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693B1 -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 Google Patents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693B1
KR101502693B1 KR1020130090591A KR20130090591A KR101502693B1 KR 101502693 B1 KR101502693 B1 KR 101502693B1 KR 1020130090591 A KR1020130090591 A KR 1020130090591A KR 20130090591 A KR20130090591 A KR 20130090591A KR 101502693 B1 KR101502693 B1 KR 10150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wall
brake
brake panel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597A (ko
Inventor
석선열
Original Assignee
석선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선열 filed Critical 석선열
Priority to KR102013009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693B1/ko
Priority to JP2016531530A priority patent/JP2016530153A/ja
Priority to PCT/KR2014/007048 priority patent/WO2015016635A2/ko
Publication of KR2015001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0Slowing-down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oy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외벽에서 수직홈을 통하여 브레이크판넬이 돌출하여 브레이크판넬이 해수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급속 정지 기능을 수행하는 브레이크수단(10); 선박의 외벽에 형성한 공간에 공기주머니 입구를 고정시키고 별도의 급속 공기주입 펌프와 밸브 통로가 입구와 통하도록 연결하여 평소에는 에어백처럼 공간 내에 있다가 선박의 위급시 작동하는 센서에 의하여 급속팽창하여 외벽으로 노출되는 에어주머니부(20); 선박의 외벽의 해수면 대응부위에 평소에는 외벽에 붙어있다가 초고속 주행시 바닷물과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선박을 부양시키도록 수면에 펼쳐지는 날개부(30); 선박의 갑판에 좌우로 균형있게 배열하여 선박에 초고속 추진력을 제공하는 수개의 제트엔진부(40); 선박의 바닥에 부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닿아서 자력으로 선박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구동수단(50); 및
브레이크판넬(125)의 외벽(CU)으로 노출되는 경사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 각도가 조절되는 조절수단을 가지는 감속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이다.

Description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Safety ship with multi functions of high speed and sinking prevention and self moving}
본 발명은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공기부양선은 국내공개특허10-2001-0108947호가 알려져 있으나, 공기로 부양하면서 풍력을 이용하여 전후 이동하는 것으로, 해저 탐사 가능은 구현이 어렵다. 또한, 수륙양용차량이 국내공개특허10-2010-0133520호로 알려졌으나 이는 수상과 육상에서 겸하여 주행 가능한 기술분야에 한정된다. 또한, 수중탐사선 관련한 기술이 국내공개특허 10-2006-0101933호로 알려졌으나, 수중에서 이동하는 무인탐사 개념의 탐사선으로 다목적 용도로 사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 인간의 삶에 궁극적인 목표는 건강하고 행복하게 장수하는 것이라고 모든 이가 소망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고 체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림픽 정신에서도 인류평화와 공동번영, 나아가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라고 표명하였듯이 우리들의 삶에 있어서도 이를 벗어날 수가 없다 할 것이다. 그 옛날 과거 농경사회에서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교통수단의 하나인 완행열차가 고속열차인 새마을호에서 이미 초고속 열차(KTX)로 탈바꿈하여 자리매김한 것과 같이 더 넓은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들도 보다 빨리 질주하기 위하여 각 나라마다 선박을 건조하는 제작회사마다 속도경쟁인 치열한 현실 앞에서 저마다 핵심인 기관(엔진)의 출력을 더 높이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제아무리 기관의 출력을 높인다 하여도 에너지(연료)소비만 가중될 뿐 그 과감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기대되는 효과는 미미한 것이고 이미 한계점에 도달한 지 오래되었으며, 선박이 바닷물을 안고 가는 저항력 때문에 불가피한 현실 앞에서 고비용 저효율의 결과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저항력을 최대한 줄여주는 길밖에 없다 할 것이다. 