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492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492B1
KR102309492B1 KR1020210061789A KR20210061789A KR102309492B1 KR 102309492 B1 KR102309492 B1 KR 102309492B1 KR 1020210061789 A KR1020210061789 A KR 1020210061789A KR 20210061789 A KR20210061789 A KR 20210061789A KR 102309492 B1 KR102309492 B1 KR 10230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closed state
motor
open stat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682A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21006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82A/ko
Priority to KR1020210116983A priority patent/KR2021011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된 본체; 본체에 결합되며, 가공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조와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수용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폐쇄 상태와 폐쇄 상태에서 수용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가동되는 인클로져; 인클로져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인클로져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또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인클로져 가동부; 및 모터의 제어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인클로져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인클로져 가동부를 제어하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에 분쇄, 가공, 조리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식품 조리기는 가공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모터는 작동 중에 소음과 진동을 수반한다. 또한, 조리기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가공 부재와 음식물과의 충돌, 음식과 용기의 내벽 간의 충돌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
식품 조리기 중에는 블렌더가 작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인클로져를 구비한 블렌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클로져가 자동 개폐되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모터 및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된 본체; 본체에 결합되며, 가공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조와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수용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폐쇄 상태와 폐쇄 상태에서 수용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가동되는 인클로져; 인클로져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인클로져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또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인클로져 가동부; 및 모터의 제어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인클로져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인클로져 가동부를 제어하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동시켜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에 의해 개방되더라도, 작동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인클로져 또는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는, 상부 인클로져의 회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블렌더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가공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폐쇄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가동되는 인클로져;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인클로져 가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의 제어 상태와 연계하지 않고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를 제어하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인클로져가 자동 개폐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인클로져가 모터의 제어 상태에 연계되어 개방되므로 사용자가 식재료 가공이 완료된 것을 쉽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인클로져가 개방 상태에 위치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인클로져가 개방 상태에 위치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본체(10), 용기(20), 인클로져(30) 및 인클로져 가동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인클로져(31)와 하부 인클로져(32)를 포함하는 인클로져(30)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인클로져는 하나의 바디로 형성되어 용기(20)를 덮도록 본체(1)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11, 도 3 참고)와 모터(11)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 도 3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11)는 용기(20) 내의 가공 부재(22)로 전달되는 동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본체(1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등에는 조리기(1)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에 조리기(1)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13a, 13b), 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이얼(14) 등이 포함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디스플레이, 전극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조작부(12)의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는 용기(20)와 인클로져(30)가 설치될 수 있다. 용기(20) 및 인클로져(3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상면에는 용기(20)와 인클로져(3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용기 결합 구조 및 인클로져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20)는 수용조(21), 가공 부재(22)를 포함한다.
수용조(21)는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조(21)의 상단은 식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용기(20)는 수용조(2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용조(21)와 결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조(21)의 수용 공간에는 식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22)가 구비될 수 있다. 가공 부재(22)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공 부재(22)를 블레이드로 전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가공 부재(22)는 블레이드 이외에 다른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등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리기의 일례로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식재료를 분쇄하는 블렌더를 도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블렌더 이외에도 다른 조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2)는 수용조(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기(20)가 본체(10) 상에 설치되면 블레이드(22)의 회전축이 본체(10)의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블레이드 구동 모터(11)로부터 회전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는 다이얼을 이용해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하여 블레이드(22)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인클로져(30)는 상부 인클로져(31)와 하부 인클로져(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져(32)는 본체(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20)의 측방 및 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31)는 하부 인클로져(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클로져(30)의 폐쇄 상태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클로져(30)의 개방 상태로 변위된다.
