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426B1 -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 Google Patents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426B1
KR100393426B1 KR1019960001880A KR19960001880A KR100393426B1 KR 100393426 B1 KR100393426 B1 KR 100393426B1 KR 1019960001880 A KR1019960001880 A KR 1019960001880A KR 19960001880 A KR19960001880 A KR 19960001880A KR 100393426 B1 KR100393426 B1 KR 10039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erminal
terminal block
knob
hazar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530A (ko
Inventor
순이치 사토
Original Assignee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루스 부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3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3Manually actuated switch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목적 :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화를 도모하고, 중간 하네스의 삭감이나 각 부품의 단자를 삭감하며, 또한 장착공 수의 삭감과 부품의 삭감 등과 함께, 회로나 스위치의 변경 등에 의하여 소형화와 미소전류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구성 : 운전석에 근방에 부착한 노브(1)를 설치하고, 이 노브(1) 후부에 무빙블록(2)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해저드스위치(4)의 터미널블록 B의 부분에 플래셔유니트(50)를 구성한다. 상기 터미널블록(B)는 제 1 터미널블록(B1)과, 제 2 터미널블록(B2)을 기계적으로 조합하고 있다. 또, 제 2 터미널블록(B2)의 상면에는, 예로서, 플래셔릴레이(Ry), 션트저항(R)이나 전해콘덴서 (C1, C2), 점퍼선등, 디스크리트형의 전기부품을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UNIT CONSTITUTION OF HAZARD SWITCH}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치시, 차체의 전후 좌우측에 설치되고, 또한 사고방지상 점멸시키는 표시등(램프)의 조작 스위치이며, 상세히는 조작스위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자동차용 해저드스위치 (hazard switch)의 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자동차에 장착 설치된 각종 스위치장치는, 차실내외의 조명등이나 에어콘 혹은 라디오, 와이퍼, 윈도 등의 조작용에 사용되고 있다. 또 스위치장치는 용도에 있어서, 회전운동 혹은 미끄럼운동 스위치나 시소스위치, 토글스위치가 있으며, 그 외에 푸쉬스위치가 있는데, 신속한 조작성이 뛰어나므로 이 푸쉬스위치의 채용이 다른 스위치 등 보다 비교적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푸쉬스위치의 하우징은 중앙에 스프링을 설치하고, 노브의 푸쉬조작에 있어서 노브를 자동복귀 시키도록한 실개소 56 - 70936 호, 실개평 1- 62625 호의 간행물이 존재하고 있다. 그 조작에 있어서는 운전석 근방에 있는 노브를 손끝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를 닫고 있는 노브로 부터 손가락을 떼면 노브가 스프링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스위치가 열린 상태가 되는 스위치이다.
또, 노브를 누르면 로크가 되고, 다시 노브를 누르면 로크상태가 해제되는 이른바 하트캠을 가지는 스위치로크가 있다. 이 스위치로크는, 노브의 후부에 위치하는 하트캠의 가이드면에 접촉하면서 순환하며, 또한 노브에 설치된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는 핀을 설치하고 있다. 이 핀을 하트캠에 미끄럼운동 시키므로서, 노브의 푸쉬가 연속적으로 반복되고, 이에 의하여 스위치를 달거나 여는 것을 반복할 수가 있다.
즉, 하트캡에 핀이 걸렸을 때에 스위치는 닫히고, 또, 하트캠의 볼록부로 부터 벗어진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가 열린다. 이러한 타이프의 스위치로크의 특색에 있어서는, 스위치 전체의 형상을 엷게할 수가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전자부품을 조립한 장치에 소형스위치로서 조립할 수가 있다. 또 이 노브는 노브후부에 설치한 슬라이더가, 스프링에 의해서 항시 힘이 가하여져, 자동복귀가 된다.
또, 자동차부품으로서 해저드 스위치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해저드스위치는 자동차의 전후 좌우에 설치되어, 주위를 촉구할 때 사고방지용 터미널램프를 점멸시킬 수 있도록 운전석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또, 이 해저드스위치는 상기한 전자의 푸쉬로크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해저드 스위치는, 다른 프린트배선 기판이나 디스크리트 (discrete)부품을 조립한 이른바 플래셔 (flasher) 유니트와는 별개의제품이며, 이들 부품의 단자에 중간 하네스 (harness)를 배선하여 연결시키고 있다.
