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981B1 -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981B1
KR101541981B1 KR1020137009430A KR20137009430A KR101541981B1 KR 101541981 B1 KR101541981 B1 KR 101541981B1 KR 1020137009430 A KR1020137009430 A KR 1020137009430A KR 20137009430 A KR20137009430 A KR 20137009430A KR 101541981 B1 KR101541981 B1 KR 10154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ing
drum
solids
dividing surfaces
bulk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483A (ko
Inventor
디르크 바른슈테트
Original Assignee
디르크 바른슈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르크 바른슈테트 filed Critical 디르크 바른슈테트
Publication of KR2013007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5Cleaning with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07B4/06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using revolving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볍고, 중간이고, 무거울 수 있는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을 가지고 있는 장치 (1) 로 이루어진 방법과 관련이 있다. 상기 장치는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폐기물과 쓰레기 같은 다른 재료를 분리하는 기존의 시스템에 설치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벌크 재료 (3) 는 제 1 분할 표면 (2) 으로 처음 공급되어 분리되고 연속해서 제 2 분할 표면 (2') 으로 보내진다. 가벼운 물건과 무거운 물건 (3) 사이에 높은 정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분할 표면 (2, 2') 은 두 개의 분리 드럼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관통공 (A, A', A") 을 갖는 실린더 셸로 구성되어 진다. 분리 드럼의 안쪽 부피는 부분 파티션 (20, 20') 에 의해 과압 구역 (E) 과 진공 구역 (D) 으로 나누어진다. 삼차원적 고형물로부터 편평한 고형물의 분리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METHOD FOR SEPARATING PLANAR AND THREE-DIMENSIONAL SOLIDS IN A FLOW OF BULK GOODS}
본 발명은 가벼운 고형물, 중간 무게의 고형물, 무거운 고형물을 갖는 벌크 재료의 유동 중의 벌크 물건 및 보디의 유동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특히 특별히 편평하고 보디 형태의 고형물인 벌크 재료의 높은 등급의 분리가 가능한 방법을 다룬다.
이러한 장치는 DE 20 2009 011 601 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다. 이 공개 문헌에서 코팅표면에 관통공을 가지고 있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가지고, 평평하고 보디형 고형물이나 가볍고 무거운 고형물을 절단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졌다. 이 장치의 특정 형태는 음압 (pi<pa) 을 갖는 부피 범위 (D) 와 다른 부피 범위 (E) 로 드럼의 내부 부피가 두 구역 (D, E) 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이다.압력 pi 은 D 와 E 구역 내의 압력이고 Pa 는 대기압이다.
다른 유사한 발명은 G 93 06 556.6 으로부터 알려진다. 그것의 내부 부피는 네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한 구역은 진공이고 반대 구역 압력은 지배적이다. 구역을 분리시키기 위해서 왼쪽으로부터 보내진다.
공개문헌 DE 37 26 808 A1 은 파이프를 작동시키는 체 드럼 (sieve drum) 을 가지고 진공부분에서 드럼의 내부 부피를 만들어내고 결과적으로 스크린 표면 위에 평평한 부분이 붙잡혀지는 방법에 대하여 언급한다. 이 부분들은 스크린의 바닥에 있는 두 개의 스트리핑 고정구 (stripping fixture) 에 의해서 스크린 드럼의 바닥으로부터 벗겨진다. 덮개의 표면에 스크린 드럼 안쪽에서의 압력이 개별적인 부분의 접착을 감소시키도록 영향을 줄 수 없게 한다. 벗겨진 각각의 부분은 더욱 덮여지는 것에 의해서 유지되고 드럼 안쪽에서 드럼 벽에 단단하게 붙어서 배열되며 단부에 립 (lip) 을 구비한다. 이는 덮개의 표면 위에 있는 스크린 드럼 안쪽에서의 압력이 개별적인 부분의 접착을 감소시키도록 영향을 줄 수 없게 한다. 이 과정과 적당한 장치에 대한 단점으로서 상대적으로 단부의 시일이 약한 결과 스크린 드럼의 표면에서 접착물이 완벽하게 들여지지 않았다고 느껴진다. 그러므로 전체 시스템의 내구성 (serviceability) 에 최종적으로 강하게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필터 드럼과 와이퍼 장치 사이를 평평한 부분으로 해야 한다.
