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27B1 -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27B1
KR101545427B1 KR1020137028855A KR20137028855A KR101545427B1 KR 101545427 B1 KR101545427 B1 KR 101545427B1 KR 1020137028855 A KR1020137028855 A KR 1020137028855A KR 20137028855 A KR20137028855 A KR 20137028855A KR 101545427 B1 KR101545427 B1 KR 101545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platen
stationary platen
stamping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070A (ko
Inventor
줄리앙 크레띠앙
Original Assignee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3013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26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below article-supporting surface
    • B41K3/28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below article-supporting surface and bearing a positive image
    • B41K3/3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below article-supporting surface and bearing a positive image and having means for varying the image, e.g. by exchanging stamping plat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B30B15/064Press plat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4Presses of the reciprocating type
    • B41F16/0046Presses of the reciprocating type with means for applying print under heat and pressure, e.g. using heat activ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66Printing dies or 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08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means for stamping or cutt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2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embossing
    • B41F19/06Printing and embossing between a negative and a positive forme after inking and wiping the negative forme; Printing from an ink band treated with colour or "g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 (300)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고정식 압반 (320) 과 가동식 압반 (330) 사이에서 스탬핑함으로써, 상기 시트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스탬핑 호일 (410) 로부터의 착색 또는 금속화 필름을 피착시킬 수 있는 압반 프레스 (310) 와,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일체로 된 어떠한 스탬핑 공구를 주어진 온도까지 제공하여, 상기 압반 프레스 (310) 내의 고온 환경에서 스탬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가열 요소 (340) 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상기 가열 요소 (340) 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압반 프레스 (310) 의 외측에 배열되는 보수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HOT-STAMPING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열간 스탬핑에 의해 인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사치품 산업용으로 의도된 제조 패키징 분야에서 배타적이지 않으면서 특히 유리하게 적용된다.
시트 형태의 지지체상에 이 지지체에 접하여 가압시킴으로써, 스탬핑을 사용하여 문자 및/또는 패턴을 인쇄하는 것, 즉 1 개 이상의 스탬핑 호일들의 착색 또는 금속화 필름 (통상적으로 금속화 스트립들로 알려짐) 을 피착 (deposit) 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산업에서, 이러한 전사 작업 (transfer operation) 은 종래에 수직 압반 프레스 (vertical platen press) 에 의해 실시되었고, 이 수직 압반 프레스에서 각각의 인쇄 지지체 및 관련 스탬핑 호일들이 2 개의 평행한 압반들 사이에서 함께 가압되며, 2 개의 평행한 압반들 중 일방은 고정되는 반면 타방은 수직방향 전후 운동으로 변위됨으로써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열간 스탬핑의 경우에, 필름의 전사는 적용될 열 뿐만 아니라 압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로, 고정식 압반 및 이와 연관된 스탬핑 공구들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가열 부재가 삽입된다. 이러한 가열 부재는 일반적으로 가열 플레이트 형태를 취하고, 이 가열 플레이트의 일방의 면은 플레이트와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도록 된 절연 재료로 덮여있는 반면, 타방의 면은 스탬핑 공구들 뒤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 가열 요소는 압반 프레스의 내측으로부터 끼워지는 다수의 체결 나사들에 의해 고정식 압반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는, 실제로 체결 나사들 각각이 압반에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된 내부 나사산에 나사결합되기 전에 가열 요소를 통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배열은 특히 가열 요소로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어, 상당히 복잡한 보수 및 수리 작업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체결 나사들을 끼우고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팔을 프레스의 압반들 사이에 넣을 필요가 있고, 이는 매우 비현실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조작자가 서 있는 측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체결 나사들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압반 프레스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바로 배치된 일부 주변 유닛들을 제거할 필요가 종종 있다. 