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94Y1 -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94Y1
KR200214494Y1 KR2019990001856U KR19990001856U KR200214494Y1 KR 200214494 Y1 KR200214494 Y1 KR 200214494Y1 KR 2019990001856 U KR2019990001856 U KR 2019990001856U KR 19990001856 U KR19990001856 U KR 19990001856U KR 200214494 Y1 KR200214494 Y1 KR 2002144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member
main body
elastically
knob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634U (ko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정병호
동인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호, 동인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병호
Priority to KR2019990001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6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6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9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인판넬에 사용되어 안개등, 미등, 비상등 및 지시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 의하면, 바닥면 내측 중앙부근처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 배설됨과 동시에, 작동핀이 수용홈에 탄성적으로 감입되어 있는 노브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돌기와 결합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 일측에 다수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부재와, 상기 노브부재에 설치된 작동핀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부재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노브부재에 설치된 작동핀의 동작에 따라 스틸 볼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당접시키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며, 스위칭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A in panel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인판넬에 사용되어 부하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부하의 동작을 표시하는 안개등, 미등, 비상등 및 지시등(열선전원 인가를 표시하는 표시등, 에어콘구동 표시등, 히터구동 표시등, LPG 스위치 온 표시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종류의 스위치로서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97-2555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위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2)와, 상기 본체(12)내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접점(34)과, 상기 고정접점(34)에 탄성적으로 접리 가능한 가동접점(32)과, 일부가 상기 본체(12)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 부터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32)을 상기 고정접점(34)에 접리조작하는 버튼(7)과, 상기 본체(1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운동시 상기 버튼(7)을 누룸 및 해제시키는 작용캠부(30)를 갖는 슬라이더부재(5)와, 상기 본체(12)에대해 위치고정된 회동핀(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회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부재(5)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작용핀(9)을 갖는 조작노브(15)를 구비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2)는 외향 형성된 V형 안내홈(20)을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15)는 자유단부가 상기 V형 안내홈(20)내에 위치하여 회동조작시 상기 V형 안내홈(20)의 사면을 따라 접동이동하고 탄성적으로 외향부세되어 외력제거시 상기 V형 안내홈(20)의 저부로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접동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위치는 상기 조작노브(15)가 회동핀(8)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어 있고, 상기 버튼(7)의 회동조작에 따라 작용핀(9)이 슬라이딩부재(5)의 V자형 안내홈(30)에 접동 이동하고, 버튼(7)을 원위치시키면 상기 슬라이딩부재(5)의 V자형 안내홈(30)으로 부터 V자형 안내홈(20)의 저부로 이동시켜서 스위치를 온/오프하므로, 원활하게 동작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스위칭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는 바닥면 내측 중앙부근처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 배설됨과 동시에, 작동핀이 수용홈에 탄성적으로 감입되어 있는 노브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돌기와 결합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 일측에 다수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부재와, 상기 노브부재에 설치된 작동핀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부재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노브부재에 설치된 작동핀의 동작에 따라 스틸 볼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당접시키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노브부재에서 작동핀을 제거한 저면도,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터미널부재의 측면도,
도 6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회로도,
도7은 종래의 슬라이더 작동식 스위치의 외관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1:클램프
102:개구부 103:플랜지부
104:수용부 105:격벽
106:수용홈 107:절결부
108:결합돌기 120:노브부재
121:스프링 122:작동핀
123:핀 수용홈 124:스프링
125:스틸 볼 126:탄성체
127:캡 128:수용홈
129:삽입구 130:터미널부재
131:내측면 132:인쇄회로기판
133:단자 134:결합홈
135:램프 136:벌브고정 브래킷
137:관통구멍 138:접점지지대
139:램프 140:가이드 플레이트
141:안내홈 142:날개부
143:돌기부 150:커버
151:날개 152:관통구멍