또한 폐기물 처리의 듀얼 시스템에서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물질과 쓰레기 합성물에 대한 분류를 위한 장치가 DE 92 04 985.0 으로부터 제공되어 진다. 그 장치는 표면에 개구를 갖는 분류 드럼을 포함하고 표면은 축에서 살짝 기울어져 있다. 스크린 드럼은 주축으로 회전을 하고 바깥쪽으로부터 기울여져 있어, 부분적으로 드럼 안에 위치한 분류 물건을 드럼 안쪽에 고정시키고, 분류 물건이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드럼의 내벽에 의존하고 컨베이어 벨트의 수직방향에 있는 분류 드럼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공기 흡입 노즐이 평평한 폐기물 보디형태 폐기물 사이를 분류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지지 표면 위에 떨어진 주요 물질이 분류되고 들어오는 폐기물 흐름의 다른 부분에서 노즐을 다시 다양하게 한다.
다른 크기의 물건을 분리하는 것에 대한 더 많은 구조는 DE 43 35 401 C2 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분리기는 회전 드럼을 가지고 있고 드럼 벽은 물건이 그것의 크기 때문에 통과할 수 있고 제어에 의해서 다른 물질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노즐이나 플런저는 드럼의 바깥에서 틈을 가지고 물건을 제거하도록 한다.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장치 및 절차는 생산과 실행의 모두에 있어 일반적으로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들고, 그리고 요구되는 분리 정도에 있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여전히 재활용 산업에서 분류 장치는 재료 사이클에 포함된 재료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물질을 분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네랄 처리 설비 (mineral processing plant) 에서 상기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소위 NIR 장치, 시프터 (sifter), 나선각 분류기 (helical sorter), 발리스틱 세퍼레이터 (ballistic separator), 수동 분류기가 알려져 있다.
이전에 알려지고 성립된 모든 시스템과 방법은, 종종 큰 고형물이 분리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벌크 재료의 분리 정도가 소각로와 유기 재료 리사이클러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다소 부족한 점이 있다. 또한 비싼 구입비용과, 재료 흐름에서의 필요한 분리 정도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기존 시스템을 이음매 없이 수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 관리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다양한 성분으로부터 느슨한 재료의 질량 유동을 간단히 구성성분 부분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상기 장치를 기존 시스템에 통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주된 청구항의 특징적 구성으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평한 고형물과 보디형 고형물 및/또는 가볍고 무거운 고형물을 커팅하는 장치는, 미리 정의된 거리 (a, b) 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이 서로 배치되어서, 벌크 재료의 보디형 구성성분이 시간상 연속적으로 분할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미리 결정된 거리 (a, b) 로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분리될 재료가 시간상 연이어 편평한 벌크와 보디 형태 벌크를 커팅하기 위한 과정에 공급된다.
두 표면이 드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드럼의 부피가, 음압 (pi<pa) 의 부피 구역 (D) 과 pi ≥ pa 인 다른 부피 구역 (E) 의 적어도 두 구역 (D, E) 으로 나누어지는 것 (여기서, 압력 pi 는 구역 (D, E) 내부의 압력이고 pa 는 대기압임) 이 또한 유리하다.
다른 아이디어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구비한 평평한 고형물과 보디형 고형물이나 가볍고 무거운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드럼의 코팅 표면은 개구를 가지고, 드럼 부피의 내부에서 음압 (pi<pa) 이 지배적이고, 셸에 있는 개구에 의한 흡입으로 인해 적어도 부분적인 표면 고형물이 드럼 벽의 표면에 형성되고, 접착성 고형물은 기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압식으로 분리되며, 여기서 압력 pi 은 커팅 드럼 안의 압력이고 pa 는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성을 갖는 질량 흐름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공급과 계속적인 재료의 위치 분류 (밴드 패스 (band pass), 방출, 스크린 드럼, 이젝트, 더 쉬운 이젝트, 발리스틱 세퍼레이터 등) 사이의 콤팩트 모듈러 유닛이다.
본 발명에서 관통공 (A, A', A") 이 드럼의 바깥 표면에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유익하다.
다른 장점은 관통공의 상을 원형, 타원형, 별형, 십자가형, 직사각형, 사각형, 삼각형 또는 이 모든 형태의 혼합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드럼의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단면이 바람직하게는 원, 볼록한 모양, 다각형인 것이다.
스토리지 링 (storage ring) 이 드럼의 주변부에 대해 배치되는 것이 또한 유용하다.
드럼 내부의 할당이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 벽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은 또한 이익이 있다.
다른 장점은 시일은 드럼 셸에 대한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을 가지고 있고 이 파티션은 두 압력 구역 (압력, 진공) 으로 분리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드럼 면이 폐쇄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기 또는 급기 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분리 드럼 안쪽에서의 드럼의 전체 길이에 걸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 로드가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드럼 면이 고정되고 드럼 셸 저장용 회전하는 베어링을 갖는 주변부의 면들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적어도 두 개의 폐기물 처리 장치가 드럼 아래에 배치되어, 분리된 물건을 받는 것이 또한 유용하다.
