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650B1 - 롤체 수납 설비 - Google Patents

롤체 수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650B1
KR101517650B1 KR1020110087013A KR20110087013A KR101517650B1 KR 101517650 B1 KR101517650 B1 KR 101517650B1 KR 1020110087013 A KR1020110087013 A KR 1020110087013A KR 20110087013 A KR20110087013 A KR 20110087013A KR 101517650 B1 KR101517650 B1 KR 10151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ll body
roll
hold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568A (ko
Inventor
히로유키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02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1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control for stacker cran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16Special arrangements of articles in storage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6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02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management and organisation of stock and pro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2Supports for roll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 B65H2405/42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롤체 수납 설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롤체 수납부(1)와 유지체 수납부(9)를 복수 구비한 수납 선반(2)과,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 가능한 반송장치(3)와, 반송장치(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제어수단을,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롤체 수납부(1)에 롤체(R)를 반송하기 위해 반송장치(3)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입고 처리와,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롤체(R)를 반송하기 위해 반송장치(3)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출고 처리와,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7)과 유지체 수납부(9)의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하기 위해 반송장치(3)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지체 입출고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롤체 수납 설비{STORAGE FACILITY FOR ROLL ARTICLES}
본 발명은, 롤체의 중심에 삽입된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端部)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체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수납하는 롤체 수납부를 복수 구비한 수납 선반과, 상기 롤체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롤체로부터 발출(拔出)된 상기 샤프트를 복수개 유지 가능한 샤프트 유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이, 롤체 입고용의 롤체 입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롤체 수납부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입고 처리와, 상기 롤체 수납부로부터 롤체 출고용의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롤체 수납 설비는, 롤체의 중심에 샤프트를 삽입하고, 그 샤프트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端部)를 지지한 상태에서 롤체를 수납 선반에 수납하는 것이다. 그리고, 롤체를 수납 선반으로부터 출고했을 때 롤체로부터 샤프트를 발출하고, 그 발출한 샤프트를 수납 선반에 입고하는 별도의 롤체에 삽입하여, 샤프트를 재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출고한 롤체로부터 발출된 샤프트는, 재이용될 때까지 샤프트 유지체에 복수개를 함께 유지시키고 있다.
이러한 롤체 보관 설비의 종래예로서, 수납 선반의 근방에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해 두는 보관 개소가 확보되고, 이 보관 개소에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는 유지체 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보관 개소에는, 복수개의 샤프트를 유지한 샤프트 유지체나 샤프트를 유지하지 않는 빈 샤프트 유지체가 보관되어 있으며, 롤체 입고 스테이션에서 롤체에 샤프트를 삽입함으로써 롤체 입고 스테이션 근방의 샤프트 유지체가 비게 된 경우는, 유지체 반송장치를 이용하여, 빈 샤프트 유지체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의 근방으로부터 보관 개소까지 반송하는 동시에, 샤프트를 유지하고 있는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 개소로부터 롤체 입고 스테이션의 근방까지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서 롤체로부터 샤프트를 발출함으로써 롤체 입고 스테이션 근방의 샤프트 유지체가 가득 찬 경우는, 유지체 반송장치를 이용하여, 가득 찬 샤프트 유지체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의 근방으로부터 보관 개소까지 반송하는 동시에, 빈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 개소로부터 롤체 입고 스테이션의 근방까지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1-335113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의 롤체 수납 설비에서는, 수납 선반의 근방에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하는 보관 개소를 확보하고, 그 보관 개소에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는 유지체 반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롤체 수납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 큰 공간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은 공간에서 설치할 수 있는 롤체 수납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는, 롤체의 중심에 삽입된 샤프트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체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른 자세로 수납하는 롤체 수납부를 복수 구비한 수납 선반과, 상기 롤체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롤체로부터 발출된 상기 샤프트를 복수개 유지할 수 있는 샤프트 유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이, 롤체 입고용의 롤체 입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롤체 수납부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입고 처리와, 상기 롤체 수납부로부터 롤체 출고용의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수납 선반이,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하는 유지체 수납부를 복수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송장치가,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이, 유지체 입출고용의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과 상기 유지체 수납부의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지체 입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 입고 처리를 실행하여, 반송장치로 롤체 입고 스테이션으로부터 롤체 수납부에 롤체를 반송함으로써, 롤체를 수납 선반에 입고시킬 수 있다. 또한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여, 반송장치로 롤체 수납부로부터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롤체를 반송함으로써, 롤체를 수납 선반으로부터 출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지체 입고 처리를 실행하여, 반송장치로서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유지체 수납부에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함으로써,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 선반에 입고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여, 반송장치로서 유지체 수납부로부터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에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함으로써,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 선반으로부터 출고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 선반의 외부에 보관하지 않고 수납 선반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해 두는 보관 개소를 수납 선반의 근방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롤체를 반송하는 반송장치를 이용하여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기 위한 전용의 반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수납 선반의 근방에 샤프트 유지체를 보관해 두는 보관 개소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기 위한 전용의 반송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롤체 수납 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롤체 수납 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유지체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유지하며, 상기 롤체 수납부가, 상기 롤체에 삽입된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샤프트 지지구(支持具)와,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샤프트 지지구를 선반 전후방향에 걸치는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에서의 상기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유지체 지지구를 구비하여, 상기 유지체 수납부를 겸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 수납부가, 유지체 수납부를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롤체를 수납하는 롤체 수납부에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선반의 사용이 편리해진다.
