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631B1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631B1
KR102658631B1 KR1020220061793A KR20220061793A KR102658631B1 KR 102658631 B1 KR102658631 B1 KR 102658631B1 KR 1020220061793 A KR1020220061793 A KR 1020220061793A KR 20220061793 A KR20220061793 A KR 20220061793A KR 102658631 B1 KR102658631 B1 KR 10265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touch
time
motor
bl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409A (ko
Inventor
김남훈
황보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2Mechanically-driven liqui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 터치 조작의 입력 횟수에 따라 모터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렌더{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순 터치 조작의 입력 횟수에 따라 모터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가루로 분쇄하거나 액체와 같은 상태로 만드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취한다.
사용자는 용기에 식품 등을 넣은 후 본체의 조작버튼 또는 노브 등을 조작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식품 등을 분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더는 최근 용기의 크기가 큰 대용량화가 되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도록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모터를 이용하는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식품의 분쇄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블렌더가 개발되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10,327,594호에는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 파트 전면에 사용자의 선택 조작을 입력받는 푸쉬-버튼부가 구비되는 블렌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버튼부는 전원 버튼, 메뉴 선택 버튼, 및 펄스 모드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은 블렌더 전체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며, 메뉴 선택 버튼은 블렌더의 운전 모드 선택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펄스 모드 선택 버튼은 모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에 고RPM으로 작동시키는 펄스 모드운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펄스 모드 선택 버튼을 손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 소정의 RPM으로 모터가 연속적으로 작동하고, 사용자가 펄스 모드 선택 버튼에서 손을 때면 즉각적으로 모터가 정지된다.
한편, 전원 버튼, 메뉴 선택 버튼, 및 펄스 모드 선택과 같은 푸쉬-버튼부는 블렌더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소정량 돌출된 상태로서 구비되며, 사용자의 푸쉬 조작에 의해서 블렌더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밀리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해당 선행문헌의 구성은, 돌출된 푸쉬-버튼부가 의도치 않게 눌려지게 될 때, 특히 순간적으로 강한 힘으로 눌려질 경우 푸쉬-버튼부 또는 베이스 파트 내부 구성의 손상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푸쉬-버튼부의 구조상 푸쉬-버튼부와 블렌더의 전방 표면 사이에 필연적으로 틈새가 형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블렌더의 작동 과정에서 용기로부터 넘쳐흐르게 되는 음식물 또는 액체 등이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와 같이 틈새로 유입되는 음식물 또는 액체등과 같은 이물질은 PCB와 같은 블렌더의 전장부품에 직접적인 손상을 가하여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복구불능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10,327,5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우터 케이스를 금속소재로 형성하고, 전원 온-오프 조작 및 펄스 모드 선택 조작 등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를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와 같은 물리적 푸쉬 버튼 방식의 입력수단 자체를 배제하고 푸쉬 버튼과 아우터 케이스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부품 손상 및 음식물 등의 침투로 인한 손상 및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터치 입력부에 대한 단순 터치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동안 모터를 작동시켜 펄스 모드 작동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내부에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자가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의 작동 모드 및 상기 모터의 목표 RPM 레벨의 변환을 위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노브; 상기 회전 조작에 따른 상기 노브의 회전량을 인식하는 노브 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측 상면에는 터치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 하면으로서, 상기 터치 입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 입력되는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로 감지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입력 횟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터의 전체 작동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 감지되는 상기 노브의 회전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목표 RPM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후에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상기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작동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상기 모터의 초기 작동 시간 및 RPM 레벨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초기 작동 시간 및 상기 호출된 RPM 레벨을 상기 전체 작동 시간 및 상기 목표 RPM 레벨로 설정하고, 상기 초기 작동 시간은. 상기 모터의 현재 회전수가 소정의 목표 RPM 레벨까지 상승되는 제1 시간과, 상기 목표 RPM 레벨에 도달한 후 상기 모터의 현재 회전수가 상기 목표 RPM 레벨로 유지되는 제2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더 짧게 되고, 상기 목표 RPM 레벨은 상기 모터의 출력 가능한 최대 RPM 레벨이 될 수 있다.
또한, 제4 항에서, 상기 제1 시간은 1초가 되고, 상기 제2 시간은 2초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작동 모드 또는 상기 목표 RPM 레벨의 변환을 위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가 조리 종료 모드이거나 자동 조리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가능한 최대 RPM 레벨을 상기 목표 RPM 레벨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가 수동 조리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조리 모드 선택 후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되는 RPM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RPM 레벨을 상기 목표 RPM 레벨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부로 상기 터치 조작이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부로 터치 조작이 재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 대한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를 재입력된 횟수만큼 추가하여 갱신하고,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을 상기 재입력된 횟수에 제3 시간을 곱한 시간만큼 더 연장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을 합산한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제2 시간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을 재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아우터 케이스를 금속소재로 형성하고, 전원 온-오프 조작 및 펄스 모드 선택 조작 등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를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하여, 종래와 같은 물리적 푸쉬 버튼 방식의 입력수단 자체를 배제하고 푸쉬 버튼과 아우터 케이스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부품 손상 및 음식물 등의 침투로 인한 손상 및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터치 입력부에 대한 단순 터치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모터를 작동시켜 펄스 모드 작동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렌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너 케이스에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이너 케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터치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본체 내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XIII-XI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이너 케이스와 피시비 모듈들의 배치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노브를 일 방향에서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블렌더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펄스 모드 작동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와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렌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기본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자(10, ja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노브(40)가 형성되는 위치를 전면 또는 전방으로 규정하고, 파워 커넥터(도 6의 35)가 연결되는 부분을 후면 또는 후방으로 규정한다. 또한, 본체(30)의 바닥의 위치를 하면 또는 하방으로 규정하고, 노브(40)를 기준으로 좌측을 좌측면 또는 좌측방으로, 노브(40)를 기준으로 우측을 우측면 또는 우측방으로 규정한다.
본체(30)에는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블렌더(1)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로서의 노브(40) 및 터치 입력부(319), 그리고 작동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8)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상면에는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된다. 안착부(301)는 자(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배치되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모터 어셈블리(50)와 피시비 모듈(60) 등이 장착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블렌더(1)의 작동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40)는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 조작에 의해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노브(4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체(30)의 하면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된다.
