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698B1 - 전력 변환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변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698B1
KR101527698B1 KR1020147020858A KR20147020858A KR101527698B1 KR 101527698 B1 KR101527698 B1 KR 101527698B1 KR 1020147020858 A KR1020147020858 A KR 1020147020858A KR 20147020858 A KR20147020858 A KR 20147020858A KR 101527698 B1 KR101527698 B1 KR 10152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put terminals
current
transistor
leak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009A (ko
Inventor
야스타카 다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3Suppression of common mode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verter used
    • H02P2201/15Power factor Correction [PFC] circuit generating the DC link voltage for motor driving i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누설 전류가 현저하지 않은 구간 이외에서 보상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보상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한 손실을 저감한다.
다이오드 브리지(11)는 교류 전원(3)으로부터 교류가 입력되는 한 쌍의 입력단과, 직류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단(111,112)을 가진다. 승압 초퍼 회로(12)는, 한 쌍의 출력단(111,112)에 접속되며, 자신에게 입력된 직류 전압을 승압한다. 승압 초퍼 회로(12)는 역률 개선 회로로서 기능한다. 평활 콘덴서(13)는, 승압 초퍼 회로(12)의 출력측에 접속되며, 그 양단 전압을 평활화한다. 인버터(14)는, 평활 콘덴서(13)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교류 전력을 부하(4)에 부여한다.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부하(4)로부터 누설되는 누설 전류(Ia)를 보상하는 보상 전류(Ic)를 출력한다.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교류 전원(3)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의 제로 크로스 근방 이외에서, 보상 전류(Ic)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전력 변환 회로{POWER CONVERSION CIRCUIT}
이 발명은 부하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부하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에 게시하는 특허 문헌 1, 2는, 평활 콘덴서의 양단에 접속된 보상 전류 공급 회로가, 부하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보상하는 전류를 출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은 평활 콘덴서를 설치하지 않는 구조에 있어서, 전파 정류 회로인 다이오드 브리지와 인버터 장치를 연결하는 양측 입력 라인과 음측 입력 라인 사이에 노이즈 저감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이즈 저감 회로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온·오프 동작한다.
한편, 전력 변환 회로의 구성으로서, 역률 개선 회로를 채용하는 기술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역률 개선 회로는 통상, 승압 초퍼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력 변환 회로의 구동 대상이 전동기이며, 상기 전동기가 공기 조화기에 이용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구동하는 경우, 저온 하에서의 난방 능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승압 초퍼 회로가 채용된다.
승압 초퍼 회로는 그 기능상, 리액터, 스위치, 다이오드를 가지고 있으며, 리액터는 스위치에 대해 평활 회로와는 반대측에 설치되게 된다.
일본국 특허 제304465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1-12291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92861호 공보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을, 역률 개선 회로를 가지는 전력 변환 회로에 적용하면, 평활 후의 직류 전압에 의거하여 보상 전류 공급 회로가 동작한다. 또,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평활 콘덴서가 채용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노이즈 저감 회로에 있어서, 누설 전류를 검출한 전압을 증폭기로 증폭시켜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고, 이들을 서로 반대로 온·오프 동작시키고 있다.
따라서 어느 특허 문헌에 기재된 기술에서도, 전파 정류 회로에 입력하는 교류의 파형에 의존하지 않고 보상 전류를 출력한다.
