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914Y1 -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914Y1
KR200161914Y1 KR2019970021183U KR19970021183U KR200161914Y1 KR 200161914 Y1 KR200161914 Y1 KR 200161914Y1 KR 2019970021183 U KR2019970021183 U KR 2019970021183U KR 19970021183 U KR19970021183 U KR 19970021183U KR 200161914 Y1 KR200161914 Y1 KR 200161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terminal
switch body
handl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661U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21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9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9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통공형성된 슬라이딩장공을 갖는 스위치몸체와, 상기 스위치몸체의 슬라이딩장공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유동단자를 갖는 슬라이딩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와 상기 스위치몸체의 슬라이딩장공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실내등을 점멸시키는 고정단자를 갖는 자동차의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스위치몸체 슬라이딩장공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 일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점·소등·중립단자와, 상기 스위치몸체 슬라이딩장공의 내측면 타측에 결합되어 굴곡형성된 요부와 철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의 타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공유안내단자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여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적고 스위칭시 부드럽게 동작되며 단자간의 단절감이 느껴져 작동감이 보다 상승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여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스위칭시 부드럽게 동작될 뿐 아니라 단자간의 단절감이 느껴져 작동감이 상승된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등은 실내 천장의 중앙이나 윈드실드 가까운 장소에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등으로 룸 라이트 또는 룸 램프라고도 불리운다. 차실 루프패널의 전방측이나 중심측에 설치되어 신문이나 책을 보거나 창문의 열림시에 온시켜서 활용하게 된다.
실내등은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던가 아니면 슬라이딩 스위치를 사용하여 점멸시키게 된다. 그중 많이 사용하는 슬라이딩방식의 실내등 스위치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스위치몸체(50) 내측면에는 요부형성된 안착요홈(52)이 있고, 상기 스위치몸체(50) 내에는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재(60)가 있다. 슬라이딩부재(60)의 상부에는 스위치손잡이(80)가 결합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60)의 일측에는 요부형성된 슬라이딩요홈(62)이 존재하고 이 슬라이딩요홈(62) 내에는 탄발스프링(72)에 의해 탄발돌출되는 작동볼(70)이 설치되며, 작동볼(70)의 타측면에는 상기 스위치몸체(50)의 안착요홈(52)이 위치된다.
스위치몸체(50)의 내부의 다른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단자(54)가 결합되고 이에 대응되는 슬라이딩부재(60)의 일측 외주면에는 슬라이딩단자(64)가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몸체(50)의 복수개 고정단자(54)는 중립단자와 소등단자와 점등단자로 구성되어, 슬라이딩단자(64)가 슬라이딩되면서 각각의 고정단자(54)와 접촉되어 실내등(도시않음)을 중립위치, 점등위치, 소등위치에 있도록 설정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몸체(50)의 안착요홈(52)은 동일선상의 여러곳에 요부형성된다. 작동볼(70)을 갖는 슬라이딩부재(60)는 슬라이딩요홈(62)내의 탄발스프링(72)의 탄발력에 의해서 작동볼(70)을 탄발돌출시키고, 돌출된 작동볼(70)의 일측은 스위치몸체(50)의 안착요홈(52) 내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부재(6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마다 슬라이딩부재(60)의 일측에 결합된 슬라이딩단자(64)는 그 대웅되는 스위치몸체(50)의 고정단자(54)와 접촉된다.
안착요홈(52)에 의한 슬라이딩부재(60)의 정지시마다 슬라이딩부재(60)의 슬라이딩단자(64)는 스위치몸체(50)의 각각의 고정단자(54)와 접속되고 그에따라 실내등은 중립위치나 소등위치, 점등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실내등스위치는 여러부품으로 조립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스위칭시 부드럽지 못해 작동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구조가 단순하여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감소되고 스위칭시 부드럽게 동작될 뿐 아니라 단자간의 단절감이 느껴져 작동감이 상승된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통공형성된 슬라이딩장공을 갖는 스위치몸체와, 상기 스위치몸체의 슬라이딩장공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유동단자를 갖는 슬라이딩 손잡이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와 상기 스위치몸체의 슬라이딩장공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실내등을 점멸시키는 고정단자를 갖는 자동차의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스위치몸체 슬라이딩장공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 일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점·소등·중립단자와, 상기 스위치몸체 슬라이딩장공의 내측면 타측에 결합되어 굴곡형성된 요부와 철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의 유동단자의 타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공유안내단자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a는 종래 실내등스위치의 모습을 보인 일부절취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측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 실내등의 슬라이딩 손잡이가 소등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b는 슬라이딩 손잡이가 점등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유안내단자 12: 요부
14: 철부 16: 소등단자
17: 중립단자 18: 점등단자
20: 유동단자 22: 일측 단자접촉부
24: 타측 단자접촉부 30: 슬라이딩 손잡이
32: 단자고정축 40,50: 스위치몸체
42: 슬라이딩장공 44: 단자요홈
52: 안착요홈 54: 고정단자
60: 슬라이딩부재 62: 슬라이딩요홈
64: 슬라이딩단자 70: 작동볼
72: 탄발스프링 80: 스위치손잡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 실내등의 슬라이딩 손잡이가 소등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2b는 슬라이딩 손잡이가 점등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 스위치몸체(4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손잡이(30)의 단자고정축(32)이 슬라이딩되는 통공형성된 슬라이딩장공(42)이 있다. 슬라이딩장공(42)내에서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유동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단자고정축(32)의 하단부에는, 유동단자(20)가 결합된다. 유동단자(20)의 양측단에는 반원상의 단자접촉부(22,24)를 형성시켜 유동단자(20)의 슬라이딩시 마찰력을 최소로함이 바람직하다.
