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94B1 - 시트 벨트 조정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94B1
KR101527594B1 KR1020137004699A KR20137004699A KR101527594B1 KR 101527594 B1 KR101527594 B1 KR 101527594B1 KR 1020137004699 A KR1020137004699 A KR 1020137004699A KR 20137004699 A KR20137004699 A KR 20137004699A KR 101527594 B1 KR101527594 B1 KR 10152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swing rods
forc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920A (ko
Inventor
잉위 쑨
Original Assignee
잉위 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위 쑨 filed Critical 잉위 쑨
Publication of KR2013009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벨트에 적용가능한 시트 벨트 조정기(adjuster)를 제공하며, 이 조정기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 단부들이 같이 힌지되고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정지 상태로 록킹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의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로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들과;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힘을 가함으로써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경시켜서,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를 거쳐 시트 벨트의 벨트 위에 변화가능한 힘을 직접 가하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조정기{Seat Belt Adjuster}
본 발명은, 정상 사용, 비상 제동, 및 사용 후의 수축을 포함하는 다른 상황들에서 시트 벨트의 록킹(locking) 또는 수축 정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벨트들에 적용가능한 시트 벨트 조정기에 대한 것이다.
차량들의 수동적인 안전은 사고의 경우 탑승자들의 보호 성능을 의미한다. 자동차의 경우, 안전 벨트와 에어백들이 수동적인 안전을 위한 공중의 커다란 관심 부품들이다. 그러나, 에어백들의 안전 보호 효과는 실질적으로 미미하고, 시트 벨트가 바르게 고정되지 않으면 에어 백들이 이완될 때 탑승자는 부상을 입을 수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시트 벨트는 보통 비상시 록킹되는 종류의 시트 벨트들이다. 사용 전에, 시트 벨트는 용이하게 당겨질 수 있다. 정상 운전 과정에서, 자동차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retractor)는 시트 벨트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약한 스프링 수축 힘을 미치며, 탑승자에게 과도한 압력 감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정한 충돌과 심한 흔들림의 경우, 록킹 기구는 시트 벨트가 더욱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각 시트 벨트를 잡아 록킹한다.
최근, 일종의 프리-텐셔너(pre-tensioner) 제한 시트 벨트가 개발되었고, 이는 충돌의 경우 탑승자의 몸을 효과적으로 구속하기 위하여 더욱 시트 벨트를 긴장시킬 수 있다.
현재, 많은 프리-텐셔너 시트 벨트들은 불꽃점화(pyrotechnic) 원리, 즉, 소위 “불꽃점화 시트벨트”를 채용한다. 불꽃점화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는, 작동되면, 폭발 에너지에 의해 리트랙터가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장력 발생 효과를 얻는 일 세트의 불꽃점화 수단을 가진다.
이러한 시트 벨트는 보통 에어백들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보통, 이러한 프리-텐셔너 시트 벨트는 두 가지 기능 원리: 가벼운 충돌 또는 심한 제동 동안 종래의 시트 벨트들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즉, 시트 벨트가 힘에 의해 신속히 당겨지면, 리트랙터가 록킹하나, 불꽃점화 수단을 작동시키지는 않는다. 그러한 의미에서, 불꽃점화 수단은 충돌이 어느 정도의 심각성에 도달시에만 기능한다. 또한, 불꽃점화 수단은 작동된 후에는 수리점에서 교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일회용(one-off type)이다.
불꽃점화 시트 벨트 장치에서, 가스 발생기는 기본적이다. 또한, 고압가스의 사용은 사용 동안 충분한 강도와 누설-방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와 구조가 사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프리-텐셔너 시트 벨트는 충돌의 경우, 제조 공정에서 설정된, 사전 설정된 힘을 발생할 것이며, 구체적인 탑승자의 신체 형태에 적응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프리-텐셔너 시트 벨트 장치의 안전 보호 성능은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 또한, 그러한 장치는 시트 벨트용 롤러 샤프트에 직접 운동 에너지를 가하기 위하여 리트랙터에 일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장치는 큰 크기, 복잡한 설계, 고가, 및 조정의 불편함, 등의 단점들을 가진다.
일부 차량들에는 전자-동력 기구에 의해 제공된 사전-장력부여(pre-tensioning) 기능을 가지는 사전-충돌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그러한 사전-충돌안전 시스템에서, 시트 벨트는 재사용될 수 있다. 물론, 재사용 사이클의 수는 제한된다. 한도가 초과되면, 프리-텐셔너 시트 벨트를 포함하는 전체 사전-충돌 안전 시스템이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한 사전-충돌 안전 시스템이 재사용 가능하더라도 교체하기가 어렵다. 또한, 시스템이 전자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므로, 또한 복잡한 구조, 교체의 불편함, 고가, 저 신뢰성, 및 낮은 적용가능성, 등의 결점들을 가진다.
특허 문서 제GB2294866호에는, 기계적 제어를 위해 관성을 이용하는 프리-텐셔닝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17 도시와 같이, 정상 구동 상태에서, 가동 로드(16)가 매스 블록(17)과 견고히 결합하지 않으나, 대신에 시트 벨트 지지부재(47)와 결합되며; 시트 벨트 지지부재(47)는 도 17 도시와 같이, 시트 벨트의 직조 벨트(S)의 벨트 버클(53)에 쐐기 고정된다. 감속이 정해진 안전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 매스 블록(17)은 관성 효과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며, 마침내, 가동 로드(16)는 오목-볼록 결합 방식으로 매스 블록(17)과 결합하고 시트 벨트 지지부재(47)로부터 분리되므로, 시트 벨트 지지부재(47)는 방향(F)으로 직조 벨트(S)를 아래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며, 이로써 제한된 위치에 시트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여 제한시킨다.
