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69B1 - 위생 박엽지 롤 - Google Patents

위생 박엽지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69B1
KR101536369B1 KR1020107007001A KR20107007001A KR101536369B1 KR 101536369 B1 KR101536369 B1 KR 101536369B1 KR 1020107007001 A KR1020107007001 A KR 1020107007001A KR 20107007001 A KR20107007001 A KR 20107007001A KR 101536369 B1 KR101536369 B1 KR 10153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heet
hygienic
foil pap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533A (ko
Inventor
타카시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6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위생 박엽지 롤의 말린 자국을 저감시킨다.
롤을 구성하는 시트를 2플라이 이상으로 하고,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을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보다 작게 하고,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를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보다 크게 한 위생 박엽지 롤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위생 박엽지 롤{SANITARY TISSUE PAPER ROLL}
본 발명은 2장 이상의 위생 박엽지가 겹쳐져 있는 시트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인 심에 감겨 있는 위생 박엽지 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생 박엽지 롤은 가정용이나 업무용 키친롤이나 페이퍼롤, 기계 설비나 기구를 닦아내기 위한 롤 모양으로 감긴 와이프나 웨이스트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길이가 긴 시트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의 지관 등으로 만들어지는 심에 감긴 구조를 이룬다.
키친롤을 예로 들면, 시트(심)의 폭은 대략 220∼280㎜이고, 심의 외경은 30∼50㎜가 된다. 시트의 롤 길이는 10∼13m이며, 시트를 심에 감는 것에 의해 외경 90∼130㎜가 된다.
이 키친롤로 대표되는 위생 박엽지 롤에서는 보통 한쪽 손으로 롤을 쥐고 다른 쪽 손으로 롤에서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풀어내어 절단해 사용하기 때문에, 이 사용시에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보통 시트의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시트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요리 도중 등 손이 젖어 있거나 더러워져 있거나 한 경우에는 위생 박엽지 롤을 키친대 등의 받침대에 세로로 세워두고(시트 폭방향이 수직 방향을 향하게 배치하는 방법) 한쪽 손측의 팔꿈치 등으로 롤의 상면(단면)을 누르고 다른 쪽 손으로 롤에서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풀어내어 절단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6-38895호
그러나 종래의 위생 박엽지 롤은 상기 서술한 것처럼 사용할 때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당겨 절단하면, 절단한 시트에 말린 자국이 남은 상태가 되어 시트가 잘 평탄해지지 않아, 이른바 컬 상태가 되어 사용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사용할 때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당겨 절단해서 얻어지는 절단한 시트의 말린 자국이 작고 평탄해지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위생 박엽지 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2장 이상의 위생 박엽지가 겹쳐져 있는 시트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의 심에 감겨 있는 위생 박엽지 롤로서,
상기 시트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이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보다 작고, 또한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가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이 모두 10∼50g/㎡의 범위에 있고,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가 모두 100∼250kg/㎥의 범위에 있고,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의 값 D가 0.6≤D≤1.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박엽지 롤.
(주된 작용 효과)
시트의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을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보다 작게 함과 동시에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를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말린 자국이 작고 절단 후의 시트가 평탄해지기 쉬우므로 사용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란, 시트를 구성하는 위생 박엽지 중 심에 시트를 감을 때 항상 가장 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를 말하며, 반대로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란, 시트를 구성하는 위생 박엽지 중 심에 시트를 감을 때 항상 가장 심측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를 말한다. 따라서, 2겹(2플라이라고도 불린다)인 경우에는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와 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가 같은 의미이며,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와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가 같은 의미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밀도란 미터평량을 1장분의 위생 박엽지의 두께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이다.
또 상기 수치 범위로 하면, 말린 자국이 잘 생기지 않아 절단 후에 평탄해지기 쉬운 효과가 현저해져,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에 있어서,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의 값 B가 1.3≤B의 범위에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롤.
(주된 작용 효과)
상기 수치 범위로 하면, 말린 자국이 잘 생기지 않아 절단 후에 평탄해지기 쉬운 효과가 더욱 현저해져, 매우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시트는 그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시트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이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롤.
(주된 작용 효과)
사용시 절단이 쉬워진다. 또, 컬되기 어려운 적당한 길이를 절단 위치로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시트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되는 위생 박엽지에 수분을 도포 또는 살포한 후, 그것보다 두루마리 내면 쪽에 위치되는 복수 또는 단수의 위생 박엽지를 겹쳐 제조된 것인,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생 박엽지 롤.