바텀 커버(74)는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렌더(1)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텀 커버(74)는 아우터 케이스(31) 및 이너 케이스(32)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30)의 내부와 외부로 냉각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의 동작 상태를 가시화시키기 위한 표시부(318)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부(3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318)는 아우터 케이스(31)를 관통하는 미세한 관통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는 관통홀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 모듈(66)에 장착된 다수의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문자 또는 숫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엘이디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표시부(318)는 다른 문자 또는 숫자를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지만 관통홀의 내부에는 홀 메움부재(filling member)가 채워질 수 있다. 홀 메움부재는 일 예로 실리콘,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홀 메움부재를 통해 아우터 케이스(31)에 블렌더(1)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묻거나 관통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319)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치 입력부(319)는 펄스 모드 선택부(319a)와 온-오프 선택부(319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319)는 표시부(318)의 측방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319)를 조작하고자 할 때 표시부(318)까지 한 번에 인식 가능하도록 근접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319)는 후술할 터치 모듈(65)의 터치 센서(654)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터치 입력부(319)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인쇄 형성되거나, 에칭 등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입력부(319)는 필름의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 입력부(319)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654)에서 인식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터치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정확한 터치 위치 또는 조작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본체(30)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형상이 아니고 아우터 케이스(31)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 파손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종래와 같은 버튼부 틈새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터치 입력부(319)를 통해서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30)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안착부(301)의 일부가 자(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자(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301)에 자(10)가 안착되면, 모터 어셈블리(50)와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블레이드 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중앙에서 다소 치우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자(10)의 손잡이(13)를 포함한 전체 가로 길이와 본체(30)의 가로 길이는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자(10)의 식품 수용 공간의 중심은 본체(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안착부(301)의 중심 또한 자(10)의 중심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40)는 안착부(301) 및 자(10)의 중심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본체(30)의 전면의 편심된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안착부(301) 하방의 본체(30) 내부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0)는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동 조리 모드에서는 모터 어셈블리(50)는 노브(40)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선택되는 RPM 레벨에 따라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이 내용은 후술한다.
모터 어셈블리(50)의 상단은 자(10) 내부의 블레이드 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 팬(55)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시 블레이드 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본체(30)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벽면에는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 모듈(60)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32)의 내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된다. 베이스 플레이트(71)에는 쿨링 팬(55)에 의해 흡입된 냉각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에어 가이드(72)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71)와 바텀 커버(74)의 사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모듈(73)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모터 어셈블리(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자(10)는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자(10)는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아우터 자(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자(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자(12)와 아우터 자(11)는 서로 결합되어 자(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자(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자(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자(11)의 외경은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자(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30)와 자(1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자(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102)가 형성된다.
본체 수용부(102)는 아우터 자(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후술할 제2 안착부(32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체 수용부(102)와 제2 안착부(325)의 결합에 의해 자(10)는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10)의 내측 하면의 중앙에는 블레이드 모듈(14)이 구비된다.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모터 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자(10)가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자(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자(10)의 내부에는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1)는 자(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뚜껑(20)의 장착 시 뚜껑(20)의 하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자(10)의 상단 일측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11, spout)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주둥이(111)와 대향하는 타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자(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자(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자(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뚜껑(20)은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뚜껑 손잡이(13)를 잡고 뚜껑(20)을 자(10)로부터 분리하여 자(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뚜껑(20)은 뚜껑 상부(22), 뚜껑 하부(23) 및 뚜겅 손잡이(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뚜껑(20)의 둘레를 따라 뚜껑 가스켓(2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V-V' 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본체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본체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본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는 직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30)의 상면에 자(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본체(30)의 전면에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이너 케이스(32)에 의해 형성되며,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되어 본체(30)의 내부 및 외부의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는 아우터 케이스(31) 내측에서 내부에 다수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아우터 케이스(31)와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와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배치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은 베이스 플레이트(71)에 의해 차폐되며, 바텀 커버(74)에 의해 본체(30)의 하면이 형성된다.
본체(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우터 케이스(31)는 사각형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의 상면에는 개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 개구(311)는 안착부(301)의 외경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의 결합시 안착부(301)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상부가 상면 개구(311)를 관통하여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된 이너 케이스(32)의 상부에는 제1 안착부 데코(314)와 제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그리고 연결 데코(317)가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제1 안착부 데코(314)와 제2 안착부 데코(316), 로어 데코(315) 및 연결 데코(317)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 데코(314)와 제2 안착부 데코(316)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한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부 데코(314)와 제2 안착부 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안착부 데코(314)는 제2 안착부 데코(316)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연결 데코(317)는 제1 안착부 데코(314)의 상단과 제2 안착부 데코(316)를 연결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부 데코(314)와 제2 안착부 데코(316) 및 연결 데코(317)는 이너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제1 안착부(324)와 제2 안착부(325)의 외측면 및 제1 안착부(324)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안착부(325)는 제1 안착부(3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블레이드 모듈 장착부(103)에 형성된 자 결합부(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삽입 공간(325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공간(325a)의 내측면에는 자(1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자 결합부와 결합되는 자 결합 돌기(325b), 및 자 결합 홈(325c)이 형성된다. 또한, 자 결합 돌기(325b)와 자 결합 홈(325c)은 제2 안착부(325)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10)가 안착부(301)에 장착되면, 자 결합부는 자 결합 돌기(325b) 및 자 결합 홈(325c)과의 형합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노브(40)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된다. 노브(40)는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케이스(31)의 후면에는 리어 플레이트(34)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313)이 형성된다.
나아가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는 통신 모듈(36)이 장착된다.
또한, 플레이트 홈(313)에는 본체(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 커넥터(35)가 장착된다. 파워 커넥터(35)는 리어 플레이트(34)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한편,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안착부(301)가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32)는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의 상면과,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3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비교적 복잡한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부에 모터 어셈블리(50) 및 피시비 모듈(60)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노브 장착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노브 장착홀(321)은 노브(40)가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으며, 노브 홀(3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마운팅부(322)가 형성된다. 마운팅부(322)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322)는 단차지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은 마운팅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차폐된다.