마지막으로, 유닛들을 압반 프레스로부터 추출하거나 또는 압반 프레스안으로 삽입하는 전 시간 동안 가열 요소를 손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또한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는, 고정식 압반과 가동식 압반 사이에서 스탬핑함으로써, 상기 시트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스탬핑 호일로부터의 착색 또는 금속화 필름을 피착시킬 수 있는 압반 프레스와, 상기 고정식 압반과 일체로 된 어떠한 스탬핑 공구를 주어진 온도까지 제공하여, 상기 압반 프레스 내의 고온 환경에서 스탬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장치는, 특히 훨씬 용이한 보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로부터의 문제들을 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시된 기술적 문제에 대한 방안은,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고정식 압반과 상기 고정식 압반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압반 프레스의 외측에 배열되는 보수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가열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설명 단계에서, 가열 요소의 가동성은 이론적으로 어떠한 종류의 운동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변위될 때 어떠한 유형의 궤적을 가질 수 있고, 즉 단지 직선 운동 또는 원형 운동일 수 있고, 보다 일반적으로 곡선 운동일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운동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작동 위치가, 가열 요소가 전 작동 (fully operational) 하는, 즉 압반 프레스내에서 가열 기능을 이행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다. 반대로, 보수 위치에서는, 가열 요소가 충분히 접근가능한 위치에서 압반 프레스 외측에 위치되어, 보다 더 적합한 위치로 직접 또는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경우이든지, 개시된 본원은 가열 요소를 추출 또는 끼우기 위해 압반 프레스 내측에서 어떠한 개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종래 기술의 유사한 버젼과는 상이하게, 본원에 따른 가열 요소는 단순히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지 않고, 즉 가역적으로 체결된다. 또한, 가열 요소는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데, 이는 압반 프레스의 내측 및 외측 사이에서의 어떠한 전사 동안 기계적으로 지지 및 안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계의 나머지 부분과는 별개로, 예를 들어 가열 요소의 열용량을 시험하기 위해서 가열 요소에 대한 어떠한 개재를 용이하게, 신속하게 또한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하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모든 이들의 가능한 기술적으로 조합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특징에 관한 것이다.
비한정적인 실시예로서 기재된 이러한 설명은, 본원의 과제 및 이를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이해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잘 설명된다.
도 1 은 열간 스탬핑을 사용하여 판지 시트를 인쇄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원에 따른 인쇄 장치가 장착된 처리 기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인쇄 장치를 보다 특히 자세히 도시하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7 은 압반 프레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사할 시 압반 프레스에 대하여 가열 요소를 변위시키는 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3 은 압반 프레스 내측의 작동 위치에서 가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4 는 전사 단계의 시작시 잠금해제된 가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는 전사 공정의 중간 위치에서 가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은 전사 공정의 종료, 즉 가열 요소가 이의 보수 위치에 도달했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가열 요소를 보수 위치로부터 인출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8 은 가열 요소가 작동 위치에서 체결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프레스의 고정식 압반의 수직 단면도, 및
도 9 및 도 10 은 도 3 및 도 7 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가열 요소와 전기 연결 박스를 연관시킴으로써 구별되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고, 본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만을 축적대로가 아니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 에서는 사치품 산업용으로 의도된 판지 패키징을 주문제작할 수 있는 처리 기계 (1) 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도금 기계 (gilding machine) 라고 하는 이러한 처리 기계 (1) 는 종래에 연속적인 시트 형태의 인쇄 지지체를 처리할 수 있는 유닛을 형성하도록 병치되었지만 서로 독립적인 다수의 작업 스테이션 (100, 200, 300, 400, 500) 으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공급기 (100), 공급 테이블 (200), 인쇄 장치 (300), 호일 공급 및 회수 스테이션 (400), 및 전달 스테이션 (500) 이 발견되었다. 각각의 시트를 공급 테이블 (200) 의 출구로부터 인쇄 장치 (300) 를 통하여 전달 스테이션 (500) 까지 개별적으로 변위시키기 위해서 운반 수단 (600) 이 더 제공된다.
처리 기계 (1) 의 상이한 부분들 (100, 200, 300, 400, 500, 600) 은 종래로부터 매우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이한 부분들의 구조 또는 작동에 대해서는 본원에서 자세히 기재하지 않는다.
단지 실시예로서 선택된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기 (100) 에는 팔레트에 저장된 연속 적층체로부터 판지 시트들이 제공되는 것을 간단히 알 수 있다. 시트들을 바로 인접한 공급 테이블 (200) 로 운반하는 흡입 파지 요소에 의해 각각의 적층체의 상부로부터 시트들을 연속적으로 취한다.
시트들은 흡입 파지 요소에 의해 공급 테이블 (200) 에 차례차례로 배치되어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그 후, 전체 스트림은 벨트 구동식 운반 기구에 의해 판지 (210) 를 따라서 인쇄 장치 (300) 쪽으로 변위하여 구동된다. 스트림의 종료시, 선단 시트는 전방 및 측면 캐치들에 의해 정확하게 조직적으로 위치된다.