이러한 기계적 프리-텐셔닝 장치에 의해 제공된 장력은 슬롯(30)의 아크 길이에 따른다. 더 높은 장력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롯(30)의 아크 길이는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조립체는 불가피하게 큰 공간을 점유한다. 또한, 슬롯(30)의 아크 길이가 길수록 전체 조립체의 반응 시간은 더 길며, 이는 충돌시의 탑승자 부상의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프리-텐셔닝 장치가 가동 로드(16)와 매스 블록(17) 사이의 결합 및 시트 벨트 지지부재(47)로부터의 가동 로드(16)의 동시적인 분리에 의해 장력 부여 과정을 실행하므로, 결합/분리의 어느 하나가 실패하면 프리-텐셔닝 장치의 오작동의 심각한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프리-텐셔닝 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제한된다.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계 및 제조의 부가적인 비용이 필요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손상시킨다.
특허 문서 제US4768809호에 또 다른 프리-텐셔닝 장치가 개시된다. 그 프리-텐셔닝 장치에는 인접 단부들이 같이 힌지된 두 스윙 로드들로 구성된 구조가 시트 벨트에 장력을 가하고 제한된 위치에서 시트 벨트를 제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러나, 그 구조는 GB22948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통 특징을 가지며, 즉, 시트 벨트의 장력을 안내하기 위하여 아크-형상의 가이드 슬롯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그 구조는 또한 상기 설명한 결점들, 즉, 장력은 가이드 슬롯 구조에 의해 제한되고 큰 공간이 점유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결점들이 없는 시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 운전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시트 벨트의 제로 압력 하에 탑승자가 편안하게 행동하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시트 벨트는 탑승자에게 적절한 거의 제로의 제한 힘을 가할 수 있어야 하나, 일정한 비상 또는 재난적인 사건의 경우 시트 벨트는 제시간에 장력 조절할 수 있으며, 사건 후에 자동으로 시트 벨트를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벨트는 간단한 구조, 높은 신뢰성, 용이한 교체 및 조정, 저가, 및 넓은 적용성, 등의 이점들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 사용, 비상 제동, 및 사용 후의 수축, 등을 포함하는 다른 상황들에서 시트 벨트의 록킹 또는 수축 정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시트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 벨트의 시트벨트 조정기를 제공한다. 이 조정기는,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 단부들이 같이 힌지되고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정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가능한, 상기 제1 스윙 로드와 상기 제2 스윙 로드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들; 및 상기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상기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상기 스윙 로드들의 힌지 점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상기 끼인각을 변화시켜서,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를 거쳐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 위에 변경가능한 힘을 직접 적용하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이 180°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일 때,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 위에 수직으로 완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하고,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상기 끼인각이 작은 시그날링 힘의 작용 아래 액튜에이터를 거쳐 변화되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시트 벨트의 시트를 이완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이 180°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일 때,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를 이동하도록 이완시킬 수 있고,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상기 끼인각이 작은 시그날링 힘의 작용 아래 상기 액튜에이터를 통해 변화되고,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에 수직으로 완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를 록킹한다.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안전 한계를 감속이 초과하면,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된다.
바람직하게는, 정해진 안전 한계를 감속이 초과하면,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자동으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를 이완시키므로,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가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 장력을 긴장시켜 시트의 탑승자를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상 사용 동안, 상기 다른 인접 단부는 필요한 인출 길이 위치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를 록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힘을 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벨트는, 지지 필러 위에 현가되어 탑승자의 어깨 근처의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의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서스펜더와, 상기 시트의 측면에서 상기 시트의 하부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된 리트랙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는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 위에 직접 작용하도록 상기 서스펜더와 상기 리트랙터 사이의 일정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튜에이터는 질량체(mass object)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체의 관성 효과 아래 자동으로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튜에이터는 제어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전자-동력(electro-dynamic) 부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의 장력 변화에 기인하는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감지 부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지지 스윙 로드(2)들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또한, 지지 스윙 로드(2)들,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편심 롤러(12)의 샤프트(14)는 기본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으며, 수직으로 정렬된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연장 라인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저촉 위치에 수직으로, 역전된 “T"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지지 스윙 로드(2)들이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될 때,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에 대해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의해 가해진 지지력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시트 벨트에 최대 압력을 가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력은 단지 감속으로부터 초래된 차량 헤드 방향을 향하는 관성 힘의 양에 의해서만 변경될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서,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와 비-수직으로 정렬된 상태 사이의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상태 전환은 같은 평면에서 발생하며, 이는 차량 진행 방향에 평행이다. 그러므로, 전체 조립체는 차체의 일 측면에서 평평한 레이아웃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매우 작은 공간을 점유한다.
셋째, 이론적으로, 본 발명의 조정기에 의해 제공된 지지력은 단지 로드들의 강성과 로드들을 위한 지지 구조에 의존하며, 설계 및 제조상의 높은 조건들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즉, 큰 지지력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는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작은 힘이 가해지면 용이하게 손상되고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의 대비는 레버 효과와 유사하며, 즉, 단지 작은 힘이 큰 지지력을 손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구조가 반응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최대 장점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정기는 매우 반응성이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조정기를 구성하며,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정기는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며 전자기구, 불꽃점화 기구, 또는 라쳇 록킹 기구, 등의 제한된 신뢰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된 조정기는 만족스런 신뢰성을 달성하면서 더 낮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테스트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정기는 시트 벨트의 중량으로부터 오는 압력을 포함하여 0-0.1 lb의 압력을 정상 작동 상태에서 탑승자의 몸에 가한다. 비교하면, 종래의 시트 벨트는 0.5 lb 정도의 매우 높은 압력을 탑승자 몸에 미친다. 그러므로, 정상 사용시, 종래의 시트 벨트는 불편한 느낌을 초래하며 따라서 탑승자에 의해 폐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상 사용시, 시트 벨트는 탑승자에 대한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반면에, 비상의 경우, 시트 벨트에 대한 제한은 이완되고 압력이 증가될 것이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시트 벨트는 충돌의 경우에 록킹되지 않았으므로, 시트 벨트 자체는 충돌의 경우 탑승자를 시트에 견고히 제한하기에 충분한 수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기계적인 구조로서, 본 발명은 서비스의 편안감과 시트 벨트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트 벨트의 제한과 제한의 이완이 같은 스윙 로드 지지 기구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므로, 필요 부품들이 더 적어지고, 구조가 간단하다.
