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051B1 -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051B1
KR101521051B1 KR1020140066029A KR20140066029A KR101521051B1 KR 101521051 B1 KR101521051 B1 KR 101521051B1 KR 1020140066029 A KR1020140066029 A KR 1020140066029A KR 20140066029 A KR20140066029 A KR 20140066029A KR 101521051 B1 KR101521051 B1 KR 10152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tube
fishing rod
top gui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20140066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051B1/ko
Priority to AU2015265152A priority patent/AU2015265152B2/en
Priority to JP2015543975A priority patent/JP5834168B1/ja
Priority to US15/312,089 priority patent/US10045517B2/en
Priority to PCT/JP2015/062528 priority patent/WO2015182309A1/ja
Priority to GB1620326.7A priority patent/GB2545995B/en
Priority to CN201580028541.8A priority patent/CN106413395B/zh
Priority to TW104114791A priority patent/TWI58170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가이드용 부착관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용 부착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과,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에 마련된 제1 삽입구와, 길이방향에서의 타단에 마련된 직사각형의 제2 삽입구와, 타단에 마련된 사면을 가진다. 낚싯대의 선단부는 제1 삽입구에 삽입된다.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삽입 다리는 제2 삽입구에 삽입된다. 제2 삽입구의 직사각형의 중심은 중심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사면은 제2 삽입구에 접하여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Description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MOUNTING PIPE FOR TOP GUIDE, TOP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의 선단에 부착되는 탑가이드용 부착관 및 탑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탑가이드용 부착관 또는 탑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릴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 또는 릴에 되감기는 낚싯줄을 낚싯대를 따라 안내하기 위해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에 부착된다. 낚싯줄 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과, 낚싯대에 부착되어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가진다. 낚싯줄 가이드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가 낚싯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낚싯대에 부착된다. 이러한 낚싯줄 가이드 중 낚싯대의 선단에 위치하는 낚싯줄 가이드는 '탑가이드'로서 참조된다. 일반적으로 낚싯대의 몸체는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낚싯대의 몸체의 선단에서의 단면을 보호하기 위해, 탑가이드는 낚싯대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식으로 낚시대의 선단부에 부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31148호는 전술한 바의 탑가이드의 일예를 개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131148호 (1997.05.20)
낚시구의 비거리, 낚시구의 캐스팅의 정확도, 낚시 감도 등의 향상을 위해서는, 가이드 링의 중심의 높이, 가이드 링의 내경, 가이드 링의 경사 각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탑가이드는 낚싯대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부착관과, 부착관과 결합되며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가진다. 탑가이드의 부착관의 선단에는 삽입구가 마련되어 있고, 프레임에는 부착관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 다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강도가 요구되는 프레임에는 삽입다리와, 부착관과 접촉하는 지지 다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탑가이드는 별개로 된 프레임과 부착관을 가진다. 탑가이드의 사용예에 의하면, 다양한 지름의 낚싯대에 적용되도록 다양한 내경을 가진 여러 부착관이 사용되지만, 이러한 여러 부착관에 한가지의 크기로 된 프레임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종래기술의 탑가이드의 사용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상기한 한가지의 크기로 된 프레임(420A)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410A, 410B, 410C)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도 25는 또 하나의 한가지의 크기로 된 프레임(420B)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410D, 410E, 410F)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지름이 큰 낚싯대를 위한 큰 내경을 가진 부착관(410C)에 상기한 프레임(420A)을 장착하면, 부착관(410A)에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 링(430)이 낚싯대의 후단 방향으로 기울고 부착관(410C)의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링(430)의 중심까지의 높이(도 24에 있어서 직선(L1)과 직선(L3) 사이의 거리)도 작아진다. 반대로, 지름이 작은 낚싯대를 위한 작은 내경을 가진 부착관(410B)에 상기한 프레임(420A)을 장착하면, 부착관(410A)에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이드 링(430)이 낚싯대의 선단 방향으로 기울고 부착관(410B)의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링(430)의 중심 까지의 높이(도24에 있어서 직선(L1)과 직선(L3) 사이의 거리)도 커진다.
도 25를 참조하면, 한가지의 크기로 된 프레임(420B)을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410D, 410E, 410F)에 장착함에 따라, 가이드 링(430)이 낚싯대의 선단 또는 후단으로 기울고 부착관(410D, 410E, 410F)의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링(430)의 중심까지의 높이(도 25에 있어서 직선(L1)과 직선(L3) 사이의 거리)도 달라진다. 특히, 도 25에 도시하는 프레임(420B)을 가지는 탑가이드에 있어서는, 지지 다리(422)의 선단의 부착관에 대한 접촉 위치가 각 탑가이드에 있어서 부착관의 중심축으로부터 크게 어긋나 버린다. 따라서, 도 25에 도시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탑가이드에 있어서는, 길이가 공통인 부착관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 이상으로 긴 부착관이 사용되어야 한다. 예컨대, 도 25에 있어서, 삽입 다리(421B)의 선단과 부착관의 일단 사이의 거리(도 25에 있어서 부호 CL로 지시한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은 내경의 부착관(410E)에서는 부착관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지만, 통상의 내경의 부착관(410D)과 큰 내경의 부착관(410F)에서는 작은 내경의 부착관(410E)에 비해 부착관의 길이가 길어져야만 한다. 이와 같이, 부착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은 탑가이드의 중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프레임(420B)의 삽입 다리(421B)와 지지 다리(422)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탑가이드의 경량화에 매우 불리하다.
