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274B1 - 필름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274B1
KR101684274B1 KR1020160014476A KR20160014476A KR101684274B1 KR 101684274 B1 KR101684274 B1 KR 101684274B1 KR 1020160014476 A KR1020160014476 A KR 1020160014476A KR 20160014476 A KR20160014476 A KR 20160014476A KR 101684274 B1 KR101684274 B1 KR 10168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er
unit
pattern
cover un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기
Original Assignee
박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기 filed Critical 박형기
Priority to KR102016001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 B65H2406/343Details of suck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의 필름에 커팅되어 형성된 패턴을 제거하는 필름 박리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툴하우징부, 상기 툴하우징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상기 판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와 나란하게 상기 툴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퍼부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부 및 상기 밴트부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필름 박리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필름 박리 장치{Apparatus for peeling off film}
본 발명은 금속 플레이트에 붙은 필름을 패턴에 따라 일부 박리하여 제거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텔레비전, 모니터 등의 전자기기의 뒷면에는 금속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이 금속 플레이트는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열을 방출시킴과 동시에 각종 기판들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는 각종 스크래치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이 부착된다. 한편 제조사들은 이러한 금속 플레이트의 일정한 영역에 제품의 모델 번호나 자사의 로고 등을 음각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문자나 도형을 음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부분을 커팅하고 제거한 후 프레스 등으로 압입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필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롤러 형식의 필름 박리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필름의 끝단을 롤러로 밀거나 롤러에 감아 제거하였다.
하지만 이 경우 밀려서 제거된 필름을 개별적으로 수거해야 하거나 필름이 감긴 롤러를 일정 시간 단위로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필름의 수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1524호 (2010.08.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0522호 (2015.01.28)
본 발명은 판재에 부착된 필름을 박리하여 제거할 때 제거된 필름이 공정 외부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필름 박리 장치에서 직접 필름을 수거하거나 수거기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판재의 필름에 커팅되어 형성된 패턴을 제거하는 장치으로서, 툴하우징부, 상기 툴하우징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상기 판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와 나란하게 상기 툴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퍼부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부 및 상기 밴트부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는 필름 박리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툴하우징부는, 그립퍼부 또는 밴트부가 장착되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과 회전유닛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과 상기 장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돌기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할 때 상기 커버유닛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버유닛이 승하강할 때 회전유닛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그립퍼부는, 헤드,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상기 판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립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밴트부는, 헤드,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공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퍼부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노즐 및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의 중공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필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밴트노즐의 하단은 일측이 비스듬히 깎여 노즐홀의 일부분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개방단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단이, 상기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밴트노즐의 진행 방향의 뒤쪽을 바라보도록,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밴트노즐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을 일부분을 판재로부터 분리하고 빨아들여 장치 외부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다. 판재로부터 박리된 필름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고 공정의 중단 없이도 제거된 필름을 처리할 수 있고 수거기구의 교체가 불필요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박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름 박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름 박리 장치에서 툴하우징부에 채용된 회전유닛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름 박리 장치에서 툴하우징부에 채용된 승하강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름 박리 장치의 그립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필름 박리 장치의 밴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박리 장치의 작동 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박리 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박리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박리 장치(100)는 필름의 일부를 커팅하여 패턴이 형성된 판재에서 패턴을 들어내 제거하게 된다. 필름 박리 장치(100)는 툴하우징부(1), 툴하우징부(1)에 장착되는 그립퍼부(2)와 밴트부(3) 및 밴트부(3)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부(4)를 포함한다.
툴하우징(1)은 필름 박리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며 그립퍼부(2)와 밴트부(3)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툴하우징(1)에는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승하강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된다.