또한, 샤프트 유지체는, 샤프트 지지구를 걸치는 상태에서 롤체 수납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샤프트 유지체를 샤프트 지지구의 전방측이나 후방측에 수납하는 경우에 비해, 유지체 수납부를 겸용하는 롤체 수납부의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크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3 특징 구성은, 제2 특징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피지지부와, 당해 한 쌍의 피지지부의 사이에 상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요입(凹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지체 지지구가, 상기 한 쌍의 피지지부를 재치(載置) 지지하는 형태로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 지지구가, 상기 유지체 지지구의 상기 선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유지체 지지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 수납부에 구비된 샤프트 지지구는, 완목(腕木)의 선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그 완목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 완목은, 선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완목 등을 유지체 지지구로서 이용하여 샤프트 유지체를 지지함으로써, 롤체 수납부에 큰 개조를 실시하지 않고, 롤체 수납부를 유지체 수납부로서 겸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 유지체에서의 한 쌍의 피지지부의 사이에 요입부를 구비함으로써, 샤프트 지지구에 간섭하지 않고 샤프트 유지체를 롤체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4 특징 구성은, 제 2 또는 제3 특징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반송장치가, 상하 방향 및 상기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포크부에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와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지지하는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선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의 전단, 또는 후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롤체 수납부에서의 상기 샤프트 유지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유지체 지지구의 전단, 또는 후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와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가, 그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간격이 롤체 수납부에서의 샤프트 유지체와 유지체 지지구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롤체 수납부의 사이에서 롤체를 이재(移載)할 때의 포크부의 출퇴(出退)량과, 롤체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를 이재할 때의 포크부의 출퇴량을 동일한 양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롤체와 샤프트 유지체를 포크부가 동일한 동작으로 이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어수단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5 특징 구성은, 제1 내지 제4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납 선반이,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병설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상방측의 상기 수납부가 상기 유지체 수납부에 구성되며, 하방측의 상기 수납부가 상기 롤체 수납부에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샤프트 유지체에는, 그 샤프트 유지체를 샤프트로 가득 채워도 롤체 쪽이 무겁고, 이렇게 무거운 롤체를 수납 선반의 하방측에 수납하고, 가벼운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 선반의 상방측에 수납함으로써, 롤체 및 샤프트 유지체를 안정적으로 수납 선반에 수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6 특징 구성은, 제1 내지 제5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롤체 입고 스테이션과 상기 롤체 출고 스테이션의 각각이, 상기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을 겸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 입고 스테이션이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을 겸용하고, 롤체 출고 스테이션이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을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롤체 입고 스테이션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과는 별도로, 샤프트 유지체 전용의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롤체 수납 설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샤프트 유지체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 또는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출고시킨 후, 그 출고시킨 샤프트 유지체를 당해 스테이션의 근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롤체를 입고 또는 출고시키면서 그 스테이션의 롤체에 대해서 샤프트를 삽입 또는 발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체 수납 설비의 제7 특징 구성은, 제1 내지 제5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롤체 입고 스테이션과 상기 롤체 출고 스테이션의 각각의 근방에, 상기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롤체 입고 스테이션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의 각각의 근방에,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에 샤프트 유지체를 출고시킨 후, 당해 샤프트 유지체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롤체 입고 스테이션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롤체를 입고 또는 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유지체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반송한 후, 그 샤프트 유지체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샤프트 유지체의 수납 선반에 대한 입출고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롤체 수납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롤체 수납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롤체 수납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에 대한 롤체의 입고 작용도이다.
