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087B1 - 정속 주행 스위치 - Google Patents

정속 주행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087B1
KR100280087B1 KR1019980020590A KR19980020590A KR100280087B1 KR 100280087 B1 KR100280087 B1 KR 100280087B1 KR 1019980020590 A KR1019980020590 A KR 1019980020590A KR 19980020590 A KR19980020590 A KR 19980020590A KR 100280087 B1 KR100280087 B1 KR 10028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constant speed
setting
termin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769A (ko
Inventor
변동필
Original Assignee
이철환
주식회사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환, 주식회사신창전기 filed Critical 이철환
Priority to KR101998002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0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정속 주행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스위치 레버의 끝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작동 구조의 단순화 실현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정속 주행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와이퍼 스위치 레버의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면은 두 개의 실로 나누어져 있되, 그 내부에 평면형으로 노출된 다수의 고정 단자가 각각 압입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한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한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스위치 오프, 스위치 온, 스위치 R/A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정속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다른 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다른 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돌출되어 세팅 오프, 세팅 온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세팅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외측에 씌워져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스위치 캡과; 상기 스위치 캡의 측면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정속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스위치 캡의 끝단부의 개구부에 노출되어 상기 세팅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세팅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속 주행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되는 정속 주행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스위치 레버의 끝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작동 구조의 단순화 실현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정속 주행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속 주행 스위치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지 않고도 자동차를 원하는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1은 와이퍼 작동 스위치 레버에 정속 주행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와이퍼 작동 레버(1)의 끝단에 설치되는 데, 와이퍼 노브(5)의 내측에 정속 주행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스위치 바디(11)가 삽입되고, 상기 스위치 바디(11)의 외측에 씌워져 상기 와이퍼 노브(5)의 끝단에는 스위치 캡(15)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캡(15)은 그 끝단부에 개구부(15a)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11)의 세팅 레버(11a)에 결합되는 세팅 버튼(17)이 설치되고, 측면에도 개구부(15b)가 형성되어 스위치 바디(11)의 측면 홈(11b)에 결합되는 스위치 노브(13)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차량의 주행중 스위치 노브(13)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밀게 되면 스위치 바디(11)내의 회로 접점위치가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세팅 속도로 차량이 자동으로 주행하게 되고, 이렇게 세팅 속도로 주행한 다음에는 그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정속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노브(13)를 R/A 상태로 계속 밀게 되면 역시 스위치 바디(11)내의 회로 접점 위치가 변경되면서 차량의 속도는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어 마치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계속 밟아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와 같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래 세팅 속도보다 높은 속도에서 세팅 버튼(17)을 누르게 되면 스위치 바디(11)의 세팅 레버(11a)가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때 세팅 속도는 세팅 버튼(17)을 누른 시점의 차속으로 재입력되어 차후 스위치 노브(13)를 온 상태로 변화시키면 재입력된 세팅 속도로 차속이 자동으로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세팅 버튼(17)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자동으로 차량의 속도는 감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 기술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밀폐된 스위치 바디(11)내에 스위치 접점 구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부 작동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위치 바디내에 고정 단자를 압입하여 설치하고, 이 스위치 바디에 슬라이딩 작동되는 복수개의 단자 홀더를 장착함으로써 스위치 작동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속 주행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게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외측에 씌워져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 하우징이 포함된 레버식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면은 두 개의 실로 나누어져 있되, 그 내부에 평면형으로 노출된 다수의 고정 단자가 각각 압입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의 끝단이 노출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한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한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스위치 오프, 스위치 온, 스위치 