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991B1 -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 Google Patents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991B1
KR101500991B1 KR1020117013793A KR20117013793A KR101500991B1 KR 101500991 B1 KR101500991 B1 KR 101500991B1 KR 1020117013793 A KR1020117013793 A KR 1020117013793A KR 20117013793 A KR20117013793 A KR 20117013793A KR 101500991 B1 KR101500991 B1 KR 10150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erpene alcohol
oil
alcohol component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336A (ko
Inventor
제프리 리차드 세이들링
사라 앤 렘크
스코트 더블유. 웬젤
크로이 도널드 존슨
코리 토마스 커닝햄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408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0099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102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캐리어, 최소 하나의 테르펜 알콜성분을 갖는 오일상,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개인위생조성물(personal care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예시측면에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최소 하나의 테르펜 알콜성분을 갖는 오일상을 도입함으로서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이 본 개시의 조성물내에서 안정하다.
이같이 본 조성물은 테르펜 알콜 성분과 접촉하는 오일 상에 초기 발포작용과 보다 장기간의 피부이익을 제공한다.
안정화 성분 역시 상기 조성물에 보다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VOLATILE AND A TERPENE ALCOHOL}
여기에 개시된것은 초기 발포작용과 부가적인 피부이익을 제공하는 개인위생조성물(personal care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하나의 테르펜(terpene)알콜성분을 갖는 개인위생조성물내에 휘발성화합물이 부유되고 편입된 개인위생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보호,세정 그리고/또는 치료하기위해 소비재가 흔히 사람피부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들 물품은 종종 피부에 가혹할 수가있다. 예를들어 나이든 피부는 건조하고 가렵고 노쇠하고 쉽게 갈라지거나 멍들기쉽다. 뿐만아니라 실금 및 폐색실금의류의 계속적 착용은 발진이나 기타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있다. 소비재로 피부를 문지르거나 다루는 것은 피부를 갈라지게하거나 상하게할 수있다.
이같은 물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를 위한 정상적인 방편은 세정하고, 외부 진통제를 제공하고(통증경감) 그리고 가능하게는 추가적인 보습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허약한 피부는 쉽게 갈라지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자신이나 간병사가 접촉하기 어렵다. 또한 손상된 피부나 여러가지점에서 훼손된 피부는 조심 스럽게 세정되거나/그리고 보습화되어야한다. 이에따라 여러가지 다른 제품을 여러경로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소비재들의 통상적인 사용은 그 제품을 사용하는 자에게 불안감,추가적인 불쾌감 또는 자극을 일으킬수있는 것이다.
따라서 피부에 여러가지 잇점을 제공할 수있는 세정 및 치료용 소비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예컨데 세정 및 냉각효과뿐만 아니라 통증경감도 가능한 제품이 유용한것이다.
여기에 개시된것은 초기 자기-발포 작용을 제공하면서 세정 및 보습같은 부가적인 피부 잇점을제공하는 개인위생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캐리어,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성분을 함유하는 오일 상(phase),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같은 휘발성물질, 및 안정화제를 함유한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 측면에있어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화합물은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성분을 갖는 오일상에의해 안정화되어 상기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내에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부유시키고 편입시킨다.
초기 발포작용은 세정을위한 최소한의 마찰 필요성을 제공하며 냉각효과를 제공할 수있다.
다른측면에 있어서, 상기 개인위생조성물은 로션(lotion)이다. 이 로션은 캐리어,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 성분을 포함하는 오일상,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같은 휘발성물질, 및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측면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리나로올(linalool),게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네롤(nerol), α-테르펜 알콜, 보르네올(borneol), 테르피넨-4-올, 리모넨-4-올, 카베올(carveol), 라반둘롤(lavandulol), 멘톨(menthol), 8-p-시메놀, 피나놀,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미르세놀, 디하이드로리나로올(dihydrolinalool), 이소멘톨(isomenthol), 네오멘톨, 이소푸레골(isopulegol), 트랜스-p-멘탄-3,8-디올, 이소보르네올, 그로불롤(globulol), 세드롤, 멘트-1-엔-9-올(menth-1-en-9-ol), 소브레롤(sobrerol), 움벨루롤(umbellulol), 네로리돌(nerolidol), 피나네디올, 파르네졸(farnesol), 프렌치일(frenchyl) 알콜, 유제놀(eugenol), 피톨(phytol), 이소피톨, 피탄트리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측면에서,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멘톨일수있다.
다른 실시측면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알콜성분은 테르펜 알콜성분으로 변환된 테르페노이드(terpenoid)일 수 있다. 테르페노이드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 산을 부가함으로써 테르펜 알콜로 변환될 수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개인위생조성물은 테르펜알콜성분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20 중량% 갖는다.