(주된 작용 효과)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를 다른 위생 박엽지와 겹친 후에 또는 겹쳐짐과 동시에 그 수분이 증발하여 축소가 생기기 때문에, 말린 자국이 더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 기름이 뒤로 잘 배어 나오지 않아 예를 들어 유분 제거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생 박엽지 롤을 필요한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풀어내어 절단해 사용할 때에도 말린 자국이 작아 평탄해지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위생 박엽지 롤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형태의 키친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형태의 키친롤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형태의 풀어낸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말린 자국의 평가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위생 박엽지 롤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키친롤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위생 박엽지 롤이란 키친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가 긴 위생 박엽지가 심에 감겨 롤 형상으로 된 것이고, 위생 박엽지란 쓰고 버리는 박엽지를 말하며, 예를 들어 냅킨 및 화장지, 화장실용 휴지, 티슈 페이퍼, 키친 페이퍼, 페이퍼 타올, 키친 타올, 지제(紙製) 와이프, 지제 웨이스트 등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본 실시의 형태의 천공선을 넣은 키친롤(10)을 나타낸다. 이 키친롤(10)은 띠 모양의 시트(1a)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의 지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심(2)에 감겨져 롤 형상으로 된 것이다.
상기 심(2)은 기존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면, 그 외경(L)은 30∼50㎜, 폭(H)은 100∼183㎜ 정도다.
한편, 본 형태에서 시트(1a)의 롤 길이는 일반적인 길이인 10∼13m로 할 수 있고, 상기 심(2)을 이용한 경우에는 키친롤(10)의 외경은 90∼130㎜가 된다. 이것은 시판되는 키친롤의 일반적인 크기이다.
또한 본 형태의 시트(1a)는 특징적으로 2장의 키친 페이퍼가 겹쳐진 이른바 2플라이 구조로 되어 있으며, 두루마리 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A)의 미터평량이 두루마리 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B)의 미터평량보다 작고, 또한 두루마리 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A)의 밀도가 두루마리 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B)의 밀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시트(1a)는 2플라이 이상이면 되고, 따라서 3플라이 이상의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가 바람직하게 발현되기 쉬운 것은 2플라이 또는 3플라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플라이에서 효과가 현저해진다.
3플라이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A)와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B) 사이의 중간층 위생 용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는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 및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각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 사이의 수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본 형태의 키친롤(10)에서는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A)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B)의 미터평량은 모두 10∼50g/㎡의 범위로 되어 있다. 10g/㎡ 미만이면 강도가 떨어져 실제로 사용할 때 찢어지는 원인이 되고, 50g/㎡를 넘으면 너무 단단해져 사용할 때 잘 접히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A)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B)의 밀도는 모두 100∼250kg/㎥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100kg/㎥ 미만이면 강도가 떨어져 실제로 사용할 때 찢어지는 원인이 되고, 250kg/㎥를 넘으면 너무 단단해져 사용할 때 잘 접히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형태의 키친롤(10)에서는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의 값 D가 0.6≤D≤1.0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값 D가 0.6 미만이면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와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간의 감기 작업에 의한 텐션 차가 커져, 가공할 때 균일하게 감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값 D가 1.0을 넘으면 컬이 커진다.
또 본 형태의 키친롤(10)에서는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의 값 B가 1.3≤B의 범위에 있는 것이 좋다. B의 값이 1.3 미만이면 컬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작아진다. 컬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가장 많이 기대할 수 있는 것은 값 D와 값 B가 모두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이다.
한편, 본 형태의 키친롤(10)에서의 시트(1a)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되는 위생 박엽지(A)에 물을 도포 또는 살포한 후에 그것보다 두루마리 내면 쪽에 위치되는 복수 또는 단수의 위생 박엽지를 겹쳐서 제조된 것이 좋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A)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다른 위생 박엽지와 겹치는 것이 좋다. 이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A)의 물도포등량에 대해서는 위생 박엽지(A) 1장의 중량에 대해 3∼6% 정도가 좋고, 적어도 겹치는 것에 의해 인접한 위생 박엽지에 수분을 공급하여 인접하는 위생 박엽지와의 수분량 차가 없어지는 사태를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도포량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시트(1a)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A)를 다른 위생 박엽지와 겹쳤을 때 또는 겹친 후 등 후단에 있어서 그 수분이 증발해 축소가 생겨 말린 자국이 잘 생기지 않게 된다. 게다가 특히 키친롤로 한 경우에는 기름이 뒤로 잘 배어 나오지 않아, 예를 들어 튀김의 과잉한 유분의 흡수를 위해서나 부엌 주위의 더러움을 닦아내는데 특히 적합한 키친롤에 요구되는 특성이 우수해진다.