그러나, 역률 개선 회로에서는, 전파 정류 회로에 입력하는 교류의 제로 크로스 근방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그 다이오드가 도통 상태에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서도 보상 전류를 흐르게 하려고 하면, 보상 전류를 흐르게 하는 회로에서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시켜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누설 전류가 현저하지 않은 구간 이외에서 보상 전류를 출력함으로써, 보상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한 손실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1 양태는, 교류 전압(Vs)이 입력되는 한 쌍의 입력단과, 직류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단(111, 112)을 가지는 다이오드 브리지(11)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승압 초퍼 회로(12)와, 상기 승압 초퍼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13)와, 상기 평활 콘덴서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부하(4)를 구동하는 전력을 출력하는 인버터(14)와, 상기 부하로부터 누설되는 누설 전류(Ia)를 상기 교류 전압의 제로 크로스 근방 이외에서 보상하는 보상 전류(Ic)를 출력하는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를 구비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2 양태는, 그 제1 양태이며, 상기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류들의 차분으로부터 상기 누설 전류(Ia)에 대응하는 검출 전류(Ib)를 출력하는 누설 전류 검출기(21)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111, 112)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입력단(224, 225)과, 상기 검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보상 전류(Ic)를 출력하는 보상 전류 출력단(223)을 가지며, 상기 보상 전류 출력단이 상기 부하(4)의 누설 전류가 누설되는 개소(41)에 접속되는 보상 전류 출력부(22)를 구비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3 양태는, 그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이며,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일방(111)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애노드와, 캐소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타방(112)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타방 사이에 접속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4 양태는, 그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이며,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일방(112)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타방(111)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지며,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 사이에 접속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5 양태는, 그 제2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보상 전류 출력부(22)는, 그 상기 한 쌍의 입력단(224, 225)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221)와 제2 트랜지스터(2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서로 도전형이 상이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접속되는 접속점이 상기 보상 전류 출력단(223)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점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사이에 상기 검출 전류가 흐른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1 양태에 의하면, 누설 전류가 현저하지 않은 구간 이외에서 보상 전류가 출력되므로, 보상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보상 전류 출력부가, 승압 초퍼 회로의 출력측이 아니고, 정류 회로의 한 쌍의 출력단의 사이에 접속되므로, 누설 전류가 작을 때의 보상 전류 출력부의 동작이 억제되어, 전력 소비가 저감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정류 회로의 한 쌍의 출력단에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전력 변환 회로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정류 회로의 한 쌍의 출력단에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전력 변환 회로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발명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제5 양태에 의하면, 누설 전류에 대응하는 보상 전류를, 접속점으로부터 누설 개소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구성을, 그 주변부와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승압 초퍼 회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누설 전류와 다이오드 브리지에 입력하는 교류 전압, 교류 전류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전력 변환 회로의 구성을, 그 주변부와 함께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상기 전력 변환 회로는, 다이오드 브리지(11)와, 승압 초퍼 회로(12)와, 평활 콘덴서(13)와, 인버터(14)와,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오드 브리지(11)는 교류 전원(3)으로부터 교류가 입력되는 한 쌍의 입력단과, 직류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단(111, 112)을 가진다.
승압 초퍼 회로(12)는, 한 쌍의 출력단(111, 112)에 접속되며, 자신에게 입력된 직류 전압을 승압한다. 승압 초퍼 회로(12)는 역률 개선 회로로서 기능한다.
평활 콘덴서(13)는, 승압 초퍼 회로(12)의 출력측에 접속되며, 그 양단 전압을 평활화한다.
인버터(14)는, 평활 콘덴서(13)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교류 전력을 부하(4)에 부여한다.
부하(4)는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채용되는 모터이다. 상기 모터는 압축기 중의 압축 요소와 함께 냉매나 윤활유에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외곽과의 사이에 부유 용량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윤활유가 냉매에 녹아든, 이른바 「잠들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 냉매의 유전율이 상승되고, 상기 부유 용량은 증대되어 누설 전류의 발생이 현저해진다.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부하(4)로부터 누설되는 누설 전류 Ia를 보상하는 보상 전류 Ic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에는,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교류 전원(3)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의 제로 크로스 근방 이외에서, 보상 전류 Ic를 출력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역률 개선 회로(여기에서는 승압 초퍼 회로(12))에는, 전파 정류 회로(여기에서는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하는 교류의 제로 크로스 근방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보상 전류 Ic를, 누설 전류 Ia가 현저하지 않은 제로 크로스 근방의 구간 이외에서 흐르게 함으로써, 보상 전류 Ic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승압 초퍼 회로(12)는, 리액터(121)와, 다이오드(122)와, 스위칭 소자(123)를 가진다. 리액터(121)는, 다이오드 브리지(11)의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출력단(111)에 접속된다. 다이오드(122)의 애노드는, 리액터(121)를 통하여, 다이오드 브리지(11)의 출력단(111)에 접속된다. 그 캐소드와, 다이오드 브리지(11)의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출력단(112) 사이에는, 평활 콘덴서(13)가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123)는 예를 들면 절연 게이트형 바이폴러 트랜지스터가 채용되며, 다이오드(122)의 애노드와 출력단(112) 사이에 접속된다.