즉, 한가지 크기의 프레임(420A)을 외경이 다른 여러 부착관(410A, 410B, 410C)에 장착하는 도 24에 도시하는 사용예, 또는 한가지 크기의 프레임(420B)을 외경이 다른 여러 부착관(410D, 410E, 410F)에 장착하는 도 25에 도시하는 사용예에 있어서, 부착관(410A 내지 410F)의 외경이 달라짐에 따라, 부착관에 대한 가이드 링(430)의 경사각도, 부착관(410A 내지 410F)의 표면으로부터 가이드 링(430)의 중심까지의 높이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또한, 가이드 링(430)에 의도하지 않는 기울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낚싯줄의 엉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가이드 링(430)의 경사에 의해 낚싯줄이 통과하는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낚싯줄이 가이드 링(430)을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 또한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한가지 크기의 프레임(420A, 420B)을 외경이 다른 여러 부착관에 장착할 때 프레임(420A, 420B)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지 않는 이유는, 삽입 다리(421A, 421B)의 길이와 지지 다리(422)의 길이는 정해져 있지만, 여러 부착관(410A 내지 410F)의 치수가 적용되는 낚싯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다양한 부착관에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할 때의 프레임의 위치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서, 내경이 다른 부착관의 각각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프레임을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낚싯줄 가이드의 메이커에게 부착관 별로 적합한 다양한 프레임을 개발해야 하는 부담과 낚싯줄 가이드의 제조원가를 증대시키는 불리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낚싯대의 다양한 지름에 관계 없이 프레임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탑가이드용 부착관 및 낚싯대용 탑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탑가이드용 부착관 또는 탑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탑가이드용 부착관이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용 부착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과,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1 삽입구와,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단에 마련되는 사각형의 제2 삽입구와, 상기 타단에 마련되는 사면을 구비한다. 낚싯대의 선단부는 상기 제1 삽입구에 삽입된다.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프레임의 삽입 다리는 상기 제2 삽입구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삽입구의 사각형의 중심은 중심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사면은 상기 제2 삽입구에 접하며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삽입구의 중심이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가장자리는 직선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예각은 25° 이상 45° 이하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상기 제2 삽입구에 접하는 가장자리의 반대쪽의 가장자리와 상기 일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길이의 60%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구는 직사각형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관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삽입구의 양 단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부착관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낚싯대용 탑가이드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탑가이드는,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삽입 다리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전술한 탑가이드용 부착관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탑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프레임의 삽입 다리는 상기 부착관의 사면의 상기 예각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부착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상기 제2 삽입구의 중심이 상기 부착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부착관의 외면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탑가이드용 부착관 또는 전술한 탑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용 부착관에 의하면, 프레임의 삽입 다리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의 직사각형의 중심이 부착관의 중심축으로부터 외면 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부착관에 있어서, 제2 삽입구의 중심과 부착관의 외면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고 부착 관으로부터 가이드 링의 중심까지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어, 하나의 프레임이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여러 부착관에 동일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부착관에 하나의 프레임이 동일한 위치로 설치되므로, 짧은 삽입 다리와 지지 다리를 가지는 프레임을 설계할 수 있어, 경량화된 탑가이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에 의하면, 부착관은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진 사면을 구비하고, 프레임의 삽입 다리는 사면의 예각과 대략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탑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사면과 삽입 다리는 스무드하게 연결되어, 낚싯줄의 엉킴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를 구비하는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탑가이드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탑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부착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부착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부착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부착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부착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부착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하는 부착관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하는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하는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의 평면도로서, 프레임의 삽입 다리가 부착관의 제2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0은 프레임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에 장착되어 있는 탑가이드의 여러 실시예를 나란히 도시한다.
도 21은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의 평면도로서, 프레임의 삽입 다리가 부착관의 제2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 22는 프레임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에 장착되어 있는 탑가이드의 여러 실시예를 나란히 도시한다.
도 23a와 도 23b는 제2 삽입구의 사각형 형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동일의 프레임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탑가이드를 나란히 도시한다.