하늘에서 독수리가 날개가 없으면 날 수가 없듯이 열차가 초고속화 되었듯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목표달성을 위하여 체질(선체를)을 개선하도록, 선박도 날개를 달아주는 방식을 채택하여 선박이 안고 갈 수밖에 없는 저항력을 최대한 줄여줌으로써 나는 효과가 파격적이고 초고속 질주가 가능토록 하려는 것이다. 그 결과 지구촌 전체가 고유가 시대에 직면해 있고 여타 모든 일들이 속도 경쟁의 난세에,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시간 단축과 물류비용을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그 기대효과는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즉 기존의 형태(구조)를 변경하거나 더하여줌으로써 정반대로 저비용 고효율의 최고의 효과가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이 초고속 운항중에 어떠한 돌발 상황에 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에 사용 가능한 제동장치를 부가하려는 것이다. 즉 기존의 선박들에서는 운항중에 속도를 줄이고자할 때에 정박에 앞서서 닻을 내려 바다 밑바닥을 훑으며 겸하여 엔진을 가동하여 스크류를 역회전하여서 속도를 줄이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바다 밑바닥의 생명체 파손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손과, 엔진의 역회전 가동으로 지속적인 에너지 소비를 초래하던 점을 해소하고자, 닻을 사용하지 않고 날개를 이용한 브레이크 방식으로 바다 밑바닥의 보호와 엔진가동의 중단으로 에너지 절감과 함께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모든 여타 선박들이 커다란 강이나 바다에서 운항할 때 일기가 좋지 못하여 태풍이나 해일 등 사고를 당할 수밖에 없는 피할 수 없는 재난으로 선박들이 침몰하는 경우 하나밖에 없는 고귀한 생명을 잃게 되고 막대한 재산피해가 속출하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바람에 의하여 발생되는 모든 피해를 바람의 특성을 활용하여 막아보자는 것이다. 즉 여타한 물체 들은 물속에 가라앉지만 바람(공기)은 그 어떤 악천후 속에서도 절대로 물속에 가라앉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적정한 풍선을 선체의 앞뒤 좌우에 균형을 이루도록 장착하여 유사시 바람을 주입하여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자동차사고시 에어백이 작동하여 인명을 보호하듯이 선박의 침몰사고를 방지토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으로 모든 선박들이 물 위를 떠다니도록 작동하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육지나 강바닥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선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속담에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처럼 배가 선박 본연의 고정관념을 벗어나 돌발적인 변신을 시도하고 우리 인간의 삶은 끊임없는 변화를 갈구하듯이 선박도 현시대와 미래에 사랑받기 위하여 변화되어 새로운 기능을 구현토록 하고, 이를 위한 방편으로 세계각국에서 강을 정비하여 운하화하고 관광 유람선 등을 띄워 관광 산업을 활성화시키고 있으나, 저마다 강들은 지형의 특성상 담수면의 높이가 평탄치 않으며 높낮이가 다른 강물을 운항할 때 갑문을 설치하여 수위를 조절하여 운항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도 4대 강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에 적응하여 사용 가능토록 갑문 설치 대신 경사도로 기반시설을 강구하여 선박이 자동차처럼 자기 스스로 이곳을 이동토록 구성함으로써, 세상의 만사가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듯이 부존 자원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로서는 이와 같이 하여 참으로 특별한 스릴 만점인 세계적인 관광 사업을 주도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선박의 외벽에서 수직홈을 통하여 브레이크판넬이 돌출하여 브레이크판넬이 해수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급속 정지 기능을 수행하는 브레이크수단;
선박의 외벽에 형성한 공간에 공기주머니 입구를 고정시키고 별도의 급속 공기주입 펌프와 밸브 통로가 입구와 통하도록 연결하여 평소에는 에어백처럼 공간 내에 있다가 선박의 위급시 작동하는 센서에 의하여 급속팽창하여 외벽으로 노출되는 에어주머니부;
선박의 외벽의 해수면 대응부위에 평소에는 외벽에 붙어있다가 초고속 주행시 바닷물과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선박을 부양시키도록 수면에 펼쳐지는 날개부;
선박의 갑판에 좌우로 균형있게 배열하여 선박에 초고속 추진력을 제공하는 수개의 제트엔진부;
선박의 바닥에 부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닿아서 자력으로 선박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구동수단; 및
