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816B1 -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16B1
KR101544816B1 KR1020090027484A KR20090027484A KR101544816B1 KR 101544816 B1 KR101544816 B1 KR 101544816B1 KR 1020090027484 A KR1020090027484 A KR 1020090027484A KR 20090027484 A KR20090027484 A KR 20090027484A KR 101544816 B1 KR101544816 B1 KR 101544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itting
upper thread
yar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763A (ko
Inventor
다이스케 카토우
카츠아키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1/00Loop holders; Loop spreaders; Stitch-forming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윗실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윗실(T)의 실단부(TA)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하기 위한 윗실 끼움지지수단(26)과, 윗실 끼움지지수단(2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7)에 의해, 재봉 시작시에, 재봉바늘(N)의 실 통과구멍(Na)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베드부(2)의 바늘판(8)의 하방에서 또한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포착하여 끼움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 미리 설정된 바늘수를 바늘낙하시킨 후, 끼움지지된 윗실(T)의 실단부(TA)를 해방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윗실 끼움지지수단(26)이 윗실(T)을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 윗실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引上)경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수단(30)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UPPER-THREAD CLAMP MECHANISM IN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 시작시에 재봉바늘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絲端部)를 바늘판의 하방에서 끼움지지하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재봉 시작시의 바늘땀을 확실히 형성하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재봉 시작시에 재봉바늘의 실 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바늘실)의 실단부를 바늘판의 하방에서 끼움지지하는 윗실 클램핑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윗실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는, 재봉 시작시에,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실 포착부(투과공(透穴))를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경로 상에 배치하고, 재봉 시작시의 제 1 바늘째에 있어서 실 포착부의 내부에 윗실을 포착한 후에, 실 포착부를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이격시킨 다음, 실 포착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대향하도록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끼움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윗실의 실단부, 자세하게는, 윗실의 선단(실끝)의 근방을 끼움지지하고, 그 후 미리 설정된 바늘수, 예컨대 2회(2 바늘) 혹은 3회(3 바늘) 바늘낙하시킨 후, 끼움지지된 윗실의 실단부를 해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67007호
그러나, 종래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는, 끼움지지된 윗실의 실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루프가 형성되면, 루프를 실 포착부로부터 뺄 수가 없는, 즉, 윗실의 실단부가 실 포착부로부터 빠지지 않으면, 옷감의 어긋남(재봉형상의 어긋남), 실 절단, 장치의 동작불량 등이 발생하여, 안정된 바늘땀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옷감의 뒷면이란, 봉제시에 있어서 바늘판 상에 올려지는 봉제 대상물로서의 옷감의 바늘판측의 면을 말한다.
상기 실 포착부로부터 윗실의 루프가 빠지지 않는 것에 대해,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윗실 클램핑 장치(101)에 있어서는, 재봉 시작시의 최초의 바늘낙하(1 바늘째)가 이루어지면, 재봉바늘(N)은, 그 상하이동경로(NL)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재봉바늘(N)은, 그 선단부 근방에 형성된 실 통과구멍(Na)에 윗실(T)이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베드부(MB)에 설치된 바늘판(P) 상에 올려져 있는 옷감(C)을 찔러 바늘판(P)의 바늘구멍(Pa)의 하방으로 하강한다. 상기 재봉바늘(N)의 하강은, 제 1 끼움지지부재(102)에 형성된 평면이 직사각형상인 실 포착부(103; 투과공)를 통과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봉바늘(N)이 상승하면 윗실 루프(TL)가 형성된다. 상기 윗실 루프(TL)는, 가마(K)의 칼끝(Ka)에서 걸어채어짐으로써, 선단(Ta)이 아래로 드리워진 상태가 되어, 실 포착부(103)의 내부에 윗실(T)이 포착된다. 상기 실 포착부(103)는, 윗실(T)을 포착한 후에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의 측방으로 이격되고, 이후, 실 포착부(103)의 내면(103a)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끼움지지부(104)와, 제 2 끼움지지부재(105)에 형성된 제 2 끼움지지부(106; 제 1 끼움지지부(10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와의 사이에서 윗실(T)이 끼움지지된다(도 25).
이 상태에서, 또한 미리 설정된 바늘수를 바늘낙하, 예컨대, 재봉바늘(N)이 1회(2 바늘째) 또는 2회(2 바늘째 및 3 바늘째) 상하이동하면, 윗실(T)이 도시하지 않은 밑실과 매듭을 짓고, 바늘판(P) 상에 올려진 옷감(C)에 바늘땀(S)이 형성된다. 그리고, 윗실(T)과 밑실이 매듭을 지은 후의 바늘낙하(제 3 바늘째 또는 제 4 바늘째) 전에, 제 1 끼움지지부(104)와 제 2 끼움지지부(106) 사이에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T)이 해방되고, 이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바늘땀(S)이 형성된다. 또한, 윗실(T)의 선단(Ta)은, 봉제의 진행에 따라 옷감(C)이 이송됨으로써, 실 포착부(103)로부터 빠져나온다.
여기서, 1 바늘째에서 제 1 끼움지지부(104)와 제 2 끼움지지부(106)의 사이에 끼움지지된 윗실(T)의 피(被)끼움지지 부분에 이어지는 실단부(TA)가, 2 바늘째 이후의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 상, 예컨대, 가마(K)의 칼끝(Ka)의 통과경로 에 걸리도록 위치되어 있으면, 2 바늘째의 윗실 루프(TL)의 내부에 실단부(TA)가 들어간다(도 26).
이때, 제 1 끼움지지부(104)와 제 2 끼움지지부(106)의 사이에서 끼움지지된 윗실(T)의 실단부(TA)의 길이, 자세하게는,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선단(Ta)까지의 길이(이하, 「실단부의 길이」라 함)가,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옷감(C)의 바늘낙하점(DP)까지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윗실(T)의 실단부(TA)가 윗실 루프(TL) 안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고, 도시하지 않은 실채기에 의해 윗실(T)이 끌어올려짐으로써, 윗실 루프(TL)와 함께 윗실(T)의 실단부(TA)가 끌어올려진다(도 27).
따라서, 윗실(T)의 끌어올려짐이 완료되면, 실 포착부(103)를 통과한 윗실(T)의 실단부(TA)의 선단(Ta)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S)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103)를 지나는 루프(W; 바늘땀(S)을 형성하는 데 제공되는 윗실 루프(TL)와는 다름)가 형성되게 된다(도 28).