또, 장착에 있어서도 스페이스가 좁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점에 대한 배려에서 해저드스위치 및 플래셔유니트는, 각각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다. 또, 플래셔유니트에는 큰 전력이 흐른다. 이와같이 해저드스위치 및 플래셔유니트가, 각각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차량에 배선하는 중간 하네스가 많아져, 배선이나 장착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 또한 시그널램프로의 출력 수단을 단일 겅로로 하고 있다.
상기한 해저드스위치와, 플래셔유니트를 연결하는 중간 하네스는, 코스트 및 그 장착공수의 코스트에 있어서, 차량의 코스트를 높히는 결점이 있다. 또, 플래셔유니트의 스위치로직을 복잡하게 하고, 고장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 시그널램프로의 출력 수단이 단일이므로, 플래셔유니트에 있어서 전류를 미소하게 할 수가 없다는 결점과 함께, 또, 직접적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미끄럼운동 스위치가 전체를 대형으로 만들고 있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화를 도모하고, 중간 하네스의 삭감이나 각 부품의 단자를 삭감하며, 또한 장착공 수의 삭감과 부품의 삭감등과 함께, 전기회로나 스위치의 변경 등으로 소형화와 미소전류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전석 근방에 노브를 위치하도록한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에 있어서, 해저드스위치의 터미널 블록에 플래셔유니트를 구성하는 전자부품을 직접 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블록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기능을 가지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의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9 도에 의거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 구조의 제 1 실시예이며, 제 1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와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X-X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또한 제 5 도는 제 2 터미널블록의 저면 사시도, 제 6 도는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뒷면 덮개를 제거한 저면도, 제 7 도는 제 2 터미널블록의 터미널의 확대 평면도, 제 8 도는 플래셔릴레이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제 9 도는 플래셔유니트의 전기회로의 결선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의 구조는, 운전석의 근방에 위치한 노브(1)를 설치하고, 이 노브(1)의 후부에 무빙블록(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는 해저드스위치(4)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터미널블록 (B2)부분에 플래셔유니트(50)를 구성한다. 터미널블록 (B)는 제 1 터미널블록 (B1)과 제 2 터미널블록 (B2)을 기계적으로 조합시켜서 이루어져 있다. 또, 제 2 터미널블록(B2) 상면에는, 예로서 플래셔릴레이 (Ry), 션트서항 (R)나 전해콘덴서(C1,C2), 점퍼선 등, 디스크리트헝의 전자부품을 설치하고 있다.
또, 제 2 터미널블록 (B2) 하면에는, 플래트 패키지형의 집적회로(11), 칩형의 저항체, 전해콘덴서(C1,C2)를 설치하고 있다.
서페이스 (surface), 마운트, 디바이스(60)는, 디스크리트부품으로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 상기 터미널블록 B는 프린트배선기판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해저드스위치(4)는, 플래셔유니트(50)와 일체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의 구조에 있어서,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각 도면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A)의 내부의 부품설치 설명도이며, 부호 1은 운전석측에 설치하고 하트캠(6)을 가지는 푸쉬식으로 이동이 가능한 노브이다. 5는 노브(1)의 내측으로 부터 조명하는 발광다이오드 혹은 전구 등의 램프이며, 이 램프는 야간 또는 터널등 어두운 상태시에도 노브(1)의 위치를 눈으로 볼수 있도록 하고 있다. 6은 상기한 하트캠이며, 이 하트캠(6)의 가이드 오목면(25)을 따라 무빙피스(2a)의 구멍(2b)에 끼워지고, 또한 판 스프링(8)으로 지지하여 상하로 가동하는 핀(7)이 순환하여 무빙피스(2a)와 함께 핀(7)을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하고, 하트캠(6)의 볼록부(6a)에 걸어 멈추어 진다.