그리하여, 공급 테이블 (200) 바로 다음에 위치한 작업 스테이션은 인쇄 장치 (300) 이다. 이러한 스테이션의 목적은,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단일 스탬핑 호일 (410) 로부터의 금속화 필름을 열간 스탬핑에 의해 시트 각각에 피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압반 프레스 (310) 를 사용하고, 이 압반 프레스내에서 고정식인 상부 압반 (320) 과 수직방향 전후 운동으로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 하부 압반 (330) 사이에서 스탬핑 작업이 실시된다. 스탬핑 공구들 (비도시) 은 물론 압반들 (320, 330) 각각과 연관되어 있다.
호일 공급 및 회수 스테이션 (400) 은 인쇄 장치 (300) 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스테이션은 기계에 스탬핑 호일 (410) 을 공급하고 또한 호일을 사용하자마자 이 호일을 회수 (removing)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이중 역할을 한다.
상기 특정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호일 (410) 은 종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공급 릴 (420) 주변에 감겨서 저장된다. 유사하게, 호일이 압반 프레스 (310) 를 통과한 후, 호일 (410) 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수 릴 (430) 주변에 감긴다. 호일 (410) 은 구동 시스템 (440) 에 의해 호일 저장 지점과 호일 회수 지점 사이에서 변위하여 구동되고, 이 구동 시스템은 호일을 소정의 거리에 걸쳐서 또한 특히 압반 프레스 (310) 를 통과하는 특정 풀림 경로에 걸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이 호일 구동 시스템 (440) 은 주로 한편으로는 호일 (410) 의 변위를 안내하기 위해 풀림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일련의 전환 바 (441) 와, 다른 한편으로는 변위시 상기 호일 (410) 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풀림 경로로부터 하류측에 위치된 전진 샤프트 (442) 와 프레스 롤러 (443) 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압반 프레스 (310) 로부터 바로 하류측에 가이드 (444) 가 더 존재한다.
시트들을 처리하는 공정은 전달 스테이션 (500) 에서 끝나고, 이 전달 스테이션의 주요 목적은 막 처리된 시트들을 재적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운반 수단 (600) 은 새로운 적층체 바로 위에 위치될 때 각각의 시트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시트는 적층체의 상부로 똑바로 떨어진다.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운반 수단 (600) 은 일련의 클램핑 바 (610) 를 사용하고, 이 클램핑 바는 처리 기계 (1) 의 각측에 측방향으로 배열된 2 세트의 체인들 (620) 을 통하여 횡방향 병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각 세트의 체인들 (620) 은 클램핑 바 (610) 가 인쇄 장치 (300), 공급 및 회수 스테이션 (400), 및 전달 스테이션 (500) 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궤적을 따르도록 하는 루프를 형성한다.
도 2 에서 보다 자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 (300) 는 열간 스탬핑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압반 프레스 (310) 에는, 고정식 압반 (320) 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 (비도시) 를 소정의 온도까지 제공할 있는 가열 요소 (340) 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과제에 따라서, 상기 가열 요소 (340) 는 작동 위치와 보수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유닛은, 작동 위치에서는 고정식 압반 (320) 과 상기 압반 (320) 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 사이에 가열 요소 (340) 가 배치되고 (도 2 ~ 도 4) 또한 보수 위치에서는 압반 프레스 (310) 의 외측에 상기 가열 요소 (340) 가 배치 (도 6) 되도록 배열된다.
본원의 일 특징에 따라서, 인쇄 장치 (300) 에는 가열 요소 (340) 가 작동 위치와 보수 위치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 (350) 이 장착된다. 이러한 특징은 실제로 운반 수단 (350) 이 가열 요소 (340) 의 전사시 실제의 지지 및 안내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을 내포한다.
인쇄 장치 (300) 는 가열 요소 (340) 가 2 단계로 변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그리하여, 운반 수단 (350) 은 초기에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가열 요소 (340) 를 병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작동 위치 (도 3 및 도 4) 와, 가열 요소 (340) 가 프레스 (310) 의 2 개의 압반들 (320, 330) 사이에 이 압반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되는 중간 위치 (도 5) 사이에서 일어난다. 하지만, 운반 수단 (350) 은 또한 가열 요소 (340) 를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더욱 병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전술한 중간 위치 (도 5) 와 보수 위치 (도 6) 사이에서 일어난다.