한편, 이너 케이스(32)의 내부 공간에는 모터 어셈블리(50)가 구비된다. 모터 어셈블리(50)는 블레이드 모듈(14)의 회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부(301)의 중심부와 대응하는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5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 샤프트(53)를 포함하는 모터(51)와, 모터(5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52)과,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 구비되는 모터측 연결부(54)와, 모터 샤프트(53)의 하단에 구비되는 쿨링 팬(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 샤프트(53)의 상단에는 자(10)의 장착시 블레이드 모듈(14)과 결합되는 모터측 연결부(54)가 구비된다. 모터측 연결부(54)는 블레이드 모듈(14)과 결합되어 모터(51)의 회전력을 블레이드 모듈(14)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측 연결부(54)는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안착부(301) 내부의 삽입 공간(325a)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쿨링 팬(55)은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후술할 에어 가이드(7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쿨링 팬(55)의 동작 시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한 공기가 에어 가이드(72)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쿨링 팬(55)의 구동에 따라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이 발생되며, 특히 모터 하우징(52)의 외측에 배치되는 피시비 모듈들(60) 중 적어도 일부는 쿨링 팬(5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 유동 경로상에 위치되어 함께 냉각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피시비 모듈(60)이 구비된다. 피시비 모듈(60)은 이너 케이스(32)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시비 모듈(60)은 기능별로 분리된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이너 케이스(32)의 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피시비 모듈(60)은 모터 어셈블리(50)를 기준으로 바깥쪽에서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50)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피시비 모듈(60)들이 위치될 수 있으며, 피시비 모듈(60)은 공냉될 수 있다. 이 때, 피시비 모듈(60) 중 특히 발열 온도가 높은 피시비로의 냉각 공기 유동이 집중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열 또는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피시비 모듈(60)은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입력 전원을 컨트롤하는 파워 피시비 모듈(62), 및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피시비 모듈(60)은 블렌더(1)의 기능에 따라 추가의 피시비 모듈(60)이 더 구비되거나, 일부 피시비 모듈(60)이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 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피시비 모듈(64), 인버터 피시비 모듈(61), 파워 피시비 모듈(62) 및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을 구비하는 피시비 모듈(60)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블렌더(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15)가 구비되며, 특히 노브(40)가 장착되어 노브(40)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노브(40)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전면에 장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디스플레이 모듈(66) 및 터치 모듈(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피시비 모듈(64)은 블렌더(1)의 동작 정보를 디스플레이 모듈(66)로 전달할 수 있으며, 터치 모듈(65)의 조작 시 터치 모듈(65)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블렌더(1)의 내부로 입력되는 전력의 공급을 위한 전력 변환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파워 커넥터(35)가 배치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통상 에스엠피세스(SMPS : Switching Mode Power Supply)라 부를 수 있다.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파워 커넥터(35)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력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또한, 파워 피시비 모듈(62)은 블렌더(1)가 무선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무선 전력 모듈(73)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블렌더(1)의 구동을 위한 안정적인 전력 상태로 변환하여 공급하게 된다.
한편,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모터(51)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수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모터(51)의 회전 속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가변속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동작 특성상 동작 시 고온으로 발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집중적인 냉각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은 플레이트 흡입구(719a)에 대응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방열부재(도 13의 612)가 배치되어 집중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파워 피시비 모듈(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파워 피시비 모듈(62)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주파수 상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인버터 피시비(611)와 마주보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피시비 모듈(64)과 파워 피시비 모듈(62), 그리고 인버터 피시비 모듈(61)과 필터링 피시비 모듈(63)은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피시비 모듈(60)들은 모터 어셈블리(50)를 중앙에 두고 전후좌우 측의 네 면에서 모터 어셈블리(50)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32)의 하단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구성들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는 이너 케이스(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둘레와 이너 케이스(32)의 하단 사이가 기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플레이트 흡입구(719a)와 플레이트 토출구(719b)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흡입구(719a)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모터 어셈블리(50)의 구동 시 냉각을 위한 공기가 이너 케이스(32)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플레이트 토출구(719b)는 베이스 플레이트(71)의 다른 일측단을 따라서 형성되며, 이너 케이스(32) 내부의 냉각 공기가 이너 케이스(32)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에어 가이드(7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72)는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방에 구비되며, 하우징 로어 홀(523)에서 플레이트 토출구(719b)를 연결하여, 모터 어셈블리(50)를 통과하면서 모터를 냉각한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게 된다. 즉, 에어 가이드(72)는 모터 어셈블리(50)로부터 토출구까지의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에어 가이드(72)는 모터 하우징(52)의 하단을 지지하며, 쿨링 팬(55)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쿨링 팬(55)의 회전 시 모터 하우징(52)을 통과하는 공기가 에어 가이드(72)를 따라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가이드(72)의 상단에는 가이드 홀(721)이 개구될 수 있다. 바텀 플레이트(71)가 이너 케이스(32)에 결합되면, 가이드 홀(721)의 둘레에 모터 어셈블리(50)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홀(721)을 통과하여 쿨링 팬(55)이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면에는 무선 전력 모듈(73)이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전력 모듈(73)은 블렌더(1)의 무선 전원 공급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페라이트 코어와 코일로 구성되어 유도 기전력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 전력 모듈(73)은 블렌더(1)를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71)의 하방에는 바텀 커버(74)가 구비된다. 바텀 커버(74)는 본체(30)의 하면을 형성하며,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71)에 무선 전력 모듈(73)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바텀 커버(74)에 의해서 무선 전력 모듈(73)이 차폐될 수 있다.
바텀 커버(74)는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텀 커버(7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텀 커버(74)에는 커버 흡입구(744) 및 커버 토출구(7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 흡입구(744)와 커버 토출구(746)를 통해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30) 내부에서 방열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의 구조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32)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32)는 아우터 케이스(31)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삽입되며,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
또한,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 안착부(324)와 제2 안착부(325)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325)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자(10)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39)가 장착되는 감지장치 수용부(329)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장치(39)는 제2 안착부(325)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안착부(325)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제공된다. 이너 케이스(32)와 베이스 플레이트(71)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71)와의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스(371, 375, 376)가 형성된다. 다수의 보스(371,375,376)는 이너 케이스(32) 내측의 상면에서 개구된 하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32)의 상면에는 마운팅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322)는 이너 케이스(32)의 상면 중 일측면의 모서리에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운팅부(322)는 이너 케이스(32)의 상면 중 전단과 우측단이 형성하는 모서리 영역에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부(322)는 디스플레이 모듈(66)과 터치 모듈(65)이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는 크기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부(322)의 단차진 높이는 터치 모듈(65)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모듈(65)이 마운팅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32)와 아우터 케이스(31)가 결합되면, 터치 모듈(65)의 상면은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과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마운팅부(322)는 디스플레이 개구(322b)와 터치 개구(322a)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개구(322b)는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으며, 마운팅부(32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66) 중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개구(322b)를 통과하여 아우터 케이스(31) 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개구(322a)는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될 수 있다. 