도 25는 또 하나의 동일의 프레임이 다양한 외경의 부착관에 장착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탑가이드를 나란히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가이드용 부착관, 탑가이드 및 낚싯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가 부착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를 설명한다. 도 1에서, 화살표(T)는 낚싯대의 선단을 가리키고, 화살표(B)는 낚싯대의 후단을 가리킨다.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10)는 가늘고 긴 원통형상의 낚싯대 몸체(11)를 가지며, 낚싯대 몸체(11)는 선단을 향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낚싯대의 몸체(11)는 하나의 대, 또는 복수의 부분 대로 이루어진다. 낚싯대 몸체(11)가 복수의 부분 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분 대는 꽂기식(put in type), 덮기식(put over type), 진출식(telescopic type) 등으로 연결된다. 낚싯대(10)는 그 후단 부근에 릴(미도시)을 부착하기 위한 릴 시트(12)를 가진다. 또한, 낚싯대(10)는 낚싯대 몸체(11)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낚싯대(10)의 선단에서 낚싯줄을 안내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낚싯대 몸체(11)의 선단부'는 '낚싯대의 선단부'라고 하며, 이는 낚싯대 몸체(11)가 하나의 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선단부, 또는 낚싯대 몸체(11)가 복수의 부분 대로 이루어지는 경우 선단에 위치하는 부분 대의 선단부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22는 탑가이드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2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는 낚싯대의 선단부(13)에 부착된다.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는 낚싯대(10)의 선단부(13)와의 부착을 위한 부착관(100A1 내지 100C)과,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300)을 유지하고 부착관(100A1 내지 100B3)과 결합되는 프레임(200A, 200B)을 구비한다. 탑가이드(20A1 내지 20B3)의 부착관(100A1 내지 100C)과 프레임(200A, 200B)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부착관(100A1 내지 100C)은 낚싯대의 선단부(13)가 삽입되는 관체를 구비한다. 탑가이드(20A1 내지 20B3)는,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관체에 낚싯대(10)의 선단부(13)가 삽입되고 예컨대 상기 관체와 낚싯대(10)의 선단부(13)가 접합됨으로써 낚싯대 몸체(11)에 부착된다.
도 5 내지 도 12b는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를 구성하는 부착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탑가이드의 부착관의 일 예를 설명한다.
부착관(100A1)은 관체(110A1)를 포함한다. 낚싯대(10)의 선단부(13)는 관체(110A1)에 삽입된다. 관체(110A1)는 낚싯대의 선단부(13)를 그 안에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보어가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부착관(100A1)은 관체(110A1)의 원형의 횡단면에서의 중심을 지나면서 관체(110A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CA)과,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단(111)과, 상기 길이방향에서 일단(111)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단(112)을 구비한다. 부착관(100A1)을 낚싯대(10)의 선단부(13)에 부착하면, 부착관(100A1)의 일단(111)은 낚싯대(10)의 후단을 향한다.
부착관(100A1)의 일단(111)에는 원형의 제1 삽입구(120)가 마련되어 있다. 낚싯대(10)의 선단부(13)는 제1 삽입구(120)를 통해 관체(110A1)의 내부로 삽입된다. 부착관(100A1)과 낚싯대(10)의 결합은, 예컨대 접착제를 관체(110A1)의 내주면과 낚싯대의 선단부(13)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시키고, 선단부(13)를 부착관(100A1)의 일단(111)으로부터 타단(112) 쪽으로 삽입하여 행해진다.
부착관(100A1)은 타단(112)에 사각형의 제2 삽입구(130A)를 구비한다. 탑가이드(20A1)의 프레임(200A)은 부착관(100A1)에 프레임(200A)의 일부(프레임(200A)의 삽입 다리)를 제2 삽입구(130A)를 통해 관체(110)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부착관(100A1)에 부착된다. 제2 삽입구(130A)는 부착관(100A1)을 정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삽입구(130A)는 모퉁이가 둥근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2 삽입구(130A)의 사각형의 모퉁이의 둥근 정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될 수 있으며, 제2 삽입구의 사각형 형상은 양변이 직각인 사각형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삽입구(130A)는 직사각형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A1)을 타단(112)에서 볼 때(부착관(100A1)을 정면에서 볼 때), 제2 삽입구(130A)는 직사각형을 가진다. 제2 삽입구(130A)는 그 직사각형을 이루는 평면이 중심축(CA)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타단(112)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구(130A)는 그 직사각형의 단변이 중심축(CA)에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타단(112)에 형성된다. 제2 삽입구(130A)는 직사각형의 중심(CQ)과, 상측의 장변(131ULS)과, 하측의 장변(131LLS)과, 좌측의 단변(131LSS)과 우측의 단변(131RSS)을 가진다. 타단(112)에 제2 삽입구(130A)가 중심축(CA)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타단(112)은 제2 삽입구(130A)의 각 변을 한정하는 변부를 가진다. 즉, 타단(112)은 상측 장변부(112ULS)와, 하측 장변부(112LLS)와, 좌측 단변부(112LSS)와, 우측 단변부(112RSS)를 가진다. 상측 장변부(112ULS), 하측 장변부(112LLS), 좌측 단변부(112LSS) 및 우측 단변부(112RSS)의 내측 가장자리가 제2 삽입구(130A)의 장변과 단변을 각각 한정한다. 부착관(100A1)을 정면에서 볼 때, 장변부(112ULS, 112LLS)와 단변부(112LSS, 112RSS)의 폭은 관체(110A1)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거나 관체(110A1)의 두께보다 약간 작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은 중심축(C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은 중심축(C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을 지나고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2)은 중심축(CA)과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직선(L1)은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이 중심축(C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서의 부착관(100A1)의 외면(관체(110A1)의 외면)에 위치하며, 부착관(100A1)을 측면에서 볼 때 상측 가장자리를 지난다. 