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762B1 -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762B1
KR101576762B1 KR1020147023120A KR20147023120A KR101576762B1 KR 101576762 B1 KR101576762 B1 KR 101576762B1 KR 1020147023120 A KR1020147023120 A KR 1020147023120A KR 20147023120 A KR20147023120 A KR 20147023120A KR 101576762 B1 KR101576762 B1 KR 101576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ture
rack
exchang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053A (ko
Inventor
준이치 시라카와
고이치로 고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2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feed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에 있어서, 릴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일괄적으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한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는 전선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에 편입된다. 교환 장치는, 반송 라인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 기초부를 갖는 교환용 프레임과, 지지 기초부에 대하여 그 이동 방향을 따른 대기 자세와 반송 라인을 따른 작업 자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교환용 프레임에 설치되며, 단자 릴을 지지 기초부의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지지부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APPARATUS FOR EXCHANGING TERMINAL FORMING DIE DEVICE}
본 발명은 전선 단부 가공 설비 등에 있어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교환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선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압착용의 상하 한쌍의 금형의 측방으로부터 연쇄 단자가 공급된다. 통상, 연쇄 단자는 릴 등에 감긴 형태로 유통, 제공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16391호 공보
상기와 같은 단자 성형 금형 장치는 전선 단부에 피박(皮剝) 처리 등을 실시하여 단자를 압착하는 전선 단부 가공 설비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전선에 대해서는 상이한 종류의 단자가 압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환용 랙(210)에, 릴(212)과 한쌍의 금형을 갖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214)를 탑재하여, 이들을 함께 교환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이 경우의 레이아웃예로서는, 예컨대,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12)과 한쌍의 금형을 갖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214)를, 전선(W)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L)을 따른 자세로 배치하도록 교환용 랙(210)을 배치하고, 이 자세로, 교환용 랙(210)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구성이 고려된다. 또한, 교환용 랙(210)이 반송 라인(L)으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214)가 프레스 장치(216)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교환용 랙(210)이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한 상태에서, 교환용 랙(210) 자체의 교환 또는 교환용 랙(210)에 대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214)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반송 라인(L)을 따라 릴(212)이 배치되기 때문에, 반송 라인(L)에 있어서,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가공을 실시할 수 없는 쓸데없는 스페이스(m)가 생겨 버린다.
또한, 예컨대,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12)과 한쌍의 금형을 갖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214)를, 전선(W)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L)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자세로 배치하도록 교환용 랙(210)을 배치하고, 이 자세로, 교환용 랙(210)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구성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반송 라인(L)에 대하여 교환용 랙(210)을 비스듬히 이동시키는 기구를 채용할 필요가 있고, 그와 같은 이동 기구는 설계 및 제조가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컨대,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환용 랙(220) 상에, 릴(222)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224)를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하고,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222)을 전선(W)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직교하는 자세로 하며 단자 성형 금형 장치(224)를 반송 라인(L)을 따른 자세로 배치하도록 교환용 랙(220)을 배치하고, 이 자세로, 교환용 랙(220)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구성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결국, 교환용 랙(220)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킬 때에, 릴(222)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224)가 통과하는 스페이스(m1)가 필요로 되어, 설치 면적이 증대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에 있어서, 릴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해 일괄적으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가능한 한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양태는, 전선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에 편입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반송 라인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 기초부를 갖는 교환용 프레임과, 상기 지지 기초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 기초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대기 자세와 상기 반송 라인을 따른 작업 자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상기 교환용 프레임에 설치되고, 단자 릴을 상기 지지 기초부의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지지부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을 구비한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지지 기초부가 상기 반송 라인으로 진출 이동하는 도중 또는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며, 상기 지지 기초부가 상기 반송 라인으로부터 후퇴하기 전 또는 후퇴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상기 작업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부를 더 구비한다.
제3 양태는,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릴 지지부가 상기 지지 기초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릴 지지부에 지지된 단자 릴로부터 인출되는 연쇄 단자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에 유도하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가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 양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교환용 랙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을 반송 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병렬 상태로 지지하는 랙 지지 프레임과, 병렬 상태로 지지된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 중 하나를, 상기 반송 라인에 있어서의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상기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 기구부와, 병렬 상태로 지지된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 중, 상기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상기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랙 진퇴 기구부를 구비한다.
제5 양태는,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상부에, 외주 둘레의 제1 방향으로부터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프레스력 부여부가 삽입 감입되는 세팅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상부에, 상기 세팅 오목부에 삽입 감입 가능한 중계 감입부와,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가 상기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프레스력 부여부를 삽입 감입할 수 있는 중계 세팅 오목부를 포함하는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가 부착되어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에 따르면, 교환용 랙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 및 단자 릴을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 이동시켜, 단자 릴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일괄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반송 라인으로부터 진퇴 이동시킬 때 등에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대기 자세로 함으로써, 그 통과 궤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설치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지지 기초부를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면,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자세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연쇄 단자 가이드부가,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작업 자세로 회전시킨 상태라도, 연쇄 단자를 원활하게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향하여 보낼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교환용 랙을 자동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프레스력 부여부의 삽입 감입 방향을 변환함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프레스력 부여부를 중계 세팅 오목부에 용이하게 삽입 감입할 수 있다.
도 1은 전선 처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전선 중계 유닛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전선 중계 유닛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전선 중계 유닛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교환용 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교환용 랙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교환용 랙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단자의 가이드 기구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단자의 가이드 기구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단자의 가이드 기구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교환용 랙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교환용 랙에 있어서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교환용 랙에 있어서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출입 교환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출입 교환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6은 출입 교환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17은 단자 압착 테이블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8은 랙 고정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자세 변경시키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자세 변경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자세 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금형 장치 고정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8은 교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9는 압착 본체부에 대한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세팅 방향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0은 압착 본체부의 세팅 오목부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2는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를 나타내는 개략 저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XXXIII-XXXIII선 단면에 있어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4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릴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전선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
우선,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가 적용된 전선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전선 처리 장치(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 전선 처리 장치(10)는 절단 유닛(112)과, 피박 유닛(114)과, 전선 반송 유닛(14)과, 단자 압착 유닛(20)을 구비하고 있다.