브레이크판넬의 외벽으로 노출되는 경사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 각도가 조절되는 조절수단을 가지는 감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박도 날개를 달아주는 방식을 채택하여 선박이 안고 갈 수밖에 없는 저항력을 최대한 줄여줌으로써 나는 효과가 파격적이고 초고속 질주가 가능토록 하여 지구촌 전체가 고유가 시대에 직면해 있고 여타 모든 일들이 속도 경쟁의 난세에,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시간 단축과 물류비용을 파격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이 초고속 운항중에 어떠한 돌발 상황에 속도를 줄이고자 할 때에 사용 가능한 제동장치를 부가하여 닻을 사용하지 않고 날개를 이용한 브레이크 방식으로 바다 밑바닥의 보호와 엔진가동의 중단으로 에너지 절감과 함께 경제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모든 여타 선박들이 커다란 강이나 바다에서 운항할 때 일기가 좋지 못하여 태풍이나 해일 등 사고를 당할 수밖에 없는 피할 수 없는 재난으로 선박들이 침몰하는 경우와 같이 바람에 의하여 발생되는 모든 피해를 바람의 특성을 활용하여 방지하고자 적정한 풍선을 선체의 앞뒤 좌우에 균형을 이루도록 장착하여 유사시 바람을 주입하여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자동차사고시 에어백이 작동하여 인명을 보호하듯이 선박의 침몰사고를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모든 선박들이 물 위를 떠다니도록 작동하는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육지나 강바닥에서도 이동이 가능토록 육지나 강에 갑문 설치 대신 경사도로 기반시설을 강구하여 선박이 자동차처럼 자기 스스로 이곳을 이동토록 구성함으로써, 부존 자원이 별로 없는 우리나라에 강이나 육지나 함께 이동 가능한 스릴 만점인 세계적인 관광 사업을 주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갑판에 설치하는 제트엔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날개부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에서 표방한 에어주머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구성을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1에서 표방하였던 구동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감속수단의 일부절결 사시도 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선박과는 차별화시킨 전체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로, 해법이 용이하게 각각의 발명 기술들을 총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각 기호들을 설명한다.
1. 각 기호 중 (HD)는 선박의 엔진(기관)에서 연소된 개스가 분출되는 연돌관(굴뚝)이라 할 수 있다.
2. (Z,Z',Z1, Z1', Z2, Z2', Z3, Z3')는 제트엔진으로, 이들을 총괄하여 제트엔진부(40)로 표기한다. 이는 선체의 상단(갑판) 좌우에 균형있게 장착하며 선체의 크기에 따라 그 수를 증감하며, 또한 그 기능은 흡인력과 추진력이 월등히 뛰어난 제트엔진을 사용하여 선체가 보다 빠르고 힘차게 전진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3. (S, S1, S2, S3)는 선박의 외벽(CU)에 부가하는 날개로, 이들을 총괄하여 날개부(30)로 표기한다. 이는 선체의 좌우 외벽에 균형있게 장착하고, 크기와 갯수는 선체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며 선체의 부양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견고성을 유지한다.
4. (B, B1, B2)는 선박의 외벽(CU) 아랫부분에 설치하는 감속부로, 이들을 총괄하여 감속수단(10)으로 표기한다.
5. (A, A1, A2)는 에어주머니로, 이들을 총괄하여 에어주머니부(20)로 표기한다. 이는 선체의 좌우 상단부에 즉, 선박이 통상의 운항시에 바닷물의 잠수 부위에 내장 장착하여 풍랑시에 바람을 가득 내재하여 보다 안전하고 자유로운 피난처를 구사할 수 있을 것임이 확실시되고 있으며, 그 크기와 갯수는 선체의 크기에 따라서 가감할 수 있다.
6. (WD, WD1, WD2)는 구동바퀴부로, 이들을 총괄하여 구동수단(50)으로 표기한다. 이는 선박의 고정관념을 깨고 엉뚱함의 발상이며 미래의 세상에서 사랑받기 위해 끊임없는 변신이 필요할 것임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동차와 같은 구동력을 구축하고 거대하고 막중한 선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견고하면서 구동력이 우수한 전륜구동방식을 구사하며, 선체의 밑바닥 해수면에 내장 장착하여 선체가 균형이 잡힐 수 있도록 좌우와 전후에 선체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개소 조를 이루어 장착하고 선박이 운항시 장해가 되지 않도록 항공기처럼 또는 거북이나 자라처럼 목이나 다리를 감추듯이 운항시에는 구동바퀴를 내장 상태로 감춘다.
7. 도 1 에는 이해력을 돕기 위하여 선체의 선체수(머리), 해수면(W), 선체의 선체미(후방)를 나타내었으며, (R)은 선박이 운항 중에 방향을 전환할 때에 작동하는 방향키이다.
8. 도 1에서 (P)는 선체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 전담하는 스크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도 1에서 제트엔진부(40)를 이루는 제트엔진(Z,Z',Z1, Z1', Z2, Z2', Z3, Z3') 중의 하나를 예시한 도면으로, (ZM)은 제트엔진과 같은 강력한 흡입력과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엔진하우징이며, (ZH)는 엔진하우징(ZM)을 갑판(CT) 위에서 지지하는 받침기둥, (CO)는 받침기둥(ZH)을 갑판(CT)에 결합시키는 고정볼트이다.
