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300B1 - 숙지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지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300B1
KR101516300B1 KR1020130092132A KR20130092132A KR101516300B1 KR 101516300 B1 KR101516300 B1 KR 101516300B1 KR 1020130092132 A KR1020130092132 A KR 1020130092132A KR 20130092132 A KR20130092132 A KR 20130092132A KR 101516300 B1 KR101516300 B1 KR 10151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persimmon
raw
drying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987A (ko
Inventor
김동환
양승엽
신순식
김준영
고건희
구영민
김민지
이효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경남한방약초연구소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승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경남한방약초연구소,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승엽 filed Critical 재단법인경남한방약초연구소
Priority to KR1020130092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3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은 생지황을 20배 농축하여 전탕 후에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소화 흡수가 잘 되고, 인체에 독성물질이 될 수 있는 5-HMF가 기존의 숙지황에 비하여 검출되지 않고, 기존의 숙지황이 포함하고 있지 않은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한약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숙지황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Rehmanniae Radix Preparata}
본 발명은 숙지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ino 또는 동속식물의 뿌리)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지황의 근엽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깨끗이 씻은 것을 생지황 또는 선지황이라 한다. 생지황은 보혈, 강장, 진정, 빈혈, 토혈, 하혈, 자궁출혈, 결핵성 쇠약 등에 그 효능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보통은 생지황을 말린 건지황을 황주 또는 백주등의 술에 넣고 주침(酒侵)하여 증숙(蒸熟)한 후 건조하는 것을 반복한 것을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이라고 일반적으로 분류하고 각각 약리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숙지황은 보혈, 자음의 효능이 있으며, 생리불순, 허약체질, 어린이의 발육 부진, 치매, 조루증, 발기부전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혈액 순환을 개선시켜 여러 만성 질환의 말초미세 순환을 개선시키는 효과, 혈중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글루타티온 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의 증가와 지질과산화의 억제, 면역증가 효과, 항암작용, 섬유소용해계(fibrinolytic system)의 활성증가, 폴리브렌에 의해 유도되는 적혈구 집괴(polybrene-induced erythrocyte aggregation)의 감소, 적혈구 변형능(erythrocyte deformability)과 ATP 함량(content)의 증가 등이 보고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기술된 숙지황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약간 쓰며, 독이 없다(性溫味甘微苦無毒). 혈이 부족한 것을 크게 도와주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어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하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또한 허약하여 몸이 손상된 것을 도와주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기력을 더해주고, 귀와 눈을 밝아지게 한다(大補血衰, 善黑鬚髮, 塡骨髓, 長肌肉, 助筋骨, 補虛損, 通血, 益氣力, 利耳目). 숙지황을 쪄서 만드는 법은 잡방문에 자세히 쓰여 있다(蒸造法, 詳見雜方; 본초).
한편, 생지황은 위를 상하게 하므로, 위의 기운이 약한 사람은 오랫동안 복용하지 못한다. 숙지황은 가슴을 막히게 하므로, 담화가 성한 사람도 역시 오랫동안 복용할 수 없다(生地黃損胃, 胃氣弱者不可久服, 熟地黃泥膈, 痰火盛者亦不可久服). 숙지황은 수족소음경과 궐음경으로 들어간다. 성질이 따뜻하여 신을 도와준다(熟地黃入手足少陰厥陰經, 性溫而補腎; 입문). 숙지황을 생강즙으로 법제하면 가슴이 답답해지는 일이 없게 된다(熟地黃以薑汁製之, 無膈悶之患; 의감).