드럼 셸의 회전 속도가 다양하게 선택되는 과정은 재료 흐름의 추가 분류에 또한 유용하다.
또한 드럼을 구동시키는 링기어 (ring gear) 가 적당한 장소에서 드럼의 맨틀 위에 배치되는 것은 유용하다.
스피곶 (spigot) 은 팬의 방출 덕트에 연결되고 급기 연결구는 방출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또한 유리하다.
하위 구역 (D, E) 에서의 압력이 조절 가능한 파라미터인 것이 또한 이익이다.
드럼 이내의 구획이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드럼의 단부와 앞면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적어도 하나의 스레드 (thread)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다른 장점은 윈도우 (window) 가 드럼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두 개의 표면 (드럼) 이 배치되고, 분할 표면 뒤에 키 (key) 요소가 있는 것이 또한 장점이다.
게다가 철이나 플라스틱 같은 임의의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긴 시트를 벽에 수직하게 변위 가능하게 배치하고 드럼 안의 부분 부피를 변화시키는 것이 장점이다.
다른 이점은 셸과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다는 것이다.
도 1 은 세 개의 컨베이어 벨트 (4, 4', 5), 및 드럼을 형성하는 두 개의 배열된 분할 표면 (2, 2') 을 구비한 장치 (1) 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는 장치 (1) 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은 장치 (1) 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 는, 흡기 연결구 (7) 와 배기 연결구 (8) 를 구비하고, 연이어 연결 되어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의 측면 (9) 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는 분할 표면 (2, 2') 의 전원장치 (10, 10') 를 구비한 측면 (13) 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은 제 1 분할 표면 (2) 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분할 표면 (2) 의 길이방향 축선 (12) 을 가로질러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적어도 하나의 편향 요소의 옆에 배치된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 는 이동 구조물 (shift construction) 에 부착된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 은 이동 구조물을 갖는 두 개의 플랜지 (flange) 에 부착된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1 은 전환시키는 구조 (32) 에 부착된, 드럼 상의 방출 버튼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은 세 개의 컨베이어 벨트 (4, 4', 5), 및 드럼을 형성하는 두 개의 연이어 배치된 분할 표면 (2, 2') 을 갖는 장치 (1) 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드럼으로서 분할 표면 (2, 2') 은 두 개의 컨베이어 벨트 (4, 4') 사이에 배열되어 진다. 컨베이어 벨트 (4, 4') 의 중심선에 직각으로 분할 표면 (2, 2') 의 아래에 컨베이어 벨트 (5) 가 배열되고, 이 컨베이어 벨트는 벌크 재료 (3) 로부터 고형물의 분리된 서브셋 (subset) 을 취하여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는 디파짓 (deposit) 으로 가져온다. 전체 벌크 (3) 는 먼저 제 1 분할 표면 (2) 에 공급되고, 제 1 분할 표면 (2) 은 한편으로는 중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드럼의 작용의 결과로서 매스 중 더 무겁고 더 큰 고형물을 체질 (screening) 함으로써, 벌크 재료 (3) 의 첫 번째 분리를 행한다. 더 무거운 서브셋은 컨베이어 벨트 (5) 위로 떨어진다. 벌크 재료 (3) 의 더 가벼운 서브셋은 제 2 분할 표면 (2') 으로부터 붙잡혀지고 한번 다시 분류 작업을 거치게 된다. 제 2 분할 표면 (2') 아래에 베플 플레이트 (baffle plate) (6) 가 배치되어, 벌크 재료 (3) 에 포함된 다른 구성성분이 컨베이어 벨트 (5) 위로 끌어 내려진다. 첫 번째 분리 과정 후, 제 1 분할 표면 (2) 에서 벌크 재료 (3) 의 분리 정도가 종종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류에서 추가 분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는 제 1 분할 표면 (2) 에서의 과압에 의해 날려진 서브셋이 제 2 분할 표면 (2') 에 도달하며 그 후 거기에서 분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분할 표면 (2') 으로 두 번째 분리가 일어나며, 이로써 상대적으로 큰 서브셋이 남게 되고, 첫 번째 분류 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처리되어서, 심지어 더 무거운 서브셋은 제 2 분할 표면 (2') 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즉시 슬라이드 (6) 를 넘어 컨베이어 벨트 (5) 위로 떨어진다. 제 2 분할 표면 (2') 으로 받아들여지고 즉시 슬라이드 (6) 를 넘어 컨베이어 벨트 (5) 위로 떨어진다. 따라서, 제 2 분할 표면 (2') 은 필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5) 로 보내진 남아있는 더 무거운 서브셋으로부터 더 가벼운 큰 서브셋을 다시한번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2 회 이상의 연이은 각각 다른 분리 작동 이후에 만족스러운 분리 정도가 이루어지고, 이는 폐기물 관리의 요구에 따른다. 컨베이어 벨트 (4') 는 또한 예컨대 공기 흐름 같은 다른 차용 몸체 (funding body) 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2 는 장치 (1) 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 (a) 만큼 이격된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의 축선이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이 거리는 변화 가능하며 주로 벌크 재료 (3) 를 분리하는 기술에 따라 달라진다.