이와 같이 핀(7)이 무빙피스(2a)의 구멍(2b)에 끼워지고, 판 스프링(8)으로 지지되어 상하로 가동하므로, 이 무빙로크(2a)가 노브(1)의 눌림과 더블어 케이스(14)의 긴쪽 방향을 따라 진입할 때, 하트캠(6)의 가이드 오목면(25)을 따라 이동한다. 핀(7)이 하트캠(6)의 볼록부(6a)에 걸어 멈추어져 있을 때, 노브(1)는 진입한 ON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재차 노브(1)를 누르면,핀(7)은 하트캠(6)의 볼록부(6a)로 부터 떨어지고, 하트캠(6)의 볼록부(6a)주위를 따라 순환하며, 노브(1)는 스프링(10)에 눌려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즉, 노브(1)는, 후방에 설치한 무빙피스(2a)에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10)으로 원 위치 즉 노브(1)를 조작하기 전의 위치로 돌아 간다. 판 스프링(8)은 걸어멈춤편(8a)을, 무빙블록(2)의 내부 천정에 형성한 걸어 멈춤부(도시 생략)로 고정시키고, 스프링부(8a)로 핀(7)에 힘을 가하고 있다. 9는 작은 코일스프링이며, 이 코일 스프링(9)은 고정접점(18a)에 접촉하는 가동자(可動子)(16)에 힘을 부여한다. 또, 상부 덮개(14)를 제 1 터미널블록 (B1)을 통해서 제 2 터미널블록 (B2)위에 덮고 있다. 제 2 터미널블록 (B2)은, 외부 코넥터단자(20)를 제 1 터미널블록 (B1) 코넥터 (B11)의 관통공 (B12)에 삽입하여, 제 1 터미널 블록 (B1) 하면에 고정하고 있다. 15는 산 형상으로 구부린 판 형상의 슬라이더이며, 이 슬라이더(15)의 대략 중앙부분에 무빙피스(2a)의 저면에 설치한 고정 핀(17)으로 걸어 멈추고 있다. 제 2 터미널블록 (B2)은, 제 1 터미널블록(B1)에 부착하면, 고정접점(18a 및 18b)을 설치한 제 2 블록 (B2)의 설치면과, 고정접점(18c)을 설치한 제 1 블록 (B1)의 설치면이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즉, 노브(1)과 무빙피스(2a)를 스냅식으로 고정하였으므로, 노브(1)의 누름조작과 함께 슬라이더(15)를 진입시키면, 제 2 터미널블록 B와 제 1 터미널블록 B1에 형성된 고정접점(18b,18c)과 슬라이더(15)가 접촉하는 위치관계에 설치하고 있다. 슬라이더(15)는, 이동하였을 때 접점 (15a)이 고정접점 (18b)에, 그리고 접점 (15b)이 고정접점 (18c)에 접촉한다. 또, 19, 20은 외부 코넥터단자이며, 외부 코넥터단자 (19)는 제 1 터미널블록 (B1)과 스위치접점 (18c)을 가지고, 또, 제 2 터미널 블록 (B2)측에 외부 코넥터단자 (20)과 스위치접점이 되는 고정접점 (18a,18b)을 설치하고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의 분해 사시도이다.
노브(1)는 3각형 표시의 표시마크(21)를 디자인하여, 반투명의 플라스틱재(1a)에 인쇄를 하고 있다. 따라서 야간 혹은 어두운 장소에서 노브(1)를 눌렀을 때 내부의 램프(5)가 동시에 점등되어 표시마크(21)가 반투명의 플라스틱재(1a)로 부터 투시된다. 무빙피스(2a)는 앞부분을 개구하고 또 외면의 앞부분에 돌출부(22)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22)를 노브(1) 내면에 형성한 오목부(1b)에 걸어서 고정하고 있다. 또 무빙피스(2a)는, 후면부측 돌출부(23)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3)에 가이드부(24)를 형성하여, 무빙피스(2a) 이동시에 안내를 하고 있다. 또, 무빙피스(2a)는, 상면의 중앙부분에 설치한 핀(7)이, 하트캠(6)에 걸어 맞추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터미널블록(B1) 및 제 2 터미널블록(B2)은, 노브(1)를 조명하는 램프(5)의 단자와 접속하는 단자(26a,26b)를 형성하고 있다. 또, 그 제 1 터미널블록(B1)은, 슬라이더(15)를 끼우는 절결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또 그 제 1 터미널블록(B1)은, 슬라이더(15)를 끼우는 절결부(27)를 형성하고 있다. 또 터미널블록 (B1)의 긴쪽 방향으로 형성하는 구획벽(28)에 오목부(29)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29)에 무빙피스(2a)의 후면을 누르는 스프링(10)의 후부를 끼워 맞추고 있다. 구획벽(28) 내측에는, 플래셔릴레이 (Ry)를 끼우는 관통공(B13)을 뚫어 놓고있다. 또, 제 1 터미널블록(B1)은, 저면벽에 형성한 복수의 끼워맞춤부(30)에 끼워맞춤하는 걸어맞춤부(31)를 여러개소에 형성하는 제 2 터미널 블록(B2)에 플래셔유니트(50)를 설치하고, 또한, 네일(35)을 상부덮개(14)의 구멍(37)에 끼워 장착하므로서 해저드스위치(4)에 플래셔유니트(50)를 일체화하고 있다.
