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47B1 - 내부 빛 조명 구조물 - Google Patents

내부 빛 조명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47B1
KR101529847B1 KR1020147019602A KR20147019602A KR101529847B1 KR 101529847 B1 KR101529847 B1 KR 101529847B1 KR 1020147019602 A KR1020147019602 A KR 1020147019602A KR 20147019602 A KR20147019602 A KR 20147019602A KR 101529847 B1 KR101529847 B1 KR 101529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un visor
switch
turn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371A (ko
Inventor
켄타로 나가이
하루히토 오츠카
료헤이 오챠이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generating luminous strips, e.g. for marking trim component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52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 자체로 수동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소등하는 것을 잊더라도 켜져 있지 않으며, 단순한 구조를 가져서 고장이 잘 나지 않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은,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선 바이저(10),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수납 위치에 수납된 선 바이저(10)에 의해 덮이는 룸 램프(20), 및 룸 램프 (20) 위 또는 룸 램프(2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룸 램프 점등/소등 스위치(렌즈)(20L)를 포함하고; 스위치(20L)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렌즈(20L)가 온 위치(경사 자세)(20n)에 있는 경우, 선 바이저(10)가 상기 수납 위치에 수납되면, 선 바이저(10)가 렌즈(20L)를 온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수평 자세)(20h)로 물리적으로 구동한다.

Description

내부 빛 조명 구조물{INTERIOR LIGHT ILLUM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점등 상태의 자동차용 룸 램프가 선 바이저(sun visor)의 수납 시 소등되도록 하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의해 점등/소등될 수 있고 선 바이저의 수납 시 신뢰성 있게 소등될 수 있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에서의 조명 장치로서, 종래에는 맵 램프와 배니티(vanity) 램프가 있다. 맵 램프는 계기판의 차폭 방향 중심 위의 차량 루프부(roof portion)에 설치된다. 반면, 배니티 램프는 선 바이저의 뒷면 상에 부착된다. 서로 독립적으로 부착되는 맵 램프와 배니티 램프는 이후에, 공용되는 하나의 룸 램프로 교체된다. 상기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은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1)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수납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 상기 선 바이저의 수납 시 상기 룸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되고; 상기 선 바이저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된다(특허 문헌 1 참조).
(2)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수납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 상기 선 바이저의 사용 시 상기 룸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배니티 램프로 사용되고; 상기 선 바이저의 수납 시 상기 룸 램프가 맵 램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3)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본체에 부착되는 형태(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장단점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수납 위치에 배치된다.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면, 룸 램프의 스위치가 선 바이저의 일 단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룸 램프의 소등 상태가 유지된다. 선 바이저 사용 시, 선 바이저를 수납 위치로부터 꺼냄에 따라, 선 바이저의 일 단부에서 가압되던 룸 램프의 스위치가 해제되며, 룸 램프가 점등되어, 차량의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룸 램프는 선 바이저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점등/소등되므로 편리하다. 반면에, 룸 램프 자체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없다(문제점 A). 게다가, 선 바이저가 위로 이동하면, 상기 룸 램프는 다시 점등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의 장단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수납 위치에 배치된다.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면, 룸 램프의 스위치가 선 바이저의 일 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룸 램프가 소등된다. 선 바이저 사용 시, 선 바이저를 수납 위치로부터 꺼냄에 따라, 선 바이저의 일 단부에서 가압되던 룸 램프의 스위치가 해제되며, 룸 램프가 점등되어, 차량의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선 바이저에 관통구(through port) 및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경우, 그와 동시에 상기 관통구가 열리고, 스위치가 닫히게 되어, 룸 램프가 자동으로 점등되고, 빛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여 상기 관통구를 닫는 경우,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함에 따라, 스위치가 열려서, 룸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된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룸 램프는 선 바이저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점등/소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러나 개방구가 선 바이저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선 바이저가 복잡해진다. 선 바이저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고장이 나기 쉽고 비용이 상승한다(문제점 B).
또한,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룸 램프를 점등/소등시키는 대신에, 별도로 제공된 스위치를 이용해서 룸 램프를 점등/소등함으로써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음에도, 룸 램프가 선 바이저와 슬라이드에 의해 숨겨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숨겨진 룸 램프의 소등을 잊어 룸 램프가 계속 켜져 있을 수 있다(문제점 C).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발명의 장단점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룸 램프가 선 바이저의 몸체에 부착된다. 그 결과, 조작성이 양호하고 사용자가 룸 램프가 켜져 있음을 잊을 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 선 바이저의 암부(arm portion)에 전기 회로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장이 나기가 쉽다. 또한, 가격이 상승한다(문제점 B).
