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01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01B1
KR101971101B1 KR1020180045357A KR20180045357A KR101971101B1 KR 101971101 B1 KR101971101 B1 KR 101971101B1 KR 1020180045357 A KR1020180045357 A KR 1020180045357A KR 20180045357 A KR20180045357 A KR 20180045357A KR 101971101 B1 KR101971101 B1 KR 101971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container
receiving
receiving surfac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80045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01B1/ko
Priority to PCT/KR2018/013242 priority patent/WO20192034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 상기 수용조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지지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결합 상태와 해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결합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인클로져는,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하면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조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방벽부와, 상기 방벽부 중 상기 손잡이 지지부와 인접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 상기 방벽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 손잡이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조리기{Food processor}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에 분쇄, 가공, 조리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식품 조리기는 가공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모터는 작동 중에 소음과 진동을 수반한다. 또한, 조리기 작동 중에 발생하는 가공 부재와 음식물과의 충돌, 음식과 용기의 내벽 간의 충돌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
식품 조리기 중에는 블렌더가 작동하는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인클로져를 구비한 블렌더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렌더는 용기 전체를 덮는 방식의 인클로져를 포함하며, 용기에 비해 사이즈가 큰 베이스가 필요하고, 실제 가공되는 음식의 양에 비해 훨씬 큰 공간을 차지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도 소음 차폐용 인클로져를 구비한 종래의 조리기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 상기 수용조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지지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결합 상태와 해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결합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인클로져는,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하면에 인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조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방벽부와, 상기 방벽부 중 상기 손잡이 지지부와 인접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 상기 방벽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 손잡이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용기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는 상기 방벽부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외주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수용홈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부 수용면, 상기 상부 수용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수용면 및 제2 측부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상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면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 수용면 및 상기 제2 측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벽부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벽부는, 상기 수용홈의 하단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면, 상기 하부 수용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수용면 및 제2 측부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하부면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 수용면 및 상기 제2 측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상기 가공 대상의 가공 중에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해제 상태와 상기 결합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포스트;, 상기 베이스 내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지지 포스트를 통해 일단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의 내부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진공 배기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포스트 및 상기 진공 배기 라인은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일체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에 설치되는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 및 상기 브릿지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작동 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도 소음 차폐용 인클로져를 구비한 종래의 조리기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인클로져가 결합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상부 인클로져가 해제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 인클로져가 해제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베이스(100), 용기(200) 및 인클로져(310, 320)를 포함한다. 인클로져(310, 320)는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내부에 모터(105, 도 4 참고), 진공 펌프(106, 도 4 참고), 모터(105) 및 진공 펌프(106)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터(105)와 진공 펌프(106)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모터(105)와 진공 펌프(106)를 모두 포함하는 조리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등에는 조리기(1)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수단(101, 102, 103, 104)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101, 102, 103, 104)으로,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101, 102, 103)과, 모터(105) 또는 진공 펌프(106)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이얼(104)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디스플레이, 전극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베이스(100)의 후면, 측면 및/또는 바닥면에는 모터(105) 또는 진공 펌프(106)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 흡입구(미부호)와 공기 배출구(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00)는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fan,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상면에는 용기 결합단(110),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 및 지지 포스트(130)가 형성된다.
용기 결합단(110)은 후술하는 용기(200)가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며, 동시에 용기(20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베이스(100)가 모터(105)를 포함하는 경우, 용기 결합단(110)의 중앙부에는 모터(105)의 출력축(120)이 베이스(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은 용기 결합단(110)의 주변에 형성된다.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은 후술하는 하부 인클로져(310)가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며, 동시에 하부 인클로져(310)를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은 내측 지지부(121)와 외측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지지부(122)는 내측 지지부(121)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 지지부(121)의 주변에 형성된다.