도 1A-1B 및 2A-2B는 본 발명에서 개시된 시트 벨트 조정기의 작동 원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들로서,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이 질량체의 관성 효과에 의하여 가동되며, 여기에서, 도 1A와 2A는 정상 사용 상태에서 수직 한계 지지 상태에 있는 지지 스윙 로드들을 도시한다.
도 2A와 2B는 질량체가 비상 상황에서 작동된 때, 질량체에 의해 힌지점이 충격이 가해지면 두 스윙 로드들 사이의 힌지점에서 지지 스윙 로드들이 굽혀지는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정상 운전 상태에서 조정기가 시트 벨트를 수축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4는 시트 벨트가 비상 상태에서 리트랙터에 의해 긴장되고, 서스펜션 프레임(25)의 외측 덮개가 마이크로-스위치를 노출하기 위하여 제거된, 조정기가 시트 벨트 위의 제한을 해제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개략적인 구조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우측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좌측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간극이 시트 벨트가 사용된 후에 완전히 개방된 때의 시트 벨트가 리트랙터에 의해 수축된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9는 편심 롤러 샤프트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정기의 후부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가 스냅 스프링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가 스냅 스프링의 개략적인 설치 도면이다.
도 13은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에 조정기가 설치된 후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정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조정기의 전체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5는 덮개가 제거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조정기의 내부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조정기의 부품들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종래기술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조정기를 차량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들, 및 이점들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되기 위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완전히 설명될 것이다.
도 18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조정기가 적용가능한 시트 벨트는: 허리 벨트(1101)와 어깨 벨트(1102)로 구성되는 직조 벨트; 탑승자의 어깨 근처의 차체 상부에 고정된 서스펜더(1103); 시트의 일측에서 차체 하부에 고정된 록킹 볼트(1104)와 록킹 너트(1105)로 구성된 너클 록 유닛; 및 하부 고정 유닛(1106)에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일체화하고, 시트의 다른 측면에서 차체의 하부에 고정된 상기 하부 고정 유닛(1106)을 포함한다.
사용시, 시트 벨트는 록 상태와 이완 상태 사이에서 전이한다. 이를 기초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시트 벨트 조정기는 두 상태들 사이에서 시트 벨트를 기계적으로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지 목적으로 지지 로드를 채용하며, 이로써 시트 벨트에 큰 제한 힘을 제공하고, 작은 시그날링(signaling) 힘의 작용으로 시트 벨트에 대한 제한을 이완할 수 있다.
큰 힘-작은 힘의 대비는 높은 안전성과 높은 신뢰성 성능을 가져야 하는 시트 벨트 장치에 대해 아주 중요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들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프리-텐셔너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시트 벨트가 수축되는 것이 방지되며 정상 사용 동안 시트 벨트를 탑승자에게 편안하게 유지하며, 시트 벨트에 대한 제한을 이완시키므로 시트 벨트는 차량 감속의 경우 리트랙터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또는 역으로, 본 발명은 통상의 록킹 장치(locking device)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정상 사용 동안 시트 벨트를 제한하지 못하나, 특정 비상 사건의 경우 시트 벨트가 당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된다.
도 1A-1B 및 2A-2B는 본 발명에서의 시트 벨트 조정기의 작동 원리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지지 스윙 로드(swing rod)(2)들이 제공되고, 같은 평면의 평행육면체 링크 기구를 형성하는 상부, 바닥, 좌측, 및 우측에 같이 힌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지지 스윙 로드(2)들은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쌍으로 배치되며; 여기서, 인접 단부들은 힌지된 너클(knuckle) 점 a1을 형성하기 위하여 같이 힌지되고 좌측 및 우측의 두 개의 지지 스윙 로드(2)들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좌측 및 우측의 두 쌍의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자유 단부들은 상부 및 하부 지지 로드(L1)들에 의해 같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네 연결점(1)(상부, 바닥, 좌측, 및 우측)들이 생성되고, 평행육면체(parallelogrammic) 링크 기구가 형성된다.
도 1은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으며, 차이는: 도 1의 질량체(6)가 이동가능한 채널(7)에서 회동할 수 있는 구(ball)이며; 도 2의 질량체(3)는 링크 바를 거쳐 힌지 너클점 a1에 연결되는 질량 블록인 점에 있다.
도 1A는 “수직 임계 상태”의 두 쌍의 지지 스윙 로드(2)를 도시한다. 즉, 같은 측면 위의 상부 및 하부 지지 스윙 로드(2)들은 기본적으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기본적으로 180°와 같은” 제1의 끼인각(included angle) α1을 형성하며, 이로써 지지 스윙 로드(2)들의 하단부는 위치 P1에 있다. 180°끼인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도시 생략)는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쌍의 힌지점에 일정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좌측의 지지 스윙 로드(2) 쌍의 힌지 너클 점 a1에 배치되고; 그러므로, 수직 임계 상태는 보통의 약간의 스윙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차체는 힘껏 감속한 경우, 질량 블록은 관성 효과의 작용으로 차량 이동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다. 도 1B 도시와 같이, 질량 블록(6)은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고 우측의 지지 스윙 로드(2)의 쌍의 힌지 너클점(a1)을 충격하여, 상부 및 하부 지지 스윙 로드(2)의 힌지점에서의 제1 끼인각 α1을 제2 끼인각 α2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지지 스윙 로드(2)의 하단부는 위치 P1으로부터 위치 P2(도 1 도시)로 즉시 당겨져서, 두 위치들 사이에 간극(8)을 생성하며; 따라서, 시트 벨트에 가해진 압력은 변경된다.