상부 인클로져(31)는 폐쇄 상태에서 용기(20)의 전방, 측방 및 상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용기(20)의 측방에서 하부 인클로져(3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클로져(30)는 폐쇄 상태에서 용기(20)의 상방, 측방 및 후방을 둘러싸서 용기(20)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또한, 인클로져(30)는 개방 상태에서 용기(20)의 전방이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기(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상부 인클로져(31)가 하부 인클로져(3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1)는 하부 인클로져(32)에 지지되지 않고 별도의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인클로져(31)는 본체(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클로져 가동부(40)는 상부 인클로져(31)를 회동시켜 인클로져(30)가 개폐 상태에서 폐쇄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서 개폐 상태로 가동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가동부(40)는 상부 인클로져(31)의 회동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인클로져 가동부(40)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부 인클로져(31)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는 본체(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클로져 구동 모터(40)와 본체(10)를 연결하는 전력 라인은 하부 인클로져(32)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는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는 상부 인클로져(31) 또는 하부 인클로져(32)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거나, 인클로져 가동부(4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 구동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어부(50)는 조작부(12), 블레이드 구동 모터(11) 및 인클로져 구동 모터(40)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조작부(12)를 통해 입력하는 조작 명령에 따라 블레이드 구동 모터(11)를 제어한다. 그리고,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제어 상태와 연계하여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다가 정지되면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블레이드(22)의 회전이 멈춰 식재료의 가공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인클로져(30)가 개방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재료의 가공 완료 이후에, 직접 상부 인클로져(31)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고, 상부 인클로져(31)가 자동으로 개방 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곧바로 용기(20)를 본체(10)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하던 중에도 상부 인클로져(31)가 자동으로 개방 상태로 전환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식재료의 가공이 완료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소음이 큰 환경(예를 들어, 식당, 까페 등)에서 사용자가 식재료의 가공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쉽게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50)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을 시작하면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킨다.
또는, 사용자가 조작부(12)를 통해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것에 반응하여, 제어부(50)는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킨 이후에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식재료 가공 중에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블레이드(22)의 회전이 시작됨과 동시에 또는 블레이드(22)의 회전이 시작되기 직전에 자동적으로 인클로져(30)가 폐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재료를 용기(20) 내에 투입한 이후에, 직접 상부 인클로져(31)를 내려 인클로져(30)를 폐쇄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0)의 조작부(12a)는 타이머(1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3c)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이며, 제어부(50)는 타이머(13c)와 연계하여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타이머(13c)를 조작하여 블레이드(22)의 회전 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50)는 타이머(13c)의 시간이 0이 될 때까지 블레이드 구동 모터(11)를 작동시키고, 타이머(13c)의 시간이 0이 되면,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작동을 멈춤과 동시에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이머(13c)를 조작하여 블레이드(22)의 회전 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50)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킬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이머(13c)를 조작하여 블레이드(22)의 회전 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50)는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1)를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가 되도록 가동시킨 이후에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체(10)의 조작부(12b)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는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이며, 제어부(50)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통해 입력되는 인클로져 개폐 명령에 대해서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제어 상태와 연계하지 않고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하여 인클로져(30)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블레이드(22)가 회전하는 중에도 인클로져(3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조작하여, 인클로져(3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인클로져(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추가적으로 조작하면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하여 인클로져(30)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레이드(22)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긴급한 사정 등에 의해 인클로져(30)를 개방해야 하는 경우에,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조작하여 인클로져(30)를 개방하였다가, 긴급한 상황을 정리한 이후, 다시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조작하여 인클로져(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조작하는 경우에 제어부(50)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의 작동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에서 