도 3은 날개부(30)를 이루는 날개(S, S1, S2, S3) 중의 하나를 예시한 도면으로, 스키이 날 같은 날개판(SJ)을 선체 외벽(CU)에 설치한 도면으로, 바닷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키날 처럼 날렵하고 견고하게 장착하여 선박이 부두와 연근해를 벗어나서 초고속 질주를 위하여 날개를 펼치므로 선체가 최대한으로 높이 부양하여 바닷물과의 저항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날으는 효과가 충만할 것임을 확신한다. 또한, 거대한 항공기가 수많은 사람과 더 없는 화물을 싣고서 육중한 몸매와 무게로써 하늘을 날아올라 비행을 하듯이 선체의 크기와 중량감이 한이 없다 할지라도 바닷물 위에 떠 있음에 그 막중한 중량감을 견제할 만큼 이상의 견고하게 선체의 크기에 비례하여 균형적으로 조화롭게 여러 기를 장착한다면 제아무리 거대한 선박일지라도 충분하게 날아올라 초고속 질주의 꿈을 기필코 성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 해수면(W)보다 아래로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부호를 설명한다.
1. (CU)는 선체의 벽면에 내실을 이루는 외벽으로, 선박이 연근해 또는 항구를 드나들 때에 여타한 주변환경에 영향을 초래하지 않으며 자기 보호를 위해서 방을 내재함을 도시한다.
2. (DOR)은 날개판(SJ)이 필요에 따라 나가거나 들어올 때 보호하는 문으로 선체의 상하로 작동된다. 상하로 작동하는 원리는 셔터가 상하로 열리는 방식을 예시할 수 있으며,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설치하면 더욱 좋다.
3. (CIUM)은 메인유압실린더로, 선체의 외벽(CU)에 내장되어서 날개(S)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날개(S)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를 2-5단 형태로 장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4. (CIUS)는 보조 유압실린더로, 메인유압실린더(CIUM)와 같은 공간에 장착되어 날개(S)가 해수면에 자장 넓은 면적 즉 수평면으로 맞닿을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보조 지지 기능을 수행한다.
5. (SJ)는 날개판으로, 바닷물로부터 저항력을 최소화하여 선박이 초고속 질주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으로, 제트스키 날개의 몸체를 이룬다.
6. (SJ1)는 날개판(SJ)의 머리부분이며,
7. (SJ2)는 날개판(SJ)의 꼬리 부분이며,
8. (SJG)는 보조지지대로, 날개판(SJ)에 막중한 부력의 하중으로부터 견질 수 있도록 리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9. (DM)은 고정강판으로, 날개판(SJ)과 보조지지대(SJG)를 동시에 고정시키며 유니버설조인트(QR)를 상면에 설치한다.
10. (DMO)는 고정강판(DM)을 고정하는 고정볼트이다.
11. (QR)은 날개판(SJ)이 내려 펼쳐지거나 올려 접힐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사람의 손목이나 발목처럼 움직임을 주어 메인유압실린더(CIUM)의 실린더로드(CR)의 외단부가 원만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고 링크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이다.
12. (QR')는 날개판(SJ)이 내려 펼쳐지거나 올려 접힐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사람의 손목이나 발목처럼 움직임을 주어 보조 유압실린더(CIUS)의 실린더로드(CR)의 외단부가 원만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동성을 가지고 링크시키는 유니버설 조인트이다.
13. (WMO)는 수중모터로, 날개판(SJ)이 작동 후 올려 접고 보호용 문(DOR)을 닫았을 때 외벽(CU) 내의 공간의 가장 낮은 곳에 장착하여 외벽(CU) 내의 공간에 가득차 있는 물을 뿜어내도록 기능 한다.
14. (WO)는 일방향출구로, 외벽(CU) 내부 공간에 해수면(W)보다는 높은 곳에 위치하며 선박이 운항중에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일방향밸브가 장착되어 날개판(SJ) 수용실의 물배출구 이다.
도 4는 도 1에서 에어주머니(A, A1, A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주머니부(20)중의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구체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이며, 여타 선박들이 운항중에 거센 풍랑이나 폭풍우 등으로 침몰사고를 당하는 일들이 다반사인데, 이들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비책을 일목요연하게 피력하고 장착의 위치는 탐사선의 일반적인 수상운항시에 해수면이 다 닿는 높이의 부위에 장착하며 그 수와 크기는 탐사선의 크기에 따라 좌우에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증감할 수 있다.