상기 설명에서 설명된 구조는 본 발명의 기본 구조인데, 이하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벨트 조정기가 설명된다.
제1 실시예는 이하의 주 기능들을 달성할 수 있다.
1) 탑승자가 시트 벨트 볼트를 잡은 후에, 리트랙터의 수축력을 넘어서, 리트랙터로부터 시트 벨트를 필요한 당김 길이로 당겨서 당기는 것을 중지하면, 시트 벨트의 수축을 방지함으로써 조정기에 의해 적절한 팽팽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는 소망하는 이완 정도로 시트 벨트를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만큼 시트 벨트를 더욱 당길 수 있다.
2) 차량이 급격히 감속하고 감속이 충돌과 같은 원인으로 정해진 안전 한계를 초과하면, 시트 벨트의 이완 부분은 리트랙터에 의해 복귀될 것이다.
3) 사용 후에, 시트 벨트 볼트가 버클로부터 당겨지면, 시트 벨트는 탈락하고, 리트랙터로부터 당겨진 시트 벨트 부분은 리트랙터로 완전히 수축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조정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조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제1 실시예에서, 조정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평행육면체 링크 기구를 형성하는 네 개의 지지 스윙 로드(2); 좌 및 우측에서 두 쌍의 지지 스윙 로드(2)들과 동기하는 인터록 로드(10); 중간부에 질량체(6)를 수용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채널(7)과, 두 연결점(1)들에 좌 및 우측 하단부들이 직접 고정 연결된 현가 프레임(25); 현가 프레임(25)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되게 연결되며, 좌측 및 우측 지지 스윙 로드(2)들의 바닥에서 두 연결점(1)들 사이에 배치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아래 배치되고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을 향하는 편심 롤러(12); 두 연결점(1)들에 그의 좌우측 상단부들이 연결되고, 현가 프레임(25)이 그의 상단부에서 선회하게 현가되며, 지지 리드(reed)(15)와 배치(positioning) 스프링(21)(도 7 도시)에 의해 배치된 이동가능한 브래킷(16)(도 5 도시); 샤프트 로드(17)를 거쳐 이동가능한 브래킷(16)이 선회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시트(26)(도 5 도시); 차체에 시트벨트 조정기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 스냅 스프링 리테이너(18); 및 각도-조정가능한 바닥판(20)(도 7 도시)를 포함하며, 질량 블록의 관성 트리거링 민감도는 바닥판(20)의 수평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설치된 때, 본 발명의 조정기는 차체의 필러 위에 서스펜더(1103)에 위치된다. 도 18 도시와 같이, 어깨 벨트(1102)는 시트의 하부 곁의 하부 고정유닛(1106)으로부터 위로 수축-제한(retraction-restraining)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 간극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사용되지 않을 때 자연적으로 탈락하거나 또는 당겨지므로 록킹 볼트(1104)는 사용시 록킹 본체(1105) 내부로 쐐기 고정될 수 있다.
사용시, 운전자가 시트를 잡고 시트 벨트를 당기면, 시트 벨트는 현가 프레임(25)을 들어올려서, 들어올리기 위하여 현가 프레임(25)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되어 연결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을 구동하여,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간극을 증가시키므로, 시트 벨트는 더 넓은 간극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동시에, 당겨진 시트벨트는 마찰력의 작용 하에 롤러 샤프트(14)의 둘레로 회전하도록 편심 롤러(12)를 구동한다. 편심 롤러(12)가 최대 편심 위치까지 회전하면, 이동가능한 브라켓(16)에 고정된 배치 라쳇 리드(23)는 도 9 도시와 같이, 편심 롤러(12)에 고정된 배치 라쳇(24)과 결합할 것이다. 그 순간에, 편심 롤러(12)의 회동 작용은 정지되고,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3)는 안전 벨트가 통과하기 위한 최대 간극(clearance)을 제공하는 위치들에 있다. 이 후에, 운전자가 시트 벨트를 더욱 당길 수 있더라도, 편심 롤러(12)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운전자가 당기는 작용을 정지하면, 시트 벨트는 느슨해지고, 현가 프레임(25)은 낙하하며,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은 떨어지고 따라서 편심 롤러(12)를 향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수축력 하에, 시트 벨트는 수축 작용을 시작하며; 이로써, 편심 롤러(12)는 마찰력의 작용 하에 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마침내 편심 롤러(12)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사이의 간극이 최소인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수축 시트 벨트는 잡히고, 이로써 이전에 조정된 시트 벨트의 팽팽함이 유지된다. 편심 롤러(12)가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시트 벨트의 수축 길이는 작으며; 따라서, 이전에 조정된 시트 벨트의 팽팽함이 잘 유지된다. 그 후, 탑승자가 다시 시트 벨트를 당기면, 위에 설명한 과정이 반복된다.
정상 운전 과정에서,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쌍은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고, 그러므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에 큰 수직 지지력을 가하여,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및 편심 롤러(12)에 의해 시트 벨트가 같이 고정되는 위치(P1)(도 1A 및 2A) 에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을 유지한다.
도 1B 도시와 같이, 차량이 제동하고 감속할 때, 질량체(6)는 관성력의 작용하에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 스윙 로드(2)의 쌍의 힌지 너클점 a1에 충격을 가하고, 상부 및 하부 지지 스윙 로드(2)들의 힌지점에서의 끼인각 α1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현가 프레임(25)의 하단부는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의해 당겨지고,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은 위치 P2(도 1B 도시)로 현가 프레임(25)에 의해 위로 구동되며; 따라서, 넓은 간극(8)이 생성되고, 시트 벨트는 위로 수축되고 리트랙터의 수축력 하에 긴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리트랙터는, 항상 어떤 사고 전에 신속한 프리-텐셔닝을 달성하기 위하여 높은 수축력을 제공한다.