절단 유닛(112), 권취 릴 등에 권취된 긴 전선(W)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선(W)의 절단의 피박은, 예컨대, 한쌍의 V자형 날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피박 유닛(114)은 전선(W)의 단부의 피복부를 피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선(W)의 피복부의 피박도, 예컨대, 한쌍의 V자형 날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단자 압착 유닛(20)은 단부의 피복부가 피박된 전선(W)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선 반송 유닛(14)은 전선(W)의 단부를 파지 및 파지 해제 가능한 파지부(15)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파지부(15)는, 컨베이어 등의 구동에 의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절단 유닛(112),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 피박 유닛(114) 및 단자 압착 유닛(20)의 전방을 통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절단 유닛(112)으로 처리된 전선(W)의 양 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 피박 유닛(114)으로부터 단자 압착 유닛(20)을 향하여 순차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정해진 길이로 절단된 전선(W)이, U자형으로 구부러지며 단부를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 피박 유닛(114), 단자 압착 유닛(20)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절단 유닛(112)으로부터 단자 압착 유닛(20)을 향하여 반송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에 의해, 전선(W)의 단부에 고무 마개가 삽입된다. 또한,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 전선 처리 장치(10)는 긴 전선(W)을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는 처리, 그 단부의 피복부를 피박하는 처리, 및, 전선(W)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단자 압착 유닛(20)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교환 장치(30)가 편입되어 있다.
<2. 단자 압착 유닛의 전체 구성>
단자 압착 유닛(2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자 압착 유닛(20)은 상기 전선 반송 유닛(14)에 편입되고,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해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에 단자를 압착하는 유닛이며, 단자 압착 테이블(22) 및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교환하는 교환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압착 테이블(22)은 판형 부재이며, 도시 생략된 스탠드 등에 의해,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한 전선(W)의 반송 라인(L)을 따라 수평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단자 압착 테이블(22)에는, 전선 반송 유닛(14)과는 반대측의 측부로부터 전선 반송 유닛(14)을 향하여 오목한 세팅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초부(46)(상세한 것은 후술함)가 본 세팅 오목부(23) 내에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다. 지지 기초부(46)가 본 세팅 오목부(23)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 지지 기초부(46)에 대하여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한 반송 라인(L)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전선 반송 유닛(14)이 복수의 파지부(15)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절단 유닛(112),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 피박 유닛(114) 및 단자 압착 유닛(20)은 각 파지부(15)의 정지 기간 중에 각 동작을 행한다. 단자 압착 유닛(20)에서의 단자 압착 작업 시간이 절단 유닛(112), 고무 마개 삽입 유닛(113) 및 피박 유닛(114)에서의 작업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각 처리 시간을 동기시킬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반송 유닛(14)과 각각의 단자 압착 유닛(20) 사이에 전선 중계 유닛(200)을 설치한다. 또한, 도 2 등에서는, 한쪽측의 단자 압착 유닛(20)과의 관계로 설명하지만, 다른쪽의 단자 압착 유닛(20)에도 동일하게 전선 반송 유닛(200)을 설치할 수 있다.
전선 중계 유닛(200)은, 정해진 위치에서 파지부(15)로부터 전선(13)의 단부를 수취한 후, 상기 전선(13)의 단부를 단자 압착 유닛(20)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그리고, 상기 전선(13)의 단부에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한 후, 상기 전선(13)을 수취한 위치보다 전선(13)의 단부의 반송 방향 하류측의 위치에서 파지부(15)에 전선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중계 유닛(200)은 전선을 파지하는 파지부(202)와, 반송 방향으로 이동 기구부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기구부를 포함하는 XY 이동 기구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선 중계 유닛(200)은 파지부(202)를 승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이동 기구부(203)를 더 구비한다. 각 이동 기구부는 에어 실린더 또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구성된다. 파지부(202)는 에어 실린더 또는 전자기 척 등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파지부(202)가 반송 라인을 따라 반송되고 있으며, 어느 하나의 파지부(202)가 단자 압착 유닛(20)의 바로 상류측에서 정지하는 타이밍에, 파지부(202)가 이것에 대향하는 수취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파지부(202)로부터 전선(13)의 단부를 수취하며, 상기 파지부(202)에 의한 파지가 해제된다.
이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3)과 반송 유닛(14)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승강 이동 기구부(203)에 의해 파지부(202)를 상승시키며, XY 이동 기구부(204)의 구동에 의해 파지부(202)를 단자 압착 유닛(20)에 의한 단자 압착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단자 압착 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Y 이동 기구부(204)의 구동에 의해 파지부(202)를, 상기 전달 위치보다 하류측의 복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며, 승강 이동 기구부(203)에 의해 파지부(202)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그 위치의 파지부(202)에 전선(13)의 단부를 전달하며, 파지부(202)에 의한 파지를 해제한다.
상기 예에서는, 파지부(202)의 정지 시간 2회분과 2회분의 이동 시간을 사용하여, 전선(13)의 단부의 이동 및 단자 압착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202)의 정지 시간 1회분 이상의 시간을, 단자 압착 작업에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 라인을 따라 행해지는 각 처리 시간이 상이한 경우라도, 각 처리 시간을 동기시켜 효율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대하여 왕복 직선 운동을 부여하는 기구이며,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모터와 캠의 조합 기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는 단자 압착 테이블(22) 상방으로서, 세팅 오목부(23)의 일측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한 반송 라인(L)을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상방에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가 하측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대하여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프레스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를 지지하는 프레스 지지 기둥(28a)이 세팅 오목부(23)의 측방 위치에 세워져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기둥(28a) 중 세팅 오목부(23)측의 면은 후술하는 압착 본체부(36)의 선회 궤적을 피하도록, 세팅 오목부(2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오목한 만곡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W)의 양단에 단자를 압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세팅 오목부(23),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 등의 압착 구성이 2개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선(W)의 일단측에 단자를 압착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 교환 장치의 설명>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교환 장치(30)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탑재한 교환용 랙(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교환용 랙(40)을 단자 압착 테이블(22) 및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에 대하여 출납시킴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교환한다.
교환용 랙(40) 자체는 수동으로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한 세팅 및 교환 출납을 행하여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동으로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한 세팅 및 교환 출납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3. 1. 교환용 랙>
도 5는 교환용 랙(4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교환용 랙(40)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7은 교환용 랙(4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2 및 도 16은 교환용 랙(40)에서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교환용 랙(40)은 교환용 프레임(42)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와, 릴 지지부(48)를 구비하고 있다.
교환용 프레임(42)은 본 교환용 랙(4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부분이며, 기둥부(43)와, 하부 프레임부(44)와, 지지 기초부(46)를 구비하고 있다.
기둥부(43)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봉형 부재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하부 프레임부(44)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판형 부재이며,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기둥부(43)의 하단부가 직교 자세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하부 프레임부(44)의 양 단부에는, 차륜(4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교환용 랙(40)을 본 교환 장치(30)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차륜(45)을 바닥면 상에 굴림으로써, 본 교환용 프레임(42)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기초부(46)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 가늘고 긴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기초부(46)의 폭 치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폭과 거의 동일하고, 또한, 상기 세팅 오목부(23)의 폭과도 거의 동일하다.