또한, 타단(112)의 상측 장변부(112ULS)의 외측 가장자리는 직선(L1)보다 하측에 또는 직선(L1)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단(112)의 상측 장변부(112ULS)의 내측 가장자리는 제2 삽입구(130A)의 상측 장변(131ULS)(제2 삽입구(130A)의 두개의 장변 중 중심축(CA)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장변)으로 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직선(L1)에 위치한다. 따라서, 부착관(100A1)을 측면에서 볼 때, 제2 삽입구(130A)의 중심(CQ)이 중심축(C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부착관(100A1)의 상측 가장자리(113U)는 대략 직선을 이룬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삽입구(130A)의 하측 장변(131LLS)(제2 삽입구(130A)의 두개의 장변 중 중심축(CA)에 가까운 장변)은 중심축(C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A1)을 평면에서 볼 때, 관체(110A1)의 폭은 타단(112)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삽입구(130A)의 좌측 단변(131LSS)과 우측 단변(131RSS)은 부착관(100A1)의 원통 부분의 외면의 외측에 위치한다. 즉, 부착관(100A1)을 정면에서 볼 때, 좌측 단변(131LSS)과 우측 단변(131RSS)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되는 제2 삽입구(130A)의 폭(W1)은 관체(110A1)의 내경 및 외경(부착관(100A1)의 내경 및 외경)보다 크다.
부착관(100A1)은 타단(112)에 제2 삽입구(130A)와 접하는 사면(140)을 구비한다. 사면(140)은 부착관(100A1)의 타단(112) 부근에서의 일부가 중심축(CA) 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사면부(141)의 외면이다. 부착관(100A1)을 측면에서 볼 때, 사면(140)은 부착관(100A1)의 중심축(CA)에 대하여 예각(A1)으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면(140)의 상기 예각(A1)은 25° 이상 45° 이하이다. 사면(140)은 관체(110A1)를 그 중심축(CA)에 대하여 상기 예각(A1)으로 단면을 취할 때 나타나는 관체의 가상의 절단면의 형상에서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을 제외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사면(140)은 직선 가장자리(142)와, 직선 가장자리(142)와 대향하는 곡선 가장자리(143)를 가진다. 사면(140)의 직선 가장자리(142)는, 제2 삽입구(130A)의 하측 장변(131LLS)(제2 삽입구의 두개의 장변 중 중심축(CA)에 가까운 장변)을 내측 가장자리로서 가지는 타단(112)의 하측 장변부(112LLS)의 외측 가장자리와 접한다. 사면(140)의 곡선 가장자리(143)는 부착관(100A1)의 원통 부분의 외주면과 접하며, 부착관(100A1)을 측면에서 볼 때 하측 가장자리(113L)에 위치하는 정점(AP)을 가진다.
도 5에 있어서, 부호 PL로 지시되어 있는 길이는 부착관(100A1)에 삽입되는 낚싯대의 선단부(13)의 최대 삽입 깊이를 나타낸다. 부착관(100A1)과 낚싯대의 선단부(13)와의 적절한 부착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PL)는 부착관(100A1)의 전장(일단(111)으로부터 타단(112)까지의 길이)(OL)의 60% 이상 및 95% 이하로 된다.
도 7a 내지 도 12b는 부착관의 여러 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2)은 부착관(100A1)의 제2 삽입구(130A)와 동일한 제2 삽입구(130A)를 가지지만, 부착관(100A1)의 관체(110A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관체(110A2)를 구비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3)은 부착관(100A1)의 제2 삽입구(130A)와 동일한 제2 삽입구(130A)를 가지지만, 부착관(100A1)의 관체(110A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관체(110A3)를 구비한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A3)의 타단부는 타단(112)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B1)은 부착관(100A1)의 관체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관체(110B1)를 가지나, 부착관(100A1)의 제2 삽입구(130A)의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가지는 제2 삽입구(130B)를 구비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B2)은 부착관(100B1)의 제2 삽입구(130B)와 동일한 제2 삽입구(130B)를 가지지만, 부착관(100B1)의 관체(110B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관체(110B2)를 구비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B3)의 관체(110B3)는 부착관(100B1)의 관체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지만, 부착관(100B3)은 부착관(100B1)의 제2 삽입구(130B)와 동일한 제2 삽입구(130B)를 가진다.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B3)의 타단부는 타단(130)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도 7a 내지 도 11b에 도시하는 부착관에서, 제2 삽입구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은 부착관의 중심축(C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도 7a, 도 7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2, 100B2)에 있어서, 제2 삽입구의 하측 장변(131LLS)은 중심축(CA)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 도 8a, 도 8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3, 100B3)에 있어서, 제2 삽입구의 하측 장변(131LLS)은 중심축(C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또, 도 8a, 도 8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3, 100B3)에 있어서, 제2 삽입구(130A, 130B)의 양측 단변(131LSS, 131RSS) 사이의 거리는 관체(110A3, 110B3)의 내경(부착관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도 8a, 도 8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A3, 100B3)을 정면에서 볼 때, 제2 삽입구의 좌측 단변(131LSS)과 우측 단변(131RSS)은 부착관(100A3, 100B3)의 원통 부분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부착관(100C)은 부착관(100A1)의 제2 삽입구(130A)의 폭과는 다른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2 삽입구(130C)를 구비하며, 제2 삽입구(130C)의 상측 장변(131ULS)에 접하고 중심축(CA)을 중심으로 사면(140)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또 하나의 사면(150)을 구비한다. 부착관(100C)의 제2 삽입구(130C)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은 중심축(C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2 삽입구(130C)의 하측 장변(131LLS)은 중심축(CA)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 2 내지 도 5,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탑가이드의 프레임의 일 예를 설명한다.