특허 문헌 1: JP-UM-A-1-123715 특허 문헌 2: JP-A-2009-161143 특허 문헌 3: JP-A-6-127272
본 발명의 목적은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상기 룸 램프는 그 자체로 수동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룸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며, 선 바이저 암부에 전기 회로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그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특허 출원의 제 1 발명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제 1 발명은,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선 바이저,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수납 위치에 수납된 선 바이저에 의해 덮이는 룸 램프, 및 룸 램프 위 또는 룸 램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룸 램프를 점등/소등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스위치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고;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고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된 경우, 스위치는 선 바이저에 의해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한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시소 스위치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고; 선 바이저 상에 돌기가 배치되고;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는 경우, 돌기는 스위치를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관한 것으로, 선 바이저의 단부 측을 지지하는 후크가 스위치와 동일한 케이스에 일체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에 있어서, 램프는 그 자체로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고, 사용자가 램프를 소등하는 것을 잊지 않을 것이며, 선 바이저부에 전기 회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구조가 단순해서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단 스위치가 꺼지게 되면, 상기 룸 램프가 다시 점등될 수 없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램프의 점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오프(off) 상태의 램프가 수동으로 점등될 때까지의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대응하는 세 단계의 조작을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램프의 소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온(on) 상태의 램프가 선 바이저에 의해 소등될 때까지의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대응하는 세 단계의 조작을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램프를 좀더 확실하게 소등하기 위한 실시예 2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도 3b는 도 2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리버스(reversed) 타입의 램프가 소등 시 실시예 3에 대한 온/오프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온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4b는 도 3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오프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4d는 도 3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스위치가 별도로 배치된 형태의 램프(실시예 4)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실시예 4에 대한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실시예 4에 대한 램프의 장식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램프의 장식부의 이면의 기능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c는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4에 따른 스위치 노브(knob)의 동작을 도시한, 도 6a의 VII-V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선 바이저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 및 스위치 겸용으로 사용되는 램프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실시예 5에 따른 선 바이저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 및 스위치 겸용으로 사용되는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도 8의 IX(A)-IX(A)에 따른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9b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의 스위치가 스위치-오프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9c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가 스위치-온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 및 선 바이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a는 후크에 걸린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후크에 맞물린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실시예 6에서, 후크와 맞물리는 선 바이저에 의한 온/오프 동작에 따른 리버스 타입의 램프를 소등하는 원리를 도시한다. 도 11a는 후크와 맞물린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후크와 맞물린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11d는 도 11c의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에 공지된 램프와 본 발명에서 채택한 선 바이저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로이다. 도 12a는 상기 선 바이저가 사용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b는 상기 선 바이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서 채택한 스위치 겸용의 램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루프부 하우징에 부착된 램프의 사선 하부로부터 바라본 사투상도, 도 13b는 램프가 루프 상에 부착되는 경우, 운전자가 바라보았을 때 램프가 측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c는 램프가 루프에 부착된 경우 운전자가 바라보았을 때 수직으로 램프가 배치된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서 채택한 스위치 겸용인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4a는 도 13a의 XIV(A)-XIV(A)에 따른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의 스위치가 스위치-오프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14c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의 스위치가 스위치-온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이하에서는 램프 자체를 수동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가 램프 소등을 잊어버리지 않게 되며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램프와 선 바이저의 위치 관계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 공지의 램프와 본 발명이 채택한 선 바이저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a는 상기 선 바이저가 사용 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b는 상기 선 바이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선 바이저(10)는 회전식 지지부(10H)를 통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루프부 하우징(50)에 부착된다.
도 12a에 도시된 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선 바이저(10)가 회전 지지부(10H)에 대해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램프 부착 위치(10S)가 개방되어 운전자가 이를 볼 수 있게 되어 상기 램프가 수동으로 점등/소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램프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선 바이저(10)는 도 12a에 도시된 화살표 F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식 지지부(10H)에 대해 상측으로 회전하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된다. 램프 부착 위치(10S)는 선 바이저(10)에 가려져서 램프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택한 스위치 겸용 램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채택된 램프가 설명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에서 채택한 스위치 겸용 램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루프부 하우징에 부착된 램프의 사선 하부로부터 바라본 사투상도이다. 도 13b는 램프가 루프에 부착된 경우, 운전자로부터 바라본, 램프가 횡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c는 램프가 루프에 부착된 경우, 운전자로부터 바라본, 램프가 종 방향으로 배치된 동작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서 채택한 스위치 겸용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4a는 도 13a의 XIV(A)-XIV(A)에 따른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스위치 겸용 램프(이하에서는 스위치 기능을 설명할 경우에는 "스위치", 램프 기능을 설명할 경우에는 "램프" 만이 사용된다)의 스위치가 스위치-오프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14c는 스위치 겸용 램프의 스위치가 스위치-온 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램프(20)는 중심에서 축(20J)(도 13b 참조) 주위로 수평 자세와 경사 자세 간의 시소 운동으로 인해 스위치 기능을 갖는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가 수평 자세(20h)에 있는 경우, 램프(20)는 소등(램프(20)가 오프)되고,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가 경사 자세(20n)에 있는 경우, 램프(20)는 점등(램프(20)가 온)된다.