R/A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정속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다른 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다른 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돌출되어 세팅 오프, 세팅 온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세팅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외측에 씌워져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 바디와 스프링 핀으로 고정되고, 그 끝단부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스위치 캡과; 상기 스위치 캡의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직선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정속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스위치 캡의 끝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세팅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세팅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정속 주행 스위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속 주행 스위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속 주행 스위치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및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속 단자 홀더가 도시된 배면도,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팅 단자 홀더가 도시된 측면도, 평면도, 저면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위치 바디에 정속 단자 홀더 및 세팅 단자 홀더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 캡이 도시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 노브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세팅 버튼이 도시된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스위치 하우징 25 : 스위치 레버 25a : 홈부 30 : 스위치 바디 31 : 고정부 31a : 홀 32 : 플랜지부 33 : 후크 35 : 바디부 35A, 35B : 실 35d : 돌출부 37 : 고정 단자 36 : 핀 삽입부 40 : 정속 단자 홀더 41, 42, 43 : 홈 44 : 접촉 단자 45 : 스프링 46 : 볼 48 : 스프링 50 : 세팅 단자 홀더 51 : 결합부 52 : 홈 53 : 가이드 리브 54 : 접촉 단자 58 : 스프링 60 : 스위치 캡 60a, 60b : 개구부 61 : 가이드 돌출부 62 : 홈 63 : 가이드 부 65 : 스프링 핀 70 : 스위치 노브 71 : 돌출부 72 : 노브 73 : 홈부 80 : 세팅 버튼 81 : 홈 82 : 돌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속 주행 스위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및 내부 구조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와이퍼 작동 스위치 레버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와이퍼 작동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조향 핸들의 측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 작동 스위치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게 내부에 스위치 레버(25)가 위치되고, 상기 스위치 레버(25)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스위치 레버(25)의 외측에 스위치 하우징(20)이 씌워져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스위치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와이퍼를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이퍼 작동 스위치의 끝단부에 본 발명의 정속 주행 스위치가 설치되는 데, 상기 스위치 레버(25)의 끝단부에 스위치 바디(30)가 고정되고, 이 스위치 바디(30)의 외측에 상기 스위치 하우징(20)과 결합되는 스위치 캡(60)이 씌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바디(30)에는 정속 단자 홀더(40) 및 세팅 단자 홀더(5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캡(6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 노브(70) 및 세팅 버튼(80)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상기 스위치 노브(70)를 작동시키면 정속 단자 홀더(40)가 직선 이동되면서 스위치 오프, 스위치 온, 스위치 R/A로 정속 주행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세팅 버튼(80)을 누르면 상기 세팅 단자 홀더(50)를 이동시켜 세팅 오프, 세팅 온 작동으로 스위치 세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는 주요부를 도 2 및 도 4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 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및 저면도로서, 상기한 스위치 바디(30)는 상기 스위치 레버(25)의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면은 두 개의 실(35A)(35B)로 나누어져 있되, 그 내부에 평면형으로 노출된 다수의 고정 단자(37)가 각각 압입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37)의 끝단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바디(30)는 크게 스위치 레버(25)에 결합되는 고정부(31)와, 두 개의 실(35A)(35B)이 형성되어 상기 정속 단자 홀더(40) 및 세팅 단자 홀더(50)가 결합되어 있는 바디부(35)와, 상기 바디부(35)의 상하면에 압입되어 노출된 고정 단자(37)와, 도 2에서의 스프링 핀(65)이 삽입되는 삽입부(3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1)는 상기 스위치 레버(25)가 삽입되게 홀(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31a)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치 레버(25)의 홈부(25a)에 걸리는 두 개의 후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31a)의 원주 방향으로는 다수의 디텐트 홈(32a)이 나있는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플랜지부(32)에 형성된 디텐트 홈(32a)은 와이퍼 스위치 작동시 스위칭 위치를 확실히 함과 동시에 절도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35)는 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1)의 플랜지부(32)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양측면에 상기 스위치 캡(60)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가이드 리브(35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는 두 개의 실(35A)(35B)이 형성되는 바, 상기 정속 단자 홀더(40)가 삽입되는 실(35A)은 측면에 디텐트 홈(35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팅 단자 홀더(50)가 삽입되는 실(35B)은 전방측이 개구되어 있으며, 두 개의 실(35A)(35B)의 한쪽 내측에는 복수의 돌출부(35d)가 각각 형성되어 스프링(48)(58)의 끝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상기 고정 단자(37)는 상기 바디부(35)의 상면에 상기 정속 단자 홀더(40) 및 세팅 단자 홀더(50)의 접촉 