내측 지지부(121)는 하부 인클로져(310) 중 돌출부(311) 하단의 내측벽을 지지하고, 외측 지지부(122)는 돌출부(311)의 하단의 외측벽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하부 인클로져(31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2에는 내측 지지부(121)와 외측 지지부(122)가 동심을 이루는 링 형상을 갖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내측 지지부 및 외측 지지부는 돌출부(311)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의 일례로서 내측 지지부(121)와 외측 지지부(122)가 베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은 베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어 하부 인클로져(310)의 하단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130)는 베이스(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포스트(130)는 베이스(100)의 상부면 중 베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포스트(130)의 상단에는 상부 인클로져(3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인클로져(320)는 회전축(A)이 수평면과 평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30)의 일면(용기(200)와 인접하는 면)은 용기(2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0)가 직경이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경우, 지지 포스트(130)의 일면은 상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확개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기(200)는 수용조(210), 용기 손잡이부(220) 및 뚜껑(230)을 포함한다.
수용조(210)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조(210)의 상단은 가공 대상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고, 뚜껑(230)은 수용조(2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용조(210)와 결합된다.
베이스(100)에 진공 펌프(106)가 구비되는 경우, 뚜껑(230)에는 흡입 포트(23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포트(231)는 후술하는 흡입 노즐(327, 도 6 참고)과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수용조(210)의 수용 공간에는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240, 도 4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가공 부재(240)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가공 부재(240)는 수용조(2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기 결합단(110) 상에 노출된 출력축(120)과 직접 결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 부재를 매개로 결합된다. 모터(105)는 가공 부재(240)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 되어, 모터(105)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120)이 회전함에 따라 가공 부재(240)가 회전하며 수용조(210)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104)을 이용해 모터(105)의 출력을 제어하여 가공 부재(240)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수용조(210)의 하단은 용기 결합단(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음각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용기 결합단(110)을 수용하며, 용기 결합단(110)과 수용조(210)가 결합되어 용기(200)가 베이스(1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용기 손잡이부(220)는 수용조(210)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용기 손잡이부(220)는 손잡이 지지부(221) 및 용기 손잡이(222)를 포함한다.
손잡이 지지부(221)는 수용조(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용기 손잡이(222)는 손잡이 지지부(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손잡이(222)가 손잡이 지지부(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용기 손잡이(222)는 손잡이 지지부(221)로부터 상방 또는 측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 손잡이부(220)는 수용조(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클로져(310, 320)는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를 포함한다.
하부 인클로져(310)는 방벽부(311)와 돌출부(313)를 포함한다.
방벽부(311)는 용기(200)의 수용조(2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방벽부(311)의 상단은 용기(200)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고, 방벽부(311)의 하단은 용기 결합단(110)과 용기(200)의 결합을 위해 개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벽부(311)는 하부 인클로져(310)와 용기(200)가 모두 베이스(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 지지부(221)가 방벽 상단부(312)에 인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 지지부(221)는 방벽부(311)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용기 손잡이(222)가 손잡이 지지부(2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방벽부(311) 중 일부는 수용조(210)와 용기 손잡이(222)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즉, 용기 손잡이(222)가 하부 인클로져(310)의 외부에 존재하게 된다.
방벽부(311)의 내측벽은 수용조(210)의 외측벽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 손잡이(222)가 하부 인클로져(310)의 외부에 존재하므로, 방벽부(311)의 내측벽과 수용조(210)의 외측벽 사이의 간극은 수 mm 내지 2cm 사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벽부(311)의 하단은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과 결합되며 베이스(100)에 고정된다.
하부 인클로져(310)는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에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인클로져(310) 및 베이스(100) 상면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3)는 방벽부(31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돌출부(313)는 방벽부(311)가 손잡이 지지부(221)와 인접하는 부분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3)의 상단은 제1 돌출 상단부(314)와 제2 돌출 상단부(315)를 포함한다.
제1 돌출 상단부(314)는 돌출부(313)의 최상단을 형성하며, 방벽 상단부(312)와 대략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 상단부(315)는 높이 차이가 있는 제1 돌출 상단부(314)과 방벽 상단부(312)의 양단을 사선을 형성하며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는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의 둘레를 형성하며,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가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돌출 상단부(314)는 용기(200)가 베이스(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조(210)의 상단에 근접하는 높이 또는 지지 포스트(13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인클로져(320)의 회전축(A)에 근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도 7 참고).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는 탄성력을 갖는 실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는 지지 포스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 인클로져(32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부 인클로져(310)에 대해 결합 상태와 해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상태에서 상부 인클로져(320)는 하부 인클로져(310)와 결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상태에서 상부 인클로져(320)는 하부 인클로져(310)와 완전하게 분리된다.