1. (DK)는 공기 주머니 조합셋트 전체를 보호하는 바깥 외벽문으로서, 탐사선의 외벽 표면을 이루며 작동방식은 수직(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안내하는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수단의 도시는 생략한다.
2. (CIUM1)는 메인 유압실린더로서 풍량 시 공기주머니가 배출되어 바람을 주머니속 가득 머금고 공중으로 떠오르는 것을 억제하며 눌러주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과 동시에 문이 열리는 각도를 38도 정도로 유지한다.
3. (CK)는 메인유압실린더(CIUM1)작동시 보호용 문(DOR1)이 원만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주는 장석장치이다.
4. (DOR1)는 메인유압실린더(CIUM1)에 의하여 작동하는 문이다.
5. (SM)은 에어주머니(A)의 보호안전대(막)으로서 거센 풍랑의 자연의 힘에 공기주머니가 대단한 압박을 받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막 기능을 위하여 문(DOR1) 내면에 장착한 것이다.
6. (R)은 문(DOR1)이 작동되는(열리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7. (A)는 에어주머니로서 거센 풍랑으로부터 탐사선을 보호하는 튼튼하고 내구성과 신축성이 좋은 에어주머니를 구사하여 도시한 것이다.
8. (AJG)는 에어주머니(A)가 선체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 보조가이드 장치이다.
9. (BT)는 에어주머니(A)를 포함하여 보조 가이드장치(AJG)를 보다 견고하게 고착시켜주는 장치인 고정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10. (RUM)은 에어주머니(A)를 내장 보호하는 공간방이다.
11. (CU1)는 탐사선의 에어주머니 셋트 전체를 내장하여 보호하는 벽면 내실공간이다.
12. (AL)은 고압호스로, ACMP(콤프레샤)로부터 발생된 에어를 에어주머니(A)에 안전하게 공급되고 있는 기능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3. (ACMP)는 고성능의 콤프레샤로, 풍랑 시에 공기주머니(A)에 순식간에 바람을 주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공기 압축기(주입기)를 도시한 것이다.
14. (AMOT)는 에어모터로, 풍랑시 에어주머니(A)에 주입된 에어를 사태가 끝나고 정상 운항을 할 때에 말끔하게 뽑아 내어주는 공기 흡입배출 기능을 하며 공간방(RUM)의 내부에 장착되어있으며 뒷수습 종료 후 바깥외벽문(DK)을 닫는다.
15. (AU)는 일방향 송풍구로서 AMOT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이 배출되는 곳으로서 여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문이 내장되어있는 일방향 송풍구이다.
도 5는 도 1에 보인 브레이크수단(10)을 이루는 브레이크(KB, KB1, KB2)의 하나를 예시한 도면으로, 선체 외벽(CU) 내의 공간에 메인유압실린더(102)를 적어도 상하 일조로 고정시키고, 각 메인유압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 에는 수직을 이룬 브레이크 판넬(100)을 수직으로 상하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외벽(CU)에 형성한 수직의 슬릿형 브리이크판넬용슬릿(104)으로는 브레이크판넬(100)이 브레이크 기능을 위한 노출이나 고속 주행을 위한 삽입 기능을 실린더로드(103)에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도 1에서 표방되었던 구동부(WD, WD1, WD2)를 포함하는 구동수단(50) 중의 하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선박 본래의 고정관념의 틀에서 과감하게 벗어난 발상으로서, 이제는 선박도 자동차처럼 자체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대에 도달하였다고 본 발명인은 감히 생각하고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세상의 관심사를 집중할 수가 있음을 확신하는 바이다. 그리하여 본 탐사선이 주변환경의 도로를 이동하거나 해저탐사를 위해 바다의 밑바닥에 설치할 때에는 구동수단(50)을 내리고 즉 항공기가 활주로에 이 착륙을 하는 것과 같이 그 외 수상이나 수중을 운항할 때에는 구동 장치를 탐사선의 배면 내부로 올려 감추고 그 수와 크기는 탐사선의 막중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되어서 좌우로 조를 이루고 균형있게 장착하여 전 중 후륜 모두가 구동력을 갖게 할 것이다.
