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104B1 - 회전식 금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금 추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0104B1 KR101540104B1 KR1020150026052A KR20150026052A KR101540104B1 KR 101540104 B1 KR101540104 B1 KR 101540104B1 KR 1020150026052 A KR1020150026052 A KR 1020150026052A KR 20150026052 A KR20150026052 A KR 20150026052A KR 101540104 B1 KR101540104 B1 KR 1015401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rotating
- supporting
- unit
- was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22B11/046—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from manufactured products, e.g. from printed circuit boards, from photographic films, paper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회전식 금 추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기둥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타공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작동하여 타공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에서 지지부를 회전하는 회전부와,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승강부의 승강으로 타공케이스에 안치된 폐가전물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탈리액저장부와,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폐가전물에서 탈리액을 회수하는 탈리액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식 금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에 담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분리작업과, 폐가전물을 세척하는 세척작업과, 폐가전물을 내리는 인출작업이 회전 및 승강방식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금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도금 공정이나,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는 기판회로인쇄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금은 컴퓨터, 티비, 각종 전자제품에 모두 사용되는 것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금은 고가의 원자재로서 사용의 증가에 따라 더욱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하지만, 산업용 금은 제대로 된 폐기공정을 거치지 못하고 바로 폐기물로 분리되어 소각되거나 폐기되므로 귀중한 자원이 낭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은 전자제품에서 기판등에 미세하게 증착되어 있으므로 회수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주로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습식법은 염산 또는 질산등의 산성용액에 폐기물을 담궈 금을 용해하고, 이 금 함유용액을 침전, 여과, 세척 및 용융 등의 과정을 거쳐 회수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습식법으로 금을 회수하는 경우, 폐가전물로부터 금을 용해하여 금 함유용액으로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폐가전물의 세척에 필요한 물 사용량이 증대하여 심각한 환경 오염이 발생되며, 폐가전물을 탈리액에 담그고, 인출하는 작업, 다른 단계로 이동하는 작업등이 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금 추출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01511호(발명의 명칭: 금 회수장치, 2007.01.14: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에 담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분리작업과, 폐가전물을 세척하는 세척작업과, 폐가전물을 내리는 인출작업이 회전 및 승강방식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금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분리하여 탈리액저장통으로 복귀시키므로 탈리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회전부에 원형으로 설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 타공케이스를 걸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케이스에 수용되어 금 분리공정이 완료된 폐가전물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타공케이스를 회동하여 폐가전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기둥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타공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작동하여 상기 타공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으로 상기 타공케이스에 안치된 폐가전물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탈리액저장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폐가전물에서 탈리액을 회수하는 탈리액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타공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을 밀거나 당겨 상기 이동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부가 치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리액저장부는, 탈리액을 저장하고, 상기 타공케이스가 담궈지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탈리액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칼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저장통 상측에 구비되어 탈리액에서 발생되는 유해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탈리액회수부는, 상기 폐가전물이 안치된 상기 타공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분리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수용케이스를 덮어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수용케이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하부에 구비되고, 금이 제거된 폐가전물을 상기 타공케이스를 회동시켜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부는, 가이드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작동실린더; 상기 이동프레임에서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타공케이스를 받쳐주는 지지케이스; 및 상기 지지케이스를 회동하여 상기 타공케이스에 담긴 폐가전물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축에 결합되는 회동기어; 상기 회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기어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에 담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분리작업과, 폐가전물을 세척하는 세척작업과, 폐가전물을 내리는 인출작업이 회전 및 승강방식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금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분리하여 탈리액저장통으로 복귀시키므로 탈리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회전부에 원형으로 설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 타공케이스를 걸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케이스에 수용되어 금 분리공정이 완료된 폐가전물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타공케이스를 회동하여 