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258B1 -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258B1
KR101504258B1 KR1020130084706A KR20130084706A KR101504258B1 KR 101504258 B1 KR101504258 B1 KR 101504258B1 KR 1020130084706 A KR1020130084706 A KR 1020130084706A KR 20130084706 A KR20130084706 A KR 20130084706A KR 101504258 B1 KR101504258 B1 KR 10150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hollow
tube
main body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141A (ko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욱 filed Critical 김상욱
Priority to KR102013008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2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23C19/0684Soft uncured Italian cheeses, e.g. Mozarella, Ricotta, Pasta filata cheese; Other similar stretched chee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살 1 중량부 대비 치즈 0.1중량부와 카레 0.05중량부를 혼합한 상태에서 중공형 떡복기 장치를 이용하여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를 제조하되 냉각유닛 및 물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떡복기의 중공부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고 중공부가 찌그러지거나 붙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10)와; 상기 호퍼를 일측에 탑재하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호퍼를 통해 입력되는 떡복기 재료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유도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떡복기 내용물이 압출되면서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스크류(30)와; 상기 스크류를 통과한 떡복기 내용물이 뭉쳐지면서 이동하는 임시출력공(40)과; 상기 임시출력공(40)의 내측까지 삽입설치되며 임시 출력관을 통과하는 떡복기 재료의 내측에 공간부를 갖도록 유도하는 중공성형관(50)과; 상기 중공성형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중공형 공간부를 차갑게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단단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중공부 냉각장치(60)와; 상기 중공이 형성된 떡복기가 외부로 출력되는 마지막 관문으로서 본체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떡복기 토출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A Hollowness Sliced Rice Cake Manufacturing Unit}
본 발명은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살 1 중량부 대비 치즈 0.1중량부와 카레 0.05중량부를 혼합한 상태에서 중공형 떡복기 장치를 이용하여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를 제조하되 냉각유닛 및 물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떡복기의 중공부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하고 중공부가 찌그러지거나 붙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복기의 제조공정은 물에 불린 멥쌀에 소금, 설탕을 혼합하여 분쇄하고 이를 숙성시켜서 제병기에서 압출시키고 이를 5~10cm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떡복기용 떡을 성형하고 이를 양념 조미액에 조리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대중적인 기호식품으로 먹고 있는 떡복기 떡의 제조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모터(101)가 설치되고, 그 모터(101)의 상부에는 내부에 스크루(102)가 설치된 떡복기떡 성형몸체(103)가 설치되고, 그 떡복기 떡 성형몸체(103)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루(102)의 후방 끝단에는 휠(104)을 설치하여 모터(101)와 연결 설치함으로서 스크루(102)를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떡복기떡 성형몸체(103)의 선단에는 떡복기 떡을 생산하는 압축구인 노즐(105)이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 떡복기 떡이 압출 생산된다.
이와 같이 떡복기는 쌀의 가공식품으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있는 식품이다. 또한 떡복기는 조리와, 양념 조미액에 따라 영양과 풍미가 달라지게 된다.
떡복기에 사용되는 양념 원료는 대체적으로 고추장, 설탕, 간장, 마늘, 생강, 물엿, 후추가루, 고추가루, 다시다가 사용되고 기호에 따라 각종 한약제 추출물,과일즙, 양파즙 등 각종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떡복기의 떡은 멥쌀은 주재료로 하고 흑미, 참깨, 흑깨, 햄, 어묵, 생선살, 야채, 쑥 등 각종 야채를 혼합 또는 밀가루와 전분을 혼합하는 등을 원재료로 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숙성시켜서 제병기에서 압출로 제조하여 영양을 균형화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떡복기는 한 종류의 떡복기용 떡을 양념 조미액으로 혼합하여 조리하게 되므로 식미성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고, 영양원의 균형화는 한계성을 갖게 되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 식감을 다르게 하기 위해 중공형 떡복기가 제안되어 있으나, 상기 중공형 떡복기의 내측 공간부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모양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중공형을 만들기 위해 돌기부재를 떡재료가 통과하는바, 이때 돌기부재를 통과하면서 공간부가 만들어질때 떡의 높은 온도로 인하여 공간부가 찌그러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치즈 카레가 함유된 떡복기를 제공하여 맛과 영양이 극대화된 상태로 취식이 이루어지도록되 상기 떡복기를 중공형으로 제작하고, 아울러 떡복기의 내측에 나산형 홈을 형성하여 조리시간을 줄이면서도 외부 양념이 상기 중공부에 잘 배이도록하여 식감이 좋고 영양만점인 떡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복기에 중공형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냉각장치를 부가하여 중공형 공간부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카레 및 치즈가 포함된 떡복기 떡과;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레 및 치즈가 함유된 떡복기 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호퍼(10)와; 상기 호퍼를 일측에 탑재하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호퍼를 통해 입력되는 떡복기 재료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유도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떡복기 내용물이 압출되면서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스크류(30)와; 상기 스크류를 통과한 떡복기 내용물이 뭉쳐지면서 이동하는 임시출력공(40)과; 상기 임시출력공(40)의 내측까지 삽입설치되며 임시 출력관을 통과하는 떡복기 재료의 내측에 공간부를 갖도록 유도하는 중공성형관(50)과; 상기 