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85B1 - 조리기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기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7285B1 KR102287285B1 KR1020190052094A KR20190052094A KR102287285B1 KR 102287285 B1 KR102287285 B1 KR 102287285B1 KR 1020190052094 A KR1020190052094 A KR 1020190052094A KR 20190052094 A KR20190052094 A KR 20190052094A KR 102287285 B1 KR102287285 B1 KR 102287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control
- internal pressure
- opening
- control hol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55—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은, 조리기의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이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압 조절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에 분쇄, 가공, 조리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조리기의 용기에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이 되도록 진공 배기한 후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하는 조리기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기는, 조리기를 이용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으로 형성한 이후에 사용자가 용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 용기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로 인해 뚜껑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뚜껑의 분리를 위해 뚜껑에 체크 밸브를 형성하여, 뚜껑을 분리하기 이전에 체크 밸브를 조작하여 용기의 내부 압력을 외부와 동일하게 한 후 뚜껑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 있지만, 사용자가 체크 밸브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거나, 체크 밸브의 조작 방법을 잘 알지 못하여 뚜껑을 분리하는데 힘들어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조리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은, 조리기의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이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압 조절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단은 상기 용기의 손잡이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용기의 내부가 외부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되면 상기 내압 조절홀을 통해 외기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개폐부와 상기 조작단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상기 조작단을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승하며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상기 조작단을 상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승하며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단에는 상기 커버부 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조작단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른 상기 걸림부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작단이 일정 높이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상기 내압 조절홀에 대해 전후진시켜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조작단을 향해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작 로드 및 상기 조작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1 경사면을 형성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단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링크는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 로드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압 조절홀의 상부를 개방하고, 상기 조작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압 조절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그루브 및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일측에 구비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파지부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압 조절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내압 조절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밀폐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내압 조절홀과 상기 조작단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단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 패킹은 상기 로드와 함께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 패킹은 상기 내압 조절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압 조절홀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일측은 상기 체크 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체크 밸브를 강제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조작부에 별도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기가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보다 쉽게 용기 내의 음압 상태를 해제하고, 용기로부터 조리기 뚜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횡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횡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 뚜껑과 이를 이용한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베이스(10), 용기(20), 조리기 뚜껑(30) 등을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내부에 모터(11), 진공 펌프(12) 및 모터(11)와 진공 펌프(12)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터(11)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모터(11)와 진공 펌프(12)를 모두 포함하는 조리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등에는 조리기(1)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수단(13, 14a, 14b)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13, 14a, 14b)으로,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14a, 14b)과, 모터(11) 또는 진공 펌프(12)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이얼(13)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디스플레이, 전극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튼(14a)는 모터(11)를 작동시켜 가공 부재(23)가 회전되도록 하는 블렌딩 버튼으로 구성되고, 다이얼(13)은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제2 버튼(14b)는 진공 펌프(12)를 작동시켜 수용조(21)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도록 하는 진공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조(21) 내부의 음식물을 블렌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버튼(14a)을 누른 후, 다이얼(13)을 회전시켜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블렌딩을 진행하거나, 수용조(21) 내부를 진공 배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버튼(14b)을 눌러 수용조(21)의 내부를 진공 배기 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눌러 수용조(21)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실수로 다이얼(13)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청각 및/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버튼(14a)을 눌러 가공 부재(23)가 회전하는 중 또는 가공 부재(23)에 의한 가공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실수로 제2 버튼(14b)을 누른 경우에는, 진공 모터(12)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청각 및/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제2 버튼(14b)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용기(20)를 베이스(10)에서 분리시킨 후 다시 결합하거나, 베이스(10)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전원을 인가하여야만,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눌렀을 때, 진공 모터(12)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용조(21) 또는 조리기 뚜껑(30)에는 수위안전센서(미도시)가 포함되고, 수위안전센서가 수용조(21) 내의 식재료가 일정 수위를 넘어섬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누르더라도 진공 모터(12)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후면, 측면 및/또는 바닥면에는 모터(11) 또는 진공 펌프(12)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 흡입구(미부호)와 공기 배출구(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0)는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fan,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용기(20)가 안착되는 제1 용기 결합단(1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단(16a)은 환형 부재로서 용기(20)의 하단을 둘러싸며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제2 용기 결합단(16b)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1)의 출력축(15)은 제2 용기 결합단(16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력축(15)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수용조(21) 및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조(21)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조(21)의 상단은 가공 대상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고, 조리기 뚜껑(30)은 수용조(2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용조(21)와 결합된다.