탑가이드의 프레임(200A)은 가이드 링(300)을 유지하며, 부착관(100A1 내지 100C)에 결합되어 가이드 링(300)을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링(300)은 원형이며, 그 안에 낚싯줄이 통과하는 원형의 개구를 가진다. 가이드 링(300)은 그 내주면에서 낚싯줄과 접촉하며, 세라믹과 같은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00A)은 가이드 링(300)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210)와, 링 유지부(220)로부터 연장하고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제2 삽입구(130A, 130B, 130C)에 끼워지는 삽입 다리(220A)와, 링 유지부(220)로부터 연장하고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외면에 접촉하는 지지 다리(230)를 구비한다.
링 유지부(210)는 가이드 링(300)을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유지하도록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링(300)은 그 외주면에서 링 유지부(210)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된다.
삽입 다리(220A)는 링 유지부(210)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직선으로 연장하며, 링 유지부(210)로부터 가이드 링(300)의 평면(PR)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삽입 다리(200)의 상기 예각은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사면(140)의 예각(A1)과 동일할 수 있다. 삽입 다리(220A)는 그 말단에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제2 삽입구(130A, 130B, 130C)에 끼워지는 삽입부(221A)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221A)는 삽입 다리(220A)의 측방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쇼울더부(222)에 의해 한정된다. 삽입부(221A)는 쇼울더부(222)로부터 삽입 다리(220A)의 말단 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삽입 길이(IL1)와, 양 쇼울더부(222)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삽입 폭(IW1)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221A)의 삽입 폭(IW1)은 제2 삽입구(130A)의 폭(W1)과 동일하다. 또한, 각 쇼울더부(222)의 폭은 타단(112)의 단변부(112LSS, 112LSS)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단변부(112LSS, 112LSS)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 다리(230)는 링 유지부(210)의 측방에서 낚싯대(100)의 후단 쪽으로 연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다리(230)는 부착관의 중심축(CA)에 대하여 대칭인 좌측 지지 다리(230L)와 우측 지지 다리(230R)로 이루어진다. 탑가이드(20A1)를 측면에서 볼 때, 좌측 지지 다리(230L)와 우측 지지 다리(230R)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좌측 지지 다리(230L)와 우측 지지 다리(230R)는 그들의 말단에서 일체로 되어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를 형성한다.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는 제2 삽입구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이 부착관의 중심축(CA)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외면에 접촉한다.
도 15는 또 하나의 예에 따른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프레임(200B)의 삽입 다리(220B)는 그 말단에, 프레임(200B)을 평면에서 볼 때 대략 포물선형인 삽입부(221B)를 구비한다. 삽입 다리(220B)의 삽입부(221B)가 제2 삽입구(130A, 130B, 130C)내로 끼워진다. 삽입부(221B)는 삽입 길이(IL2)와, 삽입 폭(IW2)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221B)의 삽입 폭(IW2)은 제2 삽입구(130B)의 폭(W2)과 동일하다.
도 16 내지 도 18은 프레임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프레임(200C)은 지지 다리(230)를 구성하는 좌측 지지 다리(230L)와 우측 지지 다리(230R)가 탑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프레임(200D)은 삽입 다리(220D)에 개구(223)를 구비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프레임(200E)은 전술한 지지 다리(230)를 구비하지 않는다.
프레임의 삽입 다리(220A, 220B, 220D)의 삽입부(221A, 221B)를 제2 삽입구(130A, 130B, 130C)에 삽입하고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를 부착관의 외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프레임(200A 내지 200D)이 부착관(100A1 내지 100C)에 부착된다. 부착관과 프레임의 고착을 위해, 예컨대 브레이징(brazing) 또는 납땜(soldering)에 의해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와 부착관의 외면이 접합된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전술한 부착관과 전술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탑가이드에 있어서, 프레임이 여러 부착관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전술한 프레임 중 프레임(200A)과 전술한 부착관 중 부착관(100A1)을 구비하는 탑가이드(20A1)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프레임(200A)이 부착관(100A1, 100A2, 100A3)의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란히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A1, 100A2, 100A3)은 각기 다른 외경을 가진다. 그러나, 부착관(100A1, 100A2, 100A3)의 상측 가장자리(113U)를 지나고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1)과, 제2 삽입구(130A)의 직사각형의 중심(CQ)을 지나고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2) 간의 거리(D1)는 각 탑가이드(20A1, 20A2, 20A3)에 있어서 동일하다.