중공성형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중공형 공간부를 차갑게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단단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중공부 냉각장치(60)와; 상기 중공이 형성된 떡복기가 외부로 출력되는 마지막 관문으로서 본체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떡복기 토출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떡복기 재료는, 떡살 대비 모짜렐라 치즈 0.1중량부, 카레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공성형관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중공형성관의 끝부분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서로 달라붙지 않토록하여 중공부가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중공부 물분사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중공부 냉각장치(60)는, 냉매순환관(61)과 냉매 압축기(62)와 응축기(63)와 모세관(6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순환관(61)이 중공성형관(50)의 내측 끝단부 보호관(65)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순환관(61)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며 코일 형태로 가공이 쉬운 동 또는 알루미늄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80)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동시에 내주연에 나선형 홈(81)이 형성되어 이루어고, 떡복기 토출부재(80)는 회전가능하게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는 모터(90)의 풀리(91)에 밸트(92)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즈 카레가 함유된 떡복기를 제공하여 맛과 영양이 극대화된 상태로 취식이 이루어지도록되 상기 떡복기를 중공형으로 제작하고, 아울러 떡복기의 내측에 나산형 홈을 형성하여 조리시간을 줄이면서도 외부 양념이 상기 중공부에 잘 배이도록하여 식감이 좋고 영양만점인 떡복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복기에 중공형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냉각장치를 부가하여 중공형 공간부가 계속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떡복기 떡을 생산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와 물분사장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와 물분사장치 동작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떡복기 외관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떡복기 떡을 생산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와 물분사장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장치와 물분사장치 동작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떡복기 외관도로서,
본 발명의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는 호퍼(10)와,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30)와, 임시출력공(40)과, 중공성형관(50)과, 중공부 냉각장치(60)와, 중공부 물분사장치(70)와, 임시출력공의 끝단에 형성된 떡복기 토출부재(8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0)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종 떡복기 재료가 탑재된 상태에서 떡복기 구성물 순차적으로 인입되는 지점이다.
상기 본체(20)는 호퍼를 일측에 탑재하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호퍼를 통해 입력되는 떡복기 재료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한다.
상기 스크류(30)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떡복기 내용물이 압출되면서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임시출력공(40)은 스크류를 통과한 떡복기 내용물이 뭉쳐지면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중공성형관(50)은 임시출력공(40)의 내측까지 삽입설치되며 임시 출력관을 통과하는 떡복기 재료의 내측에 공간부를 갖도록 유도한다.
상기 중공부 냉각장치(60)는 중공성형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중공형 공간부를 차갑게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단단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중공부 물분사장치(70)는 중공성형관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중공형성관의 끝부분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중공부가 서로 달라붙지 않토록하여 중공부가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80)는 중공이 형성된 떡복기가 외부로 출력되는 마지막 관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중공성형관(50)과 중공부 냉각장치(60) 및 중공부 물분사장치(7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중공성형관(50)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 형성관(50)의 내주연에 중공부 냉각장치(60)가 설치된다.
상기 중공부 냉각장치(60)는 냉매순환관(61)과 냉매 압축기(62)와 응축기(63)와 모세관(6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순환관(61)이 중공성형관(50)의 내측 끝단부 보호관(65)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냉매순환관(61)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며 코일 형태로 가공이 쉬운 재질의 금속, 예를 들어, 동 또는 알루미늄관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중공부 물분사장치(70)는 중공성형관(5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며, 외측에 냉매순환관(50)이 둘러쌓인 형태이다. 그리고 외부에 물펌프(71)와 연결하여 상기 물펌프(71)로부터 물이 분사되면 냉매순환관(61)에 의해서 냉각된 상태의 물이 토출관(72)을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중공부 냉각장치(60)의 보호관(65) 일단에는 토출홀(65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홀(65a)을 통해 물이 최종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순환관(61)의 상단은 냉매 압축기(62)와 연통되고 하단은 응축기(63) 및 모세관(64)과 연통되어 냉매가 순환하는 관으로서, 코일 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중공성형관(50) 내주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순환관(50)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가 증발되어 중공성형관(50)의 외주면을 냉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공성형관(50)에 접촉되는 떡복기(1)의 중심부가 급속히 냉각되어 중공성형관(50)의 하우징 형태와 비슷하게 원형홀 형태의 중공부(2)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부 물분사장치(70)의 외측을 냉매순환관이 감싸는 형상이므로 중공부 물분사장치(70)의 물이 차가운 상태로 출력되며, 상기 중공부 물분사장치(70)가 다시한번 작동되므로 중공부(2)에 차가운 물을 분사하게 되므로 떡복기떡(1)의 중공부(2)가 다시한번 그 모양을 유지하는데 큰 보탬이 된다.