터치 개구(322a)는 마운팅부(322)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개구(322b)와 이격된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터치 개구(322a)는 마운팅부(322) 상면에 배치되는 터치 모듈(65)과 마운팅부(322) 하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66)을 연결하는 커넥터(664)가 통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개구(322a)의 외측에는 지지 돌기(322d)가 형성된다. 지지 돌기(322d)는 터치 모듈(65)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마운팅부(322)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돌기(322d)는 터치 모듈(65)을 하방에서 지지하여 터치 모듈(65)이 아우터 케이스(31) 하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지지 돌기(322d)는 터치 모듈(65)의 상면이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돌기(322d)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모듈(65)의 하방에서 터치 모듈(65) 하면의 복수의 지점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운팅부(322)에는 체결 홀(322c)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홀(322c)은 터치 모듈(65) 및 디스플레이 모듈(66)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651a)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결 홀(322c)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마운팅부(322)에 고르게 배치되어 터치 모듈(65)과 디스플레이 모듈(66)이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면에 디스플레이 모듈(66)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결합부(372)가 형성된다. 케이스 결합부(372)는 스크류의 체결이 가능한 보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결합부(372)는 디스플레이 모듈(66)의 케이스 체결부(661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케이스 체결부(661b)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케이스 결합부(372)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66)은 마운팅부(322)의 하면에서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터치 모듈(65)은 터치 센서(654)가 장착되는 터치 피시비(652)와, 터치 피시비(652)가 수용되는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피시비(652)에는 터치 센서(654)가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터치 센서(654)는 피에조 타입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소재의 아우터 케이스(31)의 누름 조작 시 터치 센서(654)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전달되는 미세한 힘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압전 방식의 터치 센서(654)의 터치 감지에 관한 상세 구성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터치 센서(65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부(319)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와 온-오프 선택부(319b)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 및 온-오프 선택부(319b)의 터치 조작 시 터치 센서(654)는 이들을 각각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피시비(652)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마운팅부(322)에 장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개구(322b)를 가리지 않으면서 마운팅부(322)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터치 케이스 체결 후크(651a)가 형성된다. 터치 케이스 체결 후크(651a)는 터치 모듈(65)의 장착 시 마운팅부(322)에 형성된 체결 홀(322c)에 체결된다. 물론,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는 마운팅부(322)에 별도의 구속 결합구조를 가지지 않고 단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에는 케이스 개구(651b)가 형성되며, 케이스 개구(651b)에는 터치 부스터(653)가 구비된다. 케이스 개구(651b)는 터치 센서(654)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 개구(651b)에 장착된 터치 부스터(653)는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654)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터치 부스터(653)는 터치 센서(654)의 터치 인식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 또는 구조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터치 부스터(653)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 부스터(653)에 가해지는 압력이 중심부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아우터 케이스(31)의 미세한 변형 시 아우터 케이스(31)에 밀착된 터치 부스터(653)의 변형이 가능하며, 나아가 터치 부스터(653)에 의한 터치 센서(654)의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터치 입력부(319), 터치 부스터(653) 및 터치 센서(654)는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319)를 터치 조작하게 되면 아우터 케이스(31)의 미세한 변형은 터치 부스터(653)를 통해 터치 센서(654)로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터치 센서(654)의 감지를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에는 접착부재(655)가 구비된다. 접착부재(655)는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의 상면과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이 서로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부재(655)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재(655)는 케이스 개구(651b)를 제외한 터치 피시비 케이스(651) 상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모듈(65)의 상면은 아우터 케이스(31)의 하면과 항상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아우터 케이스(31)의 터치 조작시 터치 부스터(653)를 통해 터치 센서(654)가 보다 효과적으로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터치 피시비(652)의 적어도 일부는 터치 개구(322a)를 통해서 노출될 수 있으며, 터치 개구(322a)를 통해 커넥터(664)의 일단이 터치 피시비(652)와 연결 된다. 커넥터(664)의 타단은 디스플레이 모듈(66)의 디스플레이 피시비(662)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팅부(322)를 경계로 서로 상하 배치되는 터치 피시비(652)와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 피시비(652)의 신호 처리 및 전원 공급 등의 동작이 디스플레이 피시비(662)를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너 케이스(32)의 외측에서 터치 모듈(65)과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전선 및 전선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되며, 디스플레이 모듈(66)과의 연결을 통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 노브(40)의 구조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30)의 전면에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된다. 아우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노브(40)가 위치되는 노브 홀(312)이 형성되며, 노브(40)는 노브 홀(312)을 관통하여 본체(3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너 케이스(32)의 전면에는 노브 장착홀(321)이 형성된다. 노브 장착홀(321)은 노브(40)가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장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되며, 노브 홀(312)의 후방에 위치된다. 노브 장착홀(321)은 노브 홀(32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4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노브 홀(321)을 통해서 노브(40)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노브 장착홀(321)의 둘레 양측에는 노브(40)의 양측에서 돌출된 링 가이드(434)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321a)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321a)은 노브 장착홀(321)의 외측으로 함몰되며,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40)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321a)에 의해 노브(40)와 이너 케이스(32)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저 홈(321b)과 가이드 홈(321a)에 의해서 노브(40)는 장착시 방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노브(40)가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피시비(67)의 중앙에는 노브(40)가 장착되는 노브 회전축(671)이 구비된다. 노브 회전축(671)은 노브(40)의 회전 중심과 결합되며, 노브(40)의 조작 시 노브 회전축(671)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메인 피시비(67)는 노브 회전축(671)의 회전을 감지하는 노브 감지센서(690)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블렌더(1)의 작동 모드 선택, 동작 시간 설정, 모터(51)의 회전 RPM 설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메인 피시비(67)에는 음향출력부로서 부저(672)가 구비된다. 부저(672)는 블렌더(1)의 동작 상태 또는 에러 메시지를 음성 또는 소리로 알릴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저(672)는 블렌더(1)에 전원이 인가될 때 특정 음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동작 준비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메인 피시비(67)에는 음향출력부로서 부저(672)를 대신하여 스피커 등과 같은 다른 음향 출력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노브 회전축(671)은 메인 피시비(67)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노브 회전축(67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엘이디(673a, 673b)가 배치된다. 엘이디(673a, 673b)는 다수 개가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엘이디(673a)와,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엘이디(673b)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엘이디(673a)는 노브(40)의 조작에 따라 일부가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노브(40)를 조작하여 특정 조작을 입력하게 될 때, 해당 조작에 대응하는 아우터 엘이디(673a)가 점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노브(40)를 회전시켜 자동 조리 모드 또는 수동 조리 모드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특정 운전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아우터 엘이디(673a)가 점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노브(40)를 회전시켜 특정 시간을 입력하게 되면, 특정 시간과 대응하는 아우터 엘이디(673a)가 점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노브(40)를 회전시켜 특정 RPM 레벨을 입력하게 되면, 선택된 RPM 레벨에 대응하는 아우터 엘이디(673a)가 점등될 수 있다.
다수의 아우터 엘이디(673a)는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노브(40)의 회전 영역에 따라 조작되는 대상이 다른 경우 영역별로 아우터 엘이디(673a)의 배치 간격이 다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너 엘이디(673b)는 노브(40)의 이너 파트(442)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너 엘이디(673b)는 아우터 엘이디(673a)보다 노브 회전축(671)에 더 가까이 배치되며, 이너 파트(442)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이너 엘이디(673b)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가상의 원둘레 즉, 이너 파트(442)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엘이디(673b)는 모두 한꺼번에 점등되어 블렌더(1)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블렌더(1)에 전원이 입력되면 이너 엘이디(673b)가 온되어 사용자에게 블렌더(1)의 동작 준비 상태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이너 엘이디(673b)는 아우터 엘이디(673a)와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엘이디(673b)는 다양한 빛의 색상을 상황에 따라 출력할 수도 있다.