제 2 터미널블록(B2)에는, 플래셔릴레이(Ry)나 전해콘덴서 (C1,C2), 션트저항 (R)등, 상기한 전기부품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터미널블록(B2)은, 후부측에 여러개의 외부단자(20)를 형성하고 있다. 제 5 도는 제 2 터미널블록 (B2)의 저면 사시도이다. 제 2 터미널블록(B2)의 이면측에는 집적회로(11)나 기타의 전자부품을 갖추고, 또한 대략 중앙의 돌출부(32)선단을 부풀어 나오게 하고, 이 돌출부(32)를 이면덮개(34)의 중앙부분의 작은 구멍(33)에 끼워, 이면 덮개(34)를 제 2 터미널블록(B2)의 이면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제 2 터미널블록(B2)은, ㄷ자형상으로 형성한 상부 덮개(14)를 덮어 스냅식으로 고착시키고 있다.
제 7 도는 제 2 터미널블록(B2)내의 터미널 b의 확대평면도이며, 터미널 b에 외부단자(20)를 형성하고 있다. 제 8 도는 제 2 터미널블록 B2의 일부를 절결한 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전기부품 접속부를 상세히 설명하면, 14는 상부덮개이며, Ry는 플래셔릴레이이고, 또 제 2 터미널 블록(B2)의 상면에 스위치 접점부를 가지며, 또 이 제 2 터미널블록(B2)의 저면에 상기 서페이스ㆍ마운드ㆍ디바이스(60)를 설치하고 있다.
제 9 도는 플래셔유니트(50)의 전기회로의 결선 설명도이다.
플래셔유니트(50)는, 7개(①~⑦)의 외부 접속용 단자(코넥터 단자)를 각각가지며, 또 해저드스위치(4)는 6개의 스위치접점 (A'∼ f')을 가진다. 상기 접속부①에는 전원(BAT)에 접속한 이그니션스위치(70)로 부터 퓨우즈(90)를 통해서 접속하며, 또한 해저드스위치(4)의 스위치접점(A')측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접속부②에는 전원(BAT)으로 부터 퓨우즈(91)를 통해서 집적 해저드스위치(4)의 스위치접점 (B')측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접속부⑤에는 전원(BAT)로 부터 퓨우즈(92)를 통해서 조명용램프(5)에 접속하고, 램프(5)의 다른 일단은 접지하고 있다. 또, 접속부③에는 일단을 접지한 일방, 즉 우측(R)에 설치하는 턴시그널램프(80)의 다른 일단을 접속하고, 다시 해저드스위치(4)의 스위치접점 (D')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접속부④에는 일단을 접지한 다른 일방측, 즉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의 다른 일단을 접속하고, 다시 해저드 스위치(4)의 스위치접점 (F')측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접속부⑦에는, 상기 우측(R)의 턴시그널램프(80) 및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를 전환하는 턴시그널스위치(81)의 일방을 접속하고, 다시 해저드스위치(4)의 스위치접점 (E')측에 접속하고 있다.
접속부⑥의 양단측은 다른 것과는 접속관계 없이 접지하고 있다.
해저드스위치(4)는, 스위치접점 (C')측으로 부터 전해콘덴서 (C1)와 저항 (R4)을 통해서, 집적회로(11)의 단자(5)에 접속하머, 또, 저항(R2)을 통해서 집적회로(11)의 단자(6)에 접속한다. 또, 집적회로(11)의 단자(3)는, 검출저항 (RS)과 전해콘덴서 (C1)와의 사이에 결선하고 있다. 또, 해저드스위치(14)는, 스위치접점 (E')측으로부터 저항(R1)을 통해서 집적회로(11)의 단자(7)에 접속하고 있다.
이 단자(7)의 결선과 상기 단자(5)의 결선에 검출저항 (RS)과 상시 개방접점 (NO)을 접속한다. 또, 검출저항(RS)과 상시 개방접점 (NO)인 플래셔릴레이 (Ry) 접점(I)사이의 결선에 집적회로(11)의 단자(2)를 결선한다. 또, 이 단자(2) 결선에 콘덴서 (C2)의 일방을 접속하며, 또한 다른 일방을 집적회로(11)의 단자(4)에 접속한 결선에 접속한다. 이 단자(4)의 결선은 저항 (R3)을 통해서 일단을 접지하고 있다. 또, 플래셔릴레이 (Ry)는 저항 (R3)과 접지와의 사이에 있는 결선으로 부터 집적회로(11)의 단자(1)에 접속한 결선에 플래셔릴레이 (Ry)을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그와 같은 전기회로의 작용을 설명하면, 해저드스위치(4)가 ON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집적회로(11)의 단자(1)의 출력이 높아진다.