그립퍼부(2)는 툴하우징(1)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판재로부터 분리시킨다. 한편 밴트부(3)는 그립퍼부(2)와 나란하게 툴하우징(1)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립퍼부(2)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한다. 공기흡입부(4)는 벤트부와 연결되어 밴트부(3)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그립퍼부(2)에 의해 분리된 필름을 빨아내어 수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름 박리 장치는 밴트부를 이용하여 필름을 빨아들이고 장치 외부로 이동시켜 수거할 수 있으므로 판재로부터 박리된 필름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그립퍼부에 의해 필름을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밴트부로 흡입할 때 필름이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필름 박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툴하우징부(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박리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며 그립퍼부(2)와 밴트부(3)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승하강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툴하우징부(1)는, 커버유닛(11), 승하강유닛(12), 회전유닛(13) 및 이송유닛(14)을 포함한다.
이송유닛(14)은 엘엠레일(30)과 결합하여 필름 박리 장치(100)가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유닛(14)에는 엘엠레일(30)과 연결되는 엘엠블록(141)과, 엘엠레일의 랙(도시 생략)과 연결되는 톱니붙이 벨트(40)가 감기는 피니언(142) 및 이 피니언(142)을 회전시키는 모터(1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유닛에 의한 필름 박리 장치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엘엠레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면 필름 박리 장치는 평면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송유닛(14)의 전단에는 승하강유닛(12)이 결합된다. 승하강유닛(12)은 수직플레이트(121), 승강구동기(122), 승강구조체(123)를 포함한다. 승하강유닛(12)은 커버유닛(11)과 결합되어 커버유닛(11)을 승하강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유닛(14)에 이동가능하게 수직플레이트(121)가 장착된다. 수직플레이트(121)는 이송유닛(14)의 전단과 엘엠가이드(145)로 연결되어 있다. 이송유닛(14)에 고정된 수직모터(144)의 출력축(144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출력축(144a)이 수직플레이트(121)의 뒷면에 돌출된 암부재(121a)에 체결됨으로써, 수직모터(14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직플레이트(121)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수직플레이트(121)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회전유닛(13)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평플레이트(131)가 상하로 이격되게 고정된다. 이 수평플레이트(131)에 승강구조체(123)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구조체(123)는 상판(123a)과 하판(123b)을 복수의 기둥(123c)으로 연결한 것으로, 이 기둥(123c)들이 수평플레이트(131)의 구멍을 통해 슬라이딩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때 상판(123a)은 상부의 수평플레이트(131)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고 하판(123b)은 하부의 수평플레이트(131)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판(123a)이 수직플레이트(121)에 고정되는 승강구동기(122)의 출력축(122a)에 연결된다. 승강구동기(122)로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승강구동기(122)가 작동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조체(123)는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승강구조체(123)는 그립퍼부(1)와 밴트부(2)마다 하나씩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비를 포함하여 3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필름 박리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여 4개 이상을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각 승강구조체(123)의 상판(123a)과 하판(123b) 사이에는 회전유닛(13)이 위치한다. 회전유닛(13)은 커버유닛(11)과 결합되고 회전구동기(133)에 연결되어 커버유닛(11)을 회전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유닛(13)은, 수평플레이트(131), 회전풀리(132), 회전구동기(133), 벨트(134)를 포함한다. 회전구동기(133)로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31)는 수직플레이트(121)에 상하로 2개가 결합된다. 각 수평플레이트(131)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원통형 회전풀리(132)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된다. 회전풀리(132)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수평플레이트(131)에 결합된다. 회전풀리(132)의 내주면에는 키(132a)가 돌출되어 비원형 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수직플레이트(121)에는 회전방향이 제어 가능한 회전구동기(133)가 구비되며, 회전구동기(133)의 출력축(133a)은 회전풀리(132)와 벨트(134)로 연결된다(도 4 참조). 