1. (CU하)는 탐사선의 밑바닥 바깥 외벽을 나타낸 것으로서 구동장치가 내재 장착되었음을 표방한 것이다.
2. (WDH)는 바깥외벽(CU하)에 결속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직 구동축으로서 구동력이 필요할 시 아래 밖으로 빠져나오며 통상의 운항시에는 탐사선 바닥 내부로 올려들어가 모습을 감춘다.
3. (WD전후)는 수직구동축(WDH)으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구동부(WD)전후로 전달하는 전후구동축을 도시한 것이다.
4. (WD좌우)는 전후구동축(WD전후)에서 전달받은 구동력을 좌우의 구동타이어(WT))에 전달하기 위한 좌우 구동축을 도시한 것이다.
5. (DP)는 각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6. (WT)는 탐사선의 막중한 하중력을 지탱할 수 있는 구동력이 양호한 전륜(전 구동력) 광폭의 구동타이어를 도시한 것이다.
7. (WMOT)는 수중 모터로, 탐사선의 구동실 내부에 유입되는 불필요한 하중의 물을 탐사선 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장착한 수중모터를 도시한 것입니다.
8. (WO)는 수중모터(WMOT)에 의해서 배출되는 물을 일방향 문이 내장된 배출구를 표방한 것이다.
9. (DOR2)는 구동부(WD) 전체를 보호할 수 있는 문으로, 좌우(앞뒤)로 작동 움직이며, 구동부(WD)를 사용할 시에는 열리고 사용 후에는 닫히면서 탐사선의 밑바닥 면과 표면을 같이하도록 구성하며, 이러한 구성 자체는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세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브레이크수단(100) 및 감속수단(130)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이 선체의 표면에 제트엔진부(40)를 두어 고속으로 운행한다는 전제로 설명한다. 날개부(30)는 도 3과 같이 보조유압실린더(CIUS)와 메인유압실린더(CIUM)의 작동으로 날개판(SJ)을 수평으로 유지시켜 부력을 증진시키도록 작용하여 속력 증가에 따른 부하를 줄이도록 기능하고,
브레이크수단(10)은 도 5에 보인 브레이크(KB)구성을 이루며, 수직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판넬(100)이 상하로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상하로 배열되고 내벽에 고정된 메인유압실린더(102)의 각 실린더로드(103)에 의하여 상하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외벽(CU)에는 브레이크판넬용 슬릿(104)을 이루고 이를 통하여 들어가고 나가도록 작동하여 외부로 나가는 경우는 외벽(CU)을 통하여 흐르는 해수에 의한 강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하며, 브레이크 기능의 정도는 노출되는 브레이크판넬(100)의 길이에 의하여 조절한다.
이에 더하여 본원발명은 감속수단(130)을 도 7과 같은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메인유압실린더(110)를 통하여 메인유압실린더로드(111)에 연동하여 상승 하강하는 이동링관(112)을 구동시키고, 이러한 구동력은 일체로 상하 위치에 연결된 작동유압실린더(120,120')를 연동시킨다.
또한 작동유압실린더(120,120')의 작동유압실린더로드(121,121')는 브레이크판넬(125)을 외벽(CU)으로 향하도록 밀어준다. 즉, 브레이크판넬(125)은 외벽(CU)에 고정된 힌지축(127)에 유착된 힌지링크(126)와 일체로 고정된 구조를 이루므로, 힌지링크(126)를 중심으로 브레이크판넬(125)이 외벽(CU) 외부로 노출되고 이는 해수와의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자연스런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여 감속작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속 운행중에는 선체가 수면 위로 많이 상승하고 해수는 선체의 하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메인유압실린더(110)의 메인유압실린더로드(111)에 이동링관(112)을 연결하는 구성을 이루도록 하며, 소위 해수면의 깊이 정도를 선택하여 브레이크 판넬(125)을 작동시킨다. 