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309B1 - 렌즈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렌즈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309B1
KR101526309B1 KR1020090004989A KR20090004989A KR101526309B1 KR 101526309 B1 KR101526309 B1 KR 101526309B1 KR 1020090004989 A KR1020090004989 A KR 1020090004989A KR 20090004989 A KR20090004989 A KR 20090004989A KR 101526309 B1 KR101526309 B1 KR 101526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uter cylinder
spindle
tool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128A (ko
Inventor
히데오 코지마
마사유키 오츠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코지마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코지마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코지마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09008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24B13/0052Lens block mou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by means of tools with abrading surfaces corresponding in shape with the lenses to be m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렌즈가공장치(1)는, 가공대상인 렌즈소재(6)를, 회전하고 있는 렌즈가공구(7)의 가공면(7a)에 꽉 눌러, 해당 렌즈소재(6)를 종속회전시키면서, 그 표면의 절삭 및 연마가공을 행한다. 렌즈가공장치(1)의 렌즈 지지축(3)의 하단부와 렌즈 유지구(5) 사이에 렌즈가압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렌즈가압기구는 가압 스프링(14)과, 그 압축량을 조정하는 프레셔 너트(13)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유지구(5)에는 렌즈 지지축(3)의 중량이 가공압력으로서 작용하지 않으므로, 가공압력을 높은 정밀도로 미세조정할 수 있다. 렌즈 지지축(3)의 관성력이 렌즈 유지구(5)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가공시의 진동 등에 추종하여 렌즈 유지구(5)가 상하로 이동하여, 렌즈소재(6) 등에 과잉된 힘이 가해지는 일도 없다.

Description

렌즈가공장치{LENS MACHINING DEVICE}
본 발명은, 가공대상인 렌즈소재의 표면을, 회전하고 있는 렌즈가공구(具)의 가공면에 꽉 눌러, 상기 렌즈소재를 종속회전시키면서, 그 표면을 절삭 및 연마가공하는 렌즈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렌즈가공시에 있어서의 렌즈소재를 렌즈가공구에 꽉 누르는 가압력을 높은 정밀도로 미세조정할 수 있고, 렌즈가공시의 진동 등에 추종하여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렌즈가공 중에 렌즈를 진공흡인하여 렌즈 유지구에 흡착유지시킬 수 있는 렌즈가공장치의 렌즈유지·가압기구에 관한 것이다.
렌즈가공장치로서는 도 2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렌즈가공장치(100)는, 중공의 렌즈 지지축(102)의 중공부에, 베어링(103)을 통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중공 스핀들(104)이 동축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중공 스핀들(104)의 하단에는 동축상태로 렌즈 유지구(105)가 하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렌즈 유지구(105)의 하측에는, 상측을 향한 상태로 렌즈가공구(106)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가공구(106)는 만곡된 형상의 가공면(106a)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심축선(106b)을 중심으로 하여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또한, 렌즈가공구(106)는, 그 중심축선(106b)과 상측 스핀들의 중심축선(101)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예컨대 좌우로 요동되어, 가공 중에, 이들 중심축선(106b와 101)이 이루는 각도(θ)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공시에는, 회전하는 렌즈가공구(106)의 가공면(106a)에, 렌즈 지지축(102)에 의해, 렌즈 유지구(105)에 유지된 렌즈소재(111)의 표면이 꽉 눌린다. 렌즈 유지구(105)가 부착되어 있는 중공 스핀들(104)은 회전가능한 상태로 렌즈 지지축(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렌즈가공구(106)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선(101) 주위로 종속회전한다. 이와 같이, 중심축선(101)을 중심으로 하는 렌즈가공구(106)의 회전운동과, 중심축선(101)을 중심으로 하는 렌즈소재(111)의 종속회전운동과, 렌즈가공구(106)의 요동운동의 조합에 의해 렌즈 표면의 절삭, 연마가공 등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렌즈 지지축(102)은 베어링(1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렌즈가공시의 가공압력은, 렌즈 지지축(102)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 실린더 등의 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가압수단에 의한 가공압력은, 렌즈 지지축(102), 베어링(103), 중공 스핀들(104)을 통해 렌즈 유지구(105)에 전달되어, 상기 렌즈 유지구(105)와 렌즈가공구(106)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렌즈소재(111)의 표면이 가공면(106a)에 가압된다. 가압수단은, 예컨대,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15074호