도 3 은 장치 (1) 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준다. 전향판 (deflector plate) (6) 또는 슬라이드의 배열은 본 도면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 (6) 는 분할 표면 (2) 바로 아래에 있고 배플 플레이트 (6) 의 가장자리 (16) 에서 두 부분 (17, 17') 으로 나뉘며, 제 2 분할 표면 (2') 의 바로 아래의 부분 (17) 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배치된다. 아래쪽의 부분 (17) 은 분리된 재료를 컨베이어 벨트 (5) 로 안내한다.
도 4 는, 흡기 연결구 (7. 7') 와 배기 연결구 (8, 8') 가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의 측면 (9, 9') 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을 보여준다. 본 예에서, 흡기 연결구 (7, 7') 는 측면 (9, 9') 에 있는 배기 연결구 (8, 8') 보다 직경이 더 작다. 측면 (9, 9') 의 표면은 흡기와 배기 기능이 분할 드럼 (1) 이내의 개별영역에서 이루어지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압력 부피는 일반적으로 더 큰 과압 부피로 해석되기 때문에, 흡기 연결구 (7, 7') 는 본 실시예에서 배기 연결구 (8, 8') 보다 더 적게 선택되어야 한다. 측면 (9, 9') 은 도시되지 않은 장착 브레킷 (mounting bracket) 으로 고정되므로, 분할 표면 (2, 2') 은 어떠한 위치에서도 장착될 수 있다. 드라이브 유닛 (drive unit) (10, 10') 은 기어 (11, 11') 에 의해 분할 표면 (2, 2') 을, 회전시에 폐쇄된 안내 요소 (14, 14') 와 함께 맞물리게 한다. 수평 방향에서 중심선 (12, 12') 사이의 거리 (a) 는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축선 (12, 12') 사이의 수직 공간 (b) 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결국 벌크 재료의 함수이다.
도 5 는 두 개의 분할 표면 (2, 2')의 측면 (13, 13') 의 개략적인 도면을 보여주는데, 드라이브 유닛 (10, 10') 과 각각에 연결 되어진 폐쇄된 안내 요소 (14, 14') 는 드럼에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다. 드라이브 (10, 10') 는 콘솔 (console) (15, 15') 에 부착된 모터이다.
도 6 은 배기 연결구 (8) 와 흡기 연결구 (7) 용 연결 피이스를 갖는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분할 표면 (2, 2') 은 드럼 셸과 두 개의 측면 (9, 13) 을 갖고, 다른 관통공 (A, A', A") 이 분할 드럼의 맨틀 (mantle) 에 형성되어 있다. 셸은 측면 (9, 13) 의 영역에서 두 개의 베어링 (17, 17') 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분할 표면 (2) 은 직경이 두 개의 베어링에 놓이고, 드럼 셸의 측면 (9, 13) 에는, 셀은 드럼의 고정된 흡기 연결구 (7) 와 배기 연결구 (8) 를 통해, 배기와 급기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표면이 존재한다. 급기 및 배기 연결구는 방출팬 (discharge fan) 을 갖는 공기 소케트 (socket) 와 연결되고 배기 연결구는 여기서는 보이지 않는 팬에 연결된 팬의 진공 라인과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2) 의 회전하지 않는 측면 (9, 9') 을 통해서 저압 구역 (D) (pi<pa) 과 게이지(gauge) 압력 또는 대기압 (pi=pa) 구역 (E) 으로 나누어진다. 