본 지지 기초부(46)는 후술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반송 라인(L)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단자 압착 테이블(22) 및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지만, 교환용 프레임(42)의 하방에 설치된 차륜 등에 의해, 지지 기초부(46)가 반송 라인(L)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기초부(46)는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예로 설명하지만, 반송 라인(L)에 대하여 45도 등으로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에는, 지지 축부(47)가 마련되어 있고, 이 지지 축부(47)에 의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금형 지지 기초부(3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 축부(47)는 지지 기초부(46)의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 그리고, 본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축부(47)를 이용하여 지지 기초부(46)의 일정 위치에의 고정이 행해진다.
또한,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에는, 단자 이송용 오목부(46g)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이송용 오목부(46g)는,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에 있어서 그 폭 방향 거의 전체에 걸쳐 오목한 부분과, 그 오목 부분의 일측방으로부터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L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연쇄 단자(T)는 본 단자 이송용 오목부(46g)를 경유하여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향하여 보내진다.
또한, 지지 기초부(46)의 타단부에는, 프레임 이송용 돌기부(46p)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이송용 돌기부(46p)는 여기서는, 짧은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프레임 이송용 돌기부(46p)를 이용하여, 단자 압착 테이블(22) 및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에 대한 교환용 랙(40)의 출납이 행해진다.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금형 지지 기초부(34)와, 압착 본체부(36)를 구비하고 있다.
금형 지지 기초부(34)는 지지 기초부(46)와 거의 동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길이 치수는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치수보다 짧다. 이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 축부(47)를 통해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의 상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에는, 하방으로부터 받은 연쇄 단자(T)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유도하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는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하방으로부터 받은 연쇄 단자(T)가 본 연쇄 단자 가이드부(35) 내부를 통과해서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 외방으로부터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 상방을 통과해서 압착 본체부(36)에 보내진다.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 상방 공간은 압착 본체부(36)를 향하여 연쇄 단자(T)를 보낼 때에, 상기 연쇄 단자(T)를 압착 본체부(36)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보내는 통과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압착 본체부(36)는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단자를 압착하기 위한 한쌍의 압착 금형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해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단자를 압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압착 본체부(36)는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타단부 상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길이 방향을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 즉,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한 자세에서는, 압착 본체부(36)는 지지 기초부(46) 상에 배치되게 된다(도 12 참조). 이 자세가 대기 자세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는 단자 이송용 오목부(46g) 중 지지 기초부(46)의 폭 방향을 따라 오목한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회전시켜,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길이 방향을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여기서는 직교)시켜 반송 라인(L)을 따르게 한 자세, 즉,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지지 기판에 대하여 교차(여기서는 직교)시켜 반송 라인(L)을 따르게 한 자세로 하면, 압착 본체부(36)는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13 참조). 이 자세가 작업 자세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와 일체가 되어 지지 축부(47) 둘레로 회전해, 단자 이송용 오목부(46g) 중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오목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금형 지지 기초부(34)의 일단부 상면으로서, 상기 지지 축부(47) 둘레의 위치에,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기 자세에 있어서,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의 한쪽의 코너부 근방의 위치에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를, 지지 기초부(46)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면, 예컨대,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지지 축부(47) 둘레로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회전한다(도 12 및 도 13 참조).
또한, 교환용 프레임(42)에는, 단자 릴(4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지지부(4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 릴(49)은 권취 축부(49a)와 한쌍의 플랜지부(49b)를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단자가 연결띠를 통해 연결된 연쇄 단자(T)가 권취 축부(49a) 둘레로서 한쌍의 플랜지부(49b) 사이에 권취 수용되어 있다. 이 단자 릴(49)은 그 한쌍의 플랜지부(49b)의 방향을 따라 편평한 전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연쇄 단자(T) 사이에는, 종이 테이프(P)가 층간지로서 개재되어 있다. 이 종이 테이프(P)에 의해, 각 층간에서의 연쇄 단자(T)의 얽힘이 억제되게 된다.
릴 지지부(48)는 단자 릴(49)을 지지 기초부(46)의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릴 지지부(48)는 기둥부(43)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48a)와, 돌기(48a)의 단부에 돌출 설치된 지지 축부(48b)를 구비한다. 지지 축부(48b)는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축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단자 릴(49)을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단자 릴(49)을 지지 기초부(46)의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의해, 평면에서 보아, 단자 릴(49)의 연장 방향과 지지 기초부(46)의 연장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정돈할 수 있어, 교환용 랙(40)의 평면에서 본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릴 지지부(48)는 지지 기초부(46)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릴 지지부(48)에 지지된 단자 릴(49)로부터 인출되는 연쇄 단자(T)는 상기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안내된 후, 압착 본체부(36)를 향하여 보내진다.
또한, 이 교환용 프레임(42)에는, 단자(T)를 가이드하며 그 상태를 검출하는 가이드 기구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기둥부(43)로부터 수평 자세로 연장되도록 가이드 프레임(43g)이 연장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 가이드 기구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부(120)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122)와, 상부 가이드 검출부(124)를 구비한다.
하부 가이드부(122)는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여기서는, 단자(T)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완만한 커브를 그리면서 팽출하는 만곡부가 복수개(여기서는 2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하부 가이드부(122)는 가이드 프레임(43g)의 선단부에 일정 위치 및 일정 자세로 부착 고정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검출부(124)는 상부 가이드 판부(125)와, 도그부(126)를 구비한다. 도그부(126)는 장척 부재이며, 그 일단부가 가이드 프레임(43g)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판부(125)는 금속판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가늘고 긴 판형 부분의 양 단부가 완만하게 만곡하면서 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판부(125)는 상기 도그부(126)의 일단부에, 하부 가이드부(122)와 대향하도록 부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그부(126)는 하부 가이드부(122)에 대하여 경사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그부(126)의 상단부 및 상부 가이드 판부(125)의 같은 측의 단부(단자(T)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의 무게에 의해, 상부 가이드 판부(125)는 그 단자(T)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를 하향으로 한 자세(초기 자세)가 된다.
또한, 도그부(126)의 타단측에는, 상기 도그부(126)와 접촉하여 도그를 검출하는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의 온/오프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 유닛에 부여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122)와 상부 가이드 검출부(124) 사이에 연쇄 단자(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부 가이드부(122)는 상기 초기 자세가 된다(도 8 참조). 이 상태에서는, 도그부(126)는 스위치(SW1 및 SW2) 중 어느 것에도 접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가이드부(122)와 상부 가이드 검출부(124) 사이에 연쇄 단자(T)가 배치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T)에 의해 상부 가이드 판부(125)가 들어 올려져, 상부 가이드 판부(125)는 하부 가이드부(122)에 대하여 평행 자세(통상 이송 자세)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그부(126)가 스위치(SW1)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따른 신호가 스위치(SW1)로부터 제어 유닛에 보내진다.
