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817A -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9817A KR20180119817A KR1020170053433A KR20170053433A KR20180119817A KR 20180119817 A KR20180119817 A KR 20180119817A KR 1020170053433 A KR1020170053433 A KR 1020170053433A KR 20170053433 A KR20170053433 A KR 20170053433A KR 20180119817 A KR20180119817 A KR 201801198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icken
- corn
- source
- meat
- rib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9
- 241000482268 Zea mays subsp. mays Species 0.000 title 1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claims description 8
- LPUQAYUQRXPFSQ-DFWYDOINSA-M mono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O-]C(=O)[C@@H](N)CCC(O)=O LPUQAYUQRXPFSQ-DFWYDOINSA-M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40073490 sodium glutam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1438 cur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02431 forag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992 s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316 Panax pseudo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41 brain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7 lea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22 meat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23L13/55—Treatment of original pieces or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1—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amino acids, nucleotides, peptides o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속을 제거한 옥수수을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갈은 상태로 간장, 고추장등의 각종 양념과 배합한 조성물을 닭갈비에 사용되는 계육과 혼합한 상태로 2차에 걸친 숙성과정을 통해 닭고기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의 부드러움과 감칠맛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칼로리와 지방이 낮으며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 유익한 영양소들이 풍부한 옥수수으로 인해 소화촉진 및 면역력의 강화의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한편, 옥수수의 고유의 향과 풍미가 닭갈비에 어우러지도록 하여 차별화된 식감이 형성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속을 제거한 옥수수을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갈은 상태로 간장, 고추장등의 각종 양념과 배합한 조성물을 닭갈비에 사용되는 계육과 혼합한 상태로 2차에 걸친 숙성과정을 통해 닭고기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의 부드러움과 감칠맛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칼로리와 지방이 낮으며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 유익한 영양소들이 풍부한 옥수수으로 인해 소화촉진 및 면역력의 강화의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한편, 옥수수의 고유의 향과 풍미가 닭갈비에 어우러지도록 하여 차별화된 식감이 형성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을 제거한 옥수수을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갈은 상태로 간장, 고추장 등의 각종 양념과 배합한 조성물 을 닭갈비에 사용되는 계육과 혼합한 상태로 2차에 걸친 숙성과정을 통해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의 부드러움과 감칠맛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칼로리와 지방이 낮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 유익한 영양소들이 풍부한 옥수수으로 인해 소화촉진 및 면역력의 강화의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한편, 옥수수의
고유의 향과 풍미가 닭갈비에 어우러지도록 하여 차별화된 식감이 형성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갈비 요리는 육계를 뼈, 살코기, 껍질 등을 남기고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한 후 각종 야채 및 양념과 함께 조리판 위에서 조리하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특히, 조리 시에 계육에서 남는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계육의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양념의 향을 강하게 하여 계육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54514호에는 더덕과 인삼을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에 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향이 강한 양념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계육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불필요한 진한 향으로 인해 닭갈비 요리의 맛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로인한 소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닭갈비 소스로는 고추장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국식 전통 양념으로 만든 육가공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고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변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장에서의 제품군에서 그쳐서는 안되며, 안정성과 편의성이 확보된 새롭고도 다양한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닭갈비 소스의 주재료인 고추장은 강한 매운맛, 짠맛, 특유의 발효취, 거친 물성 등의 특성을 안고 있어 각종 요리에 바로 적용할 경우 서양의 소스류에 비해 기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속을 제거한 옥수수을 믹서기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갈은 상태로 간장, 고추장 등의 각종 양념과 배합한 조성물을 닭갈비에 사용되는 계육과 혼합한 상태로 2차에 걸친 숙성과정을 통해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의 부드러움과 감칠맛을 제공하도록 함은 물론, 칼로리와 지방이 낮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 유익한 영양소들이 풍부한 옥수수으로 인해 소화촉진 및 면역력의 