즉, Hi (고전위)로부터 Lo (저전위)를 반복한다. 또, 집적회로(11)의 단자(1)가 Hi일때, 플래셔릴레이 (Ry) 접점 (I)이 온이 된다. 또, 상기 우측(R)의 턴시그널램프(80) 및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에 전원(BAT)을 공급할 때는, 그 흐름을 전원(BAT)→퓨우즈(91)→접속부②→스위치접점B'→스위치접점C'-검출저항RS→접점I→스위치접점E'→스위치접점D' 및 스위치접점 F'→접속부③ 및 접속부④의 경로로 공급하고 있다.
턴시그널스위치(81)가 온일 때에는, 집적회로(11)의 단자(7)가, Lo로 되므로, 집적회로(11)의 단자(1)가 Hi일 때, 플래셔릴레이(Ry) 접점(I)이 온이다. 또, 상기 우측(R)의 턴시그널램프(80) 및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에 전원(BAT)을 공급할 때에는, 그 흐름을 전원(BAT)→이그니션스위치(70)→퓨우즈(90)→접속부①→스위치접점A'→스위치접점C'→검출저항RS→접점I→스위치접점E'→스위치접점D'및 스위치접점F'→접속부③, 및 접속부④에 통전하고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에 관해서, 기타의 실시예는 제 10 도 내지 제 13 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 10 도 내지 제 13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의 제 2 실시예이며, 제 10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유니트 A의 회로기판 d에 전기부품을 설치한 배면사시도, 제 11 도는 제 12 도의 표면사시도, 제 12 도는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제 13 도는 플래셔유니트(51)의 전기회로의 결선설명 회로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의 평면도 및 측면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에 있어서는, 우측(R)의 턴시그널램프(80) 및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의 출력수단을 각각 별도로 하고 있다. 즉, 2개의 릴레이 접점을 설치하였으므로, 스위치 로직의 간이화와 미소전류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하트캠(6)을 부착한 이른바 투시, 록크식의 하트캠스위치를 채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미소전류를 흘리는 택트스위치(3)는, 해저드스위치(12)내의 회로 기판 d에 설치하고 있다. 이 해저드스위치(12)는, 상부 덮개(14)내에, 회로기판 d와 극판본체(45)에 설치한 전기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플래셔유니트(51)를 내부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노브(1)를 푸쉬조작할 때, 무빙블록(13)내의 무빙피스(13a)가 택트스위치(3)를 눌러, 해저드스위치 유니트A의 스위치를 열림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극판본체(45)에 2개의 플래셔릴레이 (Ry1, Ry2)를 직접 설치하고, 또, 극판본체(45)와의 회로기판 d에 플래셔유니트(51)의 전기회로를 부착한다. 또, 택트스위치(3)는, 회로기판 d상에 납땜을 하고 있다. 따라서 노브(1)는, 푸쉬조작만으로 무빙피스(13a)가 택트스위치(3)를 누르므로서, 해저드스위치(12)가 오프로 부터 온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 10 도 내지 제 11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A의 회로기판d에 전기부품을 설치한 사시도이며, 택트스위치(3)는 서페이스ㆍ마운트ㆍ디바이스 타입이다.
39는 야간에 노브(1)를 내부로 부터 조명하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된 핀램프이며, 이 램프(39)의 단자(39a)를 회로기판 (d)에 접속한다. 또 집적회로(41)나 기타 다이오드(42)나, 칩 저항(43), 전해콘덴서(44)등을 회로기판 (d)의 양면에 설치한다.
제 12 도는 해저드스위치 유니트 (A)의 분해사시도이며, 14는 하부측을 개방하여 ㄷ 자형으로 형성한 상부 덮개이고, 이 상부덮개(14)는 무빙피스(13a)의 위로부터 극판본체(45)에 덮고 있다. 이 무빙피스(13a)는 앞부분을 직4각형의 상자형으로 하고, 또한 이 후부는 양측에 돌기편(36)을 형성하고 있다. 또 무빙피스(13a)의 앞부분의 상부벽 외면에 걸어맞춤부(38)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걸어맞춤부(38)를 노브(1)의 후부에 끼우면, 노브(1)의 내벽면에 형성한 오목부(도시 생략)에 걸어서 스냅식으로 고착시킬 수 있다.