혹은 승압 초퍼 회로(12)는 도 2의 회로도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승압 초퍼 회로(12)에 있어서, 리액터(121)는, 출력단(112)에 접속되며, 다이오드(122)의 캐소드는 리액터(121)를 통하여 출력단(112)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123)는, 다이오드(122)의 캐소드와 출력단(111) 사이에 접속된다. 평활 콘덴서(13)는, 다이오드(122)의 애노드와, 출력단(111) 사이에 접속된다.
혹은 승압 초퍼 회로(12)에는 이른바 인터리브 방식으로 동작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승압 초퍼 회로(12)는 정류 회로인 다이오드 브리지(11)의 한 쌍의 출력단(111, 112)에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승압시키므로, 전력 변환 회로의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동작의 상세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력 변환 회로에 있어서 역률 개선 회로는 상시 가동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에 채용되는 상기 서술한 전력 변환 회로에서는, 스위칭 소자(123)가 계속 오프하는 경우(이하 「역률 개선 회로의 오프 상태」라고도 칭한다)와, 스위칭 소자(123)가 어떤 듀티비로 스위칭하는 경우(이하 「역률 개선 회로의 온 상태」라고도 칭한다)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역률 개선 회로가 실질적으로는 승압 초퍼로서 기능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역률 개선 회로가 승압 초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평활 후의 직류 전압은 이들 두 개의 경우에서 크게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역률 개선 회로의 온 상태에서의 평활 후의 직류 전압은, 역률 개선 회로의 오프 상태에서의 평활 후의 직류 전압보다 높다.
따라서 평활 콘덴서(13)의 양단 전압에 의거하여 누설 전류 저감 장치(2)가 동작하면, 상기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 보상 전류 Ic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역률 개선 회로의 온 상태에서의 누설 전류를 적절히 보상하려고 하면, 역률 개선 회로의 오프 상태에서는 손실이 증대한다. 역률 개선 회로의 오프 상태에서의 누설 전류를 적절히 보상하려고 하면, 역률 개선 회로의 온 상태에서는 보상이 불충분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도, 누설 전류 저감 장치(2)의 동작이 평활 콘덴서(13)의 양단 전압에 의거하기 보다, 교류 전원(3)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의 제로 크로스 근방 이외에서, 보상 전류 Ic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누설 전류 검출기(21)와, 보상 전류 출력부(22)를 구비한다. 누설 전류 검출기(21)는,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류들의 차분으로부터 누설 전류 Ia에 대응하는 검출 전류 Ib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누설 전류 검출기(21)는, 교류 전원(3)과 다이오드 브리지(11) 사이에 설치되는 커먼 모드 초크 및 이것에 유도 결합한 코일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에 검출 전류 Ib가 흐른다. 이러한 구성 자체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특허 문헌 1~3에 의해 주지이므로, 상세한 것은 설명하지 않는다.