배기 연결구 (8) 로 저압 구역 (D) 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고 흡기 연결구 (7) 를 통해 압력 구역 (E) 의 공기는 제 1 분할 표면 (2) 에 주입된다. 제 1 분할 표면 (2) 은 두 개의 장착 브레킷 (18, 18') 을 사용하여, 여기서는 보이지 않는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 고정되거나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분할 표면 (2) 은 회전시 드라이브 롤러 (18) 위에서 드라이브 (10) 의 도움으로 움직인다. 드라이브 (10, 15) 는 콘솔을 통해 회전하지 않는 측면 (13) 에 부착되어 있다. 본 예에서, 드라이브 롤러 (18) 는 피동 분할 표면 (2) 의 드럼 맨틀의 바깥쪽에 있고, 따라서 두 방향 (C) 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완전한 유닛은 현장에 위치된 브레킷 (19, 19') 을 가진다. 적용과 의도된 용도에 따라 드럼은 여기서는 보이지 않는 다른 구동 수단에 의하여 예컨대 벨트체인 피니언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7 은 드럼 축선 (12) 을 가로지르는 단면도를 보여준다. 드럼의 부피는 본 실시형태에서 두 부분 (D, E) 으로 분할되어 있는데, 부분 (D) 은 여기서 내부 압력 pi 이 외부압력 pa 보다 더 작은 진공상태이고, 다른 부분 (E) 의 압력 pi 은 대기압 pa 이상이다. 이 예에서 파티션은 타이 로드 (21, 21') 에 부착된 두 개의 부분 파티션 (20, 20') 으로 이루어진다. 타이 로드 (21, 21') 는 커팅 드럼 (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분할 표면 (2) 의 측면 (9, 9') 에 있다. 드럼의 내벽의 구역에는 부분 파티션 (20, 20') 의 양 단부에 시일 (22, 22') 이 있고, 이 시일은 드럼 내부를 음압 또는 정압 구역으로 나눈다. 베어링 (17) 은 기하학상 조건으로 조정된 직경을 갖는다.
도 8 은 분할 표면 (2, 2') 이 작동할 때 두 분할 표면의 측면 (13, 13') 에 대한 개략 측면도이다. 분할 표면의 배치는 수평방향 이동 (shift) (a) 이 실제적으로 제로 (zero) 이고 수직방향 변위 (b) 가 미리 정해진 크기인 것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벌크 재료 (3) 의 유형에 따라 선택된다. 본 도면에서 위쪽 제 1 분할 표면 (2) 에서 커버되는 재료의 벌크는 앞에 언급된 커팅 과정에 따라 미리 분류되므로, 더 무거운 부분은 제 1 분할 표면 (2) 과의 단시간의 접촉 이후에 날아가고 안내 요소 (14) 에 의해서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각도 (+/- α) 는 벌크에 의존하고 벌크 (3) 에 따라서 조정된다. 회전 방향 (C') 은 또한 벌크 재료의 특정 상황에 따라 조정된다.
도 9 는 이동 구조물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 두 개의 플랜지 (15, 15') 를 가지고 나란히 배열된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은 이동 구조물이 특정되어 언급되지 않은 매커니즘 (mechanism) 에 의해서 수평방향 (a) 과 수직방향 (b) 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드럼의 서로에 대한 위치 설정은 더 높은 정도의 분리를 이루기 위해서 요구되는데, 왜냐하면 더 무거운 부분은 더 가벼운 부분보다 더 빠르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타이 로드 (21, 21') 는 수압식 또는 공압식 엑츄에이터 (actuator) 를 가지고 가이드 레일 (23, 23') 을 따라서 드럼을 수평 이동시킨다. 본 예에서는, 전자식 엑츄에이터 (24, 24') 가 수직방향 변위 (b) 를 위해서 드럼을 가이드 레일 (25, 25') 을 따라 움직이게 한다.