160:부하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노브부재에서 작동핀을 제거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터미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는 양 외측벽에 클램프(101)가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02)의 외측둘레에 플랜지부(103)가 형성되고, 바닥면 내측 중앙부근처에 수용부(104))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스프링(121)을 개재해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 배설됨과 동시에, 작동핀(122)이 수용홈(123)에 탄성적으로 감입되어 있는 노브부재(120)와, 상기 본체(10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격벽(105)의 외측에 내측면(131)이 당접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32)을 가지고 일측에 다수의 단자(133)가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부재(130)와, 상기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작동핀(122)을 가이드하는 안내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부재(120)의 스위칭 온시(푸싱하였을 경우)에 상기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작동핀(122)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브부재(120)에 스프링(124)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 스틸 볼(125)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접점(a)을 고정접점(b)에 전기적으로 당접시키도록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0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접점(a)의 위치를 제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0)와, 상기 터미널부재(1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06)에 감입되도록 날개(151)가 양 측벽에 형성되며 일측에 한쌍의 관통구멍(152)이 형성된 커버(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체(100)의 바닥부의 상면 중앙부 근처에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40)를 수용하는 수용부(104)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날개부(142)가 감입되는 절결부(10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0)에는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작동핀(122)을 안내하는 대체로 Y자 형상의 안내홈(1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141)의 중앙부 근처에는 하트(heart)형상의 돌기부(1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41)의 바닥은 은 단차가 가장 높은 a'부분, a'부분보다 단차가 약간 낮은 b'부분, b'부분보다 단차가 약간 낮은 c'부분, c'부분보다 단차가 낮은 d'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부재(130)에는 본체(100)의 내벽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08)와 결합되는 결합홈(1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부재(130)의 인쇄회로기판(132)에는 램프(135)를 고정하는 벌브고정용 브래킷(136)이 삽입고정되는 관통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부재(120)에 설치되는 작동핀(12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수용 홈(123)하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가이드 구멍(123a)을 통해서 핀부가 삽입되게 상기 핀수용 홈(123)에 감입되어 있고, 상기 작동핀(124)의 헤드부 위에는 탄성체(12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작동핀(124) 및 탄성체(126)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캡(127)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노브부재(120)에 설치되는 스프링(124) 및 스틸 볼(125)은 수용홈(128)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0)의 격벽(105)내측면과 당접되어 상기 노브부재(120)를 화살표(A)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121)은 삽입구(129)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2)를 통해서 노브부재(120)를 삽입고정하면, 상기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작동핀(122)의 핀부분이 본체(100)에 형성된 수용부(104)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안내홈(141)의 a'부분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120)의 삽입구(129)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21)이 본체(100)의 격벽(105)내측면과 당접되어 상기 노브부재(120)를 화살표(A)방향으로 부세력이 작용하면서 위치한다.
그 후, 상기 본체(100)에 내벽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08)에 상기 터미널부재(130)의 결합홈(134)을 결합시켜서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접점(a)을 지지하는 접점지지대(138)에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틸 볼(125)이 당접되게 상기 본체(100)와 터미널부재(130)를 결합시킨다.
다음에, 커버(15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날개(151)를 본체(100)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06)에 삽입고정해서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의 부하(16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하의 작동을 표시하는 안개등, 미등, 비상등 및 지시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노브부재(120)를 화살표(A) 반대방향(본체(100)측으로)으로 밀면, 상기 노브부재(120)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핀(122)이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안내홈(141)의 a'부분에서 b'부분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노브부재(120)를 미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작동핀(122)이 돌기부(143)의 오목홈내로 약간 후진한다. 이때, 상기 안내홈(141)의 a'부분은 b'부분보다 단차가 높으므로, a'부분으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핀(122)이 돌기부(143)의 오목홈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브부재(120)상에 스프링(1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틸 볼(125)이 터미널부재(130)의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지지대(138)를 상부로 밀어서 상기 접점지지대(138)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접점(a)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접점(b)과 전기적으로 접촉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로 부터 단자(S,T)를 통해 부하(160)에 전원을 인가시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하(160)가 동작하고 있음을 램프(135,138)의 점등으로 표시한다.
한편, 상기 부하(160)의 동작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하(160)의 동작정지를 표시하는 램프(135,138)를 소등시킬려고, 상기 노브부재(120)를 다시 밀면, 상기 작동핀(122)이 돌기부(143)의 오목홈(c')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안내홈(141)의 d'부분으로 전진하며, 상기 노브부재(120)를 미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노브부재(120)의 삽입구(129)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121)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상기 노브부재(120)가 화살표(A)방향으로 후진되어 상기 작동핀(122)이 a'부분으로 복귀되면서 상기 노브부재(120)상에 스프링(1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틸 볼(125)이 터미널부재(130)의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지지대(138)로 부터 떨어져서 고정접점(b)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던 가동접점(a)을 떨어지게 하여, 배터리로 부터 단자(S,T)를 통해 부하(1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또한 부하(160)의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램프(135,138)의 소등으로 표시한다(도 5 및 도 6참조).