종래의 렌즈가공장치에서의 렌즈소재의 유지기구 및 가압기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가압수단과 렌즈 유지구(105) 사이에는, 렌즈 지지축(102), 베어링(103) 및 중공 스핀들(104)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방향으로 렌즈 지지축(102)의 자중(自重)이 가해지므로, 미소한 가공압력을 가하는 것이 곤란하다. 미소한 가공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렌즈 지지축(102)을 포함한 가압기구의 경량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렌즈 지지축(102)을 두께가 얇고 직경이 좁은 파이프로 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렌즈 지지축(102)의 기계적 강도나 강성이 부족하고, 가공 정밀도가 저하되는 등의 폐해가 발생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 지지축(102)의 자중이, 렌즈가공 중에 항상 렌즈 유지구(105)에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 등이 발생하여 가공압력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였을 경우, 렌즈 지지축(102)의 관성력때문에, 렌즈 유지구(105)가 순간적인 가공압력의 변화에 추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없다. 그 결과, 과잉된 힘이 가공 중인 렌즈소재 등에 작용하여, 렌즈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의 폐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가공대상인 렌즈소재(111)를 렌즈 유지구(105)의 렌즈 유지면에 흡착유지시키기 위해, 진공 흡인 통로가, 렌즈 유지구(105)로부터 중공 스핀들(104) 및 렌즈 지지축(102)의 내측에 배치된 진공 튜브(112)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있다. 렌즈가공시에는 중공 스핀들(104)은 렌즈 지지축(102)에 대해 회전가 능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가공대상인 렌즈소재(111)를 렌즈 유지면에 흡인유지시킬 때는, O링(113)을 통해 진공 튜브(112)의 단부(端部)를 중공 스핀들(104)의 단부에 꽉 눌러 기밀상태의 진공 흡인 통로가 형성된다. 렌즈가공시에는, 진공 튜브(112)를 중공 스핀들(104)로부터 이격시켜, 중공 스핀들(104)이 렌즈가공구(106)에 추종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렌즈가공 중에는 렌즈소재(111)를 렌즈 유지구(105)의 렌즈 유지면에 흡착유지시킬 수 없다. 고정밀도의 렌즈가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공 중인 렌즈소재를 렌즈 유지면에 흡착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가공 중에 렌즈소재를 렌즈가공면에 흡착유지시킬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렌즈가공장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하는 렌즈가공구의 가공면에 렌즈소재를 꽉 눌러, 상기 렌즈소재를 종속회전시키면서, 그 표면의 절삭, 연마가공 등을 행하는 렌즈가공장치로서,
상기 렌즈가공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한 렌즈 지지축과,
상기 렌즈 지지축의 하단면으로부터 동축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통과,
상기 외부통의 내측에 동축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에 의해, 상기 렌즈 지지축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내 부통과,
상기 내부통의 내측에 동축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통에 의해, 상기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하단에 동축상태로 부착된 렌즈 유지구와,
상기 외부통에 대해 상기 내부통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는 가압 스프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렌즈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의 하단부에 고정된 내주(內周)측 부분, 및 상기 외부통의 하단부에 대해, 상기 중심축선을 따라 상방으로 소정량만큼 상대이동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외주측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스프링 베이스와, 상기 외부통의 상단측 외주면 부분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프레셔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베이스에 의해, 상기 내부통은 상기 외부통에 대해 상기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량 만큼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압 스프링은, 상기 외부통을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프레셔 너트 및 상기 스프링 베이스 사이에 배치하면 된다.
