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276B1 -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276B1
KR101509276B1 KR1020107011495A KR20107011495A KR101509276B1 KR 101509276 B1 KR101509276 B1 KR 101509276B1 KR 1020107011495 A KR1020107011495 A KR 1020107011495A KR 20107011495 A KR20107011495 A KR 20107011495A KR 101509276 B1 KR101509276 B1 KR 10150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retched film
resin
stretch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457A (ko
Inventor
다다시 다키자와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33/00Use of 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33/04Polymers of esters
    • B29K2033/08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e.g. PMA, i.e. polymethyl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1Refractive
    • B29K2995/0032Birefrin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32B2307/5825Tea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5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폭 1,000mm 초과의 장척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연신 필름에서 차지하는 A층의 비율이 45% 이하이고, 적어도 1,000mm 초과의 폭 방향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한 배향각 θ의 평균값이 0°± 1°, 배향각 θ의 편차가 0.5° 이하이며, Nz 계수의 값이 -3.5 내지 -0.5의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이다.

Description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STRETCHED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QUID-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고화질, 박형, 경량,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을 가져, 텔레비젼, 퍼스널 컴퓨터,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의 상하에 투과축이 직교하도록 2장의 편광자를 배치하고, 액정 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 분자의 배향을 변화시켜, 화면에 화상을 표시시킨다. 트위스티드 네마틱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압 인가시에 액정 분자가 수직 배향 상태가 되어, 흑색 표시가 되는 구성이 많다. 인-플레인 스위칭(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전압 무인가시에 액정 분자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하고, 전압 인가시에 배향 방향이 45도 회전하여, 백색 표시가 되는 구성이 많다.
2장의 편광자의 투과축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가리켜 직교하도록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하 좌우 방향에서 화면을 볼 때는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하 좌우로부터 벗어난 방향에서 화면을 비스듬히 보면, 입사측 편광자의 투과축과 출사측 편광자의 투과축이, 외관상 직교가 아니게 되기 때문에, 직선 편광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광 누락이 발생하여, 충분한 흑색이 얻어지지 않고, 콘트라스트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에 광학 보상 수단을 더하여, 화면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 보상 수단의 개발 및 그 개선이 이전부터 이루어지고 있고,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3313호 공보에는, 고유 복굴절 값이 음인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A층의 적어도 한 면에 투명한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B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Re의 편차가 ±10nm 이내인 광학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74725호 공보에는, 고유 복굴절 값이 음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의 적어도 한 면에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무배향의 B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로서, A층의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Re를 B층의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Re를 초과하는 값으로 설정한 광학 적층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72201호 공보에는, 스타이렌계 수지를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연신 필름으로, 소정의 온도에 있어서의 가열 수축 응력,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배향각의 변동 폭을 소정의 범위로 규정한 이방성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스타이렌계 수지는, 높은 투명성과 음의 고유 복굴절 값을 갖는 것 등으로부터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유효한 재료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것을 이용한 필름은 매우 무르고,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연신할 때의 연속 반송 중에 파단이나 주름이 생기는 것이 많고, 가공성(연신성)이 좋지 않음과 함께, 가공 후의 연신 필름의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Re의 변동폭이나 배향각 θ의 변동폭을 작게 하는 것이 어렵고, 광학 균일성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에 대하여,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72201호 공보에서는, (비카트(Vicat) 온도 +30℃)에 있어서의 가열 수축 응력의 흐름(MD) 방향과 폭(TD) 방향의 차이를 0.5 내지 8.0MPa로 설정하는 등에 의해서,개선을 꾀하고 있지만, 아직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133313호 공보 또는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74725호 공보에서는,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투명 수지층을 적층하여 연신하는 등에 의해서 그 개선을 꾀하고 있는데, 이들은 유효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지만, 한층 더 개선을 꾀할 여지가 있다.