즉, 종래의 중공형 떡복기는 뜨거운 떡복기떡이 유동하는 도중에 중공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중공부가 원형홀이 형성되지 못하고, 아울러 중공부가 상호 밀착되어 중공부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을 채택하게되면 중공부가 냉각되면서 동시에 차가운 물이 뿌려지기 때문에 중공부가 완벽하게 형성되면서 떡복기떡이 제조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떡복기 토출부재(80)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동시에 내주연에 나선형 홈(8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떡복기 토출부재(80)는 회전가능하게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는 모터(90)의 풀리(91)에 밸트(92)로 결합되어 있어서 적절하게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떡복기 토출부재(80)를 통과시에 떡의 중앙에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상기 떡복기(1)의 외측에 나선형의 홈(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측에 나산형 홈을 형성하게 되면 떡복기끼리 쉽게 떼어 놓을 수 있고, 떡복기 양념이 상기 나선형 홈 사이로 고르게 베일 수 있어서 다양한 요리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치즈는 크게 자연치즈와 가공치즈로 분류된다. 자연치즈는 우유를 유산균 및 렌넷 등으로 응고시켜 커드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훼이를 제거한 후, 우유 중에 포함된 케이신단백질, 유지방 및 미량성분 등을 회수하여 수일 내지 수년간 숙성시킨 식품이다. 숙성시키기 전에는 불용성이나,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단백질에 결합된 칼슘이 유리되어 수용성으로 전환되고, 이와 동시에 유산균이 생성한 분해효소, 렌넷, 우유자체의 효소 등에 의해 유단백질 및 유지방이 분해되어 치즈 특유의 맛, 향 및 조직이 형성된다. 자연치즈는 체다 치즈, 모짜렐라 치즈 등이 있다.
또한, 가공치즈는 자연치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20세기 초, 자연치즈를 고온 살균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유통기간을 늘리고자 하였으나, 고온살균시 자연치즈의 성분인 수분, 단백질 및 지방이 각각 분리되어 실패하였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불용성 칼슘카제네이트 형태의 유단백질에 인산염 등을 첨가하여 소디움 카제네이트(sodium casenate)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부분적으로 수용성이 되도록 가공할 수 있었고, 수용화의 정도를 조절하여 수분, 단백질, 지방 등이 균일하게 분포된 반고상 또는 고상의 가공치즈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레는 천연향신식물을 10종 이상 혼합하여 건조, 분말한 것이며 카레의 주원료는 소맥분, 전분, 식용유지, 카레분, 분유 등으로 원료 중의 소맥분 및 전분의 뭉치는 성질에 의하여 온수에 쉽게 녹지 않고 덩어리가 생기게 되며 커큐민에 의해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즉, 카레(Curry)가루는 원산지가 인도이고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혼합향신료이자 컬러푸드의 대표 주자로서 노란색의 특이하고 좋은 색감을 제공하며, 또한, 카레의 이러한 노란색은 강황이라는 성분으로 항암효과가 뛰어나고, 이와 더불어 카레가루는 염분은 적지만 짭짤한 맛이 나기 때문에 소금섭취가 제한되는 고혈압, 신장병 환자에게 좋은 천연 대체 조미료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치즈 카레를 떡살에 혼합하고 혼합된 재료를 이용하여 떡복기를 제조한다.
특히, 상기 떡복기를 중공형으로 제작하여 외부 양념과 잘 섞이도록 함과 동시에 떡복기 내부에 공간부를 갖도록 함으로서 식감이 용이해 지도록한다.
본 발명은 떡복기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1. 쌀을 분쇄기에 분쇄하여 분쇄된 쌀에 쌀 대비 0.01중량부의 소금물과 혼합하여 가열하며, 상기와 같은 가열작용에 의해서 떡살을 완성한다.
2. 떡살 1 중량부 대비 모짜렐라 치즈 0.1중량부, 카레 0.05중량부를 혼합한다.
3. 상기 혼합된 내용물을 떡복기떡 제조장치에 삽입하여 스크류로 압박하여 압출한다.
4. 중공성형관을 통과시키면서 중공형 떡복기를 제조하되, 중공부 냉각장치 및 중공부 물분사장치를 가동하여 중공형태가 유지되면서 떡복기떡이 제작되도록한다.