또다른 측면에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조성물에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위해 링 구조를 갖는다.
예시측면에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에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 이소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헥실에틸 디메틸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헵탄, 퍼플루오로디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펜탄, 퍼플루오로시클로헥실 메탄올,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은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조성물 중량기준으로 약 1∼40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발명에의한 개인위생조성물에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에 대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의 중량비는 2:1 ∼40:1 범위이다.
예시측면에서, 상기 개인위생조성물의 안정화제는폴리사카리드 에테르(polysaccharide ether), 폴리그리코사이드, 지방산 유도체,지방 알콜, 아민옥사이드,수용성 셀루로즈 유도체, 알킬 술포네이트, 에톡실화 알킬 페놀,알카놀아미드, 베타인(betaine),카복실화 알콜, 카복실산, 에톡실화 알콜, 및 유도체와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에멀션화제일 수 있다. 이 에멀션화제는 조성물의 0.1∼20 중량% 함유될 수있다
다른 예시측면에 있어서, 상기 개인위생조성물의 안정화제는 구조 계면활성제 시스템이다. 예시측면에서, 이 구조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최소하나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최소하나의 전해질을 함유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구조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최소 하나의 알카놀아미드를 함유할 수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의 캐리어는 물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초기 자기 발포 작용(self-foaming action)을 제공하면서 세정이나 보습화같은 부가적인 피부 잇점을 제공하는 개인위생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초기 자기-발포작용을 성취하기위해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같은 휘발성물질이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성분을 함유하는 오일상(oil phase)에 의해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내에 부유되고 편입된다.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이 피부와 접촉하게되면 , 조성물은 즉시 발포한다. 이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물 또는 오일 케리어내에서 안정적이어서는 안되며 분리되어야한다. 그러나 예측과는달리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내에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부유 및 편입하기위해 최소하나의 테르펜 알콜성분을 함유한 오일상에 의해 본발명의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내에서 안정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부가적인 안정화 성분 또한 포함될 수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로션이다. 이 로션은 캐리어,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성분을 함유하는 오일상,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과 같은 휘발성 물질, 및 안정화제를 함유한다.
특정 이론에 근거한 것은 아니나,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이 개인위생조성물의 테르펜 알콜성분내에서 뚜렷한 분산상(dispersed phase)을 만드는 것으로 믿어진다.이는 소수성성분이 본발명의 조성물내에 편입될수 있다는 점에서 이익적인 것이다. 플루오르화 화합물과 같이 지용성도 아니고 수용성도아닌 성분의 편입이 가능한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개인위생조성물은 세정, 외부진통제,보습 및 냉각조성물을 가능하게 한다. 초기 발포작용은 세정을 위한 문지름(마찰)필요성을 최소화 시켜주고 냉각효과도 제공한다.
피부에 별도의 로션을 바를 필요가 없도록 빌트-인(built-in)보습제 또는 진통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진통제는 피부에대하여 장시간 냉각을 제공할 수있다. 즉시의 그리고 장시간의 냉각효과는 또한 더 이상의 적용이 없더라도 통증을 장시간 완화시킨다. 또한 이같은 접근방법은 피부가 보습화될 수있고,적용시 피부를 끈적거리게하고 손상을 줄수있는 로션의 통상적사용이 필요없다는 점에서 이익적인 것이다.
예시적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은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여기서 개시되는 개인위생조성물의 발포작용을 쉽게하기 위한 최상의 화학적특성을 나타내는 높은 증기압을 갖는 휘발성 화합물이다. 분자내의 탄소-불소(carbon-fluorine)결합수가 많을수록 이 바람직한 작용은 커진다. 발포효율(즉, 요구되는 최소량의 발포제에 대한 최고의 발포)을 위한 최상의 화합물은 탄소-탄소,탄소-산소,탄소-수소,및 탄소- 불소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사용되는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로서는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에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메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헥실에틸 디메틸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헵탄, 퍼플루오로디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펜탄, 퍼플루오로시클로헥실 메탄올,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소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있는 3M 회사에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Cosmetic Fluid CF-76 과 Cosmetic Fluid CF-61을 포함한다.
여기서 개시되는 개인위생조성물은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조성물 중량기준으로 0.5%∼40%,보다 바람직하게는1%∼3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25% 포함한다.
예시적 측면에서, 본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최소하나의 테르펜 알콜을 함유하는 오일상(oil-phase)을 포함한다. 테르펜알콜은 5-탄소 이소프렌 단위체를 근간으로하고 최소하나의 히드록실기를 가지며, 1차,2차,또는 3차 일수있는, 잘 정의된 종류의 화합물이다.