또한, 시야각 의존성을 해소하기 위해, 전계 방향을 종래의 종(縱)이 아니라 횡(橫)으로 바꿔, 액정 분자를 기판 면에 평행한 채로 스위칭하는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여, 특히 바람직한 광학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연신 필름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연신 가공성, 내구성, 광학 균일성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여 바람직한 광학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연신 필름, 및 표시 특성이 양호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을 소정량 이하로 규정한 뒤에 동시 2축 연신함으로써, 연신 가공성, 내구성, 광학 균일성이 우수하며, 또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위상차판 등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우수한 표시 특성을 실현 가능한 연신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따라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폭 1,000mm 초과의 장척 연신 필름이며, 상기 연신 필름에서 차지하는 A층의 비율이 45% 이하이고, 적어도 1,000mm 초과의 폭 방향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한 배향각 θ의 평균값이 0°±1°, 배향각 θ의 편차가 0.5° 이하이며, Nz 계수의 값이 -3.5 내지 -0.5의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A층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Nz 계수의 값의 편차가 0.2 이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가 80nm 이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의 편차가 3nm 이하, 상기 B1층 및 상기 B2층의 적어도 한쪽의 리타데이션 Re가 0nm 이상 15nm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1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A층의 평균 두께의 비(B1층/A층)가 2/1 내지 1/1이며, 상기 B2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A층의 평균 두께의 비(A층/B2층)가 1/1 내지 1/2이며, 헤이즈(헤이즈)가 1% 초과 5% 이하인 것이 각각 바람직하다. 여기서, 헤이즈란 입사광 중, 전광선 투과율과 확산 광선 투과율의 비이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위상차판 등의 광학 부품을 갖춘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의 관점에 의하면, 용융 공압출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적층체 c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동시 2축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연신 온도가 상기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이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의 1.0 내지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 가공성, 내구성, 광학 균일성이 우수하며, 또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하기에 바람직한 광학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연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특성이 양호한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폭 1,000mm 초과의 장척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A층의 비율이 45% 이하이고, 적어도 1,000mm 초과의 폭 방향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한 배향각 θ의 평균값이 0°± 1°, 배향각 θ의 편차가 0.5° 이하이며, Nz 계수의 값이 -3.5 내지 -0.5의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이다. 한편, 여기서 장척이란, 필름의 폭에 대하여, 적어도 5배 정도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0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감겨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A층은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스타이렌계 수지는 고유 복굴절 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한편, 고유 복굴절 값이 음의 값을 나타내는 수지란, 분자의 배향 방향의 굴절률이 다른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은 수지이며, 예컨대 그것을 이용한 성형체를 연신한 경우에 연신 방향의 굴절률이 가장 작게 되는 수지이다. 고유 복굴절 값(Δn0)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수학식 1]
Δn0=(2π/9)(Nd/M){(na2+2)2/na}(α1-α2)
단, π는 원주율, N은 아보가드로 수, d는 밀도, M은 분자량, na는 평균 굴절률, α1은 고분자의 분자쇄 축방향의 분극율, α2는 고분자의 분자쇄축과 수직 방향의 분극율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A층에 함유되는 스타이렌계 수지는, 스타이렌 단위 구조를 반복 단위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갖는 수지이며, 폴리스타이렌, 또는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o-메틸스타이렌, p-메틸스타이렌, p-클로로스타이렌, p-나이트로스타이렌, p-아미노스타이렌, p-카복시스타이렌, p-페닐스타이렌등의 스타이렌계단량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N-페닐말레이미드,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 아세트산바이닐 등의 그 밖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스타이렌계 수지로는 폴리스타이렌, 스타이렌과 N-페닐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 또는 스타이렌과 무수말레산의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연신 필름에서 차지하는 A층의 비율은 4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A층의 비율의 하한은 원하는 광학 특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20% 정도이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B1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무배향이고 투명한 층이다. 또한, B2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무배향이고 투명한 층이다. 열가소성 수지 1 및 열가소성 수지 2로서는, 각각 두께 1mm의 시험편을 형성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 7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90% 이상의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1, 2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터설폰 수지, 폴리알릴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쇄상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염화바이닐 수지, 다이아세틸셀룰로스 수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수지, 지환식 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1, 2로서는, 지환식 올레핀 수지나 메타크릴 수지가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1, 2가 메타크릴 수지이면, 필름 전체에서 광 탄성을 3×10-12m2/N 이하로 할 수 있고, 액자 고장 등의 문제는 없어진다. 한편, B1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과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2란, 같은 종류일 수도,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 단위를 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이다.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의 단독 중합체; 알킬기의 수소가 OH기, COOH기 또는 NH2기 등의 작용기에 의해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의 단독 중합체; 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와, 스타이렌, 아세트산바이닐, α,β-모노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바이닐톨루엔, α-메틸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알킬에스터 등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산알킬에스터가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와의 공중합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작용기에 의해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5중량% 함유하고, 아크릴산알킬에스터 단위를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 함유한다.
지환식 올레핀 수지는 주쇄 및/또는 측쇄에 지환 구조를 갖는 비결정성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지환식 올레핀 수지 중의 지환 구조로서는, 포화 지환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불포화 지환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켄) 구조 등을 들 수 있지만, 기계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사이클로알케인 구조가 바람직하다. 지환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수에는 각별한 제한은 없지만, 보통 4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개일 때, 기계 강도, 내열성, 및 필름 성형성의 특성이 고도로 밸런스되어 적합하다.