본 발명의 렌즈가공장치에서는, 렌즈 지지축의 하단으로부터 동축(同軸)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통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통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스핀들을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외부통의 외측에 배치한 가압 스프링에 의해 스핀들에 대해 렌즈가공압력을 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프레셔 너트를 돌림으로써, 가압 스프링의 압축상태를 조절하여 렌즈가공압력을 변화시키는 것 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렌즈가공압력이 렌즈 지지축의 중량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미소한 가공압력을 렌즈 유지구에 가할 수 있으며, 미소한 가공압력의 미세조정도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지지축에 의한 관성력이 렌즈 유지구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렌즈 유지구는 렌즈가공 중에 있어서의 진동 등으로 인한 가공압력의 변화에 순식간에 추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렌즈 지지축을 경량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렌즈 지지축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가 있어, 렌즈가공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렌즈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중공 스핀들이며,
상기 렌즈 유지구의 렌즈 유지면으로부터, 상기 중공 스핀들의 중공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통의 중공부에 연통된 진공흡인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 스핀들의 상기 중공부와 상기 외부통의 상기 중공부의 연통부분에는, 상기 중공 스핀들을 회전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시일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진공흡인로를 통해, 렌즈 유지구의 렌즈 유지면에 가공대상인 렌즈를 흡착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일기구에 의해, 중공 스핀들은 회전가능하며 상하로 슬라이드가능하다. 따라서, 렌즈를 렌즈 유지면에 흡착유지시킨 상태에서의 렌즈가공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렌즈가공장치에서는, 렌즈가공압력이 렌즈 지지축의 중량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미소한 가공압력을 렌즈 유지구에 가할 수 있고, 미소한 가공압력의 미세조정도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지지축에 의한 관성력이 렌즈 유지구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렌즈 유지구는 렌즈가공 중에 있어서의 진동 등에 의한 가공압력의 변화에 순식간에 추종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지지축을 경량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렌즈 지지축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어, 렌즈가공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가공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가공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우측 절반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렌즈가공장치(1)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장치와 동일하며, 수직으로 배치된 렌즈 지지축(3)을 가지고 있고, 상기 렌즈 지지축(3)에는, 후술하는 렌즈가압기구를 통해, 중공 스핀들(4)이 부착되어 있다. 중공 스핀들(4)은, 렌즈 지지축(3)에 대해, 그 중심축선(2) 주위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중심축선(2) 방향(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중공 스핀들(4)의 하단에는 동축상태로 렌즈 유지구(5)가 하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렌즈 유지구(5)의 하향의 면은 만곡된 렌즈 유지면(5a)으로 되어 있어, 여기에 가공대상인 렌즈소재(6)가 흡착유지될 수 있다. 렌즈 유지면(5a)에는, 하측으로부터 렌즈가공구(7)가 대치되어 있다. 렌즈소재(6)는, 렌즈 유지구(5)에 흡착유지된 상 태로 렌즈가공구(7)의 렌즈가공면(7a)의 수직상방위치까지 반송되어, 이들 렌즈 유지구의 렌즈 유지면(5a)과 렌즈가공구(7)의 렌즈가공면(7a) 사이의 소정의 가공압력에 의해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렌즈가공구(7)의 가공축(7b)이 회전 및 요동함으로써, 렌즈소재(6)의 렌즈면의 연마나 연삭이 이루어진다.
렌즈가공장치(1)에는 렌즈소재(6)에 가공압력을 가하기 위한 렌즈가압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렌즈가압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축(3)의 하단면(3a)으로부터는, 동축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지축 원통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축 원통부(3b)를 동축상태로 둘러싸듯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세트 튜브(1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 원통부(3b)의 내측에는 동축상태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외측 튜브(12)가 고정되어 있다. 외측 튜브(12)의 상단부(12a)는, 렌즈 지지축(3)의 하단 개구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이들 지지축 원통부(3b), 세트 튜브(11) 및 외측 튜브(12)에 의해 외부통 어셈블리가 구성되어 있다.
세트 튜브(11) 및 외측 튜브(12)는, 지지축 원통부(3b)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 하단부분(11b 및 12b)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세트 튜브(11)의 외주면의 상단부분에는 프레셔 너트(1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세트 튜브(11)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상태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압 스프링(1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스프링(14)의 상단이 프레셔 너트(13)에 하측으로부터 꽉 눌려 있다.