수용조(21)의 수용 공간에는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23)가 구비될 수 있다. 가공 부재(23)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가공 부재(23)는 수용조(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용기 결합단(16b)의 상부로 노출된 출력축(15)과 직접 결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 부재를 매개로 결합된다. 모터(11)는 가공 부재(23)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 되어, 모터(13)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15)이 회전함에 따라 가공 부재(23)가 회전하며 수용조(21)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13)을 이용해 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하여 가공 부재(23)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22)는 수용조(21)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손잡이(22)는 수용조(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지지 포스트(17), 스윙암(18) 및 흡입 포트(19)를 더 포함한다.
지지 포스트(17)는 베이스(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7)는 베이스(10)의 상부면 중 베이스(10)의 후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포스트(17)의 상단에는 스윙암(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윙암(18)의 단부에는 흡입 포트(19)가 구비된다.
흡입 포트(19)는 진공 배기 라인(12a)을 통해 진공 펌프(12)와 연결된다. 진공 배기 라인(12a)은 스윙암(18) 및 지지 포스트(17)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진공 배기 라인(12a)은 스윙암(18) 및 흡입 포트(19)가 지지 포스트(17)에 대해 회전할 때에 스윙암(18)을 따라 변형되도록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 뚜껑(30)은 하부측은 수용조(21)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부측은 용기(20)의 상부에 노출된 상태로 용기(20)에 결합된다. 조리기 뚜껑(30)은 용기(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리기 뚜껑(30)은 체크 밸브(36)를 포함한다. 체크 밸브(36)는 수용조(21) 내부의 공기가 조리기 뚜껑(30)을 통과해 외부 또는 흡입 포트(19)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지만, 외부의 공기가 조리기 뚜껑(30)을 통과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의 경우, 용기(20)에 조리기 뚜껑(30)이 결합되고 조리기 뚜껑(30)에 흡입 포트(19)가 밀착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12)가 작동하면 진공 펌프(12)에 의해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체크 밸브(36)가 상승하고, 수용조(21) 내부의 공기가 체크 밸브(36)를 통해 흡입 포트(19) 측으로 배기된다.
이후, 진공 펌프(12)의 작동이 멈추면 체크 밸브(36)는 조리기 뚜껑(30)의 외부와 수용조(21)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체크 밸브(36)는 조리기 뚜껑(30)에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조리기 뚜껑(30)을 통과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체크 밸브(36)가 조리기 뚜껑(3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수용조(21) 내부의 압력이 음압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조리기 뚜껑(30)을 용기(20)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은 체크 밸브(36)를 조작하여 외가 수용조(2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조작부(1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조리기 뚜껑(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은 커버부와 조작부(130)를 포함한다.
커버부는 삽입부(31), 측벽부(32), 제1 상부 커버(34) 및 제2 상부 커버(33)를 포함한다.
삽입부(31)는 수용조(2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로 삽입되는 구성이며, 삽입부(31)와 수용조(21) 사이의 밀폐력 유지를 위해, 삽입부(31)의 외측에는 실링용 패킹(31a)가 구비된다.
측벽부(32)는 삽입부(31)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삽입부(31)와의 경계에서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 부분은 수용조(21)의 상단과 접하며 삽입부(31)가 수용조(21) 내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상부 커버(34)는 측벽부(32)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커버부의 상면을 형성한다. 제1 상부 커버(34)의 중앙부에는 체크 밸브(36)가 설치되는 체크 밸브 수용홈(34a)이 함몰 형성된다.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바닥면에는 관통홀(34b)이 형성된다. 관통홀(34b)은 삽입부(31)의 내측 공간과 제1 상부 커버(34)의 상부 공간을 연결한다.
