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179B1 -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179B1
KR101526179B1 KR1020140027795A KR20140027795A KR101526179B1 KR 101526179 B1 KR101526179 B1 KR 101526179B1 KR 1020140027795 A KR1020140027795 A KR 1020140027795A KR 20140027795 A KR20140027795 A KR 20140027795A KR 101526179 B1 KR101526179 B1 KR 10152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able tube
wire
wire holder
poly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만
김현수
한주열
최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넥스
한국프레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넥스, 한국프레틀(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to KR102014002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는, 폴리아마이드 기반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된 와이어홀더와, 와이어홀더와 유사한 재질의 접착제가 내부에 코팅된 접착층이 형성된 열수축튜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열수축튜브에 열을 가하면, 열수축튜브의 접착층과 위치한 와이어 홀더가 녹아서 혼합되고, 혼합된 와이어홀더와 접착층은 열수축튜브의 내부의 틈새로 흘러들어서 열수축성튜브의 내측을 방수처리한다.

Description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WATERPROOFING APPARATUS OF CABLE USING WIRE HOLDER}
본 발명은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연결되어 내부로 향하는 전선에 있어서, 외부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물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전선을 타고 내부로 흘러들어와 전선의 단자 압착부에서 쇼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서, 각 장치에 체결된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들간의 단자 압착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에 연결되는 카메라 커넥터(100)가 있고, 자동차의 내부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제어 장치 커넥터(110)가 있다. 두 커넥터의 연결을 위해서 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며, 탈피된 부분에는 동선이 노출된구간이 형성되므로, 이 구간을 보호하고 동시에 외부 장치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열수축튜브(40)를 이용해 동선이 노출된 부근을 둘러싸고, 열수축튜브(40)의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전선(10)을 밀착된다. 이때에 밀착된 전선(10)들 사이와, 열수축튜브(40)와 전선(10)들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가 올 때에나, 자동차를 세차할 때에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되는 카메라 장치를 통해 물기가 유입되면, 이 물기는 전선을 타고 흘러 열수축튜브(40)의 내부의 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으며, 물기가 전선(10)들이 연결되는 단자 압착부에 위치하게 되면, 다수의 전선(10)이 물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열수축튜브(4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기술에 따르면, 열수축튜브(40)의 내부에 공간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에 에폭시를 도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수축튜브(40)에 열을 가하여 수축을 진행하기 전에 다수의 전선(10)의 중심부에 1차 에폭시 도포(1-1)를 진행한 후에, 전선(10) 다발의 외부를 감싸는 외장부(20)가 끝나고 전선(10)이 노출되는 부분에 2차 에폭시 도포(1-2)를 진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2번에 걸쳐 진행되는 에폭시 도포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도포된 에폭시를 건조하기 위한 시간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며, 에폭시량의 편차로 인해 열수축튜브(40)의 내부의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물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들의 단자 압착부위로 물기가 유입되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수축튜브의 내부의 공간을 완벽히 밀폐하고, 방수 처리를 위한 공정의 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는 일부 구간에 동선이 노출되는 다수의 전선; 상기 다수의 전선을 감싸는 외장부;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되며, 상기 전선들 사이에 배치되고, 열이 가해지면 연화되어 다수의 전선 사이의 틈을 채우는 와이어홀더; 내측에 접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홀더와 상기 전선의 일부 및 상기 외장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 1의 열수축성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에 열을 가하면, 상기 제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접착제층이 녹아서 연화된 상기 와이어홀더와 혼합되며, 혼합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접착제층과 상기 와이어홀더는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의 수축으로 인해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틈새를 채우며 양쪽 방향으로 퍼지게 되므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의 모든 틈새는 상기 혼합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접착제층과 상기 와이어홀더로 메워서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를 방수처리한다.
상기 와이어홀더에는, 상기 전선을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에 열이 가해질 때의 연화된 와이어홀더가 상기 전선의 사이로 용이하게 흘러들도록 하기 위한 외측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함유량이 90% 내지 99%이고, 133℃ 내지 145℃인 연화점을 가지며, 200℃ 내지 240℃의 적용온도를 가진다.