회전구동기(133)의 회전에 따라 회전풀리(132)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커버유닛(11)은 그립퍼부(2) 또는 밴트부(3)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승하강유닛(12)의 상판(123a)과 하판(123b) 및 회전유닛(13)의 수평플레이트(131)들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커버유닛(11)은 승하강유닛(12)과 함께 승하강이 되도록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구조체(123)의 상판(123a)과 하판(123b)에는 원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홀에 베어링 등을 개재하여 커버유닛(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버유닛(11)은 회전이 가능하되 승하강유닛(12)과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11)은 회전유닛(13)과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유닛(11)의 외주면에는 회전풀리(132)의 키(132a)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의 장착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유닛(11)의 장착홈(111)이 키(132a)에 들어가면서, 커버유닛(11)이 회전풀리(132)와 결합하게 된다. 상하 방향의 장착홈(111)과 키(132a)의 결합에 의해, 회전풀리(132)에 대하여 커버유닛(11)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서 커버유닛(11)은 승강구조체(123)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면서, 회전풀리(132)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커버유닛(11)에 장홈(장착홈(111))이 형성되고 회전유닛(13)에 장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돌기(키(132a))가 형성되어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커버유닛에 돌기가 형성되고 회전유닛에 장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유닛(13)이 회전할 때 커버유닛(11)이 함께 회전하고 커버유닛(11)이 승하강할 때 회전유닛(13)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기로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하나의 구동기로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같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립퍼부(2)의 승강구조체(123)가 상승하더라도 그립퍼부(2)의 회전풀리(132)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하나의 회전구동기로도 충분히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그립퍼부와 밴트부가 항상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을 때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커버유닛(11)의 상부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그립퍼부(2) 또는 밴트부(3)에 구비된 핀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유닛(11)에 그립퍼부(2) 또는 밴트부(3)를 장착할 수 있다. 커버유닛(11)을 별도로 구비하여 그립퍼부(2)와 밴트부(3)를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하면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그립퍼부와 관련된다.
그립퍼부(2)는 툴하우징(1)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판재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립퍼부(2)는 헤드(21), 바디(22) 및 그립퍼(23)를 포함한다.
헤드(21)는 그립퍼부(2)의 일단을 이루고 이 헤드(21)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바디(2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헤드(21)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바디(22)는 회전이 가능하다.
헤드(21)와 바디(22)에는 각각 핀(24,25)이 구비될 수 있다. 핀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끼움에 의해 헤드와 바디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21)에 구비된 핀은 그립퍼부(2)가 커버유닛(11)에 결합된 후 록부재(15, 도 1, 도 2 참조)를 닫았을 때 록부재(15)의 홈(151)에 위치하게 된다.
커버유닛(11)에 그립퍼부(2)를 장착한 후 록부재(15)를 닫으면 커버유닛(11)의 하강시에 록부재(15)가 그립퍼부(2)를 눌러주므로 그립퍼부(2)의 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유닛(11)의 상승시에는 커버유닛(11)의 걸림홈(112)에 핀(25)이 걸려 있으므로 그립퍼부(2)의 상승이 가능하다.
커버유닛(11)의 걸림홈(112)과 핀(25)의 결합은 커버유닛(11)이 회전할 때 바디(22)도 같이 회전하게 하며 록부재(15)의 홈(151)에 위치한 핀(24)은 바디(22)가 회전할 때 헤드(21)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해 준다.
바디(22)의 일단에는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판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그립퍼(23)가 결합된다. 그립퍼(23)는 압축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그립퍼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립퍼(23)는 집게를 작동시키(132a)는 다양한 공지된 기계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립퍼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바디(22)에 중공(221)을 형성하고 공압튜브(10)를 배관하여 바디(22)의 중공을 통해 공압공급기(50)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그립퍼(23)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밴트부와 관련된다.
밴트부(3)는 그립퍼부(2)와 나란하게 툴하우징(1)에 구비되어 있으며 그립퍼부(2)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한다. 밴트부(3)는 헤드(31), 바디(32), 밴트노즐(33), 센서유닛(34)을 포함한다.
헤드(31)와 바디(32)의 결합은 상술한 그립퍼부(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밴트부(3) 역시 헤드(31)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바디(32)는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헤드(31)와 바디(32)에 구비된 핀(36,37)의 기능은 그립퍼부(2)의 핀(24,25)의 기능과 동일하다.