한편, 특히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시트(1a)는 시트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M)마다 시트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1b)을 가진다. 이 천공선(1b, 1b …)에 의해 시트(1a)를 절단하기 쉽게 하고 있다. 소정 간격(M)은 48∼25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48㎜ 미만이면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너무 작아지고, 250㎜를 넘으면 식기 등과 비교해 커지는 점에서 사용하기 나쁘다.
상기 천공선(1b)은 기존의 퍼포레이션 롤(천공 날 롤) 설비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시트(1a)의 폭(H)보다 폭이 넓은 롤 위에 다수의 날을 폭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날 열을 형성하고, 이 날 열을 소정 간격(M)과 동일한 피치로 롤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형성한 퍼포레이션 롤을 회전시키면서 주행하는 시트(1a)에 맞대는 것에 의해 시트(1a)의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1b)을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M)마다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형태의 키친롤(10)은 도시한 예와 같이 천공선(1b)이 이중선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천공선(1b)이 이중선 이상이면 이 천공선(1b)으로부터 시트 선단 가장자리(1c)까지 떨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천공선(1b)이 이중선 이상이면 시트 길이방향으로 박엽지가 끊어질 우려가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천공선(1b)은 예를 들어 삼중선, 사중선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겹으로 할 수도 있다. 복수 겹의 천공선을 형성할 때에는 복수 겹의 적당한 날 열의 퍼포레이션 롤을 구비하는 퍼포레이션 롤 설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천공선(1b)은 시트 폭방향 전체에 걸쳐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시트(1a)의 측부만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천공선(1b)을 이중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76936호 등을 참고로 하여, 예를 들어 컷 부분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하거나 또는 한쪽 천공선의 컷 부분의 단부와 이 컷 부분의 단부에 가장 근접한 타방의 천공선의 컷 부분의 단부를 잇는 직선에 대해 천공선이 이루는 각을 직각 또는 예각으로 하거나 하여 절단의 용이화 등을 꾀할 수도 있다.
한편, 본 형태의 키친롤(10)은 적합하게는 천공선(1b)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0∼200cN(바람직하게는 40∼60cN)인 것이 좋다. 천공선(1b)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0cN 이상이면, 천공선(1b)의 간격을 짧게 함으로써 천공선(1b)이 증가했다고 해도 시트를 풀 때 천공선(1b)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분단은 확실히 방지된다. 한편, 천공선(1b)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200cN 이하이면 절단하고자 하는 원하는 천공선(1b)으로 확실하고 용이하게 시트(1a)를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장강도"란 JIS P 8113에 규정되는 인장특성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건조시 인장강도를 의미한다. 시트(1a) 자체, 즉 천공선(1b)이 없는 시트(1a)의 인장강도가 아니라 천공선(1b)이 있는 시트(1a)를 대상으로 하여 천공선(1b)에 걸쳐 측정한 인장강도를 의미한다.
이 천공선(1b)에서의 길이방향의 인장강도는 천공선(1b)에서의 접속부인 타이 길이와 그 분단부인 컷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또는 이 타이 길이와 컷 길이의 비율인 타이 컷비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타이 컷 길이 및 타이 컷비의 날 열을 구비한 퍼포레이션 롤로 교환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 이 인장강도의 조절은 퍼포레이션 롤을 시트(1a)에 누르는 가압선압(시트단위폭당 시트(1a)에 대한 가압력(kgf/cm))의 조절이나, 와인더 속도(시트(1a)의 감기 속도)의 조절에 의해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본 형태의 키친롤(10)은 시트(1a) 자체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에 대한, 천공선(1b)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1.0∼50%(바람직하게는 2.0∼10%)인 것이 적합하다. 인장강도의 비율이 50% 이하이면 천공선(1b)이 없는 시트 부분의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시트(1a)의 절단시에 천공선(1b) 이외의 시트 부분에서 시트(1a)가 분단되어 버리는 일이 억제되어 천공선(1b)으로 확실히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인장강도의 비율이 1.0% 이상이면 상대적으로 천공선(1b)의 인장강도가 높아지므로, 천공선(1b)의 간격을 짧게 함으로써 천공선(1b)이 증가했다고 해도 시트를 풀 때의 천공선(1b)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분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시트(1a) 자체의 길이방향의 인장강도도 상기 서술한 JIS P 8113에 규정되는 인장특성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물론 천공선(1b)이 없는 시트 부분의 건조시 인장강도다. 여기서 인장강도 비율의 조절은 상기 서술한 타이 컷비의 조절 등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천공선(1b)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를 10∼200cN으로 설정하고, 인장강도의 비율을 1.0∼50%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천공선(1b)의 타이 길이를 0.9∼2.5㎜로, 컷 길이를 0.9∼37.5㎜로 하고 동시에 타이 컷비(타이:컷)를 1:15∼1:1로 설정하면 된다.
