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924B1 -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924B1
KR101514924B1 KR1020140061615A KR20140061615A KR101514924B1 KR 101514924 B1 KR101514924 B1 KR 101514924B1 KR 1020140061615 A KR1020140061615 A KR 1020140061615A KR 20140061615 A KR20140061615 A KR 20140061615A KR 101514924 B1 KR101514924 B1 KR 10151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oling
receiver
refrigerant
adsorp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철
천원기
김 춘 응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24B1/ko
Priority to CN201580026251.XA priority patent/CN106414123B/zh
Priority to US15/779,524 priority patent/US10960734B2/en
Priority to PCT/KR2015/005218 priority patent/WO20151787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9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response time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9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ve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 accumulators
    • B60H1/005Regenerative cooling means, e.g. cold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1Cooling devices using absorption or adsorption
    • B60H1/32011Cooling devices using absorption or adsorption using absorption, e.g. using Li-Br an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2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stop or idling operation of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1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a single secondary circuit, e.g. at evaporator or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89Additional cooling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및 각 구성 사이에 연결한 제1 내지 제3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순간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서 제4 밸브를 통해 연결한 예냉수단과 상기 예냉수단을 작동시켜 순간 냉방을 하도록 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되,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및 흡착탱크의 제4 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액기와 예냉수단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수액기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상기 예냉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시동 전에 냉방장치가 정상적으로 가동할 때까지 순간적인 냉방이 이루어져 운전자 및 탑승자의 차량 내부 고온으로 인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Momentary air conditioner of inside of vichle and cool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되는 흡착제가 저장된 흡착탱크로 된 예냉수단과 리모컨으로 순간 냉방장치를 구성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컨의 작동으로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수액기와 상기 흡착탱크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냉매가 상기 수액기로부터 증발기를 거쳐 흡착탱크로 이동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장시간 주차된 차량의 경우, 자동차 내부는 고온의 외기온도와 태양 빛에 의한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운전 전에 이미 고온의 상태가 되는데, 이때 보통 차량의 내부온도가 50℃ 이상까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어 주행 후에 냉방장치가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차량 내부는 매우 높은 온도에 노출됨으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는 높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기존의 자동의 냉방장치, 즉 에어컨이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냉방효과를 얻기 위하여 약 3∼5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 시간 동안에는 차량 내부의 높은 온도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통 자동차의 에어컨은 주행 전 엔진의 공회전을 통해 가동하게 되므로 연료가 불필요하게 소모됨은 물론 이로 인한 배기가스의 배출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물질을 배출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자동차 시동 전 냉, 난방장치가 있으나, 상기 종래 자동차 시동 전 냉, 난방장치는 자동차의 냉, 난방을 탑승 전 또는 시동 전에 할 수 있도록 한 목적에 있어서는 본 발명과 유사한 면이 있으나, 이러한 목적에 있어서만 유사할 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원 공급부와 제어수단 및 전자냉각기를 차량에 설치하여 보조적인 냉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이러한 종래 자동차 시동 전 냉, 난방장치의 구성 및 기능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흡착제가 저장된 흡착탱크를 통해 본격적인 자동차의 냉방을 하기 전에 순간적으로 냉방을 하도록 한 