도 6은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대한 롤체의 출고 작용도이다.
도 7은 롤체 입고 스테이션에 대한 샤프트 유지체의 입출고 작용도이다.
도 8은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대한 샤프트 유지체의 입출고 작용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1)의 롤체 수납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2)의 샤프트 유지체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용 수납 설비에는, 롤체(R)의 중심에 삽입된 샤프트(c)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롤체(R)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수납하는 롤체 수납부(1)를 복수 구비한 수납 선반(2)과, 샤프트(c)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롤체(R)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반송하는 반송장치로서의 스태커 크레인(3)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R)는, 축심부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코어(a)에 인쇄 원지(原紙)나 각종 필름 원반 등의 시트재를 권회(卷回)하여 구성되어 있고, 코어(a)는 시트재로부터 축심 방향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롤체 (R)는, 코어(a)에 샤프트(c)를 삽발(揷拔)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코어(a)에 삽통된 샤프트(c)는, 그 양 단부가 코어(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3)은, 수납 선반(2)의 전방측의 주행 경로를 선반 가로폭 방향을 따라서 주행하여, 롤체 입고용의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롤체 수납부(1)에 롤체(R)를 반송하고,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출고용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롤체(R)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롤체 수납 설비의 내부에서는, 샤프트(c)를 삽입한 상태에서 롤체 (R)를 취급함에 대하여, 롤체 수납 설비의 외부에서는, 샤프트(c)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롤체(R)를 취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반송 수단으로 외부로부터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 반송된 롤체(R)에 샤프트(c)를 삽입하고, 당해 샤프트(c)가 삽입된 롤체(R)를 스태커 크레인(3)으로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롤체 수납부(1)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3)으로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반송된 롤체(R)로부터 샤프트(c)가 발출(拔出)되고, 당해 샤프트(c)가 발출된 롤체(R)를 도시하지 않은 반송 수단으로 외부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롤체 수납 설비에는, 롤체(R)로부터 발출된 샤프트(c)를 복수개 유지 가능한 샤프트 유지체(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c)가 들어 있지 않은 빈 샤프트 유지체(6) 또는 가득 차지 않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근방으로 이동시켜 두고,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롤체(R)로부터 발출한 샤프트(c)를 샤프트 유지체(6)에 넣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c)를 넣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근방으로 이동시켜 두고, 샤프트 유지체(6)로부터 꺼낸 샤프트(c)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롤체(R)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롤체(R)로부터 샤프트(c)를 발출하여 그 샤프트(c)를 샤프트 유지체(6)에 넣는 작업이나, 샤프트 유지체(6)로부터 샤프트(c)를 꺼내어 그 샤프트(c)를 롤체(R)에 삽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행하여진다.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3), 롤체 입고 스테이션(4) 및 롤체 출고 스테이션 (5)을 이용하여,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근방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근방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태커 크레인(3)은,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고,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각각이, 유지체 입출고용의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7)을 겸용하고 있으며, 스태커 크레인(3)으로,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그 근방의 사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 (5)과 그 근방의 사이는, 포크 리프트 등의 반송 수단으로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롤체 수납부(1)가, 샤프트 유지체(6)를 수납하는 유지체 수납부(9)를 겸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와 같이 롤체 수납부(1)가 유지체 수납부(9)를 겸용함으로써, 수납 선반(2)에, 유지체 수납부(9)가 복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스태커 크레인(3)으로, 롤체 수납부(1)와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사이, 및, 롤체 수납부(1)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샤프트(c)를 수납한 샤프트 유지체(6)나 빈 샤프트 유지체(6)를 수납 선반(2)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한다.