도 10 은 분할 표면 (2, 2') 의 측면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주는데, 수직방향 변위의 부분 (25, 25') 에 플렌지 (15, 15') 가 부착되어 있다. 각 분할 표면 (2, 2') 의 내부 부피는 수직 부분 파티션 (20, 20') 에 의해서 구역 (D) 와 구역 (E) 의 두 부피로 나누어진다. 부분 파티션 (20, 20') 의 단부 부분 (26, 26') 은 벽의 표면과 거의 직각을 이루고, 시일 조립체 (29) 가 있으며, 그 단부에서 진공 및 고압 챔버가 밀봉된다. 분할 표면 (2, 2') 의 내벽 (30) 에 접촉하는 시일 (29, 29') 은 대기압 외부 공간에 대해 완벽한 밀봉을 제공한다. 플레이트 (27, 28) 는 부분 부피 (D, E) 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1 은 이동 구조물에 부착된 제 1 분할 표면 (2) 의 릴리스 버튼 (release) 을 보여주는 개략 측면도이다. 공기 흡입이나 공기 배출을 위해서 배기 연결부 (8, 8') 가 좌측에 있다. 이 도면에서 우측에는 드라이브 유닛 (10) 이 측면 (13) 의 플렌지 (15)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플렌지 (15) 는 이동구조물과 연결되어 있다. 두 개의 엑츄에이터 (24, 24') 를 사용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분할 표면 (2) 이 오프셋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공압식 장치 (30) 는 분할 표면 (2) 의 바닥에 배치되는데, 필요하다면 표면에 또는 관통공 (A, A', A") 의 크랙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노즐 대체물 또는 플로우 벤트 (flow bent) (31) 를 통한 목표 공기 유동을 다른 실시예에서, 분할 표면 (2) 은 분할 표면의 개구에 끼워진 플런저로 기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기계식 또는 공압식 유닛 (30, 30') 은 드럼 안과 밖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형물의 분리 정도의 개선과 조절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구성과 실행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드럼에서의 속도와 흡입의 변화 및 블로잉 효과는 많은 노력이나 수정 없이도 언제든지 중지될 수 있다. 개구와 홀 (hole) 크기 뿐만 아니라 드럼의 직경과 위치는 분리의 결과를 눈에 띄게 변화시키고 종류와 양으로 고형물 질량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6)

  1. 벌크 물건 (3) 에서 가벼운 고형물, 중간 무게의 고형물, 무거운 고형물 뿐만 아니라 평평하고 보디형 (body-like) 의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1)로서,
    벌크 재료의 보디형 구성성분이 연속적으로 분할 표면 (2, 2') 에 접촉하도록, 미리 정해진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거리 (a, b) 로 서로 배열되고 드럼으로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측면 (9, 9') 에서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이 폐쇄되고,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흡기 연결구 (7) 또는 배기 연결구 (8) 가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부분 파티션 (20, 20') 에 의해서 분할 표면 (2, 2') 의 내부의 할당이 이루어지는, 장치 (1).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으로서의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은 드럼의 단부에서 위치 이동 구조물 (21 - 25) 에 연결되어 있고, 분할 표면 (2, 2') 의 위치 이동 구조물은 수평방향 (a) 그리고 수직방향 (b) 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표면 (2, 2') 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한 단면은 둥그스름하거나 다각형이거나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베어링 (17, 17') 은 드럼 주위의 주변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셸에 대한 주변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파티션 (20, 20') 이 시일 (22, 22')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 로드 (21, 21') 가 적어도 하나의 부분 파티션 (20, 20') 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9, 9', 13, 13') 은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고, 셸이 놓이는 베어링 (17, 17') 에서 측면 (9, 9', 13, 13') 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은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측면 (13, 13') 에서 제킷에 톱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 연결구 (8) 는 팬의 배출 덕트와 연결되고, 흡기 연결구 (7) 는 팬의 방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요소 (14, 14') 가 분할 표면 (2, 2') 의 측면 (13, 13')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파티션 (20, 20') 을 가로질러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27, 28) 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표면 (2, 2') 에 있는 관통공 (A, A', A") 을 세척하기 위해서 관통공을 세척하는 기계식 또는 공압식 유닛 (30, 30') 이 커팅 표면의 구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가변 회전 속도를 갖는 회전 드럼으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분할 표면 (2, 2') 과, 폐쇄되어진 적어도 하나의 측면 (9, 9') 과,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흡기 연결구 (7) 또는 배기 연결구 (8) 와, 분할 표면 (2, 2') 의 내부의 배치에 적어도 하나의 부분 파티션 (20, 20') 을 갖는 장치 (1) 를 가지고, 벌크 재료의 평평한 고형물과 바디형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벌크 재료는 제 1 분할 표면 (2) 으로 보내지고, 적어도 제 2 분할 표면 (2') 이 제 1 분할 표면 (2) 에 종속되고, 적어도 두 개의 분할 표면 (2, 2') 의 수평방향 거리와 수직방향 거리 (a, b) 는 서로 미리 정의된 가변 거리로 배치되고, 분리된 벌크 재료가 시간상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은 진동 가능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셸과 컨베이어 벨트 (4, 4') 사이의 거리 (F) 는 벌크 재료의 유형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선택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분할 표면 (2, 2') 의 내부의 유효 부피 (D, E) 가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37009430A 2010-09-14 2010-10-24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KR101541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5309A DE102010045309A1 (de) 2010-09-14 2010-09-14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in einem Schüttgutstrom