상기 루프(W)는, 제 1 끼움지지부(104)와 제 2 끼움지지부(106)의 상호간을 이격시킴으로써, 끼움지지된 윗실(T)을 해방하여도, 실 포착부(103)로부터 빠지지 않고, 실 포착부(103)에 얽힌 상태가 되므로, 바늘수의 증가, 즉, 봉제의 진행에 따라 옷감(C)이 이송됨으로써, 옷감(C)에 잡아 당겨지거나, 또는 옷감(C)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옷감의 어긋남(재봉형상의 어긋남), 실 절단, 장치의 동작불량 등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윗실 클램핑 장치(101)에서는, 윗실(T)의 「실단부의 길이」가,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옷감(C)의 바늘낙하점(DP)까지의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끼움지지되어 있는 시간(바늘수)이 많을수록, 반복해서 윗실 루프(TL)가 통과하기 때문에, 실단부(TA)가 끌어올려져, 넣고 꿰매어지는 빈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윗실 클램핑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 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따른 본 발명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특징은, 윗실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하기 위한 윗실 끼움지지수단과,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가지고 있고, 재봉 시작시에, 재봉바늘의 실 통과구멍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를 베드부의 바늘판의 하방에서, 또한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경로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포착하여 끼움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 미리 설정된 바늘수를 바늘낙하시킨 후, 끼움지지된 상기 윗실의 실단부를 해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윗실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에,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실단부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실단부 부분을 윗실 루프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실 제거수단은,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윗실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 윗실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실단부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실단부 부분을 윗실 루프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으므로,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바늘판의 바늘구멍을 관통한 상기 재봉바늘의 실 통과구멍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실 포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실 제거수단은, 수평면을 따라 가동(可動)으로 되는 동시에,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실 포착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되어 유지되어 있는 실 제거 본체와, 상기 실 제거 본체에 접촉 및 이격되는 실 제거 작동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를 상기 실 제거 본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실 제거 본체를 작동시켜 실을 제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실 제거 작동부재를 실 제거 본체에 맞닿게 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윗실을 포착하여 실 제거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본 발명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실 포착부에 형성된 제 1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1 끼움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제 2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2 끼움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적어도 상기 실 포착부의 내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의 측방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위치인 두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 본체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가 상기 구동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는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윗실의 실단부를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실 제거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 제거수단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제 1 끼움지지부재의 동작의 편차나 부품 정밀도에 관계없이 확실히 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본 발명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특징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실 포착부에 형성된 제 1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1 끼움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제 2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2 끼움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적어도 상기 실 포착부의 내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의 측방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위치인 두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 본체가 상기 구동수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용 작동부재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는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윗실의 실단부를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실 제거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 제거수단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제 1 끼움지지부재의 동작의 편차나 부품 정밀도에 관계없이 확실히 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윗실이 굵거나 하여도 안정된 실 제거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 따르면, 실 제거수단은,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윗실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에, 윗실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윗실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의 실단부 부분을 윗실 루프의 끌어올림경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으므로,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가 윗실 루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의 선단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따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이하, 간단히 ‘윗실 클램핑 장치’라 함)를 구비한 재봉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는, 베드부의 선단부가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X축방향의 폭이 다른 부위보다 좁게 설정된 실린더 베드 재봉기의 기본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는, 베드부(2)와, 베드부(2)의 도 1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에 형성되어 상방을 향해 돌출설치된 연결 몸통부(3)와, 상기 연결 몸통부(3)의 상부로부터 도 1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베드부(2)와 평행하게 연장하여 있도록 연장형성된 아암부(4)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대략‘コ’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하는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방향을 Z축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베드부(2) 및 아암부(4)의 길이방향을 Y축방향으로 하고, Z축방향 및 Y축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X축방향으로 한다.
또한, 재봉기(1)를 수평면 상에 설치한 경우에, Z축방향에서의 +측을 상, - 측을 하로 하고, X축방향에서의 +측을 좌, -측을 우, Y축방향에서의 +측을 전, -측을 후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재봉기(1)는, 아암부(4)의 선단부에 형성되며 재봉기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재봉바늘(N)과, 아암부(4)의 상부에 형성되며 재봉바늘(N)에 윗실(T)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윗실공급원과, 상기 윗실공급원과 재봉바늘(N)의 사이에서 윗실(T)을 소정의 하중으로 끼움지지하며 그 이송방향의 이동으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실 장력조절장치(6)와, 상기 실 장력조절장치(6)와 재봉바늘(N)의 사이에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실채기(7)에 의해 윗실(T)을 끌어올리는 실채기장치와, 베드부(2)의 상면에 형성되며 재봉바늘(N)의 선단부를 삽입통과시키는 바늘구멍(8a; 도 2)이 형성된 바늘판(8)과, 베드부(2)의 내부이며 바늘판(8)의 하방에 형성되어, 하강한 재봉바늘(N)로부터 윗실 루프(TL)를 걸어채는 동시에 상기 윗실 루프(TL)에 도시하지 않은 밑실을 삽입통과시키는 수직 반(半)회전 가마를 구비한 가마기구(9)와, 바늘판(8)과 가마기구(9)의 사이에 있어서 재봉바늘(N)의 1 바늘째의 상승시에 윗실(T)의 실단부(TA)를 끼움지지하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10; 이하, 단순히 ‘윗실 클램핑 장치(10)’라 함)와, 베드부(2)의 내부에 형성되며 봉제 후에 윗실(T) 및 밑실을 절단하는 도시하지 않은 실 절단장치와, 각 부의 동작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11; 도 3)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재봉바늘(N)에는, 도 1의 하방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보다 조금 상방에 실 통과구멍(Na)(바늘땀 구멍 : 도 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 통과구멍(Na)에 윗실(T)이 삽입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봉바늘(N)의 도 1의 상방에 나 타낸 기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바늘 고정부를 통해 바늘대(12)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바늘대(12)는 아암부(4)의 도 1의 좌측에 나타낸 자유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바늘대(12)의 하단부는 아암부(4)의 자유단측의 하면으로부터, 베드부(2)의 바늘낙하 위치, 자세하게는, 바늘판(8)의 바늘구멍(8a)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늘대(12)는 도시하지 않은 바늘대 구동기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바늘대 구동기구는, 하단부에 재봉바늘(N)이 부착된 바늘대(12)를, 재봉기 모터(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재봉기 주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소정의 주기로, 또한 소정의 스트로크를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재봉기 모터(5)에는, 그 회전 위상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13; 도 3)가 병설되어 있고, 재봉바늘(N)이 상사점(上死點)에 위치하였을 때를 0°로 하여 현재의 재봉기 모터(5)의 출력축이 0∼360°중 어느 쪽의 각도 위치에 있는지를 제어수단(11)에 출력한다.