한편, 본 형태의 키친롤(10)은 시트(1a) 자체에서의 시트 길이방향의 인장강도에 대한 시트 폭방향의 인장강도의 비율이 10∼80%(바람직하게는 10∼40%)인 것이 적합하다. 인장강도의 비율이 10∼80%이면 당해 시트(1a)의 섬유 배향성이 길이방향과 폭방향에서 적절하게 균형이 잡힌다.
따라서, 시트를 풀 때 가해지는 전단력에 대해 시트(1a)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어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잘 찢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천공선(1b)으로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어 시트(1a)는 사용하기 쉬운 상태로 분단된다.
이와 같이 인장강도의 비율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시트(1a) 자체의 인장 강도가 시트 길이방향에 있어서 200∼2200cN(바람직하게는 1000∼2000cN), 시트 폭방향에 있어서 100∼800cN(바람직하게는 300∼600cN)인 것이 적합하다.
시트(1a) 자체의 인장 강도가 시트 길이방향에 있어서 200cN 미만이면 지력(紙力)이 낮기 때문에 시트를 풀 때 찢어지거나 물에 젖었을 때 찢어지거나 한다. 한편 시트(1a) 자체의 인장 강도가 시트 길이방향에 있어서 2200cN을 넘으면 지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시트에 유연성이 없어져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또한 시트(1a) 자체의 인장 강도가 시트 폭방향에 있어서 100cN 미만이면 지력이 낮기 때문에 시트를 풀 때 찢어지거나 물에 젖었을 때 찢어지거나 한다. 한편 시트(1a) 자체의 인장 강도가 시트 폭방향에 있어서 800cN을 넘으면 지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시트에 유연성이 없어져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여기서 말하는 "인장강도"도 JIS P 8113에 규정되는 인장특성시험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것이며, 천공선(1b)이 없는 시트 부분(1a)의 건조시 인장강도다.
이러한 인장강도의 비율은 초지공정 펄프함유액의 속도/와이어 속도의 비(J/W비)를 조절하고 적절하게 길이방향으로 배향한 섬유의 양을 폭방향으로 배향한 섬유의 양보다 많게 하거나 하여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1a)의 원료가 되는 펄프 섬유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펄프 섬유, 예를 들어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합성 펄프, 고지 펄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쇄목 펄프(GP), 스톤 그라운드 펄프(SGP), 리파이너 그라운드 펄프(RGP), 가압식 쇄목 펄프(PGW), 서모 메카니컬 펄프(TMP), 케미서모 메카니컬 펄프(CTMP), 블리치드 케미서모 메카니컬 펄프(BCTMP) 등의 기계 펄프(MP), 화학적 기계 펄프(CGP), 반화학적 펄프(SC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등의 크라프트 펄프(KP), 소다 펄프(AP), 아황산염 펄프(SP), 용해 펄프(DP) 등의 화학적 펄프(CP),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을 원료로 하는 합성 펄프, 탈잉크 펄프(DIP), 웨스트 펄프(WP) 등의 고지 펄프, 찌꺼기 펄프(TP), 목면, 아마, 삼, 황마, 마닐라삼, 모시풀 등을 원료로 하는 넝마 펄프, 짚 펄프, 에스파르토 펄프, 바가스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의 경간 펄프, 인피 펄프 등의 보조 펄프 등에서 1종 또는 몇 종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단, NBKP 및 LBKP가 질량비로 100:0∼40:60인 원료 펄프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NBKP를 이용함으로 인한 강도 향상과 LBKP를 이용함으로 인한 유연성 향상을 양립시킨 시트(1a)가 된다. 이로 인해 시트(1a)의 부드러움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시트를 풀 때의 천공선(1b)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분단이 억제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위생 박엽지 롤의 말린 자국에 대해 시험하고 평가한 결과를 아래에 나타낸다.
