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87B1 -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87B1
KR101722587B1 KR1020160099779A KR20160099779A KR101722587B1 KR 101722587 B1 KR101722587 B1 KR 101722587B1 KR 1020160099779 A KR1020160099779 A KR 1020160099779A KR 20160099779 A KR20160099779 A KR 20160099779A KR 101722587 B1 KR101722587 B1 KR 10172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guide
guide roll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주
Original Assignee
(주)미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미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9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와,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컨베이어의 양 기어를 서로 연결시킨 연결부재에 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와 연결설치된 제1연결바와, 제1연결바와 연결설치된 제2고정부재와, 제2연결바와 연결설치거치대가 서로 연계설치되고, 연결설치거치대에 다수개로 구비된 식판회수바스켓으로 구비하여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낮게하여 프레임의 일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를 낮게 회전되게 하여 프레임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 식판들을 투입하고 프레임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을 회수를 보다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하도록하여 프레임의 이동홈부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의 투입 및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한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Dish return system}
본 발명은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회전되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의 적층부와 회수부에서의 높이를 달리하여 식판회수바스켓에 식판들의 투입과 회수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면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수하는 프레임의 외측둘레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에 식판을 적층하여 회수하는 바스켓들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 병원, 학교, 공장, 군대 등과 같이 주로 단체 급식을 하는 대형 식당에서는 사용된 식판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일정 길이의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식판을 사용자가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시켜 회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컨베이어가 수평으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는 설치공간이 넓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한 식판이 다량으로 수용될 경우 다량의 식판을 적층하여 회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회수된 식판이 컨베이어를 따라 마지막 지점에서 더 이상의 식판이 세척실로 이송되지 못할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지속적인 가동이 불가능하여 식판이 넘쳐 쓰러지는 문제, 여러 양의 식판이 적재되어 퇴식 속도를 느리게 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47518호 "식기세척용 경사이송부를 갖는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구비된 식판이송부"(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다수의 그릇(국그릇, 밥그릇, 찬그릇, 뚜껑 등)이 상부에 안착된 식판에서 그릇과 식판을 자연스럽게 분리하도록 설치된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경사부가 형성된 식판이송부에 식판을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일련적으로 공급되도록 식판이송부의 일측상부에 설치된 안내턱부와, 안내턱부로 인해 이송된 식판의 상부타측면을 고정안내하는 식판고정안내구와, 식판이송부로 안내된 식판을 식판이송컨베이어상으로 공급하는 회동스토퍼로 구성하여 그릇들이 제거된 식판을 경사부를 유지한 식판이송부에서 보다 정밀하고 신속하게 정렬하여 식판을 경사부에서 식판이송컨베이어로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설치공간이 넓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회수된 식판이 컨베이어를 따라 마지막 지점에서 더 이상의 식판이 세척실로 이송되지 못할 경우에는 컨베이어의 지속적이 가동이 불가능하여 식판의 빠른 투입 및 빠른 회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은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와,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컨베이어의 양 기어를 서로 연결시킨 연결부재에 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와 연결설치된 제1연결바와 제1연결바와 연결설치된 제2고정부재와, 제2연결바와 연결설치거치대가 서로 연계설치되고, 연결설치거치대에 다수개로 구비된 식판회수바스켓으로 구비하여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낮게하여 프레임의 일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를 낮게 회전되게 하여 프레임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 식판들을 투입하고 프레임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을 회수를 보다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하도록하여 프레임의 이동홈부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의 투입 및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한 프레임의 외측둘레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을 구비한 식판회수컨베이어장치를 제공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출원 제20-1997-001115호(1997.01.28) 식기 세척기용 스푼 바스켓의 착탈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컨베이어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다량의 식판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고, 식판 회수를 위한 식판 회수 바스켓의 탈착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프레임에 연결설치거치대에 다수개로 구비된 식판회수바스켓으로 구비한 식판을 적층하는 이동홈부와 회수하는 이동홈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높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 식판들을 투입하고 프레임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을 회수하여 식판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면서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회수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이동홈부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는 상기 케이스본체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 보다 높게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모터로 구동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가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기어와 기어가 연결부재로 연결된 회전컨베이어와; 상기 연결부재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연결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외측면과 연결설치된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외측면과 수평으로 연결설치된 제2연결바와;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이동홈부의 외측둘레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공에 관통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의 노출부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되는 연결거치대와; 상기 연결거치대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바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바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롤러와, 상기 제3안내롤러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바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롤러와 상기 제4안내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안내롤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바의 하부에서 이동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 제5안내롤러와, 상기 제3안내롤러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로 구비된 제6안내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3,4안내바는 프레임의 내측둘레에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는 프레임의 내부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보다 높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식판회수바스켓은 하부에 망사체로 형성되고 사각체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양측에 설치된 측벽과, 상기 받침판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벽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벽의 상단은 전방보다 후방이 