상기 실채기(7)에는, 윗실(T)이 삽입통과되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며, 윗실(T)이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그 상승시에 재봉바늘(N)의 실 통과구멍(Na)에 삽입통과된 윗실(T)을 끌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채기장치는, 실채기(7)를 재봉바늘(N)과 같은 주기로 상하이동시키는데, 실채기(7)가 상사점에 위치하는 타이밍은, 재봉바늘(N)이 상사점에 위치하는 시점보다 조금 늦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마기구(9)는, 요동운동(정회전 방향으로의 반 (半)회전 운동 및 역회전 방향으로의 반회전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는 왕복 반회전 운동)을 수행하고,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칼끝(15)에 의해 윗실 루프(TL)를 포착하는 중(中)가마(16)와, 중가마(1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大)가마(17)와, 대가마(17)의 상부에 형성된 윗실 가이드판(18)과, 연결 몸통부(3)에 배치측(側)으로부터 대가마(17)를 향해 베드부(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나와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를 통해 중가마(16)에 요동 구동력을 부여하는 가마축(19; 도 1에 일부만 도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마축(19)은, 재봉기 모터(5)로부터 분기된 구동력이 요동 구동력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재봉바늘(N)의 상하방향으로의 왕복운동과 중가마(16)의 요동운동에 대하여 소정의 위상차로 동기가 도모되어 있다. 또, 윗실 가이드판(18)은, 윗실(T)의 중가마(16)의 레이스면에 대한 접촉이나, 중가마(16)와 대가마(17)와의 슬라이딩 이동면(대가마(17)의 레이스면과 중가마(16)의 레이스면과의 접촉면)에 대한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판형상의 부재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수단(11)은 상세히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종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CPU(MPU여도 된다)와, 제어, 판단 등의 각종 처리용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 저장된 ROM과, 각종 처리에서의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RAM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수단(11)에는, 시스템 버스 및 구동회로 등을 통해 재봉기 모터(5), 인코더(13), 후술하는 구동수단(27)의 구동원으로서의 실 클램핑용 모터(58), 실 절단장치의 실 절단 모터(20), 후술하는 이동위치 검출수단(56)의 제 1 상태센서(66) 및 제 2 상태센서(67), 봉제의 개시와 정지를 입력하기 위한 스타트/스톱 스위치(21),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 등이나 전원 스위치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11)은, 재봉기 모터(5)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는 인코더(13)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근거하여, 재봉기 모터(5)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11)은 제 1 상태센서(66), 제 2 상태센서(67)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윗실 끼움지지수단(26; 이하, 간단히 ‘끼움지지수단(26)’이라 함)의 각 이동위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초기위치, 끼움지지위치 및 해방위치의 3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11)은 스타트/스톱 스위치(21)로부터 봉제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확인, 인식한 재봉기 모터(5)의 회전각도나 이동위치 검출수단(56)의 동작위치검출에 따라, 구동수단(27)의 구동원으로서의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발명에 따른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는, 재봉 시작시의 바늘땀(S; 도 28 참조)을 확실히 형성, 즉 재봉 시작시의 윗실(T)의 실단부(TA)가 옷감(C; 도 25 참조)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봉 시작시의 1 바늘째의 재봉바늘(N)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바늘판(8)의 하방에서, 또한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 도 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포착하여 끼움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 미리 설정된 바늘수를 바늘낙하시킨 후에, 끼움지지된 윗실(T)의 실단부(TA)를 해방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된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를 구비하는 끼움지지수단(26)과, 상기 끼움지지수단(2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7)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27)은, 이동수단(28)과, 관련동작수단(29)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는, 실 제거수단(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동수단(28)은, 끼움지지수단(26)을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상에 위치하는 초기위치(도 7∼도 10)와, 이 초기위치로부터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 Z축방향으로 평행하며, 상사점에 있어서의 재봉바늘(N)의 선단위치로부터 하사점에 있어서의 재봉바늘(N)의 선단위치를 연결하는 경로)에 대해 후방(연결 몸통부쪽)으로 이격된 끼움지지위치(도 13, 도 14)와, 상기 끼움지지위치보다 더욱 후방(연결 몸통부쪽)으로 이격된 해방위치(도 15, 도 16)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재봉 시작시에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로 이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바늘수의 바늘이 낙하되는 동안 정지시킨 후에, 끼움지지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련동작수단(29)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위치할 때에, 제 2 끼움지지부(25)를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보다 연결 몸통부쪽의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제 1 끼움지지부(24)를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를 사이에 두고 끼움지지부(3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서 끼움지지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윗실(T)의 실단부(TA)를 끼움지지하게 하고, 끼움지지수단(26)을 해방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제 2 끼움지지부(25)를 제 1 끼움지지부(24)로부터 이격시켜 끼움지지된 윗실(T)의 실단부(TA)를 해방시키도록,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를 이동수단(28)의 이동에 기계적으로 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구동수단(27)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와 끼움지지위치와 해방위치인 세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수단(27)으로서는, 이동수단(28) 및 관련동작수단(29) 대신에, 제 1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끼움지지수단(26)의 전체를 초기위치, 끼움지지위치 및 해방위치인 세 위치(초기위치 및 끼움지지위치인 두 위치인 경우도 있음)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이동시키는 구성과, 제 2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를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동작시키는 구성과 아울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실 제거수단(30)은, 적어도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로 이동하여 윗실(T)을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끼움지지수단(26)의 동작에 기계적으로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끼움지지수단(26)은, 제 1 끼움지지부(24)를 구비하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제 2 끼움지지부(25)를 구비하는 제 2 끼움지지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이들 각 부재(31, 32)는, 모두 그 전체 형상이 길이가 긴 판형상이며, 이들은 제 2 끼움지지부재(32)를 위로 하여 포개어져, 모두 그 길이방향을 Y축방향에 평행하게 향해진 상태에서 Y축방향(전후방향)을 따라 양쪽이 슬라이딩 이동(滑動) 가능하게 관련동작수단(29)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끼움지지수단(26)의 각 부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끼움지지수단(26)이 관련동작수단(29)에 지지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는,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실 포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 포착부(33)는, 바늘판(P)의 바늘구멍(Pa)을 관통한 재봉바늘(N)의 실 통과구멍(Na)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프레임형상,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을 따라 평면이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 포착부(33)의 내면 중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전방 내면에 의해, 윗실(T)을 끼움지지할 때에 이용되는 제 1 끼움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끼움지지부(24)는 실 포착부(33)의 일부를 형 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의 선단측에는, 후술하는 실 제거수단(30)의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실 제거 본체(83)를 부착하기 위한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34)가 X축방향 -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대략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34)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외측면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측에는, 스토퍼(36)가 Z축방향 -측인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실 포착부(33)의 X축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내측면은,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제 2 끼움지지부(25)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로서도 기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실 포착부(33)의 형상으로서는 설계 개념 등의 필요에 따라, 평면이 직사각형상 이외의 형상, 예컨대 Y축방향 -측을 대략 원호형상 또는 반원형상으로 해도 되고, 특별히, 본 실시형태의 평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평면이 긴 직사각형상의 관통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43)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관련동작수단(29)의 인장 스프링(44)이 배치되어 그 신축을 수행하는 동작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관통구멍(43)의 전단부에 인장 스프링(44)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Y축방향 중간부 약간 뒤쪽의 위치에는, X축방향 -측을 향해 연장설치된 브래킷부(45)가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 되어 나온 환봉(丸棒))형상의 걸림결합 핀(46)이 그 선단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고정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끼움지지부재(31)는, 걸림결합 핀(46)을 통해 관련동작수단(29)에 의한 전후방향의 이동력이 입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끼움지지부재(32)는, 전측(前側)부(48)와 후측부(49)로 2분할되어 있고, 이들이 연결체(5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일체의 대략 