노브 회전축(671)의 둘레에는 다수의 피시비 결합구(674)가 형성된다. 피시비 결합구(674)에는 가이드 결합돌기(446)가 삽입될 수 있다. 피시비 결합구(674)는 가이드 결합돌기(446)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피시비 결합구(674)는 노브 회전축(67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등간격으로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피시비(67)의 네 모서리에는 피시비 체결부재(675)가 구비된다. 피시비 체결부재(675)는 메인 피시비(67)를 메인 브라켓(68)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피시비 서포팅부(687a, 687b, 687c)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노브(40)는 전체적으로 노브 데코(41), 노브 바디(42), 노브 링(43), 및 라이트 가이드(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브 데코(41)는 노브(4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특히 아우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 데코(41)는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데코(41)의 직경은 노브 홀(321)의 직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 바디(42)는 노브 회전축(671)과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노브 회전축(671)을 회전시켜 회전 조작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노부 바디(42) 또한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브 바디(42)는 전체적으로 바디 수용 공간(4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디 삽입부(421)와, 바디 삽입부(42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노브 돌출부(423)와, 제1 노브 돌출부(423)의 후단에서 돌출되는 제2 노브 돌출부(42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삽입부(421)는 바디 수용 공간(4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 삽입부의 전면에는 접착홈(421A)이 형성되며, 접착홈(421A)에는 접착제가 배치되어 바디 수용 공간(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브 데코(41)와 접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노브 돌출부(423)는 바디 삽입부(42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브 돌출부(423)는 바디 삽입부(421)와의 사이에 지지면(422)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면(422)은 노브 데코(41)의 후단과 접하게 된다. 또한, 제1 노브 돌출부(423)의 외경은 노브 데코(41)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노브 데코(41)와 노브 바디(42)의 결합시 결합부위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서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노브 돌출부(424)는 제1 노브 돌출부(423)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노브 돌출부(424)의 외경은 노브 링(43)에 형성되는 링 개구(435)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제1 노브 돌출부(423)는 노브 링(4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링 개구(435)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노브 돌출부(424)는 링 개구(435)의 후방에 위치되어 노브 바디(42)가 노브 링(4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노브 바디(42)의 내측 중앙에는 축 결합부(425)가 형성된다. 축 결합부(425)는 내부가 중공된 보스 형상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노브 회전축(67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축 결합부(425)의 내부 형상은 노브 회전축(671)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노브 바디(42)의 회전 시 회전력이 노브 회전축(671)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축 결합부(425)의 외측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426)가 형성된다. 보강 리브(426)는 노브 바디(42)의 내측면과 축 결합부(425)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보강 리브(426)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노브 바디(42)를 전체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노브 바디(42)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 또는 빛이 반사되는 소재로 형성된다. 노브 바디(42) 중 노브 데코(41)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분은 노브 홀(321)의 내측 및 링 개구(435)의 내측에 위치되며, 이너 엘이디(673b)가 온될 때 발광될 수 있다. 노브 바디(42)는 적어도 제1 노브 돌출부(423)와 제2 노브 돌출부(424)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 또는 빛이 반사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엘이디(673b)가 온되면, 외부에서 볼 때 노브 데코(41)의 둘레를 따라 빛나는 띠 모양이 표시될 수 있다.
노브 링(43)은 노브 장착홀(321)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43)의 중앙에는 링 개구(435)가 개구될 수 있으며, 링 개구(435)에는 노브 바디(42)가 위치될 수 있다.
노브 링(43)은 중앙에 링 개구(435)가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장착홀(321)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노브 장착홀(32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 링(43)은 링 개구(43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노출부(432)와, 노출부(4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케이스 안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432)는 링 개구(435)의 둘레를 형성하며, 노브 홀(321)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부(432)의 내경은 링 개구(435)의 내경 즉, 제1 노브 돌출부(42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노출부(432)의 내경은 제2 노브 돌출부(424)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노브 바디(42)가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노출부(432)의 전면에는 경사면(432a)이 형성된다. 경사면(432a)은 노브 바디(42)를 향할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아우터 엘이디(673a)를 통해 조사되는 빛이 굴절되어 노브 바디(42)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 안착부(431)는 노출부(432)의 외측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케이스 안착부(431)는 노출부(432)의 단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아우터 케이스(31)가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아우터 케이스(31)의 노브 장착홀(321) 둘레면은 노브 링(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노출부(432)의 단부와 케이스 안착부(431)는 아우터 케이스(31)의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만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 링(43)의 외측단에는 후방 즉, 라이트 가이드(44)를 향하여 연장되는 링 가이드(434)가 형성된다. 링 가이드(434)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 양측단에 각각 1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가이드 홈(321a)에 수용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의 노브(40)는 이너 케이스(32)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 안착부(431)에는 링 체결홈(433)이 형성된다. 링 체결홈(433)은 다수 개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 링(43)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링 체결홈(433)은 라이트 가이드(44)의 가이드 후크(444)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후크(444)와 링 체결홈(433)의 결합에 의해서 노브 링(43)과 라이트 가이드(44)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노브 링(43)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노브 홀(321)을 통해 노출되는 노출부(432)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44)를 통해 조사되는 아우터 엘이디(673a)의 빛이 투과될 수 있으며, 다수의 아우터 엘이디(673a) 중 특정 아우터 엘이디(673a)가 온 될 경우 대응하는 노출부(432)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표시된다.
라이트 가이드(44)는 노브(40)의 가장 후단을 형성하며, 노브(40)와 메인 피시비(67)가 실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44)는 메인 피시비(67)에 밀착된 상태에서 아우터 엘이디(673a) 및 이너 엘이디(673b)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1)의 제어부(64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렌더(1)는 각 기능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40)를 포함한다. 제어부(6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피시비 모듈(64)에 구비되며,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모터 어셈블리(50)의 모터(51)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 제어부(6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인버터 피시비 모듈(61)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640)는 모터(51)의 출력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모터 제어부(610)에 제어 신호를 보내게 되고, 모터 제어부(610)는 모터(51)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터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640)는 전술한 파워 피시비 모듈과 같은 전력 변환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 전원(70)으로부터 입력된 전력은 전력 변환부(60)를 거쳐 변환되어 제어부(640) 및 모터 제어부(610)로 공급된다.