프레임(200A)의 삽입 폭(IW1)은 제1 삽입구(130A)의 폭(W1)과 동일하며, 각 부착관(100A1, 100A2, 100A3)에 대해 동일한 삽입 길이(IL1)로 삽입부(221A)가 제2 삽입구(130A)에 삽입된다. 또,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1)과 가이드 링(300)의 중심을 지나고 중심축(CA)에 평행한 직선(L3) 사이의 거리(D2)도 각 탑가이드(20A1, 20A2, 20A3)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 가이드 링(300)의 평면(RP)이 부착관(100A1, 100A2, 100A3)의 중심축(CA)과 이루는 각도(A2)도 각 탑가이드(20A1, 20A2, 20A3)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 삽입부(221A)의 선단과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의 후단 사이의 거리(D3)도 각 탑가이드(20A1, 20A2, 20A3)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20A2, 20A3)에서는, 외경이 각기 다른 부착관(100A1, 100A2, 100A3)에 대해 프레임(200A)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된다.
도 21은 전술한 프레임 중 프레임(200B)과 전술한 부착관 중 부착관(100B1)을 구비하는 탑가이드(20B1)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프레임(200B)이 부착관(100B1, 100B2, 100B3)의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란히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관(100B1, 100B2, 100B3)의 외경이 각기 다르지만, 부착관(100B1, 100B2, 100B3)의 상측 가장자리(113U)를 지나는 직선(L1)과 제2 삽입구(130B)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L2)간의 거리(D1)는 각 탑가이드(20B1, 20B2, 20B3)에 있어서 동일하다. 프레임(200B)의 삽입부(221B)의 삽입 폭(IW2)은 제2 삽입구(130B)의 폭(W2)과 동일하며, 각 부착관(100B1, 100B2, 100B3)에 대해 동일한 삽입 길이(IL2)로 삽입부(221B)가 삽입된다. 또, 직선(L1)으로부터 직선(L3)까지의 거리(D2) 및 가이드 링(300)의 평면(RP)의 각도(A2)도 각 탑가이드(20B1, 20B2, 20B3)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삽입부(221B)의 선단과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의 후단 사이의 거리(D3)도 각 탑가이드(20B1, 20B2, 20B3)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B1, 20B2, 20B3)에서는, 외경이 각기 다른 부착관(100B1, 100B2, 100B3)에 대해 프레임(200B)이 동일한 위치에 유지된다.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에 있어서, 프레임(200A)의 삽입부(221A)는 동일한 삽입 폭(IW1) 및 삽입 길이(IL1)로서 부착관(100A1 내지 100A3)에 삽입되고, 프레임(200B)의 삽입부(221B)는 동일한 삽입 폭(IW2) 및 삽입 길이(IL2)로서 부착관(100B1 내지 100B3)에 삽입된다. 또, 제2 삽입구(130A, 130B, 130C)의 직사각형 형상의 중심이 부착관(100A1 내지 100C)의 중심축(CA)보다 상방에 있고, 제2 삽입구(130A)의 상측 장변을 한정하는 타단(112)의 상측 장변부(112ULS)의 외측 가장자리는 부착관의 외면(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 부착관의 상측 가장자리(113U))에 위치하는 직선(L1)에 위치하므로, 프레임(200A, 200B)은 각 부착관(100A1 내지 100C)에 대해 동일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프레임200A, 200B)이 각 부착관에 동일 위치에 유지되면서, 삽입부(221A, 221B)의 선단과 지지 다리(230)의 말단부(231)의 후단 사이의 거리(D3)도 각 탑가이드에 있어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200A, 200B)의 삽입부(221A, 221B)는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맞추어 프레임(200A, 200B)의 지지 다리(230)도 짧게 설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는 경량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에 있어서, 부착관(100A1 내지 100B3)의 사면(140)은 중심축(CA)에 대하여 예각(A1)(예컨대, 25° 내지 45°)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프레임(200A, 200B)의 삽입 다리(220A, 200B)는 링 유지부(210)로부터 직선으로 연장하며, 가이드 링의 평면(RP)에 대하여 사면(140)의 예각(A1)과 같은 범위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200A, 200B)의 삽입 다리(220A, 200B)는 링 유지부(210)로부터 부착관의 사면(140)의 예각(A1)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하여, 탑가이드(20A1 내지 20B3)를 측면에서 볼 때, 삽입 다리(220A, 220B)의 하측 가장자리와 사면(140)이 일직선을 이룬다. 따라서, 도 20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탑가이드(20A1 내지 20B3)에 있어서, 사면(140)과 삽입 다리(220A, 220B)의 하면이 중심축(CA)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가 커지고 이들 사이에 단차가 작아진다. 따라서, 낚싯줄은 부착관의 사면(140)과 프레임의 삽입 다리(220A, 220B)의 경계에 걸리거나 엉키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는, 부착관(130A1 내지 100C)을 정면에서 볼 때 횡으로 긴 직사각형의 제2 삽입구(130A, 130B)를 가진 부착관(130A1 내지 100C)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제2 삽입구(130D)는, 부착관(100D)을 정면에서 볼 때, 종으로 긴 형상으로서 부착관(100D)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제2 삽입구(130E)가 부착관(100E)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삽입구(130D)의 직사각형 또는 제2 삽입구(130E)의 정사각형의 중심은 부착관의 중심축(C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 제2 삽입구의 중심이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부착관의 가장자리는 직선으로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낚싯대