강화의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는 한편, 옥수수의 고유의 향과 풍미가 닭갈비에 어우러지도록 하여 차별화된 식감이 형성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속을 제거한 후 갈은 옥수수 1300g, 간장 1700g, 고추장 5000g, 고추가루 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 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 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 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닭갈비용 소스를 이용한 닭갈비의 제조방법은 속을 제거한 후 갈은 옥수수 1300g, 간장1700g, 고추장 5000g, 고추가루 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를 혼합하여 닭갈비용 소스를 만드는 소스준비단계(S100); 상기 소스준비단계(S100)에서 혼합된 닭갈비용 소스를 실온에서 3 내지 5시간동안 숙성하는 1차숙성단계(S200); 상기 1차숙성단계(S200)에서 숙성된 닭갈비용 소스를 3 내지 5℃의 온도로 70 내지 75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2차숙성단계 (S300); 상기 숙성된 닭갈비용 소스를 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하여 닭갈비를제조하는 혼합단계(S400);로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혼합단계(S400)는 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는 [0012] 첨가단계(S5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옥수수을 이용하여 닭고기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의 부드러움과 감칠맛을 제공하도 록 함은 물론, 칼로리와 지방이 낮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등 유익한 영양소들이 풍부한 옥수수으로 인해 소화촉진 및 면역력의 강화 등의 유용한 건강식품을 제공하고, 옥수수의 고유의 향과 풍미가 닭갈비에 어우러지도록 하여 차별화된 식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차숙성 및 2차 저온숙성과정을 통해 닭갈비에 소스가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고른 맛을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옥수수의 유익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하는 한편, 닭갈비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쉽게 탄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본 발명은 속을 제거한 후 갈 은 옥수수 1300g, 간장 1700g, 고추장 5000g, 고추 가루 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 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로 구성된 재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옥수수은 텁텁한 맛을 최소화하기 위해 500 내지 800g 정도의 옥수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비자의 식감 을 고려하여 속을 제거한 상태로 믹서기나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 된 상태(걸죽 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러한 옥수수은 탄수화물, 식이 섬유질, 각종 비타민 및 미네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소화기능 및 두뇌발달 에효과가 있고, 식욕을 증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술은 소주, 정종, 맥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정종이나 맥주보다 소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형성된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 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어형성된다.
즉, 대부분의 음식에 첨가되는 글루탐산나트륨(MSG)으로 인해 길들여진 현대인들의 기호에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 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계육 40kg 내지 45kg는 통상적으로 1일 판매량인 약 100~150인분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주말 또는 공휴일과 같은 날에는 계육의 증가에 비례하여 소스의 재료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육은 닭의 부위 중 다리부분을 사용하는 것으로, 세척된 상태에서 냉장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닭갈비용 소스를 이용한 닭갈비의 제조방법은 소스준비단계(S100), 1차숙성단계(S200), 2차숙성단계(S300), 혼합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소스준비단계(S100)는 속을 제거한 후 갈은 옥수수 1300g, 간장 1700g, 고추장 5000g, 고추가루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 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를 혼합하여 닭갈비용 소스를 만드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옥수수은 텁텁한 맛을 최소화하기 위해 500 내지 800g 정도의 [0029] 옥수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비자의 식감 을 고려하여 속을 제거한 상태로 믹서기나 또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쇄된 상태(걸죽 한 상태)로사용하고, 상기 술은 소주, 정종, 맥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1차숙성단계(S200)는 상기 소스준비단계(S100)에서 혼합된 닭갈비용 소스를 실온에서 3 내지 5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닭갈비용 소스는 직사광선이 없는 그늘진 곳에서 숙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15~18℃ 정도의 실온에서 숙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2차숙성단계(S300)는 1차숙성단계(S200)에서 숙성된 닭갈비용 소스를 3 내지 5℃의 온도로 70내지 75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2차숙성단계(S300)는 냉장시설을 이용하여 저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옥수수의 유익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옥수수의 향과 감칠맛이 돋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1차숙성 및 2차숙성과정을 통해 형성된 닭갈비용 소소는 닭갈비를 조리하기 바로 전에 닭갈비와 혼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조리 시 닭갈비에 소스가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고른 맛을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옥수수의 유익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유지하는 한편, 닭갈비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쉽게 탄산화되
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단계(S400)는 상기 닭갈비용 소스를 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하는 단계이다.