폐가전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가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흡입커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개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이동프레임의 이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회동부재를 작동하여 타공케이스를 회동시켜 폐가전물을 인출하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가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흡입커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개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이동프레임의 이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회동부재를 작동하여 타공케이스를 회동시켜 폐가전물을 인출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의 지지부, 승강부 및 회전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케이스가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흡입커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저장부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개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리액회수부의 구성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를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이동프레임의 이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부의 회동부재를 작동하여 타공케이스를 회동시켜 폐가전물을 인출하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지지부(10), 승강부(20), 회전부(30), 탈리액저장부(40), 탈리액회수부(50) 및 인출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폐가전물에서 포함되는 금, 백금족류, 은, 구리 등의 귀금속을 추출하기 위해 폐가전물을 산성용액으로 이루어진 탈리액에 담구고, 녹여 추출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2)에 안치하는 적재작업, 타공케이스(2)를 승강 및 회전하여 타공케이스(2)를 탈리액에 담궈 박리하는 하나 이상의 박리작업, 폐가전물에서 탈리액을 원심분리하여 탈리액을 회수하는 하나 이상의 회수작업 및 금의 탈리가 완료된 폐가전물을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인출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60도 간격으로 6개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작언의 순서는 적재작업, 1차 박리작업, 1차 회수작업, 2차 박리작업, 2차 회수작업 및 인출작업을 포함하도록 설비들이 배치된다. 이는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다양한 방식 및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기둥부재(4)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폐가전물이 안치된 타공케이스(2)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지지부(10)는 단부에 지지된 다수개의 타공케이스(2)를 후술하는 회전부(3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다수개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타공케이스(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기둥부재(4)는 원형 봉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에서 천장까지 연결되어 지지부(10) 및 다수개의 타공켸이스(2)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견고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공케이스(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로서, 탈리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타수개의 타공구멍들이 형성된다. 타공케이스(2)에 안치된 폐가전물은 타공케이스(2)가 승강부(20)의 승강에 의해 하강하여 저장통(42)에 담긴 탈리액에 잠기면서 폐가전물에 박막형태로 도금된 도금층이 박리되면서 금 함유용액으로 전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0)는 기둥부재(4)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14)와, 이동부재(14)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타공케이스(2)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8)가 구비되는 지지대(16)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4)는 기둥부재(4)의 외주면에서 슬라이드방식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14)은 기둥부재(4)의 외주면을 원형으로 감싸면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대(16)는 이동부재(14)의 외주면에 60도 간격으로 모두 6개 형성된다. 지지대(16)의 단부 하측에는 연결부재(18)가 연결된다.
연결부재(18)는 금속재질의 사슬, 로프, 끈부재등과 같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부재들을 적용한다. 본 도면에서는 사슬을 90도 간격으로 4개 적용하도록 한다, 연결부재(16)의 단부에는 타공케이스(2)에 걸리는 걸이부재(19)가 구비될 수 있다. 걸이부재(19)는 타공케이스(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굴곡진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부(20)는 지지부(10)를 작동하여 지지부(10)를 거쳐 타공케이스(2)를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부(20)는 지지부(10)의 타공케이스(2)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승강부(20)는 이동부재(14)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22)과, 설치브라켓(22)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브라켓(22)을 밀거나 당겨 이동부재(14)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24)를 포함한다.
설치브라켓(22)은 승강실린더(24)의 실린더축 단부를 양측에서 감싸 축연결되므로 승강실린더(24)의 실린더축을 신장시키거나 수축시켜 설치브라켓(22)를 상측으로 밀어주거나 하측으로 당기면서 설치브라켓(22)에 고정된 이동부재(14)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이동부재(14)를 거쳐 지지대(16)에 지지된 타공케이스(2)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치브라켓(22)과 승강실린더(24)는 기둥부재(40의 양측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설치브라켓(22)과 승강실린더(2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부(30)는 승강부(20)에서 지지부(20)를 회전하는 구성이다. 회전부(30)는 승강부(20)의 승강 및 하강과는 별도로 승강부(20)에 대해 지지부(20)를 승강시키므로 지지부(20)는 승강 및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30)는 설치브라켓(32)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32)와, 설치플레이트(32)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4)와, 구동부재(34)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부(36)와, 이동부재(14)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구비되고, 구동기어부(36)가 치합되어 이동부재(14)의 회전을 통해 지지대(16)를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38)를 포함한다.
설치플레이트(32)는 설치브라켓(22)에 원형 판재형상으로 결합되어 구동부재(34)를 고정한다. 물론, 설치플레이트(22)는 구동부재(34)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동부재(34)는 모터일 수 있다. 구동기어부(36)는 피니언기어일 수 있다. 피동기어부(38)는 구동기어부(36)에 치합되도록 원형으로 360도 구간에 걸쳐 배치되는 원형 평기어일 수 있다.