또한, 단자 압착의 진행에 따라 상기 상태로부터 단자(T)가 더욱 인장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T)에 의해 상부 가이드 판부(125) 중 단자(T)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가 들어 올려져, 상부 가이드 판부(125)는 그 단자(T)의 이송 방향 하류측의 단부를 들어 올린 자세(과인장 자세)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그부(126)가 스위치(SW2)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따른 신호가 스위치(SW2)로부터 제어 유닛에 보내진다.
기둥부(43)의 하방 부분에는, 종이 테이프(P)를 권취하기 위한 종이 테이프 권취 릴(10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둥부(43)를 사이에 두고 종이 테이프 권취 릴(100)의 반대측에는, 상기 종이 테이프 권취 릴(10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기어부(10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압착 테이블(22)측에는,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는 모터 등의 회전 구동부(111)와 상기 회전 구동부(111)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기어부(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교환용 랙(40)을 압착 테이블(22)에 세팅한 상태에서, 교환용 프레임(42)의 기어부(102)와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의 기어부(112)가 맞물린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 유닛의 지령에 따라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가 회전 구동하면, 그 회전 운동이 기어부(112) 및 기어부(102)를 통해 종이 테이프 권취 릴(100)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종이 테이프 권취 릴(100)이 회전 구동하여, 종이 테이프(P)를 권취한다.
후술하는 제어 유닛은, 상기 스위치(SW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과인장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를 회전 구동시켜, 종이 테이프(P)를 권취한다. 이에 의해, 단자 릴(49)이 단자(T)를 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단자(T)의 과인장 상태가 완화된다. 단자 릴(49)과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 사이에서 단자(T)가 느슨해지면, 도그부(126)가 통상 이송 자세로 복귀한다. 제어 유닛은, 스위치(SW1) 및 스위치(SW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통상 이송 자세가 되었다고 판정하면, 종이 테이프 권취 구동부(110)의 회전 구동을 정지시켜, 종이 테이프(P)의 권취를 정지한다. 후술하는 단자 압착 처리 중에, 상기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단자(T)가 적절한 인장 상태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향하여 송급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교환용 랙(40B)과 같이, 단자 릴(49)에 대하여 단자(T)가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단자(T) 및 종이 테이프(P)의 처리 경로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단자(T) 및 종이 테이프(P)를 연속적으로 보낼 수 있다.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상기 대기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는, 단자 릴(49)로부터 보내오는 연쇄 단자(T)는 비틀어지는 일없이,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를 통과하여 압착 본체부(36)에 보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로부터,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작업 자세로 회전하면, 연쇄 단자 가이드부(35)도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와 함께 회전한다. 이 때문에, 단자 릴(49)로부터 인출된 연쇄 단자(T)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회전 각도에 따라(여기서는 90도) 비틀어진 후, 연쇄 단자 가이드부(35)에 도달하고, 그 후, 압착 본체부(36)를 향하여 보내진다. 연쇄 단자(T)는 단자 릴(49)과 연쇄 단자 가이드부(35) 사이의 비교적 긴 치수에 걸쳐 건너질러지는 부분에서 비틀어지기 때문에, 비틀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반송된다. 더구나, 연쇄 단자(T)는, 주로 상하 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부분에서 비틀어지기 때문에, 그 비틀림이 연쇄 단자 가이드부(35)에 걸리기 어려우며, 이 점으로부터도, 연쇄 단자(T)는 비틀림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원활하게 반송된다.
상기 교환용 랙(40)은 수동에 의해서도,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하여 교환 출납될 수 있고, 또한, 수동에 의해,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회전시켜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하여 세팅할 수도 있다. 본 교환 장치(30)는 이들을 자동으로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3. 2.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자동으로 교환 출납하기 위한 구성>
교환용 랙(40)을 자동으로 교환 출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교환 장치(30)에 있어서 교환용 랙(40)을 출납하기 위한 출입 교환 기구부(50)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5는 출입 교환 기구부(50)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16은 출입 교환 기구부(50)를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출입 교환 기구부(50)는 복수의 교환용 랙(40)을 교환하면서 출납하는 것이며, 랙 지지 프레임(54)과, 교환 이동 기구부(60)와, 랙 진퇴 기구부(64)를 구비하고 있다.
즉,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하여 전선 반송 유닛(14)의 반대측에, 출입 지지 프레임(52)이 설치되어 있다. 출입 지지 프레임(52)은 금속 봉형 부재로부터 조립된 입체적인 프레임 구조이며, 여기서는, 출입 지지 프레임(52)은 직육면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랙 지지 프레임(54)은 복수의 교환용 랙(40)을 반송 라인(L)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병렬 상태로 지지한다. 여기서는, 랙 지지 프레임(54)은 가로 지지 프레임(54a)과, 수하(垂下) 지지 프레임(54b)을 구비하며, 한쌍의 가이드 부재(55)를 복수조(여기서는 2조) 구비하고 있다.
가로 지지 프레임(54a)은 출입 지지 프레임(52)의 전후 부분에서, 반송 라인(L)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가로 지지 프레임(54a)의 양 단부 및 중간부로부터 수하형으로 수하 지지 프레임(54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 지지 프레임(52)의 전후의 수하 지지 프레임(54b) 사이에 건너지르도록 한쌍의 가이드 부재(55)가 복수조 마련되어 있다. 각 조의 한쌍의 가이드 부재(55)는 반송 라인(L)을 따른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각각 병렬 자세로 배열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조의 한쌍의 가이드 부재(55)에 대하여, 랙 지지 프레임(54)을 배치함으로써, 지지 기초부(46)가 병렬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한쌍의 가이드 부재(55)는 지지 기초부(46)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가이드 부재(55) 상에, 지지 기초부(46)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지지 기초부(46)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55) 사이에서 그 연장 방향을 따라,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대하여 진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교환용 랙(40)의 차륜(45)은 바닥으로부터 부유한 상태여도 좋고, 차륜(45)이 바닥 위를 구르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가이드 부재(55) 중 지지 기초부(46)가 접하는 부분에 롤러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랙 지지 프레임(54)에 대해서는, 그 후방으로부터 교환용 랙(40)을 출납할 수 있다. 그리고, 교환용 랙(40)을 랙 지지 프레임(54)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또 다른 압착 본체부(36) 등으로 교환하는 것, 압착 본체부(36)에 대한 메인터넌스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교환 이동 기구부(60)는, 랙 지지 프레임(54)을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랙 지지 프레임(54)에 의해 병렬 상태로 지지된 복수의 교환용 랙(40) 중 하나를, 반송 라인(L)에 있어서의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즉, 세팅 오목부(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여기서는, 교환 이동 기구부(60)는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교환 구동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출입 지지 프레임(52)의 전후 한쪽측(여기서는 후방측의 부분)에 교환 구동부(61)가 설치되어 있다. 교환 구동부(61)는, 출입 지지 프레임(52)에 반송 라인(L)을 따른 자세로 고정된 본체부(61a)와, 상기 본체부(61a)에 대하여 반송 라인(L)을 따른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부(6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랙 지지 프레임(54)의 한쪽(여기서는 후방)의 가로 지지 프레임(54a)이 교환 구동부(61)의 가동부(61b)에 연결되어 있다. 랙 지지 프레임(54)의 다른 부분(전측의 부분) 등은 리니어 가이드(62)에 의해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 좋다. 그리고, 상기 교환 구동부(61)의 구동에 의해, 랙 지지 프레임(54)이 복수의 교환용 랙(40)과 함께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하여, 병렬 상태로 지지되는 복수의 교환용 랙(40) 중 하나를 세팅 오목부(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랙 지지 프레임(54)을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랙 지지 프레임(54)의 전후 부분이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고, 그 사이의 부분이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의 교환 구동부에 의해 이동 구동되는 구성 등이어도 좋다.