상부 인클로져(320)는 상단은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결합 상태에서 용기(200)의 뚜껑(230)과 수용조(210)의 일부를 수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은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를 포함한다.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는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의 둘레를 형성하며, 제3 하단부(323)는 제1 하단부(321) 및 제2 하단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가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2 하단부(322)는 제1 하단부(321)에 비해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보다 더 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제2 하단부(322)의 양단은 제1 하단부(321)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제3 하단부(323)는 사선을 형성하며 제1 하단부(321)와 제2 하단부(32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단부(322)에는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이 형성된다.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은 제2 하단부(322)로부터 상단을 향해 함몰 형성된 수용홈(322d)의 둘레를 형성한다. 수용홈(322d)은 손잡이 지지부(221)의 외곽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가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할 때에, 용기(200)의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은 상부 수용면(322a)에 인접하고, 손잡이 지지부(221)의 측면은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과 인접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수용면(322a)은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을 지지하고,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은 각각 손잡이 지지부(221)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는 탄성력을 갖는 실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면에는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공 조작부(325)가 설치된다. 진공 조작부(325)는 후술하는 흡입 노즐(327, 도 6 참고)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해제하는 조작부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의 베이스(100)의 내부에는 모터(105)와 진공 펌프(106)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105)로부터 연장된 출력축(120)은 용기 결합단(110)의 상부에 노출된다.
용기 결합단(110)의 상부에 노출된 출력축(120)의 단부는 수용조(2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공 부재(240)와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105)가 작동하여 출력축(120)이 회전함에 따라 수용조(210)의 내의 가공 부재(240)가 회전하게 된다.
진공 펌프(106)는 진공 배기 라인(107)과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배기 라인(107)은 지지 포스트(13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일단은 진공 펌프(106)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 인클로져(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326)와 연결된다.
진공 배기 라인(107)은 상부 인클로져(320)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결합 상태와 해제 상태로 가변될 때에 상부 인클로져(320)의 움직임을 따라 변형되도록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크 밸브(326)는 진공 배기 라인(107), 진공 조작부(325) 및 흡입 노즐(327)과 연결된다. 진공 조작부(325)의 조작에 의해, 체크 밸브(326)는 후술하는 흡입 노즐(327, 도 6 참고)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해제한다.
흡입 노즐(327)은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도 6 참고),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할 때 흡입 노즐(327)은 흡입 포트(231)와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진공 조작부(325)를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면에 표기된 Lock을 향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는(도 3 참고), 체크 밸브(326)를 통해 흡입 노즐(327)과 진공 배기 라인(107)이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유체적으로 연결되며,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가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흡입 노즐(327)은 흡입 포트(231) 내로 삽입되거나, 흡입 포트(231)의 주변과 밀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흡입 포트(231)와 기밀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조작부(325)가 Lock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는, 수용조(210)의 내부, 흡입 포트(231), 흡입 노즐(327), 진공 배기 라인(107) 및 진공 펌프(106)로 연결되는 공간이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 공간과는 유체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진공 조작부(325)가 Lock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진공 펌프(106)가 작동하면, 수용조(210)의 내부의 기체는 흡입 포트(231), 흡입 노즐(327) 및 진공 배기 라인(107)을 통해 배기되어, 수용조(210)의 내부는 대기압 보다 낮은 음압 상태가 된다.