길이가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측부(48)의 전단부에는 제 2 끼움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끼움지지부(25)는, 실 포착부(3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끼움지지부(24)에 대해 접촉 및 이격 가능한 끼움지지면(25a)과, 제 1 끼움지지부(24)에 대한 접촉시에 제 1 끼움지지부(24)의 하방을 통과하여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선단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굴곡부(25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상대적인 접근 동작에 의해,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실 포착부(33)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통과된 윗실(T)을,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끼움지지면(25a)에 의해 끼움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지지된 윗실(T)은, 끼움지지면(25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설치된 굴곡부(25b)에 의해 전방을 향해 구부려져, 윗실(T)을 전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휘는 상태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윗실(T)의 실단부(TA)는, 굴곡부(25b)에 의해, 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아래로 드리워지게 되므로, 그 하방에 위치하는 가마기구(9)의 중가마(16)보다 전방으로 위치가 비켜져, 중가마(16)에 접촉되거나 말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의 끼움지지면(25a)으로서는,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끼움지지면(25a)이 윗실(T)을 통해 맞닿을 수 있는 형상, 예컨대 평면을 원호형상과 같은 만곡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후측부(49)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구멍(51)이 형성되며,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 제 1 끼움지지부재(31)가 포개진 상태로 관련동작수단(29)에 지지된 경우에, 관통구멍(51)은 전술한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관통구멍(43)과 중합되고, 이들의 내측에 관련동작수단(29)의 인장 스프링(44)이 배치되어, 그 신축을 수행하는 동작영역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51)의 후단부에 인장 스프링(44)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끼움지지부재(32)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인장 스프링(44)을 통해 연결된 상태가 되고,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제 2 끼움지지부(25)는, 항상 서로 접근하여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후측부(49)의 Y축방향의 중간부에는 X축방향 +측을 향해 연장설치된 브래킷부(52)가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나온 환봉형상의 걸림결합 핀(53)이 그 선단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고정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끼움지지부재(32)에는 걸림결합 핀(53)을 통해 관련동작수단(29)에 의한 전후방향의 이동력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수단(28)은, 끼움지지수단(26)의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에 대해, 봉제 개시 전에 미리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의 하방인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고, 봉제 개시 후이며 1 바늘째의 재봉바늘(N)을 옷감으로부터 빼냈을 때에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에 대해 초기위치보다 후방이 되는 끼움지지위치로 이동시키고, 미리 설정된 회수의 바늘낙하가 이루어지면(예컨대 2∼3바늘)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에 대해 끼움지지위치보다 후방이 되는 해방위치로 이동시킨다는 3가지의 위치에 대한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수단(28)은, 관련동작수단(29)에 지지된 끼움지지수단(26)을 Y축방향을 따라 왕복 구동시키는 Y축 이동기구(55)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 끼움지지위치 및 해방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이동위치 검출수단(56; 도 9)과, 이동위치 검출수단(56)의 검출에 근거하여 Y축 이동기구(55)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위치결정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Y축 이동기구(55)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수단(27)의 구동원으로서의 회전 구동력을 출력하는 실 클램핑용 모터(58)와,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출력축에 자신의 요동 중심위치가 연결된 주동 링크체(59)와, 관련동작수단(29)의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에 Y축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종동 링크체(61)와, 주동 링크체(59)로부터 종동 링크체(6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링크체(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 클램핑용 모터(58)로서는, 예컨대 스테핑 모터가 이용되고 있으며, 제어수단(11)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정역(正逆)방향에 대해 임의의 회전 각도량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동 링크체(59)는, 그 일단부가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출력축에 고정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전달 링크체(62)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동 링크체(61)는, 그 일단부가 관련동작수단(29)의 후술하는 가이드판(63)에 축지지되며, 그 타단부는 전달 링크체(62)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대략 “く”자형의 종동 링크체(61)에는 관련동작수단(29)의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에 Y축방향에 따른 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걸림결합 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달 링크체(62)는, 대략 Y축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며,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구동에 의한 주동 링크체(59)의 요동과 함께 종동 링크체(61)를 요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 클램핑용 모터(58)가 구동하면 주동 링크체(59)의 요동과 함께 종동 링크체(61)가 요동하고, 걸림결합 돌기(64)를 통해 관련동작수단(29)의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가 Y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위치 검출수단(56)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가지고, 이들 사이의 차폐물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와, 전술한 Y축 이동기구(55)의 전달 링크체(62)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차폐영역(68, 69)을 가지는 차폐판(70)을 구비하고 있다(도 9).
상기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는, 차폐판(70)의 이동선 상을 따라 나 란히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상태센서(66)가 뒤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상태센서(66, 67)는 대략 Y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상태가 된다. 각 상태센서(66, 67)의 수광소자는, 차폐물이 있는 상태를 ON상태로 하고, 차폐물이 없는 상태를 OFF상태로 하여, 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신호를 제어수단(11)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차폐판(70)은,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의 양쪽에 대해 발광소자-수광소자 간을 통과하도록 전달 링크체(62)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차폐영역(68)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상태센서(66)와 제 2 상태센서(67)의 사이에 위치하고, 끼움지지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상태센서(66)를 차폐하는 위치에 있으며, 해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여전히 제 1 상태센서(66)를 차폐하는 위치에 있도록 그 Y축방향 위치 및 Y축방향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 2 차폐영역(69)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 또는 끼움지지위치에 있을 때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제 2 상태센서(67)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해방위치에 있을 때에 비로소 제 2 상태센서(67)를 차폐하는 위치가 되도록 그 Y축방향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11)에서는,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있는 것을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가 모두 OFF상태인 것으로부터 판별할 수 있고,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에 있는 것을 제 1 상태센서가 ON상태이며 또한 제 2 상태센서(67)가 OFF상태인 것으로부터 판별할 수 있으며,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 치에 있는 것을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가 모두 ON상태인 것으로부터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위치결정 제어수단은, 실제로는 제어수단(11)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이, 이동위치결정 제어수단은, 재봉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의 기능의 일부를 빌려 실현해도 되고, 독립된 제어수단에 의해 실현시켜도 된다.
상기 이동위치결정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수단(11)은, 미리 끼움지지수단(26)을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회전 각도량 및 끼움지지위치로부터 해방위치로 이동시키는 회전 각도량을 기억하고 있고, 끼움지지수단(26)을 제 2 및 해방위치에 위치결정할 때에는 기억각도위치를 참조하여 실 클램핑용 모터(58)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초기위치에 대해서는, 제어수단(11)이, 재봉기(1)의 전원 투입시에 이동위치 검출수단(56)을 이용하여 초기위치 제어부로서의 제어(초기화 동작 처리)를 수행하고, 실 클램핑용 모터(58)를 구동하여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가 모두 OFF상태가 되는 위치를 검색하여, 그 위치에서 대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봉제 개시 후의 1 바늘째에 있어서 재봉기 모터(5)의 인코더(13)에 의해 출력축 각도가 예컨대 245°인 것을 검출하면, 재봉바늘(N)이 옷감(C)으로부터 상방으로 빠졌음을 인식하여 끼움지지수단(26)을 끼움지지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윗실 유지 제어부로서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에서는, 재봉기 모터(5)의 출력축에 대해 재봉바늘(N)의 상사점 위치를 0°로 한 경우에, 245°까지 회전하면 재봉바늘(N)이 하사점을 통과하여 바늘판(8)의 상방으로 빠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코더(13)의 출력에 의해, 봉제 개시 후의 소정수의 바늘낙하가 검출되면 끼움지지수단(26)을 해방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윗실 해방 제어부로서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인코더(13)의 출력에 의한 바늘수의 인식은, 예컨대, 인코더(13)에 의한 180°를 나타내는 신호출력 회수를 계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동작수단(29)은,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 제 1 끼움지지부재(31)를 각각 Y축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수단으로서의 가이드판(63)과, 제 2 