물론, 반대로 동작하는 램프가 있다. 즉, 램프(20)가 수평 자세(20h)에 있는 경우, 램프(20)는 점등(램프가 온)되고, 램프(20)가 경사 자세(20n)에 있는 경우에, 램프(20)는 소등(램프(20)가 오프)된다(도 4a 내지 도 4d 참조).
또한, 램프(20)는 다음의 타입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에 횡 방향으로 배치된 타입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에 종 방향으로 배치된 타입. 이들 타입은 축(20J)(도 13b 참조)과 축(20J')(도 13c)을 각각 중심으로 하여 수평 자세 및 경사 자세 사이에서 시소 운동을 한다.
도 13a에 도시된 램프(2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 자세이기 때문에(도 14b 참조) 램프(20)가 소등된다. 수평 자세의 램프(20)의 단부를 손가락 끝으로 가볍게 터치하여 루프 측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램프(20)가 경사 상태(도 14c)가 되고 점등된다.
도 14a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L) 측이 하방을 향하고 하우징 단부(20K)가 루프부 하우징(50)에 형성된 개구로 삽입됨에 따라 램프(20)가 고정된다. 렌즈(20L)의 배면 측에, 전구(bulb)(20V)가 램프 점등 회로를 구비하는 기능부(20S)(도 6b 참조)와 함께 배치된다. 여기서, 렌즈(20L)는 스위치 기능을 갖고 축에 대해서 시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선 바이저에 의한 램프의 소등 동작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램프의 점등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오프 상태의 램프가 수동으로 점등될 때까지의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대응하는 세 단계의 조작을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a는 선 바이저(10)가 램프(20)를 덮는 경우(램프(20)가 오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b는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 중인 경우(램프(20)가 오프)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함에 따라, 렌즈(20L)가 노출되어 운전자가 렌즈를 수동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1c는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한 경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렌즈(20L)가 수동으로 가압되어 경사 상태가 되고 전구(20V)가 점등된다.
수동 조작에 의해 램프가 소등될 때까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는 램프(20)와 평행하고 램프(20)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시소 운동하는 렌즈(20L)는 선 바이저(10)에 의해 수평 자세(20h)가 되어 램프(20)가 오프 상태가 된다(도 14b 참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함에 따라, 렌즈(20L)는 시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되어 램프(20)가 수동으로 점등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로부터 선 바이저(10)의 후퇴한 후 램프(20)를 운전자가 볼 수 있고, 운전자는 손가락을 이용해 렌즈(20L)의 단부를 가압하여 렌즈(20L)가 경사 자세(20n)(도 14c 참조)가 되게 함에 따라, 전구(20V)가 점등되고 차량의 실내가 조명된다. 다음으로, 운전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렌즈(20L)의 반대편의 단부를 가압하여 수평 자세(20h)가 되게 하면(도 14b 참조), 전구(20V)가 소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선 바이저(10)는 수납 위치(도 1a 참조)와 작동 위치(도 1c 참조)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차량 루프부에 배치된다; 또한, 램프(20)는 선 바이저(10)가 수납 위치에 수납 시 선 바이저(10)에 의해 덮이는 위치에 배치되고, 선 바이저(10)가 시소 운동을 하는 램프(20)와 접촉하는 경우, 렌즈(20L)가 수평 자세가 되어, 램프(20)는 오프 상태가 된다.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렌즈(20L)를 운전자가 볼 수 있기 되어, 렌즈(20L)는 가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램프(20)를 수동으로 점등하고 수동으로 소등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의 문제점 A(즉,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램프의 경우 수동으로 램프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이 해소된다.