지환식 올레핀 수지를 구성하는 지환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지환식 올레핀 수지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투명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지환식 올레핀 수지로서는, 노보넨 수지, 단환의 환상 올레핀 수지, 환상 공액다이엔 수지,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 수지는 투명성과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노보넨 수지로서는, 예컨대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수소화물은 투명성,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B1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 및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2는, 그 유리 전이 온도 Tg(b)(열가소성 수지의 종류가 다른 경우는 Tg(b1), Tg(b2))가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전술한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 B1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 및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2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분산제, 염소 포착제, 난연제, 결정화 핵제, 강화제, 블록킹 방지제, 방담제, 이형제, 안료, 유기 또는 무기의 충전제, 중화제, 윤활제, 분해제, 금속 불활성화제, 오염 방지제, 항균제나 그 밖의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첨가량은,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 B1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 또는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2, 각각 100중량부에 대하여 보통 0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장 400 내지 700nm의 광으로 측정한 A층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이하, 면내 리타데이션이라 함) Re(A)(nm)는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70nm 이하의 범위 내이고, B1층 및 B2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내 리타데이션 Re(B2)(nm)는 바람직하게는 0nm 이상 15nm 이하의 범위내이며, |Re(A)|>|Re(B1)+Re(B2)|로 할 수 있다. |Re(A)|>|Re(B1)+Re(B2)|로 하는 것에 의해, 광학적으로 조정을 한 고유 복굴절 값이 음인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의 광학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Re(A)|≤|Re(B1)+Re(B2)|이면, 광학 보상 기능이 충분히 발현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면내 리타데이션 Re란, 면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와 면내에서 상기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 ny와의 차이에 필름(각 층)의 평균 두께 D를 곱한 값, 즉, Re=(nx-ny)×D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B1층 또는 B2층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무배향이란, B1층 또는 B2층 내에서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의 굴절률 nBx와 nBy의 차이가 작고, A층내에서 직교하는 x 방향과 y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Ax, nAy, A층의 두께를 dA, B1층 또는 B2층의 두께를 dB로 했을 때, |(nAx-nAy)dA|+|(nBx-nBy)dB|의 값이 |(nAx-nAy)dA|의 값의 1.1배 이하인 것을 말한다. |Re(B1)+Re(B2)|는 20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e(B1)+Re(B2)|가 20nm를 초과하면, 연신 필름의 광학 보상 기능이 충분히 발현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A층, B1층 및 B2층의 적층체로서의 연신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nm)의 평균값은 8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편차는 3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는 자동 복굴절계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측정을 한다. 이 측정을 연신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하고, 전 측정 결과를 평균한 값을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평균값으로 한다.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편차는 각 측정결과의 최대 값으로부터 최소 값을 뺀 값으로 한다.
또한, A층, B1층 및 B2층의 적층체로서의 연신 필름의 Nz 계수의 편차는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Nz 계수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두께 방향에 수직인 면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의 굴절률 nx, ny(단, nx>ny)로서, Nz=(nx-nz)/(nx-ny)로 표시된다.
연신 필름의 Nz 계수는 자동 복굴절계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측정을 한다. 이 측정을 연신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하고, 전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Nz 계수로 한다. 또한, Nz 계수의 편차는 Nz 계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B1층의 평균 두께와 A층의 평균 두께의 비(B1층/A층)는 2/1 내지 1/1이며, B2층의 평균 두께와 A층의 평균 두께의 비(A층/B2층)는 1/1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층, B1층 및 B2층의 적층체로서의 연신 필름의 총 두께는 80 내지 120μm로 할 수 있다. 또한, A층, B1층 및 B2층의 적층체로서의 연신 필름의 헤이즈는 1% 초과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헤이즈란, 입사광 중 평행 광선 투과율과 확산 광선 투과율의 비이다. 더하여, A층, B1층 및 B2층의 적층체로서의 연신 필름은 그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1N/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 및 B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각각 Tg(a)(℃), Tg(b)(℃)(B1층,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가 다른 경우는 Tg(b1), Tg(b2))로 했을 때, Tg(a)>Tg(b)+8℃인 것이 바람직하고, Tg(a)>Tg(b)+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g(a)>Tg(b)+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Tg(b1)과 Tg(b2)의 2개의 온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식에 있어서의 Tg(b)로는 Tg(b1)과 Tg(b2) 중 온도가 높은 쪽을 기준으로서 채용한다.