보상 전류 출력부(22)는, 한 쌍의 출력단(111, 112)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입력단(224, 225)과, 검출 전류 Ib에 응답하여 보상 전류 Ic를 출력하는 보상 전류 출력단(223)을 가진다. 그리고 보상 전류 출력단(223)이 부하(4)의 누설 전류 Ia가 누설되는 개소(41)에 접속된다. 개소(41)는 예를 들면 접지 G로 접지된다. 혹은 접지 G와 개소(41) 사이에는 기생 임피던스가 존재한다. 도 1에서는 상기 기생 임피던스가 존재할 가능성을, 개소(41)와 접지 G 사이의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보상 전류 출력부(22)는, 그 한 쌍의 입력단(224, 225)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트랜지스터(221, 222)를 구비한다. 트랜지스터(221, 222)는 서로 도전형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221)는 PNP형이며, 트랜지스터(222)는 NPN형이다. 트랜지스터(221, 222)들이 접속되는 접속점이 보상 전류 출력단(223)에 접속된다. 상기 접속점과, 트랜지스터(221, 222)의 베이스 사이에 검출 전류 Ib가 흐른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221)의 제어 전극인 베이스와, 트랜지스터(222)의 제어 전극인 베이스는, 예를 들면 저항을 통하여 누설 전류 검출기(21)에 접속된다. 상기 저항에 검출 전류 Ib가 흐름으로써,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이 트랜지스터(221, 222)에 인가되게 된다.
보상 전류 출력단(223)으로부터 보상 전류 Ic가 개소(41)에 흐른다. 단, 보상 전류 Ic로부터 직류 분을 커트하기 위해, 보상 전류 출력단(223)과 개소(41) 사이에 용량성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소자(226), 예를 들면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상 전류 출력부(22)의 구성 자체도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특허 문헌 1~3에 의해 주지이므로, 상세한 것은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승압 초퍼 회로(12)를 이용하는 것이나, 또한 승압 초퍼 회로(12)를 채용한 다음, 입력단(224, 225)이 출력단(111, 112)에 접속된 양태는, 어느 특허 문헌 1~3에도 소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보상 전류 출력부(22)가, 승압 초퍼 회로(12)의 출력측이 아니고, 다이오드 브리지(11)의 한 쌍의 출력단(111, 112) 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221, 222)의 동작에 상관없이, 보상 전류 출력부(22)는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하는 교류 전압 Vs의 제로 크로스 근방에서는, 보상 전류 Ic를 실질적으로는 흐르게 하지 않는다.
도 3은 누설 전류 Ia와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하는 교류 전압 Vs 및 교류 전류 Is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누설 전류 Ia는, 교류 전류 Is가 클수록 증대한다. 그러나 교류 전류 Is는 승압 초퍼 회로(12)의 기능에 의해, 교류 전압 Vs의 제로 크로스 근방에서는 작다. 따라서 교류 전압 Vs의 제로 크로스 근방에서 보상 전류 Ic를 실질적으로는 흐르게 하지 않아도, 누설 전류 Ia의 저감은 실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누설 전류 Ia의 저감을 실효시키면서, 전력 손실을 저감시키려면, 입력단(224, 225)을 평활 콘덴서(13)의 양단이 아니고, 출력단(111, 112)과 같은, 교류 전압 Vs의 제로 크로스가 반영되는 위치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이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며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7)

  1. 교류 전압(Vs)이 입력되는 한 쌍의 입력단과, 직류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단(111, 112)을 가지는 다이오드 브리지(11)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승압 초퍼 회로(12)와,
    상기 승압 초퍼 회로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평활 콘덴서(13)와,
    상기 평활 콘덴서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부하(4)를 구동하는 전력을 출력하는 인버터(14)와,
    상기 부하로부터 누설되는 누설 전류(Ia)를 상기 교류 전압의 제로 크로스 근방 이외에서 보상하는 보상 전류(Ic)를 출력하는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회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 전류 저감 장치(2)는,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11)에 입력되는 한 쌍의 전류들의 차분으로부터 상기 누설 전류(Ia)에 대응하는 검출 전류(Ib)를 출력하는 누설 전류 검출기(21)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111, 112)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입력단(224, 225)과, 상기 검출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보상 전류(Ic)를 출력하는 보상 전류 출력단(223)을 가지며, 상기 보상 전류 출력단이 상기 부하(4)의 누설 전류가 누설되는 개소(41)에 접속되는 보상 전류 출력부(22)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회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일방(111)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애노드와, 캐소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타방(112)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지며,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타방 사이에 접속되는, 전력 변환 회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일방(112)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타방(111)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지며,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 사이에 접속되는, 전력 변환 회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일방(111)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애노드와, 캐소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타방(112)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지며,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타방 사이에 접속되는, 전력 변환 회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압 초퍼 회로(12)는,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저전위측의 일방(112)에 접속되는 리액터(121)와,
    상기 리액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에 접속되는 캐소드와, 애노드를 가지는 다이오드(122)와,
    상기 캐소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 중 고전위측의 타방(111)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123)를 가지며,
    상기 평활 콘덴서(13)는, 상기 애노드와, 상기 한 쌍의 출력단의 상기 일방 사이에 접속되는, 전력 변환 회로.