램프가 선 바이저에 의해 물리적으로 소등될 때까지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램프의 소등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온 상태의 램프가 선 바이저에 의해 소등될 때까지의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대응하는 세 단계의 조작을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분리되고 렌즈(20L)가 경사 자세(20n)가 되도록 수동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전구(20V)가 점등된다.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램프(20)를 수동으로 소등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선 바이저(10)가 수납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램프(20)로 접근하기 시작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온 상태의 램프(20)에 접근할 때, 경사 자세(ON)인 렌즈(20L)가 수평 자세(20h)가 되고, 전구(20V)가 소등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20L)가 온 위치(경사 자세)에 있을 때, 일단 선 바이저(10)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면(도 2c 참조), 선 바이저(10)로 인해, 렌즈(20L)가 물리적으로 온 위치(경사 자세)로부터 오프 위치(수평 자세)로 이동하고, 전구(20V)가 소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20L)를 가압함으로써 점등될 수 있기 때문에, 램프(20) 자체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 A가 해결될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문제점 B(즉, 특허 문헌 3에 따르면 선 바이저 암부에 전기 회로가 배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장이 발생하기 쉬우며 비용이 상승한다는 점) 또한 해소된다. 비용이 절감되고, 선 바이저(10)가 수납되기 때문에, 렌즈(20L)가 선 바이저(10)에 의해 오프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되어 종래 기술의 문제점 C(즉, 사용자가 램프의 소등을 잊을 수 있다는 점)이 해소된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램프에 사용되어, 상기 램프는 자유자재로 수동으로 점등/소등될 수 있고, 선 바이저(10)가 수납됨에 따라 상기 램프를 자동으로 소등할 수 있다.
램프(20)의 확실한 소등
도 3a 및 도 3b는 램프를 좀더 확실하게 소등하기 위한 실시예 2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1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c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도 1c에 대응하고 도 3b는 도 2c에 대응한다. 도 3에 도시된 선 바이저(10)는 선 바이저(10)의 뒷면 측(램프(2)의 렌즈(20L)와 마주보는 측)의 렌즈(20L)의 단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돌기(10T)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와 다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하고, 램프(20)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는 손가락을 이용해서 렌즈(20L)(즉, 스위치)의 단부를 가볍게 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손가락이 렌즈(20L의) 왼쪽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렌즈(20L)가 수평 자세로부터 경사 자세로 변경되고, 전구(20V)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가 램프(20)에 접근함에 따라, 선 바이저(10) 뒷면 측의 돌기(10T)가 렌즈(20L)의 우측 단부를 가압하고, 선 바이저(10) 및 렌즈(20L)가 수평 상태로 서로 접촉하기 전에, 전구(20V)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실히 소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램프에 채택되어, 상기 램프는 자유자재로 수동으로 점등/소등될 수 있다; 또한 선 바이저(10)가 수납되기 때문에 상기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온/오프 동작과 관련한 리버스 타입 램프의 소등
도 4a 내지 도 4d는 리버스 타입의 램프가 소등되는 경우 실시예 3에 따른 온/오프 동작을 도시한다. 도 4a는 온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4b는 도 3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c는 오프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4d는 도 3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d에 도시된 선 바이저(10)는 돌기(10T)의 위치에 있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와 상이하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의 돌기(10T)는 렌즈(20L)를 수평 자세로 되돌아가게 하는 위치에 있다. 반면, 도 4b 및 도 4d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의 돌기(10T)는 수평 자세의 렌즈(20L)가 경사 자세로 변경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램프(20)는 실시예 1 및 2에 사용된 램프(20)와 반대되는 타입으로, 즉, 수평 자세일 때 점등되고(도 4a 참조) 경사 자세일 때 소등된다(도 4b 참조).
