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697A -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 Google Patents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97A
KR20200092697A KR1020190009921A KR20190009921A KR20200092697A KR 20200092697 A KR20200092697 A KR 20200092697A KR 1020190009921 A KR1020190009921 A KR 1020190009921A KR 20190009921 A KR20190009921 A KR 20190009921A KR 20200092697 A KR20200092697 A KR 20200092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ver member
vacuum chamber
release val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1020190009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697A/ko
Publication of KR2020009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상태에서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고, 수용부재를 덮는 커버부재가 승강될 수 있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가 수용부재를 덮었을 때 커버부재와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덮이면서 힘을 받아 가스켓의 특정부위가 불균일하게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공블렌더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가스켓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 VACUUM BLENDER }
본 발명은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상태에서 수용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고, 수용부재를 덮는 커버부재가 승강될 수 있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블렌더(믹서기)는 오늘날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기제품 중 하나로서, 저장용기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믹서날을 이용하여 과일, 야채, 곡물 등의 음식물을 잘게 분쇄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인 블렌더는 저장 용기 내에 분쇄 대상인 음식물을 넣은 후에 뚜껑을 닫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믹서날을 회전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저장 용기 내의 공기와 분쇄된 음식물 알갱이가 고속으로 혼합되면서 많은 거품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바나나, 토마토와 같은 과일을 블렌더에 넣고 분쇄시키면, 과일 주스의 상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과일 주스를 마실 때에 맛과 식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섬유질이 분쇄 과정에서 이미 산화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식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음식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진공블렌더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8019호 등에 나타나 있는 진공블렌더의 경우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덮는 커버부재(챔버부재)의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하기 위해 커버부재와 구동본체 사이에는 가스켓이 장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재의 힌지점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가스켓 부위와 상기 커버부재의 힌지점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가스켓 부위는,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시 서로 다른 힘을 받게 된다.
즉, 커버부재의 힌지점과 인접한 곳에 위치한 가스켓이 먼저 가압되고, 힌지점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가스켓이 늦게 가압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커버부재의 회전을 장시간 반복하게 되면, 힌지점에 인접한 곳의 가스켓 부위가 항상 먼저 닿고 큰 힘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어 가스켓의 밀폐력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커버부재의 내부에 진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137451호 등록특허 제10-190801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수용부재를 덮는 커버부재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에서, 커버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장시간 커버부재를 반복하여 회전시키더라도 가스켓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커버부재 내부의 진공이 원활하고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는,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실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제1진공실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진공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과; 상기 구동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를 덮고,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재의 둘레를 따라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구동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을 밀폐시키는 가스켓과; 상기 수용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을 연통시키면서 상기 제1진공실이 진공완료되면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진공실을 외부로 개폐하고, 상기 제2진공실과 연통되는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1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은 진공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으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스켓에 의해 상기 제2진공실은 밀폐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제2진공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가스켓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고,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이 해제되면 하강된 상기 커버부재는 상승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구동본체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구동본체 또는 커버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회전홀더의 내부공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하강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전홀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승강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축을 상방향으로 미는 상기 승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진공실이 진공되었을 때보다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구동본체에 결합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구동본체에 대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잡고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장착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을 해제시킨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진공해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해제밸브는 상기 진공해제공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해제공을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진공해제공을 개폐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진공해제공을 개방시킨다.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개폐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장착되되,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이 상기 진공해제공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이 개방시킨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가 개폐탄성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부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에 밀착되어 폐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압축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이 개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수용부재를 덮는 커버부재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에서 커버부재가 승강됨으로써, 커버부재가 수용부재를 덮었을 때 커버부재와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덮이면서 힘을 받아 가스켓의 특정부위가 불균일하게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공블렌더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가스켓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에서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에서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