한편, 진공 조작부(325)를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면에 표기된 Open을 향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는(도 3 참고), 체크 밸브(326)는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326)는 흡입 노즐(327)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이 상태가 되도록 흡입 노즐(327)과 연결된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상태에서 흡입 노즐(327)과 진공 배기 라인(107) 사이의 유체적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흡입 노즐(327)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가 됨에 따라,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기밀성 역시 해제된다. 따라서, 상부 인클로져(320)를 쉽게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기밀성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수용조(210) 내부의 음압 상태가 유지되도록, 흡입 포트(231)에는 체크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 포트(231)에 구비된 체크 밸브는 흡입 포트(231)와 흡입 노즐(327)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흡입 포트(231)를 개방하고, 흡입 포트(231)와 흡입 노즐(327) 사이의 기밀성이 해제된 경우에는 흡입 포트(231)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5는 상부 인클로져가 결합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 인클로져(320)는 하부 인클로져(310)와 결합되어, 용기 손잡이(222)가 인클로져(310, 3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용조(210)와 인클로져(310, 32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이를 위해,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는, 손잡이 지지부(221)와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와 상호 계합된다.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는 손잡이 지지부(221)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호 계합되지 않지만, 하부 인클로져(310)의 방벽 상단부(312)가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과 인접하고,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이 각각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 및 측면과 인접하므로,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는 손잡이 지지부(221)를 둘러싸며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공 부재(240)가 회전하며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하여, 상부 인클로져(320) 및 하부 인클로져(310)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가 용기(200)의 용기 손잡이(222)를 외부로 노출한 상태로 수용조(210) 및 뚜껑(230)을 둘러싸도록 밀폐 공간을 형성하므로, 용기(200)의 용기 손잡이(222)까지 둘러싸는 종래의 인클로져에 비해 훨씬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가공 부재(240)가 회전하며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가 결합 상태에서 손잡이 지지부(221)를 상하좌우 방향에서 협지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모터(105) 및 가공 부재(240)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용기(200)의 흔들림 및/또는 진공 펌프(106)가 작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용기(20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와,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는 각각 탄성력을 갖는 실링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을 형성하는 제1 하단부(321), 제2 하단부(322) 및 제3 하단부(323)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을 형성하는 제1 돌출 상단부(314), 제2 돌출 상단부(315) 및 방벽 상단부(312) 중 자성체를 포함하는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 부분과 접하는 부분은 마그넷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지지부(221)와 접하는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 그리고 하부 인클로져(310)의 방벽 상단부(312)가 각각 탄성력을 갖는 실링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손잡이 지지부(221)를 통해 전달되는 용기(200)의 진동 및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손잡이 지지부(221)와 상부 인클로져(320) 또는 손잡이 지지부(221)와 하부 인클로져(310) 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한다.
도 6은 상부 인클로져가 해제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상부 인클로져가 해제 상태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는 해제 상태에서 하부 인클로져(3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인클로져(320)는 하부 인클로져(310)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지 않고, 지지 포스트(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해제 상태에서 하부 인클로져(310)와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특히, 하부 인클로져(310)의 돌출부(313)가 수용조(210)의 상단 또는 상부 인클로져(320)의 회전축(A)에 근접하는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므로,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수용조(210) 및/또는 뚜껑(23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인클로져(320)는 지지 포스트(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부 인클로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보다 회전 반경이 커진다. 따라서,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또는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상부 인클로져(320)와 용기(200), 특히 뚜껑(230)과의 간섭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는 상부 인클로져(320)가 하부 인클로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뚜껑(230) 또는 용기(200) 형상의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부 인클로져(320)가 원활하게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또는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부 인클로져의 회전축(A, 도 2 참고)은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부면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의 회전축(A)은 대략 하부 인클로져(310)의 제1 돌출 상단부(314)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포스트(130) 및 진공 배기 라인(107)이 하부 인클로져(310)와 별도로 형성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지지 포스트(130) 및 진공 배기 라인(107)은 하부 인클로져(310)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포스트(130)는 하부 인클로져(3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부(311)의 상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돌출부(311)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진공 배기 라인(10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130)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일단은 진공 펌프(106)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 인클로져(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체크 밸브(326)와 연결된다. 지지 포스트(130) 및 진공 배기 라인(107)은 하부 인클로져(310)와 일체로 베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부 인클로져(310)가 베이스(100)에 설치되면 동시에 진공 배기 라인(107)이 진공 펌프(106)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용기(200)의 용기 손잡이(222)가 인클로져(310, 32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가 결합되어, 인클로져(310, 320)와 수용조(210) 사이의 간격을 수 mm 내지 수 cm로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부 인클로져(320)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의 인클로져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부 인클로져(310)를 베이스(100)에 장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벽부(311)의 하단을 내측 지지부(121)와 외측 지지부(122) 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하부 인클로져(310)를 베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용조(210)를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진입시키고, 수용조(210)의 하단으로 용기 결합단(110)이 삽입되도록 하여, 수용조(210)를 베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용기 결합단(110)은 전후 및/또는 좌우가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수용조(210)와 용기 결합단(110)이 도 6에 도시된 상태 이외에는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조(210)가 베이스(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은 방벽 상단부(312)에 지지된다.