제1 상부 커버(34)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5)가 구비되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조작단(136)이 돌출부(35)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상부 커버(33)는 제1 상부 커버(34)보다 하부에 형성되며, 측벽부(32)와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측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34)와 제2 상부 커버(33) 사이에는 후술하는 조작 로드(131)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조작 로드(131)가 설치되는 공간이 제1 상부 커버(34)와 제2 상부 커버(33)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측벽부(32)와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측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므로, 조작 로드(131)가 가공 중인 음식물 및/또는 외부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체크 밸브(36)는 손잡이부(36a), 밀폐부(36c), 관통부(36d), 스토퍼(36e)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36)는, 손잡이부(36a) 및 밀폐부(36c)가 체크 밸브 수용홈(34a) 내부에 위치하고, 관통부(36d)는 관통홀(34b)을 관통하여 위치하고, 스토퍼(36e)는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36e)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최초 체크 밸브(36)를 설치할 때에 스토퍼(36e)는 탄성 변형되며 관통홀(34b)을 통과한 후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36d)는 스토퍼(36e)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관통홀(34b)의 내경보다 작은 수평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34b)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밀폐부(36c)는 관통부(36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관통홀(34b)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며, 관통홀(34b)의 완벽한 밀폐를 위해 밀폐부(36c)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다.
손잡이부(36a)는 밀폐부(36c)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부(36a)를 파지한 채, 체크 밸브(36)를 들어올리면 스토퍼(36e)가 관통홀(34b)의 주변에 닿을 때까지 체크 밸브(36)가 상승하며, 밀폐부(36c)가 관통홀(34b)을 개방하므로 관통홀(34b)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하게 된다.
손잡이부(36a)에는 조작 로드(131)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홀(36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30)는 조작 로드(131), 제1 로드 패킹(132), 제2 로드 패킹(133), 탄성 부재(134) 및 조작단(135)을 포함한다.
조작단(135)은 돌출부(35)에 조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에는 조작단(135)이 측벽부(32)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작되도록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조작단(135)은 상하 방향으로 조작되거나,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조작 로드(131)는 조작단(135)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벽부(32)에 형성된 제1 측벽 관통홀(32a)과 체크 밸브 수용홈(34a)의 측벽에 형성된 제2 측벽 관통홀(34c)을 통과하여 체크 밸브(36)의 손잡이부(36a)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단(135)을 움직임에 따라 체크 밸브(36)가 움직이게 된다.
탄성 부재(134)는 조작단(135)과 측벽부(32) 사이에서 조작 로드(131)를 탄성 지지하여, 조작단(13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조작단(135)이 돌출부(35)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작단(135)을 탄성 지지한다.
다만, 탄성 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단(135) 및 조작 로드(1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조작 로드(131)에는 제1 로드 패킹(132) 및 제2 로드 패킹(133)이 구비된다. 조작단(13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제1 로드 패킹(132)은 제2 측벽 관통홀(34c)의 주변에 지지되고, 제2 로드 패킹(133)은 제1 측벽 관통홀(32a)의 주변에 지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1 로드 패킹(132)은 제2 측벽 관통홀(34c)과 조작 로드(13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고, 제2 로드 패킹(133)은 제1 측벽 관통홀(32a)과 조작 로드(13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제1 상부 커버(34)와 제2 상부 커버(33) 사이의 공간 및/또는 체크 밸브 수용홈(34a)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는 조리기(1)의 진공 펌프(12)에 의해 수용조(21)의 내부가 진공 배기된 상태로서, 수용조(21)의 내부가 수용조(21)의 외부보다 낮은 기압 상태이므로, 기압 차에 의해 체크 밸브(36)가 관통홀(34b)을 밀폐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리기 뚜껑(30)을 수용조(2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수용조(21)의 내부가 외부보다 압력이 낮은 상태이므로, 쉽게 조리기 뚜껑을 분리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은 체크 밸브(36)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단(135)이 조리기 뚜껑(3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조작단(135)을 측벽부(32) 측으로 가압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36)를 조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작단(135)을 가압함에 의해 조작 로드(131)는 체크 밸브(36)의 손잡이부(36a)를 밀어내고, 이에 의해 밀폐부(36c)는 관통홀(34b)을 개방하게 된다(체크 밸브(36)의 강제 개방 상태). 관통홀(34b)이 개방됨에 따라 외기가 관통홀(34b)을 통해 수용조(21) 내부로 유입되어 수용조(2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유사해지고, 사용자는 보다 쉽게 조리기 뚜껑(30)을 수용조(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34b)이 수용조(21)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내압 조절홀이 되고, 체크 밸브(36)가 내압 조절홀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된다.