여기서, 렌즈(20L)가 경사 자세(도 4c 참조)이고 소등된 상태이며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충분히 후퇴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램프(20)가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운전자는 램프(20)의 단부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이를 수평 자세가 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램프(20)가 수동으로 수평 자세가 됨에 따라, 전구(20V)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된다. 또한, 운전자가 수동으로 램프 반대편의 단부를 가압하여 이를 경사 자세가 되게 하면, 램프(20)가 소등될 수 있다.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부터 후퇴된 상태인, 도 4b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에 대해, 선 바이저(10)의 램프(20) 반대편 측이 도 4d에 도시된 화살표 F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선 바이저(10)가 램프(20)로 접근하고, 결국, 선 바이저(10)의 이면 측의 돌기(10T)가 화살표 F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위치한 수평 자세의 렌즈(20L)의 좌측 단부에 접촉하고 이를 가압하게 된다. 그 결과, 수평 자세이고 온 상태였던 렌즈(20L)가 기울어지고, 전구(20V)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 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온/오프 동작과 관련하여 리버스 타입 램프에도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램프의 경우에, 램프를 수동으로 자유자재로 점등/소등할 수 있으며, 선 바이저(10)가 수납됨에 따라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별도의 스위치를 갖는 형태의 램프의 소등
실시예 4는 별도의 스위치를 갖는 형태의 램프를 소등하는 것에 관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별도의 스위치를 갖는 형태의 램프(실시예 4)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채택된 스위치는 렌즈(20L) 자체의 시소 동작에 의해 점등/소등된다. 반면, 실시예 4에 채택된 스위치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치가 사용된다; 루프부 하우징(50)에 배치된 램프(20) 내의 렌즈(20L)로부터 분리된 스위치 노브(knob)(30N)가 렌즈(20L) 근처에 배치된다. 여기서, 스위치 노브(30N)는 선 바이저(10)(도 6c 참조)의 조작 방향이 두 개의 화살표 F6가 나타내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30N)(도 5 및 도 6a 참조)가 선 바이저(10)의 수납 시 선 바이저(10)의 동작으로 인해 가압됨에 따라, 램프 소등 돌기(10N)가 움직이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에 4에 따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는 실시예 4에 따른 램프의 장식부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램프의 장식부의 후면의 기능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c는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더 나아가,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4에 따른 스위치 노브의 동작을 도시한 도 6a의 VII-V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는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0L) 근처에 배치된 스위치 노브(30N)는, 스위치 노브(30N)가 하방 위치에 있는 경우 램프가 점등되고, 스위치 노브(30N)가 상방 위치에 있는 경우 램프가 소등되도록, 하우징(20K) 내에 배치된다. 렌즈(20L)의 뒷면 측에 배치되는 기능부(20S)(도 6b 참조)는, 스위치 노브(30N)가 켜짐에 따라, 전구(20V)가 온 위치인 경우 점등되고, 오프 위치인 경우 소등되도록 동작한다. 도 6c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의 루프 정합면(fitting surface) 상에, 램프 소등 돌기(10N)가 배치된다. 램프 소등 돌기(10N)가 배치되는 위치는, 선 바이저(10)가 소정의 위치에 수납 시 램프 소등 돌기(10N)가 스위치 노브(30N)와 접촉하는 곳에 마련된다. 램프 소등 돌기(10N)에 테이퍼(taper)가 형성되고, 램프 소등 돌기(10N)는 스위치 노브(30N)가 온 위치로부터 오프 위치로 푸시(push)되도록 스위치 노브(30N)를 가압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된 선 바이저(10)는 개방 상태이고, 하우징(20K)(도 6a 참조)에 배치된 스위치 노브(30N)는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30N)가 상방 오프 위치로부터 하방 온 위치로 내려옴에 따라, 전구(20V)(도 6a 참조)는 점등된다. 이 경우에, 전구(20V)(도 6a 참조)는 기능부(20S)(도 6b 참조)에 의해 점등된다. 선 바이저(10)가 개방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 노브가 수동으로 상방 오프 위치로 올라감에 따라, 전구(20V)는 소등될 수 있다.
개방 상태의 선 바이저(10)는 화살표 F7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경로를 따라 움직여 폐쇄 동작을 수행한다. 램프 소등 돌기(10N)는 선 바이저(10)에 배치된다; 선 바이저가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면, 램프 소등 돌기(10N)는 스위치 노브(30N)와 접촉하고, 램프 소등 돌기(10N)에 형성된 테이퍼의 형상 때문에, 램프 소등 돌기(10N)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선 바이저(10)가 화살표 F7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닫힌 상태가 되면, 램프 소등 돌기(10N)는 화살표 7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노브(30N)와 접촉한 후에, 램프 소등 돌기(10N)는 스위치 노브(30N)를 더 밀어내고, 테이퍼 형상으로 인해 도면에 사선으로 상측의 오프 위치(화살표 F73이 나타내는 방향)로 점차 밀려 올라가게 된다. 최종적으로, 램프 소등 돌기(10N)는 오프 상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 결과, 전구(20V)가 소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예 4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별도의 스위치를 갖는 형태의 램프에 채택된다. 