이후,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수용조(2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수용조(210)의 내부로 투입시킨 후, 수용조(210)의 상단에 뚜껑(230)을 결합한다.
이후,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한다. 즉, 사용자는 상부 인클로져(32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하부 인클로져(310)를 향해 하강시킨다.
상부 인클로져(320)의 제1 측부 수용면(322b)과 제2 측부 수용면(322c)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상부 인클로져(32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이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부 수용면(322a)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2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부 인클로져(320)의 제1 측부 수용면(322b)과 제2 측부 수용면(322c) 사이로 진입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1 측부 수용면(322b)과 제2 측부 수용면(322c) 사이의 간격과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도 9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의 공차는 중간 끼워 맞춤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측부 수용면(322b)과 제2 측부 수용면(322c)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제1 측부 수용면(322b)과 제2 측부 수용면(322c) 사이의 간격은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 길이보다 미소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이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부 수용면(322a)과 접하여 상부 수용면(322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외력(F)을 추가로 가하여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로 위치하도록 강제하여야 한다.
이는 결합 상태에서, 조리기(1)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도 불구하고,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가 손잡이 지지부(221)를 보다 안정적으로 협지하여 고정하도록 하기 위함임과 동시에, 상부 인클로져(320)와 하부 인클로져(31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함이다.
상부 인클로져(320)를 결합 상태에 위치시킨 이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베이스(100)에 마련된 버튼(101, 102, 103)과 다이얼(104)을 조작하여 음식물에 대한 가공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버튼(101, 102, 103)은 모터(105)를 작동시켜 가공 부재(240)를 회전시키고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블렌딩 버튼, 진공 펌프(106)를 작동시켜 수용조(210)의 내부를 음압 상태로 배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진공 버튼, 가공 부재(240)의 회전과 수용조(210)의 내부를 음압 상태로 배기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진공/블렌딩 버튼, 미리 설정된 제어 방식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오토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함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부로 노출된 흡입 노즐(327)은 뚜껑(230)의 흡입 포트(231)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가공 중에 진공 펌프(106)를 작동시켜 수용조(210) 내부를 음압 상태로 형성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101, 102, 103)과 다이얼(104)을 조작하기 이전에 진공 조작부(325)가 Lock을 향하도록 조작하여,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수용조(210)의 내부, 흡입 포트(231), 흡입 노즐(327), 진공 배기 라인(107) 및 진공 펌프(106)로 연결되는 공간을 유체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 공간과는 유체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태, 즉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있는지 해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있는 것이 감지된 상태에서만 진공 펌프(106) 및/또는 모터(105)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상부 인클로져(320)의 하단과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상부 인클로져(320)와 손잡이 지지부(221)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지지 포스트(130)에 대한 상부 인클로져(3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부 인클로져(32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음식물에 대한 가공이 완료된 이후, 진공 조작부(325)가 Lock을 향해 위치한 경우, 사용자는 진공 조작부(325)가 Open 상태를 향하도록 조작하여,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사이의 음압 분위기를 대기압 분위기로 전환한 후,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로 이동시킨다.