또한, 제어부(640)는 터치 센서(654) 및 노브 감지센서(6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640)는 터치 센서(654)로부터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동작을 위한 터치 조작 신호 및 펄스 모드 동작을 위한 터치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노브 감지센서(690)로부터 사용자의 조리 모드 선택 신호 RPM 레벨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640)는 메모리(6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640)는 메모리(641)에 미리 저장된 조리 모드 별 운전조건, 상세히는 모터의 RPM 레벨 및 작동 시간 등을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터(5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641)에는 펄스 모드 작동 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목표 RPM 레벨이 변경되는 경우에 변경된 목표 RPM 레벨을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표시부(318) 및 음향출력부(6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640)는 표시부(318)를 통해서 블렌더(1)의 작동 상태 및 작동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부저와 같은 음향출력부(672)를 통해서 블렌더(1)의 동작 상태 또는 에러 메시지를 음성 또는 소리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40)는 타이머(6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640)는 타이머(642)를 통해서 블렌더(1)의 작동 모드 별 작동 시간 경과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잔여 시간을 표시부(318)를 통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1)의 작동 제어, 특히 펄스 모드 작동 제어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 터치 입력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모터를 작동시켜 펄스 모드 작동이 구현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설정이 없이도 블렌더(1)의 본체(30)의 상면에 형성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를 터치하는 조작만으로 블렌더(1)를 펄스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1)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일체화되어 있고,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654)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터치 센서(65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적용되는 힘 또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변화량이 소정의 설정값을 도달하게 되면 입력이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를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더라고 누르는 힘 또는 압력의 변화가 없는 구간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물리적 푸쉬-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에 모터의 작동이 계속 작동되고 푸쉬-버튼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모터의 작동이 종료되는 구성, 즉 롱-키 입력 방식은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터치 센서(654)에서는 사실상 구현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압전 소자 방식의 터치 센서(654)를 이용하되 펄스 모드 작동 시간을 사용자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대한 터치입력 횟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319)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터치 조작한 것이 터치 센서(654)를 통해 감지되면, 제어부(640)는 미리 메모리(641)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작동 시간 및 목표 RPM으로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한다.
이 때, 작동 시간은 모터의 현재 회전수가 목표 RPM 레벨까지 상승되는 제1 시간(t1)과, 목표 RPM 레벨까지 도달한 후 모터의 현재 회전수를 목표 RPM 레벨로 유지하는 제2 시간(t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시간(t1)은 1초가 되며, 제2 시간(t2)은 2초가 될 수 있다.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구동되는 펄스 모드 작동을 고려하여 목표 RPM 레벨까지 1초 내외로 순간적으로 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때, 목표 RPM 레벨은 모터(51)가 출력 가능한 최대 RPM 레벨이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640)는 타이머(642)를 통해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작동 개시 시점으로부터 3초가 경과한 후에는 모터(5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고, 모터 제어부(610)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모터를 정시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1회 터치 조작 입력으로 블렌더(1)의 펄스 모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후 모터(51)가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과정으로 펄스 모드 작동이 개시된다.
다만, 사용자는 펄스 모드 작동 중 자(10) 내부의 조리 상태에 따라 펄스 모드 작동 시간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재입력되면, 제어부(640)는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을 제3 시간(t3)만큼 더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 1회 재입력되면 제3 시간(t3)*1회의 시간을 추가하여 작동 시간을 연장하고, 2회 재입력되면 제3 시간(t3)*2회의 시간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동시간이 더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3 시간(t3)은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을 합산한 시간보다는 더 짧게, 바람직하게는 제2 시간(t2)과 동일한 시간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초가 될 수 있다.
즉, 1회 터치 입력에 따른 펄스 모드 작동 중에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대한 단순 추가 터치 입력만으로 작동 시간이 2초만큼 추가될 수 있게 됨으로써 펄스 모드 작동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추가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 향상되는 것이다.
다만, 펄스 모드 작동 시에 모터(51)는 최대 RPM 레벨로 작동되기 때문에 펄스 모드 작동 시간을 무제한으로 늘리게 되면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50)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펄스 모드 작동 중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거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터치 조작이 추가 입력되는 경우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최초 1회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입력된 후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 추가 연장 횟수는 소정의 수준으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예시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 추가 연장 횟수는 총 4회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렌더(1)가 펄스 모드로 작동되는 최대 시간은 11초로 제한될 수 있다. 즉, 4회까지 작동 시간이 추가 연장된 후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터치 조작이 입력되어도 작동 시간은 추가로 연장되지 않으며 11초가 경과된 시점에서 모터는 정지된다.
다만, 모터(51)가 정지되면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 연장 횟수는 초기화되며, 모터(51)가 정지된 후 입력되는 터치 조작은 최초 1회 입력으로 인식되도록 설정되고 동일한 과정에 따라 4회까지 작동 시간의 추가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펄스 모드로 작동 시에 모터(51)의 목표 RPM 레벨이 최대 RPM 레벨로 고정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목표 RPM 레벨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자(10)의 내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블레이드 모듈 및 모터의 회전수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목표 RPM의 조정은 사용자의 노브(40)의 조작을 통한 목표 RPM 레벨 선택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319)의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터치 조작한 것이 터치 센서(654)를 통해 감지되면, 제어부(640)는 모터(51)를 즉시 작동시키지 않고 사용자의 노브(40)의 조작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사용자가 최초 노브 조작을 통해서 조리 모드 중에서 수동 조리 모드를 선택하고, 추가적인 노브 조작을 통해 아래 표와 같은 수동 조리 모드에서의 RPM 레벨을 선택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640)는 선택된 RPM 레벨을 펄스 모드 작동을 위한 모터(51)의 목표 RPM 레벨로 설정한다.
<수동 조리 모드의 RPM 레벨 및 모터 회전수(RPM)>
RPM
레벨
0 1 2 3 4 5 6
모터
회전수
0 1500 2500 3500 5000 6500 8000
RPM
레벨
7 8 9 10 11 12 -
모터
회전수
9500 11000 12500 14000 15500 17000 -
다음으로 제어부(640)는 미리 설정된 작동 시간과 설정된 RPM 레벨로 모터(5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여 펄스 모드 작동이 개시된다.
이 때, 작동 시간과 작동 시간의 추가 연장에 관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9 내지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1)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제어방법(S100)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640)는, 터치 센서(654)를 통해 터치 입력부(319)의 온-오프 선택부(319b)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블렌더(1)를 전원-온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S101)
다음으로, 제어부(640)는 블렌더(1)가 전원-온 상태에서 터치 센서(654)를 통해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블렌더(1)의 펄스 모드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서 모터(51)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2, S103)
S103 단계에서 모터 정지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음향출력부(672)를 통해 펄스 작동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에러 알람을 생성하거나, 표시부(318)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모터(51)가 정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S104)
한편, S103 단계에서 모터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모터(51)를 펄스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초기 작동 시간(t1+t2) 및 목표 RPM 레벨을 설정한다. (S105)
이 때, 초기 작동 시간은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을 더한 시간이 되며, 예시적으로 제1 시간(t1)은 1초가 되고, 제2 시간(t2)은 2초가 될 수 있다.