또한,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 및 B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를 각각 Teg(a)(℃), Teg(b)(℃)(B1층,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가 다른 경우는 Teg(b1), Teg(b2))로 했을 때, Teg(a)>Teg(b)+15℃인 것이 바람직하고, Teg(a)>Teg(b)+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Teg(a)>Teg(b)+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Teg(b1)과 Teg(b2)의 2개의 온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식에 있어서의 Teg(b)로는, Teg(b1)과 Teg(b2) 중 온도가 높은 쪽을 기준으로서 채용한다.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수지층(a층)과, 그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수지층(b1층, b2층)이 각각 적층된 미연신의 적층체 c를 공연신할 때, 온도 Tg(a)(℃)부근에서 연신하면,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의 복굴절 특성을 충분하고 또한 균일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수지층(b1층, b2층)은, 그 유리 전이 온도 Tg(b) 또는 비카트 연화 온도 Teg(b)보다도 20℃ 이상 높은 온도에서 연신되기 때문에, 고분자는 대개 배향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무배향의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필요에 따라, B1층 및/또는 B2층의 표면을 조면화할 수 있다. 조면화하는 수단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엠보싱 가공, 샌드 블라스트, 에칭, 미립자의 부착 등을 들 수 있다. B1 및/또는 B2층의 표면을 조면화 함으로써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의 헤이즈는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이나 조면화 처리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B1층, B2층이 적층되어 있고, 또한 연신 필름에서 차지하는 A층의 비율이 45% 이하이기 때문에, 각 층의 수축률의 차이에 의한 적층체의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에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했을 때, 공압출이나 공연신시의 첨가제의 휘발이나, 적층체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삼출(渗出)을 방지할 수 있다. 산화를 받기 쉬운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에 산화 방지제를 배합함으로써 수지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에 있어서는, A층과 B1층, B2층과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은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A층과 B1층, B2층의 각각에 대하여 친화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터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나 다른 올레핀계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공)중합체를 산화, 비누화, 염소화, 클로로설폰화 등에 의해 변성한 변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μm이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는, 접착제의 유리 전이 온도 또는 연화점 Tg(d)는 상기 Tg(a) 및 Tg(b)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Tg(a) 및 Tg(b)보다도 15℃ 이상 낮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용융 공압출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열가소성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미연신의 적층체 c를 얻는 공정과, 이 미연신의 적층체 c를 동시 2축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연신의 적층체 c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 방법, 및 기재 수지 필름에 대하여 수지 용액을 코팅하는 것과 같은 코팅 성형 방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효율이나, 필름 중에 용제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공압출에 의한 성형 방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온도는 사용하는 A층을 구성하는 스타이렌계 수지, B1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1 및 B2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 2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미연신의 적층체 c는 장척의 다층 필름이며 그 폭은 1,000mm 이상이다.
미연신의 적층체 c의 연신은, 예컨대 한 쌍의 가이드 레일에 따라 각각 주행하는 복수의 클립(파지구)을 구비하는 팬터그래프 방식의 동시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이 동시 2축 연신 장치는 필름을 파지하는 클립의 간격이 열려 종 방향(흐름 방향)의 연신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넓이 각도에 의해 횡 방향(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다. 롤 사이의 주속(周速)의 차이를 이용하여 종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그 양 단부가 클립으로 파지되고 텐터를 이용하여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逐次) 2축 연신법에서는, 종 방향으로 연신하고 나서 수지가 일단 냉각되고, 그 후에 횡 방향으로 연신하기 위해서 두 번째 가열되기 때문에, 열 완화에 의해서 횡 방향의 연신시에 종 방향의 연신에서 수득된 원하는 광학 특성이 변화되어 버려 원하는 특성을 발현하는 것이 어렵지만, 동시 2축 연신이면 그와 같은 문제가 없고, 양호한 광학 특성을 갖는 연신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미연신의 적층체 c의 연신 온도는,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미연신의 적층체 c의 연신 온도는,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2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10℃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설정하면 연신 적정(조업성)이 좋기 때문이다. 또한,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이,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의 1.0 내지 1.5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조해야 할 연신 필름의 목표 면내 리타데이션 Re는, 동시 2축 연신시의 필름의 반송 속도(라인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반송 속도는 12 내지 16m/분의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m/분 미만에서는 보잉(배향각 프로파일의 흐트러짐)이 진행하고, 16m/분을 초과하면 반대 보잉이 진행하기 때문이다.
배향각의 프로파일은, 되도록이면 플랫으로, 즉 폭 방향에 대한 배향각 θ의 평균값이 0°± 1°, 배향각 θ의 편차가 0.5° 이하가 되도록, 연신 조건(미연신, 열고정 온도, 인취(引取) 장력)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연신이란 동시 2축 연신 장치의 오븐 내에서 필름을 연신 종료 전에 소량 연신 또는 수축시키는(최종 연신 배율은 변하지 않음) 것이고, 열 고정 온도란 동시 2축 연신 장치의 오븐 출구의 외측 근방에 배치되는 필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가열 구간의 온도(연신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이며, 인취 장력이란 같은 오븐 출구의 외측 근방으로부터 필름의 권취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작용시키는 장력이다.