것과 분명한 차이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4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동작하여 차량 실내에 순간적인 냉방을 공급하도록, 자동차 냉방장치의 증발기 출구와 압축기 입구 사이에 흡착제가 채워져 저장된 흡착탱크로 된 예냉수단을 연결하여, 차량의 초기 시동 전 또는 주차된 상태에서 미리 냉방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쾌적감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공회전에 따른 연료낭비를 줄이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 및 그에 의한 냉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를 연결한 냉매 이동라인 상에 설치한 상기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의 제1 밸브, 상기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제3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순간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 상에 연결되는 제4 밸브를 설치한 별도의 냉매 이동라인과 연결한 예냉수단과 상기 예냉수단을 작동시켜 순간 냉방을 하도록 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밸브가 개방되어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되어 제1 및 제3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및 흡착제가 저장된 흡착탱크의 제4 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액기와 예냉수단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수액기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상기 예냉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4 밸브는 닫히고 제1 내지 제3 밸브가 열려 자동차의 냉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흡착제는 실리카 겔이나 활성탄 또는 그라파이트 중의 어느 하나인 다공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받도록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와 엔진 또는 라디에이터와 스택 사이의 냉각수 이동라인과 흡착탱크 사이에 삼방밸브를 통해 냉각수 공급라인을 연결하고, 공급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냉각수 배출라인이 상기 흡착탱크로부터 냉각수 이동라인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버튼이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액기에는 순간 냉방장치가 가동할 때 일정시간 동안 냉방을 할 수 있도록 냉매가 자동차 에어컨의 적정 충전량보다 많이 부가적으로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에 의한 냉방법은,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에 연결한 상기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의 제1 밸브, 상기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제3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순간 냉방장치의 순간 냉방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되어 상기 제1 및 제3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순간 냉방장치의 작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서 개방되는 제4 밸브를 통해 연결한 실리카 겔이 저장된 흡착탱크와 상기 수액기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수액기에 저장된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흡착탱크로 이동함으로써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순간 냉방이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져 냉매의 압력차가 없어지면 흡착탱크의 제4 밸브는 닫히고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에 연결한 제1 내지 제3 밸브가 열려 일반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하는 동안 흡착탱크에 저장된 실리카 겔의 재생에 의한 냉매 탈착을 위해, 순간 냉방이 완료된 시점에서 자동차 엔진 또는 스택의 고온의 냉각수를 상기 흡착탱크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냉매 탈착이 완료되면 흡착탱크의 제4 밸브는 닫히고, 상기 흡착탱크에 공급된 고온의 냉각수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흡착탱크에 공급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삼방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에 의하면, 자동차의 시동 전에 냉방장치가 정상적으로 가동할 때까지 순간적인 냉방이 이루어져 운전자 및 탑승자의 차량 내부 고온으로 인한 불쾌감을 없애 쾌적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자동차의 시동 전에 냉방장치를 가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냉방장치의 가동에 의한 불필요한 공회전으로 인해 낭비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부터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순간 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순간 냉방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순간 냉방장치(1)는 증발기(2), 압축기(3), 응축기(4), 수액기(5) 및 팽창밸브(6)로 이루어지는 에어컨과 같은 기존의 자동차 냉방장치(7)의 상기 증발기(2)와 압축기(3)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8c)에 밸브(V4)를 통해 흡착탱크(9)와 같은 예냉수단을 연결한 것이다. 