11: 낚싯대 몸체
12: 릴 시트
13: 낚싯대의 선단부
20A1, 20A2, 20A3, 20B1, 20B2, 20B3: 탑가이드
100A1, 100A2, 100A3, 100B1, 100B2, 100B3, 100C, 100D, 100E: 부착관
110A1, 110A2, 110A3, 110B1, 110B2, 110B3, 110C: 관체
111: 부착관의 일단
112: 부착관의 타단
112ULS, 112LLS: 타단의 장변부
112LSS, 112RSS: 타단의 단변부
113U: 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의 상측 가장자리
113L: 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의 하측 가장자리
120: 제1 삽입구
130A, 130B, 130C, 130D, 130E: 제2 삽입구
131ULS, 131LLS: 제2 삽입구의 장변
131LSS, 131RSS: 제2 삽입구의 단변
140: 사면
141: 사면부
142: 사면의 직선 가장자리
143: 사면의 곡선 가장자리
150: 사면
200A, 200B, 200C, 200D, 200E: 프레임
210: 링 유지부
220A, 220B, 220D: 삽입 다리
221A, 221B: 삽입부
222: 쇼울더부
223: 개구
230: 지지 다리
230L: 좌측 지지 다리
230R: 우측 지지 다리
231: 말단부
300: 가이드 링
CA: 부착관의 중심축
CQ: 제2 삽입구의 사각형의 중심
L1: 부착관의 외면에 위치하고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L2: 제2 삽입구의 사각형의 중심을 지나고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L3: 가이드 링의 중심을 지나고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OL: 부착관의 전장
PL: 사면의 가장자리의 정점과 일단 사이의 길이
W1, W2: 제2 삽입구의 폭
D1: L1과 L2 사이의 거리
D2: L1과 L3 사이의 거리
IW1, IW2: 삽입부의 삽입 폭
IL1, IL2: 삽입부의 삽입 길이
A1: 사면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
A2: 가이드 링의 평면의 중심축에 대한 각도
AP: 사면의 곡선 가장자리의 정점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과,
    상기 길이방향에서의 일단에 마련되고 낚싯대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와,
    상기 길이방향에서 상기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타단에 마련되고, 가이드 링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삽입 다리가 삽입되며,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중심을 가지는 사각형의 제2 삽입구와,
    상기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구에 접하며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기울어진 사면을 포함하는
    탑가이드용 부착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관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삽입구의 중심이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가장자리는 직선인
    탑가이드용 부착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예각은 25° 이상 45° 이하인
    탑가이드용 부착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의 상기 제2 삽입구에 접하는 가장자리의 반대쪽의 가장자리의 정점과 상기 일단 사이의 길이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길이의 60% 이상 95%이하인
    탑가이드용 부착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구는 직사각형인
    탑가이드용 부착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관을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2 삽입구의 양 단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부착관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은
    탑가이드용 부착관.
  7.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을 유지하는 링 유지부와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삽입 다리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탑가이드용 부착관을 포함하는
    낚싯대용 탑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용 탑가이드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프레임의 삽입 다리는 상기 부착관의 사면의 상기 예각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하는
    낚싯대용 탑가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링 유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부착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더 구비하는
    낚싯대용 탑가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다리는 상기 제2 삽입구의 중심이 상기 부착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방향에서 상기 부착관의 외면에 접촉하는
    낚싯대용 탑가이드.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탑가이드용 부착관을 구비하는 낚싯대.