즉, 도 7과 같이 힌지축(127)의 윗부분에 오도록 하여 브레이크판넬(125)을 힌지링크(126)를 힌지축으로 하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각도에 따라 감속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판넬(125)을 힌지축(127)의 아랫부분에 오도록 하여 해수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는 메인유압실린더(110)의 메인유압실린더로드(111)를 신장시키면, 메인유압실린더로드(111)에 일체로 연동하는 이동링관(112)이 안내바(115)를 따라서 하강하고, 이동링관(112)에는 작동유압실린더(120,120')가 고정되어 있고, 작동유압실린더로드(121,121')의 선단은 브레이크판넬(125)을 외벽(CU)외부로 밀치는 작용을 하므로 도 7 상태보다 브레이크판넬(125)의 수평 위치가 하강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10;브레이크수단 20;에어주머니부 30;날개부 40;제트엔진부 50;구동수단 100;브레이크판넬 102;메인유압실린더 103;메인유압실린더로드 104;브레이크판넬용슬릿 110;메인유압실린더 111;메인유압실린더로드 112;이동링관 115;안내바 116,117;안내바 고정볼트 120,120';작동유압실린더 121,121';작동유압실린더로드 122,122';유니버설조인트 125;브레이크판넬 126;힌지링크 127;힌지축 130;감속수단 A,A1,A2;에어주머니 ACMP;콤프레사 AJG;보조가이드장치 AMOT;에어모터 AU;일방향송풍구 B,B1,B2;감속부 BT;고정볼트 CR,CR';실린더로드 CIUM;메인유압실린더 CIUS;보조유압실린더 CU;외벽 CU1;외벽내실공간 DM;고정강판 DMO;고정볼트 DK;외벽문 DOR,DOR1,DOR2;문 DP;기어박스 KB;브레이크 QR;유니버설조인트 RUM;공간방 S,S1,S2,S3;날개 SJ;날개판 SJ1;머리부분 SJ2;꼬리부분 SJG;보조지지대 SM;보조안전대 WMO;수중모터 WD,WD1,WD2;구동부 WT;구동타이어 WD전후;전후구동축 WD좌우;좌우구동축 WMOT;수중모터 WO;배출구 Z,Z',Z1,Z1';제트엔진

Claims (3)

  1. 삭제
  2. 선박의 외벽에서 수직홈을 통하여 브레이크판넬이 돌출하여 브레이크판넬이 해수와 마찰력을 발생시켜 급속 정지 기능을 수행하는 브레이크수단(10);
    선박의 외벽에 형성한 공간에 공기주머니 입구를 고정시키고 별도의 급속 공기주입 펌프와 밸브 통로가 입구와 통하도록 연결하여 평소에는 에어백처럼 공간 내에 있다가 선박의 위급시 작동하는 센서에 의하여 급속팽창하여 외벽으로 노출되는 에어주머니부(20);
    선박의 외벽의 해수면 대응부위에 평소에는 외벽에 붙어있다가 초고속 주행시 바닷물과의 저항력을 감소시켜 선박을 부양시키도록 수면에 펼쳐지는 날개부(30);
    선박의 갑판에 좌우로 균형있게 배열하여 선박에 초고속 추진력을 제공하는 수개의 제트엔진부(40);
    선박의 바닥에 부가 설치되어 바닥면에 닿아서 자력으로 선박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구동수단(50); 및
    브레이크판넬(125)의 외벽(CU)으로 노출되는 경사각도에 따라 브레이크 작동 각도가 조절되는 조절수단을 가지는 감속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외벽(CU)에 고정된 수직의 메인유압실린더(110),
    메인유압실린더(110)의 메인유압실린더로드(111)에 연동하며 안내바(115)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링관(112),
    이동링관(112)에 상하로 수평으로 고정된 작동유압실린더(120,120'), 및
    작동유압실린더(120,120')의 작동유압실린더로드(121,121') 단부에 유착되며 힌지축(127)을 중심으로 외벽(CU) 외부로 노출되어 해수와의 마찰력으로 감속 기능을 하는 브레이크판넬(125)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3. 제 2항에 있어서, 작동유압실린더로드(121,121') 단부와 브레이크판넬(125) 내면은 유니버설조인트(122,122')로 유착되며, 유니버설조인트(122,122')는 브레이크판넬(125)의 폭 방향 중앙 상하에 오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KR1020130090591A 2013-07-31 2013-07-31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KR10150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91A KR101502693B1 (ko) 2013-07-31 2013-07-31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JP2016531530A JP2016530153A (ja) 2013-07-31 2014-07-31 超高速走行と沈沒防止及び自力走行可能な船舶
PCT/KR2014/007048 WO2015016635A2 (ko) 2013-07-31 2014-07-31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91A KR101502693B1 (ko) 2013-07-31 2013-07-31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597A KR20150015597A (ko) 2015-02-11
KR101502693B1 true KR101502693B1 (ko) 2015-03-16

Family

ID=5243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591A KR101502693B1 (ko) 2013-07-31 2013-07-31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6530153A (ko)
KR (1) KR101502693B1 (ko)
