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942Y1 -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942Y1
KR200428942Y1 KR2020060019603U KR20060019603U KR200428942Y1 KR 200428942 Y1 KR200428942 Y1 KR 200428942Y1 KR 2020060019603 U KR2020060019603 U KR 2020060019603U KR 20060019603 U KR20060019603 U KR 20060019603U KR 200428942 Y1 KR200428942 Y1 KR 20042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bulb
knob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흥
Priority to KR2020060019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상부로 벌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의 양측으로 벌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접촉부와, 벌브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노브를 설치하여 룸 램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벌브가 장착된 장착부의 일측으로 벌브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에는 탄발가능한 가변단자를 접촉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가변단자가 접촉하는 장착부의 하부에는 힌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노브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노브를 일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노브를 구성하는 접촉방지부가 접촉단자와 가변단자 사이에 위치하거나 벗어나서 단락시키거나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전도체인 노브를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장착하여 회로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생산부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벌브, 하우징, 장착부, 단자접촉부, 노브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Roomlamp Structure for vehicle}
도 1 및 2는 종래의 룸 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룸 램프 10 : 벌브
20 : 하우징 22 : 장착부
24 : 노브장착공 26 : 돌출부
30 : 단자접촉부 40 : 노브
42 : 결합공 44 : 접촉방지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도체인 노브를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장착하여 회로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용 룸 램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조명은 앞좌석 상부에 설치되어 지도나 책 등을 읽을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행중 운전자에게 현혹감을 주지 않도록 스포트형의 배광패턴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분만 조명하는 맵램프와, 뒷좌석 전용으로 서류 등의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비교적 밝은 스포트 광으로 조명되는 리어퍼스널램프와, 도어를 열었을 때 실내의 발밑부분이나 차 밖으로 내디딘 발밑의 디딤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도어부분에 설치되며 도어의 오픈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도어커티시램프가 있다.
또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중앙부위에는 자동차의 어두운 실내를 전체적으로 조명해줄 수 있는 룸 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룸 램프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는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200)가 하우징(100)에 버튼 타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스위치(200)가 하우징(200)에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룸 램프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의 경우 별도의 스위치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스위치 구조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여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의 생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전도체인 노브를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장착하여 회로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용 룸 램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의 상부로 벌브를 장 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의 양측으로 벌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접촉부와, 벌브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노브를 설치하여 룸 램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벌브가 장착된 장착부의 일측으로 벌브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에는 탄발가능한 가변단자를 접촉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가변단자가 접촉하는 장착부의 하부에는 힌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노브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노브를 일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노브를 구성하는 접촉방지부가 접촉단자와 가변단자 사이에 위치하거나 벗어나서 단락시키거나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룸 램프(1)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벌브(10)와, 상기 벌브(10)가 장착되는 장착부(22)가 상부에 형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장착부(22)의 양측에 장착되는 단자접촉부(30)와, 노브(40)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 중앙으로 벌브(10)가 장착되는 장착부(22)가 형성되고, 일측으로 노브(40)가 장착되는 노브장착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2)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상부는 개방되며 양측면으로 접촉부(222)와, 접지장착공(22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단자홈(226)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접촉부(222)에 단자(52)가, 접지장착공(224)에 접촉단자(54)가, 단자홈(226)에 가변단자(56)가 설치된다.