시트 벨트가 사용되지 않을 때, 탑승자 몸체 전방에 원래 장착된 어깨 벨트는 이완되고 측면 도어 필러에 현가된다. 시트 벨트의 각도 변화 및 중력 작용에 기인하여, 이동가능한 브라켓(16)은 후방 지지 리드(15)의 지지력을 극복하고 아래 및 후방으로 회전하여, 현가 프레임(25)을 같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므로, 프레임 시트(26)에 연결된 수축 트리거링 블록(9)은 도 8 도시와 같이, 지지 스윙 로드(2)들의 너클점 a1을 작동시키며; 이로써, 지지 스윙 로드(2)들은 수직 한계 상태로부터 이완되고, 즉,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에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의해 가해진 수직 지지력이 감속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거된다. 이제, 지지력이 상실됨에 따라,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은 현가 프레임(25)에 의해 위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따라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간극은 증가된다.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수축력 아래, 시트 벨트의 과잉 인출 부분은 자체로 수축된다. 또한, 사용 초기에, 시트 벨트의 인출 길이가 과잉이면, 과잉 인출 부분은 시트 벨트가 느슨해지고 처짐에 따라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차체 내로 수축될 수 있다.
질량 블록의 관성 트리거링 민감도는 조정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질량 블록의 관성 트리거링 민감도는 프레임 시트(26)의 수평 기울어짐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조정 후에, 프레임 시트(26)는 차체의 도어 필러에 고정된다. 프레임 시트(26)의 수평 기울어짐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된 시트 벨트는 프리-텐셔닝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감속들(예컨대, 차량 속도 30㎞/h 내지 50㎞/h의 비상 제동)에서 프리-텐션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다른 시트 벨트 조정기가 제공된다. 도 14-16 도시와 같이, 제1 실시예로부터 제2 실시예의 차이점들은 이하와 같다: 제2 실시예에서, 두 쌍의 지지 스윙 로드들 대신에,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들이 사용되며, 질량체는 지지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직접 장착되며; 또한, 별개의 감지 로드가 시트 벨트의 각도 및 중량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의 조정기는 구조가 더욱 소형이고, 크기가 작으며, 수축 요구에 더욱 반응성이 좋다.
제2 실시예의 조정기는: 로드 단부들의 힌지점(a101)에 질량체(103)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102)들; 현가 프레임(125)의 상단부 위의 슬롯 홀을 관통하여 현가 샤프트(130)가 통과하며, 현가 프레임(125)은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외부 힘이 변함에 따라 현가 샤프트(130)와 관련하여 슬롯 홀에서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스윙 로드(102)들의 쌍을 지지하는 현가 프레임(125); 현가 프레임(125)의 하단부에 직접 고정되어 연결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 아래 배치되고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을 향하는 편심 롤러(112); 및 정지 상태로 장착되고, 현가 프레임(125)이 프레임 시트(116)의 상단부에 선회하게 현가되도록 프레임 시트(116)의 상부 측에 현가 샤프트(130)가 고정된 조정가능한 현가 프레임 시트(116)를 포함한다. 힌지 지지 스윙 로드(102)들의 한계 위치와 최대 요동 스팬 및 지지 스윙 로드(102)들의 너클 점(a101)은 질량체(103) 위의 제한 태브(139)와 조정가능한 프레임 시트(116)의 측벽들에 의해 형성된다.
장착되면, 본 발명의 조정기는 차체의 필러 위의 서스펜더(1103)에 위치된다. 도 18 도시와 같이, 어깨 벨트(1102)는 시트의 하부 측면의 하부 고정 유닛(1106)으로부터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과 편심-롤러(112) 사이의 간극(132)을 통해 연장한다.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과 편심-롤러(112)는 서로 선 접촉하며, 접촉 라인의 연장부는 차체 이동 방향에 평행이다.
시트 벨트가 당겨질 때, 현가 프레임(125)은 약간 선회하고 슬롯 홀에서 위로 이동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당겨진 시트 벨트에 의해 구동되고, 이로써 약간 위로 들어 올려져, 시트 벨트가 통과하도록 넓은 간극을 형성하며; 동시에, 당겨진 시트 벨트는 편심 롤러(112)를 구동하여 마찰력의 작용 아래 회전시키며; 편심 롤러(112)가 최대 편심 위치로 회전할 때, 당겨진 시트 벨트가 더 넓은 간극을 통과할 수 있도록 라쳇 정지 보스(boss)(123)와 라쳇(124)에 의해 정지될 것이다.
당기는 작용이 정지할 때, 현가 프레임(125)은 낙하하고, 편심 롤러(125)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수축력의 작용 아래 역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며, 수축된 시트 벨트가 제한되기까지 최소 간극 위치로 복귀할 것이다. 이 때, 탑승자는 이완되고 편안한 느낌을 얻으며, 시트 벨트에 의해 과잉-제한되지 않는다.
차량 제동과 감속이 특수 한계에 도달하면, 질량체(103)는 관성 효과의 작용 아래 전방으로 이동하고, 수직 한계 상태에 있는 힌지된 지지 스윙 로드(102)들의 너클점 a101을 구동하고, 이로써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 위에 힌지된 지지 스윙 로드(102)들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 지지력을 제거하며; 지지력이 소실됨에 따라,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13)은 위로 이동하고, 시트 벨트는 따라서 수축하므로, 시트 벨트(131)의 느슨한 부분은 복귀 수축한다.
질량 블록의 관성 트리거링 민감도는 전체 조립체의 수평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 시트 벨트가 사용되지 않으면, 탑승자 몸체 전방에 원래 특정 각도로 걸쳐진 시트 벨트는 측면 도어 필러에 수직으로 걸쳐진다.
따라서, 각도 감지 로드(133)는 스프링판(137)의 탄성력 하에 아래로 회전하고, 각도감지 로드의 팽창부(138)는 질량체 위의 컨택(contact)(136)을 밀므로, 질량체는 지지 스윙 로드들의 지지 상태를 손상시키고, 시트 벨트(131)의 모든 인출부는 수축력 아래 리트랙터 내부로 수축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이하의 이점들을 가진다.