대부분의 테르펜알콜은 10,15,혹은 2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이 테르펜알콜은 비고리형(acyclic)이거나 고리형(cyclic),그리고 포화되었거나 불포화된 것일 수있으나 이들 모두는 분지된 것들이다. 바람직하게는 , 이 테르펜 알콜은 링 구조를 갖는다.
적절한 테르펜 알콜의 예로서는 리나로올(linalool), 게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롤(citronellol), 네롤(nerol),α-테르펜 알콜, 보네올(borneol),데르피넨-4-올, 리모넨-4-올, 카베올(carveol), 라반둘올(lavandulol), 멘톨(menthol), 8-p-시메놀, 피나놀,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미르세놀(myrcenol),디하이드로리나로올(dihydrolinalool), 이소멘톨, 네오멘톨, 이소풀레골(isopulegol), 트랜스-p-멘탄-3,8-디올, 이소보르네올(isoborneol), 글로부롤(globulol), 세드롤(cedrol), 멘트-1-엔-9-올(menth-1-en-9-ol), 소브레롤(sobrerol), 움벨룰올(umbellulol) 네로리돌(nerolidol), 피나네디올(pinanediol), 파르네졸(farnesol), 프렌칠(frenchyl) 알콜, 유제놀(eugenol), 피톨(phytol), 이소피톨, 피탄트리올(phytantriol), 및 그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테르펜 알콜성분으로 멘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테르펜알콜은 이센셜 오일에서 발견될수있다. 예시적인 측면에서,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 사용되는 테르펜 알콜성분은 테르펜 알콜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센셜오일이다. 테르펜 알콜 구조를 갖는 이센셜오일의 예로서는 페파민트오일, 차나무오일(tea tree oil), 카유풋오일(cajuput oil), 파인 오일(pine oil),및 쁘띠트 그레인오일(petit grain oil)을 들 수있다. 테르펜 알콜구조를 갖는 이센셜 오일 뿐만아니라 별개의 독립체로 구입가능한 다른 테르펜알콜도 플루오르화성분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안정화 시킬 수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개인위생조성물은 테르펜 알콜성분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20%, 바람직하게는 0.5∼10%,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포함 할 수있다.
예시적인 측면에서 테르펜 알콜성분은 복용량 의존 방식(dose dsependent manner)으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부유하고 편입한다. 이와같이 상기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 첨가되는 테르펜알콜성분의 량은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의 량에 따라 달라진다.
예시측면에서, 상기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서 테르펜알콜성분에 대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의 중량비는 약 2:1∼40:1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1이다.
다른 예시측면에서,산 또는 염기의 부가와 함께 테르펜알콜로 변환 될 수 있는 테르페노이드 또한 휘발성인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시스템을 안정화 시킬 수있다. 예를들어, 1,8-시네올 같은 테르페노이드는 산 또는 염기의 부가에 의해 알콜형태로 양성자첨가될 수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내에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부유시키기위해 테르페노이드를 사용할 수있다.
예시측면에서 , 본 발명의 발포성개인위생조성물에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에멀션화제(emulsifier)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이 에멀션화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쯔비터이온성(zwitteronics)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멸션화제의 예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사카리드 에테르(polysaccharide ether),폴리 그리코사이드, 지방산, 지방 알콜, 아민옥사이드,수용성 셀루로오즈 유도체, 알킬 술포네이트, 에톡실화 알킬페놀, 알카놀아미드, 베타인,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복실화 알콜, 카복실산, 에톡실화 알콜, 폴리 소베이트(polysorbate )20 이나 폴리소베이트80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EA 포스페이트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베헨트리모니움 메소술페이트등과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는 하나의 에멀션화제 혹은 둘이상의 에멀션화제의 조합이 포함될 수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 개시되는 발포성개인위생조성물은 하나이상의 에멀션화제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 내지 20% 포함한다.
이 분야에서 또한 알려져있는 아민옥사이드가 본 발명의 발포성개인위생조성물에서 에멀션화제로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하다. 아민옥사이드의 예로서는,이에 한정되는 것은아니지만, 다음지방산: 옥틸,데실, 라우릴,세틸, 미리스틸,스테아릴,오레일,리노레일(linoleyl)과 리노레닐(linolenyl),로 부터 형성된유도체를 포함한다. 또한 아민옥사이드의 예로서 베헨아민 옥사이드, 코카민 옥사이드, 코카미도프로필아민 옥사이드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에멀션화제의 예로서는 소디움 데오데실벤젠 술페이트,코카미드 DEA,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올레오베타인, 옥틸페녹시폴리 에톡시에탄올, 및 트리데실에테르알콜을 들 수있다.