낮도록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어는 스프로킷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본체의 일측 상부와 중앙부에 조명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와,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컨베이어의 양 기어를 서로 연결시킨 연결부재에 설치된 제1고정부재와, 제1고정부재와 연결설치된 제1연결바와 제1연결바와 연결설치된 제2고정부재와, 제2연결바와 연결설치거치대가 서로 연계설치되고, 연결설치거치대에 다수개로 구비된 식판회수바스켓으로 구비하여 프레임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이동홈부의 높이를 낮게하여 프레임의 일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보다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의 높이를 낮게 회전되게 하여 프레임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 식판들을 투입하고 프레임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 회수를 보다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하도록하여 프레임의 이동홈부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된 식판회수바스켓들에서 식판의 투입 및 회수를 보다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고정부재에 설치된 제1,2안내롤러를 안내하는 제1,2안내바와, 제2고정부재에 설치된 제3,4안내롤러를 안내하는 제3,4안내바를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하여 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고정부재 및 제1연결바와, 이 제1연결바와 연결된 제2고정부재와 연계된 제2연결바와 연계된 연결설치거대에 구비된 다수개의 식판회수바스켓들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측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타측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고정부재와, 제1,2연결바와, 연결거치대와 식판회수바스켓을 나타낸 개략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안내바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회수바스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회수바스켓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본체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일측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타측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고정부재와, 제1,2연결바와, 연결거치대와 식판회수바스켓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안내바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회수바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회수바스켓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본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외측둘레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을 구비한 식판회수컨베이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외측둘레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되는 식판회수바스켓들을 구비한 식판회수컨베이어장치는 프레임(10)과, 회전컨베이어(20)와, 제1고정부재(30)와, 제1연결바(40)와, 제2고정부재(50)와, 제2연결바(60)와, 연결거치대(70)와, 식판회수바스켓(8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본체(10a)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이동홈부(11a)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홈부(11a)의 중앙외측둘레에는 이동통공(11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공(11b)에는 후술되는 제2연결바(60)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통공(11b)의 둘레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는 상기 케이스본체(10a)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보다 낮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는 상기 측은 상기 케이스본체(10a)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보다 낮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상기 이동통공(11b)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에 설치된 후술되는 연결거치대(70)의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사용자가 식판을 보다 손쉽게 투입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상기 이동통공(11b)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에 설치된 연결거치대(70)의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식판이 투입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a)에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투입된 식판이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타측으로 낮게 이동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서 식판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 난 식판을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투입하여 다시 세척하기 위해서 식판을 용이하게 회수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난 식판을 일련적으로 투입하여 수거하고 사용하여 오염된 식판을 대량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컨베이어(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구성인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본체(10a)의 일측 상부와 중앙부에 조명시설(L)을 설치하여 식판을 바스켓에 적층시에 밝게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회전컨베이어(20)는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내부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모터(21)로 구동되는 기어(22)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22)는 스프로킷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어(22)는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기어(22)와 상기 기어(22)가 연결부재(23)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연결부재(23)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고정부재(30)는 상기 연결부재(23)인 상기 체인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3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안내롤러(31)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바(91)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롤러(3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안내롤러(32)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바(92)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안내바(91,92)는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설치된 수직고정부(10b)에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수평바(10c)에 상기 제1안내바(91)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설치된 수직고정부(10b)에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2수평바(10d)에 상기 제2안내바(9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2안내바(91,92)는 상기 수직고정부(10b)의 외측둘레에 타원형으로 상,하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바(40)는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외측면과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바(40)의 상부는 내측으로 절곡되고, 하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연결바(40)의 내측은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바(40)의 외측은 후술되는 상기 제2고정부재(50)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50)는 상기 제1연결바(4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롤러(51)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안내롤러(51)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바(93)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롤러(52)와 상기 제4안내롤러(52)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바(94)로 구성된다.
상기 제3안내바(93)는 상기 제1수평바(10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고정부(10b)에 설치된 상기 제3수평바(10e)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4안내바(94)는 상기 제2수평바(10d)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고정부(10b)에 설치된 상기 제4수평바(10f)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제3,4안내바(93,94)는 상기 수직고정부(10b)의 외측둘레에 타원형으로 상,하로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4안내롤러(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바(92)의 하부에서 이동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 제5안내롤러(53)로 구성된다.
