하여 용기 본체(2)의 내부의 음료가 감소하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負壓)으로 되어 버려, 입의 빨아 올리는 힘을 강하게 해야만 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용기 본체(2)의 내부가 부압이 되면, 역지 밸브(87)가 부압측으로 되어 있는 용기 본체(2)의 내부측(도면 중, 하측)으로 끌어 당겨져 하면(5K)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흡기 구멍(83, 83)이 열리면, 흡기 구멍(83, 83)으로부터 외기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도입된다. 이 결과, 용기 본체(2)의 내부는 대기압이 되는 통상의 입의 빨아 올리는 힘으로 음료를 계속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ㆍ효과를 나타낸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마개체(4)에는, 밸브용 연통부(81)가 마련되고, 해당 밸브용 연통부(81)에는 하부로부터 장착되는 밸브(8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체(4)에 밸브용 연통부(81)를 마련하고, 밸브용 연통부(81)에 밸브(85)를 마련함으로써, 액체 음료를 흡인하여 용기 내부가 감압이 된 경우에도 밸브(85)가 작동하여 감압을 해제하기 때문에, 더 간편하게 액체 음료를 계속 흡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상술한다. 이 예에서는, 스트로 유닛(19)과 통 모양 돌기부(27)를 판 모양의 연결부(91)에 의해 연결하여 마련하고 있으며, 연결부(91)도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연통부인 통기 구멍(33)이 주둥이 부재인 스트로 유닛(19)과 일체로 되었기 때문에,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 모양 돌기부(27)를 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주둥이 부재로서, 튜브 모양의 주둥이부(18)를 구비한 스트로 유닛(19)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순한 짧은 통 모양으로 형성된 주둥이부 등 그 외 다른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되는 주둥이 부재를 적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 밸브용 연통부와 밸브를 마련해도 괜찮다. 또, 용기 본체는, 내통과 외통의 사이에 진공 단열층을 마련한 단열 이중 용기라도 괜찮다.
1 : 휴대용 음료 용기 2 : 용기 본체
3 : 용기 개구(상부 개구부) 4 : 마개체
7 : 덮개체 8 : 락 기구
19 : 스트로 유닛(주둥이 부재) 27 : 통 모양 돌기부
28 : 폐색 부재 본체(마개체 씰 부재) 33 : 통기 구멍(연통부)
42 : 버튼 부재
43 : 덮개측 맞물림편(맞물림편)
44 : 버튼 맞물림부(맞물림부) 47 : 내측 걸림편
52 : 버튼 힌지축 54 : 코일 스프링(가압 수단)
62 : 폐색용 돌출부 64 : 내측 걸림부
72 : 수직벽(벽부) 81 : 밸브용 연통부
85 : 밸브

Claims (5)

  1.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는 마개체와, 해당 마개체의 일단에 힌지축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서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lock) 기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된 주둥이 부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되어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와 외기를 연통하는 연통부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외측을 향해 마련된 맞물림편과,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 상기 덮개체를 축 지지하는 힌지축과 평행한 버튼 힌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에 상기 맞물림편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지는 버튼 부재와, 해당 버튼 부재를 상기 맞물림편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를 상기 버튼 부재에 마련하고, 상기 버튼 부재에 상기 연통부를 폐색(閉塞)하는 맞닿음부를 마련하며,
    상기 주둥이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맞물림편과 상기 맞물림부가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벽부에 의해 굴곡 상태로 폐색됨으로써 밀봉되고, 해당 주둥이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연통부가 상기 버튼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상기 버튼 부재를 밀어 움직여, 상기 덮개체의 폐쇄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연통부로부터 상기 맞닿음부가 떨어져 상기 연통부가 외기와 개방된 후, 상기 내측 걸림편과 상기 내측 걸림부가 걸림으로써 상기 덮개체가 일시 정지 상태가 되며, 그 후, 상기 버튼 부재의 밀어 움직임을 해제하면, 상기 덮개체의 일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버튼 부재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해당 버튼 부재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연통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벽부에 의한 상기 주둥이 부재의 밀봉이 해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가 상기 주둥이 부재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와 상기 음료용 용기 본체의 지수(止水)에 사용되는 마개체 씰 부재가 상기 연통부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4. 상부가 개구한 음료용 용기 본체와, 해당 음료용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에 피착되는 마개체와, 해당 마개체의 일단에 힌지축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서 덮개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락(lock) 기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된 주둥이 부재와, 상기 마개체에 마련되는 밸브용 연통부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락 기구는,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외측을 향해 마련된 맞물림편과, 상기 마개체의 타단에 상기 덮개체를 축 지지하는 힌지축과 평행한 버튼 힌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에 상기 맞물림편과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가지는 버튼 부재와, 해당 버튼 부재를 상기 맞물림편과의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의 회동단에 내측을 향해 내측 걸림편을 마련함과 아울러, 이 내측 걸림편이 걸림 이탈하는 내측 걸림부를 상기 버튼 부재에 마련하고, 상기 밸브용 연통부에는 밸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둥이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맞물림편과 상기 맞물림부가 맞물리는 덮개체 폐쇄 상태에서,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마련된 벽부에 의해 굴곡 상태로 폐색됨으로써 밀봉되고, 해당 주둥이 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
  5. 삭제
KR1020140117531A 2013-09-05 2014-09-04 음료용 용기 KR101546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4466A JP5662536B1 (ja) 2013-09-05 2013-09-05 飲料用容器
JPJP-P-2013-184466 201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211A KR20150028211A (ko) 2015-03-13
KR101546628B1 true KR101546628B1 (ko) 2015-08-21