다른 예시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에 사용되는안정화제는 구조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조 계면활성제시스템은 최소하나의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최소하나의 전해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조계면활성제시스템은 또한 최소하나의 알카놀아미드를 포함할 수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나아가 물-불용성입자나 부분적불용성 성분, 및/또는 음이온계면활성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및/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계면활성제의 카테고리에서 취한 하나이상의 부가적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조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내지 50%함유할 수있다. 구조계면활성제시스템에서 음이온계면활성제는 예를들어 일차 알칸술포네이트,일차알칸디술포네이트, 알켄술포네이트, 하드록시알칸 술포네이트 혹은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술포네이트 같은 지방족 술포네이트,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같은 방향족 술포네이트,알킬술페이트, 알킬에테르 술페이트, 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알킬 및 아실 타우레이트, 알킬 및 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술포 아세테이트, C8-C22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알콕실 알킬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아실 락테이트, C8-C22 모노알킬 숙시네이트 및 말레이트, 그리고 알킬 및 아실 이세티오네이트,혹은 이들의 혼합물일 수있다.
전해질은 상기조성물에 별도로 첨가되어지거나 혹은 원재료의 일부로서 포함되어질 수도있다. 전해질은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크로라이드, 술페이트,혹은 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음이온 및 소디움,암모늄,포타슘,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양이온,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몇몇 바람직한 전해질은 소디움 혹은 암모늄 크로라이드 그리고 소디움 혹은 암모늄술페이트이다.
상기 구조계면활성제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C8-C24 지방족사슬을 갖는 최소하나의 알카놀아미드를 또한 포함할 수있다. 이 알카놀아미드는 어느쪽이 탄화수소 뼈대 혹은 알콕시 뼈대를 가질 수있는 하나 혹은 두개의 알카놀기를 포함할 수있다.
이 하이드로카본 알카놀기는 C2-C4 직선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일 수있다. 조성물내의 알카놀아미드의 량은 중량기준으로 0.1%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이다. 몇몇 바람직한 알카놀아미드는 코코 모노에탄올아미드 (coco monoethanolamide)와 코코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coco monoisopropanolamide)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어 알카놀아미드는 긴사슬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알콕시 긴-사슬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집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긴-사슬 지방족산 알카놀아미드는 또한 이 분야에서 지방산 알카놀아미드로서 불리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위생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통상의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그리고 혼화적인 캐리어 물질과 함께 배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예를들어 수용액, 젤(gels), 향유(balms), 로션, 현탁액(suspensions), 크림, 밀크, 고약(salves), 연고(ointments), 스프레이, 포움(foams), 고체스틱 등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사용하기 적합한 캐리어 물질은 연고, 로션, 크림, 고약, 필름, 에어로졸, 현탁액, 스프레이, 포움 등을 위한 베이스로 화장품 및 의약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잘 알려진 것들을 포함하며, 이들 분야에서 확립된 수준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적절한 캐리어 물질의 예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물; 프로필렌글리콜, 부티렌글리콜 및 에톡시디글리콜 같은 글리콜류;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 같은 저급사슬 알콜; 글리세린과 글리세린 유도체; 호호바유(jojoba oil)과 해바리기유 같은 천연오일; 광물유(mineral oil) 같은 합성오일; 시클로메티콘 같은 실리콘유도체, 및 기타 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캐리어물질을 포함한다.