본원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쇄 장치 (300) 에는 종래에 고정식 압반 (320) 에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를 지지하는 책임이 있는 프레임 (351) 이 장착된다. 동일하게 종래에, 상기 프레임 (351) 은, 이 프레임이 작동 위치에서 가열 요소 (340) 에 대향하고 또한 이와 접촉하여 연장되는 사용 위치 (도 3 및 도 4) 와, 프레임이 압반 프레스 (310) 의 외측에 배열되는 추출 위치 (도 6 및 도 7) 사이에서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조건 및 본원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운반 수단 (350) 을 형성하는 프레임 (351) 은, 상기 프레임이 (351) 이 사용 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때 가열 요소 (340) 를 작동 위치와 보수 위치 사이에서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장점은, 선행의 운반 시스템, 이 경우에는 고정식 압반 (320) 과 연관된 스탬핑 공구들을 지지하는 책임이 있는 가동식 프레임 (351) 을 사용하여, 가열 요소 (340) 를 운반하기 위한 특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설치할 필요성을 없애준다는 것이다.
실제로, 압반 프레스 (310) 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프레임 (351) 에 배치된 가열 요소 (340) 에 의해 형성되는 가동 유닛은 횡방향으로 운반되어, 조작자가 서 있는 측에 위치된 스탠드 (311) 의 부분을 통하여 형성되는 측방향 개구 (312) 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하여, 가동 유닛 (340, 351) 은 프레스 (310) 의 압반들 (320, 330) 사이에서 프레임 (351) 을 수직하게 하강시켜 압반 프레스 (310) 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변위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작동은 실제로 4 개의 잠금 훅들 (352) 에 의해 실시되고, 이 잠금 훅들은, 프레임 (351) 의 4 개의 코너들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프레임 (351) 을 수평방향으로 운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를 위해, 훅 (352) 각각의 이동은, 고정식 압반 (320) 과 자체 접촉하는 가열 요소 (340) 에 접하여 프레임 (351) 을 적용하는 상부 위치 (도 3 및 도 4) 와, 2 개의 일련의 전사 롤러 (353a, 353b) 에서 지지되도록 이를 배치한 후에 프레임 (351) 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서 있는 하부 위치 (도 5 ~ 도 7) 사이에서 일어난다. 유닛은, 프레임 (351) 이 상기 롤러들 (353a, 353b) 에 실제로 놓일 때, 가열 요소 (340) 가 중간 위치에 있도록 배열된다.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4 개의 훅들 (352) 의 동시 병진 이동은 개별적인 탄성 복귀 수단 (비도시) 과 공통의 일방향 변위 수단 (비도시) 의 조합 작용으로 인한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훅 (352) 각각은 실제로 스프링 와셔들의 적층체와 연결되어, 탄성 복귀 수단을 형성하고, 이 탄성 복귀 수단은 훅을 상부 위치로 영구적으로 가압한다. 하지만, 또한 훅은 공압 시스템과 연결되어, 일방향 변위 수단을 형성하고, 이 일방향 변위 수단은 탄성 복귀 수단의 영구적인 작용에도 불구하고 작동되면 훅을 하부 위치로 가압할 수 있다.
가열 요소 (340) 가 중간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가동 유닛 (340, 351) 은 측방향 개구 (312) 를 통하여 수평방향 병진 이동에 의해 압반 프레스 (310) 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계속 변위된다. 실제로, 이러한 작동은 압반 프레스 (310) 의 내측 및 외측 둘 다에 배치된 다수의 일련의 회전 롤러들 (353a, 353b, 354a, 354b) 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프레임 (351) 에 의해 실행된다.
실제로, 압반 프레스 (310) 내측에서의 슬라이딩은 2 개의 일련의 내부 롤러들 (353a, 353b) 에서 실시되고, 이 내부 롤러들은 스탠드 (311) 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프레스 (310) 로부터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다. 프레스 (310) 외측에서 프레임 (351) 의 슬라이딩을 위해서 2 개의 일련의 외부 롤러들 (354a, 354b) 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부 롤러들은, 2 개의 일련의 내부 롤러들 (353a, 353b) 각각의 연장부에서, 측방향 개구 (312) 의 양측에 배치된 2 개의 지지 암 (312a, 312b) 에 위치된다. 유닛은, 프레임 (351) 의 수평방향 병진 이동이 중간 위치와 보수 위치 사이에서의 가열 요소 (340) 의 운반 (transfer) 에 대응되도록 배열된다.
전술한 수직방향 병진 이동과는 반대로, 프레임의 수평방향 병진 이동은 기계화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는 2 개의 변위 핸들 (355) 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실시된다.