단자고정축(32)에 고정된 유동단자(20)의 일측 단자접촉부(22)는 요부(12)와 철부(14)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공유안내단자(10)의 외주면상에 위치한다. 유동단자(20)의 타측 단자접촉부(24)는 소등단자(16)에서 중립단자(17)로, 다시 중립단자(17)에서 점등단자(18)로 슬라이딩되며 접촉된다. 이를 위해 스위치몸체(40) 내측으로 요부형성된 각각의 단자요홈(44)에서 각각의 소등·중립·점등단자(16,17,18)를 완강히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램프스위치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슬라이딩 손잡이(30)를 도 2a와 같은 좌측방향에서 도 2b와 같은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이동에 따라 단자고정축(32)은 슬라이딩장공(42) 내에서 이동되고, 단자고정축(32) 유동단자(20)의 일측 단자접촉부(22)는 공유안내단자(10)의 철부(14)와 요부(12)를 넘어 가면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타측 단자접촉부(24)는 소등단자(16)에서 중립단자(17)를 거쳐 점등단자(18)의 외주면상에서 정지되고 이에 통전되어 실내등(도시않음)은 점등된다.
슬라이딩 손잡이(30)에 결합된 유동단자(20)의 타측 단자접촉부(24)가 소등단자(16)에서 점등단자(18)로 접속되기 위해서는, 일측 단자접촉부(22)가 공유안내단자(10)의 요부(12)와 철부(14)상에서 이동되어 우측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러기 위해서 운전자나 승차자는 슬라이딩 손잡이(30)를 적당한 힘으로 우측으로 밀어야 하는데 이때, 유동단자(20)의 일측 단자접촉부(22)가 공유안내단자(10)의 요부(12)와 철부(1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그 탄력을 유동단자(20)와 단자고정축(32)과 슬라이딩 손잡이(30)를 통해 운전자나 승차자의 손으로 전달시킨다.
이런 탄력의 느낌으로 운전자나 승차자는 실내등의 슬라이딩 손잡이(30)를 보지 않고도 실내등을 손쉽게 온오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여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적고 스위칭시 부드럽게 동작되며 단자간의 단절감이 느껴져 작동감이 보다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통공형성된 슬라이딩장공(42)을 갖는 스위치몸체(40)와, 상기 스위치몸체(40)의 슬라이딩장공(42)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유동단자(20)를 갖는 슬라이딩 손잡이(30)와,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유동단자(20)와 상기 스위치몸체(40)의 슬라이딩장공(42)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위치에 따라 실내등을 점멸시키는 고정단자를 갖는 자동차의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스위치몸체(40) 슬라이딩장공(42)의 내측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유동단자(20) 일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소등·중립·점등단자(16,17,18)와,
    상기 스위치몸체(40) 슬라이딩장공(42)의 내측면 타측에 결합되어 굴곡형성된 요부(12)와 철부(14)를 갖고 상기 슬라이딩 손잡이(30)의 유동단자(20)의 타측 선단부가 접촉되는 공유안내단자(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KR2019970021183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KR200161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83U KR20016191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83U KR20016191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61U KR19990007661U (ko) 1999-02-25
KR200161914Y1 true KR200161914Y1 (ko) 1999-12-01

Family

ID=1950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183U KR200161914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61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1474C (en) Motor vehicle light switch
US20070272524A1 (en) Rotary Switch in a Motor Vehicle
KR200161914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GB2305011A (en) Switch
NL8304203A (nl) Handbedieningselement voor een regeldrijving aan een motorvoertuig.
JP4263638B2 (ja) レンズ押下型の照明装置
KR100319214B1 (ko) 스위치
JP4440674B2 (ja) 車室用照明ユニット
KR10022012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노브
KR200428942Y1 (ko) 자동차용 룸 램프의 구조
KR0127954Y1 (ko) 룸램프의 스위치 노브(switch knob)구조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KR100348431B1 (ko) 누름 작동형 스위치
KR0112929Y1 (ko) 형광등과 백열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실내등
KR200142971Y1 (ko) 자동차의 회전룸램프
KR200214494Y1 (ko)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CZ282236B6 (cs) Vnitřní svítilna s přepínačem
KR100312562B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스위치 조작장치
JP2012174652A (ja) 車両用室内照明灯
KR200166636Y1 (ko) 자동차의 실내등
KR970005215Y1 (ko) 차량용 이동식 실내등
JP2576759Y2 (ja) ディマパッシングスイッチ装置
KR100192865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
KR19980031205U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룸램프
KR200222772Y1 (ko) 자동차용 복합 누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