이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잘 인식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개인 위생조성물에서 이 조성물을 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캐리어물질과 기타 성분의 상대적인 량은 그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좌우된다. 그 수준은 여기에 제공된 개시내용에 비추어 통상적인 실험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가지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개인 위생조성물은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물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90%, 보다 전형적으로는 4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90%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조성물이 습윤 와이프(wet wipe, 물수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 이 조성물은 물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75%∼90% 함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 위생조성물은 나아가 피부나 모발에 이익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그리고/또는 조성물 및 와이프의 심미적인 느낌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피부에 잇점을 주는 적절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에몰리언트, 스테롤이나 스테롤 유도체, 천연 및 합성지방 또는 오일, 점도증진제, 형태개질제(rheology modifiers), 폴리올, 계면활성제, 얄콜, 에스테르, 실리콘, 진흙, 전분, 셀루로즈, 미립자, 습윤제, 피막 형성제, 슬립 개선제(slip modifier), 표면 개선제, 피부 보호제, 보습제, 자외선 차단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같이,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또한 임의적으로 전형적으로 피부를 부드럽게하고, 진정시키고, 그리고 피부를 윤활하고 그리고/또는 습윤시키는 작용을 하는 하나 이상의 연화제(emollients)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편입될 수 있는 적절한 연화제의 예로서는, 바세린계 오일, 바세린(petrolatum),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천연 또는 합성오일, 알킬 디메티콘, 알킬 메티콘, 알킬디메티콘 코폴리올(alkyldimethicone copolyols), 페닐 실리콘, 알킬 트리메틸실란, 디메티콘, 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s), 시클로메티콘, 라놀린 및 그 유도체, 지방 에스테르, 글리세롤 에스테르 및 그 유도체,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와 유도체, 알콕실화 카복실산, 알콕실화 알콜, 지방 알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여기 개시되는 개인위생조성물은 또는 부가적인 천연 지방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천연 지방 또는 오일"이란 용어는 지방, 오일, 이센셜 오일, 이센셜 지방산, 비-이센셜 지방산, 인지질(phospholipids),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들 천연 지방과 오일은 피부의 천연장벽에 발견된 것들에 이센셜 및 비-이센셜 지방산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적절한 지방 또는 오일로는 감귤유(citrus iol), 올리브유, 아보카도유(avocado oil), 아프리코트유(apricot oil), 바바수유(babassu oil), 보리지유(borage oil), 카멜리아유(camellia oil), 카놀라유(canola oil), 카스터유(castor oil), 코코넛유 , 옥수수기름, 면씨유(cottonseed oil), 에뮤유(emu oil), 이브닝 프림로즈유(evening primrose oil), 수소첨가 면씨유(hydrogenated cottonseed oil), 수소첨가 팜 케넬유(hydrogenated palm kernel oil), 호호바유(jojoba oil), 말레이트 소이빈 오일(maleated soybean oil), 미도폼시드오일(meadowfoam seed oil), 팜커넬 오일, 피넛 오일, 렙시드 오일(rapeseed oil), 그레이프시드오일, 홍화오일(safflower oil), 스핑고지질(sphingolids), 스위트 아몬드오일, 톨유(tall oil), 라우르산(lau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스테아릴 알콜, 라우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베헤닐 알콜(behenyl alcohol), 로즈힙 오일(rose hip oil), 금잔화 오일(calendula oil), 캐모마일 오일(chamomile oil),유카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노간주나무 오일(juniper oil), 백단향 오일(sandwood oil), 차나무오일(tea tree oil), 해바라기 오일, 대두유(soybean oil),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적절한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세틸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세틸 스타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지방 알콜의 예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옥틸도데칸올,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베헤닐 알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유카립톨, 세테르아릴 글루고사이드, 디메틸 이소소르빅 폴리글리세릴-3 세틸 에테르, 폴리글리세릴-3 데실테트라데카놀, 프로필렌 글리콜미리스틸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 같은 에테르 역시 에몰리언트(emollients)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에몰리언트의 량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70%, 바람직하게는 0.05%∼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0%∼40% 범위이다. 이 조성물이 습윤타올(wet wipe)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 조성물은 에몰리언트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20%, 바람직하게는 0.05%∼10%,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함유할 수 있다.
여기에 예시되는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테롤 및 스테롤 유도체의 예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술페이트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에르고스테롤, C10-C30 콜레스테롤/라노스테롤 에스테르,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스테아레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ehydrocholesterol),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dihydrocholesterol), 디하이드로 콜레스테릴옥틸테카노에이트, 디하이드로라노스테롤, 디하이드로라노스테릴 옥티이데카노에이트, 에르고칼시페롤, 톨오일 스테롤, 소이 스테롤 아세테이트, 라나스테롤, 소이 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 소이 스테롤 유도체, 아보카도 스테롤, 지방 알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또한 스테롤, 스테롤 유도체 혹은 스테롤과 스테롤 유도체 양자 모두의 혼합물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10%, 바람직하게는 0.05%∼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포함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상기 개인위생조성물에서는 조성물이 개인위생 물품에 편입될때와 같이 점도를 증대시키고,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이에 따라 조성물의 이동을 감소시키고 피부로의 전달을 개선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점도 증진제를 첨가시킬 수 있다.
적절한 점도 증진제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친유성(lipophilic)/오일 농조화제(thickeners),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실리카, 실리카 시릴레이트, 실리카 메틸 시릴레이트, 콜로이달 실리콜디옥사이드, 세틸 히드록시 에틸 셀루로오즈, 기타 유기적으로 변형된 셀루로오즈, PVP/데칸 공중합체, PVM/MA 데카디엔 크로스중합체 PVP/에이코센(eicosene) 공중합체, PVP/헥사데칸 공중합체, 진흙, 카보머(carbomers), 아크릴계 농조화제(thickeners), 계면활성제 농조화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점도증진제는 개인위생조성물내에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약 0.01%∼25%, 바람직하게는 약 0.0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5%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유동성개선제(rheology modifiers)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이 유동성개선제는 조성물의 융점점도를 증대시켜 조성물이 개인위생 물품의 표면에 쉽게 남아있도록 한다.