미연신은 동시 2축 연신 장치 텐터의 레일 패턴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열 고정 온도는, (연신 온도 -30℃) 이상, 연신 온도 미만의 온도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보잉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통 상기에 나타낸 것과 같은 미연신으로 조정하지만, 열 고정 온도를 올리거나, 인취 장력을 내리는 것에 의해서도 조정 가능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역 보잉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열 고정 온도를 내리거나, 인취 장력을 올리는 것에 의해, 배향각의 프로파일이 플랫이 되도록, 미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연신 필름과 편광판을 적층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학 소자를 얻을 수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2색성 물질 함유의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편광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적절한 접착층을 통해서, 보호층이 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접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서는, 예컨대 폴리바이닐알코올이나 부분 폼알화 폴리바이닐알코올 등의 종래에 준한 적당한 바이닐알코올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연신 처리, 가교 처리 등의 적당한 처리를 적당한 순서나 방식으로 실시한 것으로, 자연광을 입사시키면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적당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광투과율이나 편광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5 내지 80μm이 일반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하는 투명 보호층이 되는 보호 필름 소재로서는 적당한 투명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나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이나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폴리머로서는,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와 같은 아세테이트 수지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터설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마이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쇄상 폴리올레핀 수지, 지환식 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복굴절이 작다는 점에서, 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지환식 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고,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지환식 올레핀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임의적이지만 일반적으로는 편광판의 박형화 등을 목적으로 5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μm이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과 편광판의 적층은, 접착제나 점착제 등의 적당한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터계, 고무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이나 투명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필름과 편광판을 연신 필름의 지상축(遲相軸)과 편광자의 투과축이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적층한다. 적층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연신 필름 및 편광판을 각각 원하는 크기로 잘라 적층하는 방법, 장척상의 연신 필름 및 장척상의 편광판을 롤투롤법으로 적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연신 필름이 적층하는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을 겸할 수 있어 소자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이 광학 소자의 두께는, 보통 100 내지 700μm,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μm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필름(위상차판 등)을 적어도 1장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에 편입시킨 태양으로서는, 편광판과 액정 셀의 사이에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태양, 편광판의 액정 셀과 반대측에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 액정 셀의 사이에 광학 필름을 갖추는 태양에서는, 상술한 광학 필름과 편광판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소자를 액정 셀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편광판을 액정 셀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투과형이나 반사형, 또는 투과·반사 양용형 등의 종래에 준한 적당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셀에 사용하는 액정 모드로서는, 인-플레인 스위칭(IPS) 방식, 버티칼 얼라인먼트(VA) 방식, 멀티 도메인 버티칼 얼라인먼트(MVA) 방식, 컨티뉴어스 핀휠 얼라인먼트(CPA) 방식, 트위스티드 네마틱(TN) 방식, 수퍼-트위스티드 네마틱(STN) 방식, 하이브리드 얼라인먼트 네마틱(HAN)방식, 옵티컬 콤펜세이티드 벤드(OCB)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IPS 방식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IPS 방식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균일한(homogeneous) 배향을 한 액정 분자와 투과축이 화면 정면에 대하여 상하와 좌우의 방향을 가리켜, 수직의 위치 관계에 있는 2장의 편광자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좌우의 방향으로부터 화면을 비스듬하게 볼 때에, 2개의 투과축은 직교하여 보이는 위치 관계에 있어, 균일한 배향 액정층은 트위스티드 방식의 액정층에서 생기는 것과 같은 복굴절도 적으므로,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진다.
이에 대하여, 방위각 45도의 방향으로부터 화면을 비스듬히 볼 때에는, 2장의 편광자의 투과축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로부터 어긋나는 위치 관계가 되기 때문에, 직선 편광이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광 누락이 발생하여, 충분한 흑색이 얻어지지 않고,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2장의 편광자의 사이에,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액정 셀 중의 액정에 의해 생기는 위상차의 보상과 2장의 편광자의 투과축의 직교 배치의 보상을 한다. 이것에 의해서, 투과광에 생기는 복굴절을 효과적으로 보상하여 광 누락을 방지하여, 전 방위각에 있어서 높은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다. 이 효과는, 다른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같은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특히 상기 IPS 방식에 있어서 효과가 현저하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프리즘 어레이 시트,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백라이트나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연신 필름의 평가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1) 필름의 두께(μm)
적층 필름(미연신의 적층체 또는 연신 필름)을 에폭시 수지에 갖춘 후, 마이크로톰[야마토광기공업(주), RUB-2100]을 이용하여 0.05μm 두께로 슬라이스하고,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단면을 관찰하고, 각 층의 두께, 및 전체의 두께(총 두께)를 측정했다. 이 측정을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했다. 그리고, 각 층의 두께, 전체의 두께 각각에 관하여, 전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산출했다.