이 경우에도, 램프를 수동으로 자유자재로 점등/소등할 수 있으며, 선 바이저(10)가 수납됨에 따라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다음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조명이 필요할 때, 램프가 수동으로 점등될 수 있고 수동으로 소등될 수도 있다. 또한, 선 바이저가 수납됨에 따라 램프가 확실하게 소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소등을 망각함으로 인해 램프가 켜져 있을 수 없다. 순간 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회로에 특별한 스위치가 배치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선 바이저가 순간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이 선 바이저가 들뜨지 않기 때문에, 전구(20V)가 재 점등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선 바이저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가 부착된 하우징
도 8 내지 도 10b는 실시예 5를 도시한다. 도 8은 실시예 5에 따른 선 바이저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와 스위치 겸용으로 사용되는 램프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실시예 5에 따른 선 바이저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 및 스위치 겸용으로 사용되는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9a는 도 8(a)의 IX(A)-IX(A)에 따른 단면도(종단면도)이다. 도 9b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가 소등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9c는 스위치 겸용인 램프가 점등되었을 때의 램프를 도시한 사투상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스위치 겸용의 램프(20)는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수평 자세 또는 경사 자세를 취함에 따른 시소 운동에 의해 스위치 기능을 갖는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겸용의 램프(20)(도 8 참조)는 수평 자세(20h)일 때 스위치 오프(소등)되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자세(20h)일 때 스위치 온(점등)된다. 스위치 겸용의 램프(20)는 운전자가 바라볼 때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램프(20)가 수평 자세일 때(도 9b 참조), 상기 램프가 스위치 오프된다. 다음으로, 수평 자세인 램프(20)의 단부는, 루프 측을 향하여 손가락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경사 자세(도 9c 참조)가 되고, 램프(20)가 점등된다. 장방형의 램프(20)의 길이 방향으로의 연장선 상의 루프부 하우징(50)에는, 선 바이저(10)의 단부측을 지지하는 후크(40)가 차량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20)는, 하우징(20K)이 루프부 하우징(50)에 형성된 개구를 향해 렌즈(20L) 측을 하부로 향하여 삽입됨에 따라 고정된다. 전구(20V)는 렌즈(20L)의 뒷면 측에 배치된다. 렌즈(20L)는 스위치 기능을 갖고 축에 대해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후크(40)는 렌즈(20L)의 일 단부 근처의 루프부 하우징(50)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에는 선 바이저(10)의 단부가 걸린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와 선 바이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a는 후크에 걸린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b는 후크에 걸린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는 후크(40)를 중심으로 화살표 F10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램프(20)로부터 후퇴하고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는 손가락을 사용해서 렌즈(20L)(도 9a 참조)의 단부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이 렌즈(20L)의 좌측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렌즈(20L)는 수평 자세로부터 도 10a에 도시된 경사 자세로 변하고, 전구(20V)가 점등된다.
상기 손가락이 렌즈(20L)의 반대편을 가압하게 되면, 렌즈(20L)는 수평 자세(20h)로 되돌아가고 전구(20V)가 소등된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바이저(10)는, 후크(40)를 중심으로 화살표 F102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램프(20)에 근접하게 되고, 장식면(20K)으로부터 드러난 렌즈(20L)(도 9a 참조)의 우측 단부(20R)가 선 바이저(10)의 뒷면 측에 의해 화살표 F103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밀려나서, 수평 자세로 되돌아가고, 전구(20V)는 소등된다.
실시예 5에 있어서, 후크가 스위치 겸용의 램프에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선 바이저의 부착이 단순해지고, 선 바이저가 회전되어 소정의 위치에 수납 시, 렌즈의 장식면이 확실히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램프가 자동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선 바이저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퇴함에 따라, 램프가 노출되어, 수동으로 자유자재로 점등/소등될 수 있다.
후크에 걸리는 선 바이저에 의한 온/오프 동작에 대한 리버스 타입 램프의 소등
도 11a 내지 도 11d는 실시예 6에 따른 발명을 도시한 것으로, 후크에 걸리는 선 바이저에 의한 온/오프 동작에 대한 리버스 타입 램프의 소등 원리를 도시한다. 도 11a는 후크에 걸린 선 바이저가 개방된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단면도이다. 도 11c는 후크에 걸린 선 바이저가 닫힌 상태의 램프의 전체 사투상도이다. 도 11d는 도 11c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채택된 램프(20)는. 실시예 5에 채택된 램프(20)의 반대 형태이며, 즉, 수평 자세(도 11b 참조)에 있는 경우 점등되고(도 11a 참조), 경사 상태(도 11c 참조)에 있는 경우 소등된다(도 11d 참조).