적절한 유동성 개선제는 α-올레핀과 스티렌 단독이나 미네랄오일 또는 바세린(petrolatum)과 조합된 스티렌의 조합, 2-관능성 α-올레핀과 스티렌단독이나 미네랄오일 또는 바세린과 조합된 스티렌의 조합, α-올레핀과 이소부텐단독이나 미네랄오일 또는 바세린과 조합한 이소부텐의 조합,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단독 또는 미네랄오일 또는 바세린과 조합한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부틸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단독 또는 미네랄오일이나 바세린과 조합한 부틸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부텐, 폴리이소부틸렌,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도일 이누린(stearoyl inulim), 스테아르알코니움 벤토나이트, 디스테아르아디모니움 헥토라이트, 스테아르알코니움 헥토라이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티렌/부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n 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n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미네랄오일과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미네랄오일과 부티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Penreco의 Versagel)이 바람직하다. 또한 Vistanex(Exxon)과 Presperse(Amoco) 중합체들도 특히 적합한 유동성개선제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개인위생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동성 개선제를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0.1%∼5%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습윤제(humectants)를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습윤제의 예로서는,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소디움 하이알루로네이트, 베타인, 아미노산, 글리코사미노글라이칸(glycosaminoglycans), 꿀, 소비톨, 글리콜, 폴리올, 설탕, 수소화 전분 가수분해물(hydrogenated starch hydrolysates), PCA염, 락트산(lactic acid), 락테이트 및 우레아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습윤제는 글리세린이다. 상기 습윤제는 상기 조성물내에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약 0.05%∼25% 함유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적으로 보습제(moisturizers)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보습제의 예로서는 경질(light) 탄화수소오일,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이소도데칸, 바세린), 야채 혹은 천연 오일 (예를 들어 해바라기오일, 올리브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그레이프시드 오일, 옥수수오일, 홍화유, 시어버터(shea butter), 코코넛 오일, 캐놀라 오일(canoloa oil), 파마자유(castor oil), 호호바오일, 수소화 야채오일(예를 들어 수소화 케스터왁스, 수소화 아프리코트커넬오일, 수소화 캐놀라오일, 수소화 호호바오일, 수소화 올리브오일, 수소화 참깨씨오일), 지방 에스테르(예를 들어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베헤네이트, C12-C15 알킬 벤조에이트, 부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카프레이트, 세틸 카프릴레이트, 에틸 아프리코트 커넬레이트, 에틸 아보카데이트, 에틸헥실 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에틸헥실 코코에이트, 에틸헥실 이소팔미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요요베이트, 미리스틸 라우레이트), 지방산(예를 들어,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베헨산), 지방 알콜(예를 들어 라우릴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 알콜, 베헤닐 알콜) 혹은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캐리어로서 지방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지방에스테르의 일예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이며, 이는 상표 TEGOSOFTM(Evonik)로 구입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50%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로 피막형성제(film formers)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피막 형성제의 예로서는 라놀린 유도체(예를들어 아세틸화 라놀린), 지방과다함유 오일, 시클로메티콘, 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티콘, 천연 및 합성 오일, 지방산, 지방 알콜, 왁스, 합성 및 생물학적 중합체, 단백질, 4차 암모늄 물질, 전분(탄수화물), 검(gums), 셀로루오즈 화합물, 다당류, 알부민,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IPDI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피막 형성제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20%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또는 임의적으로 표면 개선제를 포함 할 수 있다.
적절한 표면 개선제의 예로서는 실리콘, 쿼터늄 물질(quaternium materials), 파우더, 염, 펩타이드, 중합체, 진흙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표면개선제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20%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또한 임의적으로 피부보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피부 보호제의 예로서는 SP모노그래프(21 CFR §347)에 나타난 성분들을 포함한다. 적절한 피부 보호제 및 량은 SP 모노그래프에 나타난 것들을 포함한다.
서브파트B-활성성분 §347.10:(a)알란토인 0.5∼2%
(b)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겔, 0.15∼5%
(c)카라민 1∼25% (d)코코아버터, 50∼100%,
(e)대구 간 오일(cod liver oil) 5∼13.56%
, §347,20(a)(1) 혹은 (a)(2)에 의하면, 이 제품은 24시간내에 사용된 량이 10,000 U.S.P Units 비타민A 와 400 U.S.P. Units 콜레칼시페롤을 넘지 않도록 라벨되어 있다.