또한, 목표 RPM은 모터(51)가 출력 가능한 최대 RPM 레벨이 되며, 예시적으로 최고 레벨인 12 레벨(17000 rpm)이 될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초기 작동 시간 및 목표 RPM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640)는 목표 RPM 레벨로 모터(5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여 모터(51)를 작동시킨다. (S106)
이 때, 도 20에 된 바와 같이 S106 단계는, 제1 시간(t1) 동안 모터(51)의 현재 회전수를 목표 RPM 레벨까지 가속하는 단계(S1061)와, 모터(51)의 현재 회전수가 목표 RPM 레벨에 도달한 후 제2 시간(t2) 동안 목표 RPM 레벨로 유지하는 단계(S106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6에서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640)는 타이머(642)를 통해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을 연산하고 잔여 시간을 표시부(318)를 통해 표시한다. (S107)
다음으로, 제어부(640)는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이 S105 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8)
S108 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t1+t2)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모터 정지를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고 모터 제어부(610)는 모터(51)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여 모터(51)를 정지시킨다. (S113)
한편, S108 단계에서, 경과 시간이 설정된 작동 시간(t1+t2)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터치 센서(654)를 통해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추가적으로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9) 즉, 펄스 모드 작동 종료 전에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 연장을 위한 사용자의 의사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S109 단계에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로 터치 조작이 n회 재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640)는 터치 조작 재입력 횟수를 n회 추가하여 누적 재입력 횟수를 갱신하고 이를 메모리(641)에 저장한다. (S110)
다음으로, 제어부(640)는 갱신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11) 여기서, 설정 횟수는 예시적으로 4회가 될 수 있으며, 누적 재입력 횟수가 4회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만약 S111 단계에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기존 잔여 시간에 재입력된 횟수(n)와 제3 시간(t3)을 곱한 시간(t3*n)만큼 더하여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을 재설정한다. (S112)
여기서 제3 시간(t3)은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을 합산한 시간보다는 더 짧게, 바람직하게는 제2 시간(t2)과 동일한 시간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초가 될 수 있다.
S112 단계서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이 재설정되면, 제어부(640)는 S107 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잔여 시간에 재입력된 횟수(n)와 제3 시간(t3)을 곱한 시간(t3*n)만큼 더한 시간을 표시부(318)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S111 단계에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을 재설정하거나 또는 잔여 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S108 단계로 진행하여 작동 시간의 경과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제어방법(S200)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제어방법(S100)과 동일하게 제어부(640)는 터치 센서(654)를 통해 터치 입력부(319)의 온-오프 선택부(319b)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블렌더(1)를 전원-온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S201)
다음으로, 제어부(640)는 블렌더(1)가 전원-온 상태에서 터치 센서(654)를 통해 펄스 모드 선택부(319a)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되면, 펄스 모드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서 모터(51)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2, S203)
S203 단계에서 모터 정지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음향출력부(672)를 통해 펄스 작동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에러 알람을 생성하거나, 표시부(318)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모터(51)가 정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S204)
한편, S203 단계에서 모터(51)가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노브 감지센서(690)로부터 사용자의 노브(40)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5) 즉,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펄스 모드 작동에 앞서 사용자가 목표 RPM 레벨을 선택하고자 하는 의사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S205 단계에서 노브(40)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단계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즉, 제어부(640)는 모터(51)를 펄스 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한 초기 작동 시간(t1+t2) 및 목표 RPM 레벨을 설정하고, 목표 RPM 레벨로 모터(5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여 모터(51)를 작동시킨다. (S206, S207)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7 단계는 제1 시간(t1) 동안 모터(51)의 현재 회전수를 목표 RPM 레벨까지 가속하는 단계(S2071)와, 모터(51)의 현재 회전수가 목표 RPM 레벨에 도달한 후 제2 시간(t2) 동안 유지하는 단계(S2072)를 포함할 수 있다.
S207 단계에서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640)는 타이머(642)를 통해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을 연산하고 잔여 시간을 표시부(318)를 통해 표시하며,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부터 경과 시간이 S206 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8, S209)
또한, 제어부(640)는 S209 단계에서 설정된 작동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모터(51)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며(S214), 설정된 작동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터치 센서(654)를 통해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로 터치 조작이 추가적으로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10)
S210 단계에서 펄스 모드 선택부(319a)로 터치 조작이 n회 재입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640)는 터치 조작 재입력 횟수를 n회 추가하여 누적 재입력 횟수를 갱신하여 메모리(641)에 저장하고, 갱신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11, S212)
만약 S212 단계에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기존 잔여 시간에 재입력된 횟수(n)와 제3 시간(t3)을 곱한 시간(t3*n)만큼 더하여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을 재설정하고(S213), S208 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잔여 시간에 재입력된 횟수(n)와 제3 시간(t3)을 곱한 시간(t3*n)만큼 더한 시간을 표시부(318)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한편, S211 단계에서 누적 재입력 횟수가 설정 횟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펄스 모드의 작동 시간을 재설정 또는 잔여 시간을 변경하지 않고 S209 단계로 진행하여 작동 시간의 경과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S205 단계에서 노브(40)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40)는 노브 감지센서(690)를 통해 선택되는 조리 모드를 판단한다. (S215)
만약 S215 단계에서 조리 종료 모드 또는 자동 조리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사용자가 목표 RPM 레벨의 변경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목표 RPM 레벨의 변경없이 전술한 S206 단계로 진행하여 초기 작동 시간(t1+t2) 및 목표 RPM 레벨을 설정한다.