여기에서 부하(160)로서는 에어컨을 구동하는 압축기 및 팬모터, 히터의 열을 차실내로 공급하는 모터, 차실내로의 외부공기 도입을 차단하고 또는 차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공기통로를 개방/폐쇄시키도록 차폐판을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LPG 스위치, 자동차의 루프에 설치된 선루프를 개방 및 폐쇠하는 모터 등을 말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노브부재(120)가 화살표(A)방향으로 후진할 경우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안내홈(141)의 오목부(c')가 d'부분보다 높으므로, 탄성체(126)의 부세력에 의해 하부로 돌출된 상기 노브부재(120)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핀(122)은 상기 안내홈(141)의 오목부(c')로 복귀되지 않고 a'부분으로 복귀된다.
상기 노브부재(12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노브부재(120)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핀(122)은 가이드구멍(123a) 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0)에 형성된 안내홈(141)의 단차부 a', b', c'(오목부), d', a'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핀(122)은 안내홈(141)의 단차부 a', b', c'(오목부), d', a'에 따라 탄성체(126)의 부세력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므로 바로 전에 위치하던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다.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04)에 형성된 절결부(107)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40)의 양측에 돌출된 날개부(142)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0)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스위칭 동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하나의 부하(16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두 개의 램프(135,138)를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부하를 동시에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2개 이상의 부하가 동시에 작동됨을 2개이상의 램프 또는 3개 이상의 램프를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에 의하면, 바닥면 내측 중앙부근처에 수용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스프링을 개재해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 배설됨과 동시에, 작동핀이 수용홈에 탄성적으로 감입되어 있는 노브부재와, 상기 본체에 결합돌기와 결합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 일측에 다수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부재와, 상기 노브부재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작동핀을 가이드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부재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노브부재에 설치된 작동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브부재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 스틸 볼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전기적으로 당접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접점의 위치를 제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부재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양 측벽에 형성된 수용홈에 감입되도록 날개가 양 측벽에 형성되며 일측에 한쌍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양 외측벽에 클램프(10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02)의 외측둘레에 플랜지부(103)가 형성되고, 바닥면 내측 중앙부근처에 수용부(104))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스프링(121)을 개재해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입 배설됨과 동시에, 작동핀(122)이 수용홈(123)에 탄성적으로 감입되어 있는 노브부재(120)와, 상기 본체(100)에 결합돌기(108)와 결합해서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노브부재(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132)을 가지고 일측에 다수의 단자(133)가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부재(130)와, 상기 노브부재(120)에 탄성적으로 설치된 작동핀(122)을 가이드하는 안내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부재(120)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노브부재(120)에 설치된 작동핀(122)의 동작에 따라 상기 노브부재(120)에 스프링(124)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 스틸 볼(125)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32)의 하부에 설치된 가동접점(a)을 고정접점(b)에 전기적으로 당접시키도록 상기 본체(100)의 수용부(10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접점(a)의 위치를 제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0)와, 상기 터미널부재(13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에 형성된 수용홈(106)에 감입되도록 날개(151)가 양 측벽에 형성되며 일측에 한쌍의 관통구멍(152)이 형성된 커버(1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KR2019990001856U 1999-02-08 1999-02-08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KR2002144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56U KR200214494Y1 (ko) 1999-02-08 1999-02-08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56U KR200214494Y1 (ko) 1999-02-08 1999-02-08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34U KR19990017634U (ko) 1999-05-25
KR200214494Y1 true KR200214494Y1 (ko) 2001-02-15

Family

ID=5475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856U KR200214494Y1 (ko) 1999-02-08 1999-02-08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22B1 (ko) *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택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634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51474C (en) Motor vehicle light switch
US4379954A (en) Lever operated plural switch assembly
US4293743A (en) Combination switching means of lever type for motor vehicles
US4393280A (en) Electrical switching arrangement
US5651450A (en) Switches, in particular switches that can be installed into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itch
KR200214494Y1 (ko)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CA2490605C (en) Fixed contact structure of slide switch
JPS62256328A (ja) 自動車のヘツドランプ用デイツプスイツチに特に有用な二安定スイツチ
GB2305011A (en) Switch
US5557081A (en) Vehicle lamp slide switch including detent assembly
US4733030A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motor vehicles
US4459448A (en) Double pull double throw switch
US5041703A (en) Mirror control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GB2152289A (en) Electrical switch
US3721779A (en) Sliding action electrical switch with ramp portions between contacts and insulating strips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US5107085A (en) Clustered push button switches having sheet metal conductors formed with contact tabs
US5868491A (en) Lamp with moveable housing switch
US6087601A (en) Modular multi-purpose switch
US5111011A (en) Mirror control slide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JPH05314864A (ja) スイッチ装置
KR100280087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KR100319214B1 (ko) 스위치
US4621174A (en) Composite switch
JP200035743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