숙지황과 생지황의 약리작용의 차이는 지황을 증기로 찌고, 말리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찌고 말리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할수록 숙지황의 품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한의학에서는 9번 찌고 9번 말린 구증구포 숙지황을 최고의 품질로 인정하고 있다. 숙지황의 증숙과정에서는 숙지황의 주성분인 당류가 5-HMF(5-hydroxymethyl-2-furaldehyde)로 변화하는데, 5-HMF는 당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지표물질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5-HMF 함량이 높을수록 인체 내의 독성이 높아져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숙지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기존 특허에서 숙지황 제조 과정에 숯을 사용하여 증숙과정에 지황에 흡수되는 증기의 양을 일정하게 하거나(등록특허 제839326호), 산사나 사과와 같은 유효성분을 추가하는 (등록특허 제407237호, 제407244호) 것에 의해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기존의 숙지황 제조방법은 생지황을 찜통에 술(막걸리 또는 소주가 일반적으로 사용됨)과 함께 넣고 증숙하여 건조하고(보통은 건조를 태양광에 하지 않고 인공건조기에 강제로 건조시킴), 이 지황을 다시 술로 쪄서 건조하기를 9회 반복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방법들은 기본적으로 주침 후 증숙하여 5-HMF의 함량이 높아 숙지황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지황을 주침이 아닌 생지환즙에 침지하고, 증숙 공정에서 찹쌀 청주를 살짝 뿌려주고, 이를 자연건조하여 제조된 숙지황이 5-HMF의 검출이 되지 않고,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소화 흡수가 잘 된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1)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생지황즙에 넣고 10 내지 1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생지황 또는 건지황에 청주를 뿌린 후, 80분 내지 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및
3)상기 증숙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8일 내지 12일 동안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지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1)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생지황즙에 10 내지 1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생지황 또는 건지황에 청주를 뿌린 후, 80분 내지 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및
3)상기 증숙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8일 내지 12일 동안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지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은 생지황을 20배 농축하여 전탕 후에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소화 흡수가 잘 되고, 인체에 독성물질이 될 수 있는 5-HMF가 기존의 숙지황에 비하여 검출되지 않고, 기존의 숙지황이 포함하지 않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한약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지황의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옹기시루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숙지황의 제조과정 중 증숙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1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1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2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2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3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3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4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4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5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5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6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6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7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7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8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8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HPL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9증 숙지황(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2회 수행한 숙지황)내 5-HMF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침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1회 내지 9회 반복수행한 숙지황을 나타낸 도이다(A: 생지황, B: 건지황, C: 1증 숙지황, D: 2증 숙지황, E: 3증 숙지황, F: 4증 숙지황, G: 5증 숙지황, H: 6증 숙지황, I: 7증 숙지황, J: 8증 숙지황, K: 9증 숙지황)
도 13은 시간차 질량분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숙지황과 유통중인 숙지황을 비교한 도이다(가로축:시간; 세로축:검출양(intensity)).
도 14 내지 도 16은 시간차 질량분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숙지황의 성분을 분석한 도이다(도 14의 경우, 가로축: 시간, 세로축:검출양(intensity); 도 15 내지 도 16의 경우, 가로축: 분자량; 세로축:검출양(intenstiy)).
본 발명은
1)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생지황즙에 넣고 10 내지 1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생지황에 청주를 뿌린 후, 80분 내지 100분 동안 증숙하는단계;
3)상기 증숙된 생지황을 8일 내지 12일 동안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지황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은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생지황즙에 침지한 후, 여기에 청주를 뿌린 후 증숙하여 건조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의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단계는 생지황 또는 건지황(건지황은 생지황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증숙하여 건조한 것을 의미함)을 생지황즙에 침지하는 단계로, 채취한 생지황을 물에 담궈 천황, 인황 및 지황으로 분류한 후, 인황 및 천황을 녹즙기를 이용하여 생지황즙을 제조한 후, 광목천에 여과하여 찌거기는 버리고 맑은 액을 본 발명의 생지황즙으로 사용한다. 상기 생지황즙에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10 내지 1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상기 침지의 경우, 1시간 간격으로 6회 정도 골고루 뒤집어 주면서 침지시킨다.
2)단계는 증숙하는 단계로, 옹기시루 바닥에 대나무 깔개를 덮고, 1)단계에서 침지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삼베천에 넣고 청주를 뿌린 후, 삼베천 입구를 봉한 다음, 물을 채운 옹기시루 안에 이를 넣어 시루 뚜껑을 봉한다. 가열 후, 김이 날 때부터 80분 내지 100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90 분 동안 증숙한다. 상기 청주는 찹쌀로 만든 청주가 바람직하다.
제 3)단계는 증숙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하는 단계로, 증숙한 숙지황을 대나무발 위에 깔고, 낮에는 햇볕으로 건조시키고, 밤에는 선풍기로 건조시키며, 건조과정은 8 내지 12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3)단계를 8회 내지 10회 반복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1)단계의 침지를 반복하는 경우, 2회 내지 10회의 침지 시, 1회 침지의 생지황즙의 3배 내지 5배의 부피의 생지황즙으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은 생지황을 20배 농축하여 전탕 후에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소화 흡수가 잘 되고, 인체에 독성물질이 될 수 있는 5-HMF가 기존의 숙지황에 비하여 검출되지 않고, 기존의 숙지황이 포함하지 않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한약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용도이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숙지황의 제조
1. 생지황즙의 제조 공정
밭에서 채취한 생지황을 품질에 따라 세 등급으로 구분하는데, 천황(하품)은 물에 담굴 경우, 물 위에 뜨는 것이고, 인황(중품)은 반은 뜨고 반은 가라앉는 것이며, 지황(상품)은 가라 않는 것이다. 천황은 품질이 낮은 하품지황, 인황은 품질이 보통인 중품지황, 지황은 품질이 우수한 상품지황으로 구분해서 이름 짓는다. 봄 음력 3월 또는 가을 음력 9월에 채취한 생지황 10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대략 20%는 하품지황, 30%는 중품지황, 50%는 상품지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숙지황 제조에서 상품지황 115근을 선별하여 숙지황 제조용 원품으로 가려내고, 남은 상품지황, 중품지황 및 하품지황을 생지황즙으로 사용하였다. 생지황즙 제조용 생지황을 녹즙기(휴롬녹즙기, 동아오츠카)를 이용하여 생지황즙을 제조한 후, 광목천에 여과하여 찌꺼기는 버리고 맑은 액을 받아 숙지황 침지용으로 사용하였다.