진공 조작부(325)가 Lock을 향해 위치된 상태에서는, 흡입 노즐(327)과 흡입 포트(231) 사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고, 대기압과의 압력 차에 의해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로 이동시킨 이후에는 용기(200)를 하부 인클로져(310)의 상단의 개구를 통해 꺼내고, 필요에 따라 하부 인클로져(310)를 베이스(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용기 손잡이(222)가 인클로져(310, 3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용기 손잡이(222)를 쥐고 용기(200)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용기(200)를 꺼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는 상부 인클로져(320)와 용기 손잡이부(220)가 상호 결합/결합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손잡이부(220)에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부 인클로져(320)에는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 위치할 때에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부 인클로져(320)가 용기 손잡이부(2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용기 손잡이부(220)에는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해방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튼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인클로져(320)를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기 전에 버튼부를 조작하여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해방되도록 하여 상부 인클로져(320)와 용기 손잡이부(220)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걸림돌기 및 걸림홈 중 적어도 하나는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전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부 인클로져(320)는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조리기의 용기 손잡이부(220) 또는 베이스(100)에는 모터를 작동시켜 상부 인클로져(320)를 개폐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 이외에도 상부 인클로져를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또는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와 비교하여, 상부 인클로져(2320)와 하부 인클로져(2310)의 형상이 다소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의 상부 인클로져(2320)의 제2 하단부(2322)에는 상부 수용면(2322a), 제1 상측부 수용면(2322b) 및 제2 상측부 수용면(2322c)이 형성된다. 상부 수용면(2322a), 제1 상측부 수용면(2322b) 및 제2 상측부 수용면(2322c)은 제2 하단부(2322)로부터 상단을 향해 함몰 형성된 수용홈의 둘레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의 하부 인클로져(2310)의 방벽 상단부(2312)에는 하부 수용면(2312a),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 및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이 형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2320)가 하부 인클로져(2310)에 대해 결합 상태에 위치할 때,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은 상부 수용면(2322a)에 인접하고,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은 하부 수용면(2312a)에 인접하고, 손잡이 지지부(221)의 일측면은 제1 상측부 수용면(2322b)과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에 인접하며, 손잡이 지지부(221)의 타측면은 제2 상측부 수용면(2322c)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에 인접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용기(20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이 하부 인클로져(2310)의 하부 수용면(2312a)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용기(20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부 인클로져(2310)의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 사이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 사이의 간격과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도 1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의 공차는 중간 끼워 맞춤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제1 하측부 수용면(2312b)과 제2 하측부 수용면(2312c) 사이의 간격은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 길이보다 미소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용기(200)를 하부 인클로져(231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베이스(100)로부터 제거하는 때에, 하부 인클로져(2310)가 용기(200)와 함께 베이스(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 지지부(221)를 하부 인클로져(2310)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은 하부 인클로져(2310)를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측면이 상부 인클로져(2320)와 하부 인클로져(231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술한 조리기(1)에 비해 인클로져(2310, 2320)가 용기(200)의 흔들림을 보다 견고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3)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와 비교하여, 상부 인클로져(3320)와 하부 인클로져(3310)의 형상이 다소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3)의 상부 인클로져(3320)의 제2 하단부(3322)에는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이 형성되지 않고, 하부 인클로져(2310)의 방벽 상단부(2312)에 하부 수용면(3312a), 제1 측부 수용면(3312b) 및 제2 측부 수용면(3312c)이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클로져(3320)가 하부 인클로져(3310)에 대해 결합 상태에 위치할 때, 손잡이 지지부(221)의 상면은 상부 인클로져(3320)의 제2 하단부(3322)에 인접하고,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은 하부 수용면(3312a)에 인접하고, 손잡이 지지부(221)의 일측면은 제1 측부 수용면(3312b)에 인접하며, 손잡이 지지부(221)의 타측면은 제2 하부 수용면(3312c)에 인접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측부 수용면(3312b)과 제2 측부 수용면(3312c)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용기(20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하면이 하부 인클로져(3310)의 하부 수용면(3312a)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용기(200)의 자중만으로는 손잡이 지지부(221)의 전부 또는 일부가 하부 인클로져(3310)의 제1 측부 수용면(3312b)과 제2 측부 수용면(3312c) 사이로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1 측부 수용면(3312b)과 제2 측부 수용면(3312c) 사이의 간격과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 길이의 공차는 중간 끼워 맞춤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측부 수용면(3312b)과 제2 측부 수용면(3312c)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제1 측부 수용면(3312b)과 제2 측부 수용면(3312c) 사이의 간격은 손잡이 지지부(221) 폭 방향 길이보다 미소하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용기(200)를 하부 인클로져(3310)의 상단 개구를 통해 베이스(100)로부터 제거하는 때에, 하부 인클로져(3310)가 용기(200)와 함께 베이스(10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 지지부(221)를 하부 인클로져(3310)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은 