본원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인쇄 장치 (300) 에는 또한 가열 요소 (340) 를 작동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 수단 (360) 이 제공된다. 물론, 가열 요소 (340) 를 변위시키는 능력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러한 고정을 역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체결 수단 (360) 이 가열 요소 (340) 가 추출되기 전에는 비활성화되고 또한 인쇄 장치 (300) 를 시동하기 전에는 활성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체결 수단 (360) 은, 상기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위치된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로부터 체결 수단을 당김으로써,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접하여 가열 요소 (340) 를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유효한 고정화와는 별개로, 이러한 적용의 장점은, 열의 영향으로 가열 요소 (340) 가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가동식 압반 (330) 의 전후 운동으로 인한 진동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내부면 (321) 반대편의 고정식 압반 (320) 의 면, 소위 외부면 (322) 으로부터 체결 수단 (360) 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가능성은 체결 수단 (360) 의 위치결정과 체결 수단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둘 다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결 수단 (360) 은 다수의 타이 로드들 (361) 을 가지고, 이 다수의 타이 로드는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식 압반 (320) 을 관통하여 형성된 이와 동일한 개수의 위치결정 구멍들 (323) (도 2) 에 배치된다. 타이 로드 (361) 각각은,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받침대 형태의 헤드 (362) 와, 가열 요소 (340) 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 (341) 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가공된 단부 (363) 를 더 포함한다.
도 8 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이 로드 (361) 각각은 실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정식 압반 (320) 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가공된 로드 형태를 취한다. 이 타이 로드의 헤드 (362) 는 고정식 압반 (320) 의 외부면 (322) 에 위치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프레스 (310) 외측으로부터 바로 타이 로드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타이 로드의 부분에 대하여, 타이 로드의 나사가공된 단부 (363) 는 고정식 압반 (320) 으로부터 돌출되어, 이 나사가공된 단부는 나사가공된 단부 바로 밑에 배치된 가열 요소 (340) 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열 요소 (340) 는 상하로 위치된 가열 플레이트 (343) 및 절연 플레이트 (344) 를 조합한 복합 구조를 가진다. 가열 플레이트 (343) 의 외부면은 압반 프레스 (310) 의 내측에 대향하고, 즉 스탬핑 공구들과 마주보는 반면, 절연 플레이트 (344) 의 외부면은 고정식 압반 (320) 에 접하여 적용된다.
도 8 에 따라서, 가열 플레이트 (343) 는 또한 다수의 가열체들 (346) 이 통합된 열전도성 플레이트 (345) 로 구성된 복합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열전도성 플레이트 (345) 의 두께에 하우징 (347) 이 형성되고, 이 하우징은 전기 저항체 형태의 가열체들 (346) 을 수용하도록 치수결정된다.
다양한 가열체들 (346) 에 전기를 공급하는 와이어들은 상류측 및 하류측 가장자리들을 따라서 열전도성 플레이트 (345) 를 나오고, 그 후 함께 다발로 되어, 기계 (1) 의 조작자가 서 있는 측에서, 측방향으로 고정된 동일한 연결 박스 (348) (도 9 및 도 10) 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박스 (348) 는 가열 요소 (340) 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와 함께 또한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서, 인쇄 장치 (300) 는 또한 연결 박스 (348) 를 압반 프레스 (310) 의 스탠드 (311) 에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가진다. 실제로, 이러한 체결 수단을 사용하는 목적은, 단지 연결 박스 (348) 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결 수단이 타이 로드들 (361) 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기 전에 가열 요소 (340) 를 고정식 압반 (320) 에 대하여 미리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체결 수단은 압반 프레스 (310) 의 스탠드 (도 9 및 도 10 에는 비도시, 도 2 에서 볼 수 있음) 에 직접 나사결합되는 나사들로 구성된다.