단자(44)(54)가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도록 평면으로 각각 3개의 단자와 2개의 단자가 노출되게 압입되어 있고, 저면에는 4개의 단자가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35)의 저면에는 상기 스위치 캡(60)을 관통하는 스프링 핀(65)이 삽입되도록 핀 삽입부(3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속 단자 홀더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한 정속 단자 홀더(40)는 상기 스위치 바디(30)의 한쪽 실(35A)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한쪽 실(35A)내의 고정 단자(37)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44)가 설치되어 스위치 오프, 스위치 온, 스위치 R/A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속 단자 홀더(40)는 그 후방측에 홈(43)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30)내에 지지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8)이 설치되고, 일측면의 홈(42)에는 상기 바디부(35)의 디텐트 홈(35c)에 밀착되어 단자 접점 위치를 결정토록 볼(46) 및 스프링(45)이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70)가 결합되는 홈(4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접촉 단자(4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 단자(44)는 끝단이 3개로 나누어져 스위치 바디(30)의 고정 단자(37)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끝단부는 곡면으로 절곡되어 슬라이딩 작동시 고정 단자(37)의 상면에 탄성력 있게 밀착되면서도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팅 단자 홀더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한 세팅 단자 홀더(50)는 상기 스위치 바디(30)의 다른 쪽 실(35B)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다른 쪽 실(35B)내의 고정 단자(37)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54)가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돌출되어 세팅 오프, 세팅 온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세팅 버튼(80)이 결합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세팅 단자 홀더(50)는 그 후방측에 홈(52)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바디(30)내에 지지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8)이 삽입되고, 전방측에는 상기 세팅 버튼(80)과 결합되도록 길게 돌출된 결합부(51)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한 정속단자 홀더(40)의 접촉 단자(44)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접촉 단자(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측면에는 상기 스위치 바디(30)내에서 용이하게 직선 이동되도록 가이드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51)는 끝단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세팅 버튼(80)과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바디에 정속 단자 홀더와 세팅 단자 홀더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상기 스위치 바디(30)의 두 개의 실(35A)(35B)에는 정속 단자 홀더(40)와 세팅 단자 홀더(50)가 삽입되어 있되, 모두 스프링(48)(58)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며, 특히 정속 단자 홀더(40)의 측면에는 스위치 바디의 디텐트 홈(35c)에 밀착되는 볼(46) 및 스프링(45)이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위치 캡이 도시된 단면도로서, 상기한 스위치 캡(60)은 상기 스위치 바디(30)의 외측에 씌워져 상기 스위치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 바디(30)와 스프링 핀(65)으로 고정되고, 그 끝단부 및 일측면에 개구부(60b)(60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에는 도 4에서 스위치 바디(30)의 가이드 리브(35e)가 삽입되는 가이드 돌출부(61)가 형성되며, 끝단측 개구부(60b)에는 스위치 노브(80)가 고정되게 다수의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 노브가 도시된 단면도로서, 상기한 스위치 노브(70)는 상기 스위치 캡(60)의 측면 개구부(6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가이드부(63)에 홈부(73)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70)는 그 저면의 끝단부에 돌출부(71)가 형성되어 정속 단자 홀더(40)의 상면 홈(41)에 결합되므로써 운전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정속 단자 홀더(40)를 직선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쉽게 작동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노브(72)가 돌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세팅 버튼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세팅 버튼(80)은 상기 스위치 캡(60)의 끝단부의 개구부(60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누름에 따라 상기 세팅 단자 홀더(50)를 직선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세팅 버튼(8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세팅 단자 홀더(50)의 십자형 결합부(51)가 삽입되도록 십자형 홈(81)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 방향으로는 스위치 캡(60)의 홈(62)에 결합되는 다수의 돌출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속 주행 스위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중 스위치 노브(70)를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이동시키면 정속 단자 홀더(40)가 상기 스위치 노브(70)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위치 바디(30)내의 회로 접점위치가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세팅 속도로 차량이 자동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세팅 속도로 주행하게 되면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지 않아도 세팅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속해서 정속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노브(70)를 R/A 상태로 밀게 되면 정속 단자 홀더(40)가 더 이동되면서 스위치 바디(31)내의 회로 접점 위치가 변경되고, 이때 차량의 속도는 계속하여 상승하게 되어 마치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계속 밟는 경우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 스위치 노브(70)가 R/A에 위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70)를 놓게 되면 스프링(48)의 탄성력에 의해 정속 단자 홀더(40) 및 스위치 노브(70)가 온(ON)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차속은 세팅 속도로 자동으로 변화하게 된다.