2. 생지황을 생지환즙에 침지하는 공정
선별한 상품지황 115근을 8 등분하였다. 침지용 생지황즙 8,000cc를 8등분하여 질그릇 용기마다 1,000cc씩 부은 다음, 1시간 간격으로 6회 정도 골고루 뒤집어 주면서 12시간 침지시켰다(1회 침지 조건). 2회째부터는 1차 증숙한 숙지황에 침지용 생지황즙 30,000cc를 8등분하여 질그릇 용기마다 3,750cc씩 부은 다음, 하룻밤(12시간) 침지시키는데 1시간 간격으로 6회 정도 골고루 뒤집어 주었다. 9회째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였다.
3. 증숙 공정
옹기시루(직경×깊이; 50cm×55cm; 도 1 참조) 바닥에 대나무 깔개(2.0cm×25cm)를 덮고, 위의 제2단계 과정에서 침지한 제조용 지황을 삼베천에 넣고 찹쌀 청주를 살짝 축여줄 정도로 뿌려준 뒤 삼베천의 입구를 봉한 다음, 옹기시루 안에 넣고 시루뚜껑을 덮었다(도 2 참조). 솥바닥에 적당량의 물을 채우고 솥과 시루 사이, 시루와 시루 뚜껑 사이를 밀가루 떡으로 충분히 봉한 다음, 가열 후 김이 날 때부터 90분간 센 장작불로 증숙하였다. 이 과정을 9회 반복하였다.
4. 건조 공정
제3단계 과정에서 증숙한 숙지황을 대나무발 위에 삼베천을 깔고 낮에는 햇볕에 놓아 건조시키고, 밤에는 실내에서 선풍기로 건조하기를 10일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9회 반복하였다.
5.상기 과정 반복 공정
위의 제1단계에서 제4단계까지 생지황 채취, 생지황즙 제조, 증숙과 건조 과정을 9회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생지황이 20배 농축된 무쇠처럼 검은색의 구증구쇄 (九蒸九)의 숙지황이 완성되었다.
[ 실시예 2]본 발명의 숙지황의 5- HMF 의 함량 확인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에 대하여 당성분에 대한 지표성분인 5-HMF(5-Hydroxymethyl-2-furaldehyde)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HPLC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숙지황을 잘게 잘라 약 2g을 메탄올 200ml에 넣고, 3시간 환류추출하여 여과과정을 2회 수행하였다. 상기 여액을 모두 합한 다음, 헥산 200ml로 2회 추출하여 핵산층을 버리고, 남은 물층을 부피가 반이하가 되도록 감압농축하였다. 이 후, 에틸아세테이트 100ml로 2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하며 용매를 휘발시켰다. 이 후, 잔류물을 메탄올에 녹여 20ml로 만들어 검액하였다.
상기 검액을 이용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을 수행하였다. waters HPLC e2695 및 2640 검출기를 이용하였다. 상기 검출기는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280nm) 및 4×6mm, 15×25cm인 스테인레스강관 내에 5 내지 10㎛의 ODS 칼럼을 이용한다. 칼럼온도 25℃에서 이동상은 물과 아세토나이트릴 혼합액(95:5)을 사용하였고, 유량은 1.0ml/분으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3 내지 11, 및 표 1에 나타내었고, 각 공정의 반복횟수에 따른 숙지황의 상태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5-HMF의 함량
시료명 mg %
1증 숙지황 0 0
2증 숙지황 0.000097 0.000004
3증 숙지황 0.001338 0.000050
4증 숙지황 0.005906 0.000227
5증 숙지황 0.008115 0.000381
6증 숙지황 0.017654 0.000709
7증 숙지황 0.026922 0.001097
8증 숙지황 0.003605 0.000157
9증 숙지황 0.002695 0.000099
도 3 내지 도 1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숙지황의 제조방법은 생지황을 20배 농축하여 전탕 후에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소화 흡수가 잘 되는 숙지황으로 만드는 공정으로, 독성물질이 될 수 있는 5-HMF가 기존의 숙지황에 비하여 거의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시간차 비행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유통하는 숙지황과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지황의 비교.