고정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이론적으로 단 하나의 타이 로드 (361) 를 사용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도 1 내지 도 10 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가열 요소 (340) 의 전체 표면에 걸쳐 분포되는 여러 개의 타이 로드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타이 로드들이 여기에서 규칙적으로 분포되지 않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는, 타이 로드 (361) 각각이 가열 요소 (340) 를 구성하는 다양한 가열체 (346) 의 위치에 따라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또한 중심 지점에서 응력이 가장 크다면, 가열 요소 (340) 의 중심 구역에 더 많은 타이 로드들 (361) 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8 의 단면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결정 구멍 (323) 각각은 이와 연관된 타이 로드 (361) 의 단면보다 실질적으로 큰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의 목적은, 가열 요소 (340) 의 자유로운 열 팽창을 허용하도록, 타이 로드 (361) 와 고정식 압반 (320) 사이에 반경방향 유극을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타이 로드 (361) 각각은 헤드 (362) 와 상기 타이 로드 (361) 를 위한 지지면으로서 기능하는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요소 (364) 를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변형가능한 요소의 부분에 대하여, 상기 특징은 압반 프레스 (310) 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 뿐만 아니라 가열 요소 (340) 가 타이 로드 (361) 의 방향으로 받는 열 팽창을 보상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요소 (364) 각각은 매우 강성의 컴팩트한 스프링을 형성하도록 헤드에서 꼬리까지 위치결정된 원뿔형 와셔들 (365) 의 적층체로 구성된다.
물론, 본원은 보다 일반적으로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처리하는 어떠한 기계 (1) 에 관한 것으로, 이 기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장치 (300) 를 포함한다. 처리 기계 (1) 는 본원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간단한 도금 기계일 수 있지만,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절단, 블랭킹, 폐기물 제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 (300) 로서,
    고정식 압반 (320) 과 가동식 압반 (330) 사이에서 스탬핑함으로써, 상기 시트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스탬핑 호일 (410) 로부터의 착색 또는 금속화 필름을 피착 (depositing) 시킬 수 있는 압반 프레스 (310) 와,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일체로 된 임의의 스탬핑 공구를 주어진 온도에 이르게 하여, 스탬핑 작업이 상기 압반 프레스 (310) 내의 고온 환경에서 발생하도록 하는 가열 요소 (340)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요소 (340) 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 위치와, 상기 압반 프레스 (310) 의 외측에 배열되는 보수 위치 사이에서 변위 (displacement) 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보수 위치 사이에서 상기 가열 요소 (340) 를 운반할 수 있는 운반 수단 (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수단 (350) 은, 한편으로는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압반 프레스 (310) 의 2 개의 상기 압반들 (320, 330) 사이에서 상기 압반들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가열 요소 (340) 가 배열되는 중간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중간 위치와 상기 보수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가열 요소 (340) 를 병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과 연관된 각각의 스탬핑 공구를 지지하는 책임이 있는 프레임 (351)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작동 위치에서 상기 가열 요소 (340) 와 대향 접촉하여 연장되는 사용 위치와, 상기 압반 프레스 (310) 외측에 배열되는 추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운반 수단 (350) 을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 (351) 은, 상기 프레임이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추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때 상기 가열 요소 (340) 를 상기 작동 위치와 상기 보수 위치 사이에서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가열 요소 (340) 를 상기 작동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 수단 (3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 (360) 은, 상기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위치된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로부터 상기 체결 수단을 당김으로써,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내부면 (321) 에 접하여 상기 가열 요소 (340) 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 (360) 은 상기 내부면 (321) 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면, 소위 외부면 (322) 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 (360) 은 적어도 하나의 타이 로드 (tie rod; 361) 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 로드는 상기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을 관통하여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323) 에 배치되고, 상기 타이 로드는 상기 내부면 (321) 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에 접하여 지지하는 받침대 형태의 헤드 (362) 와, 상기 가열 요소 (340) 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 (341) 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가공된 단부 (36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구멍 (323) 각각은 이와 연관된 상기 타이 로드 (361)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로드 (361) 각각은 상기 헤드 (362) 와 상기 타이 로드 (361) 를 위한 지지면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고정식 압반 (320) 의 일부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요소 (364)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요소 (364) 각각은 헤드에서 꼬리까지 위치된 원뿔형 와셔들 (365) 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요소 (340) 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박스 (348)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가열체들 (346)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박스 (348) 각각은 상기 가열 요소 (340) 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연결 박스 (348) 각각을 상기 압반 프레스 (310) 에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00).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 장치 (300) 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태의 연속 요소들을 처리하는 기계 (1).