하부 인클로져(3310)를 하부 인클로져 결합단(121, 122)으로부터 분리하는 데 필요한 힘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3)는 상부 인클로져(3320)의 제2 하단부(3322)에는 상부 수용면(322a), 제1 측부 수용면(322b) 및 제2 측부 수용면(322c)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에 비해 상부 인클로져(3320)의 상단으로부터 제2 하단부(3322)까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인클로져(3320)가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 또는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되는 중에 용기(200), 특히 뚜껑(230)과의 간섭 가능성이 훨씬 줄어들게 되어, 뚜껑(230)과 상부 인클로져(3320) 간의 간섭에 따른 디자인의 제한 사항 줄어든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2는 측면도의 일부, 도 13은 상부 인클로져 및 용기 손잡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4)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 2, 3)와 비교하여,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340)를 더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340)는 상부 인클로져(3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341)와 제2 레그(342), 제1 레그(341)와 제2 레그(342)를 연결하는 브릿지(343)를 포함한다.
제1 레그(341)와 제2 레그(342) 사이의 공간 및 브릿지(343)와 상부 인클로져(320) 사이의 공간은 손잡이 지지부(221) 및 용기 손잡이(222)가 수용되는 공간을 수용 공간(344)을 형성한다.
브릿지(343)는 상부 인클로져(320)가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 또는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될 때, 용기 손잡이(222)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부 인클로져(320)에 수용홈(322d, 도 2 참고)이 형성된 경우, 제1 레그(341)와 제2 레그(342)는 수용홈(322d)을 중심으로 상부 인클로져(320)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4)는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34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부 인클로져(320)를 결합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에,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340)를 이용하여 상부 인클로져(320)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부 인클로져(320)를 해제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할 때에,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340)를 이용하여 상부 인클로져(320)가 하부 인클로져(3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3: 조리기 100: 베이스
101, 102, 103: 버튼 104: 다이얼
105: 모터 106: 진공 펌프
107: 진공 배기 라인 110: 용기 결합단
120: 출력축 121: 내측 지지부
122: 외측 지지부 130: 지지 포스트
200: 용기 210: 수용조
220: 용기 손잡이부 221: 손잡이 지지부
222: 용기 손잡이 230: 뚜껑
231: 흡입 포트 240: 가공 부재
310, 2310, 3310: 하부 인클로져 311, 2311, 3311: 방벽부
312, 2312, 3312: 방벽 상단부 313: 돌출부
314: 제1 돌출 상단부 315: 제2 돌출 상단부
320, 2320, 3320: 상부 인클로져 321: 제1 하단부
322, 2322, 3322: 제2 하단부 322a, 2322a: 상부 수용면
322b, 3312b: 제1 측부 수용면 322c, 3312b: 제2 측부 수용면
322d: 수용홈 323: 제3 하단부
325: 진공 조작부 326: 체크 밸브
327: 흡입 노즐 340: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
341: 제1 레그 342: 제2 레그
343: 브릿지 344: 수용 공간
2312b: 제1 하측부 수용면 2312c: 제2 하측부 수용면
2322b: 제1 상측부 수용면 2322c: 제2 상측부 수용면
2312a, 3312a: 하부 수용면 A: 회전축(회전 중심)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 대상을 수용하는 수용조, 상기 수용조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 지지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용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결합 상태와 해제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결합되는 상부 인클로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인클로져는,
    개방된 하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하면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용조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방벽부와, 상기 방벽부 중 상기 손잡이 지지부와 인접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 상기 방벽부 및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용기 손잡이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상기 용기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는 상기 방벽부의 상단에 안착되는,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외주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의해 둘러싸이는, 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수용홈의 상단을 형성하는 상부 수용면, 상기 상부 수용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수용면 및 제2 측부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상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상면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 수용면 및 상기 제2 측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부는, 상기 수용홈의 하단을 형성하는 하부 수용면, 상기 하부 수용면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측부 수용면 및 제2 측부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하부면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1 측부 수용면 및 상기 제2 측부 수용면은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하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여, 상기 가공 대상의 가공 중에 상기 상부 인클로져 및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조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하부 인클로져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해제 상태와 상기 결합 상태로 위치하는, 조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포스트;
    상기 베이스 내에 구비되는 진공 펌프; 및,
    상기 지지 포스트를 통해 일단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수용조의 내부와 연결되는 진공 배기 라인;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포스트 및 상기 진공 배기 라인은 상기 하부 인클로져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되며,
    상기 하부 인클로져와 일체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조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에 설치되는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용기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인클로져와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인클로져는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조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레그 및
    상기 제1 레그와 상기 제2 레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제1 레그와 제2 레그 사이 및 상기 브릿지와 상기 상부 인클로져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조리기.