물론, 상기 원래 세팅 속도보다 높은 속도에서 세팅 버튼(80)을 누르게 되면 세팅 단자 홀더(54)가 스위치 바디(3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세팅 속도는 세팅 버튼(80)을 누른 시점의 차속으로 재입력되고, 차량의 속도는 재입력된 세팅 속도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70)를 오프 시킨 후 다시 온 상태로 이동시키면 마지막 재입력된 세팅 속도로 차속이 자동으로 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팅 버튼(80)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자동으로 차량의 속도는 감속하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세팅 버튼(70)과 세팅 단자 홀더(50)는 운전자가 세팅 버튼(80)을 누르고 있지 않을 경우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 과정에서 스위치 바디(30)에 압입된 고정 단자(37)가 스위치 바디(30)의 내면과 동일 평면으로 압입되어 있으므로 정속 단자 홀더(40) 및 세팅 단자 홀더(50)의 미끄러짐이 원활하고, 이에 따라 고정 단자(37)와 접촉 단자(44)(54)의 스위칭 작동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정속 주행 스위치는 스위치 바디내에 고정 단자가 압입되고, 스위치 바디에 슬라이딩 작동되는 복수개의 단자 홀더를 통해 스위치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 비용을 절감됨은 물론 스위치의 점검 및 수리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단자 홀더에 고정된 접촉 단자와 스위치 바디에 압입된 고정 단자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접점 구조가 변화되기 때문에 고부하에 대한 대응력이 상승됨은 물론 내구성도 향상되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게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의 끝단부가 노출되도록 외측에 씌워져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 하우징이 포함된 레버식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레버의 끝단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면은 두 개의 실로 나누어져 있되, 그 내부에 평면형으로 노출된 다수의 고정 단자가 각각 압입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단자의 끝단이 노출되어 있는 스위치 바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한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한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스위치 오프, 스위치 온, 스위치 R/A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정속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다른 쪽 실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삽입되고, 저면에 상기 다른 쪽 실내의 고정 단자와 접촉/이격되도록 접촉 단자가 설치되며, 선단이 길게 돌출되어 세팅 오프, 세팅 온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세팅 단자 홀더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외측에 씌워져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 바디와 스프링 핀으로 고정되고, 그 끝단부 및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스위치 캡과;
    상기 스위치 캡의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직선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정속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스위치 캡의 끝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누름에 따라 상기 세팅 단자 홀더를 직선 이동시키는 세팅 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주행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는 상기 스위치 레버가 삽입되게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치 레버의 홈부에 걸리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에는 다수의 디텐트 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플랜지부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양측면에 상기 스위치 캡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두 개의 실이 형성되되, 상기 정속 단자 홀더가 삽입되는 실은 측면에 디텐트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팅 단자 홀더가 삽입되는 실은 전방측이 개구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상기 정속 단자 홀더 및 세팅 단자 홀더의 접촉 단자가 슬라이딩되면서 접촉되도록 평면으로 노출되게 압입되는 동시에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수직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고정 단자부와;
    상기 바디부의 저면에 상기 스위치 캡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프링 핀이 삽입되게 돌출된 핀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주행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 단자 홀더는 그 후방측에 상기 스위치 바디내에 지지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바디부에 밀착되어 단자 접점 위치를 결정토록 볼 및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팅 단자 홀더는 그 후방측에 상기 스위치 바디내에 지지되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전방측에는 상기 세팅 버튼과 결합되도록 길게 돌출된 결합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접촉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속 주행 스위치.
KR1019980020590A 1998-06-03 1998-06-03 정속 주행 스위치 KR10028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90A KR100280087B1 (ko) 1998-06-03 1998-06-03 정속 주행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590A KR100280087B1 (ko) 1998-06-03 1998-06-03 정속 주행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69A KR20000000769A (ko) 2000-01-15
KR100280087B1 true KR100280087B1 (ko) 2001-02-01

Family

ID=1953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590A KR100280087B1 (ko) 1998-06-03 1998-06-03 정속 주행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0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769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9009A2 (en) Lever switch for vehicles
JP2001084867A (ja) スイッチ
EP1655754B1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KR100280087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EP1312503B1 (en) Lever switch for vehicle
US5708242A (en) Automotive lever switch assembly
JPH0212095Y2 (ko)
JP2006347267A (ja) シフトスイッチ
JPH0741924U (ja) スイッチ装置
JPH041616Y2 (ko)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2901094B2 (ja) 電気押ボタン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危険監視信号スイッチ
JP2607560Y2 (ja) スイッチ装置
KR200214494Y1 (ko) 자동차용 인판넬 스위치
KR100319214B1 (ko) 스위치
CN219936907U (zh) 尾门开关结构及车辆
KR100408554B1 (ko) 룸램프의 고정구조
CN212182196U (zh) 一种汽车中控锁开关
JP3683626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162560Y1 (ko) 후진등 스위치 구조
KR100288384B1 (ko) 방향 지시등 및 등화 스위치 장치
KR100670022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H0114512Y2 (ko)
KR100366213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KR100348432B1 (ko) 차량용 누름 작동형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