다음으로, 외측 튜브(12)의 내측에는, 동축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원형 단면의 내측 튜브(15)가 배치되어 있다. 내측 튜브(15)의 내측에는, 중심축선(2) 방향(상하)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 볼 베어링(16, 17)을 통해, 중공 스핀들(4)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동축형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내측 튜브(15)의 하단에는 스프링 베이스(18)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베이스(18)는, 중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형상 부분(18a)과, 상기 원반형상 부분(18a)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환형 부분(18b)과, 원반형상 부분(18a)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환형 부분(18c)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의 환형 부분(18b)은, 내측 튜브(15)의 하단 개구부의 내주면 부분에 하측으로부터 비틀어 박아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부분(18b)과 중공 스핀들(4) 사이는 시일 링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봉쇄되어 있다. 외측의 환형 부분(18c)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부착구멍(18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부착구멍(18d)에는 외측으로부터 수평으로 스토퍼(19)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19)의 내측 단부는, 외측 튜브(12)의 하단부에 형성한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걸림결합홈(12c)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끼워져 있다. 또한, 외측의 환형 부분(18c)의 상단부분에는, 가압 스프링(14)의 하단이 위치해 있는 환형의 시팅면(18e)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렌즈가공장치(1)는, 렌즈 유지구(5)의 렌즈 유지면(5a)에 렌즈소재(6)를 진공흡인하기 위한 진공흡인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진공흡인로는, 렌즈 유지면(5a)으로부터 중공 스핀들(4)의 중공부(4a)를 경유하여 렌즈 지지축(3) 내에 삽입한 에어 튜브(21)를 경유하여, 진공발생기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중공 스핀들(4)의 상단부(4b)는, 동축상태로 외측 튜브(12)의 상단부(12a)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단부(4b)의 외주면 부분과 상단부(12a)의 내주면 부분 사이에는 O링(22)이 끼워져 있다. 또한, 외측 튜브(12)의 상단부(12a)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돌기(1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방의 사이드에는 환형의 단차면(段面, 12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를 상하로 O링(22)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일기구에 의해, 중공 스핀들(4)은 회전 및 상하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외측 튜브(12)의 상단부(12a)의 상단으로부터는 작은 직경의 연결관 부분(12f)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에어 튜브(21)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관 부분(12f)에 대해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된다. 에어 튜브(21)를 배치함으로써, 진공흡인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렌즈가공장치(1)에서는, 렌즈 지지축(3)의 지지축 원통부(3b)에, 하측으로부터, 세트 튜브(11), 외측 튜브(12), 프레셔 너트(13), 가압 스프링(14)으로 이루어진 렌즈가압기구가 부착되어 있다. 이후, 내측 튜브(15), 스프링 베이스(18), 중공 스핀들(4), 볼 베어링(16, 17)으로 이루어진 스핀들 유닛을 조립하여, 상기 스핀들 유닛을 하방으로부터 렌즈가압기구에 끼워넣고, 스토퍼(19)를 외측 튜브(12)의 걸림결합홈(12c)에 끼워넣어, 스핀들 유닛이 탈락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내측 튜브(15)는, 외측 튜브(12)의 내부를, 저항없이 상하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한, 세트 튜브(11)의 외주에 부착시킨 프레셔 너트(13)를 돌려 그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가압 스프링(14)의 수축량을 조정할 수 있다. 가압 스프링(14)은, 스프링 베이스(18)를 통해 스핀들 유닛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 스프링(14)에 의해, 렌즈 유지구(5) 및 렌즈소재(6)를 렌즈가공구(7)에 꽉 누르는 가공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프레셔 너트(13)를 돌림으로써, 가압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진공흡인에 의한 렌즈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외측 튜브(12)의 상단부의 연결관 부분(12f)에 에어 튜브(21)를 끼워넣어, 도 1에 도시된 진공흡인로를 형성하고, 외부의 진공발생기구(미도시)에 의해 진공흡인하면 된다.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상기와 같은 구성의 렌즈가공장치(1)에 의하면, 가공 중의 가공압력을 미세조정할 수 있어, 직경이 작은 렌즈나 두께가 얇은 렌즈의 가공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렌즈소재(6)와 렌즈가공구(7) 간의 과잉된 마찰로부터 발생하는 열로 인한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형경량인 스핀들 유닛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렌즈 유지구(5)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진동 등에 의한 충격에 대해, 순식간에 렌즈 유지구(5)를 상하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상 렌즈소재(6)와 렌즈가공구(7)를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렌즈가공구(7)의 편마모나 손상이 없어지고, 가공 정밀도 및 가공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렌즈 지지축(3)의 자중이 가공압력으로서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렌즈 지지축(3)의 중량에 제약이 없어진다. 따라서, 기계적 강도 및 강성이 높은 렌 즈 지지축을 부착시킬 수 있어, 렌즈가공의 고정밀도화에 유리하다.