인클로져(30)를 일시적으로 개방/폐쇄하더라도 식재료의 가공이 멈추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 구동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인클로져 가동부(40)가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포함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인클로져 가동부가 탄성 부재(241), 제1 잠금부(242a) 및 제2 잠금부(242b)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241)는 상부 인클로져(231)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상부 인클로져(231)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위됨에 따라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이용해 상부 인클로져(231)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1)로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부 인클로져(231)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변위됨에 따라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이용해 상부 인클로져(231)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위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탄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1)는 상부 인클로져(231)와 하부 인클로져(3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부 인클로져(231)와 하부 인클로져(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인클로져(231)가 하부 인클로져(32)에 지지되지 않고, 별도의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우, 탄성 부재(241)는 상부 인클로져(231)와 지지 부재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인클로져(231)에는 제1 잠금부(242a)가 형성되고, 본체(210) 측에는 제2 잠금부(24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부(242a)와 제2 잠금부(242b)는 상부 인클로져(231)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 상호 결합하여 탄성 부재(241)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231)가 개방 상태로 변위되지 않도록, 상부 인클로져(23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잠금부(242b)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여 제1 잠금부(242a)와의 결합이 체결되거나 해제되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다. 제2 잠금부(242b)의 상하 구동을 위해 제2 잠금부(242b)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어부(50)는 조작부(12), 블레이드 구동 모터(11) 및 제2 잠금부(242b)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에서는 제어부(50)가 인클로져 구동 모터(40)를 제어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50)가 제2 잠금부(242b)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50)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11)가 작동하다가 정지되면 제2 잠금부(242b)를 제어하여 상부 인클로져(231)의 제1 잠금부(242a)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제1 잠금부(242a)와 제2 잠금부(242b)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1)는 탄성 부재(241)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가 되도록 변위된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 역시 타이머(13c) 또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50)는 타이머(13c) 또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13d)의 조작에 의해 제2 잠금부(242b)를 제어하여 상부 인클로져(231)의 제1 잠금부(242a)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조리기 10, 210: 본체
11: 블레이드 구동 모터 12, 12a, 12b: 조작부
13a, 13b: 조작 버튼 13c: 타이머
13d: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 14: 다이얼
20: 용기 21: 수용조
22: 가공 부재(블레이드) 30: 인클로져
31, 231: 상부 인클로져 32: 하부 인클로져
40: 인클로져 가동부(인클로져 구동 모터)
50: 제어부 241: 탄성 부재
242a: 제1 잠금부 242b: 제2 잠금부

Claims (17)

  1.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가공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상기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폐쇄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가동되는 인클로져;
    인클로져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인클로져 가동부; 및
    상기 모터의 제어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를 제어하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동시켜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에 의해 개방되더라도, 작동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구동모터는,
    상기 인클로져 또는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는,
    상부 인클로져의 회동축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리기의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및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1.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가공 대상이 되는 식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조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식재료를 가공하는 가공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수용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폐쇄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에 대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여 개방 상태로 가동되는 인클로져;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인클로져 가동부; 및
    상기 모터의 제어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인클로져가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가동되도록 상기 인클로져 가동부를 제어하는 인클로져 개폐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동시켜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에는 형성되는 제1 잠금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 및 상기 제2 잠금부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가 폐쇄상태인 경우 상호 결합하여 상기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는,