또, 극판 본체(45)부분에는 플래셔릴레이 (Ry1, Ry2)가 2개 수용되며, 이 플래셔릴레이 (Ry1, Ry2)의 단자는 극판 본체(45)에 납땜으로 접속한다. 또, 상기 택트스위치(3)를 가지는 회로기판 d도 납땜으로 극판본체(45)에 장착한다.
또, 40은 코넥터이다. 제 13 도는 플래셔유니트(51)의 전기회로의 결선 설명도이며, 이것은, 플래셔유니트(51)의 전기회로를 상술하는 것이다. 이 플래셔유니트(51)는, 복수의 접속부①∼⑧을 가지고 있다.
또, 일단을 접지시킨 전원(BAT)은, 퓨우즈(93) 및 이그니션스위치(71)를 통해서 플래셔유니트(51)의 접속부①에 접속되며, 또, 이 결선은 집적회로(41)의 단자(A5)에 접속하고 있다. 또, 전원(BAT)으로 부터 퓨우즈(94)를 통하여 접속부②에 접속한 결성은, 집적회로(41)의 단자 (A4)와, 또 전해콘덴서(44) 및 저항 (R6)을 통해서 집적회로(41)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전해콘덴서(44)와 저항 (R6)사이의 결선은, 집적회로(41)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②로 부터의 결선은, 일방의 플래셔릴레이(Ry1)를 통해서 집적회로(41)의 단자(A6)에 접속하고, 다른 일방의 플래셔릴레이(Ry2)를 통해서 집적회로 집적회로(41)의 단자(A7)에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상시 개방접점(1', 2')의 전환을 하여 턴시그널램프(80)의 좌우를 점멸 시킨다. 따라서 일단을 접지시킨 우측(R)은, 턴시그널램프(80)을 통하여 접속부⑤에 접속하고, 또한, 상시 개방접점(1)을 통해서 집적회로(41)의 단자(A3)에 접속시키고 있다.
또,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는, 일단을 접지하고, 좌측(L)의 턴시그널램프(80)를 통하여 접속부(6)에 접속시키며, 또한 상시 개방접점(2')과 저항 (R11)를통해서 접속부②의 결선에 접속시키고 있다. 또, 접속부②로 부터 집적회로(41)의 단자(A4)에 접속한 결선은, 저항(R7)과, 이것과 병렬로 설치된 저항(R8) 및 다이오드(D1,D2)를 결선하며, 또한, 해저드스위치(12)의 일단에 접속하고 있다. 또 이 해저드스위치(12)의 다른 일단은, 일단을 접지시킨 접속부⑦로 부터 저항 (R9)을 통해서 집적회로(41)에 접속한 결선에 접속시키고 있다.
즉, 해저드스위치(12)는, 이 접속부⑦과 저항 (R9)과의 사이에 접속시킨다. 또, 플래셔유니트(51)의 접속부③에는, 일단을 접지시킨 턴시그널스위치(81)의 일방의 접점에 접속시키며, 또한, 다이오드(D3)를 통해서 집적회로(41)의 단자(A1)에 접속시킨다. 또, 다른 일방의 접점은 접속부④에 접속시키고, 또, 다이오드(D4)를 통해서 접적회로(41)의 단자(A2)에 접속시키고 있다. 또, 라이트스위치(100)는 접속부⑧에 접속시키고, 저항 (R10)과 발광다이오드 (D5)를 통해서 접지시키고 있다.
그와 같은 전기회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면, 해저드스위치(12)가 온상태일 때, 집적회로(41)의 단자 (A1,A2)의 출력이 공히 Lo로 되고, 집적회로(41)의 단자 (A6,A7)의 출력이 Hi와 Lo를 반복한다. 또, 집적회로(41)의 단자 (A6,A7)의 출력이 Hi일 때, 플레셔릴레이(Ry1,Ry2)의 접점(1',2')는 온상태이다. 따라서, 턴시그널램프(80)로의 전원(BAT)의 흐름은, 전원(BAT)→퓨우즈(94)→접속부②→저항R11→접점1' 및 접점2'→접속부⑤, 및 접속부⑥의 결로로 공급된다.