끼움지지부(25)와 제 1 끼움지지부(24)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사이에 항상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가압수단으로서의 인장 스프링(44)과, 자신의 요동에 의한 자세변화에 따라 제 2 끼움지지부(25)와 제 1 끼움지지부(24)를 접촉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각각에 걸림결합되는 동시에, 이동수단(28)에 의한 끼움지지수단(26)의 각 이동위치에 대한 이동력이 입력되는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에 맞닿아 제 2 끼움지지부(25)와 제 1 끼움지지부(24)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하는 제 1 접촉부재(72)와,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치에 있을 때에,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에 맞닿아 제 2 끼움지지부(25)와 제 1 끼움지지부(24)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요동하게 하는 제 2 접촉부재(73)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이드판(63)은, 베드부(2)의 상부이며 바늘판(8)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 관련동작수단(29)의 각 부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가이드판(63)이 베드부(2)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판(63)의 상면에는 그 X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위치에 Y축방향을 따른 가이드 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75)에는, 끼움지지수단(26)의 제 1 끼움지지부재(31) 및 제 2 끼움지지부재(32)가 길이방향을 정렬하여 포개진 상태로 수용되고, 또한 그 위로부터는 누름판(76)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 및 제 2 끼움지지부재(32)가 가이드 홈(75)으로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덮개를 덮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끼움지지부재(31) 및 제 2 끼움지지부재(32)는 가이드 홈(75)으로 안내되어 각각 Y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제 2 끼움지지부재(32)는 인장 스프링(44)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각 부재(31, 32)는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를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판(63)의 가이드 홈(75)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각각 관통구멍(77, 78)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관통구멍(77)에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형성된 걸림결합 핀(46)이 상방으로부터 끼움삽입되고, 다른 쪽의 관통구멍(78)에는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걸림결합 핀(53)이 끼움삽입된다. 또한, 각 관통구 멍(77, 78)은 모두, 끼움지지수단(26)의 초기위치로부터 해방위치까지의 이동 및 이에 따른 제 1 끼움지지부재(31) 및 제 2 끼움지지부재(32)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각 걸림결합 핀(46, 53)에 각 구멍(77, 78)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모두 접촉하지 않도록 그 Y축방향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관통구멍(77, 78)에 삽입통과된 각 걸림결합 핀(46, 53)은 그 선단부가 가이드판(63)의 하면측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개별적으로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된 배치로,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의 회동 걸림결합부(79)와,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의 회동 걸림결합부(80)와,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수단(28)과의 회동 걸림결합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의 회동 걸림결합부(79)는,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의 길이방향을 따른 긴 구멍형상의 관통구멍이며, 걸림결합 핀(46)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 2 끼움지지부재(32)와의 회동 걸림결합부(80)는, 원형의 관통구멍이며, 걸림결합 핀(53)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동수단(28)과의 회동 걸림결합부(81)는,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의 길이방향을 따른 긴 구멍형상의 관통구멍이며, 걸림결합 돌기(64)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수단(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제거 본체(83)와 상기 실 제거 본체(83)를 작동시키기 위한 실 제거 작동부재(8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83)는, 전후방향으로 긴 평판형상의 실 제거 아암(85)과, 상기 실 제거 아암(85)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으로부터 X축방향 -측을 향 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평판형상의 입력아암(86)에 의해 전체적으로 벨크랭크(bell crank)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의 선단부에는, X축방향 +측을 향해 연장된 클로부(85a)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후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로부(85a)와 실 제거 아암(85)과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측면의 접속부인 클로부(85a)의 밑동 부분에는, 실 제거 본체(83)에 의한 실 포착부로서의 오목부(8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과 입력아암(86)과의 접속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통과구멍(8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통과구멍(87)에는, 실 제거 본체(8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핀으로서 기능하는 부착용 단붙이 나사(88)가 하방으로부터 삽입통과되어 있다.
상기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는,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34)의 나사구멍(35)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실 제거 본체(83)는,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착용 단붙이 나사(88)에는 가압수단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은, 실 제거 본체(83)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일단이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34)에 형성된 스토퍼(36)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면에 걸리고, 타단이 실 제거 본체(83)의 구동아암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전측면(前側面)에 걸려 있다(도 10).
상기 실 제거 본체(8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의 가압력(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입력아암(86)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면이 스토퍼(36)에 맞닿아 있어, Z축방향 +측인 위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의 최대 회전위치가 규제되고, 실 제거 아암(85)이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하여, 위에서 볼 때 수평면을 따라 시계방향(도 1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 제거 아암(85)은, 실 포착부(33)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방에 있어서 실 포착부(3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실 포착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의 클로부(85a)는, 실 포착부(33)의 선단으로부터 Y축방향 +측에 배치되어 있고, 실 제거 본체(83)가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하여 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실 제거 아암(85)이 실 포착부(33)의 바로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84)는, 가이드판(63)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면의 중앙부로부터 X축방향 -측 근처에 있어서 Y축방향 +측으로 돌출하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작동부재(84)의 선단은, 실 제거 본체(83)의 입력아암(86)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부위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물론, 실 제거 작동부재(84)는, 스토퍼(36)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실 제거 작동부재(84)는, 가이드판(63)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드부(2) 등의 다른 고정부위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실 제거 작동부재(84)는,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는 도중에서, 선단이 입력아암(86)에 맞닿아 실 제거 본체(83)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를 넘어 해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실 제거 본체(83)의 회전이 종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83)를 회전시키는 회전각도로서는,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각도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 제거 작동부재(84)로서는, Y축방향 +측의 선단의 위치를 Y축방향을 따라 조절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컨대, 실 제거 작동부재(84)의 기저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를 가이드판(63) 또는 다른 고정부위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삽입시킬 때의 나사삽입량을 변화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품의 정밀도를 완화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실 제거 본체(83)의 회동 타이밍 및 개방 각도를 상세히 조정할 수 있고, 윗실(T)의 굵기나 강도에 대하여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실 절단을 방지하여, 봉제품질의 향상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윗실 클램핑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시형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 도 7 내지 도 16에 있어서는 주요부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의 전원 스위치가 ON 조작되면, 제어수단(11)은, 초기화 동작을 실행하여, 끼움지지수단(26)을 초기위치에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끼움지지수단(26)은,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 상에 위치하고, 제 1 끼움지지부(24)는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 2 끼움지지부(25)는 직선(M)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실 제거수단(30)은, 실 제거 작동부재(84)의 선단이 실 제거 본체(83)의 입력아암(86)으로부터 Y축방향 -측으로 이격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의 가압력에 의해, 실 제거 아암(85)이 스토퍼(36)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실 제거 아암(85)은, 그 길이방향이 대략 전후방향을 향해 위치결정되어 있고, 실 제거 아암(85)이 실 포착부(33)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방에 있어서 실 포착부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실 제거 본체(83)는, 실 포착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에 위치결정된 것은, 제어수단(11)이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로부터의 OFF 신호를 받아 판단한다.