첫째, 지지 스윙 로드(2)들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또한, 지지 스윙 로드(2)들,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 편심 롤러(12)의 샤프트(14)는 기본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으며, 수직으로 정렬된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연장 라인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저촉 위치에 수직으로, 역전된 “T" 형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지지 스윙 로드(2)들이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될 때,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에 대해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의해 가해진 지지력은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시트 벨트에 최대 압력을 가할 것이다. 이러한 지지력은 단지 감속으로부터 초래된 차량 헤드 방향을 향하는 관성 힘의 양에 의해서만 변경될 것이다.
둘째, 본 발명에서,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와 비-수직으로 정렬된 상태 사이의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상태 전환은 같은 평면에서 발생하며, 이는 차량 진행 방향에 평행이다. 그러므로, 전체 조립체는 차체의 일 측면에서 평평한 레이아웃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매우 작은 공간을 점유한다.
셋째, 이론적으로, 본 발명의 조정기에 의해 제공된 지지력은 단지 로드들의 강성과 로드들을 위한 지지 구조에 의존하며, 설계 및 제조상의 높은 조건들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즉, 큰 지지력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는 지지 스윙 로드(2)들에 작은 힘이 가해지면 용이하게 손상되고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의 대비는 레버 효과와 유사하며, 즉, 단지 작은 힘이 큰 지지력을 손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구조가 반응적이고 신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최대 장점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정기는 매우 반응성이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조정기를 구성하며, 큰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정기는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지 않으며 전자기구, 불꽃점화 기구, 또는 라쳇 록킹 기구, 등의 제한된 신뢰성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된 조정기는 만족스런 신뢰성을 달성하면서 더 낮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테스트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정기는 시트 벨트의 중량으로부터 오는 압력을 포함하여 0-0.1 lb의 압력을 정상 작동 상태에서 탑승자의 몸에 가한다. 비교하면, 종래의 시트 벨트는 0.5 lb 정도의 매우 높은 압력을 탑승자 몸에 미친다. 그러므로, 정상 사용시, 종래의 시트 벨트는 불편한 느낌을 초래하며 따라서 탑승자에 의해 폐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상 사용시, 시트 벨트는 탑승자에 대한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반면에, 비상의 경우, 시트 벨트에 대한 제한은 이완되고 압력이 증가될 것이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시트 벨트는 충돌의 경우에 록킹되지 않았으므로, 시트 벨트 자체는 충돌의 경우 탑승자를 시트에 견고히 제한하기에 충분한 수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기계적인 구조로서, 본 발명은 서비스의 편안감과 시트 벨트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트 벨트의 제한과 제한의 이완이 같은 스윙 로드 지지 기구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므로, 필요 부품들이 더 적어지고, 구조가 간단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서 제공된다. 부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조 또는 연결된 관계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종래의 기계적 구조에서 적절한 구조들을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변형들이 이하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들의 주 개념은: 시트 벨트가 탑승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될 때, 지지 스윙 로드(2)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므로, 제한 프레스 블록(13)과 편심 롤러(12) 사이의 간극은 감소되며, 시트 벨트는 적절한 강성으로 유지되며 수축이 제한되며; 일정한 비상의 경우, 지지 스윙 로드(2)들의 수직 정렬 상태가 손상되고, 간극이 증가되므로, 시트 벨트 위의 제한은 이완되며, 시트 벨트는 리트랙터에 의해 더욱 긴장되며; 이로써, 상이한 상황들에서 시트 벨트의 구체적인 강성의 필요가 충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용가능성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역으로 비상 록킹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시트 벨트가 탑승자에 의해 정상적으로 사용될 때, 간극이 증가되고 시트 벨트는 제한되지 않으며; 반면에, 일정한 비상의 경우, 간극이 감소되고, 시트 벨트는 더욱 인출되지 않는다. 예컨대, 편심 롤러(12)가 제한 프레스 블록(13)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지지 스윙 로드(2)들이 수직으로 정렬 상태에 있을 때, 넓은 간극이 유지되고, 리트랙터는 시트 벨트의 적절한 강성을 유지하며; 반면에, 일정한 비상의 경우, 지지 스윙 로드(2)들이 더 이상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따라서, 간극이 감소되고, 시트 벨트는 추가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종래의 비상 록킹 장치와 비교하면, 그러한 비상 록킹 장치는, 여전히 간단한 구조와 높은 신뢰성, 등의 이점들을 여전히 가진다.
2) 관성 기구의 교체: 상기 설명한 기술적 개념은 지지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을 가동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자-동력적인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레인징(ranging) 레이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일정한 사고의 경우, 레인징 레이더는 지지 스윙 로드의 힌지점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므로,시트 벨트의 늘어진 부분은 리트랙터에 의해 수축될 것이다.
도 4 도시와 같이, 전기 마이크로-스위치(27)는 레인징 레이더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가동되고, 스위치 위의 컨택(28)이 인터록 로드 위의 컨택(29)을 밀고, 이로써 힌지된 지지 스윙 로드(2)들이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위의 힘을 제거하므로, 수축-제한 프레스 블록(13)은 시트 벨트에 대한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고, 리트랙터는 수축하며 쳐진 시트 벨트를 긴장시킨다. 전자-동력적인 트리거링 기구에 의해 작용은 차체가 감속하기 전에 달성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제공된 시트 벨트 조정기는 직조 벨트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조정기는 상부 서스펜더(1103)에 장착된다. 그러나, 시트 벨트 조정기는 대신에 하부 고정 유닛(17)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조정기는, 시트 벨트 조정기가 직조 벨트와 접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조정기는, 어떤 위치에나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서스펜더(1103)로부터 하부 고정 유닛(1106)까지의 영역(A)이 바람직하다.