구동부재(34)는 제어부(미도식)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부는 승강실린더(24)의 높이 조절과 구동부재(34)의 회전을 제어하며, 지지대(16)에 지지된 타공케이스(2)의 상하 이동 및 60도 씩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부재(14)는 설치브라켓(22)과의 사이에 베이링이 구비되어 설치브라켓(22)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4)는 기둥부재(4)에서 승강할 수 있고, 이동부재(14)는 설치브라켓(22)과 기둥부재(4)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공케이스(2)에 폐가전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타공테이스(2)를 지지하는 서포트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부재(60)는 타공케이스(2)의 원형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연결하고, 하부에 지지다리를 연결함으로써, 타공케이스(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탈리액저장부(40)는 지지부(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승강부(20)의 승강으로 타공케이스(10)에 안치된 폐가전물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구성이다. 탈리액저장부(40)는 산성용액을 담아 기판 등의 폐가전물에 도금된 금등을 질산, 염산 등의 산성용액으로 녹여 분리한다.
탈리액저장부(40)는 탈리액을 저장하고, 타공케이스(2)가 담궈지는 저장통(42)과, 저장통(42)에 연결되어 탈리액을 공급하는 공급펌프(44)와, 저장통(42)에 연결되어 탈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46)와, 저장통(42) 상측에 구비되어 탈리액에서 발생되는 유해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커버부재(4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통(42)은 타공케이스(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지지대(16)에 연결부재(18)를 통해 연결된 타공케이스(2)가 안정적으로 진입하도록 도와준다.
공급펌프(44)는 저장통(42)에 적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탈리액을 공급한다. 배출펌프(46)는 탈리액에 담궈지는 폐가전물로 부터 금을 분리한 후, 금이 함유된 탈리액을 회수하기 위해 배출할 수 있다. 흡입커버부재(48)는 삿갓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위의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된 유해 증기를 흡입파이프를 통해 소정의 처리설비로 이송한다. 공급파이프는 흡입커버부재(48)가 지지부(10)에 고정되어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리액회수부(50)는 지지부(10)의 하부에 구비되고, 폐가전물에서 탈리액을 회수하는 구성이다. 탈리액회수부(50)는 폐가전물이 탈리액저장부(40)의 저장통(42)에 담궈지면서 탈리랙이 일부 묻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회수하기 위해 타공케이스(2)를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회수한다. 이때, 폐가전물에 물을 공급하여 세척작용을 하면서 탈리액의 회수를 도와줄 수 있다.
탈리액회수부(50)는 폐가전물이 안치된 타공케이스(2)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52)와, 수용케이스(52)를 회전시켜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분리하는 회전구동부(54)와, 수용케이스(52)를 덮어주는 덮개부재(57)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부(54)는 구동모터(55)와, 구동모터(55)의 동력을 수용케이스(5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6)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56)는 피동풀리, 구동풀리 및 벨트를 이용하는 벨트방식, 피동스프로킷, 구동스프로킷 및 체인을 이용하는 체인방식, 피동기어 및 구동기어를 이용하는 기어방식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덮개부재(57)는 개폐실린더(5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덮개부재(57)는 수용케이스(52)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개폐실린더(58)는 하단부가 수용케이스(52)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지지되고, 실린더축의 상단부가 덮개부재(57)의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덮개부재(57)를 수용케이스(52)의 상측에서 개폐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인출부(60)는 지지부(10) 하부에 구비되고, 금이 제거된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2)를 회동시켜 인출하는 구성이다.
인출부(60)는 가이드프레임(61)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62)과, 이동프레임(62)을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작동실린더(64)와, 이동프레임(62)에서 높이조절부재(66)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타공케이스(2)를 받쳐주는 지지케이스(65)와, 지지케이스(65)를 회동하여 타공케이스(2)에 담긴 폐가전물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부재(70)를 포함한다.
가이드프레임(61)은 이동프레임(6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바닥에서 지지하여 안내하는 프레임이다. 이동프레임(62)은 가이드프레임(61)에서 이동하도록 사각케이스 향태의 철골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작동실린더(64)는 실린더축이 이동프레임(62)에 연결되고, 하우징이 가이드프레임(61) 또는 다른 지지구조물에 연결되어 실린더축을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라 이동프레임(62)을 가이드프레임(61)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62)은 가이드프레임(61)에서 기둥부재(4)의 반경 외측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지지케이스(65)는 타공케이스(2)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되어 타공케이스(2)를 안치시킬 수 있다. 지지케이스(65)는 파이프형태의 철구조물을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케이스(65)의 양측면에는 회동부재(70)가 연결되는 회동축이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70)는 지지케이스(65)를 이동프레임(62)에서 상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높이조절부재(70)는 이동프레임(62)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지지케이스(65)를 승강시키는 승강프레임(67)과, 승강프레임(67)에 지지되어 승강프레임(67)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실린더(68)와, 높이조절싱린더(68)의 단부에 연결되어 롤러를 통해 연결되어 승강프레임(67)의 상측에서 연결되어 당겨주거나 놓아주는 로프부재(69)를 포함한다.