<시험방법>
시험방법의 순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장의 위생 박엽지에 대해, 약 20cm 떨어진 위치에서 스프레이 풀(고쿠요 S&T 주식회사 제품 "TY-LAS22N")을 위생 박엽지의 한 쪽 면 전체에 균일하게 3초간 분무한다. 그 후, 서로의 길이방향·폭방향이 일치하도록 다른 위생 박엽지 1장을 붙여 2장이 겹쳐진 시트(11)를 구성했다(이하, 간단히 시트라고 한다).
이어서 이 시트를 도 4(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cm(폭방향)×20cm(길이방향)로 재단하여 직경 1.2cm, 길이 30cm인 스테인리스제 파이프(13)에 감는다. 그 때, KOKUYO 제품 "멘딩테이프 T-118(18㎜×35m)"(14)을 18㎜×6㎜의 크기로 잘라 감기 시작 부분을 파이프에 고정한다. 그리고 감기 종료 부분(이른바 테일 부분)도 감은 것이 풀리지 않도록 상기 멘딩테이프(14)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한다.
이 감은 상태로 항온항습실(온도: 20℃, 습도: 50%)에 24시간 안치하고, 안치한 후에 감기 종료 부분의 고정을 푼 다음 연직방향에서 감기 시작 부분이 상측, 감기 종료 부분이 하측이 되도록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한다.
이어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일 부분의 멘딩테이프(14)를 벗겨 감기를 해제하고, 파이프를 그 축심 방향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여, 시트(11)의 파이프(13)에 접착되지 않은 쪽의 테일단이 최하방이 되는 일단 늘인 후, 곧바로 이 늘인 것을 해제한다.
그 늘인 것을 해제한 후에 시트(11)의 파이프측 단부로부터 시트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까지의 거리 R을 측정한다. R의 값이 클수록 말린 자국이 작고, R의 값이 작을수록 말린 자국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시험을 두루마리 외면 및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를 변경하여 작성한 각종 시트에 대해 실시했다. 각 시트에서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와 상기 값 D 및 값 B에 대해서는 평가와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험의 평가는 "매우 좋다(R≥10cm, ◎)", "좋다(7≤R<10cm, ○)", "약간 나쁘다(4.5≤R<7cm, △)", "나쁘다(R<4.5cm, ×)"의 4 단계로 했다.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밀도
22g/㎡,
220kg/㎥
26g/㎡,
173kg/㎥
24g/㎡,
170kg/㎥
33g/㎡,
165kg/㎥
22g/㎡,
165kg/㎥
32g/㎡,
133kg/㎥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밀도


22g/㎡,
220kg/㎥
D=1.7
B=0.7
D/B=2.4
△(R=3cm)
D=1.3
B=0.8
D/B=1.6
×(R=2.5cm)
D=1.3
B=0.8
D/B=1.6
△(R=6.5cm)
D=1.3
B=1.0
D/B=1.3
×(R=1.5cm)
D=1.3
B=1.0
D/B=1.3
△(R=5.5cm)

26g/㎡,
173kg/㎥
D=0.8
B=1.2
D/B=0.7
○(R=7.0cm)
D=1.7
B=0.7
D/B=2.4
△(R=5.5cm)
D=1.3
B=0.8
D/B=1.6
△(R=6.5cm)
D=1.3
B=0.8
D/B=1.6
×(R=1.5cm)
D=1.3
B=1.0
D/B=1.3
×(R=3.0cm)

24g/㎡,
170kg/㎥
D=0.8
B=1.1
D/B=0.7
○(R=7.5cm)
D=1.0
B=0.9
D/B=1.1
○(R=8.0cm)
D=1.7
B=0.7
D/B=2.4
△(R=6.0cm)
D=1.3
B=0.8
D/B=1.6
×(R=3.5cm)
D=1.3
B=1.0
D/B=1.3
△(R=4.5cm)

33g/㎡,
165kg/㎥
D=0.8
B=1.5
D/B=0.5
◎(R=10.0cm)
D=1.0
B=1.3
D/B=0.8
◎(R=10.0cm)
D=1.0
B=1.4
D/B=0.7
◎(R=12.5cm)
D=1.3
B=0.8
D/B=1.6
△(R=5.5cm)
D=1.3
B=1.0
D/B=1.3
×(R=3.0)
22g/㎡,
165kg/㎥
D=0.8
B=1.0
D/B=0.8
○(R=9.5cm)
D=1.0
B=0.9
D/B=1.1
○(R=9.0cm)
D=1.0
B=0.9
D/B=1.1
○(R=9.0cm)
D=1.0
B=0.7
D/B=1.4
○(R=7.5cm)
D=1.3
B=1.0
D/B=1.3
×(R=2.0cm)
32g/㎡,
133kg/㎥
D=0.6
B=1.5
D/B=0.4
◎(R=18.0cm)
D=0.8
B=1.2
D/B=0.7
○(R=8.5cm)
D=0.8
B=1.3
D/B=0.6
◎(R=10.0cm)
D=0.8
B=1.0
D/B=0.8
○(R=8.0cm)