랙 진퇴 기구부(64)는 복수의 교환용 랙(40) 중,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 즉, 세팅 오목부(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킨다.
즉, 랙 진퇴 기구부(64)는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랙 진퇴 구동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랙 진퇴 구동부(65)는,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을 따른 상태로 출입 지지 프레임(52)에 고정된 본체부(65a)와, 상기 본체부(65a)에 의해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가동부(65b)를 구비하고 있다. 랙 진퇴 구동부(65)의 본체부(65a)가 배치 고정되는 위치는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즉, 세팅 오목부(23)의 외방 위치이다. 가동부(65b)에는, 측방(랙 지지 프레임(54)의 이동 방향)에서 보아 하방으로 개구되는 U자형의 이송 부재(6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랙 지지 프레임(54)에 의해 지지된 지지 기초부(46)의 타단부의 프레임 이송용 돌기부(46p)가 이송 부재(66)에 그 측방으로부터 감입되는 것 같은 높이 위치에서, 랙 진퇴 구동부(65)가 출입 지지 프레임(52)에 대하여 브래킷(67)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교환용 랙(40)을 랙 지지 프레임(54)에 대하여 장착, 혹은, 제거할 때에는, 그 대상이 되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55) 사이의 부분이 상기 랙 진퇴 구동부(65)로부터 어느 하나의 외측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송 부재(66)와 간섭하지 않고, 교환용 랙(40)을 랙 지지 프레임(54)에 대하여 장착, 혹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교환용 랙(40) 중 하나를 단자 압착 테이블(22)을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는, 교환 이동 기구부(60)의 구동에 의해 랙 지지 프레임(54)을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시켜, 대상이 되는 교환용 랙(40)을 랙 진퇴 구동부(65)에 대응하는 위치, 여기서는, 직하의 위치에 배치한다. 그렇게 하면, 이송 부재(66) 내에 프레임 이송용 돌기부(46p)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랙 진퇴 구동부(65)의 구동에 의해 이송 부재(66)를 단자 압착 테이블(22)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송 부재(66)가 교환용 랙(40)을 단자 압착 테이블(22)을 향하여 누른다. 이에 의해, 교환용 랙(40)이 단자 압착 테이블(22)을 향하여 이동하고,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를 향하여 이동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세팅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랙 진퇴 구동부(65)의 구동에 의해 이송 부재(66)를 출입 지지 프레임(52)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면, 이송 부재(66)가 교환용 랙(40)을 출입 지지 프레임(52)의 후방을 향하여 누른다. 이에 의해, 교환용 랙(40)이 출입 지지 프레임(52)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한쌍의 가이드 부재(55) 사이에서 랙 지지 프레임(54) 내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랙 지지 프레임(54)과 단자 압착 테이블(22) 사이에서, 교환용 랙(40)의 출납이 행해진다.
<3. 3.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자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구성>
교환용 랙(40)을 단자 압착 테이블(22)에 자동으로 세팅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단자 압착 테이블(22)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18은 랙 고정 기구부(7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0은 자세 변경 기구부(8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1은 자세 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2는 금형 장치 고정 기구부(76)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자 압착 테이블(22)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팅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세팅 오목부(23)를 향하여 지지 기초부(46)가 이동한다. 세팅 오목부(23)는 지지 기초부(46) 중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배치되는 부분을 배치 가능한 정도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팅 오목부(23)의 폭 치수는 지지 기초부(46)의 폭 치수보다 작게(약간 작게) 설정되고, 세팅 오목부(23)의 양 측부의 상면에 가이드 레일(23r)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를 향하여 이동하면, 한쌍의 가이드 레일(23r) 사이에 끼워지고, 그 양측 가장자리부를 세팅 오목부(23)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배치한 상태가 된다.
단자 압착 테이블(22) 중 세팅 오목부(23)의 근방 부분에, 랙 고정 기구부(70), 자세 변경 기구부(80) 및 금형 장치 고정 기구부(7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고정 기구부(70)는 교환용 랙(40)을 상기 세팅 오목부(23)에 대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랙 고정 기구부(70)는 에어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압박 구동부(72)와, 상기 압박 구동부(72)에 의해 진퇴 구동 가능하게 배치된 압박부(74)를 구비한다(도 17 및 도 18 참조). 압박 구동부(72), 랙 고정 기구부(70)는 세팅 오목부(23) 중 지지 축부(47)의 일측방으로서 단자 압착 테이블(22)의 하방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압박부(74)는 가늘고 긴 봉형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에 지지 축부(47)를 배치할 수 있는 오목부(74g)가 형성되어 있다. 압박부(74)는 랙 고정 기구부(70)에 의해, 지지 기초부(46)의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축부(47)를 향하여 진퇴 구동된다. 그리고, 압박부(74)가 후퇴한 상태로, 세팅 오목부(23)를 향하여 지지 기초부(46)가 이동하여, 지지 축부(47)가 오목부(74g)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압박 구동부(72)의 구동에 의해 압박부(74)가 진출 구동되면, 지지 축부(47)가 오목부(74g)에 감입된 상태로, 압박부(74)가 지지 축부(47)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지지 기초부(46) 중 압박된 측의 측 가장자리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23r)에 압착된다. 이에 의해, 지지 기초부(46)가 그 폭 방향을 따라 덜걱거림이 없도록 고정된다. 또한, 지지 축부(47)가 오목부(74g)에 감입됨으로써, 지지 기초부(46)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지 기초부(46)의 위치 결정 고정이 도모된다. 또한, 교환용 랙(40)을 후퇴시킬 때에는, 압박 구동부(72)의 구동에 의해 압박부(74)가 후퇴 구동되어, 상기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도 17,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세 변경 기구부(80)는, 지지 기초부(46)가 반송 라인(L)으로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며, 지지 기초부(46)가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 이동하기 전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세 변경 기구부(80)는 자세 변경 구동부(82)와, 걸림 구동부(84)와, 작동 부재(86)를 구비하고 있다.