질량분석의 경우, 실시예 2의 20mL의 검액을 Waters Acquity UPLC system Micromass Q-TOF Premier mass spectrometer로 분석하였다.
칼럼의 경우, BEH 1.7mm, 2.1×100mm을 사용하였으며, 칼럼온도는 35℃로 하였으며, 이동상 A는 물과 0.1%의 포르믹 산(Formic acid)혼합액, 이동상 B는 아세토나이트릴과 0.1%의 포르믹 산(Formic acid)을 사용하였다. 모세관전압(Capillary voltage)은 2300V, 콘 전압(Cone voltage)는 50V로 하였고, Scan mode는 positive mode를 사용하였으며, 분당 0.4ml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내었다.
도 13 내지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중 유통 중인 숙지황의 경우 5-HMF가 존재하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숙지황의 경우, 5-HMF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추가적인 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생지황즙에 넣고 10 내지 1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2)상기 1)단계의 생지황 또는 건지황에 청주를 뿌린 후, 80분 내지 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3)상기 증숙된 생지황 또는 건지황을 8일 내지 12일 동안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총 중량대비 0.000001 내지 0.001 %의 5-HMF(5-Hydroxymethyl-2-furaldehyde)를 함유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생지황즙은 천황 및 인황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생지황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청주는 찹쌀로 만든 청주인 것을 특징을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증숙은 옹기시루에서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옹기시루는 바닥에 대나무 깔개가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항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생지황을 삼베천에 넣어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자연건조 또는 통풍건조는 대나무 발 위에 삼베천을 깔고, 햇볕 또는 선풍기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3)단계를 8회 내지 10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의 제조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침지를 반복하는 경우, 2회 내지 10회의 침지 시, 1회 침지의 생지황즙의 3배 내지 5배의 부피의 생지황즙으로 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지황 제조방법.






삭제
KR1020130092132A 2013-08-02 2013-08-02 숙지황의 제조방법 KR10151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32A KR101516300B1 (ko) 2013-08-02 2013-08-02 숙지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32A KR101516300B1 (ko) 2013-08-02 2013-08-02 숙지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87A KR20150015987A (ko) 2015-02-11
KR101516300B1 true KR101516300B1 (ko) 2015-05-04

Family

ID=5257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32A KR101516300B1 (ko) 2013-08-02 2013-08-02 숙지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55A (ko) 2021-04-14 2022-10-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의 히드록시메틸푸르푸날 및 히드록시메틸푸르푸날 포접체를 함유하는 비경구적 투여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3616A (zh) * 2016-08-31 2018-03-09 台州仁民中药有限公司 一种熟地黄的炮制工艺
CN106749433B (zh) * 2016-11-11 2019-07-09 山东省食品药品检验研究院 一种鲜地黄中甘露三糖的提取方法
CN107898864A (zh) * 2017-12-06 2018-04-13 安徽九洲方圆制药有限公司 一种熟地黄的炮制方法
KR102240938B1 (ko) * 2020-08-06 2021-04-15 김미경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37B1 (ko) 2001-02-14 2003-11-28 김충환 산사를 이용한 숙지황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37B1 (ko) 2001-02-14 2003-11-28 김충환 산사를 이용한 숙지황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종기 & 서정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33(10), pp. 1748-175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155A (ko) 2021-04-14 2022-10-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지황의 히드록시메틸푸르푸날 및 히드록시메틸푸르푸날 포접체를 함유하는 비경구적 투여 제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87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300B1 (ko) 숙지황의 제조방법
JP2011062199A (ja) 甘酒の製造方法
CN104041799A (zh) 一种竹笋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509236B1 (ko)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1923863B1 (ko) 육즙이 풍부한 백숙통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숙통닭
CN104186875A (zh) 一种咖啡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00111463A (ko) 인동초 추출액을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
KR102070507B1 (ko) 흑삼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 삼계탕
KR100859324B1 (ko)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1376794B1 (ko) 백하수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7162B1 (ko) 커피를 함유한 민들레 뿌리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3826B1 (ko) 양념 더덕구이 제조방법
KR100975754B1 (ko) 꾸지뽕된장 제조방법
KR100971360B1 (ko) 당삼과 쥐눈이콩을 이용한 장어죽 및 그 제조방법
KR102323687B1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102126179B1 (ko) 건강백숙의 제조방법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KR20180034905A (ko) 삼백초 및 어성초가 포함된 약선 소스, 이를 사용한 수산물의 염장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자반 고등어
KR102003614B1 (ko) 인삼 또는 홍삼을 함유한 꿀의 제조방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034595B1 (ko) 홍삼혼합액 함유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0942A (ko) 한방양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42010B1 (ko)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KR102428919B1 (ko) 산양삼이 포함된 한우 육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우 육포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