밴트부(3)의 바디(32)는 중공된 것으로서, 바디(32)에 형성된 중공(321)은 넓게 이루어져 바디는 관과 같은 형상이 된다. 이는 필름이 바디(3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쉽도록 넓은 통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바디(32)의 일단에는 그립퍼부(2)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노즐(33)이 결합된다. 밴트노즐(33)의 하단은 일측이 비스듬히 깎여 노즐홀(331)의 일부분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개방단(332)이 형성된다. 또한 밴트부(3)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개방단(332)이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밴트노즐(33)의 진행 방향의 뒤쪽을 바라보도록 밴트노즐(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단(332)을 통해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필름의 박리를 도와주므로 필름을 원활하게 박리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헤드의 끝단에는 센서유닛(34)이 결합된다. 센서유닛(34)은 케이스(341), 센서블록(342), 반사판(343) 및 센서(344)를 포함한다. 케이스(341)는 중공된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센서(344)는 바디(32)와 헤드(31)의 중공된 부분을 통해 배출관(20)으로 빠져나가는 필름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의 원주 상에는 센서(344)가 부착된 센서블록(342)과 반사판(343)이 부착된 센서블록(342)이 결합된다. 센서는 광센서이고 센서(344)와 반사판(343)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센서에서 발생한 빛이 케이스(341)에 형성된 통공(341a)을 통해 반사판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하여 필름이 통과하고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센서의 종류나 부착위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헤드(31) 단부에 센서유닛(34)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바디(32)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센서를 부착할 수 있고 배출관(20)에 근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름이 확실히 제거되어 빠져나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센서유닛(34)의 일단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결부재(35)가 결합되고 이 연결부재(35)에 배출관(20)의 일단이 연결되고 배출관(20)의 다른 일단은 공기흡입부(4)로 연결된다.
공기흡입부(4)는 밴트노즐(33)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진공펌프가 될 수 있다. 이때, 공기흡입유닛에는 제거된 패턴을 걸러내는 필터나 사이클로닉 분리 수단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필름 박리 장치의 작동과 관련된다. 각 도면에서 필름 박리 장치(100)의 그립퍼(23)와 밴트노즐(33)은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도 7a의 (a)는 필름 박리 장치(100)의 시작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a의 (b)는 해당 위치에서 툴하우징(1)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패턴(220)이 형성된 판재(200)가 필름 박리 장치(100)의 위치로 이동되면, 그립퍼(23)가 패턴(220)의 단부의 위로 이동된다. 패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데, 그립퍼(23)는 패턴(220)이 시작하는 지점 또는 끝나는 지점에 위치가 맞추어진다.
도 7b와 도 7c는 그립퍼(23)의 작동으로 패턴의 단부가 들리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립퍼(23)가 하강하여 패턴(220)의 단부에 접촉하고, 집게(341)가 다물어지면서 패턴(220)의 단부를 집게 된다. 그립퍼(23)가 패턴(220)의 단부를 잡은 상태에서, 그립퍼(23)가 상승함에 따라 패턴(220)의 단부는 판재(200)로부터 떨어져 들리게 된다. 그립퍼(23)가 충분히 상승함에 따라 패턴(220)은 판재(200)로부터 길게 떨어지게 된다.
도 7d에서 그립퍼(23)는 집게(341)를 벌려 파지하였던 패턴(220)의 단부를 놓고, 그립퍼(23)의 위치에 밴트노즐(33)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공기흡입유닛을 작동시켜 밴트노즐(33)에 음압을 형성한 상태에서, 밴트노즐(33)을 하강시킴으로써, 판재(200)로부터 들린 패턴(220)의 단부가 밴트노즐(33) 안으로 빨려들어오게 한다.
이때, 밴트노즐(33)의 노즐홀(331)을 판재의 표면과 가깝게 내림으로써, 판재(200)로부터 떨어진 패턴(220) 단부의 흡입 작용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밴트노즐(33)은 해당 위치에서 수 초간 머물 수 있다.