이어서, 제어수단(11)은, 스타트/스톱 스위치(21)로부터의 봉제개시 신호를 받으면, 이동위치 검출수단(56)에 의해 초기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로부터의 신호가 모두 OFF상태인 것이 검출되면, 재봉기 모터(5)의 구동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재봉바늘(N)은 바늘판(8)의 바늘구멍(8a)을 관통하고, 폐쇄상태가 된 실 포착부(33)의 내부에서 또한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사이를 윗실(T)이 통과한다. 또한, 그 하방에 있어서, 재 봉바늘(N)의 옆쪽의 윗실 루프(TL)가 구동하는 가마기구(9)의 칼끝(15)에 포착된다. 그리고, 중가마(16)의 회전과 윗실 가이드판(18)에 의해 윗실 루프(TL)는 확대되는데, 이때, 제 2 끼움지지부(25)의 선단부가 충분히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윗실 가이드판(18)에 의한 윗실 루프(TL)의 확대를 가로막지 않는다. 따라서, 후방에 위치하는 중가마(16)의 레이스면(22)에 대한 윗실(T)의 접촉은 방지된다. 이때, 실 제거 본체(83)는, 실 포착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재봉기 모터(5)의 인코더(13)로부터, 1 바늘째의 재봉바늘(N)이 옷감(C)으로부터 빠져 나와, 실채기(7)가 상사점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가 인코더 신호의 검출 각도로부터 판단되어, 상기 인코더(13)의 출력이 실채기(7)가 상사점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면, 제어수단(11)은, 이동수단(28)의 실 클램핑용 모터(58)에 끼움지지위치로 끼움지지수단(26)을 이동시키도록 구동을 개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초기위치에서 끼움지지위치까지의 이동량에 따른 회전 각도량의 기억을 참조하여, 이에 따라 실 클램핑용 모터(58)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끼움지지수단(26)은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한다. 이때, 관련동작수단(29)의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는 인장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X축방향을 따르도록 요동을 개시하기 때문에, 제 1 끼움지지부(24)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2 끼움지지부(25)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실채기(7)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에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에 의해 윗실(T)의 실단부(TA)를 끼움지지시키는 것은, 실채기(7)의 상사점에서는 윗실(T)에 대한 실채기(7)의 끌어올려짐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구멍(8a)보다 하방에 있는, 윗실(T)은 가장 짧은 상태에 있으며, 이때에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에 의해 윗실(T)을 끼움지지하면, 끼움지지된 부분으로부터 단부까지의 윗실(T)의 길이인 「실단부의 길이」를 가장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도중에 있어서, 제 1 끼움지지부(24)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실 제거수단(30)의 실 제거 작동부재(84)의 선단이 실 제거 본체(83)의 입력아암(86)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 1 끼움지지부(24)의 끼움지지위치를 향하는 후방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입력아암(86)이 실 제거 작동부재(84)에 눌려지므로, 실 제거 본체(8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해서 도 12의 반시계방향(상방으로부터 보면 시계방향), 즉 실 제거 아암(85)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회전을 개시한다. 따라서,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윗실(T)을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실 제거 본체(83)가 작동한다.
이어서,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량 만큼 실 클램핑용 모터(58)가 구동되어 정지되면,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는 동시에, 제 1 끼움지지부(24)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2 끼움지지부(25)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서로 접근하는 동시에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끼움지지면(25a)이 맞닿는다.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삽입통과되어 있었던 윗실(T)의 실단부(TA)가 끼움지지된다. 또, 실제로는,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는 도중에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끼움지지면(25a)이 맞닿는다. 또,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여 위치결정된 것은, 제어수단(11)이 제 1 상태센서(66)의 ON 신호와 제 2 상태센서(67)로부터의 OFF 신호를 받아 검출한다. 또한, 끼움지지위치에 대한 이동은 재봉바늘(N)의 바늘끝이 바늘판(8)의 상방에 있는 동안 완료된다.
이때, 실 제거수단(30)은,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하여 실 제거 아암(85)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회전하므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제거 아암(85)은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과, 가마(K)를 연결하는 실 경로(V)를 가로지르는 궤도를 취한다. 또한, 실 제거 본체(83)의 클로부(85a)는,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를 가로지르지 않고 통과하기 때문에, 재봉바늘(N)과 간섭하지 않는다.
그 결과, 실 제거수단(30)은,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실 포착부(33)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실 제거 아암(85)의 오목부(85b)로 포착하여 걸어 X축방향 +측에서, 또한 Y축방향 -측으로 실을 제거한다. 이러한 실 제거에 의해, 1 바늘째에서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의 사이에 끼움지지된 윗실(T)의 실 포착부(33)를 통과한 부분인 실단부(TA) 중 실 제거 본체(83)로부터 하방에 위치하는 아래로 드리워진 실단부(TA)는, 2 바늘째의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실 제거는, 실 제거 본체(83)로부터 하방에 위치하 는 실단부(TA)를 중가마(16)의 칼끝(15)의 통과경로에 걸리지 않게 중가마(16)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으로도 된다.
또, 실 제거수단(30)에 의해, 윗실(T)의 실단부(TA)가 X축방향 +측에서, 또한 Y축방향 -측으로 이동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2 바늘째의 윗실 루프(TL)에 끌어올려졌다고 하여도, 윗실(T)의 실단부(TA)의 선단(Ta)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S)에 꿰매져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이어서, 제어수단(11)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바늘수의 바늘낙하(예컨대, 2회의 바늘낙하)가 이루어지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끼움지지위치로부터 해방위치까지의 이동량에 따른 회전 각도량의 기억을 참조하고, 이에 따라 실 클램핑용 모터(58)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끼움지지수단(26)은 끼움지지위치로부터 해방위치를 향해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치에 접근하는 도중에, 관련동작수단(29)의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의 슬라이딩 접촉부(60a)가 제 2 접촉부재(73)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리고, 끼움지지수단(26)의 이동이 더 계속되면, 상대위치 조절 링크체(60)는 인장 스프링(4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요동하고, 제 2 끼움지지부(25)가 제 1 끼움지지부(24)보다 크게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윗실(T)의 실단부(TA)의 끼움지지상태가 해제되어, 윗실(T)의 실단부(TA)는 끼움지지수단(26)으로부터 해방되면서, 끼움지지수단(26)은 해방위치에 도달한다. 또,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치에 도달하여 위치결정된 것은, 제어수단(11)이 제 1 및 제 2 상태센서(66, 67)로부터의 각각의 ON 신호를 받아 검출한다.
상기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치에 도달하면,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 제거수단(30)은, 부착용 단붙이 나사(88)를 중심으로 하여 실 제거 아암(85)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더 회전하고,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실 포착부(33)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실 제거 아암(85)의 오목부(85b)로 걸어 X축방향 +측에서, 또한 Y축방향 -측으로 더 실을 제거하여 실 제거를 완료한다(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로부터 더 멀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있어서는, 끼움지지수단(26)의 초기위치와 끼움지지위치와의 도중위치로부터 해방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실 제거수단(30)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들은, 끼움지지위치에 있어서 윗실(T)이 격하게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끼움지지되는 것을 우선하였기 때문이며, 윗실(T)의 끼움지지에 지장이 없는 범위, 예컨대, 초기위치와 끼움지지위치의 도중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실 제거수단(30)의 동작을 완료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끼움지지위치로서는,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상하이동경로(NL)의 측방으로 이격, 즉,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가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로부터 벗어나, 재봉바늘(N)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면 된다.
또한, 초기위치에서 끼움지지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T)의 실단부(TA)가 끼움지지되도록 해도 좋다.
상기 끼움지지수단(26)이 해방위치로 이동하여 위치결정되는 경우,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가 윗실(T)을 해방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되면 된다.
또, 해방위치에 대해서는, 제 1 끼움지지부(24) 및 제 2 끼움지지부(25)가 재봉바늘(N)의 상하이동경로(NL)로부터 벗어나, 재봉바늘(N)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이면 되는데, 봉제에서 필요한 다른 기구에 간섭하지 않도록, 끼움지지위치보다 후방에 설정된다.