10: 호퍼
20: 본체
30: 스크류
40: 임시출력공
50: 중공성형관
60: 중공부 냉각장치
70: 중공부 물분사장치
80: 떡복기 토출부재

Claims (5)

  1. 카레 및 치즈가 포함된 떡복기 떡과;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카레 및 치즈가 함유된 떡복기 재료를 인입시키기 위한 호퍼(10)와;
    상기 호퍼를 일측에 탑재하며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호퍼를 통해 입력되는 떡복기 재료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유도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를 통과하는 떡복기 내용물이 압출되면서 일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스크류(30)와;
    상기 스크류를 통과한 떡복기 내용물이 뭉쳐지면서 이동하는 임시출력공(40)과;
    상기 임시출력공(40)의 내측까지 삽입설치되며 임시 출력관을 통과하는 떡복기 재료의 내측에 공간부를 갖도록 유도하는 중공성형관(50)과;
    상기 중공성형관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중공형 공간부를 차갑게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단단하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중공부 냉각장치(60)와;
    상기 중공이 형성된 떡복기가 외부로 출력되는 마지막 관문으로서 본체의 출력측에 설치되는 떡복기 토출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떡복기 재료는,
    떡살 1 중량부 대비 모짜렐라 치즈 0.1중량부, 카레 0.0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성형관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중공형성관의 끝부분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떡복기의 중공부가 서로 달라붙지 않토록하여 중공부가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중공부 물분사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 냉각장치(60)는,
    냉매순환관(61)과 냉매 압축기(62)와 응축기(63)와 모세관(6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매순환관(61)이 중공성형관(50)의 내측 끝단부 보호관(65)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냉매순환관(61)은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며 코일 형태로 가공이 쉬운 동 또는 알루미늄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80)는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동시에 내주연에 나선형 홈(81)이 형성되어 이루어고, 떡복기 토출부재(80)는 회전가능하게 본체와 결합되며, 상기 떡복기 토출부재는 모터(90)의 풀리(91)에 밸트(92)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KR1020130084706A 2013-07-18 2013-07-18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KR10150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06A KR101504258B1 (ko) 2013-07-18 2013-07-18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06A KR101504258B1 (ko) 2013-07-18 2013-07-18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141A KR20150010141A (ko) 2015-01-28
KR101504258B1 true KR101504258B1 (ko) 2015-03-19

Family

ID=5248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706A KR101504258B1 (ko) 2013-07-18 2013-07-18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2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3735B (zh) * 2017-09-06 2022-10-04 安井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造型花纹的调制食品的制作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17A (ko) * 2001-03-09 2002-09-14 오원 속 빈 가래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377324B1 (ko) 2000-06-10 2003-03-26 이재언 이중 동심스크루를 갖는 압출기
KR100923120B1 (ko)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24B1 (ko) 2000-06-10 2003-03-26 이재언 이중 동심스크루를 갖는 압출기
KR20020072117A (ko) * 2001-03-09 2002-09-14 오원 속 빈 가래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923120B1 (ko)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141A (ko)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0345A (zh) 一种薄荷腐乳银鱼酱及其制备方法
CN109875024A (zh) 一种水果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1926443B (zh) 以豌豆为原料加工多味青豆的方法
CN104207100A (zh) 番茄拌面酱及其制备方法
CN105767905A (zh) 一种抗老化素肉及其制备方法
JP2013252061A (ja) 肉粒及び/又は肉粉を含む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4322B1 (ko) 칠리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921331B1 (ko)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101504258B1 (ko) 치즈 카레를 주재료로 채택한 중공형 떡복기 제조장치
CN104939117A (zh) 一种杜仲百合鸭肉及其制备方法
CN104872713A (zh) 一种石斛葛根鸭肫及其制备方法
CN104770752A (zh) 一种咖啡鸭肉及其制备方法
CN105707710A (zh) 一种果蔬素肉及其制作方法
KR100769476B1 (ko) 기능성 라면의 제조방법 및 그 라면.
KR101263200B1 (ko) 흑마늘 밥 제조방법 및 흑마늘 밥
KR101907256B1 (ko) 강황 솥밥용 추어탕의 제조방법
KR102082642B1 (ko) 브로콜리 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브로콜리 만두
KR101742139B1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CN105962081A (zh) 一种蟹黄味膨化薄脆片及其制备方法
KR20180119817A (ko)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CN108095037A (zh) 一种菌菇调味酱及其制备方法
CN106262597A (zh) 一种鳜鱼调味卤汁及其制作方法
CN105707836A (zh) 一种用于凉拌菜的酱油及其制备工艺
KR20110002309A (ko)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CN104814469A (zh) 一种茭白鱼糕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