즉 기존의 자동차 냉방장치(7)는 증발기(2), 압축기(3), 응축기(4), 수액기(5) 및 팽창밸브(6)의 순서로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 이동라인(8)에 의해 서로 차례로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4)의 출구와 수액기(5)의 입구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8a) 상에 제1 밸브(V1)가 설치되고, 상기 수액기(5)의 출구와 팽창밸브(6)의 입구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8b) 상에 제2 밸브(V2)가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2)의 출구와 압축기(3)의 입구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8c) 상에 제3 밸브(V3)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존의 자동차 냉방장치(7)의 증발기(2)의 출구와 제3 밸브(V3)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8c)에 연결된 별도의 냉매 이동라인(8d)에 다공성의 실리카 겔(Silica Gel)과 같은 흡착제(9a)가 내부에 채워져 저장된 흡착탱크(9)를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순간 냉방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냉매 이동라인(8c) 상에 제4 밸브(V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의 실리카 겔은 흡착제(9a)로써 수액기(5)로부터 팽창밸브(6)를 거쳐 이동하는 증발되는 냉매가 흡착탱크(9)에 저장되면 증발되는 기체냉매를 흡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흡착제로는 실리카 겔뿐만 아니라 다공성 물질로 활성탄이나 그라파이트(Graphite)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순간 냉방장치는 흡착탱크(9)의 흡착제(다공성의 실리카 겔)에 흡착된 기체냉매를 정상적인 자동차 냉방장치에서의 냉매순환에서 상기 기체냉매를 흡착제로부터 탈착하여 압축기(3)로 보내는 것, 즉 냉매 탈착에 의한 실리카 겔의 재생에 의해 다음의 차량 정지 후의 순간 냉방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흡착제인 실리카 겔은 내부에 열을 받으면 흡착된 기체냉매가 탈착되므로,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자동차에서는 엔진(11)의 폐열 및 라디에이터(12)를 이용하도록 하고, 수소전지와 같은 연료전지 자동차에서는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stack)과 라디에이터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흡착탱크(9)의 흡착제에 흡착된 기체냉매를 탈착하기 위해 엔진(11)의 폐열을 이용하는 경우, 고온의 냉각수가 흡착탱크(9)에 공급되도록 엔진(11)과 상기 흡착탱크(9)를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즉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가 상기 엔진을 거쳐 고온의 냉각수로 된 후, 상기 엔진(11)과 라디에이터(12) 사이에 연결한 벨로우즈 밸브(13)와 냉각수 이동라인(14)에 의해 상기 고온의 냉각수가 라디에이터(12)로 들어가 냉각되는데, 이 냉각수 이동라인(14)과 흡착탱크(9) 사이에 삼방밸브(10)(3-Way Valve)를 통해 상기 흡착탱크(9)로 들어가는 냉각수 공급라인(15)을 연결하고, 상기 흡착탱크(9)로부터 나오는 냉각수 배출라인(16)을 냉각수 이동라인(14)에 연결한다. 물론 상기 엔진은 수소전지와 같은 전지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전지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으로 대체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순간 냉방장치에 의한 순간 냉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냉방장치(7), 즉 에어컨을 가동하면 압축기(3)가 운전되어 고온/고압의 가스를 응축기(4)로 보내고, 이 응축기(4)에서는 압축기(3)에서 공급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액 냉매로 만들며, 고온/고압의 액 냉매는 수액기(5)에 모여서 팽창밸브(6)의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저압의 액 냉매가 되어 증발기(2)에 공급되고, 이 증발기(2)에서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려 냉방운전을 하게 된다. 이는 정상적인 자동차의 냉방운전이 된다.
본 발명의 순간 냉방장치의 순간 냉방운전은 자동차가 운전이 정지된 상태 또는 운전이 정지된 주차상태에서 진행된다. 즉 자동차의 운전이 정지되면 제1 내지 제4 밸브(V1∼V4)가 잠기게 된다. 그러면 냉매 이동라인(8a)과 냉매 이동라인(8c) 사이에 표시된 점선 위의 응축기(4)와 압축기(3)가 포함된 부분은 고압의 상태가 되고, 점선 하단부는 저압상태가 된다. 이때 수액기(5)에는 냉방장치의 운전 중에 응축기(4)로부터 공급된 액 냉매가 저장되게 된다. 순간 냉방장치는 수액기(5)에 저장된 액 냉매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 전 작동버튼이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컨과 같은 작동수단을 이용하여 순간 냉방장치(1)를 가동하면, 제2 밸브(V2)와 제4 밸브(V4)가 열리게 된다. 그러면 수액기(5)와 예냉수단인 흡착탱크(9) 사이의 압력차가 생겨서 상기 수액기(5)에서 흡착탱크(9) 쪽으로 냉매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액기(5)에서 토출된 액 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6)를 거치게 되며, 이 팽창밸브(6)에서는 고압의 액 냉매를 저온의 액 냉매로 만들어 증발기(2)로 공급하게 되고, 이 증발기(2)에서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차량 내부에 순간적인 순간 냉방을 할 수 있게 되며, 열교환으로 증발이 된 기체 냉매는 다공성의 실리카 겔로 된 흡착제가 저장된 흡착탱크(9)에 저장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초기의 고압과 저압의 압력구배에 의해서 냉매가 수액기(5)에서 증발기(2)로 이동하나, 고압과 저압이 같아진 이후에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계속해서 냉매가 이동하여 증발기(2)로 이동하고, 상기 증발기(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냉매는 흡착탱크(9)의 냉매 흡착에 의하여 다공성 실리카 겔의 흡착제(9a)에 흡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차 에어컨의 적정 충전 냉매량보다 순간 냉방에 필요한 냉매를 부가적으로 충전하여 순간 냉방장치 가동시 5∼10분간 냉방을 할 수 있는 양의 냉매가 정상적인 충전량보다 많이 충전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일반적인 에어컨의 수액기(5)에도 순간 냉방시 필요한 냉매를 충전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이 추가되어 정상적인 충전량보다 많이 충전된 것이다.