(f)콜로이달 오트밀 최소 0.007%; §347.20(a)(4)에 따라 미네랄 오일과 조합하여 최소 0.003%,
(g)디메티콘, 1∼30% (h)글리세린 20∼45%
(i)경질 지방(hard fat), 50∼100%
(j)고령토 4∼20% (k) 라놀린, 12.5∼50%
(l)미네랄오일 50∼100% ; §347,20(a)(4)에 따라
콜로이달 오트밀과 함께 조합하여 30∼35%
(m)바세린(petrolatum), 30∼100%, (o)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g)전형적 전분, 10∼98% (r)백색바세린, 30∼100%
(s)아연 아세테이트, 01∼2% (t)아연 카보네이트, 0.2∼20%
(u)아연 옥사이드, 1∼25%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로 미립물(particulates)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미립물로는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철 산화물, 운모(mica), 표면처리된 운모, ZnO, ZrO2, 실리카, 실리카 실리에이트, 콜로이달 실리카, 아타플가이트, 세피오라이트, 전분(예를들어 옥수수, 타피오카, 쌀), 셀로로오즈, 나이론-12, 나이론-6, 폴리에틸렌, 활석(talc), 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중합체), 견윤모(sericite), 티타늄 디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실리콘 수지, 바륨술페이트, 진흙, 셀루로즈류, 칼슘 카보네이트, 셀루로즈 아세테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실스퀴옥산(polymethy silsequioxane), 활석, 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실크파우더, 보론 나이트라이드, 라우로임 리신(lauroyl lysine), 알루미늄 전분 옥테닐 숙시네이트, 및 칼슘 전분 옥테닐숙시네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이들 하나 이상의 미립물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20%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서는 아미노벤조산, 아보벤존, 시녹세이트(cinoxate), 디옥시벤존, 호모살레이트, 메틸 안트라니레이트, 옥토크릴렌, 옥티녹스에이트(octinoxate), 옥티살레이트, 옥시벤존, 파디메이트 O, 페닐벤지미다졸 술폰산, 술이소벤존, 티타늄다이옥사이드,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 아연옥사이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와 량은 Final Over-the-Counter Drug Products Monograph on Sunscreens(Federal Register, 1999: 64: 27666-27693)에 기술된 바와 같은 FDA 승인을 받은 것들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승인된 자외선 차단제와 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임의적으로 4차 암모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4차 암모늄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쿼터니움-7, 폴리쿼터니움-10, 벤즈알코니움 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니움 메토술페이트, 세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 코카미도프로필 피지-디모니움 클로라이드(cocamidoprophy pg-dimonium chloride), 구아(guar)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모포린 락테이트, 폴리쿼터니움-33, 폴리쿼터니움-60, 폴리쿼니움-79, 쿼터니움-18 헥토라이트, 쿼터니움-79 가수분해실크, 쿼터니움-79 가수분해 콩단백질, 레이프씨드(rape seed) 아미도프로필 에틸디모니움 에토술페이트, 실리콘 쿼터니움-7, 스테아르알코니움클로라이드, 팔미트아미도프로필트리모니움 클로라이드, 부틸글루코사이드,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라우르디모니움히드록시프로필데실글루코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인위생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4차 물질을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20%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개인위생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계면(표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적절한 계면 활성제의 특정예는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으며 개인위생조성물과 물휴지에 편입하기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01∼20%함유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개인위생조성물은 부가적으로 약학 조성물에서 통상 발견되는 보조성분을 그 분야에서 확립된 방법과 수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조성물은 항균제, 산화방지제, 항기생충제, 진양약(antipruritics), 항진균제, 방부제, 생물학적 활성제, 아스트린젠트, 각질용해제, 극소마취제, 항-스팅깅제(anti-stinging agents), 적화방지제(anti-reddening agents), 피부진정제 및 이들의 조합같이, 병용요법을 위한 부가적인 혼화성 의학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첨가제로는 착색제, 탈취제, 향수, 방향제, 에멀션화제, 윤활제, 천연보습제, 피부 컨디셔닝제, 피부보호제 및 기타 피부이익제(예를들어 알로에베라 같은 추출물과 펩타이드 같은 노화방지제) 용제, 가용화제, 서스펜션화제, 습윤제(wetting-agent), 보습제, 보존제, 추진제, pH조절제, 완충제 및 완충시스템, 염료 및/또는 안료,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개인위생조성물 및 기질/물품은 여기에 개시된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 변형이 가능하며, 여기에 개시된 모든 것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예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는, 테르펜알콜을 함유한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로 배합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A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30.5%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Florasun 90 Helianthus Annus(해바라기) 오일 2.5%
멘톨(menthol) 멘톨 5.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A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멘톨, 테르펜알콜성분 및 해바라기 오일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A의 pH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표 1에 기술된 실시예 조성물 A는 공정 동안 자발적으로 거품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테이블 상면 같은 무생물 표면상이나 플라스틱 평량보트내로 놓을때 그 응집성을 유지하였다.