승강프레임(67)은 이동프레임(67)의 양측 중심부위에 레일을 따라 승강가능 하게 구성된다. 높이조절실린더(68)는 이동프레임(62)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배치된다.
한편, 높이조절실린더(68), 로프부재(69)를 거쳐 승강프레임(67)을 이동프레임(62)에서 승강시킬 때, 승강프레임(67)에 안치된 타공케이스(2)와, 이를 지지하는 연결부재(18)와 지지대(16) 역시 승강부(20)의 작동을 통해 함께 승강한다.
도 10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동부재(70)는 지지케이스(65)의 일측에 구비된 축에 결합되는 회동기어(72)와, 회동기어(72)에 치합되어 이동프레임(62)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기어(74)와, 연결기어(74)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76)에 연결되어 연결기어(74)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78)를 포함한다.
회동부재(70)의 작동을 살펴 보면, 회동실린더(78)가 신장하면, 실린더축이 늘어나면서 돌출부(76)를 밀어 연결기어(74)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연이어, 연결기어(74)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이에 치합된 회동기어(72)가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면서, 회동축을 통해 지지케이스(65)에 안치된 타공케이스(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써, 타공케이스(2)에 수용된 페기전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금 추출장치는, 폐가전물을 타공케이스에 담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분리작업과, 폐가전물을 세척하는 세척작업과, 폐가전물을 내리는 인출작업이 회전 및 승강방식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금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원심분리방식으로 회전시켜 분리하여 탈리액저장통으로 복귀시키므로 탈리액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회전부에 원형으로 설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 타공케이스를 걸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공케이스에 수용되어 금 분리공정이 완료된 폐가전물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타공케이스를 회동하여 폐가전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타공케이스 4 : 기둥부재
10 : 지지부 14 : 이동부재
16 : 지지대 18 : 연결부재
19 :걸이부재 20 ; 승강부 :
22 : 설치브라켓 24 : 승강실린더
30 : 회전부 32 : 설치플레이트
34 : 구동부재 36 : 구동기어부
38 : 피동기어부 40 : 탈리랙저장부
42 : 저장통 44 : 공급펌프
46 : 배출펌프 48 : 흡입커버부재
50 : 탈리랙회수부 52 : 수용케이스
54 : 회전구동부 55 : 구동모터
56 : 동력전달부 57 : 덮개부재
58 : 개폐실린더 60 : 인출부
61 : 가이드프레임 62 : 이동프레임
64 : 작동실린더 65 : 지지케이스
66 : 높이조절부재 67 : 승강프레임
68 : 높이조절실린더 70 : 회동부재
72 : 회동기어 74 : 연결기어
76 : 돌출부 78 : 회동실린더
10 : 지지부 14 : 이동부재
16 : 지지대 18 : 연결부재
19 :걸이부재 20 ; 승강부 :
22 : 설치브라켓 24 : 승강실린더
30 : 회전부 32 : 설치플레이트
34 : 구동부재 36 : 구동기어부
38 : 피동기어부 40 : 탈리랙저장부
42 : 저장통 44 : 공급펌프
46 : 배출펌프 48 : 흡입커버부재
50 : 탈리랙회수부 52 : 수용케이스
54 : 회전구동부 55 : 구동모터
56 : 동력전달부 57 : 덮개부재
58 : 개폐실린더 60 : 인출부
61 : 가이드프레임 62 : 이동프레임
64 : 작동실린더 65 : 지지케이스
66 : 높이조절부재 67 : 승강프레임
68 : 높이조절실린더 70 : 회동부재
72 : 회동기어 74 : 연결기어
76 : 돌출부 78 : 회동실린더
Claims (10)
- 기둥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타공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작동하여 상기 타공케이스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으로 상기 타공케이스에 안치된 폐가전물을 탈리액에 담궈 금을 분리하는 탈리액저장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폐가전물에서 탈리액을 회수하는 탈리액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다수개 배치되고, 상기 타공케이스에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을 밀거나 당겨 상기 이동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설치브라켓에 구비되는 설치플레이트;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부가 치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회전을 통해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피동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액저장부는,
탈리액을 저장하고, 상기 타공케이스가 담궈지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탈리액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저장통에 연결되어 탈라액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저장통 상측에 구비되어 탈리액에서 발생되는 유해 증기를 흡입하는 흡입커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액회수부는,