상기 제3안내롤러(5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로 구비된 제6안내롤러(54)로 구성된다.
상기 제4,5안내롤러(53,54)는 상기 제2고정부재(50)가 상기 이동홈부(11a)의 내부에서 회전이동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보다 높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보다 높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은;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상기 이동홈부(11a)의 내측에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상기 이동홈부(11a)의 내측에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은,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상기 이동통공(11b)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에 설치된 후술되는 연결거치대(70)의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사용자가 식판을 보다 손쉽게 투입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상기 이동홈부(11a)의 상기 이동통공(11b)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에 설치된 연결거치대(70)의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스본체(10a)에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식판이 투입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a)에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투입된 식판이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타측으로 낮게 이동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서 식판을 보다 용이하게 수거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 난 식판을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투입하여 다시 세척하기 위해서 식판을 용이하게 회수하도록 하여 사용하고 난 식판을 일련적으로 투입하여 수거하여 사용하여 오염된 식판을 대량적으로 세척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연결바(60)는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외측면과 수평으로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연결바(60)는 상기 이동홈부(11a)의 외측둘레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공(11b)에 관통삽입되어 타측이 노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거치대(70)는 상기 제2연결바(60)는 상기 이동홈부(11a)의 외측둘레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공(11b)에 관통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의 노출부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연결바(60)가 상기 이동통공(11b)에 삽입되어 타측으로 노출된 부에 상기 연결거치대(70)의 일측이 연결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은 상기 연결거치대(7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은 상기 연결거치대(70)의 외측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3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갯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은 하부에 망사체(81a)로 형성되고 사각체로 형성된 받침판(81)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81)의 하부를 망사체(81a)로 형성하는 것은 식판에 잔존하는 물기와 음식물찌꺼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위함이다.
상기 받침판(81)의 양측에 설치된 측벽(82a,82b)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81)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벽(83a,83b)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벽(82a,82b)의 상단은 전방보다 후방이 낮도록 경사부(83c)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82a,82b)의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82c)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벽(82a,82b)의 상단은 전방보다 후방이 낮도록 경사부(83c)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경사부(83c)의 상부면에 식판의 하부면이 맞닿았을시 상기 식판을 상기 받침판(81)의 내측 상부로 유도하여 상기 식판이 상기 받침판(81)의 상부면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측벽(82a,82b)의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82c)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측벽(82a,82b)의 회전이동시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대응하도록 강도력을 높이고, 식판에 잔존하는 물기와 음식물찌꺼기가 상기 통공(82c)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와, 상기 프레임(10)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b)의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컨베이어(20)의 양 상기 기어(22)를 서로 연결시킨 상기 연결부재(23)에 설치된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연결설치된 상기 제1연결바(40)와 상기 제1연결바(40)와 연결설치된 상기 제2고정부재(50)와, 상기 제2연결바(60)와 상기 연결설치거치대(70)가 서로 연계설치되고, 상기 연결설치거치대(70)에 다수개로 구비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으로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의 높이보다, 상기 프레임(10)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의 높이를 낮게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회전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의 높이보다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서 회전되는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의 높이를 낮게 회전되게 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높게 설치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 식판들을 투입하고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낮게 설치된 상기 식판회수바스켓(80)들에서 식판을 회수를 보다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으로 하도록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상기 이동홈부(11a)에서 높낮이를 달리하여 회전된 상기식판회수바스켓(80)들에서 식판의 투입 및 회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0a : 케이스본체
11a ; 이동홈부 11b : 이동통공
20 : 회전켄베이어 21 : 모터
22 : 기어 23 : 연결부재
30 : 제1고정부재 31 ; 제1안내롤러
32 : 제2안내롤러 40 : 제1연결바
50 : 제2고정부재 51 : 제3안내롤러