(2)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N/mm)
JIS K 7128-2(엘멘도르프 인열법)에 준거하여, 연신 필름의 중앙부에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인장 시험기[이마다사제, ZP-5N(상품명)]를 이용하여,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장하고, 크랙이 발생한 시점의 강도를 계측하여, 인열 강도로 했다.
(3) 연속 반송성
연신 장치 내에서 장척의 연신 필름을 실제로 반송하여, 파단, 주름의 발생의 유무 및 그 정도를 조사했다.
(4) 배향각 θ 및 그 편차
연신 필름의 폭 방향으로 5mm 간격에서, 편광현미경[올림푸스사제, 편광현미경 BX51]을 이용하여, 필름의 면내 지상축(필름의 폭 방향과 이루는 각도)을 측정한다. 이 측정을 연신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했다. 전 측정 결과를 평균하여 배향각 θ의 평균값으로 했다. 또한, 배향각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배향각 θ의 편차로 했다.
(5) Nz 계수 및 그 편차
자동 복굴절계[오지계측기기(주), KOBRA-21 ADH]를 이용하여, 파장 590nm에서, 연신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측정했다. 이 측정을 연신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했다. 전 측정 결과를 평균하여 Nz 계수로 했다. 또한, Nz 계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Nz 계수의 편차로 했다.
(6)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그 편차
자동 복굴절계[오지계측기기(주), KOBRA-21 ADH]를 이용하여, 파장 590 nm에서, 연신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측정했다. 이 측정을 연신 필름의 흐름 방향으로 50mm 간격에서 길이 1,000mm에 걸쳐 실시했다. 전 측정 결과를 평균하여 면내 방향 리타데이션 Re의 평균값으로 했다. 또한,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편차로 했다.
B1층 및 B2층의 면내 리타데이션은, b1층 및 b2층의 단층 필름을 별도 제작하고, 이어서 그것을 미연신의 적층체를 연신했을 때와 동일 조건에서 연신한 단층 필름에 대하여 측정했다. 면내 리타데이션의 측정은, 연신 필름의 측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했다.
(7) 연신 필름의 헤이즈치
JIS K 7361-1997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일본전색공업사제,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한편, 측정점을 바꾸어 같은 측정을 5회 하고, 그 산술 평균값을 헤이즈 값으로 했다.
(8) 내구 시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편광판에 접합한 것을, 연신 필름의 편광판과 반대측의 면을 유리 기판에 접착하고, -40℃ 내지 +85℃의 범위에서 냉각·가열을 500회 반복 실시하여, 들뜸, 벗겨짐, 파손 등의 유무를 조사했다.
(9) IPS 방식에 있어서의 표시 특성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편광판에 접합한 광학 소자를, 시판의 인-플레인 스위칭(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입사측의 편광판과 치환하여, 치환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육안에 의해 화면을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와,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서 확인했다. 표 1 중에서, 「○」는 양호, 「△」는 약간 양호, 「×」는 불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1)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메타크릴 수지[유리 전이 온도 105℃, 비카트 연화 온도 103℃]로 이루어지는 b1층, b2층, 스타이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노바 케미칼 저팬(주), 다이라크 D332, 유리 전이 온도 130℃, 비카트 연화 온도 130℃, 올리고머 성분 함유량 3중량%]로 이루어지는 a층을 갖는, b1층(70μm)-a층(40μm)-b2층(70μm)의 미연신 적층체 c를 공압출 성형에 의해 수득했다. 수득된 미연신 적층체 c를, 연신 온도 134℃, 연신속도 107%/분, MD(흐름 방향) 연신 배율 1.6배, TD(폭 방향) 연신 배율 1.2배에서 동시 2축 연신하여, 폭 1,200mm, 두께(총 두께) 94μm의 연신 필름을 수득했다. 이 때, 표 1중의 대응하는 항목에 「있음」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배향각 프로파일을 플랫하게 할 수 있도록, 인취 장력 제어, 및 열 고정 온도 제어를 실시했다.
수득된 연신 필름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 강도(인열 강도, 연속 반송성), 광학 특성(배향각, 배향각의 편차, Nz 계수, Nz 계수의 편차) 모두 매우 양호했다. 이 연신 필름과 투과축이 길이 방향으로 있는 편광판을 롤투롤법에 의해 적층한 권상체(捲狀體)로부터 절출한 광학 소자를, 유리 기판에 접착하여 행한 내구 시험은 양호 「OK」였다. 또한, 광학 소자를 시판의 인-플레인 스위칭(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입사측의 편광판과 치환하여, 수득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을 육안에 의해 확인한 바, 화면을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도, 표시는 양호하고 또한 균일했다.