또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180℃에서 28,000mPa.s, 200℃에서 17,500mPa.s, 220℃에서 7,500mPa.s, 225℃에서 5,500~8,500mPa.s,240℃에서 3,000mPa.s의 용융점도를 가지고, -10℃까지의 저온에서도 부러짐을 방지하는 저온유연성을 가진다.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은, 상기 와이어홀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되며, 벤딩에 취약한 구간인, 상기 전선이 노출되는 구간과 상기 전선을 상기 외장부로 감싸는 구간의 경계구간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경계구간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열수축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 기반의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된 와이어홀더와, 와이어홀더와 유사한 재질의 접착제가 내부에 코팅된 접착층이 형성된 열수축튜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열수축튜브에 열을 가하면, 열수축튜브의 접착층과 위치한 와이어 홀더가 녹아서 혼합되고, 혼합된 와이어홀더와 접착층은 열수축튜브의 내부의 틈새로 흘러들어서 열수축성튜브의 내측을 방수처리하며, 이는 종래의 기술보다 공정의 방법이 간단하고, 공정수와 공정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의 방수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전선과 외장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의 와이어홀더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와이어홀더를 전선의 내부에 위치시킨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제 1의 열수축부재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의 제 1의 열수축부재를 장착한 모습에서, 제 1의 열수축부재의 내부를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열수축부재를 수축시킨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열수축부재에 열을 가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열수축부부재에 열을 가한 후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제 2의 열수축부재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에서 제 2의 열수축부재를 장착한 모습에서, 제 2의 열수축부재의 내부를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홀더(30)를 이용한 전선(10)의 방수장치의 와이어홀더(30)는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해 제작하며, 폴리아마이드(Polyamides) 기반의 핫멜트 접착제는 다양한 재질의 피착제에도 탁월한 접착특성을 가지며, 유독성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해 접착이 가능하며, 도포 후에 고화되기까지의 시간이 극히 짧아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일반 핫멜트 접착제보다 내열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와이어홀더(30)의 외측에는, 다수의 전선(10)을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열이 가해질 때의 연화된 와이어홀더(30)가 전선(10)의 사이사이로 용이하게 흘러들게 하기 위한 다수의 외측홈(31)이 형성된다. 외측홈(31)은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전선(10)과 밀착되고, 전선(10)은 개구부(32)를 통해 외측홈(31)에 삽입되며, 개구부(32)의 폭(d2)은 외측홈(31)의 지름(d1) 및 전선(10)의 지름보다 작다. 이와 같이 전선(10)이 외측홈(31)에 삽입되어 외측홈(3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전선(10)과 외측홈(31) 사이의 공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개구부(32)를 통해 외측홈(31)에 삽입된 전선(10)이 외측홈(31)에서 이탈하거나 외측홈(31)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와이어홀더(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도4, 도 5를 참조하면, 와이어홀더(30)는 전선(10)들의 단자 압착부 부근에서, 와이어홀더(30)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의 외측홈(31)에 전선(10)을 각각 위치시켜 와이어홀더(30)의 외측이 전선(1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그 후에, 도 6a과 도 6b와 같이, 전선(10)들의 단자 압착부를 포함한 다수의 전선(10)의 일부와, 와이어홀더(30)와 전선(10)을 감싸는 외장부(20)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에 열수축기를 이용해 제 1의 열수축튜브(40)에 열을 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열이 가해진 제 1의 열수축튜브(40)는 수축되어 다수의 전선(10)과 외장부(20)에 밀착된다.