상기 폐가전물이 안치된 상기 타공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를 회전시켜 상기 폐가전물에 묻은 탈리액을 분리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수용케이스를 덮어주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수용케이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개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하부에 구비되고, 금이 제거된 폐가전물을 상기 타공케이스를 회동시켜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가이드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을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작동실린더;
상기 이동프레임에서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타공케이스를 받쳐주는 지지케이스; 및
상기 지지케이스를 회동하여 상기 타공케이스에 담긴 폐가전물을 외부로 인출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지지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축에 결합되는 회동기어;
상기 회동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기어; 및
상기 연결기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기어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금 추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052A KR101540104B1 (ko) | 2015-02-24 | 2015-02-24 | 회전식 금 추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052A KR101540104B1 (ko) | 2015-02-24 | 2015-02-24 | 회전식 금 추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0104B1 true KR101540104B1 (ko) | 2015-07-30 |
Family
ID=53876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6052A KR101540104B1 (ko) | 2015-02-24 | 2015-02-24 | 회전식 금 추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01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18787A (zh) * | 2020-12-11 | 2021-04-30 | 轩苗苗 | 废弃玉米芯回收再利用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6929B1 (ko) * | 2006-01-06 | 2006-12-13 | 이강복 | 여과식 금 회수장치 |
KR20100009052A (ko) * | 2008-07-17 | 2010-01-27 | 조원창 | 식품 미생물균 dna 자동 분석 방법 및 장치 |
KR20120059682A (ko) * | 2010-12-01 | 2012-06-1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cb기판의 유가금속 및 부품 회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회수방법 |
KR101231204B1 (ko) * | 2011-10-05 | 2013-02-07 | 주식회사 동서 | 슬러지 수집용 원심분리기 및 슬러지 수집방법 |
-
2015
- 2015-02-24 KR KR1020150026052A patent/KR1015401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6929B1 (ko) * | 2006-01-06 | 2006-12-13 | 이강복 | 여과식 금 회수장치 |
KR20100009052A (ko) * | 2008-07-17 | 2010-01-27 | 조원창 | 식품 미생물균 dna 자동 분석 방법 및 장치 |
KR20120059682A (ko) * | 2010-12-01 | 2012-06-1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Pcb기판의 유가금속 및 부품 회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회수방법 |
KR101231204B1 (ko) * | 2011-10-05 | 2013-02-07 | 주식회사 동서 | 슬러지 수집용 원심분리기 및 슬러지 수집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18787A (zh) * | 2020-12-11 | 2021-04-30 | 轩苗苗 | 废弃玉米芯回收再利用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972999B (zh) | 一种冻存盒存储罐 | |
DE202018106740U1 (de) | Chemilumineszenzdetektor | |
JP5121481B2 (ja) | 表面処理装置 | |
CN105517358A (zh) | 一种柔性电路板预翻转装载设备 | |
JP4608023B1 (ja) | 食品洗浄機における脱水カゴの出し入れ装置 | |
KR101540104B1 (ko) | 회전식 금 추출장치 | |
US11800888B2 (en) | Juice extraction machine | |
CN105668251A (zh) | 一种样盘存取装置及样盘存取方法 | |
CN205441980U (zh) | 一种用于pcb 板表面处理的自动搬运装置 | |
CN218083036U (zh) | 一种用于pcb板钻孔的保护装置 | |
CN110586631A (zh) | 一种压缩机自动化处理装置 | |
KR100817762B1 (ko) | 웨이퍼 자동 도금시스템 | |
KR101684274B1 (ko) | 필름 박리 장치 | |
CN115193789B (zh) | 一种酶标板清洁方法及其具有清洁结构的酶标仪设备 | |
JP2014115356A (ja) | 基板処理装置 | |
KR101267929B1 (ko) | 기판 처리장치 및 이의 기판 개별 수납/인출 방법 | |
JPH0839024A (ja) | 洗浄装置 | |
JPH0596254A (ja) | 超音波洗浄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洗浄槽 | |
KR101440261B1 (ko) | 폐드럼의 세척장치 | |
JP5650986B2 (ja) | 無排水による表面処理装置 | |
US20240090559A1 (en) | Juice extraction machine | |
CN212834030U (zh) | 一种线路板退金设备 | |
CN108483472A (zh) | 一种用于粉煤灰提取氧化铝的多层级溶出罐结构 | |
KR101722587B1 (ko) |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 |
CN115385334B (zh) | 一种活性炭加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