턴시그널스위치(81)가 온상태로 되었을 때, 집적회로(41)의 단자(A1)가 Lo의 출력을 반복한다. 또, 집적회로(41)의 단자 (A2)의 출력이 Lo 일 때, 집직회로(41)의 단자 (A7)의 출력이 Hi와 Lo를 반복한다. 또, 집적회로(41)의 단자 (A6)의 출력이 Lo일 때, 플래셔릴레이(Ry2)의 접점(1')이 온의 상태로 되고, 또, 집적회로(41)의 단자 (A7)의 출력이 Lo로 되며, 플래셔릴레이 (Ry1)의 접점 (2')가 온의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턴시그널램프(80)로의 전원(BAT)의 흐름은, 전원(BAT)→퓨우즈(94)→접속부②→저항R11→접점1' 또는 접점2'→접속부⑤ 또는 접속부⑥의 경로로 공급된다. 이그니션스위치(71)가 오프일 때는 턴시그널램프(80)로의 출력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집적회로(41)의 단자 (A5)의 출력이 이그니션스위치(70)를 감시한다.
이상과 같이, 해저드스위치 자체에 플래셔유니트를 일체로 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해저드스위치의 터미널블록에 플래셔유니트의 전기부품을 직접 부착하며, 또한 프린트 배선기판으로서의 기능을 터미널블록이 가지고, 또한, 릴레이 접점에 의하여 회로변경, 및 하트캠스위치 등의 사용으로 소형화나 미소전류화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또 하네스나 코넥터단자의 삭감, 장착공 수의 삭감,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을 도모할 수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스위치로직의 간소화나, 직접단절 미끄럼운동 스위치의 폐지, 택트스위치의 채용등, 또, 푸쉬만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며, 조작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는 등등으로, 차량의 저코스트회 및 개별제품 코스트의 저감을 가능하게, 유용성에 뛰어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다.
도면중, 제 1 도 내지 제 9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 구조의 제 1 실시예이며, 제 10 도 내지 제 13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 구조의 제 2 실시예로서,
제 1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화살표 X-X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제 2 터미널 블록의 저면 사시도,
제 6 도는 해저드 스위치유니트의 뒤 덮개를 탈거한 저면도,
제 7 도는 제 2 터미널블록의 터미널의 확대평면도,
제 8 도는 플래셔릴레이의 부착상태를 도시하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 9 도는 플래셔 유니트의 전기회로의 결선 설명도,
제 10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해저드스위치 유니트의 회로기판의 배면 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표면 사시도.
제 12 도는 스위치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제 13 도는 플래셔유니트의 전기회로의 결선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B : 터미널 블록
B1 : 제 1 터미널블록 B2 : 제 2 터미널블록
1 : 노브 2 : 무빙블록
2a : 무빙피스 20b,37 : 구멍
3 : 택트스위치 4,12 : 해저드스위치
5,39 : 램프 6 : 하트캠
6a : 볼록부 7 : 핀
8 : 판스프링 9 : 코일스피링
10 : 스프링 11,41 : 접적회로
13 : 무빙블록 14 : 케이스, 상부덮개
15 : 슬라이더 16 : 가동자
17 : 고정핀 18a,18b,18c : 고정접점
19,20.: 외부 코넥터단자, 외부단자 21 : 표시마크
22,23,32 : 돌출부 24 : 가이드부
25 : 오목면 26a,26b,39a : 단자
27 : 절결부 28 : 구획벽
29 : 오목부 30 : 끼워맞춤부
31,38 : 걸어맞춤부 33 : 작은 구멍
34 : 이면 덮개 35 : 네일
36 : 돌기편 39a : 단자
42 : 다이오드 43 : 칩 저항
44 : 전해 콘덴서 45 : 극판 본체
50,51 : 플래셔유니트 60 : 서페이스, 마운트, 디바이스
70,71 : 이그니션스위치 80 : 턴시그널 램프
81 : 턴시그널스위치 90~94 : 퓨우즈
100 : 라이트스위치

Claims (1)

  1. 운전석 근방에 노브를 위치하도록 한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에 있어서, 해저드스위치의 터미널블록에 플래셔유니트의 회로패턴을 이루는 터미널(b)을 구성하고, 이 터미널(b)에 플래셔유니트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을 접속고정하여 직접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b)에 의하여 터미널블록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드스위치의 유니트구조.