더욱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렌즈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구조여서, 렌즈 지지축이나 베어링의 마모에 의해 렌즈가공의 정밀도가 변화하였을 경우에, 그 수리를 전문기술자에게 맡겨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였다. 반면, 본 예에 따르면, 외측 튜브(12)와 내측 튜브(15)를 교환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직접 수리할 수 있고, 또한, 수리시간이나 수리비용도 적게 든다.
뿐만 아니라, 렌즈가공 중에 렌즈소재(6)를 렌즈 유지구(5)에 진공흡인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불안정한 형상의 렌즈를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진공흡인을 위해, 종래와 같은 진공 튜브 등의 기계가공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진공 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도 불필요해진다. 에어 튜브(21)는, 저렴하고 입수가능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부품 조달이 용이해지고, 특별한 기술없이도 교환 작업 등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렌즈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렌즈가공장치 2 : 중심축선
3 : 렌즈 지지축 3a : 하단면
3b : 지지축 원통부 4 : 중공 스핀들
4a : 중공부 4b : 상단부
5 : 렌즈 유지구 5a 렌즈 유지면
6 : 렌즈소재 7 : 렌즈가공구
7a : 렌즈가공면 7b : 가공축
11 : 세트 튜브 12 : 외측 튜브
12a : 상단부 12b : 하단부분
12c : 걸림결합홈 12d : 환형(圓環狀)돌기
12e : 단차면 12f : 연결관 부분
13 : 프레셔 너트 14 : 가압 스프링
15 : 내측 튜브 16, 17 : 볼 베어링
18 : 스프링 베이스 18a : 원반형상 부분
18b : 환형 부분 18c : 환형 부분
18d : 스토퍼 부착구멍 18e : 시팅면
19 : 스토퍼 21 : 에어 튜브
22 : O링

Claims (3)

  1. 회전하는 렌즈가공구(7)의 가공면(7a)에 렌즈소재(6)를 꽉 눌러, 상기 렌즈소재(6)를 종속회전시키면서, 그 표면의 절삭, 연마가공 등을 행하는 렌즈가공장치(1)로서,
    상기 렌즈가공구(7)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가능한 렌즈 지지축(3)과,
    상기 렌즈 지지축(3)의 하단면으로부터 동축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외부통(12)과,
    상기 외부통(12)의 내측에 동축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12)에 의해, 상기 렌즈 지지축(3)의 중심축선(2)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내부통(15)과,
    상기 내부통(15)의 내측에 동축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통(15)에 의해, 상기 중심축선(2) 주위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스핀들(4)과,
    상기 스핀들(4)의 하단에 동축상태로 부착된 렌즈 유지구(5)와,
    상기 외부통(12)에 대해 상기 내부통(15)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있는 가압 스프링(14)과,
    상기 내부통(15)의 하단부에 고정된 내주측 부분(18b), 및 상기 외부통(12)의 하단부에 대해, 상기 중심축선(2)을 따라 상방으로 소정량만큼 상대이동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외주측 부분(18c)을 구비하고 있는 스프링 베이스(18)와,
    상기 외부통(12)의 상단측 외주면 부분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프레셔 너트(13)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 베이스(18)에 의해, 상기 내부통(15)은 상기 외부통(12)에 대해 상기 중심축선(2)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 스프링은, 상기 외부통(12)을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프레셔 너트(13) 및 상기 스프링 베이스(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1).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중공 스핀들(4)이며,
    상기 렌즈 유지구(5)의 렌즈 유지면(5a)으로부터, 상기 중공 스핀들(4)의 중공부(4a)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통(12)의 중공부에 연통된 진공흡인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 스핀들(4)의 상기 중공부(4a)와 상기 외부통(12)의 상기 중공부의 연통부분에는, 상기 중공 스핀들(4)을 회전가능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 시일기구(4b, 12a, 12d, 12e, 2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장치(1).