D=0.8
B=1.5
D/B=0.5
◎(R=11.0cm)
시험 결과, 시트의 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가 상기 시트의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밀도에 대해, 미터평량에서는 작고 밀도에서는 크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고, 특히 상기 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 및 상기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이 10∼50g/㎡, 상기 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 및 상기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가 100∼250kg/㎥이며,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의 값 D가 0.6≤D≤1.0, 상기 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과 상기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에 있어서의 (두루마리 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두루마리 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의 값 B가 1.3≤B인 경우에 평가가 현저하게 양호해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위생 박엽지 롤에 의하면 말린 자국의 저하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2장 이상 겹친 시트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의 심에 감기고 상기 시트가 시트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시트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을 가지는 위생 박엽지 롤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1a…시트 1b…천공선
1c…시트 선단 가장자리 2…심
10…키친롤 10A…상면
11…시료 13…파이프
14…멘딩테이프 20H…시트의 폭
A…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B…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
L…심의 외경 M…소정 간격
R…파이프 감기후 시료가 늘어지는 길이

Claims (5)

  1. 2장 이상의 위생 박엽지가 겹쳐져 있는 시트가 이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폭의 심에 감겨 있는 위생 박엽지 롤로서,
    상기 시트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이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보다 작고, 또한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가 두루마리 최내면에 위치하는 위생 박엽지의 밀도보다 크고,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이 모두 10∼50g/㎡의 범위에 있고,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가 모두 100∼250kg/㎥의 범위에 있고,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밀도)의 값 D가 0.6≤D≤1.0의 범위에 있는 위생 박엽지 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 및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에 있어서,
    (두루마리 최내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두루마리 최외면의 위생 박엽지의 미터평량)의 값 B가 1.3≤B의 범위에 있는 위생 박엽지 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그 길이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시트 폭방향에 걸쳐 천공선이 형성되어 있는 위생 박엽지 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되는 위생 박엽지에 수분을 도포 또는 살포한 후, 그것보다 두루마리 내면 쪽에 위치되는 복수 또는 단수의 위생 박엽지를 겹쳐 제조된 위생 박엽지 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두루마리 최외면에 위치되는 위생 박엽지에 수분을 도포 또는 살포한 후, 그것보다 두루마리 내면 쪽에 위치되는 복수 또는 단수의 위생 박엽지를 겹쳐 제조된 위생 박엽지 롤.