52 : 제4안내롤러 53 : 제5안내롤러
54 : 제6안내롤러 60 : 제2연결바
70 : 연결거치대 80 : 식판회수버켓
81 : 받침판 81a : 망사체
82a, 82b : 측벽 82c : 통공
83a : 전방벽 83b : 후방벽
83c : 경사부 91 : 제1안내바
92 : 제2안내바 93 : 제3안내바
94 : 제4안내바

Claims (8)

  1. 수직으로 기립설치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본체(10a)와,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이동홈부(11a)와,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식판을 투입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는 상기 케이스본체(10a)의 식판을 회수하는 측의 상기 이동홈부(11a)보다 낮게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평으로 설치되고 모터(21)로 구동되는 기어(22)와, 상기 기어(22)가 서로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기어(22)와 상기 기어(22)가 연결부재(23)로 연결된 회전컨베이어(20)와;
    상기 연결부재(23)에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연결설치된 제1고정부재(30)와;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외측면과 연결설치된 제1연결바(40)와;
    상기 제1연결바(4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제2고정부재(50)와;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외측면과 수평으로 연결설치된 제2연결바(60)와;
    상기 제2연결바(60)는 상기 이동홈부(11a)의 외측둘레 중앙에 형성된 이동통공(11b)에 관통삽입되어 노출된 상기 제2연결바(60)의 노출부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되는 연결거치대(70)와;
    상기 연결거치대(70)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다수개로 서로 거리를 두고 고정설치된 식판회수바스켓(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고정부재(30)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31)와, 상기 제1안내롤러(31)의 상부에 설치된 제1안내바(91)와,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롤러(32)와, 상기 제2안내롤러(32)의 하부에 설치된 제2안내바(92)와,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롤러(51)와, 상기 제3안내롤러(51)의 상부에 설치된 제3안내바(93)와, 상기 제2고정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롤러(52)와 상기 제4안내롤러(52)의 하부에 설치된 제4안내바(9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제4안내롤러(5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안내바(92)의 하부에서 이동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 제5안내롤러(53)와, 상기 제3안내롤러(5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로 구비된 제6안내롤러(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4. 제 2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2,3,4안내바(91,92,93,94)는 프레임(10)의 내측둘레에 타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5. 제 2항에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는 프레임(10)의 내부 타측면에 설치된 상기 제1,2,3,4안내바(91,92,93,94)보다 높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식판회수바스켓(80)은 하부에 망사체(81a)로 형성되고 사각체로 형성된 받침판(81)과, 상기 받침판(81)의 양측에 설치된 측벽(82a,82b)과, 상기 받침판(81)의 전,후방에 설치된 전,후방벽(83a,83b)으로 설치되고, 상기 측벽(82a,82b)의 상단은 전방보다 후방이 낮도록 경사부(83c)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82a,82b)의 측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82c)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기어(22)는 스프로킷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3)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본체(10a)의 일측 상부와 중앙부에 조명시설(L)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KR1020160099779A 2016-08-05 2016-08-05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KR10172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779A KR101722587B1 (ko) 2016-08-05 2016-08-05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779A KR101722587B1 (ko) 2016-08-05 2016-08-05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87B1 true KR101722587B1 (ko) 2017-04-19

Family

ID=5870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779A KR101722587B1 (ko) 2016-08-05 2016-08-05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746B2 (ja) 1995-05-30 2000-10-3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遅延装置
KR101431773B1 (ko) 2014-03-26 2014-08-20 주식회사 레스콘 식판 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746B2 (ja) 1995-05-30 2000-10-30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半導体遅延装置
KR101431773B1 (ko) 2014-03-26 2014-08-20 주식회사 레스콘 식판 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606B1 (ko) 그릇과 식판을 분리세척하는 식기세척자동화시스템
US8292096B2 (en) Spice rack for mini spice containers
CN108552992B (zh) 节省占用空间且带有离心旋转筷子速干功能的碗筷沥干架
PL2117969T3 (pl) Regał magazynowy
CN210823912U (zh) 一种药品库房用智能储药装置
KR101327580B1 (ko) 식기세척기 자동화시스템
EP2600757B1 (en) Dishwasher
KR101722587B1 (ko) 바스켓을 구비한 식판회수시스템
US1730345A (en) Supply holder for kitchen tables
KR200477139Y1 (ko) 식기세척자동시스템용 식판그릇분리장치
KR101547518B1 (ko) 식기세척용 경사이송부를 갖는 식판그릇분리장치에 구비된 식판이송부
CN105832209A (zh) 厨房蔬菜放置架
JP2016132464A (ja) 綿棒取出し装置
CN212855856U (zh) 一种便于收纳的教学实验桌
CN211544764U (zh) 一种导电产品贮存装置
CN215193321U (zh) 一种用于临床的护理架
KR200399995Y1 (ko) 실험기기 보관장
KR101540104B1 (ko) 회전식 금 추출장치
CN215015149U (zh) 一种中央厨房专用物品存储装置
KR101327668B1 (ko) 식기세척기용 식판자동투입장치
CN214932882U (zh) 一种餐饮用多结构易清洁的厨房收残台
US9358592B2 (en) Mobile sanitary wash system and apparatus
CN219127166U (zh) 一种护理用品存放箱
CN210960729U (zh) 一种浴室摆放物品支架
CN209846478U (zh) 旋转搁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