도 7과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와이어홀더(30)는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되며, 열수축기에서 가해지는 열로 인해 연화된다. 연화된 와이어홀더(30)는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수축으로 인해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내부에서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외측을 향해 양쪽 방향으로 퍼진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의 폴리아마이드 함유량은 90~99%이고, 133~145℃의 연화점을 가지며, 적용 온도는 200~240℃이다. 또한 180℃에서 28,000mPa.s, 200℃에서 17,500mPa.s, 220℃에서 7,500mPa.s, 225℃에서 5,500~8,500mPa.s,240℃에서 3,000mPa.s의 용융점도를 가지며, 크리프 저항온도가 120℃이고, -10℃까지의 저온에서도 부러짐을 방지하는 우수한 저온유연성을 가진다.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외부는 열수축성 합성수지로 제작된 튜브층(41)이 형성되며, 튜브층(41)의 내부에는 와이어홀더(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의 핫멜트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제층(42)이 형성한다. 따라서 열수축기에서 열이 가해질 때에, 열에 녹은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접착제층(42)이 연화된 와이어홀더(30)와 쉽게 혼합되며, 튜브층(41)과 전선(10)의 사이의 틈새를 용이하게 메우게 된다. 편의를 위해 와이어홀더(30)와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접착제층(42)이 녹아 혼합된 부분은 핫멜트층(50)으로 표기한다. 연화된 핫멜트층(50)은 튜브층(41)의 수축으로 인해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내부에서 양쪽 방향으로 퍼지게 되며,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내부의 틈새들로 흘러들어 모든 틈새를 메우게 되므로,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튜브층(41)의 내부에는 전선(10)을 제외한 모든 공간에 핫멜트층(50)이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내부는 완벽히 밀폐되어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내부로 물기가 유입될 수 없게 된다. 핫멜트층(50)은 와이어홀더(30)의 양쪽 끝 면까지 퍼져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장부(20)에 의해 전선(10)이 감싸진 부분과, 외장부(20)에 감싸지지 않고 전선(10)이 노출된 부분의 경계구간은 벤딩에 취약한 구간이다. 따라서 이 구간에 힘을 가하여 구부렸을 때에 제 1의 열수축튜브(40)의 튜브층(41)과 접착제층(42)의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와이어홀더(30)를 전선(10)의 사이에 위치시키기 전에, 전선(10)과 외장부(20)의 경계구간에 제 1의 열 수축튜브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2의 열수축튜브(43)를 끼워서, 취약구간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전선, 20 : 외장부, 30 : 와이어홀더,
31 : 외측홈, 40 : 제 1의 열수축튜브, 41 : 튜브층,
42 : 접착제층, 43 : 제 2의 열수축튜브, 50 : 핫멜트층,
100 : 카메라커넥터, 110 : 제어장치 커넥터

Claims (9)

  1. 일부 구간에 동선이 노출되는 다수의 전선;
    상기 다수의 전선을 감싸는 외장부;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되며, 상기 전선들 사이에 배치되고, 열이 가해지면 연화되어 다수의 전선 사이의 틈을 채우는 와이어홀더;
    내측에 접착제층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홀더와 상기 전선의 일부 및 상기 외장부의 일부를 감싸는 제 1의 열수축성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에 열을 가하면, 상기 제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접착제층이 녹아서 연화된 상기 와이어홀더와 혼합되며, 혼합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접착제층과 상기 와이어홀더는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의 수축으로 인해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틈새를 채우며 양쪽 방향으로 퍼지게 되므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의 모든 틈새는 상기 혼합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접착제층과 상기 와이어홀더로 메워서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를 방수처리하고,
    상기 와이어홀더는, 상기 전선을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고, 상기 와이어홀더에 열이 가해질 때의 연화된 와이어홀더가 상기 전선의 사이로 용이하게 흘러들도록 하기 위한 외측홈을 형성하며,
    상기 외측홈은 내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과 밀착되고, 상기 전선은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측홈에 삽입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외측홈의 지름 및 상기 전선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함유량이 90% 내지 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133℃ 내지 145℃인 연화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200℃ 내지 240℃의 적용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1180℃에서 28,000mPa.s, 200℃에서 17,500mPa.s, 220℃에서 7,500mPa.s, 225℃에서 5,500~8,500mPa.s,240℃에서 3,000mPa.s의 용융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는 -10℃까지의 저온에서도 부러짐을 방지하는 저온유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열수축성튜브의 내부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은, 상기 와이어홀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벤딩에 취약한 구간인, 상기 전선이 노출되는 구간과 상기 전선을 상기 외장부로 감싸는 구간의 경계구간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경계구간에 위치시키며,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보다 작은 내경을 갖고, 상기 제 1의 열수축튜브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의 열수축튜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