이후 툴이송유닛을 작동하여 밴트노즐(33)을 패턴에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밴트노즐(33)은 판재(200)의 표면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밴트노즐(33)로 유입된 패턴(220)의 부분은 지속적인 흡입력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에 판재에 부착되어 있는 나머지 패턴도, 밴트노즐(33) 속에 있는 패턴이 당기는 힘에 의해 판재(200)로부터 벗겨져 밴트노즐(33) 내로 유입된다.
밴트노즐(33)이 패턴(220)의 형성 궤적을 추종하면서 패턴(220)을 흡입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나의 패턴(220)을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밴트노즐(33)에 수집된 패턴(220)은 필름 박리 장치 외에서 별도로 수거하므로 후처리의 편리함이 있다.
나아가 밴트노즐(33)이 패턴의 형상을 추종하며 이동하는 동안에, 개방단(332)이 밴트노즐(33)이 진행하는 방향의 뒤쪽을 바라보도록, 밴트노즐(33)을 회전시킬 수 있다.
개방단(332)은 아직 밴트노즐(33) 내로 흡입되지 아니한 패턴(220)이 판재로부터 잘 들리도록 바람의 양을 증가시킨다. 또한 흡입력을 보조함으로써 연속적인 패턴 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패턴의 제거가 완료된 판재는 이송되고, 이후 이를 수집하여 포장한 후 조립 공정으로 이동된다.
1 : 툴하우징부
11 : 커버유닛 111 : 장착홈 112 : 걸림홈
12 : 승하강유닛
121 : 수직플레이트 121a : 암부재
122 : 승강구동기 122a : 출력축
123 : 승강구조체 123a : 상판 123b : 하판 123c : 기둥
13 : 회전유닛
131 : 수평플레이트 132 : 회전풀리 132a : 키
133 : 회전구동기 133a : 출력축 134 : 벨트
14 : 이송유닛
141 : 엘엠블록 142 : 피니언 143 : 모터
144 : 수직모터 144a : 출력축 145 : 엘엠가이드
15 : 록부재 151 : 홈
2 : 그립퍼부
21 : 헤드 22 : 바디 221 : 중공
23 : 그립퍼 231 : 집게 24, 25 : 핀
3 : 밴트부
31 : 헤드 32 : 바디 321 : 중공
33 : 밴트노즐 331 : 노즐홀 332 : 개방단
34 : 센서유닛 341 : 케이스 341a : 통공
342 : 센서블록 343 : 반사판 344 : 센서
35 : 연결부재 36, 37 : 핀
4 : 공기흡입부
100 : 필름 박리 장치
10 : 공압튜브 20 : 배출관 30 : 엘엠레일 40 : 톱니붙이 벨트
50 : 공압공급기
200 : 판재 210 : 필름 220 : 패턴 230 : 절개선

Claims (6)

  1. 판재의 필름에 커팅되어 형성된 패턴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툴하우징부,
    상기 툴하우징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상기 판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립퍼부,
    상기 그립퍼부와 나란하게 상기 툴하우징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그립퍼부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부 및
    상기 밴트부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툴하우징부는,
    그립퍼부 또는 밴트부가 장착되는 커버유닛,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과 결합되고 구동기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과 회전유닛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과 상기 장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돌기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유닛이 회전할 때 상기 커버유닛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커버유닛이 승하강할 때 회전유닛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필름 박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그립퍼부는,
    헤드,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패턴의 단부를 집어 올려 상기 판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그립퍼
    를 포함하는 필름 박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밴트부는,
    헤드,
    상기 헤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공된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퍼부에 의해 단부가 들린 패턴을 진공흡입하는 밴트노즐 및
    상기 헤드에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의 중공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필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유닛
    을 포함하는 필름 박리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밴트노즐의 하단은 일측이 비스듬히 깎여 노즐홀의 일부분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개방단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단이,
    상기 패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밴트노즐의 진행 방향의 뒤쪽을 바라보도록,
    진행방향에 따라 상기 밴트노즐을 회전시키는
    필름 박리 장치.