DE102010045309.9 2010-09-14
PCT/DE2010/001238 WO2012034547A1 (de) 2010-09-14 2010-10-24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in einem schüttgutst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483A KR20130071483A (ko) 2013-06-28
KR101541981B1 true KR101541981B1 (ko) 2015-08-04

Family

ID=4404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430A KR101541981B1 (ko) 2010-09-14 2010-10-24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33036B2 (ko)
EP (1) EP2627457B1 (ko)
JP (1) JP5823521B2 (ko)
KR (1) KR101541981B1 (ko)
CN (1) CN103189150A (ko)
AU (1) AU2010360616B2 (ko)
BR (1) BR112013005171A2 (ko)
CA (1) CA2810271A1 (ko)
DE (2) DE102010045309A1 (ko)
ES (1) ES2654392T3 (ko)
WO (1) WO2012034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5309A1 (de) 2010-09-14 2012-03-15 Dirk Barnstedt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in einem Schüttgutstrom
CN103434835B (zh) * 2013-09-11 2015-12-23 津伦(天津)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具有举升功能可从辊道搁架取放样件的测漏工件输送机
CN104325574A (zh) * 2014-09-30 2015-02-04 长沙中联重科环卫机械有限公司 一种垃圾分选设备
CN106733671A (zh) * 2017-03-20 2017-05-31 广西壮族自治区农业机械研究院 一种原料蔗除杂处理设备
CN107497686A (zh) * 2017-09-26 2017-12-22 江苏天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蒸煮装置
CN110976264B (zh) * 2019-12-13 2022-06-17 安徽骏马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红丹半成品的筛分系统及工艺
CN111216204A (zh) * 2020-03-13 2020-06-02 大亚木业(肇庆)有限公司 一种木材废料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061627B (zh) * 2020-10-22 2022-04-15 燕山大学 一种沙滩垃圾收集分类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6442B1 (de) * 1991-12-10 1995-07-12 Hans Schmitt Vorrichtung zum Trennen einer Materialmischung aus Materialien mit unterschiedlichem spezifischen Gewicht
WO2008059209A1 (en) 2006-11-15 2008-05-22 Ken Mills Engineering Limited Material sorting apparatus
DE202009011601U1 (de) * 2009-08-26 2009-12-17 Barnstedt, Dirk Vorrichtung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WO2012034547A1 (de) 2010-09-14 2012-03-22 Dirk Barnstedt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in einem schüttgutstrom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8733A (en) * 1916-07-10 1920-01-20 James B Harriss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leaves
US3587851A (en) * 1968-12-30 1971-06-28 Metropolitan Waste Conversion Rag separation equipment
US3618935A (en) * 1969-06-23 1971-11-09 New England Envelope Mfg Co Transfer apparatus for a small piece of sheet material
US4102502A (en) * 1976-12-10 1978-07-25 W. R. Grace & Co. Concentration of plate-shaped minerals
CA1089396A (en) * 1977-09-12 1980-11-11 Malcolm M. Paterson Universally adjustable feed conveyor for rotary drum materials separator
US4824559A (en) * 1987-05-27 1989-04-25 Gilmore Larry J Rotary air separator
JPS6443379A (en) * 1987-08-07 1989-02-15 Ichinoseki Kogyo Koutou Senmon Suction type particle shape separator
DE3726808A1 (de) 1987-08-12 1989-02-23 Paals Packpressen Fabrik Gmbh Verfahren zur muellsortierung und muellsortiervorrichtung
US5060806A (en) * 1989-02-06 1991-10-29 Cal Recovery Systems, Incorporated Variable-aperture screen
JPH04244276A (ja) * 1991-01-29 1992-09-01 Baba Seiki Kk ゴミ選別仕分装置
JPH04247270A (ja) * 1991-02-01 1992-09-03 Baba Seiki Kk ゴミ選別仕分装置における筒型回転フルイ装置
DE9204985U1 (ko) 1992-04-10 1993-08-05 Horstmann-Foerdertechnik Gmbh & Co Kg, 32545 Bad Oeynhausen, De
JP3096865B2 (ja) * 1992-04-13 2000-10-10 東邦シートフレーム株式会社 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ドラム型吸引式回転選別装置
DE9306556U1 (de) 1993-04-30 1993-10-07 Hoema Maschinenbau Gmbh & Co K Vorrichtung zum Trennen von Gegenständen
JP2540715B2 (ja) * 1993-06-17 1996-10-09 株式会社御池鐵工所 廃棄物の選別機
DE4335401C2 (de) 1993-10-18 1995-11-23 Bfi Entsorgungstech Trennvorrichtung und Verwendung derselben
DE9417627U1 (de) * 1994-11-03 1994-12-22 Paals Packpressen Fabrik Gmbh Müllvorsortierer
DE19546830C2 (de) * 1995-12-15 1997-10-16 Kapuschinski Hannes J Siebvorrichtung
CN2262957Y (zh) * 1996-01-16 1997-09-24 锦州俏牌实业有限公司 外吸式吸附分选机
ES2136363T5 (es) * 1996-09-18 2003-02-16 Machf Bollegraaf Appingedam B Transportador de seleccion para la separacion de desechos de papel de los desechos de carton.