도 11b 및 도 11d에 도시된 선 바이저(10)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선 바이저(10)와 다음의 내용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1) 돌기(10T)가 선 바이저(10) 상에 배치된 점 및 (2) 렌즈(20L)와 선 바이저(10) 사이에 소정의 갭이 마련되어 램프(20)가 돌기(10T)에 의해 푸시될 때 경사질 수 있다는 점. 여기서, 선 바이저(10)의 돌기(10T)는 수평 자세(20h)(온 상태)의 렌즈의 단부를 푸시함에 따라, 램프가 경사 자세(20n)(오프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먼저, 선 바이저(10)가 화살표 F111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램프(20f)로부터 후퇴하면, 램프(20)는 개방 상태(도 11b 참조)가 된다. 이 상태에서, 램프의 단부가 수평 자세(20h)(도 11a 참조)가 되도록 수동으로 푸시되어, 전구(20V)는 점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 바이저(10)가 후퇴된 상태이고 램프(20)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램프의 반대편 편 단부가 수동으로 푸시됨에 따라, 해당 단부는 경사 자세(20n)(도 11c 참조)가 되고, 전구(20V)는 소등될 수 있다.
선 바이저(10)가 화살표 F112(도 11d 참조)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푸시되어 램프(20)에 근접하는 경우, 수평 자세(20h)(도 11a 참조)의 렌즈(20L)의 좌측 단부는 선 바이저(10) 뒷면 측의 돌기(10T)에 의해 화살표 F113이 나타내는 방향(도 11d 참조)으로 푸시되고, 렌즈(20L)는 경사 자세(20n)(도 11c 참조)가 되며, 전구(20V)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등된다.
리버스 타입의 램프가 온/오프 동작에 따라 조작되는 실시예 6에 있어서, 후크는 스위치 겸용의 램프와 일체로 마련되어, 선 바이저의 부착이 단순해진다; 또한, 선 바이저가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도록 회전되는 경우에, 돌기가 렌즈의 장식면을 확실히 푸시할 수 있으므로 램프가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다. 또한, 선 바이저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후퇴함에 따라 렌즈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램프가 자유자재로 수동으로 소등/점등될 수 있다.
요약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는 경우, 램프의 스위치가 선 바이저에 의해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음의 장점을 갖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등을 잊더라도 램프가 점등 상태인 채로 유지되지 않는다; 선 바이저가 사용 중인 경우에, 램프 자체의 수동 조작에 의해 자유자재로 램프가 점등/소등될 수 있다; 또한 선 바이저 암부에 전기 회로를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해지고, 고장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3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068520을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10: 선 바이저 10H: 회전 지지부
10N: 램프 소등 돌기 10S: 램프 부착 위치
10T: 돌기 20: 스위치 겸용 램프
20h: 수평 자세 20n: 경사 자세
20J, 20J': 축 20K: 하우징
20L: 렌즈 20S: 기능부
20V: 전구 30N: 스위치 노브
40: 후크 50: 루프부 하우징

Claims (3)

  1.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에 있어서,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선 바이저;
    상기 차량 루프부에 배치되며, 수납 위치에 수납된 상기 선 바이저에 의해 덮이는 룸 램프; 및
    상기 룸 램프 위 또는 상기 룸 램프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룸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시소 스위치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포함하여,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스위치가 온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선 바이저가 상기 룸 램프 위 또는 상기 룸 램프에 인접하여 배치된 스위치를 접촉하여, 스위치를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물리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서 상기 룸 램프로부터 이격되는 사용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스위치는 오프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선 바이저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위치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램프 조명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바이저 상에 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선 바이저가 수납 위치에 수납되는 경우, 상기 돌기는 상기 스위치를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 바이저의 단부 측을 지지하는 후크는, 스위치와 동일한 케이스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램프의 조명 구조물.