〔샤프트 유지체〕
샤프트 유지체(6)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유지체(6)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開口)되는 개구부(11)를 구비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부(11)를 통하여 샤프트(c)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샤프트 유지체(6)에는, 샤프트(c)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복수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유지체(6)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는, 바닥 부분이 상향으로 요입(凹入) 형성된 요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샤프트 유지체(6)에는,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의 한 쌍의 피지지부(13)와, 한 쌍의 피지지부(13)의 사이의 요입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요입부(12) 및 피지지부(13)는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전후 방향의 전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수납 선반〕
수납 선반(2)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선반(2)은, 선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한 상태로 입설(立設)되는 지주(15)의 조(組)를,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하며,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주(15)의 조끼리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의 롤체 수납부(1)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납 선반(2)에는, 롤체 수납부(1)가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복수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롤체 수납부(1)의 각각에는, 롤체(R)에 삽입된 샤프트(c)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구(支持具, 16)와, 샤프트 유지체(6)가 샤프트 지지구(16)를 걸치는 상태로 샤프트 유지체(6)를 지지하는 유지체 지지구(17)와, 샤프트 지지구(16)에 지지된 샤프트(c)의 양단에 접촉하여 샤프트(c)의 선반 가로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규제구(規制具, 18)가 구비되어 있다. 유지체 지지구(17)는, 한 쌍의 피지지부(13)를 재치 지지하는 형태로 샤프트 유지체(6)를 지지하도록 선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롤체 수납부(1)의 각각에는, 평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의 유지체 지지구(17)(완목(腕木))가 선반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지주(15)로서 선반 전후 방향의 양단을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이 유지체 지지구(17)는,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유지체 지지구(17)의 각각에서의 선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는,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보아 M자 형상으로 형성된 샤프트 지지구(16) 및 판 형상의 규제구(18)가 유지체 지지구(1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구(16) 및 규제구(18)는, 유지체 지지구(17)에 샤프트 유지체(6)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유지체(6)의 요입부(12)에 수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샤프트 유지체(6)의 요입부(12)는, 샤프트 유지체(6)를 유지체 지지구(17)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지지구(16) 및 규제구(18)에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롤체 수납부(1)는,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를 수납할 수 있지만,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R)와 동일한 위치에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체(R)와 샤프트 유지체(6)를 동시에는 수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스태커 크레인〕
스태커 크레인(3)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3)은, 바닥면 상에 설치된 주행 레일 상을 선반 가로폭 방향을 따라서 주행하는 주행 대차(21)와, 주행 대차(21)에 입설된 포스트(22)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23)와, 승강대(23)에 지지되어 포크부(24)를 선반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출퇴이동 가능한 포크 장치(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3)은, 주행 대차(21)의 주행 작동, 승강대(23)의 승강 작동 및 포크 장치(25)의 출퇴 작동에 의해, 롤체 수납부(1)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사이나, 롤체 수납부(1)와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사이에서,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포크부(24)는, 주행 대차(21)의 주행 이동에 의해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대(23)의 승강 이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포크 장치(25)의 출퇴작동에 의해 선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선반 가로폭 방향, 상하 방향 및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크부(24)에는, 샤프트(c)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26)와 샤프트 유지체(6)를 지지하는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27)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크부(24)에는,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27)가,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한 쌍 설치되고, 그들 한 쌍의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27)의 각각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보아 M자 형상으로 형성된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26)가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2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한 쌍의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26)나 한 쌍의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 (27)는, 한 쌍의 샤프트 지지구(16)나 한 쌍의 유지체 지지구(17)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26)와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27)가, 그 선반 전후 방향에서의 간격이 롤체 수납부(1)에서의 샤프트 지지구(16)와 유지체 지지구(17)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롤체 수납부(1)와의 사이에서 롤체(R)를 이재할 때의 포크부(24)의 출퇴량과 롤체 수납부(1)와의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6)를 이재할 때의 포크부(24)의 출퇴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롤체(R)를 롤체 수납부(1)와의 사이에서 이재할 때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와의 사이에서 이재할 때, 포크부(24)의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의 위치(주행 대차(21)의 정지 위치), 포크부(24)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승강대(23)의 승강 이동량) 및 포크부(24)의 출퇴량이 동일해도 좋고, 롤체(R)와 샤프트 유지체 (6)를 포크부(24)의 동일한 동작으로 이재할 수 있다.