WO (1) WO201501663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007A (ko) 2015-08-13 2017-02-22 김길완 보조 동력수단이 구비된 선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486A (ja) * 1990-01-16 1991-09-18 Kure Dia:Kk 水面滑走艇のハンプ低減装置
JPH07117791A (ja) * 1993-10-25 1995-05-09 Mitsuji Ishii エアバッグ装置を有する船舶
JP2002166883A (ja) 2000-12-01 2002-06-11 Jihei Hayashi 船舶沈没の防止装置
KR20130044398A (ko) * 2011-10-24 2013-05-03 석선열 날으는 해저 탐사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4100U (ko) * 1974-03-28 1975-10-11
JPH0249798U (ko) * 1988-09-29 1990-04-06
JPH02155898A (ja) * 1988-12-05 1990-06-14 Sumitomo Heavy Ind Ltd 船舶の減速操舵装置
JPH04104097U (ja) * 1991-02-18 1992-09-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ラム翼型高速艇
JPH0616182A (ja) * 1992-07-01 1994-01-25 Shunichi Yanagisawa 予備浮力装置
JPH06199273A (ja) * 1993-01-04 1994-07-19 Toyoji Hirata 動力推進滑走ボート
US5398628A (en) * 1993-06-17 1995-03-21 Vehicle Research Corp. Surfing ship transition system
JPH10152097A (ja) * 1996-11-21 1998-06-09 Ishigaki:Kk 船舶の推進装置
JP2002211482A (ja) * 2001-01-18 2002-07-31 Kure Dia:Kk 上陸装置付双胴型集塵船
US20020125367A1 (en) * 2001-03-12 2002-09-12 Killingsworth Norman Don Combination fixed and rotating wing aircraft, land vehicle and water craft
JP2007253897A (ja) * 2006-03-24 2007-10-0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及び船舶の減速方法
JP2011235866A (ja) * 2010-05-07 2011-11-24 Toshihiko Ota 水陸両用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3486A (ja) * 1990-01-16 1991-09-18 Kure Dia:Kk 水面滑走艇のハンプ低減装置
JPH07117791A (ja) * 1993-10-25 1995-05-09 Mitsuji Ishii エアバッグ装置を有する船舶
JP2002166883A (ja) 2000-12-01 2002-06-11 Jihei Hayashi 船舶沈没の防止装置
KR20130044398A (ko) * 2011-10-24 2013-05-03 석선열 날으는 해저 탐사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007A (ko) 2015-08-13 2017-02-22 김길완 보조 동력수단이 구비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635A3 (ko) 2015-03-26
JP2016530153A (ja) 2016-09-29
KR20150015597A (ko) 2015-02-11
WO2015016635A2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6753A (en) Ground effect machine
JP2793364B2 (ja) 船舶及び船舶動作方法
WO2011150786A1 (zh) 伸缩式潜水艇
CN106218807B (zh) 多功能履带式高效水翼登陆艇及操作方法
KR101304775B1 (ko) 날으는 해저 탐사선
CN102530187B (zh) 不沉没不摆舵调头能左右位移横行的高速双头船
CN102556314A (zh) 电动升降控制模块表面桨驱动系统及船艇
CN102556313A (zh) 可调式表面桨驱动系统及船艇
KR101502693B1 (ko) 초고속주행과 침몰방지 및 자력주행 가능한 선박
CN102139692A (zh) 空潜船
CN108974245A (zh) 一种不翻倒的船
CN201580549U (zh) 动力帆抢险救援艇
WO2005016742A1 (en) Ellipsoidal submarine
CN204726640U (zh) 水冰两栖救生艇
JP6975724B2 (ja) 大排水量船舶
JP4573911B1 (ja) 船舶
RU196023U1 (ru) Плавучее маломерное судно катамаранного типа
CN1376616A (zh) 一种具超机动性的潜水船
JP6198232B1 (ja) 船体形状と推進装置
CN105857542A (zh) 一种高速高效安全保障船
CN102060095A (zh) 动力帆抢险救援艇
CN205396468U (zh) 一种过闸专用浮力式载驳船
KR200398203Y1 (ko) 아웃 엔진을 부착한 워터젯 장치
JPH06503290A (ja) 単胴高速船
CN110696999A (zh) 一种移动式双体浮船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