KR1020160014476A 2016-02-04 2016-02-04 필름 박리 장치 KR10168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76A KR101684274B1 (ko) 2016-02-04 2016-02-04 필름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476A KR101684274B1 (ko) 2016-02-04 2016-02-04 필름 박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274B1 true KR101684274B1 (ko) 2016-12-08

Family

ID=5757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476A KR101684274B1 (ko) 2016-02-04 2016-02-04 필름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83B1 (ko) * 2017-12-19 2018-08-16 임상규 정역회전을 통한 mi케이블의 피복 탈피 방법
KR101980133B1 (ko) * 2018-06-25 2019-05-20 임상규 정역회전을 통한 mi케이블의 피복 탈피 방법
KR102155892B1 (ko) * 2019-06-05 2020-09-15 (주)에이치에스엠 통기성 시트소재의 분리 및 이송용 그리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040A (ja) * 2006-04-05 2007-10-25 Sharp Corp 光学フィルム剥離装置、基板分断装置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91524A (ko) 2009-02-10 2010-08-1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편광판의 이형 필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20131709A (ko) * 2011-05-26 2012-12-05 (주)우리엔지니어링 Emi 쉴드 전사필름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4001049A (ja) * 2012-06-19 2014-01-09 Hakko Shokai:Kk シート状部材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KR20150010522A (ko) 2013-07-19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6040A (ja) * 2006-04-05 2007-10-25 Sharp Corp 光学フィルム剥離装置、基板分断装置およ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91524A (ko) 2009-02-10 2010-08-19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편광판의 이형 필름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20131709A (ko) * 2011-05-26 2012-12-05 (주)우리엔지니어링 Emi 쉴드 전사필름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14001049A (ja) * 2012-06-19 2014-01-09 Hakko Shokai:Kk シート状部材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KR20150010522A (ko) 2013-07-19 2015-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883B1 (ko) * 2017-12-19 2018-08-16 임상규 정역회전을 통한 mi케이블의 피복 탈피 방법
KR101980133B1 (ko) * 2018-06-25 2019-05-20 임상규 정역회전을 통한 mi케이블의 피복 탈피 방법
KR102155892B1 (ko) * 2019-06-05 2020-09-15 (주)에이치에스엠 통기성 시트소재의 분리 및 이송용 그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274B1 (ko) 필름 박리 장치
KR100210962B1 (ko) 필름박리방법 및 장치
KR101769139B1 (ko) 필름 박리 시스템
US20060150795A1 (en) Punching apparatus and punching die used therefor
CN208747942U (zh) 一种自动夹胶玻璃合片机
JP2007203438A (ja) ビス抜取装置
CN115362136A (zh) 玻璃板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CN114918475A (zh) 一种应用于五金加工的机械切割设备及其操作方法
CN108326546B (zh) 一种摄像机装配装置
CN113732106A (zh) 一种五金加工用自动热整形机
KR101431784B1 (ko) 마감테이프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권취장치
CN116107594A (zh) 一种tp/otp烧录一体化治具
JPH0584159A (ja) 壁面又は窓ガラスの清掃装置の駆動装置
KR20160023565A (ko) 캐리어 박리 장치
EP1837140A1 (en) Punching apparatus and punching die used therefor
CN114713694A (zh) 一种全自动送料的冲床
CN114671105A (zh) 一种亚克力板自动化清洗撕膜机
CN112208879B (zh) 洗衣机前盖去除塑料膜检测排料设备
CN117443857B (zh) 一种pcb板生产用清洗机及其工作方法
CN216638356U (zh) 一种用于卷状软糖生产的自动分切及收卷设备
CN112916442B (zh) 自动去除装置和自动去除设备
JP2019209634A (ja) 成形装置
CN215660603U (zh) 一种自动模切机
CN217436177U (zh) 一种离型纸撕离装置
CN113771155B (zh) 一种板材贴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