아울러,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와의 사이에서 롤체(R)를 이재할 때의 포크부(24)의 출퇴량과, 이들 사이에서 샤프트 유지체(6)를 이재할 때의 포크부(24)의 출퇴량도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롤체 입고 스테이션〕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는, 반송 대차(31)가 스태커 크레인(3)의 주행 경로 근방의 내부 이재 개소(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주행 경로로부터 떨어진 외부 이재 개소(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걸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 대차(31)를 내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킨 상태에서 스태커 크레인(3)과의 사이에서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의 주고받기를 행하고, 반송 대차(31)를 외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킨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반송 수단을 이용하여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 대차(31)에 대해서 싣고내림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송 대차(31)에는, 스테이션용 유지체 지지구(33)가,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한 쌍 설치되고, 그들 한 쌍의 스테이션용 유지체 지지구(33)의 각각에서의 선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보아 M자 형상으로 형성된 코어 지지구(32)가 스테이션용 유지체 지지구(3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서는, 한 쌍의 코어 지지구(32)로서 롤체(R)의 코어 (a)의 양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반송 대차(31)에 지지된 롤체(R)로부터 샤프트(c)를 삽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대해서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수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 수납 설비에는, 스태커 크레인(3) 및 2대의 반송 대차(3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H)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수단(H)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서의 내부 이재 개소의 반송 대차 (31)로부터 롤체 수납부(1)에 롤체(R)를 반송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3)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입고 처리와,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서의 내부 이재 개소의 반송 대차(31)에 롤체(R)를 반송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3)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수단(H)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내부 이재 개소의 반송 대차(31)와 롤체 수납부(1)의 사이에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3)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지체 입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 입출고 처리로서는,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롤체 수납부(1)에 반송시키는 입고측 유지체 입고 처리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 반송시키는 입고측 유지체 출고 처리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으로부터 롤체 수납부(1)에 반송시키는 출고측 유지체 입고 처리와,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로부터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반송시키는 출고측 유지체 출고 처리가 있다.
설명을 부가하면,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근방에는, 작업자 조작용의 입고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고 스위치(35)는, 롤체(R)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에서의 외부 이재 개소의 반송 대차(31)에 싣고, 그 롤체(R)에 샤프트(c)를 삽입한 후에,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입고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되면, 제어수단(H)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반송 대차(31)를 내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켜, 롤체 입고 처리를 실행하고,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R)를 롤체 수납부(1)에 반송시킨다. 롤체 입고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 또는 그 후에 반송 대차(31)를 외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킨다.
또한,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근방에는, 작업자 조작용의 출고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출고 스위치(36)는,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서의 외부 이재 개소의 반송 대차(31)에 실린 롤체(R)로부터 샤프트(c)를 발출하고, 그 롤체(R)를 반송 대차(31)로부터 내린 후에,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출고 스위치(36)가 누름 조작되면, 제어수단(H)은, 롤체 출고 스테이션 (5)의 반송 대차(31)를 내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킨 후,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여,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반송 대차(31)를 외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켜,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R)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외부 이재 개소에 반송시킨다.
또한,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근방이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근방에는, 작업자 조작용의 입출고 스위치(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출고 스위치(37)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롤체(R)에 샤프트(c)를 삽입함으로써 샤프트 유지체 (6)의 샤프트(c)가 없어진 경우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롤체(R)로부터 샤프트(c)를 발출함으로써 샤프트 유지체(6)가 샤프트(c)로 가득 찬 경우 등, 샤프트 유지체(6)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당해 교환하고자 하는 샤프트 유지체(6)를 반송 대차(31)에 실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누름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근방에 설치된 입출고 스위치(37)가 누름 조작되면, 제어수단(H)은,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반송 대차(31)를 내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켜, 입고측 유지체 입고 처리를 실행하여, 도 7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에 반송시킨다. 그 후, 제어수단(H)은, 입고측 유지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여,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반송 대차(31)를 외부 이재 개소에 주행시켜, 도 7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외부 이재 개소에 반송시킨다. 아울러, 제어수단(H)에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입고된 샤프트 유지체(6)의 수납 위치(롤체 수납부(1))와, 롤체 출고 스테이션(5)으로부터 입고된 샤프트 유지체(6)의 수납 위치(롤체 수납부(1))가 기억되어 있으며,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 출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로서는, 롤체 출고 스테이션(5)으로부터 입고된 샤프트 유지체(6)(복수개의 샤프트(c)를 유지한 샤프트 유지체(6))가 선택된다.