KR1020180045357A 2018-04-19 2018-04-19 조리기 KR10197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57A KR101971101B1 (ko) 2018-04-19 2018-04-19 조리기
PCT/KR2018/013242 WO2019203408A1 (ko) 2018-04-19 2018-11-02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57A KR101971101B1 (ko) 2018-04-19 2018-04-19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101B1 true KR101971101B1 (ko) 2019-04-23

Family

ID=6628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357A KR101971101B1 (ko) 2018-04-19 2018-04-19 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1101B1 (ko)
WO (1) WO20192034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4650A (zh) * 2019-05-08 2021-12-10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34A (ja) * 1992-12-15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機
KR20030005757A (ko) * 2001-07-10 2003-01-23 김경순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장치
CN201101393Y (zh) * 2007-10-29 2008-08-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降噪音果汁机
JP4238257B2 (ja) * 2006-06-28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391972B1 (ko) * 2013-05-29 2014-05-0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CN107550218A (zh) * 2017-09-28 2018-01-09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食品搅拌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76B1 (ko) * 2015-02-10 2016-07-12 주식회사 하우스일렉 진공 조리 장치
KR101695733B1 (ko) * 2016-06-20 2017-01-12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734A (ja) * 1992-12-15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調理機
KR20030005757A (ko) * 2001-07-10 2003-01-23 김경순 믹서기를 이용한 진공장치
JP4238257B2 (ja) * 2006-06-28 2009-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収尿装置
CN201101393Y (zh) * 2007-10-29 2008-08-20 厦门灿坤实业股份有限公司 降噪音果汁机
KR20110044904A (ko) * 2008-08-15 2011-05-02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식품 처리장치를 위한 밀봉 엔클로저
CN201320105Y (zh) * 2008-11-12 2009-10-07 宋宏斌 带有真空隔音罩的食品处理机
CN102631153A (zh) * 2012-03-28 2012-08-15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391972B1 (ko) * 2013-05-29 2014-05-07 (주)현대가전업 다용도 믹서기
JP2015119868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CN107550218A (zh) * 2017-09-28 2018-01-09 宁波凯普电子有限公司 食品搅拌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4650A (zh) * 2019-05-08 2021-12-10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08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1754A (ko) 조리기
JP6817311B2 (ja) 騒音遮断装置を含むブレンダー
US11589705B2 (en)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EP3427620B1 (en) Food processor
KR101971101B1 (ko) 조리기
CN114302660A (zh) 料理机
US20220160177A1 (en) Blender
JP4015967B2 (ja) 食材調製器
CN111281161A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20190123150A (ko) 블렌더 용기
US11576529B2 (en) Container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TWI842846B (zh) 電動調理器的收容容器
KR20200127616A (ko) 조리기 뚜껑
TWI842845B (zh) 電動調理器
CN221205180U (zh) 料理机
CN212281049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JP7406543B2 (ja) 電動調理器用の収容容器
JP7417589B2 (ja) 電動調理器
CN210043735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CN114246451B (zh) 烹饪器具
KR102658631B1 (ko) 블렌더
CN219206523U (zh) 烹饪器具
KR102076469B1 (ko) 조리기
CN210043852U (zh) 杯盖组件、料理杯及料理机
KR20220165357A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