한편, S215 단계에서 수동 조리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40)는 노브(40)에 대한 추가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RPM 레벨을 판단한다. (S216)
S216 단계에서 RPM 레벨에 대한 선택이 확인되면, 제어부(640)는 선택된 RPM 레벨을 목표 RPM 레벨로 재설정한다. (S217) 이 때, 선택되는 RPM 레벨은 전술한 표 1에 기재된 1 레벨 내지 12 레벨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S217 단계에서 목표 RPM 레벨의 재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640)는 선택된 RPM 레벨로 모터(5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모터 제어부(610)로 전달하여 모터(51)를 작동시킨다. (S218)
S218 단계에서, 모터(5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640)는 전술한 S208 단계로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블렌더 10: 자
20: 뚜껑 30: 본체
319: 터치 입력부 319a: 펄스 모드 선택부
319b: 온-오프 선택부 40: 노브
50: 모터 어셈블리 51: 모터
60: 피시비 모듈 65: 터치 모듈
654: 터치 센서

Claims (17)

  1. 내부에 식품이 분쇄되는 블레이드 모듈이 구비되는 자;
    상기 자가 안착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 모듈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며, 조리 모드의 선택을 위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노브;
    상기 회전 조작에 따른 상기 노브의 회전량을 인식하는 노브 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외측 상면에는 터치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우터 케이스의 내측 하면으로서, 상기 터치 입력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터치 입력부로 입력되는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로 감지되는 상기 터치 조작의 입력 횟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터의 전체 작동 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터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상기 조리 모드의 선택을 위해, 상기 노브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노브에 대한 회전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조리 모드가 자동 조리 모드인지 또는 수동 조리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모터의 목표 RPM 레벨을 달리 설정하고,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 입력부로 상기 터치 조작이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로 터치 조작이 재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이 개시된 이후 상기 터치 입력부에 대한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를 재입력된 횟수만큼 추가하여 갱신하고,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렌더.
  2. 삭제
  3. 제1 항에서,
    상기 작동 시간은. 상기 모터의 현재 회전수가 소정의 목표 RPM 레벨까지 상승되는 제1 시간과, 상기 목표 RPM 레벨에 도달한 후 상기 모터의 현재 회전수가 상기 목표 RPM 레벨로 유지되는 제2 시간을 포함하는 블렌더.
  4. 제3 항에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더 짧게 되는 블렌더.
  5. 제4 항에서,
    상기 제1 시간은 1초가 되고, 상기 제2 시간은 2초가 되는 블렌더.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서,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가 자동 조리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가능한 최대 RPM 레벨을 상기 목표 RPM 레벨로서 설정하는 블렌더.
  9. 제1 항에서,
    상기 노브의 회전량에 따라 선택된 조리 모드가 수동 조리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조리 모드 선택 후 상기 노브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노브의 추가적인 회전량에 따라 선택되는 RPM 레벨을 판단하는 블렌더.
  10. 제9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RPM 레벨을 상기 목표 RPM 레벨로서 설정하는 블렌더.
  11. 삭제
  12. 삭제
  13. 제3 항에서,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을 상기 재입력된 횟수에 제3 시간을 곱한 시간만큼 더 연장하여 재설정하는 블렌더.
  14. 제13 항에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을 합산한 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이 되는 블렌더.
  15. 제13 항에서,
    상기 제3 시간은 상기 제2 시간과 동일하게 되는 블렌더.
  16. 제3 항에서,
    상기 누적 터치 조작 입력 횟수가 소정의 설정 횟수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체 작동 시간을 재설정하지 않는 블렌더.
  17. 제1 항에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는 블렌더.
KR1020220061793A 2020-10-26 2022-05-20 블렌더 KR102658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93A KR102658631B1 (ko) 2020-10-26 2022-05-20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133A KR102401757B1 (ko) 2020-10-26 2020-10-26 블렌더
KR1020220061793A KR102658631B1 (ko) 2020-10-26 2022-05-20 블렌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33A Division KR102401757B1 (ko) 2020-10-26 2020-10-26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409A KR20220070409A (ko) 2022-05-31
KR102658631B1 true KR102658631B1 (ko) 2024-04-17

Family

ID=78413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33A KR102401757B1 (ko) 2020-10-26 2020-10-26 블렌더
KR1020220061793A KR102658631B1 (ko) 2020-10-26 2022-05-20 블렌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33A KR102401757B1 (ko) 2020-10-26 2020-10-26 블렌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6162B2 (ko)
EP (1) EP3995057B1 (ko)
KR (2) KR1024017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0224A (ja) * 2015-11-30 2017-06-08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JP2018134259A (ja) * 2017-02-22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7763A5 (de) * 1985-07-23 1988-10-31 Schenk & Co Folientastatur.
US5347205A (en) 1992-09-11 1994-09-13 Hamilton Beach/ Proctor-Silex, Inc. Speed and mode control for a blender
KR19980047123A (ko) 1996-12-13 1998-09-15 배순훈 믹서기의 공회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327594B1 (ko) 1999-12-30 2002-03-15 박종섭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US6632013B2 (en) 2001-04-02 2003-10-14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US6397735B1 (en) 2001-08-21 2002-06-04 Kayue Electric Company Limited Electronic food processor
US20050152215A1 (en) 2003-11-25 2005-07-14 Stuart Jerry E. Blender and sound-dampening enclosure
AU2011296154A1 (en) * 2010-09-01 2013-03-14 Mlc Corporation Pty Ltd Food processing and preparation apparatus
DE102011052405B4 (de) * 2011-07-27 2017-10-1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Über ein als Touchscreen ausgebildetes Display zu betätigende Küchenmaschine
EP3076836B1 (en) * 2013-12-04 2024-07-17 Breville PTY Limited Method for blending food and beverages
WO2016200891A1 (en) * 2015-06-08 2016-12-1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327594B2 (en) * 2015-10-12 2019-06-25 Koninklijke Philips N.V. Blender with temperature sensor
KR20200040045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겸용 정미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0224A (ja) * 2015-11-30 2017-06-08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動工具
JP2018134259A (ja) * 2017-02-22 2018-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okiyamm/22005412225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54A (ko) 2022-05-03
KR102401757B1 (ko) 2022-05-24
US11896162B2 (en) 2024-02-13
KR20220070409A (ko) 2022-05-31
EP3995057B1 (en) 2023-08-02
EP3995057A1 (en) 2022-05-11
US20220125246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429096A (zh) 烹饪设备及上料系统
EP3785586B1 (en) Blender
US20090250452A1 (en) Steam Convection Oven
US636245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roaster oven with digital control assembly
EP3735881B1 (en) Blender
KR20210048914A (ko) 블렌더
CN113784646B (zh) 料理机
KR102658631B1 (ko) 블렌더
US20210059475A1 (en) Blender
US20220400903A1 (en) Blender
CN214048528U (zh) 上盖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US20220322884A1 (en) Blender
KR20220165358A (ko) 블렌더
CN113795183A (zh) 料理机
KR100497907B1 (ko) 조립식 가열 조리기
CN114246451B (zh) 烹饪器具
CN215838345U (zh) 烹饪器具
KR20220165356A (ko) 블렌더
CN210043818U (zh) 刀座组件及料理机
KR20220165357A (ko) 블렌더
JP6346840B2 (ja) 梱包方法及び調理器セット
CN112273992A (zh) 一种分体式多功能锅
JP2685382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