또한, 조작단(135)이 조리기 뚜껑(30)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조작단(135)을 가압하는 동작과 함께 조작단(135)이 위치하는 조리기 뚜껑(30)의 일측을 들어올리는 동작을 연결하여 조리기 뚜껑(30)을 용기(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내압 조절홀(34b)을 개방하는 동작과 조리기 뚜껑(30)을 분리하는 동작이 하나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간결한 동작으로 조리기 뚜껑(3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 뚜껑(3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단(135)의 일면은 역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작단(135)을 가압한 상태로 조리기 뚜껑(30)을 들어올리는 힘이 조리기 뚜껑(30) 측으로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단(135)은 용기(20)의 손잡이(22)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손잡이(22)를 파지한 채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해 조작단(135)을 가압하며 조리기 뚜껑(30)을 밀어 올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b)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과 비교하여, 조작부(2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고, 제2 상부 커버(33)를 포함하지 않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30)는 조작 로드(231), 제1 로드 패킹(232), 제2 로드 패킹(233), 탄성 부재(234) 및 조작단(236)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과 비교하여, 조작 로드(231)의 일단은 체크 밸브(36)까지 연장되지 않고, 측벽부(32)의 측벽 관통홀(32a)을 통과한다. 제1 로드 패킹(232)과 제2 로드 패킹(233)은 각각 측벽 관통홀(32a)을 사이에 두고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조작 로드(231)에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단(23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234)의 탄성력에 의해 제1 로드 패킹(232)은 측벽 관통홀(32a)의 주변에 지지되어 측벽 관통홀(32a)과 조작 로드(23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제1 로드 패킹(232)에 의해 측벽 관통홀(32a)이 밀폐되므로, 외기가 측벽 관통홀(32a)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조(21)의 내부의 음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단(236)을 가압하면, 조작 로드(231)가 전진하며 제1 로드 패킹(232)이 측벽 관통홀(32a)을 개방하고, 개방된 측벽 관통홀(32a)을 통해 외기가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되며 수용조(2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유사해진다. 이 때, 제2 로드 패킹(233)은 조작단(236)의 삽입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 관통홀(32a)이 수용조(21)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내압 조절홀이 되고, 제1 로드 패킹(232)이 내압 조절홀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제2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c)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b)과 비교하여, 조작부(330)의 구성과 내압 조절홀의 형성 위치에서 차이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 및 밀폐 패킹(332)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31)는 제1 상부 커버(34)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제1 상부 커버(34)의 일측에 제1 위치(도 6의 상태)와 제2 위치(도 7의 상태)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상부 커버(34)에는 슬라이딩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슬롯(36a)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가이더(334)는 가이드 슬롯(3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1 상부 커버(34)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34)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수용홈(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1 상부 커버(34)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와 제1 상부 커버(34)의 일체감을 향상시킨다.
플레이트 수용홈(38)의 바닥에는 제1 상부 커버(34)를 관통하는 내압 조절홀(34d)이 형성된다.
한편, 밀폐 패킹(332)은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일측의 저면에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밀폐 패킹(332)은 내압 조절홀(34d) 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내압 조절홀(34d)은 개방되고, 외기는 내압 조절홀(34d)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밀폐 패킹(332)은 내압 조절홀(34d)의 상부를 덮어 내압 조절홀(34d)을 폐쇄시킨다. 따라서, 내압 조절홀(34d)을 통해 외기가 수용조(2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수용홈(38)의 바닥에는 제1 그루브(34f)와 제2 그루브(34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그루브(34f)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밀폐 패킹(3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2 그루브(34e)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밀폐 패킹(33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밀폐 패킹(332)이 제2 그루브(34e)와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에서 가압되며 내압 조절홀(34d)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제2 그루브(34e)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1 그루브(34f)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331)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포지셔닝을 유지하고, 사용자가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위치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각각 위치하였음을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그루브(34f)와 제2 그루브(34e) 사이에는 둔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타측(33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파지부(37)를 포함한다. 파지부(37)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어 파지할 수 있도록 중공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를 조작할 때에 파지부(37)에 손가락을 거는 등의 방식으로 파지부(37)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해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타측(333)을 밀거나 당겨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플레이트(331)의 타측(333)이 조작단이 될 수 있으며, 밀폐 패킹(332)이 내압 조절홀(34d)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3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제3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d)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c)과 비교하여, 조작부(4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30)는 회동암(431), 밀폐 패킹(432), 조작단(433) 및 탄성 부재(434)를 포함한다.