즉, 통상 1일 판매량인 100~150인분에 해당하는 계육 40kg 내지 45k과 상기 닭갈비용 소스를 혼합하는 단계로써, 상기 계육은 소스의 균일한 흡수를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칼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계육은 닭의 부위 중 다리부분을 사용하는 것으로, 세척된 상태에서 냉장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혼합단계(S400)는 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는 첨가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첨가단계(S500)는 대부분의 음식에 첨가되는 글루탐산나트륨(MSG)으로 인해 길들여진 현대인들의 기호에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100 ... 소스준비단계 S200 ... 1차숙성단계
S300 ... 2차숙성단계 S400 ... 혼합단계
S500 ... 첨가단계
S300 ... 2차숙성단계 S400 ... 혼합단계
S500 ... 첨가단계
Claims (5)
- 속을 제거한 후 갈은 옥수수 1300g, 간장 1700g, 고추장 5000g, 고추가루 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 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는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 속을 제거한 후 갈은 옥수수 1300g, 간장 1700g, 고추장 5000g, 고추가루 2000g, 물엿 2100g, 설탕 1100g, 카레 550g, 생강 180g, 후추 180g, 다진 양파 6000g, 다진 마늘 4000g, 술 800㎖를 혼합하여 닭갈비용 소스를 만드는 소스준비단계(S100);상기 소스준비단계(S100)에서 혼합된 닭갈비용 소스를 실온에서 3 내지 5시간동안 숙성하는 1차숙성단계(S200); 상기1차숙성단계(S200)에서 숙성된 닭갈비용 소스를 3 내지 5℃의 온도로 70 내지 75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차숙성단계(S300);상기 숙성된 닭갈비용 소스를 40kg 내지 45kg의 계육과 혼합하여 닭갈비를 제조하는혼합단계(S400);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갈비용 소스를 이용한 닭갈비의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S400)는 글루탐산나트륨(MSG) 120g이 더 혼합되는 첨가단계(S5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갈비용 소스를 이용한 닭갈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3433A KR20180119817A (ko) | 2017-04-26 | 2017-04-26 |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3433A KR20180119817A (ko) | 2017-04-26 | 2017-04-26 |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9817A true KR20180119817A (ko) | 2018-11-05 |
Family
ID=6432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3433A Withdrawn KR20180119817A (ko) | 2017-04-26 | 2017-04-26 |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981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1844B1 (ko) | 2020-10-29 | 2021-03-25 | 주식회사 광덕식품 | 닭갈비 가공소스 제조방법 |
KR102503979B1 (ko) | 2022-05-13 | 2023-02-28 | 최문성 |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102775740B1 (ko) * | 2024-11-07 | 2025-02-28 | 민무홍 | 닭강정용 소스 제조방법 |
-
2017
- 2017-04-26 KR KR1020170053433A patent/KR2018011981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1844B1 (ko) | 2020-10-29 | 2021-03-25 | 주식회사 광덕식품 | 닭갈비 가공소스 제조방법 |
KR102503979B1 (ko) | 2022-05-13 | 2023-02-28 | 최문성 |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102775740B1 (ko) * | 2024-11-07 | 2025-02-28 | 민무홍 | 닭강정용 소스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661463B (zh) | 一种番茄牛腩复合调味料的制备方法 | |
KR101661715B1 (ko) | 부대찌개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2597381B1 (ko) | 약재를 포함하는 닭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1843030B1 (ko) | 닭갈비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1921331B1 (ko) |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 |
KR20180119817A (ko) | 옥수수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
US20210219582A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kim-chi flavoring seasoning mix | |
KR20180104884A (ko) | 조리용 혼합양념 및 혼합양념 제조방법 | |
KR101919694B1 (ko) | 숯불향이 가미된 데리야끼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91368A (ko) | 닭갈비 카레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카레 소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카레 닭갈비 | |
Göğüş et al. |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some turkish traditional foods | |
KR20180119818A (ko) | 귤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 |
KR101168351B1 (ko) | 메기 고추장, 및 그 메기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 |
KR101669869B1 (ko) | 보리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2139B1 (ko) |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 |
KR101672275B1 (ko) | 단호박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로 만들어진 닭갈비 제조방법 | |
JP3233888B2 (ja) | 調理食品 | |
KR20180037761A (ko) | 소불고기용 양념의 제조방법 | |
KR101848805B1 (ko) |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꿩장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91756B1 (ko) | 마늘과 멸치액젓을 이용한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448607B1 (ko) | 육류용 고추장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5231396A (zh) | 果蔬味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 |
KR20090040101A (ko) | 비빔밥용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20090097653A (ko) | 굴소스를 함유하는 냉면육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면 | |
KR20210054402A (ko) | 노지초벌부추 건조분말이 함유된 부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부추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