KR1020147019602A 2010-03-24 2011-03-23 내부 빛 조명 구조물 KR101529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8520A JP5825704B2 (ja) 2010-03-24 2010-03-24 ルームランプの照明構造
JPJP-P-2010-068520 2010-03-24
PCT/JP2011/056983 WO2011118633A1 (ja) 2010-03-24 2011-03-23 ルームランプの照明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147A Division KR20120120963A (ko) 2010-03-24 2011-03-23 내부 빛 조명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371A KR20140114371A (ko) 2014-09-26
KR101529847B1 true KR101529847B1 (ko) 2015-06-17

Family

ID=446731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602A KR101529847B1 (ko) 2010-03-24 2011-03-23 내부 빛 조명 구조물
KR1020127024147A KR20120120963A (ko) 2010-03-24 2011-03-23 내부 빛 조명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147A KR20120120963A (ko) 2010-03-24 2011-03-23 내부 빛 조명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2618B2 (ko)
JP (1) JP5825704B2 (ko)
KR (2) KR101529847B1 (ko)
CN (1) CN102905940B (ko)
BR (1) BR112012023975A2 (ko)
DE (1) DE112011101000B4 (ko)
WO (1) WO2011118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7728A1 (de) * 2018-07-23 2020-02-13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Verkleidung eines Fahrgastraums eines Kraftwage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885A (ja) * 2008-03-31 2009-10-22 Bridgestone Corp 非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6810A (en) * 1929-01-14 1930-02-11 Anderson Jacob Carroll Vanity compact
US2060062A (en) * 1933-05-27 1936-11-10 Albert C Fischer Automobile accessory
JPS4710386Y1 (ko) * 1967-10-31 1972-04-18
JPS58164146U (ja) * 1982-04-27 1983-11-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スイツチ駆動カバ−
JPH01123715A (ja) 1987-11-09 1989-05-16 Achilles Corp アンダーカットを有する環状部を含む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該成形品の射出成形装置
JPH01123715U (ko) * 1988-02-12 1989-08-23
JPH0741817B2 (ja) * 1990-10-08 1995-05-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バニティミラー
JPH06127272A (ja) 1992-10-19 1994-05-10 Toyota Motor Corp ランプ付きサンバイザ
US5331525A (en) * 1993-01-14 1994-07-1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Low profile sun visor system with remote lighting
DE4326102A1 (de) * 1993-08-04 1995-02-09 Happich Gmbh Gebr Spiegel mit Beleuch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e
US6203161B1 (en) * 1997-11-25 2001-03-20 Prince Corporation Visor with pivoting vanity mirror assembly
JP2002225554A (ja) * 2001-01-29 2002-08-14 Neoex Lab Inc 車両用サンバイザ
JP4298931B2 (ja) * 2001-03-07 2009-07-22 株式会社テーアンテー バニティーミラー
JP2004243970A (ja) 2003-02-17 2004-09-02 Kyowa Sangyo Kk 車両用サンバイザ
JP4710386B2 (ja) 2005-04-06 2011-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装置
KR20090011911A (ko) * 2007-07-27 2009-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선바이저 조명장치
JP2009161143A (ja) * 2008-01-10 2009-07-23 Kanto Auto Works Ltd 車両照明構造
JP4831109B2 (ja) * 2008-04-08 2011-12-07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室内用照明装置
EP2161549B1 (en) 2008-09-05 2018-11-07 Optosys SA Optical sensor system, optical sensor device and bus segment for connecting the device to a bus of the system
JP6127272B2 (ja) * 2013-11-13 2017-05-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1885A (ja) * 2008-03-31 2009-10-22 Bridgestone Corp 非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5940A (zh) 2013-01-30
DE112011101000T5 (de) 2013-01-03
CN102905940B (zh) 2016-03-09
KR20120120963A (ko) 2012-11-02
JP5825704B2 (ja) 2015-12-02
BR112012023975A2 (pt) 2021-06-29
JP2011201355A (ja) 2011-10-13
KR20140114371A (ko) 2014-09-26
DE112011101000B4 (de) 2020-03-26
WO2011118633A1 (ja) 2011-09-29
US9162618B2 (en) 2015-10-20
US20130003395A1 (en)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427B2 (en) Sun visor assembly
KR101646274B1 (ko) 조명부를 갖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US7534018B2 (en) Illuminated visor vanity
JP2006306305A (ja) 車両用室内灯
US6264352B1 (en) Sun visor and vanity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4390284B2 (ja) 車両用室内灯
JP2002172977A (ja) 車両用室内灯
KR101529847B1 (ko) 내부 빛 조명 구조물
WO2003101779A2 (en) Vehicle auxiliary light
KR101573686B1 (ko) 글로브박스 조명장치
CN214420186U (zh) 一种带镜子的汽车遮阳板
EP0550708A1 (en) Lighting device for courtesy mirrors of sun visors
KR100655614B1 (ko) 선 바이저 조명등의 스위치 접점구조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JP2008143213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CN210743831U (zh) 开闭体的操作装置
KR200428942Y1 (ko)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JP7114377B2 (ja) 電子機器の開口部構造および電子機器における光源の輝度調整方法
KR200367110Y1 (ko) 자동차용 회전식 룸 램프
JPH0634181Y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9990005035A (ko) 차량의 독서등
JP4230336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S584652A (ja) 自動車のワイパおよびウオツシヤスイツチ装置
JPH0313073Y2 (ko)
KR0123592Y1 (ko) 자동차 선바이져용 야간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