회동암(431)은 제1 상부 커버(34)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 부재(434)에 의해 일방향 회전에 대한 탄성력이 제공된다. 탄성 부재(434)로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토션 스프링 이외에도 일방향 회전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른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434)는 밀폐 패킹(432)과 조작단(433) 사이에 구비된다.
밀폐 패킹(432)은 회동암(431)의 일측 저면에 구비된다. 제3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 상부 커버(34)의 상면에는 제1 상부 커버(34)를 관통 형성하는 내압 조절홀(34d)이 형성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단(433)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434)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 패킹(432)은 내압 조절홀(34d)을 밀폐한다.
조작단(43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에서와 유사하게, 적어도 일부가 돌출단(34d)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 부재(434)를 중심으로 회동암(431)의 일측이 상승하고, 조작단(433) 측이 하강하는 동작에 의해 밀폐 패킹(432)이 내압 조절홀(34d)을 개방하므로, 조작단(433)은 하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져 사용자가 조작단(433)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작단(43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34)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 패킹(432)이 내압 조절홀(34d)을 밀폐하고 있고, 사용자가 조작단(433)을 하방으로 누르면 회동암(431)의 일단이 상승하여 밀폐 패킹(432)이 내압 조절홀(34d)을 개방하고 외기가 내압 조절홀(34d)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 패킹(432)이 내압 조절홀(34d)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4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제4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e)은, 전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d)과 비교하여, 조작부(5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530)은 회동암(531), 밀폐 패킹(532), 조작단(533) 및 탄성 부재(534)를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d)의 경우, 탄성 부재(434)가 밀폐 패킹(432)과 조작단(433) 사이에 구비된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밀폐 패킹(532)이 회동암(531)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동암(531)을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단(533)을 상승시키는 조작에 의해 회동암(531)이 탄성 부재(534)를 중심으로 상승하며, 밀폐 패킹(532)이 내압 조절홀(34d)을 개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는 조작단(533)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39)를 포함하고, 조작단(533)은 스토퍼(39)와 이격된 상태로 스토퍼(39)를 대략 둘러싸는 걸림부(3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토퍼(39)는 조작단(533)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른 걸림부(535)의 이동 경로 상에 돌출 형성되어 걸림부(535)가 일정 높이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제2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의 횡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f)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 뚜껑(30b)과 비교하여, 조작부(6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조작부(630)는 조작 로드(631), 밀폐 패킹(632), 링크(633), 탄성 부재(634) 및 조작 버튼(635)을 포함한다.
조작단을 구성하는 조작 버튼(63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밀폐 패킹(632)은 탄성 부재(634)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 패킹(632)은 측벽 관통홀(32a)을 밀폐되므로, 외기가 측벽 관통홀(32a)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용조(21)의 내부의 음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링크(633)는 돌출부(35)의 내측에 위치하며, 조작 로드(63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링크(633)와 밀폐 패킹(632)을 연결한다. 탄성 부재(634)는 링크(633)를 측벽부(32)에 대해 탄성 지지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633)는 양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633a)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633a)은 링크(633)가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버튼(635)은 링크(63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제1 경사면(633a)과 접하는 제2 경사면(635a)을 포함한다. 조작 버튼(635)의 일부는 돌출부(35)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버튼(635)을 제1 방향에 대략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누르면, 제1 경사면(633a)이 제2 경사면(635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링크(633)가 후진하게 되고, 밀폐 패킹(632)은 측벽 관통홀(32a)을 개방하여 외기가 측벽 관통홀(32a)을 통해 수용조(21) 내부로 유입된다(도 13 참고).