  7.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전류 출력부(22)는, 그 상기 한 쌍의 입력단(224, 225)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제1 트랜지스터(221)와 제2 트랜지스터(2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서로 도전형이 상이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접속되는 접속점이 상기 보상 전류 출력단(223)에 접속되며,
    상기 접속점과,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과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 사이에 상기 검출 전류가 흐르는, 전력 변환 회로.
KR1020147020858A 2012-01-27 2012-10-18 전력 변환 회로 KR101527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5255 2012-01-27
JP2012015255A JP5201276B1 (ja) 2012-01-27 2012-01-27 電力変換回路
PCT/JP2012/076917 WO2013111402A1 (ja) 2012-01-27 2012-10-18 電力変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009A KR20140110009A (ko) 2014-09-16
KR101527698B1 true KR101527698B1 (ko) 2015-06-09

Family

ID=4871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858A KR101527698B1 (ko) 2012-01-27 2012-10-18 전력 변환 회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90926B2 (ko)
EP (1) EP2808990B1 (ko)
JP (1) JP5201276B1 (ko)
KR (1) KR101527698B1 (ko)
CN (1) CN104054251B (ko)
AU (1) AU2012367570B2 (ko)
BR (1) BR112014017983A8 (ko)
ES (1) ES2664648T3 (ko)
WO (1) WO2013111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5676B2 (ja) * 2014-09-17 2017-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および圧縮機駆動装置
CN106716807A (zh) * 2014-09-30 2017-05-24 大金工业株式会社 电力转换装置
SE539353C2 (en) * 2015-11-18 2017-07-25 Optistring Tech Ab Combined common mode inductor and differential signal 12
US9871462B2 (en) * 2015-12-11 2018-01-16 Phase Technologies, Llc Regenerative variable frequency drive with auxiliary power supply
US10277115B2 (en) 2016-04-15 2019-04-3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Filtering systems and methods for voltage control
US10763740B2 (en) 2016-04-15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witch off tim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387729B2 (en) 2016-04-15 2022-07-1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Buck-converter-based drive circuits for driving motors of compressors and condenser fans
US10656026B2 (en) 2016-04-15 2020-05-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sensing circuit for transmitting data across isolation barrier
US10284132B2 (en) 2016-04-15 2019-05-0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river for high-frequency switching voltage converters
US10305373B2 (en) 2016-04-15 2019-05-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put reference signal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US9933842B2 (en) 2016-04-15 2018-04-0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Micro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JP2019118243A (ja) * 2017-12-27 2019-07-18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SG11202011091QA (en) * 2018-05-10 2020-12-30 Toshiba Kk Dc transformation system
JP6803049B2 (ja) * 2018-05-31 2020-12-23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電源回路、および振動発電装置
CN108471244A (zh) * 2018-06-14 2018-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频压缩机降低泄漏电流的补偿电路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650B2 (ko) * 1984-04-11 1991-07-08 Sara Rii Deii Ii Nv
JPH0568375A (ja) * 1991-09-10 1993-03-1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11122910A (ja) * 1997-10-16 1999-04-30 Toshiba Corp フィルタ装置