    상기 용기 또는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하부 인클로져와 지지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동시켜 상기 인클로져를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상태로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부 인클로져와 지지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KR1020210061789A 2019-09-11 2021-05-13 조리기 KR10230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89A KR102309492B1 (ko) 2019-09-11 2021-05-13 조리기
KR1020210116983A KR20210111226A (ko) 2019-09-11 2021-09-02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716A KR102254478B1 (ko) 2019-09-11 2019-09-11 블렌더
KR1020210061789A KR102309492B1 (ko) 2019-09-11 2021-05-13 조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16A Division KR102254478B1 (ko) 2019-09-11 2019-09-11 블렌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983A Division KR20210111226A (ko) 2019-09-11 2021-09-02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82A KR20210059682A (ko) 2021-05-25
KR102309492B1 true KR102309492B1 (ko) 2021-10-07

Family

ID=7486724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16A KR102254478B1 (ko) 2019-09-11 2019-09-11 블렌더
KR1020210061789A KR102309492B1 (ko) 2019-09-11 2021-05-13 조리기
KR1020210116983A KR20210111226A (ko) 2019-09-11 2021-09-02 조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16A KR102254478B1 (ko) 2019-09-11 2019-09-11 블렌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983A KR20210111226A (ko) 2019-09-11 2021-09-02 조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41263A1 (ko)
EP (1) EP4029418A4 (ko)
JP (1) JP2022546093A (ko)
KR (3) KR102254478B1 (ko)
CN (2) CN114364292A (ko)
AU (1) AU2020345412A1 (ko)
WO (1) WO2021049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478B1 (ko) * 2019-09-11 2021-05-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KR102566572B1 (ko) * 2022-12-08 2023-08-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식품 가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04B1 (ko)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908B2 (en) * 2001-08-20 2003-06-03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Shielding enclosure
US20050152215A1 (en) * 2003-11-25 2005-07-14 Stuart Jerry E. Blender and sound-dampening enclosure
CN201101393Y (zh) * 2007-10-29 2008-08-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降噪音果汁机
US8287180B2 (en) * 2008-07-21 2012-10-16 Vita-Mix Corporation Enclosure for a blender
KR20110001565U (ko) *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20130001629U (ko) * 2011-08-31 2013-03-08 구재호 배달박스용 도어힌지
DE102012110239A1 (de) * 2012-10-26 2014-04-3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isch betriebene Küchenmaschine
US20140217211A1 (en) * 2013-02-04 2014-08-07 Hamilton Beach Brands, Inc. Kitchan Appliance With Quiet Shield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205612341U (zh) * 2015-02-13 2016-10-05 金弘培 食品加工烹饪设备
US20160256003A1 (en) * 2015-03-04 2016-09-08 Whirlpool Corporation High speed blender/smoothie machine
JP6795329B2 (ja) * 2016-05-12 2020-12-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調理器
KR101803295B1 (ko) * 2016-07-18 2017-12-0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
CN208463831U (zh) * 2017-10-10 2019-02-0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用于料理机的防噪音罩及料理机
CN109984586A (zh) * 2018-01-03 2019-07-0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开合盖系统以及具有其的上盖组件和烹饪器具
CN110115510B (zh) * 2018-02-05 2023-06-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机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8463820U (zh) * 2018-03-02 2019-02-0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109349931B (zh) * 2018-10-31 2021-09-14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开合盖机构、烹饪装置以及烹饪装置开合盖控制方法
KR102254478B1 (ko) * 2019-09-11 2021-05-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블렌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304B1 (ko)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809A1 (ko) 2021-03-18
CN114364292A (zh) 2022-04-15
EP4029418A4 (en) 2023-10-18
KR20210111226A (ko) 2021-09-10
CN215077779U (zh) 2021-12-10
KR20210059682A (ko) 2021-05-25
US20240041263A1 (en) 2024-02-08
JP2022546093A (ja) 2022-11-02
EP4029418A1 (en) 2022-07-20
AU2020345412A1 (en) 2022-04-07
KR102254478B1 (ko) 2021-05-24
KR20210031143A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492B1 (ko) 조리기
CN106235863B (zh) 控制面板翻转机构及烹饪器具
KR20220011746A (ko) 식품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122677A (ja) 上側開放型ドアを備えたドラム洗濯機
US10750907B2 (en) Food processor
CN103048937A (zh) 用户定义地激活电动厨房设备的方法和电动厨房设备
JP2019535432A (ja) ブレンダー連結機構
JP2008008562A (ja) 引き出し型加熱調理器
JP2011055934A (ja) 調理用電動撹拌機
EP3427620B1 (en) Food processor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9436998U (zh) 一种自动排汽的烹饪器具
CN208463831U (zh) 用于料理机的防噪音罩及料理机
CN205083294U (zh) 上盖组件及烹饪器具
JP6568015B2 (ja) 副材料収納容器、および自動製パン機
KR102554189B1 (ko) 방음커버가 구비된 블렌더
JP2017202256A (ja) 副材料収納容器、および自動製パン機
KR102566572B1 (ko) 식품 가공기
CN216627368U (zh) 一种操作简单的食品加工机
JP3632349B2 (ja) 便座や便蓋用の電動開閉装置
EP4009343A1 (en) Switch element, household appliance unit with switch element, and household appliance
JP2018086044A (ja) ホームベーカリー
JP2015091278A (ja) 炊飯器
JP2017086734A (ja) オートクローズ機構を備えた調理器
KR20200127616A (ko) 조리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