조정기의 이러한 배치 방식은, 직조 벨트에 더욱 직접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점유된 공간이 작으나 가해진 힘은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신뢰성이 보증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조정기는, 별개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아직 그러한 기능을 갖지 못한 차량의 연결 부품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 경우, 수축력 증강기구가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시트 벨트 장치에 부가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조정기는 직접 제작되고 새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차체에 의해 제공된 수축력은 적절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정기의 적용은 더욱 합리적이고, 편리하며, 안전하고, 편안하다.
5) 상기 실시예들에서,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은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힘을 가하여 변경되며, 여기에서 끼인각을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최소이다. 그러나,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이 변경될 수 있는 한, 제1 스윙 로드 및/또는 제2 스윙 로드 및/또는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힘을 가하는 솔루션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예시하기 위하여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러 변형들이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솔루션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균등한 교체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들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일정한 기술적 특징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 힌지 너클점 a1: 지지 스윙 로드들의 너클점
2: 지지 스윙 로드 3: 질량체(mass object)
4: 질량체와 힌지 너클 사이의 링크바
5: 질량체의 상대 수평각도를 변경시켜 가동된 지지 스윙로드들의 감성 조정
6: 터널내의 이동가능한 금속구 7: 금속구 이동 터널
8: 상하 슬라이딩용 공간
9: 시트벨트 사용후 가동된 수축 트리거링 블록
10: 인터록 로드 11: 가이드 로드
12: 편심 롤러 13: 수축 제한 프레스 블록,
14: 편심롤러 샤프트 15: 지지 리드(reed)
16: 이동가능한 브래킷 17: 샤프트 로드
18: 연결스냅 스프링 리테이너 19: 현가 스냅 스프링
20: 각도 조정 바닥판 21: 배치 스프링
22: 각도조정가능한 조심스크류 23: 배치라쳇 리드
24: 배치 라쳇 25: 현가 프레임
26: 프레임 시트 27: 편심 마이크로-스위치
28: 스위치 컨택 29:인터록 로드 컨택
101: 연결점 a101: 지지 스윙로드들의 너클점
102: 지지 스윙 로드 103: 질량체
105: 촉감조정을 위한 슬라이드 슬롯 홀
112: 편심 롤러 114: 편심 롤러 샤프트
116: 조정가능한 현가 프레임 시트
121: 복귀 스프링 123: 라쳇 정지 보스
124: 라쳇 125: 현가 프레임 130:현가 샤프트
132:시트 벨트 관통 간극 133: 각도감지 로드
136: 질량체 컨택 138: 각도 감지로도의 팽창부
139: 질량체 제한 태브 143: 시트벨트 서스펜더 프레임
148: 상부 커버 150: 시트벨트 서스펜더 연결홀

Claims (9)

  1. 차량 시트 벨트의 시트벨트 조정기로서: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 단부들이 같이 힌지되고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정지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인접하지 않는 단부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한 벨트 스트랩의 잠금과 풀어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의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이 변함에 따라 이동가능한, 상기 제1 스윙 로드와 상기 제2 스윙로드로 구성된 한 쌍의 지지 스윙 로드들; 및
    관성 효과를 통해 상기 제1 스윙 로드, 상기 제2 스윙 로드, 또는 상기 스윙 로드들의 힌지 점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상기 끼인각을 자동적으로 변화시켜서,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를 거쳐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 위에 변경가능한 힘을 직접 적용하는 중량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윙 로드들이 180°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일 때,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시트벨트의 벨트 위에 수직으로 완전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하고,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상기 끼인각은 차량에 어떤 충돌과 극심한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상기 중량물을 거쳐 변화되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상기 벨트 스트랩이 리트렉터에 의해 수축되도록 상기 시트 벨트의 시트를 이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벨트들의 시트벨트 조정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정해진 안전 한계를 감속이 초과하면, 상기 다른 인접하지 않은 단부는 자동으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를 이완시키므로, 시트 벨트의 리트랙터가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 장력을 긴장시켜 시트의 탑승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조정기.
  4. 제 3항에 있어서,
    정상 사용 동안, 상기 다른 인접 단부는 필요한 인출 길이 위치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를 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조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은 상기 스윙 로드들의 힌지점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조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는, 지지 필러 위에 현가되어 탑승자의 어깨 근처의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의 상단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서스펜더와, 상기 시트의 측면에서 상기 시트의 하부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를 내측으로 수축시키도록 구성된 리트랙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는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 위에 직접 작용하도록 상기 서스펜더와 상기 리트랙터 사이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조정기.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의 벨트의 장력 변화에 기인하는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벨트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스윙 로드들 사이의 끼인각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감지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의 벨트 조정기.