순간 냉방장치 가동 후 5∼10분 정도 경과하여 고압과 저압이 같아지고 흡착탱크(9)의 흡착제(9a)가 더 이상 냉매를 흡착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흡착탱크(9)와 연결된 제4 밸브(V4)가 닫히고, 제1 내지 제3 밸브(V1∼V3)가 열려 기존의 일반 냉방장치의 운전, 즉 자동차의 에어컨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일반 에어컨의 운전이 지속되는 동안 흡착탱크의 냉매를 다음 차량 정지 후에 순간 냉방을 유도하기 위해 흡착제인 실리카 겔의 재생, 즉 상기 실리카 겔로부터 냉매의 탈착이 필요하다. 실리카 겔은 내부에 열을 받으면 흡착된 냉매가 탈착된다.
이때 필요한 열은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며, 엔진(11)의 냉각수는 상기 엔진(11)을 냉각시키고 나서 일정온도 이상의 고온이 되면 냉각수 이동라인(14)에 설치된 벨로우즈 밸브(13)가 열려 상기 냉각수 이동라인(14)을 통해 라디에이터(12)로 공급되어 외기에 의하여 냉각된 후 다시 저온의 냉각수가 엔진(11)에 공급된다. 순간 냉방장치에서는 벨로우즈 밸브(13)가 열려 라디에이터(12)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삼방밸브(10)를 이용하여 흡착탱크(9)에 우선적으로 공급하여 실리카 겔에 열을 전달함으로써 실리카 겔에 흡착된 냉매를 탈착시키고, 탈착이 완료되면 제4 밸브(V4)가 닫히고 삼방밸브(10)가 고온의 냉각수를 자동차의 라디에이터(12)에 공급하여 일반적인 엔진(11)의 냉각시스템으로 돌아간다. 탈착과정에서 압축기(3)는 증발기(2)로부터의 냉매와 흡착탱크(9)의 냉매를 동시에 흡입하게 되며, 팽창밸브(6)의 냉매순환량 제어에 의하여 흡착탱크(9)에서 탈착된 냉매량과 같은 질량의 냉매는 수액기(5)에 액체상태로 저장되고, 일반 자동차의 냉방운전에 필요한 냉매만이 팽창밸브(6)를 통하여 증발기(2), 압축기(3) 및 응축기(4)를 순환하게 된다.