도 5는 도 4에서 진공에 의해 커버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진공해제밸브의 작동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진공해제밸브의 작동과정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에서 커버부재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블렌더에서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진공에 의해 커버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진공해제밸브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본체(10)와, 수용부재(20)와, 칼날(25)과, 커버부재(30)와, 힌지부(40)와, 가스켓(50)과, 제1체크밸브(60)와, 스토퍼(70)와, 진공해제밸브(8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본체(10)는 내부에 모터(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재(2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실(21)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칼날(25)은 상기 제1진공실(21)에 배치되면서 상기 수용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재(20)를 상기 구동본체(10)에 결합시켰을 때 상기 모터(15)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15)에 의해 상기 칼날(25)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진공실(21)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구동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20)의 외부를 덮는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의 외부를 덮게 되면, 상기 커버부재(30)의 내부와 상기 수용부재(20)의 외부 사이에는 상기 수용부재(20)의 둘레를 따라 제2진공실(3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0)에는 상기 커버부재(30)를 잡고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구동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는 후방에 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1)의 상부에 상기 힌지부(4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지지대(11)의 상부에 결합된 상기 힌지부(4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30)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11)에는 LED 등이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재(20)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분쇄될 때 빛을 비추도록 함으로써, 독특하고 화려한 디자인 등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힌지부(4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재(30)와 상기 수용부재(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2진공실(31)을 외부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2진공실(31)에 배치된 상기 수용부재(20)를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지지대(11)의 상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구동본체(10)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회전됨으로써, 그 내부에 배치된 상기 수용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커버부재(30)와 상기 구동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의 외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31)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 또는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면에 폐곡선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40)는 상기 가스켓(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가스켓(50)의 안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3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재(20)를 덮게 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은 상기 가스켓(50)에 접하면서 상기 제2진공실(31)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60)는 상기 제1수용부재(20)에 장착되고, 상기 제1진공실(21)과 제2진공실(31)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즉, 상기 제1체크밸브(60)는 상기 제1진공실(21)의 공기가 상기 제2진공실(31)로 이동할 때에는 개방되고, 상기 제1진공실(21)이 진공 완료되면 진공압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상기 제2진공실(31)의 공기가 상기 제1진공실(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기 제1체크밸브(60)의 구체적인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며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진공펌프(17)는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진공펌프(17)는 상기 제2진공실(31)과 연통되어 작동시 상기 제2진공실(31)의 공기를 외부 배출시킨다.
상기 제2진공실(3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개방되어 있는 상기 제1체크밸브(60)를 통해 상기 제1진공실(21)의 공기는 상기 제2진공실(31) 및 진공펌프(1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다.
그리고, 상기 제1진공실(21)의 진공이 완료되어 상기 진공펌프(17)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1진공실(21)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체크밸브(60)는 상기 제1진공실(21)과 제2진공실(31)의 연통을 차단하면서 음식물이 들어 있는 상기 제1진공실(21)을 외부로부터 폐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서 상기 진공펌프(17)는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진공펌프(17)는 진공블렌더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을 위해 상기 커버부재(30)에는 별도의 제2체크밸브(미도시)가 장착되고, 외부에 배치된 진공펌프(17)가 상기 제2체크밸브와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힌지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진공펌프(17)에 의해 상기 제2진공실(3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힌지부(40)에 의해 상기 가스켓(5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가스켓(50)에 의해 하강된 상기 커버부재(30)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과, 회전홀더(42)와, 승강탄성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구동본체(10) 또는 커버부재(3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상기 회전홀더(42)는 상기 구동본체(10) 또는 커버부재(30)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축(41)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회전홀더(42)의 내부공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홀더(42)는 상하방향을 포함하여 좌우방향으로도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커버부재(30)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더(42)는 상기 구동본체(10)에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회전축(41) 및 회전홀더(42)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압 및 상기 힌지부(40)의 구조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시 상기 회전축(41)이 상기 회전홀더(42)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강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30)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와 상기 구동본체(1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스켓(50)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제2진공실(31)은 더욱 완벽하게 밀폐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후방에 배치된 상기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재(20)를 덮게 되면, 상기 힌지부(40)에 가까운 부분이 먼저 접하고 상기 힌지부(40)로부터 먼 부분이 나중에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부재(30)를 하방향으로 회전시켜 닫을 때, 상기 커버부재(30)의 하면과 접하는 상기 가스켓(50)의 부위 중 상기 힌지부(40)에 가까운 부분이 먼저 닿게 되고, 상기 힌지부(40)로부터 먼 부분이 늦게 닿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30)를 장시간 반복하여 회전시켜 사용하다 보면, 상기 힌지부(40)에 가까운 부분이 가장 많이 손상되고 복원되는 힘이 저하되게 되며, 상기 힌지부(40)로부터 먼 부분은 가스켓(50)과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힌지부(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커버부재(30)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을 때에는 상기 커버부재(30)는 약간 들뜬 상태로 상기 가스켓(50)의 전체부위에서 균일하게 접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축(41)이 상방향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3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는 약간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힌지부(40)로부터 가깝거나 먼쪽에 상관없이 상기 가스켓(50) 전체에 균일하게 접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진공펌프(17)의 작동에 의해 제2진공실(31)이 