KR1019960001880A 1995-02-13 1996-01-29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KR100393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47844A JPH08222065A (ja) 1995-02-13 1995-02-13 ハザードスイッチのユニット構造
JP95-47844 1995-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30A KR960032530A (ko) 1996-09-17
KR100393426B1 true KR100393426B1 (ko) 2003-11-17

Family

ID=127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880A KR100393426B1 (ko) 1995-02-13 1996-01-29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56949A (ko)
JP (1) JPH08222065A (ko)
KR (1) KR100393426B1 (ko)
DE (1) DE19604493A1 (ko)
GB (1) GB2297866B (ko)
MX (1) MX9600378A (ko)
TW (1) TW315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9056B1 (it) * 1995-11-15 1997-12-04 Cavis Srl Dispositivo per il comando delle luci di emergenza di un autoveicolo, a cablaggio semplificato
JPH09185929A (ja) * 1995-12-28 1997-07-15 Niles Parts Co Ltd データイムランニングライト制御回路を内蔵したライティングスイッチ装置
JPH10144199A (ja) * 1996-11-05 199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ヒューズ装置
US6218634B1 (en) * 1999-09-01 2001-04-1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Switch with integrated flasher relay
KR100449657B1 (ko) * 2001-05-16 2004-09-21 세진전자 주식회사 푸시록 스위치
JP2011113741A (ja) * 2009-11-25 2011-06-09 Yazaki Corp スイッチ
JP5727782B2 (ja) * 2010-12-28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ソー式スイッチ
CN107336671B (zh) * 2016-11-18 2019-05-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闪光器电路以及提升汽车闪光器电磁兼容性能的电路
JP6602431B1 (ja) * 2018-07-30 2019-11-06 マレリ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11084563B1 (en) 2019-12-18 2021-08-10 Brunswick Corporation Tiller for outboard motor
US11597486B1 (en) 2019-12-18 2023-03-07 Brunswick Corporation Tiller for outboard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6190A (en) * 1956-09-17 1959-07-21 Hoda Corp Audible flashing safety turn signals for vehicles
DE1505572A1 (de) * 1966-04-09 1969-06-12 Bosch Gmbh Robert Warnlichtanlage fuer Fahrzeuge,insbesondere Kraftfahrzeuge
FR2184193A5 (ko) * 1972-05-10 1973-12-21 Peugeot & Renault
JPS5223258Y2 (ko) * 1973-07-11 1977-05-27
JPS5670936A (en) * 1979-11-14 1981-06-13 Hakugen Co Ltd Manufacture of packing bag
JPS58153130U (ja) * 1982-04-07 1983-10-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コラムスイツチ
JPS6462625A (en) * 1987-09-02 1989-03-09 Slidex Corp Overhead projector for strip film
US4739130A (en) * 1987-09-22 1988-04-19 Truck-Lite Co., Inc. Modular turn signal switch for heavy trucks
EP0399895B1 (fr) * 1989-05-23 1994-10-12 Valeo Electronique Platine de servitude associée au tableau de bord d'un véhicule automobile
DE3936380A1 (de) * 1989-11-02 1991-05-08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drucktastenschalter, insbesondere warnlichtschalter fue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30A (ko) 1996-09-17
TW315474B (ko) 1997-09-11
US5756949A (en) 1998-05-26
GB9601494D0 (en) 1996-03-27
GB2297866B (en) 1999-02-10
MX9600378A (es) 1997-01-31
DE19604493A1 (de) 1996-08-14
JPH08222065A (ja) 1996-08-30
GB2297866A (en) 199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830152C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0458157B1 (ko) 자동차용복합스위치레버장치
KR100393426B1 (ko) 해저드스위치의유니트구조
US20040149557A1 (en) Electric switch having both toggle and rocker functions
US6255610B1 (en) Switch system operating by the MID technique
US4179594A (en) Illuminated pushbutton assembly
GB2317748A (en) Switch assembly
JPH06290836A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充電用コネクタ
US5651450A (en) Switches, in particular switches that can be installed into the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witch
US6967296B2 (en) Steering switch device
US7022931B2 (en) Slide switch assemblies
US5821490A (en) Push button switch module
KR20050028853A (ko) 담배용 라이터용 조명 장치, 이 장치를 구비한 담배용라이터 및 이 담배용 라이터를 구비하는 차량
CZ315896A3 (en) Electric control module with optical waveguide for accommodating therein at least one incandescent lamp
US20020139648A1 (en) Multifunctional lever stalk
US6087601A (en) Modular multi-purpose switch
KR200141089Y1 (ko) 자동차의 실내등
KR10083836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JPH0417973Y2 (ko)
JPH08225042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ユニット
JPS62200627A (ja) リミツトスイツチ
JP3214064B2 (ja) 照光押ボタンスイッチ
JP4526889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JP3186233B2 (ja) イルミネーション付き多方向スイッチのソケット構造
KR200299678Y1 (ko) 엘이디램프가 내장된 차량용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