이때 흡착탱크(9)에서 압축기(3)로 기체냉매를 보내는 제4 밸브(V4)의 작동은 흡착탱크(9)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흡착탱크(9)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냉매가 모두 탈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흡착탱크(9)와 연결된 제4 밸브(V4)가 잠기게 되어 일반 자동차의 냉방운전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순간 냉방장치 2 : 증발기
3 : 압축기 4 : 응축기
5 : 수액기 6 : 팽창밸브
7 : 자동차의 냉방장치 8a,8b,8c,8d : 냉매 이동라인
9 : 흡착탱크 9a : 흡착제(다공성의 실리카 겔)
10 : 삼방밸브 11 : 엔진(스택)
12 : 라디에이터 13 : 벨로우즈 밸브
14 : 냉각수 이동라인 15 : 냉각수 공급라인
16 : 냉각수 배출라인

Claims (10)

  1.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를 연결한 냉매 이동라인 상에 설치한 상기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의 제1 밸브, 상기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제3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순간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냉매 이동라인 상에 연결되는 제4 밸브를 설치한 별도의 냉매 이동라인과 연결한 예냉수단과 상기 예냉수단을 작동시켜 순간 냉방을 하도록 한 작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밸브가 개방되어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된 후,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되어 제1 및 제3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및 흡착제가 저장된 흡착탱크의 제4 밸브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수액기와 예냉수단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수액기에 저장된 액체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상기 예냉수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압력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4 밸브는 닫히고 제1 내지 제3 밸브가 열려 자동차의 냉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실리카 겔이나 활성탄 또는 그라파이트 중의 어느 하나인 다공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받도록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와 엔진 또는 라디에이터와 스택 사이의 냉각수 이동라인과 흡착탱크 사이에 삼방밸브를 통해 냉각수 공급라인을 연결하고, 공급된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냉각수 배출라인이 상기 흡착탱크로부터 냉각수 이동라인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방장치.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버튼이나 작동스위치 또는 리모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방장치.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에는 순간 냉방장치가 가동할 때 일정시간 동안 냉방을 할 수 있도록 냉매가 자동차 에어컨의 적정 충전량보다 많이 부가적으로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냉방장치.
  7. 압축기, 응축기, 수액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상기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에 연결한 상기 응축기와 수액기 사이의 제1 밸브, 상기 수액기와 팽창밸브 사이의 제2 밸브,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제3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냉방장치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순간 냉방장치의 순간 냉방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되어 상기 제1 및 제3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순간 냉방장치의 작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서 개방되는 제4 밸브를 통해 연결한 실리카 겔이 저장된 흡착탱크와 상기 수액기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수액기에 저장된 냉매가 증발기를 거쳐 흡착탱크로 이동함으로써 순간 냉방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상기 순간 냉방이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져 냉매의 압력차가 없어지면 흡착탱크의 제4 밸브는 닫히고 자동차의 냉방장치의 각 압축기 내지 증발기 사이에 연결한 제1 내지 제3 밸브가 열려 일반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순간 냉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냉방장치가 가동하는 동안 흡착탱크에 저장된 실리카 겔의 재생에 의한 냉매 탈착을 위해, 순간 냉방이 완료된 시점에서 자동차 엔진 또는 스택의 고온의 냉각수를 상기 흡착탱크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냉매 탈착이 완료되면 흡착탱크의 제4 밸브는 닫히고, 상기 흡착탱크에 공급된 고온의 냉각수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로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순간 냉방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흡착탱크에 공급하는 고온의 냉각수는 삼방밸브를 통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순간 냉방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냉방장치의 수액기에 자동차 냉방장치의 수액기에 충전되는 적정 냉매 이상으로 냉매를 자동차 에어컨의 적정 충전량보다 많이 부가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순간 냉방방법.