KR1020107007001A 2007-08-31 2008-08-26 위생 박엽지 롤 KR101536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5577 2007-08-31
JP2007225577A JP4429345B2 (ja) 2007-08-31 2007-08-31 衛生薄葉紙ロール
PCT/JP2008/065194 WO2009028500A1 (ja) 2007-08-31 2008-08-26 衛生薄葉紙ロ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33A KR20100066533A (ko) 2010-06-17
KR101536369B1 true KR101536369B1 (ko) 2015-07-13

Family

ID=4038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001A KR101536369B1 (ko) 2007-08-31 2008-08-26 위생 박엽지 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5908B2 (ko)
EP (1) EP2196122B1 (ko)
JP (1) JP4429345B2 (ko)
KR (1) KR101536369B1 (ko)
CN (1) CN101790338B (ko)
WO (1) WO2009028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8503B2 (ja) * 2009-12-11 2014-01-29 大王製紙株式会社 キッチンペーパー及びキッチンペーパー製品
US9918595B2 (en) 2015-05-26 2018-03-20 Gpcp Ip Holdings Llc Partitionable paper towel
JP2017104499A (ja) * 2016-09-29 2017-06-15 大王製紙株式会社 キッチンペーパーロール
EP3592317A1 (en) * 2017-03-10 2020-01-1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Coreless roll of absorbent tissue web
JP7224152B2 (ja) * 2018-11-19 2023-02-17 旭化成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調理用巻回シート
JP6866944B1 (ja) * 2020-03-03 2021-04-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衛生薄葉紙用二次原反ロ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064U (ko) * 1997-06-02 1999-01-15 송용범 화장실용 다겹 화장지
JPH11244188A (ja) * 1998-03-05 1999-09-14 Shoei Shokai:Kk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03061861A (ja) * 2001-08-29 2003-03-04 Daio Paper Corp ミシン目付き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
JP2006087703A (ja) * 2004-09-24 2006-04-06 Oji Nepia Kk ロール状トイレットペーパ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52157A (en) * 1975-05-05 1979-04-10 Thomas J. Flautt (Jr.) Two-ply tissue product
JP3163770B2 (ja) * 1992-07-22 2001-05-08 王子製紙株式会社 拭き布の製造方法
NZ255759A (en) * 1992-08-27 1997-02-24 Procter & Gamble Tissue papers treated with non-ionic surfactant softeners (sorbitan esters)
US5906711A (en) * 1996-05-23 1999-05-25 Procter & Gamble Co. Multiple ply tissue paper having two or more plies with different discrete regions
PT1325982E (pt) * 2001-12-27 2007-05-31 Georgia Pacific France Folha de papel gofrada
JP2003276936A (ja) * 2002-03-26 2003-10-02 Daio Paper Corp シートロール
JP2004209082A (ja) * 2003-01-07 2004-07-29 Daio Paper Corp 衛生薄葉紙および衛生薄葉紙ロール
US20060071119A1 (en) * 2004-09-27 2006-04-06 Zeitlin Eric S Rolled sheet material dispenser with improved brake mechanism
JP4833622B2 (ja) * 2005-06-16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US20090117331A1 (en) * 2007-11-05 2009-05-07 Joshua Thomas Fung Textured Multi-Ply Sanitary Paper Product Having Optimized Emboss Patterns
US20090155512A1 (en) * 2007-12-13 2009-06-18 Tsutama Satake Neto Rolls of material providing one-handed dispensing of sheets of pre-determined length
CA2725378C (en) * 2008-05-27 2016-11-22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Ultra premium bath tiss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064U (ko) * 1997-06-02 1999-01-15 송용범 화장실용 다겹 화장지
JPH11244188A (ja) * 1998-03-05 1999-09-14 Shoei Shokai:Kk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2003061861A (ja) * 2001-08-29 2003-03-04 Daio Paper Corp ミシン目付き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
JP2006087703A (ja) * 2004-09-24 2006-04-06 Oji Nepia Kk ロール状トイレットペー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33A (ko) 2010-06-17
WO2009028500A1 (ja) 2009-03-05
EP2196122A4 (en) 2014-10-08
US8695908B2 (en) 2014-04-15
JP4429345B2 (ja) 2010-03-10
CN101790338B (zh) 2011-12-14
EP2196122A1 (en) 2010-06-16
JP2009056089A (ja) 2009-03-19
EP2196122B1 (en) 2016-03-23
CN101790338A (zh) 2010-07-28
US20100163664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369B1 (ko) 위생 박엽지 롤
JP5951823B2 (ja) 保湿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KR20130018263A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JP2003061861A (ja) ミシン目付き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
JP5016010B2 (ja) 衛生薄葉紙ロール
JP5248763B2 (ja) キッチンロール
JP2009056089A5 (ko)
JP2022009330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4676552B1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
JP6794707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20130187A (ko) 티슈페이퍼 제품용 2차 원단 롤의 제조방법 및 티슈페이퍼 제품의 제조방법
EA018590B1 (ru) Рулон из листов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типа туалетной бумаги
JP4332330B2 (ja) ラミネート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66944B1 (ja) 衛生薄葉紙用二次原反ロール
JP2018153482A (ja) ロール状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5833295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6795117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
JP6866943B1 (ja) 衛生薄葉紙用二次原反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衛生薄葉紙ロールの製造方法
JP7140213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
JP2023136404A (ja) トイレットロール
JP2022068590A (ja) トイレットロール
JP5766938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5833294B2 (ja) 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JP201113615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