또, 윗실 클램핑 장치(10)로서는, 해방위치를 개별적으로 마련하지 않고, 끼움지지위치와 동일한 위치, 즉, 끼움지지위치에서 윗실(T)의 실단부(TA)의 끼움지지와 해방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끼움지지수단(26)이 윗실(T)을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수단(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지지되어 있는 윗실(T)의 실단부(TA)의 선단(Ta)측이 옷감 뒷면의 바늘땀(S)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33)를 지나는 루프(W)가 형성되는 것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옷감의 어긋남, 실 절단, 장치의 동작불량 등이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봉제품질을 확실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재봉 시작시에서의 윗실(T)의 실 통과구멍(Na)으로부터 선단(Ta)까지의 길이인 「삽입통과 길이」가 변화되는 봉제조건에서도, 실 클램핑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봉제품질의 향상, 재봉 시작시의 고속화(생산성)를 유지·구현할 수 있다는 부차적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삽입통과 길이」에 관계없이 실 클램핑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삽입통과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실잡이 스프링의 조정이나, 실가이드(thread guide)(게이지) 부품의 교환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한다는 부차적 효과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실 제거수단(30)이 수평면을 따라 가동되는 동시에, 가압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89)에 의해 끼움지지수단(26)의 실 포착부(33)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되어 유지되어 있는 실 제거 본체(83)와, 실 제거 본체(83)에 접촉 및 이격되는 실 제거 작동부재(84)를 가지고 있고, 실 제거 작동부재(84)를 실 제거 본체(83)에 맞닿게 함으로써, 실 제거 본체(83)를 작동시켜 실을 제거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 제거 작동부재(84)를 실 제거 본체(83)에 맞닿게 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윗실(T)을 포착하여 실 제거 동작을 보다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실 제거 본체(83)가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형성되어 있고, 실 제거 작동부재(84)가 구동수단(27)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윗실(T)을 끼움지지했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실 제거 본체(83)가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 제거수단(30)을 작동시키기 위해 개별적으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 제거수단(30)의 구성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동작의 편차나 부품 정밀도에 관계없이 확실하게 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에 따르면, 실 제거 본체(83)가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형성되어 있고, 실 제거 작동부재(84)가 구동수단(27)에 형성되어 있으며, 실 제거 본체(83)가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윗실(T)을 끼움지지했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윗실(T)을 제거하는 위치를 항상 일정한 위치(타이밍)로 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주요부에만 도면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7 내지 도 24에 있어서는 주요부에만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A)는, 실 제거수단(30A)의 실 제거 본체(83A)를 구동수단(27)에 형성하는 동시에, 실 제거 작동부재(84A)를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형성하고, 실 제거 본체(83A)를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윗실(T)을 끼움지지했을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즉,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끼움지지부재(31)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외측면 중 실 포착부(33)의 형성위치의 Y축방향 -측 부분에는, 실 제거 작동부재(84A)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84A)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로부터 X축방향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기체부(84Aa; 基體部)와, 상기 기체부(84Aa)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으로부터 Z축방향 -측인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평판형상의 구동부(84A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87Ab)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이 실 제거 본체(83A)의 실 제거 아암(85A)의 입력아암(86A)에 접촉 및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83A)는, 가이드판(63)에 형성된 실 제거 본체 부착부(91)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 부착부(91)는, 가이드판(63)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면의 중앙부로부터 X축방향 -측 근처에 있어서 Y축방향 +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나온 부착 베이스부(91a)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 베이스부(91a)의 하면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스토퍼(92)가 하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 베이스부(91a)의 대략 중앙부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83A)는, 전후방향으로 긴 평판형상의 실 제거 아암(85A)과, 상기 실 제거 아암(85A)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으로부터 X축방향 +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평판형상의 입력아암(86A)에 의해 전체적으로 벨크랭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A)의 선단부에는, X축방향 +측을 향해 연장된 클로부(85Aa)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후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로부(85Aa)와 실 제거 아암(85A)과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측면의 접속부인 클로부(85Aa)의 밑동 부분에는, 실 제거 본체(83A)에 의한 실 포착부로서의 오목부(85A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A)과 입력아암(86A)과의 접속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통과구멍(8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통과구멍(87A)에는, 실 제거 본체(83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핀으로서 기능하는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가 하방으로부터 삽입통과되어 있다.
상기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는,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91)의 나사구멍(93)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고, 실 제거 본체(83A)는,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에는 가압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89A)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89A)은, 실 제거 본체(83A)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일단이 입력아암(86A)의 Y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후단에 걸리고, 타단이 실 제거 본체 부착부(91)의 부착 베이스부(91a)의 하면에 세워진 핀형상의 스프링걸이부(94; 도 18)의 외주에 걸려있다.
상기 실 제거 본체(83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9A)의 가압력(스프링력)에 의해, 항상 실 제거 아암(85A)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우측면이 스토퍼(92)에 맞닿아 있고, Z축방향 +측인 위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의 최대 회전위치가 규제되어, 실 제거 아암(85A)이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를 중심으로 하여 위에서 볼 때 수평면을 따라 시계방향(도 18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실 제거 아암(85A)은, 실 포착부(33)의 X축방향 -측에 위치하는 측방에 있어서 실 포착부(33)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실 포착부(33)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실 제거 아암(85)의 클로부(85a)는, 대략 실 포착부(33)의 선단의 X축방향을 따른 연장선 상에 배치되어 있고, 실 제거 본체(83A)가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를 중심으로 하여 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실 제거 아암(85A)이 실 포착부(33)의 바로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84A),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는 도중에, 선단이 입력아암(86A)에 맞닿아 실 제거 본체(83A)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를 넘어 해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실 제거 본체(83A)의 회전이 종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 제거 작동부재(84A)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드부(2) 등의 다른 고정부위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실 제거 작동부재(84A)로서는, Y축방향 -측에 대한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나사부재로 하고, 입력아암(86A)과의 접촉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부품의 정밀도를 완화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실 제거 본체(83A)의 회동 타이밍 및 개방 각도를 상세히 조정할 수 있고, 윗실(T)의 굵기나 강도에 대하여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어 실 절단을 방지하여, 한층 봉제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와 마 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A)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A)의 실 제거수단(30A)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에 도달하는 도중에, 실 제거 작동부재(84A)의 후단이 입력아암(86A)에 맞닿는다. 그리고, 제 1 끼움지지부(24)의 끼움지지위치를 향하는 후방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입력아암(86A)이 실 제거 작동부재(84A)에 눌려지므로, 실 제거 본체(83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9A)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를 중심으로 해서 도 20의 반시계방향(상방에서 보면 시계방향), 즉, 실 제거 아암(85A)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수평면을 따라 회전을 개시한다.
이어서, 실 제거수단(30A)은, 끼움지지수단(26)이 초기위치로부터 끼움지지위치에 위치결정되면,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용 단붙이 나사(88A)를 중심으로 하여 실 제거 아암(85A)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회전하여, 끼움지지수단(26)에 의한 윗실(T)의 끼움지지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지는 윗실(T)의 실단부(TA)를 실 포착부(33)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실 제거 아암(85A)의 오목부(85Ab)에서 포착하여 걸어 X축방향 +측에서, 또한 Y축방향 -측으로 실을 제거한다.
이어서, 실 제거수단(30A)은, 끼움지지수단(26)이 끼움지지위치로부터 해방위치에 위치결정되면,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용 단붙이 나 사(88A)를 중심으로 하여 실 제거 아암(85A)의 선단측이 실 포착부(33)를 향하도록 더 회전하여 실 제거를 완료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A)에 따르면, 실 제거 본체(83A)가 구동수단(27), 상세하게는 가이드판(63)에 형성되어 있고, 실 제거 작동부재(84A)가 제 1 끼움지지부재(31)에 형성되어 있으며, 실 제거 본체(83)가 제 1 끼움지지부(24)와 제 2 끼움지지부(25)가 윗실(T)을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의 윗실 클램핑 장치(1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윗실(T)의 경로에 대하여 실 제거의 경로를 고정화(안정화)할 수 있고, 또한 제거한 윗실(T)의 하중을 고정된 가이드판(63)에 의해 받을 수 있으므로, 윗실(T)이 굵거나 하여도 안정된 실 제거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 제거수단은, 종래의 다양한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시형태를 구비한 재봉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를 절단한 외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봉기의 가마 근방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재봉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주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초기위치에 위치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의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 제거수단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7에 계속되는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초기위치와 끼움지지위치의 도중위치에서 실 제거수단이 작동을 개시하는 위치에 도달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계속되는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끼움지지위치에 위치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계속되는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해방위치에 위치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6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하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초기위치와 끼움지지위치의 도중위치에서 실 제거수단이 작동을 개시하는 위치에 도달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계속되는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끼움지지위치에 위치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계속되는 윗실 클램핑 장치의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해방위치에 위치한 동작상태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7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주요부의 하면도이다.