진공되어감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회전축(41)이 상기 회전홀더(42)를 따라 하강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스켓(50)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축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가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50)의 압축시 특정부위가 먼저 압축되어 파손되거나 틈이 발생하여 진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3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가스켓(50)을 누르면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탄성부재(43)는 상기 회전홀더(42)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41)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승강탄성부재(43)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30)를 약간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진공실(31)이 진공됨에 따라 상기 승강탄성부재(43)는 상기 커버부재(30)의 회전축(41)이 하강하여 압축되게 되며,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 해제시 상기 가스켓(50)과 더불어 상기 커버부재(30)를 상승시키는 힘을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축(41)을 상방향으로 미는 상기 승강탄성부재(4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제2진공실(31)이 진공되었을 때보다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승강탄성부재(4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41)이 상기 커버부재(30)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홀더(42)가 상기 구동본체(10) 장착된 것을 전체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회전축(41)이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홀더(42)가 상기 커버부재(30)에 장착되어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구동본체(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압에 의해 약간 유동될 수도 있는데, 상기 스토퍼(70)는 진공 과정시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구동본체(10)에 대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가스켓(50)이 상하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0)가 하강할 때,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가스켓(50)의 경사부분을 따고 전방으로 약간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스토퍼(70)가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구동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30)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2진공실(31)이 정확하게 밀폐된 상태에서 진공이 원활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는 상기 커버부재(3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만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구동본체(10)에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종래의 공지된 잠금장치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진공해제밸브(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에 장착되어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공해제밸브(81)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는 상기 손잡이부(32)에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2)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손잡이부(32)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을 해제시키고 별도로 상기 커버부재(30)를 개방하는 2가지의 동작을 할 필요없이, 상기 커버부재(30)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30)에 장착된 상기 손잡이부(32)를 잡고 당기거나 밀면 자동으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을 해제하고 잡은 손잡이부(32)를 통해 커버부재(30)를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재(3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32)를 잡아 당기면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곧바로 해제되면서 동시에 상기 커버부재(3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에는 진공해제공(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32)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81)는 상기 진공해제공(35)에 상기 진공해제공(35)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해제밸브(8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진공해제공(35)이 개폐되게 된다.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2)를 상기 커버부재(30)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부(32)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이동하면서 상기 진공해제공(35)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외력을 인가하지 않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상기 진공해제공(35)을 폐쇄하도록 하기 위해, 개폐탄성부재(8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개폐탄성부재(82)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상기 진공해제공(35)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32)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32)의 타단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탄성부재(82)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부(32)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개폐탄성부재(82)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의 타단이 상기 진공해제공(35)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상기 진공해제공(35)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를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32)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35)이 개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진공실(31)이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를 잡아당기면,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35)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해제되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하여 개폐되는 상기 커버부재(30)가 승강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30)가 상기 수용부재(20)를 덮었을 때 상기 커버부재(30)와 구동본체(1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스켓(5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덮이면서 힘을 받아 상기 가스켓(50)의 특정부위가 불균일하게 힘을 받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공블렌더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가스켓(50)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진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와 진공해제밸브의 작동과정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손잡이부(32), 진공해제밸브(81), 개폐탄성부재(83) 등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재(30)에는 상기 진공해제공(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해제공(35)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32)는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커버부재(3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가 개폐탄성부재(83)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가 상기 커버부재(3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상기 진공해제공(35)에 밀착되어 폐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의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30)의 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부재(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탄성부재(83)는 상기 커버부재(30)의 내측면과 상기 진공해제밸브(81)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의 일단이 상기 진공해제공(35)이 밀착되어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32)를 잡아당기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32)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81)는 상기 손잡이부(32)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개폐탄성부재(83)는 압축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35)이 개방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30)의 안쪽에 형성된 상기 제2진공실(31)의 진공이 해제되게 된다.