KR1020140027795A 2014-03-10 2014-03-10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KR10152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795A KR101526179B1 (ko) 2014-03-10 2014-03-10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795A KR101526179B1 (ko) 2014-03-10 2014-03-10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179B1 true KR101526179B1 (ko) 2015-06-05

Family

ID=5350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795A KR101526179B1 (ko) 2014-03-10 2014-03-10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31A (ko) * 2017-07-28 2019-02-12 주식회사 경신 그라운드 와이어용 실링 커버
KR101972864B1 (ko) * 2019-02-08 2019-04-26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의 접속 구조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716B1 (ko) * 1979-11-23 1983-04-06 다부찌 노보루 광(光) 화이버 접속부의 보강방법
JP2005213383A (ja) * 2004-01-29 2005-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有機酸可溶型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三次元射出成形回路部品の製造方法
JP2012182924A (ja) * 2011-03-02 2012-09-20 Sumitomo Wiring Syst Ltd 線間止水用の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および該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の端末止水方法ならびに端末止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716B1 (ko) * 1979-11-23 1983-04-06 다부찌 노보루 광(光) 화이버 접속부의 보강방법
JP2005213383A (ja) * 2004-01-29 2005-08-11 Sumitomo Electric Ind Ltd 有機酸可溶型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三次元射出成形回路部品の製造方法
JP2012182924A (ja) * 2011-03-02 2012-09-20 Sumitomo Wiring Syst Ltd 線間止水用の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および該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の端末止水方法ならびに端末止水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231A (ko) * 2017-07-28 2019-02-12 주식회사 경신 그라운드 와이어용 실링 커버
KR101991104B1 (ko) * 2017-07-28 2019-06-20 주식회사 경신 그라운드 와이어용 실링 커버
KR101972864B1 (ko) * 2019-02-08 2019-04-26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의 접속 구조 및 방법
WO2020162654A1 (ko) * 2019-02-08 2020-08-13 주식회사 태양쓰리시 동축 케이블의 접속 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6533B2 (ja) 電線の止水方法及び該止水方法で形成された止水部を有する電線
US7373054B2 (en) Optical cable shield layer connection
JP2015222713A (ja) 遮蔽されたワイヤケーブルをスプライス接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作製されたケーブル
JP2006156052A (ja) 高圧電線の接続構造及び高圧電線の接続方法
CN102598161A (zh) 止水处理方法和绝缘套电线
US20140305678A1 (en) Wiring material
US20170169919A1 (en)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73490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области контактных участко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2008067545A (ja) シールド線の止水方法および止水構造
US4879807A (en) Method of making a sealed coaxial cable splice
CN107919537A (zh) 导电电路
JP2002044837A (ja) ケーブル引込部の防水構造
KR101526179B1 (ko)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JP2008204645A (ja) ハーネス防水材および防水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402065B2 (ja) シールド線の端末止水方法および端末止水部を備えたシールド線
JP2011065964A (ja) 止水部を備えたシールド電線および該シールド電線の止水部の形成方法
JPH094538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スプライス構造
US20150270696A1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insulation-coated electrical wire, and wire harness
JP6996974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2043010A (ja) 防水構造を有するリード線接続部の製造方法
JP2016162631A (ja) 止水用保護チューブ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4928178B2 (ja) シールド線のドレン線止水方法およびドレン線止水構造
JP2016184542A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806320B1 (ko)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CN104752936A (zh) 导线之间电连接的方法及雷管脚线的延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