KR1020140061615A 2014-05-22 2014-05-22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KR10151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15A KR101514924B1 (ko) 2014-05-22 2014-05-22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CN201580026251.XA CN106414123B (zh) 2014-05-22 2015-05-22 可瞬间制冷的车辆用制冷装置、包括该装置的车辆以及车辆的瞬间制冷方法
US15/779,524 US10960734B2 (en) 2014-05-22 2015-05-22 Momentary air conditioner for vehicl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cooling method thereby
PCT/KR2015/005218 WO2015178744A1 (ko) 2014-05-22 2015-05-22 순간 냉방 가능한 차량용 냉방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순간 냉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15A KR101514924B1 (ko) 2014-05-22 2014-05-22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924B1 true KR101514924B1 (ko) 2015-04-23

Family

ID=5305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615A KR101514924B1 (ko) 2014-05-22 2014-05-22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0734B2 (ko)
KR (1) KR101514924B1 (ko)
CN (1) CN106414123B (ko)
WO (1) WO2015178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647B (zh) * 2017-02-15 2017-12-12 曹桂宝 智能化汽车散热系统
CN109334384A (zh) * 2018-08-20 2019-02-15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口组件
CN113479029B (zh) * 2021-07-05 2023-09-29 徐州天一红点车用空调有限公司 一种具有辅助制冷功能的工程车空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722A (ja) * 2001-12-11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3312240A (ja) * 2002-04-19 2003-11-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6199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에어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220594A (ja) * 2010-04-08 2011-11-04 Toyota Industries Corp 冷凍サイク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55022A1 (de) * 1976-12-04 1978-06-15 Bruno Kuemmerle Proviantklimaeinrichtung fuer fahrzeuge
JP2004340520A (ja) * 2003-05-16 2004-12-02 Toyota Industries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125328B1 (ko) * 2005-12-06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에어컨 장치
US8051670B2 (en) * 2008-05-09 2011-11-08 Thermo King Corporation HVAC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N201476390U (zh) * 2009-07-22 2010-05-19 宋建明 车载快速制冷装置
JP2012162125A (ja) * 2011-02-04 2012-08-30 Calsonic Kansei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3743151B (zh) * 2013-12-11 2016-02-10 上海交通大学 基于吸附式制冷的汽车废热回收停车空调及其工作方法
US9796240B2 (en) * 2015-08-12 2017-10-24 Caterpillar Inc. Engine off vapor compression adsorption cy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722A (ja) * 2001-12-11 2003-06-2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3312240A (ja) * 2002-04-19 2003-11-0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61995A (ko) *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에어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220594A (ja) * 2010-04-08 2011-11-04 Toyota Industries Corp 冷凍サイ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744A1 (ko) 2015-11-26
CN106414123B (zh) 2019-03-15
US20180361829A1 (en) 2018-12-20
US10960734B2 (en) 2021-03-30
CN106414123A (zh)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314B2 (ja) 吸収式ヒートポンプを有する自動車の空調装置
JP4321587B2 (ja) エネルギ回収システム
JP5831322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Zhang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heat pump system with integrated desiccant for electric vehicles
JP2015191703A (ja) 電池温度調節装置
Verde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waste-heat driven adsorption system for automotive air-conditioning: Part II-Performance optimization under different real driving conditions
KR101514924B1 (ko) 자동차 내부의 순간 냉방장치와 그에 의한 냉방법
RU137238U1 (ru) Система климат-контроля автомобиля
JP6562004B2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を備えた車両用エアコン装置
Wang et al. Analysis of resorption working pairs for air conditioners of electric vehicles
JP3870432B2 (ja) 吸着式冷却装置
CN111692776B (zh) 用于在机动车辆上生产软化水的吸附制冷系统、机动车辆和在机动车辆上生产软化水的方法
JP2001213149A (ja) 乗物用空調装置
KR101533348B1 (ko) 흡착식 차량용 공조장치
JP5039293B2 (ja) 炭酸ガス除去設備
CN102182918B (zh) 一种用于天然气汽车的天然气吸附储存装置
JP628988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1093338A (ja) 自動車用暖機装置及び自動車用暖機方法
JP2017161108A (ja) 吸着式冷凍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の空調装置
RU2562003C2 (ru) Система климат-контроля автомобиля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JP2018070038A (ja) 吸着式ヒートポンプを備えた車両用エアコン装置
JPH09170846A (ja) 車両搭載型ケミカルヒートポンプ
JP2006029605A (ja) 吸着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9026140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H08178459A (ja) 吸着式冷凍制御方法及び吸着式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