또한,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근방에 설치된 입출고 스위치(37)가 누름 조작되면, 제어수단(H)은,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반송 대차(31)를 내부 이재 개소로 주행시켜, 출고측 유지체 입고 처리를 실행하여, 도 8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에 반송시킨다. 그 후, 제어수단(H)은, 출고측 유지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여,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반송 대차(31)를 외부 이재 개소로 주행시켜, 도 8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외부 이재 개소로 반송시킨다. 또한, 롤체 출고 스테이션(5)에 출고시키는 샤프트 유지체(6)로서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4)으로부터 입고된 샤프트 유지체(6)(빈 샤프트 유지체(6))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 유지체(6)의 이동에 롤체(R)를 반송하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3)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 유지체(6)를 이동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 유지체(6)를 롤체 수납부(1)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롤체 입고 스테이션(4)의 주위나,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주위에 샤프트 유지체(6)를 필요 이상으로 놓아둘 필요가 없어, 스테이션(4,5)의 주위의 공간을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각각을,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7)과 겸용했지만,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각각을,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7)과 겸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체 입고 스테이션(4)과 롤체 출고 스테이션(5)의 각각의 근방에,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7)을 설치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 유지체(6)를 유지체 수납부(9)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지지구(16)의 선반 전후방향의 양 단부(피지지부(13))만을 지지하도록 구성했지만, 샤프트 유지체(6)를 유지체 수납부(9)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와 그 사이의 부분의 양쪽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입부(12)에 샤프트(c)와 동일 형상의 봉재(12a)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구비하고, 샤프트 유지체(6)를 유지체 수납부(9)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샤프트 유지체(6)의 선반 전후 방향의 양 단부(피지지부(13))를 유지체 지지구(17)로서 지지하고, 봉재(12a)를 샤프트 지지구(16)로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 유지체(6)에 요입부(12)를 구비하였지만, 샤프트 유지체(6)에 요입부(12)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샤프트 유지체(6)에 요입부(12)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유지체 지지구(17)의 선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요입하는 요입 부분을 형성하고, 이 요입 부분으로 샤프트 지지구(16)를 구성하며, 샤프트 지지구(16)가 유지체 지지구(17)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요입부(12)를 구비하지 않는 샤프트 유지체(6)를 유지체 지지구(17)에 지지시킬 수 있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롤체 수납부(1)를, 유지체 수납부(9)와 겸용하여, 1개의 수납부에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를 수납 가능하게 했지만, 롤체 수납부(1)와는 별도로 유지체 수납부(9)를 구비하고, 롤체 수납부(1)에 샤프트 유지체(6)를 수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수납부 중에서, 상방측의 수납부를 유지체 수납부(9)에 구성하고, 하방측의 수납부를 롤체 수납부(1)에 구성해도 좋다.
또한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의 수납 선반(2)의 수납 위치를 적절히 변경시키는, 이른바 프리 로케이션식의 수납 형태를 이용하지 않고, 롤체(R) 및 샤프트 유지체(6)의 수납 선반(2)의 수납 위치를 고정시킨, 이른바 고정 로케이션식의 수납 형태를 이용하여도 좋다.
1 롤체 수납부
2 수납 선반
3 반송장치
4 롤체 입고 스테이션
5 롤체 출고 스테이션
6 샤프트 유지체
7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
9 유지체 수납부
12 요입부
13 피지지부
16 샤프트 지지구
17 유지체 지지구
24 포크부
26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
27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
H 제어수단
R 롤체
c 샤프트

Claims (7)

  1. 롤체의 중심에 삽입된 샤프트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端部)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체를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수납하는 롤체 수납부를 복수 구비한 수납 선반과,
    상기 롤체를 반송하는 반송장치와,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롤체로부터 발출(拔出)된 상기 샤프트를 복수개 유지 가능한 샤프트 유지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수단이, 롤체 입고용의 롤체 입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롤체 수납부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입고 처리와, 상기 롤체 수납부로부터 롤체 출고용의 롤체 출고 스테이션에 상기 롤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롤체 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로서,
    상기 수납 선반이,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수납하는 유지체 수납부를 복수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반송장치가,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이, 유지체 입출고용의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과 상기 유지체 수납부의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반송하기 위해 상기 반송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지체 입출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유지체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를 상기 선반 가로폭 방향에 따르는 자세로 유지하며,
    상기 롤체 수납부가, 상기 롤체에 삽입된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샤프트 지지구(支持具)와,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샤프트 지지구를 선반 전후방향에 걸치는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에서의 상기 선반 가로폭 방향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유지체 지지구를 구비하여, 상기 유지체 수납부를 겸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유지체가, 상기 선반 전후방향의 양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피지지부와, 당해 한 쌍의 피지지부의 사이에 상향으로 요입(凹入)형성된 요입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지체 지지구가, 상기 한 쌍의 피지지부를 재치(載置) 지지하는 형태로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전후 방향으로 뻗는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구가, 상기 유지체 지지구의 상기 선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유지체 지지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장치가, 상하 방향 및 상기 선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포크부에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와, 상기 샤프트 유지체를 지지하는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선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샤프트 지지구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반송용 유지체 지지구의 전단, 또는 후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롤체 수납부에서의 상기 샤프트 유지체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유지체 지지구의 전단, 또는 후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선반이, 복수의 수납부를 상하 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병설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상방측의 상기 수납부가 상기 유지체 수납부에 구성되고, 하방측의 상기 수납부가 상기 롤체 수납부에 구성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체 입고 스테이션과 상기 롤체 출고 스테이션의 각각이, 상기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을 겸용하고 있는 롤체 수납 설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체 입고 스테이션과 상기 롤체 출고 스테이션의 각각의 근방에, 상기 유지체 입출고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롤체 수납 설비.