  12. 제7항의 낚싯대용 탑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KR1020140066029A 2014-05-30 2014-05-30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KR10152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29A KR101521051B1 (ko) 2014-05-30 2014-05-30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AU2015265152A AU2015265152B2 (en) 2014-05-30 2015-04-24 Attachment tube for top guide, top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JP2015543975A JP5834168B1 (ja) 2014-05-30 2015-04-24 トップガイド用取付管、釣り竿用トップガイド及び釣り竿
US15/312,089 US10045517B2 (en) 2014-05-30 2015-04-24 Attachment tube for top guide, top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PCT/JP2015/062528 WO2015182309A1 (ja) 2014-05-30 2015-04-24 トップガイド用取付管、釣り竿用トップガイド及び釣り竿
GB1620326.7A GB2545995B (en) 2014-05-30 2015-04-24 Attachment tube for top guide, top guide for fishing rod, and fishing rod
CN201580028541.8A CN106413395B (zh) 2014-05-30 2015-04-24 用于顶部引导器的附接管、用于钓杆的顶部引导器及钓杆
TW104114791A TWI581707B (zh) 2014-05-30 2015-05-08 頂部導件用安裝管、釣竿用頂部導件及釣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029A KR101521051B1 (ko) 2014-05-30 2014-05-30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051B1 true KR101521051B1 (ko) 2015-05-15

Family

ID=5339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029A KR101521051B1 (ko) 2014-05-30 2014-05-30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45517B2 (ko)
JP (1) JP5834168B1 (ko)
KR (1) KR101521051B1 (ko)
CN (1) CN106413395B (ko)
AU (1) AU2015265152B2 (ko)
GB (1) GB2545995B (ko)
TW (1) TWI581707B (ko)
WO (1) WO20151823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178A (ko) * 1997-01-28 1998-10-26 오오무라류우이치 낚싯대용 톱가이드
KR100235773B1 (ko) * 1995-11-13 1999-12-15 오오무라 류이치 낚시대용 톱 가이드
JP2014018152A (ja) * 2012-07-19 2014-02-03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7106A5 (ko) * 1970-05-05 1971-12-31 Garbolino Henri
US4196537A (en) * 1978-05-25 1980-04-08 Fuji Kogyo Co., Ltd. Line guiding ring for fishing rods
US4334379A (en) * 1980-02-11 1982-06-15 Pierre Nelli Fish line guide assembly
JPH0728634B2 (ja) 1989-08-08 1995-04-05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トップガイド
US5361529A (en) * 1993-05-18 1994-11-08 Lindler James M Line guide for fishing rod
KR970004019Y1 (ko) 1994-08-19 1997-04-25 정춘재 낚시대용 낚시줄 안내구
USD368295S (en) * 1994-09-19 1996-03-26 Mata Rolando P Fishing rod tip
JP2955504B2 (ja) * 1995-11-13 1999-10-04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用トップガイド
JP3998132B2 (ja) * 2002-08-13 2007-10-24 株式会社シマノ トップガイド
USD532073S1 (en) * 2005-10-05 2006-11-14 Ming-Yi Lin Top guide for fishing rod
JP4693751B2 (ja) 2006-11-22 2011-06-01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糸ガイド
CN101849531B (zh) 2009-03-30 2013-05-08 大和精工株式会社 钓线导向件及其制造方法
JP5777286B2 (ja) * 2010-03-14 2015-09-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用ラインガイド及び釣り竿
CN202184058U (zh) 2011-07-19 2012-04-11 孟丽丽 一种钓线导眼支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773B1 (ko) * 1995-11-13 1999-12-15 오오무라 류이치 낚시대용 톱 가이드
KR19980070178A (ko) * 1997-01-28 1998-10-26 오오무라류우이치 낚싯대용 톱가이드
JP2014018152A (ja) * 2012-07-19 2014-02-03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5644A (zh) 2015-12-16
TWI581707B (zh) 2017-05-11
JP5834168B1 (ja) 2015-12-16
WO2015182309A1 (ja) 2015-12-03
GB2545995A (en) 2017-07-05
JPWO2015182309A1 (ja) 2017-04-20
AU2015265152B2 (en) 2017-06-29
AU2015265152A1 (en) 2016-12-01
US10045517B2 (en) 2018-08-14
CN106413395B (zh) 2018-10-30
US20170086436A1 (en) 2017-03-30
CN106413395A (zh) 2017-02-15
GB2545995B (en) 2017-11-22
GB201620326D0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4102T3 (es) Alambre guía con tubo autohumectante
JP6527057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2009207878A (ja) ケージ
JP6553455B2 (ja) 釣糸ガイド、釣竿、及び、ガイドフレーム
KR101521051B1 (ko) 탑가이드용 부착관, 낚싯대용 탑가이드 및 낚싯대
JP6389281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TW202038714A (zh) 釣線導引裝置之導引框及釣線導引裝置與釣竿
JP2016182641A (ja) 鋼管接合体の製造方法
JP5612356B2 (ja) カーテンレールのジョイント
JP6443975B2 (ja) 釣糸ガイド及び釣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6247587B2 (ja) 振り出し竿用の釣糸ガイド及び振り出し竿
US20220394965A1 (en) Guide for fishing rod
JP6723851B2 (ja) 振出竿用のトップガイド及び振出竿並びにガイドフレーム
JP2004089055A (ja)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6785604B2 (ja) ハンガーバー増設セット
JP2010054703A (ja) 光ファイバ固定用毛細管
US20220394964A1 (en) Guide for fishing rod
JP5979720B2 (ja) ガイドワイヤ成形器具
CN112602678A (zh) 钓竿及握柄部件
TWI816016B (zh) 釣線導引裝置之導引框、釣線導引裝置及釣竿
JP5777486B2 (ja) 光レセプタクル
JP2023119749A (ja) 光コネクタ
CN116897899A (zh) 钓线引导件的引导件框及钓线引导件以及钓竿
CN105724332A (zh) 钓线引导件、钓竿以及引导框
WO2012176724A1 (ja) 溶接トー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