US6427845B1 (en) * 2000-06-19 2002-08-06 Midamerica Recycling Company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tic bags from cans and/or bottles
US6494452B1 (en) * 2000-10-19 2002-12-17 Krzysztof Karasiewicz Method and apparatus to decelerate printed product in a stacking process
US6460706B1 (en) * 2001-06-15 2002-10-08 Cp Manufacturing Disc screen apparatus with air manifold
AUPR675501A0 (en) * 2001-08-01 2001-08-23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A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particulate material
ATE358542T1 (de) * 2001-10-02 2007-04-15 Emerging Acquisitions Llc Sieb
US8857621B2 (en) * 2001-10-02 2014-10-14 Emerging Acquisitions, Llc De-inking screen with air knife
DE10205064A1 (de) * 2002-02-07 2003-08-21 Cft Gmbh Leichtstoffabscheider für Bauschutt
CN2707387Y (zh) * 2004-06-11 2005-07-06 自贡雷鸣机械制造有限公司 滚筒式气流分选机
CN2757942Y (zh) * 2004-11-10 2006-02-15 天津科技大学 新型气流筛分机
KR100843483B1 (ko) * 2006-03-17 2008-07-07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쓰레기 선별기
DE102007050090A1 (de) * 2007-10-19 2009-04-23 Grimme Landmaschinenfabrik Gmbh & Co. Kg Förder- und Trennvorrichtung für Hackfrüchte sowie dafür vorgesehenes Verfahren
WO2011153133A1 (en) * 2010-06-01 2011-12-08 Ackley Machine Corporation Insp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6442B1 (de) * 1991-12-10 1995-07-12 Hans Schmitt Vorrichtung zum Trennen einer Materialmischung aus Materialien mit unterschiedlichem spezifischen Gewicht
WO2008059209A1 (en) 2006-11-15 2008-05-22 Ken Mills Engineering Limited Material sorting apparatus
DE202009011601U1 (de) * 2009-08-26 2009-12-17 Barnstedt, Dirk Vorrichtung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WO2012034547A1 (de) 2010-09-14 2012-03-22 Dirk Barnstedt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in einem schüttgutst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5171A2 (pt) 2019-09-24
JP2013537101A (ja) 2013-09-30
DE102010045309A1 (de) 2012-03-15
WO2012034547A1 (de) 2012-03-22
CA2810271A1 (en) 2012-03-22
ES2654392T3 (es) 2018-02-13
US20130180825A1 (en) 2013-07-18
JP5823521B2 (ja) 2015-11-25
US10233036B2 (en) 2019-03-19
DE112010005880A5 (de) 2013-07-18
EP2627457A1 (de) 2013-08-21
AU2010360616A1 (en) 2013-05-02
KR20130071483A (ko) 2013-06-28
AU2010360616B2 (en) 2015-10-29
EP2627457B1 (de) 2017-08-09
CN103189150A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981B1 (ko) 벌크 물건의 흐름에서 편평한 고형물과 삼차원적인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CA2450731C (en) V-shaped disc screen and method of classifying re-cyclable materials
US10441977B2 (en) Single stream of air for separating mixed waste stream into three fractions
CN101722172A (zh) 生活垃圾综合分选机
US88333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tobacco from cigarette waste
US20190351455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s using a screen bed and vacuum
CA2669493A1 (en) Material sorting apparatus
DE4415069C2 (de) Vorrichtung zum Trennen von Gegenständen
AU600195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samples from a flow of bulk material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EP0806233A1 (de) Produktabscheider
EP2440337B1 (en) Waste screen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0366384Y1 (ko) 고형 원료 선별장치
JP3520902B2 (ja) 縦型風力選別機
RU50879U1 (ru) Сепаратор зерноочистительный
FI88018C (sv) Anordning vid framställning av fibrer
RU2309805C1 (ru) Воздушный каскадно-гравитационны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CN116020751A (zh) 一种自动选茧设备
CN117548351A (zh) 一种矿石分筛处理装置及分筛方法
EP2461916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flächigen und körperförmigen feststoffen
JP2000167488A (ja) 風力選別機の軽量物分離装置
IT9008609A1 (it) Macchina per il recupero di rame da rottami o da scarti di produzione di cavi elettrici, o simi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