KR1020137028855A 2011-04-05 2012-04-05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KR101545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2812 2011-04-05
EP11002812.3 2011-04-05
PCT/EP2012/001521 WO2012136373A2 (fr) 2011-04-05 2012-04-05 Dispositif d'impression par estampage a chau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070A KR20130133070A (ko) 2013-12-05
KR101545427B1 true KR101545427B1 (ko) 2015-08-18

Family

ID=44504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855A KR101545427B1 (ko) 2011-04-05 2012-04-05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849706B2 (ko)
EP (1) EP2694280B1 (ko)
JP (1) JP5890002B2 (ko)
KR (1) KR101545427B1 (ko)
CN (1) CN103459135B (ko)
BR (1) BR112013025515A2 (ko)
ES (1) ES2768241T3 (ko)
TW (1) TWI474920B (ko)
WO (1) WO20121363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716B1 (ko) 2020-11-14 2021-02-18 도재홍 거품 차단 기능을 가진 스탬핑 포일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6038B1 (ja) * 2012-11-05 2013-12-25 オムロン株式会社 転写成形装置
US11235409B2 (en) * 2013-10-18 2022-02-01 +Mf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on of articles by molten and semi-molten deposition
DE202016102593U1 (de) 2016-05-13 2016-06-10 Bobst Mex Sa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Werkstückbögen
CN109720083A (zh) * 2017-10-31 2019-05-07 天津长荣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模切烫金机的加热装置
JP7053884B2 (ja) * 2018-04-20 2022-04-12 ボブスト メック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を駆動する装置、スタンピングステーション及びスタンピング機、及びスタンピングフォイルの駆動を制御する方法
EP4112306A1 (en) * 2021-07-01 2023-01-04 Bobst Mex Sa Hot foil stamping press
IT202100031028A1 (it) * 2021-12-10 2023-06-10 Davide Dondena Dispositivo di bloccaggio e sbloccaggio rapido degli stampi in una pressa di stampaggio e pressa dotata di tale dispositivo
CN114407514A (zh) * 2022-02-17 2022-04-29 孙珊珊 一种自动烫印机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455420A (en) 1949-03-22 J. Bobst And Son S.A. Device for releasably securing plates or tools to platen press
US1554235A (en) 1924-12-23 1925-09-22 Hulse Mfg Company Embossing press
GB277512A (en) 1926-10-09 1927-09-22 Franklin Harlow Wrigh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sses
DE699671C (de) 1939-08-09 1940-12-04 Schelter & Giesecke A G Heizvorrichtung fuer Tiegeldruckpressen
DE1194874B (de) * 1955-01-05 1965-06-16 Addressograph Multigrap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Abdrucken von einer ebenen Druckform
GB890940A (en) * 1957-01-11 1962-03-07 Beanwy Electric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ulding-press and like platens
DE1175976B (de) 1962-01-11 1964-08-13 Bobst & Sohn A G J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erkzeuges am oberen Tiegel einer Tiegelpresse zum Praegen, Stanzen od. dgl.
US3447079A (en) 1965-06-17 1969-05-27 Bliss Co Monitoring circuit for sequentially testing hot sizing press resistance heaters connected in pairs during energization of the mate heater
CH452358A (fr) 1966-04-15 1968-05-31 Bobst Fils Sa J Presse à platines pourvue d'un châssis porte-outil amovible
US3969051A (en) * 1975-06-13 1976-07-13 D.G. Rung Industries, Inc. Vulcanizing apparatus
DE3331461A1 (de) 1982-09-02 1984-05-03 Dunlop Ltd., London 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anwenden von waerme und druck auf einen gegenstand in einer form, heizeinrichtung fuer eine derartig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lings, der in seiner form waerme und druck ausgesetzt ist
CH652059A5 (fr) * 1983-04-22 1985-10-31 Bobst Sa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fixation d'un outil dans un support.
US4628810A (en) * 1984-02-27 1986-12-16 Space Lab (Hong Kong) Enterprises Ltd. Printing machine
US4559800A (en) 1984-06-18 1985-12-24 Dayton Reliable Tool & Mfg. Co. Preheat start-up arrangement for stamping and forming presses
US4760788A (en) * 1986-10-01 1988-08-02 Alfred A. Marozzi Reciprocating print head marking apparatus
JPH03106686A (ja) * 1989-09-21 1991-05-07 Tahara Hakuoshiki Seisakusho:Kk 箔押機の箔送り装置
CH683162A5 (fr) 1990-04-25 1994-01-31 Bobst Sa Procédé d'asservissement du parallélisme des deux sommiers d'une presse à découper des éléments en forme de feuille ou bande en vue de la production d'emballages.
US5134931A (en) * 1990-05-04 1992-08-04 Liepelt & Son, Inc. Cylinder press for applying foil to print stock
FR2668803A1 (fr) * 1990-11-06 1992-05-07 Europ Agence Spatiale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eclats produits par un boulon a rupture commandee.