(실시예 2)
a층(A층)의 비율, TD 연신 배율, 미연신의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와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했다. 기계 강도, 광학 특성, 내구성, 표시 특성은 양호했다.
(실시예 3)
a층(A층)의 비율, 연신 온도, MD 연신 배율, TD 연신 배율, 미연신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를,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했다. 기계 강도의 연속 반송성에 단속적으로 부분 파단이 생겼지만, 광학 특성, 내구성, 표시 특성은 양호했다.
(비교예 1)
연신 방법을 축차 2축 연신(종 연신 후에 횡 연신)으로 변경하고, MD 연신 배율, TD 연신 배율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했다. 기계 강도, 내구성은 양호하지만, 광학 특성, 표시 특성이 열화했다.
(비교예 2)
연신 방법을 종 1축 연신으로 변경하고, a층(A층)의 비율, MD 연신 배율, 미연신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했다. 기계 강도의 연속 반송성은 문제가 없지만 인열 강도가 열화했다. 또한, 광학 특성도 열화했다. 또한, 내구성이 불량 「NG」로 되었다. 표시 특성의 평가는, 내구성이 NG이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았다. 한편, 표 1 중, 「-」은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3)
연신 방법을 축차 2축 연신(횡 연신 후에 종 연신)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했다. 기계 강도의 연속 반송성에 단속적으로 주름이 발생했다. 이 때문에, 인열 강도, 내구성, 표시 특성의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표 1 중, 「-」은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4)
연신 방법을 횡 1축 연신으로 변경하고, a층(A층)의 비율, MD 연신 배율, TD 연신 배율, 미연신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했다. 기계 강도의 연속 반송성에 전면 파단이 빈발했다. 이 때문에, 인열 강도, 내구성, 표시 특성의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표 1 중, 「-」은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5)
표 1 중의 대응하는 항목에 「없음」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취 장력 제어, 및 열 고정 온도 제어를 실시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이 했다. 광학 특성(특히, 배향각 θ의 편차)이 열화하고 있음과 동시에, 표 1 중의 대응하는 항목에 「△」로 표시한 바와 같이, 표시 특성의 정면에서 관찰한 결과가 약간 열화 했다.
Figure 112014095480814-pct00001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을 포함하는 취지이다.
한편, 본 발명은, 2007년 1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305977호에 포함된 주제와 관련되고, 그 개시의 전부는 여기에 참조 사항으로서 명백히 편입된다.

Claims (12)

  1. 메타크릴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메타크릴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됨과 함께, 동시 2축 연신되어 이루어지는, 폭 1,000mm 초과의 장척 연신 필름으로서,
    상기 연신 필름에서 차지하는 A층의 비율이 45% 이하이고,
    적어도 1,000mm 초과의 폭 방향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한 배향각 θ의 평균값이 0°± 1°, 배향각 θ의 편차가 0.5° 이하이며,
    Nz 계수의 값이 -3.5 내지 -0.5의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층의 비율이 35% 이하인 연신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Nz 계수의 값의 편차가 0.2 이하인 연신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의 평균값이 80nm 이하인 연신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의 편차가 3nm 이하인 연신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층 및 상기 B2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내 방향의 리타데이션 Re가 0nm 이상 15nm 이하의 범위에 있는 연신 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1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A층의 평균 두께의 비(B1층/A층)가 2/1 내지 1/1이고, 상기 B2층의 평균 두께와 상기 A층의 평균 두께의 비(A층/B2층)가 1/1 내지 1/2인 연신 필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헤이즈가 1% 초과 5% 이하인 연신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연신 필름과 편광판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 광학 부품을 갖춘 인-플레인 스위칭(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10. 용융 공압출에 의해, 메타크릴 수지 1로 이루어지는 b1층과, 스타이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a층과, 메타크릴 수지 2로 이루어지는 b2층이, 이 순차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미연신 적층체 c를 얻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 c를 동시 2축 연신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연신 온도가 상기 스타이렌계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20℃ 미만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연신 배율이 폭 방향의 연신 배율의 1.0 내지 1.5배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07011495A 2007-11-27 2008-11-12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509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5977 2007-11-27
JP2007305977 2007-11-27
PCT/JP2008/070588 WO2009069469A1 (ja) 2007-11-27 2008-11-12 延伸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457A KR20100092457A (ko) 2010-08-20
KR101509276B1 true KR101509276B1 (ko) 2015-04-06

Family

ID=4067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495A KR101509276B1 (ko) 2007-11-27 2008-11-12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3075B2 (ko)
JP (1) JP5316421B2 (ko)
KR (1) KR101509276B1 (ko)
CN (1) CN101932446B (ko)
TW (1) TWI453238B (ko)
WO (1) WO2009069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4879A1 (en) * 2007-04-26 2010-06-03 Masanori Yoshihara Display screen protection film and polarization plate
JP5499983B2 (ja) * 2010-08-04 2014-05-2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延伸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I401479B (zh) * 2010-12-09 2013-07-11 Sumitomo Chemical Co 偏光性積層膜及偏光板之製造方法
JP6251959B2 (ja) * 2013-01-31 2017-12-2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35838B2 (ja) * 2014-07-08 2016-06-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
US20180017714A1 (en) * 2014-10-02 2018-01-18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laminate, optic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transparent protective film