사용자가 조작 버튼(635)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634)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로드(631) 및 링크(633)는 다시 전진하게 되고 밀폐 패킹(632)은 측벽 관통홀(32a)을 폐쇄한다. 동시에 제2 경사면(635a)은 제1 경사면(633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조작 버튼(635)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 관통홀(32a)이 수용조(21)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내압 조절홀이 되고, 밀폐 패킹(632)이 내압 조절홀을 개폐하는 개폐부가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리기 10: 베이스
20: 용기 30, 30b, 30c, 30d, 30e, 30f: 조리기 뚜껑
20: 용기 30, 30b, 30c, 30d, 30e, 30f: 조리기 뚜껑
Claims (15)
- 조리기의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압 조절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체크 밸브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조리기 뚜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단은 상기 용기의 손잡이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 뚜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용기의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하면 상기 내압 조절홀을 통해 외기가 상기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조리기 뚜껑.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단과 상기 체크 밸브를 연결하는 조작 로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뚜껑.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작 로드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로드는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로드와 상기 관통홀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로드와 상기 관통홀 사이의 공간을 개방하는 로드 패킹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 뚜껑.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조작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뚜껑.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단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조작단의 일면은 역경사면을 형성하는, 조리기 뚜껑. - 삭제
- 조리기의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압 조절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조작단을 향해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작 로드 및
상기 조작 로드의 단부에 구비되며 제1 경사면을 형성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단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접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 버튼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됨에 따라 상기 링크는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조작 로드 및 상기 개폐부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는, 조리기 뚜껑.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조작 버튼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리기 뚜껑. - 삭제
- 삭제
- 조리기의 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내압 조절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 및
일측은 상기 개폐부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조작단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개폐부가 상기 내압 조절홀을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내압 조절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기 내압 조절홀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밀폐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내압 조절홀과 상기 조작단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단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밀폐 패킹은 상기 로드와 함께 상기 내압 조절홀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조작단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드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폐 패킹은 상기 내압 조절홀로부터 이격되는, 조리기 뚜껑.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조작부에 별도에 조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허용하고 외기가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조리기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2094A KR102287285B1 (ko) | 2019-05-03 | 2019-05-03 | 조리기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2094A KR102287285B1 (ko) | 2019-05-03 | 2019-05-03 | 조리기 뚜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7616A KR20200127616A (ko) | 2020-11-11 |
KR102287285B1 true KR102287285B1 (ko) | 2021-08-09 |
Family
ID=7345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2094A KR102287285B1 (ko) | 2019-05-03 | 2019-05-03 | 조리기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728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17958B (zh) * | 2013-09-05 | 2017-06-23 |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 饮料用容器 |
CN206491641U (zh) * | 2016-10-26 | 2017-09-15 | 宁波朗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使用方便的真空破壁机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4843B1 (ko) * | 2012-11-05 | 2014-07-03 | 이성호 | 내부공기 차단과, 내용물 인출 용이를 위한 내부판 뚜껑이 구성된, 내부판이 내장되는 김치통 |
-
2019
- 2019-05-03 KR KR1020190052094A patent/KR1022872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17958B (zh) * | 2013-09-05 | 2017-06-23 | 膳魔师(中国)家庭制品有限公司 | 饮料用容器 |
CN206491641U (zh) * | 2016-10-26 | 2017-09-15 | 宁波朗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使用方便的真空破壁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7616A (ko) | 2020-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2978B1 (ko) |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 |
WO2017092063A1 (zh) | 用于压力锅的锅盖及压力锅 | |
KR102453176B1 (ko) | 조리기 | |
JP6817311B2 (ja) | 騒音遮断装置を含むブレンダー | |
CN203736056U (zh) | 烹调机 | |
KR102430155B1 (ko) | 식품 처리 장치 및 방법 | |
CN208491863U (zh) | 搅拌机 | |
CN105686701A (zh) | 应用于负压食物料理机上的压力控制阀 | |
EP3427620B1 (en) | Food processor | |
WO2020034764A1 (zh) |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 |
KR102287285B1 (ko) | 조리기 뚜껑 | |
KR102309492B1 (ko) | 조리기 | |
KR102287286B1 (ko) | 진공 조리기용 용기 | |
KR102257101B1 (ko) | 진공 조리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
KR101971101B1 (ko) | 조리기 | |
JP6866492B2 (ja) | 容器及びこれを備える調理器 | |
KR102636748B1 (ko) | 조리기 | |
KR20200092697A (ko) |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 |
CN217524615U (zh) |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CN219763172U (zh) | 一种具有抽真空功能的厨师机 | |
CN209595587U (zh) | 杯盖部件、杯体部件和料理机 | |
KR102076469B1 (ko) | 조리기 | |
CN117652847A (zh) | 一种锅盖组件及烹饪器具 | |
KR20130142873A (ko) |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