자세 변경 구동부(82)는 에어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세팅 오목부(23)의 일측방으로서 단자 압착 테이블(22)의 상방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걸림 구동부(84)는 에어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걸림 구동부(84)는 상기 자세 변경 구동부(82)에 의해 세팅 오목부(23)의 연장 방향, 즉, 지지 기초부(46)의 진퇴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구동된다.
작동 부재(86)는 세팅 오목부(23)의 측방에서 보아 하방으로 개구되는 U자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를 하방을 향하게 한 자세에서, 걸림 구동부(84)에 의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작동 부재(86)는 자세 변경 구동부(82)에 의해, 걸림 구동부(84)와 함께 세팅 오목부(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구동된다.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동 부재(86)는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의 상방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는 작동 부재(86)의 U홈 내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걸림 구동부(84)의 구동에 의해 작동 부재(86)가 하강하고, 그 개구 내에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자세 변경 구동부(82)의 구동에 의해, 걸림 구동부(84)와 함께 작동 부재(86)가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도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 이동한다. 이때, 작동 부재(86)에는, 세팅 오목부(23)를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는 상기 홈에 감입되어, 상기 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는 세팅 오목부(23)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팅 오목부(2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지지 축부(47)를 중심으로 하는 호형 궤적을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리고,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작동 부재(86)에 의해 눌려 호형 궤적을 그리며 이동함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는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부재(86)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는 작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동 부재(86)를 상승 이동시킴으로써, 작동 부재(86)와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의 걸림을 해제하여, 지지 기초부(46)를 세팅 오목부(23)로부터 후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130)과 피니언 기어부(132)를 이용하여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자세 변경을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지지 축부(47)에 피니언 기어부(132)를 일체적으로 부착하며, 상기 피니언 기어부(132)와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랙(130)을 배치하고, 이 랙(130)을, 리니어 모터 혹은 에어 실린더 등의 직선 구동 기구 혹은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별도의 피니언 기어에 의해 왕복 구동시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자세 변경을 행하면 좋다. 이 경우,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에 배치되면, 랙(130)을 별도의 이동 기구에 의해 이동시켜 피니언 기어부(122)에 맞물리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에 배치되면, 랙(130)과 피니언 기어부(132)가 맞물리는 위치 관계로 하여도 좋다.
도 17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장치 고정 기구부(76)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걸려 상기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금형 장치 고정 기구부(76)는 수용편(receiving lug)(77)과, 로크 기구부(78)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편(77)은 단자 압착 테이블(22) 상에 고정되고,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전을 규제하는 수용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부(78)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상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편(77)의 반대측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단자 압착 테이블(22) 중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작업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수용편(77)의 반대측의 측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크용 구멍부(22h)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부(78)는 비(非)로크 부재(79a)와 로크 구동부(79b)를 구비하고 있다. 비로크 부재(79a)는 갈고리부를 갖는 장척형의 부재이며, 상기 단자 압착 테이블(22)의 하방으로서 로크용 구멍부(22h)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갈고리부를 단자 압착 테이블(22)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후퇴시킨 비로크 자세와(도 22의 실선 참조), 갈고리부를 단자 압착 테이블(22)의 상면으로 돌출시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측부에 걸리게 할 수 있는 로크 자세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구동부(79b)는 에어 실린더 혹은 유압 실린더 등의 리니어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비로크 부재(79a)를 비로크 자세와 로크 자세 사이에서 요동 구동한다.
그리고, 비로크 부재(79a)가 비로크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비로크 부재(79a)의 상방을 통과하여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하여, 수용편(77)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로크 구동부(79b)의 구동에 의해 비로크 부재(79a)를 비로크 자세로부터 로크 자세로 자세 변경시켜, 수용편(77)의 반대측으로부터 갈고리부를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걸리게 하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로크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상방에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가 배치되고,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의 구동에 의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단자 압착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로크 구동부(79b)의 구동에 의해 비로크 부재(79a)를 로크 자세로부터 비로크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자세 변경을 행하게 하는 구성은 상기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자세 변경 기구부는 교환용 랙(40) 자체에 탑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자세 변경을 행하는 타이밍은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가 아니어도 좋다. 지지 기초부(46)가 세팅 오목부(23), 즉,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도중 또는 후퇴 이동하는 도중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자세 변경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4. 동작 설명>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교환 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교환 장치(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결합된 주기억부와, 보조 기억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하기의 각 동작은 보조 기억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술된 지시에 따라 행해진다.
우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의해 반송 라인(L)을 따라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단자를 압착할 수 있는 상태라고 한다. 이 상태에서는, 한쪽의 지지 기초부(46)가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출 이동한 상태(세팅 오목부(23)에 세팅된 상태)이며, 다른쪽의 지지 기초부(46)는 반송 라인(L)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태(랙 지지 프레임(54)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압착 본체부(36)에 있어서 단자를 압착할 때의 단자의 배치 방향은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다. 즉, 압착 본체부(36)의 한쌍의 단자 압착 금형의 홈은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착 본체부(36)의 측방으로부터 연쇄 단자의 형태로 단자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직교하는 자세로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에 상기 단자를 압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자 압착을 행할 때에, 전선(W)의 단부의 방향 변환 등을 행하지 않아도 좋고, 따라서, 전선 반송 유닛(14)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리고, 압착 대상이 되는 단자를 교환할 때, 즉,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교환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부(78)의 구동에 의해 수용편(77)을 비로크 상태로 한 상태로, 자세 변경 구동부(82)의 구동에 의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다. 이 후, 걸림 구동부(84)의 구동에 의해 작동 부재(86)와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의 걸림을 해제한다. 또한, 압박 구동부(72)의 구동에 의해, 압박부(74)에 의한 지지 기초부(46)의 압박을 해제한다.
이 후,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진퇴 구동부(65)의 구동에 의해, 진출한 지지 기초부(46)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40)을 랙 지지 프레임(54)을 향하여 후퇴 이동시킨다.