JP2000092861A (ja) * 1998-09-08 2000-03-31 Toshiba Corp 電力変換装置
JP3044650B2 (ja) * 1996-03-27 2000-05-22 勲 高橋 電力変換装置のノイズ低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807B2 (ja) 1987-11-04 1995-06-14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三弗化窒素の製造方法
JP3364000B2 (ja) * 1994-05-06 2003-01-08 株式会社ユタカ電機製作所 無停電電源装置
JPH1042585A (ja) * 1996-05-21 1998-02-13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の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TW407394B (en) * 1997-10-16 2000-10-01 Toshiba Corp Frequency converter to output electric driving power to motor and filter installed on it
EP0980116A1 (de) * 1998-08-12 2000-02-16 ELESTA relays GmbH Sockelklemme, Sockel mit Klemm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lemme
US6134126A (en) 1998-09-08 2000-10-17 Kabushiki Kaisha Toshiba Power conversion system
JP3697988B2 (ja) * 1999-12-28 2005-09-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機または圧縮機駆動システム
JP3716152B2 (ja) * 2000-02-28 2005-11-16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2001145382A (ja) * 2000-10-16 2001-05-25 Hitachi Ltd モータ制御装置
US6690230B2 (en) * 2001-05-17 2004-02-10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Active common mode filter connected in A-C line
US7095400B2 (en) * 2003-07-28 2006-08-22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of automatically enabling or disabling backlight of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JP2009254179A (ja) * 2008-04-09 2009-10-29 Nissan Motor Co Ltd 車両駆動装置
JP5263663B2 (ja) * 2008-08-28 2013-08-14 富士電機株式会社 伝導性ノイズ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650B2 (ko) * 1984-04-11 1991-07-08 Sara Rii Deii Ii Nv
JPH0568375A (ja) * 1991-09-10 1993-03-1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3044650B2 (ja) * 1996-03-27 2000-05-22 勲 高橋 電力変換装置のノイズ低減装置
JPH11122910A (ja) * 1997-10-16 1999-04-30 Toshiba Corp フィルタ装置
JP2000092861A (ja) * 1998-09-08 2000-03-31 Toshiba Corp 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01276B1 (ja) 2013-06-05
BR112014017983A2 (ko) 2017-06-20
EP2808990B1 (en) 2018-03-21
WO2013111402A1 (ja) 2013-08-01
AU2012367570B2 (en) 2015-05-14
CN104054251A (zh) 2014-09-17
ES2664648T3 (es) 2018-04-20
US20150009723A1 (en) 2015-01-08
EP2808990A1 (en) 2014-12-03
CN104054251B (zh) 2015-11-25
EP2808990A4 (en) 2015-09-02
BR112014017983A8 (pt) 2017-07-11
US9190926B2 (en) 2015-11-17
JP2013158096A (ja) 2013-08-15
KR20140110009A (ko) 2014-09-16
AU2012367570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98B1 (ko) 전력 변환 회로
KR101496627B1 (ko) 전력 변환 회로
US984326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control method
JP2010104075A (ja) 電源回路
US20170359069A1 (en) Level shifter circuit
US7786679B2 (en) Electronic ballast for discharge lamps having an EOL monitoring circuit
US9001540B2 (en) Power source apparatus
CN210014402U (zh) 电磁加热器具的控制电路及电磁加热器具
JP2008289240A (ja) 能動フィルタ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5141228B2 (ja) 能動フィルタ装置及び電力変換装置
JP2013247732A (ja) 電源装置
CN112655144A (zh) 用于半导体器件的电压平衡电路
US20240146297A1 (en) Gate driving device
JP2017147892A (ja) 共振コンバータ
JP6481107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の駆動回路及び方法
JP2011205771A (ja) ハーフブリッジ型コンバータ
JP2012239333A (ja) 昇圧型チョッパ回路および昇圧型チョッパ回路の設計方法
JP2008061369A (ja) 共振型スイッチング電源
JP2000139078A (ja) 直流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