  7. 삭제
KR1020110087013A 2010-09-01 2011-08-30 롤체 수납 설비 KR101517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5624 2010-09-01
JP2010195624A JP5601514B2 (ja) 2010-09-01 2010-09-01 ロール体収納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68A KR20120023568A (ko) 2012-03-13
KR101517650B1 true KR101517650B1 (ko) 2015-05-04

Family

ID=4590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13A KR101517650B1 (ko) 2010-09-01 2011-08-30 롤체 수납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01514B2 (ko)
KR (1) KR101517650B1 (ko)
CN (1) CN102431759B (ko)
TW (1) TWI5073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0787B2 (ja) * 2016-01-05 2019-04-1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リチャージ管ストッカー
WO2017220285A1 (de) * 2016-06-23 2017-12-28 Amova Gmbh Hochregallager mit darin zum ein- und auslagern oder umlagern von lagergut vorgesehenen regalbediengeräten
KR102658024B1 (ko) 2021-05-07 2024-04-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원통형 자재 보관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113A (ja) 2000-05-26 2001-12-04 Sumitomo Heavy Ind Ltd ロールシャフト着脱装置および自動着脱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808A (ja) * 1992-04-03 1993-10-26 Nkk Corp 立体自動倉庫
JP3384137B2 (ja) * 1994-08-31 2003-03-10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
JP3382036B2 (ja) * 1994-10-27 2003-03-04 日本輸送機株式会社 保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113A (ja) 2000-05-26 2001-12-04 Sumitomo Heavy Ind Ltd ロールシャフト着脱装置および自動着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68A (ko) 2012-03-13
TW201221445A (en) 2012-06-01
CN102431759B (zh) 2016-01-13
JP2012051688A (ja) 2012-03-15
CN102431759A (zh) 2012-05-02
JP5601514B2 (ja) 2014-10-08
TWI507338B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7955B2 (ja) 包装機に包装材料を供給する装置
US9429930B2 (en) Automated order-picking station for the manual picking of articles from storage containers into an order container
JP5713202B2 (ja) 物品搬送設備
KR20060122761A (ko) 물품 수납 설비
KR20160044029A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US20100296902A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ing units
KR101517650B1 (ko) 롤체 수납 설비
JP2019094151A (ja) 袋体供給システム及び袋体供給方法
KR20180028013A (ko) 물품 적재 설비
JP2009126668A (ja) 自動倉庫の仕分けシステム
JP4296498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H0464557A (ja) 給紙装置への巻取原反供給装置
JP2019094148A (ja) 袋体ストッカー及び袋体供給方法
JP5472180B2 (ja) ロール体用収納設備
JP6044486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3556573B2 (ja) ロールシャフト着脱装置
JP5170541B2 (ja) 物品収納設備
JP2010058853A (ja) 積込装置
JP5532340B2 (ja) 物品搬送設備
JP6176167B2 (ja) 物品搬送設備
JP5811838B2 (ja) 物品収納設備
JP2985621B2 (ja) 入出庫用搬送装置
JP2007284151A (ja) 荷役作業用設備
JP2000016517A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23164598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