다음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환 구동부(61)의 구동에 의해, 랙 지지 프레임(54)을 반송 라인(L)을 따라 이동시켜, 병렬 상태에 있는 복수(2개)의 지지 기초부(46)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40) 중 하나를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여기서는, 세팅 오목부(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여기서는, 랙 진퇴 구동부(65)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상기 한쪽측의 지지 기초부(46)의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이송 부재(66) 내로부터 측방으로 벗어나고, 대신에, 상기 다른쪽측의 지지 기초부(46)의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가 이송 부재(66) 내에 그 측방으로부터 배치된다.
다음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진퇴 구동부(65)의 구동에 의해, 다른쪽의 지지 기초부(46)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40)을 랙 지지 프레임(54)으로부터 단자 압착 테이블(22)을 향하여 진출 이동시킨다. 그리고, 압박 구동부(72)의 구동에 의해, 압박부(74)에 의해 지지 기초부(46)를 압박 고정한다.
그리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구동부(84)의 구동에 의해 작동 부재(86)와 자세 변경용 돌기부(35b)를 걸리게 하고, 이 상태에서, 자세 변경 구동부(82)의 구동에 의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다. 그리고, 로크 기구부(78)의 구동에 의해 수용편(77)을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걸리게 하면,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세팅이 완료하여, 그 상방의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의 힘을 받아 압착 본체부(36)가 단자 압착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선 반송 유닛(14)에 의해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에 대한 단자 압착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교환 장치(30)에 따르면, 교환용 랙(40) 전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 및 단자 릴(49)을 함께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켜, 이들을 일괄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반송 라인(L)으로부터 진퇴 이동시킬 때에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는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을 따른 대기 자세로 된다. 이 때문에, 그 이동 궤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그 설치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복수의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지지 기초부(46)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한 병렬 자세로 대기시킬 수 있어, 그 대기 에어리어의 컴팩트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반송 라인(L)을 향하여 진출 이동시켜 전선(W)의 단부에 대하여 단자를 압착할 때에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반송 라인(L)을 따라 반송되는 전선(W)의 단부를, 그 방향을 변경하지 않아도 한쌍의 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단자 압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선 반송 유닛(14) 혹은 그 주변에 전선(W)의 단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구성 등을 편입시키지 않아도 좋아, 구성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또한, 지지 기초부(46)가 반송 라인(L)으로 진출 이동하는 도중 또는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대기 자세로부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며, 지지 기초부(46)가 상기 반송 라인(L)으로부터 후퇴하기 전 또는 후퇴 이동하는 도중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구동부(8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 기초부(46)를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자세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릴 지지부(48)가 지지 기초부(46)의 하방에 설치되고, 릴 지지부(48)에 지지된 단자 릴(49)로부터 인출되는 연쇄 단자(T)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에 유도하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35)가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라도, 연쇄 단자(T)를 원활하게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를 향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교환용 랙(40)을 반송 라인(L)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병렬 상태로 지지하는 랙 지지 프레임(54)과, 랙 지지 프레임(54)으로 지지된 교환용 랙(40) 중 하나를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랙 지지 프레임(54)을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 기구부(60)와,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배치된 교환용 랙(40)을 반송 라인(L)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랙 진퇴 기구부(6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교환용 랙(40)을 자동적으로 교환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 본체부(36)는 지지 축부(47) 둘레로 선회하여,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에 대하여, 그 전후의 방향(Q)[즉, 전선(13)의 단부의 세팅 방향]을 따라 압착 본체부(36)를 세팅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압착 본체부(36)로서는, 그 측방으로부터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가 세팅되는 타입이 있으며, 그와 같은 타입의 압착 본체부(36)를 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압착 본체부(36) 중 상형(크림퍼라고도 불림)을 승강시키는 힘을 받는 가동 부분(130)의 상부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팅 오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세팅 오목부(132)는 가동 부분(130)의 일측방으로부터 가동 부분(130)의 중앙부를 향하여 오목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팅 오목부(130)의 상방 개구부는 그 바닥부보다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하측)에는 한쌍의 세팅 홈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팅 오목부(130)는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프레스력 부여부(140)가 삽입 감입되는 부분이다. 즉, 프레스력 부여부(140)는 짧은 원기둥형 부분의 하단부에 원판형의 플랜지부(142)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팅 오목부(130)에, 그 측방 개구측으로부터의 제1 방향으로부터 삽입 감입된다. 그리고, 플랜지부(142)가 한쌍의 세팅 홈부(133)에 감입됨으로써,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에 의한 승강 구동에 따라, 프레스력 부여부(140)와 함께 가동 부분(130)이 승강 구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도 상기와 같은 프레스력 부여부(140)를 구비하고 있다(도 31 및 도 33 참조).
상기 가동 부분(130)의 상방에는, 다음의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150)가 부착되어 있다.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150)는 도 30∼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감입부(152)와, 중계 세팅 오목부(156)가 형성된 중계 본체부(154)를 구비한다.
중계 본체부(154)는 금속 등에 의해 블록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세팅 오목부(130)와 동일 형상의 중계 세팅 오목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단, 이 중계 세팅 오목부(156)의 측방 개구 방향은 상기 세팅 오목부(130)의 측방 개구 방향(제1 방향)과는 상이하다. 즉, 이 중계 세팅 오목부(156)의 측방 개구 방향은 압착 본체부(36)를 지지 축부(47) 둘레로 회전시킬 때에, 상기 압착 본체부(36)가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압착 본체부(36)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스력 부여부(140)를,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또한,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28)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프레스력 부여부(140)를 중계 세팅 오목부(156)에 삽입 감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계 세팅 오목부(156)의 양 측부 중,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가 회전하는 원의 내주측의 측부(156a)는 중계 세팅 오목부(156)의 측방 개구 방향을 향하여 외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즉, 단자 성형 금형 장치(32)의 선회에 따라, 프레스력 부여부(140)는 중계 세팅 오목부(156)의 상기 내주측의 측부측으로부터 호형을 그리면서 중계 세팅 오목부(156) 내에 삽입 감입되기 때문에, 그 호형 궤적분, 상기 측부를 경사시키도록 하여, 프레스력 부여부(140)가 중계 세팅 오목부(156) 내에 원활하게 감입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중계 본체부(154)의 바닥부에는, 원형의 바닥을 갖는 오목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을 갖는 오목부(157)와 중계 세팅 오목부(156) 사이에 나사 삽입 관통 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중계 감입부(152)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짧은 원기둥형 부분의 양 단부에 원판형의 플랜지부(152a, 152b)가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쪽의 플랜지부(152a)는 상기 바닥을 갖는 오목부(157) 내에 감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랜지부(152a)에는, 상기 나사 삽입 관통 구멍(158)과 대응하는 나사 구멍(152a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S)가 상기 나사 삽입 관통 구멍(158)을 통과하여 나사 구멍(152as)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중계 감입부(152)가 중계 본체부(154)에 대하여 끌어 당겨지도록 고정된다.