Family

ID=5243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31A KR101546628B1 (ko) 2013-09-05 2014-09-04 음료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62536B1 (ko)
KR (1) KR101546628B1 (ko)
CN (1) CN104417958B (ko)
HK (1) HK1207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556B2 (ja) * 2015-07-31 2019-08-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JP6573314B2 (ja) * 2015-08-03 2019-09-1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CN105438624B (zh) * 2015-12-28 2017-09-15 新文越婴童用品(深圳)有限公司 一种容器用盖及其容器
CN105768508B (zh) * 2016-04-18 2018-06-26 方昱皓 防污环保型吸嘴饮料杯盖及加工方法
ES2967364T3 (es) * 2016-05-04 2024-04-29 Hardy Steinmann Contenedor de bebidas portátil
DE202016102642U1 (de) * 2016-05-18 2017-08-21 Emsa Gmbh Trinkbecherdeckel
JP6767798B2 (ja) * 2016-07-12 2020-10-14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186665B1 (ja) * 2016-07-12 2017-08-30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FR3057750B1 (fr) * 2016-10-24 2018-11-16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presentant un conduit d’evacuation
KR101930175B1 (ko) 2017-11-29 2018-12-17 김태진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CN108792249A (zh) * 2018-07-24 2018-11-13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 用于封闭装置中的物料转运盒及转运方法
KR102287285B1 (ko) * 2019-05-03 2021-08-0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기 뚜껑
JP7280952B2 (ja) * 2019-07-23 2023-05-24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US11396408B2 (en)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JP7483531B2 (ja) 2020-07-03 2024-05-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JP6881806B1 (ja) * 2020-09-04 2021-06-02 浙江和莎科技有限公司 飲料容器用栓体および飲料容器
JP6881799B1 (ja) * 2020-09-04 2021-06-02 浙江和莎科技有限公司 飲料容器用栓体および飲料容器
JP2023022742A (ja) * 2021-08-03 2023-02-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5944A1 (en) 2006-06-23 2009-10-15 Pigeon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JP4524681B2 (ja) 2006-05-31 2010-08-1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JP5088785B2 (ja) 2007-11-30 2012-1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8433B2 (ja) * 2000-09-26 2011-08-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0886436B1 (ko) * 2001-04-25 2009-03-04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우 달린 음료 용기
JP3937428B2 (ja) * 2002-01-18 2007-06-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中栓
JP5375932B2 (ja) * 2011-11-29 2013-12-25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3178720U (ja) * 2012-07-17 2012-09-27 オルゴ株式会社 携帯用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4681B2 (ja) 2006-05-31 2010-08-18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US20090255944A1 (en) 2006-06-23 2009-10-15 Pigeon Corporation Beverage container
JP5088785B2 (ja) 2007-11-30 2012-1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7958A (zh) 2015-03-18
JP5662536B1 (ja) 2015-01-28
CN104417958B (zh) 2017-06-23
HK1207047A1 (en) 2016-01-22
JP2015051781A (ja) 2015-03-19
KR20150028211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628B1 (ko) 음료용 용기
KR101879987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5333611B2 (ja) 飲料用容器
KR10187997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KR10156213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4524681B2 (ja) 飲料容器の栓体
JP2006347580A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KR20180007317A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EP3154869B1 (en)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JP2017030812A (ja) 飲料容器
KR101827129B1 (ko) 진공밀폐 용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JP6343704B2 (ja) 飲料容器
JP6133381B2 (ja) 飲料容器
JP6393071B2 (ja) 携帯飲料容器
JP7345982B2 (ja) 飲料容器
JP6133196B2 (ja) 飲料容器
RU2672608C2 (ru) Крыш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с напитком
JP6453936B2 (ja) 飲料容器
CN217390405U (zh) 一种杯盖及应用该杯盖的容器
KR101442411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N213849922U (zh) 杯盖以及杯子
CN111169797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JP2015209217A (ja) 携帯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