KR1020090004989A 2008-01-25 2009-01-21 렌즈가공장치 KR101526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5147A JP5123677B2 (ja) 2008-01-25 2008-01-25 レンズ加工装置
JPJP-P-2008-015147 2008-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128A KR20090082128A (ko) 2009-07-29
KR101526309B1 true KR101526309B1 (ko) 2015-06-08

Family

ID=4079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989A KR101526309B1 (ko) 2008-01-25 2009-01-21 렌즈가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23677B2 (ko)
KR (1) KR101526309B1 (ko)
DE (1) DE102009006156A1 (ko)
TW (1) TWI4682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2748A1 (ja) * 2010-01-29 2011-08-04 有限会社コジマエンジニアリング 皿形砥石を用いたレンズ球面の研削加工方法
CN102259290B (zh) * 2011-07-07 2013-05-01 陈小青 用于加工太阳能棱镜的精密磨床
CN111203778A (zh) * 2020-01-14 2020-05-29 义乌融鹄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透镜抛光机用可调压压紧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88A (ko) * 1990-08-06 1992-03-27 다니이 아끼오 연마스핀들
KR20060074797A (ko) * 2004-12-27 2006-07-03 카부시키가이샤하루치카세이미쯔 렌즈자동연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49A (ja) * 1982-06-29 1984-01-14 Haruchika Seimitsu:Kk レンズ研磨装置におけるレンズ加圧位置決め機構
JPH05192857A (ja) * 1991-11-12 1993-08-03 Canon Inc 研磨、研削方法及び研磨、研削装置
JP4201329B2 (ja) * 2003-03-31 2008-12-24 株式会社春近精密 レンズ球面研磨装置
JP2007015074A (ja) 2005-07-08 2007-01-25 Olympus Corp レンズ研磨用レンズ加圧装置及びレンズ研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88A (ko) * 1990-08-06 1992-03-27 다니이 아끼오 연마스핀들
KR20060074797A (ko) * 2004-12-27 2006-07-03 카부시키가이샤하루치카세이미쯔 렌즈자동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6307A (en) 2009-09-01
JP2009172728A (ja) 2009-08-06
KR20090082128A (ko) 2009-07-29
TWI468254B (zh) 2015-01-11
JP5123677B2 (ja) 2013-01-23
DE102009006156A1 (de)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317B2 (ja) 加工工具
KR101526309B1 (ko) 렌즈가공장치
US3552899A (en) Lens surfacing machine
JP2009248195A (ja) ワーク保持装置
JP3630958B2 (ja) レンズ保持装置
KR102125392B1 (ko) 구심식 가공기의 렌즈센터링방법, 렌즈가공방법 및 구심식 가공기
TWI435849B (zh) 劃線裝置
JP4073117B2 (ja) 研削研磨保持装置
JP2010188438A (ja) ワークホルダおよび研磨装置
JP2886205B2 (ja) 研摩用ワークホルダー
JP5165460B2 (ja) ワーク保持具およびワーク加工方法
CN109129104B (zh) 透镜研磨装置以及透镜研磨方法
KR100453989B1 (ko) 초정밀 구심연마기
JPWO2015068500A1 (ja) 研磨工具、研磨方法および研磨装置
JP2715379B2 (ja) 研摩用ワークホルダー
JP4099524B2 (ja) ホーニング用加振アタッチメント
KR100453991B1 (ko) 초정밀 구심연마기
JP2002079448A (ja) レンズ面取り装置および方法
JP2715380B2 (ja) 研摩用ワークホルダー
JPH11188622A (ja) 研削加工方法及び研削盤
KR200300220Y1 (ko) 초정밀 구심연마기
KR200300222Y1 (ko) 초정밀 구심연마기
KR200300219Y1 (ko) 초정밀 구심연마기
KR20080091723A (ko) 렌즈가공장치의 렌즈유지기구
JPS614661A (ja) 平面研摩装置の被加工物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