그 후 상기 손잡이부(32)를 놓으면, 상기 개폐탄성부재(8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진공해제밸브(81)가 후퇴하면서 상기 진공해제공(35)을 다시 막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구동본체, 11 : 지지대, 15 : 모터, 17 : 진공펌프,
20 : 수용부재, 21 : 제1진공실, 25 : 칼날,
30 : 커버부재, 31 : 제2진공실, 32 : 손잡이부, 35 : 진공해제공,
40 : 힌지부, 41 : 회전축, 42 : 회전홀더, 43 : 승강탄성부재,
50 : 가스켓,
60 : 제1체크밸브,
70 : 스토퍼,
81 : 진공해제밸브, 82,83 : 개폐탄성부재.

Claims (11)

  1.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실이 형성된 수용부재와;
    상기 제1진공실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진공실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칼날과;
    상기 구동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를 덮고,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재의 둘레를 따라 제2진공실을 형성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구동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의 외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을 밀폐시키는 가스켓과;
    상기 수용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을 연통시키면서 상기 제1진공실이 진공완료되면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의 연통을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진공실을 외부로 개폐하고,
    상기 제2진공실과 연통되는 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1체크밸브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진공실과 제2진공실은 진공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으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스켓에 의해 상기 제2진공실은 밀폐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제2진공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가스켓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고,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이 해제되면 하강된 상기 커버부재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구동본체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구동본체 또는 커버부재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축이 삽입 배치되는 상기 회전홀더의 내부공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힌지부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전홀더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승강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이 해제되면 상기 회전축을 상방향으로 미는 상기 승강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2진공실이 진공되었을 때보다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수용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구동본체에 결합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구동본체에 대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잡고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장착되되,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실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진공해제공이 형성되고,
    상기 진공해제밸브는 상기 진공해제공에 장착되어 상기 진공해제공을 관통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진공해제공을 개폐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커버부재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부에 장착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면서 상기 진공해제공을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9. 청구항7에 있어서,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개폐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10.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는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장착되되,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이 상기 진공해제공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을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이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11. 청구항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가 개폐탄성부재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부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상기 진공해제공에 밀착되어 폐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개폐탄성부재는 압축되면서 상기 진공해제밸브가 이동하여 상기 진공해제공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KR1020190009921A 2019-01-25 2019-01-25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KR20200092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21A KR20200092697A (ko) 2019-01-25 2019-01-25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21A KR20200092697A (ko) 2019-01-25 2019-01-25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97A true KR20200092697A (ko) 2020-08-04

Family

ID=7204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921A KR20200092697A (ko) 2019-01-25 2019-01-25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6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083B1 (ko) * 2020-11-05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451A (ko) 2016-06-20 2016-11-30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KR101908019B1 (ko) 2018-04-09 2018-10-16 안중근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451A (ko) 2016-06-20 2016-11-30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KR101908019B1 (ko) 2018-04-09 2018-10-16 안중근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083B1 (ko) * 2020-11-05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0611B (zh) 具备防倒流功能的真空搅拌机用存储容器
US20220175192A1 (en) Vacuum blender
KR101618729B1 (ko)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CN105919396A (zh) 一种真空果汁机
CN106419642A (zh) 一种具有抽真空功能的搅拌杯及食物料理机
KR101673246B1 (ko) 진공 믹서기
KR101849160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CN103857317A (zh) 烹调机
KR102635598B1 (ko)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및 진공 블렌더용 이물받이부재
CN206867150U (zh) 一种密封效果好的料理机
KR102063787B1 (ko) 진공블렌더
KR101695733B1 (ko) 진공 믹서기
KR20200092697A (ko) 커버부재 승강형 진공블렌더
KR101836074B1 (ko)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KR101908019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2165314B1 (ko) 외부 진공용기의 진공기능을 갖는 진공블렌더
CN217524615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102244931B1 (ko) 진공조리기
CN109567550B (zh) 一种低泡果蔬汁加工方法及料理机
CN109662621A (zh) 一种具有真空保压盖的破壁机
KR20200117837A (ko) 진공블렌더
CN219353713U (zh) 一种投料盖自动伸缩结构以及柜式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