KR1020137004699A 2010-08-27 2011-08-26 시트 벨트 조정기 KR101527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64551.0A CN102371966B (zh) 2010-08-27 2010-08-27 一种安全、舒适、方便使用的汽车安全带的装置及方法
CN201010264551.0 2010-08-27
PCT/CN2011/079005 WO2012025062A1 (zh) 2010-08-27 2011-08-26 座椅安全带调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920A KR20130099920A (ko) 2013-09-06
KR101527594B1 true KR101527594B1 (ko) 2015-06-09

Family

ID=4572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699A KR101527594B1 (ko) 2010-08-27 2011-08-26 시트 벨트 조정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931851B2 (ko)
EP (1) EP2610115B1 (ko)
JP (1) JP5597768B2 (ko)
KR (1) KR101527594B1 (ko)
CN (2) CN102371966B (ko)
BR (1) BR112013004412A2 (ko)
CA (1) CA2808340C (ko)
ES (1) ES2558006T3 (ko)
HU (1) HUE026529T2 (ko)
IN (1) IN2013MN00392A (ko)
MX (1) MX2013002266A (ko)
PL (1) PL2610115T3 (ko)
PT (1) PT2610115E (ko)
RU (1) RU2527585C1 (ko)
WO (1) WO2012025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1235B (zh) 2013-04-17 2017-04-19 孙寅贵 锁止装置、运载工具安全带调节装置以及运载工具安全带
DE102013008277B4 (de) * 2013-05-15 2022-10-13 Zf Automotive Germany Gmbh Verfahren zum Straffen eines unbenutzten Fahrzeuggurts
CN104401289B (zh) * 2014-11-03 2020-04-10 宁波市镇海西门专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安全带止回扣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7755U (ja) * 1984-09-03 1986-03-3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トベルトのクランプ装置
JP2000355265A (ja) * 1999-06-14 2000-12-26 Nsk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2946A (en) * 1963-03-25 1965-12-15 Britax London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belts or the like
US3372777A (en) * 1966-03-28 1968-03-12 Special Devices Inc Inertia-operated strap lock
DE3264608D1 (en) * 1981-02-14 1985-08-14 Britax Wingard Ltd Clamping means for a strap
JPS5916653U (ja) * 1982-07-22 1984-02-0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緊張装置
GB8524916D0 (en) * 1985-10-09 1985-11-13 Britax Wingard Ltd Clamping means for strap
SE455184B (sv) * 1985-10-25 1988-06-27 Autoliv Dev Nodlasningsanordning for ett utdragbart band i en for fordon avsedd sekerhetssele
GB8608134D0 (en) * 1986-04-03 1986-05-08 Autoliv Dev Seat belt pre-tensioning device
US4747617A (en) * 1987-05-27 1988-05-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lt clamping guide loop
SE458916B (sv) * 1988-05-04 1989-05-22 Gen Engineering Bv Spaerranordning vid foerstraeckare foer saekerhetsselen i fordon
US5004178A (en) * 1988-10-17 1991-04-02 Jidosha Denki Kogyo K.K. Seat belt apparatus
GB2227642B (en) 1988-11-14 1993-01-06 Autoliv Dev Improvements in/relating to a seat belt pre-tensioner arrangement
US4923214A (en) * 1989-01-26 1990-05-08 Hoover Universal, Inc. Seat belt anchorage
DE3923724A1 (de) * 1989-07-18 1991-01-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pannvor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in kraftfahrzeugen
DE3930980A1 (de) * 1989-09-16 1991-03-28 Autoflug Gmbh Ausloesevorrichtung fuer einen mechanischen energiespeicher
GB2237180B (en) 1989-10-26 1994-02-0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elt pre-tensioner arrangement
JPH04103453A (ja) * 1990-08-24 1992-04-06 Takata Kk バネ式プリテンショナーのトリガー
JPH05124487A (ja) * 1991-10-31 1993-05-21 Takata Kk バネ式プリテンシヨナのトリガ
JPH0560967U (ja) 1992-01-27 1993-08-10 日本精工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4211009A1 (de) * 1992-04-02 1993-10-07 Trw Repa Gmbh Gurtstraffer für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e
CN1088167A (zh) * 1993-09-06 1994-06-22 王士敏 汽车座椅安全带卷收器
JPH08188118A (ja) 1994-11-11 1996-07-23 Nhk Spring Co Ltd シートベルト用締付装置
TW200517073A (en) * 2003-11-18 2005-06-01 Britax Childcare Pty Ltd Seat belt retraction mechanism
CN2728855Y (zh) * 2004-09-14 2005-09-28 罗灿 汽车安全带调节装置
DE102005016822B3 (de) 2005-04-12 2007-01-04 Autoliv Development Ab Kraftbegrenz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CN201304958Y (zh) * 2008-10-09 2009-09-09 周玉娟 具有倾斜锁止功能的安全带卷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7755U (ja) * 1984-09-03 1986-03-31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トベルトのクランプ装置
JP2000355265A (ja) * 1999-06-14 2000-12-26 Nsk Ltd 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1966A (zh) 2012-03-14
MX2013002266A (es) 2013-05-22
HUE026529T2 (en) 2016-06-28
CN102371966B (zh) 2015-03-25
JP2013536123A (ja) 2013-09-19
US20130214584A1 (en) 2013-08-22
EP2610115A1 (en) 2013-07-03
CA2808340A1 (en) 2012-03-01
CA2808340C (en) 2015-10-27
CN102548808A (zh) 2012-07-04
WO2012025062A1 (zh) 2012-03-01
EP2610115A4 (en) 2014-02-12
CN102548808B (zh) 2015-08-12
PL2610115T3 (pl) 2016-05-31
EP2610115B1 (en) 2015-10-28
ES2558006T3 (es) 2016-02-01
IN2013MN00392A (ko) 2015-05-29
PT2610115E (pt) 2016-01-27
KR20130099920A (ko) 2013-09-06
US8931851B2 (en) 2015-01-13
BR112013004412A2 (pt) 2016-05-31
JP5597768B2 (ja) 2014-10-01
RU2527585C1 (ru)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181B1 (en)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safety bar
EP0764097B1 (en) Vehicle safety restraints
EP3696013B1 (en) Seat sliding structure for vehicle
JPH10278736A (ja) 車両の座席
US7219957B1 (en) Vehicle seat with articulating cushion component
JP2001354113A (ja) シートベルトの配置構造
US6336664B1 (en) Seat-belt system
KR101527594B1 (ko) 시트 벨트 조정기
JP200719688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WO2007071522A1 (en) Seat belt apparatus
GB2330338A (en) Load limiting device for a seat belt
JPH07323802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11156934A (ja) 乗員保護装置
JP2020075675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CN109415031B (zh) 安全带张紧和吸震装置及包括该装置的儿童座椅
JP7191069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381058B2 (ja) 乗員保護装置
KR100228123B1 (ko)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JPH075898U (ja) 車両用シート
JP2008507452A (ja) シートベルト用プリテンショナー
JP2004189097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318237B1 (ko) 차량의 시트 벨트
KR100435382B1 (ko) 자동차용 로드리미터
KR100461312B1 (ko) 시트벨트 장치의 어퍼앵커플레이트 구조
KR100680719B1 (ko) 로드리미터 기능을 갖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