DE9112988U1 (ko) * 1991-10-18 1992-02-06 Fa. Theodor Hymmen, 4800 Bielefeld, De
US5318660A (en) * 1992-05-01 1994-06-07 Kensol-Olsenmar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ot stamped single and multi-color images
US5797763A (en) * 1994-11-29 1998-08-25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5722320A (en) * 1996-12-13 1998-03-03 Keme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ie stamping press platens
CH691896A5 (de) * 1997-11-17 2001-11-30 Bobst Sa Dispositif pour le positionnement et la fixationd'outils sur une plaque de support et de chauffage.
US7306482B1 (en) * 2001-03-06 2007-12-11 Cheetah Usa Corp. Electrical connection box
US20040150135A1 (en) * 2002-06-26 2004-08-05 Michael Hennessey Method of melt-forming optical disk substrates
ATE495012T1 (de) * 2003-04-16 2011-01-15 Bobst Sa Vorrichtung zum tragen und aufheizen von werkzeugen
JP2008519712A (ja) * 2005-09-02 2008-06-12 ビョン ジュン ソン 金箔印刷装置のパターン部の位置決定方法
US7556492B2 (en) * 2005-11-09 2009-07-07 Nike, Inc. Footwear mold heating system and method
US8146494B2 (en) * 2007-04-27 2012-04-03 Universal Engraving, Inc. Magnetic chase and graphic arts die assembly with selectively actuatable means for raising and supporting the die plate during alignment
CN101554794B (zh) * 2008-04-08 2011-10-05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图案转移模具与图案转移方法
US20100310696A1 (en) 2009-06-05 2010-12-09 Schlepp Brian D Pre-loading mechanism for a tilting platen in a thermoforming press
CN201442377U (zh) * 2009-07-03 2010-04-28 沈阳世成印花设备制造有限公司 全自动热转印机
CN201544519U (zh) * 2009-09-21 2010-08-11 锴兴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双转印装置的热转印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716B1 (ko) 2020-11-14 2021-02-18 도재홍 거품 차단 기능을 가진 스탬핑 포일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74920B (zh) 2015-03-01
WO2012136373A2 (fr) 2012-10-11
US9849706B2 (en) 2017-12-26
WO2012136373A3 (fr) 2013-01-24
JP2014516319A (ja) 2014-07-10
TW201302449A (zh) 2013-01-16
WO2012136373A9 (fr) 2013-10-24
EP2694280A2 (fr) 2014-02-12
KR20130133070A (ko) 2013-12-05
JP5890002B2 (ja) 2016-03-22
CN103459135A (zh) 2013-12-18
CN103459135B (zh) 2018-11-27
US20140020575A1 (en) 2014-01-23
US20160325574A1 (en) 2016-11-10
EP2694280B1 (fr) 2019-12-11
US9579914B2 (en) 2017-02-28
ES2768241T3 (es) 2020-06-22
BR112013025515A2 (pt)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27B1 (ko) 열간 스탬핑 인쇄 장치
JP6366611B2 (ja) 先進複合構成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4356054A (en) Device for feeding metal-foil sections to a laminating station
CA26162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printing plates
CN103863600B (zh) 热成形包装机和方法
EP2962841B1 (en) Handle sealing machine for attachment of plurality of handles to a bag
JP5705988B2 (ja) 箔押機械のためのストリップを案内するための装置
US8021142B2 (en) Thermoform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722412A (zh) 一种覆膜装置及电器包装线
CN106079919B (zh) 一种不干胶热转印打印雕刻系统
JP4183896B2 (ja) Ptpシートの製造装置
FI74437C (fi) 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fastsaettning av en folie eller dylik pao ett kaerl.
JP6253329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成形用ラベル形成装置及びラベルシート移送方法
US7311513B2 (en) Installation for producing objects by thermoforming pellets of thermoplastic material
KR20140145179A (ko) 스탬핑되는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모듈
JP5262942B2 (ja) 裁断装置および裁断方法
EP1119657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ocks
CN110228289A (zh) 辊轴转换装置以及烫金模切设备
JP2014094465A (ja) 熱成形装置、及び、その型交換方法
KR101576762B1 (ko)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CN220952524U (zh) 一种定型机用自动夹紧脱袜机构
CN214130440U (zh) 一种滤芯端口包布装置
WO2019171240A1 (en) Blowing means unit and hot foil stamping and die-cutting device
CN211077889U (zh) 一种薄膜压纹机
JP3904080B2 (ja) 薄板の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