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장착부(22)에 벌브(10)가 장착되고 접촉부(222)에 단자접촉부(30)가 결합되면, 전원은 접촉부(222)에 설치된 단자(52)를 통해 벌브(10)의 일측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타측은 벌브(10)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단자(54)에 가변단자(56)가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벌브(10)가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접지하는 장착부(22)의 하부로 힌지돌기(228)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노브장착공(24)은 도시된 도 3과 같이 상기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접지하는 부분에 관통형성되고 그 형상은 노브(40)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여기서는 편의상 직사각형 형상의 노브장착공(24)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노브장착공(24)이 형성된 외측 길이방향의 끝단으로는 돌출부(26)가 상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되, 상기 장착부(22)의 힌지돌기(228)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돌기(262)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노브장착공(24)에 장착되는 노브(40)는 비전도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노브(40)의 전면과 후면 상단으로 상기 장착부(22)의 힌지돌기(228)와 돌출부(26)의 돌기(262)에 끼워지는 결합공(42)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접지하는 결합공(42)의 상부 부분으로 접촉방지부(44)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방지부(44)는 상기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의 접지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노브(40)가 하우징(20)에 형성된 힌지돌기(228)와 돌기(26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 사이를 밀고 들어가서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를 단락시키는 것이고, 반대방향으로 노브(40)를 회동시키면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 사이를 빠져나와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처음과 같이 접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룸 램프(1)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5 및 6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착부(22)가 형성된 하우징(20)의 접촉부(222)에 단자(52)를, 접지장착공(224)에 접촉단자(54)를, 단자홈(226)에 가변단자(56)를 설치한 후, 상기 벌브(10)를 하우징(20)의 장착부(22)에 장착하되, 일측은 단자(52)와 타측은 접촉단자(54)와 접지하도록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노브(40)의 결합공(42)을 상기 장착부(22)의 힌지돌기(228)와 돌출부(26)의 돌기(26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면 도시된 도 5와 같은 룸 램프(1)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22)에 단자접촉부(30)를 장착시키면 상기 벌브(10)는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접지되어 있으므로 빛을 차량 실내로 발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노브(40)를 일방향으로 회동하면 도시된 도 6과 같이 노브(40)는 상기 장착부(22)의 힌지돌기(228)와 돌출부(26)의 돌 기(262)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노브(40)에 형성된 접촉방지부(44) 또한 같이 회전하여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의 사이를 밀고 들어가서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를 단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벌브(10)는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단락되므로 빛을 차량 실내로 발산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비전도체인 노브를 회전가능하게 하우징에 장착하여 회로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생산부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우징(20)의 상부로 벌브(1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를 형성하며, 상기 장착부(22)의 양측으로 벌브(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접촉부(30)와, 벌브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노브(40)를 설치하여 룸 램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벌브(10)가 장착된 장착부(22)의 일측으로 벌브(10)와 접촉하는 접촉단자(54)를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54)에는 탄발가능한 가변단자(56)를 접촉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가 접촉하는 장착부(22)의 하부에는 힌지돌기(228)를 형성하여 상기 노브(4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노브(40)를 일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노브(40)를 구성하는 접촉방지부(44)가 접촉단자(54)와 가변단자(56) 사이에 위치하거나 벗어나서 단락시키거나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단자(56)는 상기 접촉단자(54)와 접촉하는 부분을 유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KR2020060019603U 2006-07-20 2006-07-20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KR20042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03U KR200428942Y1 (ko) 2006-07-20 2006-07-20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03U KR200428942Y1 (ko) 2006-07-20 2006-07-20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942Y1 true KR200428942Y1 (ko) 2006-10-16

Family

ID=4177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603U KR200428942Y1 (ko) 2006-07-20 2006-07-20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9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83A (ko) 2022-06-10 2023-12-19 유철상 차량용 실내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83A (ko) 2022-06-10 2023-12-19 유철상 차량용 실내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2228A (ko) 조명부를 갖는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JPH09320381A (ja) スイッチのノブ照明装置
JP4588624B2 (ja) 車両用室内灯
KR200428942Y1 (ko)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KR100393426B1 (ko)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JP2671711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367110Y1 (ko) 자동차용 회전식 룸 램프
US6087601A (en) Modular multi-purpose switch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KR101529847B1 (ko) 내부 빛 조명 구조물
KR100992425B1 (ko) 오동작 방지구조를 갖는 휠리모컨 스위치
KR200253631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KR0112929Y1 (ko) 형광등과 백열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실내등
RU2146624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интерье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0145603B1 (ko) 자동차의 시트 측면에 장착되는 실내등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10022012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노브
KR200371146Y1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161914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KR200250021Y1 (ko) 원텃치온오프스위치를구비한차내조명기구
KR200142971Y1 (ko) 자동차의 회전룸램프
KR200150379Y1 (ko) 차량의 루프 어시스트 핸들에 장착된 룸 램프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KR20010011338A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