도 25는 종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서의 윗실을 끼움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6은 종래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에서의 윗실 루프의 내부에 실단부 가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계속되는 윗실 루프와 함께 윗실의 실단부가 끌어올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계속되는 윗실의 실단부가 옷감 뒷면의 바늘땀에 꿰매져 들어가 실 포착부를 지나는 루프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기 8 : 바늘판
8a : 바늘구멍 9 : 가마기구
10, 10A : 윗실 클램핑 장치 11 : 제어수단
24 : 제 1 끼움지지부 25 : 제 2 끼움지지부
26 : 윗실 끼움지지수단 27 : 구동수단
28 : 이동수단 29 : 관련동작수단
30, 30A : 실 제거수단 31 : 제 1 끼움지지부재
32 : 제 2 끼움지지부재 33 : 실 포착부
34 : 실 제거 본체용 부착판부 35, 93 : 나사구멍
36, 92 : 스토퍼 55 : Y축 이동기구
56 : 이동위치 검출수단 63 : 가이드판
83, 83A : 실 제거 본체 84, 84A : 실 제거 작동부재
85, 85A : 실 제거 아암 86, 86A : 입력아암
89, 89A : 비틀림 코일 스프링 91 : 실 제거 본체 부착부
94 : 스프링걸이부 N : 재봉바늘
Na : 실 통과구멍 NL : 상하이동경로
T : 윗실 TA : 실단부
TL : 윗실 루프
V : (윗실의 끼움지지부와 가마를 연결하는)실 경로
W : 루프

Claims (4)

  1. 윗실(T)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하기 위한 윗실 끼움지지수단(26)과,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27)을 가지고 있고,
    재봉 시작시에, 재봉바늘(N)의 실 통과구멍(Na)에 삽입통과되어 있는 윗실의 실단부를 바늘판(8)의 하방에서, 또한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경로(NL)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포착하여 끼움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 미리 설정된 회수로 바늘낙하시킨 후, 끼움지지된 상기 윗실의 실단부를 해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로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이 윗실의 실단부를 포착하여 끼움지지했을 때에,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에 의한 실단부의 끼움지지 부분보다 하측의 실단부 부분을 윗실 루프(TL)의 끌어올림경로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실을 제거하는 실 제거수단(30, 30A)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바늘판의 바늘구멍(8a)을 관통한 상기 재봉바늘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 실 포착부(3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실 제거수단은, 수평방향으로 가동되는 동시에, 가압수단(89, 89A)에 의해 상기 실 포착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세(付勢)되어 유지되어 있는 실 제거 본체(83, 83A)와, 상기 실 제거 본체에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배치된 실 제거 작동부재(84, 84A)를 가지고 있고,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가 상기 실 제거 본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실 제거 본체를 작동시켜 상기 실단부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10, 10A).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실 포착부에 설치된 제 1 끼움지지부(24)를 구비하는 제 1 끼움지지부재(31)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제 2 끼움지지부(25)를 구비하는 제 2 끼움지지부재(32)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적어도 상기 실 포착부의 내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의 측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위치인 두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83)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 작동부재(84)가 상기 구동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는,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은, 상기 실 포착부에 설치된 제 1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1 끼움지지부재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촉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제 2 끼움지지부를 구비하는 제 2 끼움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적어도 상기 실 포착부의 내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대향하는 초기위치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상하이동경로의 측방으로 이격되고 또한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하는 끼움지지위치인 두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윗실 끼움지지수단을 구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83A)가 상기 구동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 제거용 작동부재(84A)가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 제거 본체는, 상기 제 1 끼움지지부와 상기 제 2 끼움지지부가 상기 실단부를 끼움지지할 때의 동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10A).
KR1020090027484A 2008-03-31 2009-03-31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KR101544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1934A JP5265226B2 (ja) 2008-03-31 2008-03-31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JPJP-P-2008-091934 200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763A KR20090104763A (ko) 2009-10-06
KR101544816B1 true KR101544816B1 (ko) 2015-08-17

Family

ID=41011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484A KR101544816B1 (ko) 2008-03-31 2009-03-31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65226B2 (ko)
KR (1) KR101544816B1 (ko)
CN (1) CN101550641B (ko)
DE (1) DE10200901647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0291B (zh) * 2012-06-18 2017-03-01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上线保持装置
CN104195757B (zh) * 2014-08-20 2016-04-13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多针杆缝纫机
CN106283417B (zh) * 2015-05-12 2022-03-25 安徽原野滤材有限公司 一种用于滤袋合缝机的浸油断线检测装置
CN105803694A (zh) * 2016-05-10 2016-07-27 刘影 一种缝纫机夹紧装置
US11879195B2 (en) * 2022-03-02 2024-01-23 Hongcheng Precision Industry CO., Ltd. Automatic thread trimming device of sew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894A (ja) * 2002-04-10 2003-10-21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JP2004167007A (ja) 2002-11-20 2004-06-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956A (ja) * 1995-08-21 1997-03-04 Juki Corp ミシンを用いた糸の縫い込み方法及びミシン
JP2001314681A (ja) * 2000-05-02 2001-11-1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2007296094A (ja) * 2006-04-28 2007-11-15 Juki Corp 下糸クランプ機構
JP2008068005A (ja) * 2006-09-15 2008-03-27 Juki Corp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894A (ja) * 2002-04-10 2003-10-21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JP2004167007A (ja) 2002-11-20 2004-06-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16472A1 (de) 2009-10-01
CN101550641A (zh) 2009-10-07
KR20090104763A (ko) 2009-10-06
JP5265226B2 (ja) 2013-08-14
DE102009016472B4 (de) 2022-12-15
CN101550641B (zh) 2013-05-29
JP2009240599A (ja)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272B2 (ja) ミシン
KR101544816B1 (ko) 재봉기의 윗실 클램핑 장치
JP6045392B2 (ja) ミシン
KR101438154B1 (ko) 재봉기의 윗실유지장치
JP2017006590A (ja) ミシン
KR101078152B1 (ko)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
JP5312130B2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JP2009061020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20170060590A (ko) 짧은 목표-시임 폭을 갖는 시임-시작 윗실의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의 실시를 위한 어셈블리
JP2003299894A (ja) ミシンの上糸保持装置
US20090071385A1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605991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
KR101167300B1 (ko) 재봉틀의 윗실고정장치
CN107532358B (zh) 带防线迹开线装置的双线锁缝缝纫机
JP2016202723A (ja) ミシン
JP2009050638A (ja) ミシン
CN108360163B (zh) 制造线缝开头面线的方法和配置成实施这种方法的缝纫机
JP2007152076A (ja) 環縫いミシン
JP2016067462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