또한, 다른쪽의 플랜지부(152b)는 상기 세팅 오목부(130)의 한쌍의 홈부(133) 내에 삽입 감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152b)를 한쌍의 홈부(133)에 삽입 감입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S)를 체결하면, 다른쪽의 플랜지부(152b)가 중계 본체부(154)에 끌어 당겨져,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150)가 가동 부분(130)의 상부에 부착 고정된다.
이 중계 기구부(150)를 이용하면, 프레스력 부여부(140)의 삽입 감입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착 본체부(36)로서, 원래 그 측방으로부터 프레스력 부여부(140)를 삽입 감입할 수 있는 구성을 유용하여, 압착 본체부(36)의 상기 선회 이동에 따라, 프레스력 부여부(140)를 중계 감입부(152)에 용이하게 감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5)

  1. 전선의 단부를 반송하는 반송 라인에 편입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로서,
    상기 반송 라인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 기초부를 갖는 교환용 프레임과,
    상기 지지 기초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 기초부의 이동 방향을 따른 대기 자세와 상기 반송 라인을 따른 작업 자세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상기 교환용 프레임에 설치되며, 단자 릴을 상기 지지 기초부의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지지부
    를 포함하는 교환용 랙을 구비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초부가 상기 반송 라인으로 진출 이동하는 도중 또는 진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작업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며, 상기 지지 기초부가 상기 반송 라인으로부터 후퇴하기 전 또는 후퇴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를 상기 작업 자세로부터 상기 대기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자세 변경 기구부를 더 구비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 지지부가 상기 지지 기초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릴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단자 릴로부터 인출되는 연쇄 단자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여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에 유도하는 연쇄 단자 가이드부가,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용 랙이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을 반송 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병렬 상태로 지지하는 랙 지지 프레임과,
    병렬 상태로 지지된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 중 하나를, 상기 반송 라인에 있어서의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상기 반송 라인을 따라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 기구부와,
    병렬 상태로 지지된 상기 복수의 교환용 랙 중, 상기 단자 압착 수납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상기 반송 라인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랙 진퇴 기구부
    를 구비하는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상부에, 외주 둘레의 제1 방향으로부터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프레스력 부여부가 삽입 감입되는 세팅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상부에, 상기 세팅 오목부에 삽입 감입 가능한 중계 감입부와,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단자 성형 금형 장치가 상기 압착용 프레스 기구부의 하방으로 이동할 때의 이동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프레스력 부여부를 삽입 감입할 수 있는 중계 세팅 오목부를 포함하는 프레스력 중계 기구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인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KR1020147023120A 2012-02-22 2012-07-27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KR101576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5843A JP5776582B2 (ja) 2012-02-22 2012-02-22 端子成形金型装置の交換装置
JPJP-P-2012-035843 2012-02-22
PCT/JP2012/069084 WO2013125068A1 (ja) 2012-02-22 2012-07-27 端子成形金型装置の交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053A KR20140114053A (ko) 2014-09-25
KR101576762B1 true KR101576762B1 (ko) 2015-12-10

Family

ID=4900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120A KR101576762B1 (ko) 2012-02-22 2012-07-27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00211A4 (ko)
JP (1) JP5776582B2 (ko)
KR (1) KR101576762B1 (ko)
CN (1) CN104137352B (ko)
WO (1) WO2013125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29A (ko)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두두원 치아미백 기능과 전자동 칫솔이 통합된 다기능 오랄 케어 장치
CN113381260B (zh) * 2021-06-17 2023-02-17 广州新李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线束的穿剥压一体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3127B2 (ja) 2003-04-10 2008-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自動生産システム
JP2008251539A (ja) 2001-11-24 2008-10-16 Delphi Technologies Inc ワイヤハーネスの改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409B2 (ja) * 1992-05-18 1999-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端末処理装置
JP3119421B2 (ja) * 1995-02-09 2000-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機用アプリケータ
JP4054461B2 (ja) * 1998-11-02 2008-02-2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用アプリケータ自動交換装置
JP3991761B2 (ja) * 2002-05-01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切断圧着方法
CN2745253Y (zh) * 2004-11-06 2005-12-07 王嫦萍 改良型端子机模架
JP2011216391A (ja) 2010-04-01 2011-10-2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端子圧着電線、端子圧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539A (ja) 2001-11-24 2008-10-16 Delphi Technologies Inc ワイヤハーネスの改善
JP4063127B2 (ja) 2003-04-10 2008-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自動生産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068A1 (ja) 2013-08-29
JP2013171755A (ja) 2013-09-02
EP2800211A1 (en) 2014-11-05
CN104137352B (zh) 2017-06-09
CN104137352A (zh) 2014-11-05
EP2800211A4 (en) 2015-07-29
KR20140114053A (ko) 2014-09-25
JP5776582B2 (ja)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022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logs within cutting-off machines
CN109066249B (zh) Usb线自动成型机
CN210547671U (zh) 一种电子元器件自动成型剪脚装置
CN108202321B (zh) 线缆加工装置
CN112068246A (zh) 基于滚轮剥线设备的多芯线剥线方法
JP2739104B2 (ja) プレス加工装置
KR101576762B1 (ko) 단자 성형 금형 장치의 교환 장치
CN112722412A (zh) 一种覆膜装置及电器包装线
CN112658684A (zh) 一种锯铣加工系统及方法
CN108257777B (zh) 一种点火线圈加工的冲床装置
CN112157144A (zh) 一种具有送料防滑结构的液压板料折弯机
EP1996348B1 (en) Method to feed bars to a working machine and relative device
US11545803B1 (en) Connector loading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ng machine
CN210120316U (zh) 一种端子压接电线的加工设备
CN110112871B (zh) 电机定子的自动化生产线
US4439919A (en) Automatic lead making apparatus
CN116587007A (zh) 一种磁系统自动化产线
CN214444003U (zh) 一种自动点焊机
CN215342285U (zh) 一种线圈与磁环装配设备
JP5771487B2 (ja) 電線供給装置
CN116422763A (zh) 一种异形切边机的进料改进方法、进料装置及异形切边机
CN113451026A (zh) 一种线圈与磁环装配机
CN215845196U (zh) 一种铜条裁弯一体机
CN112775389B (zh) 链条生产设备、链条生产设备的控制系统及加工步骤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