WO2017145935A1 (ja) * 2016-02-22 2017-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6854819B2 (ja) * 2016-07-12 2021-04-07 デンカ株式会社 二軸延伸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品
JP6891902B2 (ja) * 2016-10-31 2021-06-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15610A1 (en) 2004-12-01 2006-06-01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fil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KR20060116835A (ko) * 2003-11-21 2006-11-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US20060257078A1 (en) 2004-08-05 2006-11-16 Nitto Denko Corporation Retardation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image display,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anel
US20070172606A1 (en) 2004-03-23 2007-07-26 Yamanaka Shunsuke Optical laminate,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civ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7265A (en) * 1967-12-29 1971-01-19 Dow Chemical Co Method of extruding laminates
US5828488A (en) * 1993-12-21 1998-10-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Reflective polarizer display
JP4586326B2 (ja) 2002-10-11 2010-11-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3666A (ja) 2003-01-30 2004-08-19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原反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7400371B2 (en) * 2004-02-03 2008-07-1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articular retardation plate
EP1782109A4 (en) * 2004-08-04 2009-04-08 Fujifilm Corp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ILM
US7595369B2 (en) * 2004-11-10 2009-09-29 Lg Chem, Ltd. Method of polymerizing cyclic olefins and vinyl olefins, copolymer produced by the method and optical anisotropic film comprising the same
JP4770176B2 (ja) * 2005-01-12 2011-09-14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多層フィルムからなる位相差フィルム
US7466377B2 (en) * 2005-08-26 2008-12-16 Konica Minolta Opto, Inc. Retarda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242294B1 (ko) * 2005-08-30 2013-03-13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07072201A (ja) * 2005-09-07 2007-03-22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スチレン系樹脂異方性フィルム
US20090286098A1 (en) * 2005-12-12 2009-11-19 Takatoshi Yajima Optical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ing Apparatus Employing the Optical Film
JP2007233198A (ja) * 2006-03-02 2007-09-13 Nippon Zeon Co Ltd 延伸フィルムおよび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264534A (ja) * 2006-03-30 2007-10-11 Nippon Zeon Co Ltd 液晶表示装置
US8043714B2 (en) * 2006-04-13 2011-10-25 Fujifilm Corporation Transparent thermoplastic film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8073890A (ja) * 2006-09-19 2008-04-03 Nippon Zeon Co Ltd 延伸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835A (ko) * 2003-11-21 2006-11-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장치
US20070172606A1 (en) 2004-03-23 2007-07-26 Yamanaka Shunsuke Optical laminate,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cive
US20060257078A1 (en) 2004-08-05 2006-11-16 Nitto Denko Corporation Retardation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ilm, image display,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anel
US20060115610A1 (en) 2004-12-01 2006-06-01 Konica Minolta Opto, Inc. Optical film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0793A1 (en) 2010-12-09
CN101932446B (zh) 2014-03-26
TWI453238B (zh) 2014-09-21
WO2009069469A1 (ja) 2009-06-04
TW200932802A (en) 2009-08-01
JPWO2009069469A1 (ja) 2011-04-14
KR20100092457A (ko) 2010-08-20
US8993075B2 (en) 2015-03-31
CN101932446A (zh) 2010-12-29
JP5316421B2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276B1 (ko) 연신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US7964254B2 (en) Optical laminate,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80793B1 (ko) 긴 위상차 필름
JP5585747B1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2117897A1 (ja) 複層フィルム及び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9462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7245551A (ja) 延伸積層フィルム
US8363183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7010368A1 (ja) 視野角拡大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433854B2 (ja) 視野角特性を向上させた光学積層体並びに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6131620B2 (ja)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積層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0266723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フィルム、円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2150462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69198B2 (ja) 光学積層体
JP4935873B2 (ja) 光学積層体、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4935878B2 (ja)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JP5935838B2 (ja) 光学積層体
JP6251959B2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098685A (ja) 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11725A (ja) 複層フィルム及び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