손에 놓고 문지렀을때, 조성물 A는 피부온도에서 비등하는 휘발성 Cosmetic Fluid에 의해 거품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통해 부글부글 끓었다.
실시예2( 비교예 )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을 함유한 오일상 없이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 조성물B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30.55%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27%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비교 조성물B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상기 계면활성 상에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비교 조성물B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비교 조성물 B는 혼합 공정 동안 자발적으로 거품을 형성하였다.
조성물 공정 완료시, 이 조성물은 응집력을 유지하지 못했으며 지속적으로 발포를 형성하였다. 이같이, 조성물내에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부유시키고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 성분을 갖는 오일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3( 비교예 )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을 함유하는 오일상 없이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 상을 보다 적은량으로 포함시켰다.
조성물 성분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조성물C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49.65%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7%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비교 조성물C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비교 조성물 C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비교 조성물 C는 혼합 공정 동안 그리고 공정 후 자발적으로 발포를 형성하였다. 조성물은 보다 늦은 속도로 발포하였으나 안정화되지는 않았다. 이는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혼합물을 보다 적게 사용할 때라도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데는 테르펜알콜성분을 갖는 오일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4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과 오일상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오일상은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을 갖는 성분을 갖지 않았다. 조성성분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조성물D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30.5%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Florasun 90 Helianthus Annus(해바라기) 오일 7.5%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비교 조성물D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 해바라기 오일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D의 pH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비교 조성물D는 혼합과정중이나 혼합 후 안정되지 않았다. 기밀 용기내에 재치했을때, 로션형상을 유지했으나, 헤드스페이스가 공기에 노출되자마자 조성물은 자발적으로 끓기 시작했다. 이같이 비교조성물 D는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는 오일상이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 구조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5 -7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농도의 테르펜알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E-G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q.a. 100까지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Florasun 90 Helianthus Annus(해바라기) 오일 2.5%
멘톨(menthol) 멘톨 X%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E,F,G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멘톨, 테르펜알콜성분, 을 중량비 0.5%, 1.0% 및 2.5%(각각 조성물 E,F,G)로 해바라기 오일에 부가하고, 그리고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 E,F 및 G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보다 낮은 농도의 멘톨을 갖는 3가지 조성물E, F 및 G 어느 것도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안정화시킴에 있어서 5% 멘톨을 함유한 실시 조성물 A와 같은 성능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같이, 테르펜알콜의 량이 보다 적은 조성물에서는 테르펜알콜에 대하여 용량의존 반응이 있어 테르펜알콜량이 보다 높은 경우 보다 약간의 응집력 상실과 초기 자발적 발포발생이 보다 빨리 일어남을 보여 주었다.
보다 낮은 농도의 테르펜알콜이 여전히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안정화시키기는 하나, 테르펜알콜에 대한 플루오르화 화합물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약 4:1이 되는 경우 시스템을 가장 안정화시켰다.
실시예8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 테르펜알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H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28%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페퍼민트오일 페퍼민트오일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H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45% 중량% 멘톨을 포함하는 페퍼민트오일, 테르펜알콜성분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무H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표 6에 기술된 조성물 H는 혼합과정동안 아무런 불안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제조물이 비커에 있을때 조성물H는 자발적인 발포을 형성하지 않았을 뿐만아니라 표면에 있을때도 발포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 제조물을 따뜻한 손에 놓고 천천히 비볐을때 발포가 발생되었다.
실시예9
본 실시예에서는, 멘톨과 비슷한 형태의 테르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7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I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30.5%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D-리모넨(Limonene) D-리모넨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I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 리모넨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I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4.7로 조정하였다.
표 7에 기술된 실시조성물 I는 혼합과정도중 및 혼합 후 모두 불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조성물이 제조되었을때 비이커내에는 자발적인 발포가 보였다. 또한 조성물을 비생물체 표면에 인가하고 몇분을 방치했을때 지속적인 발포가 보였다. 이같이, 어떤 테르펜은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로화된 화합물을 안정화시킬 수 없었다.
실시예10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J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28%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라벤더오일 라벤더오일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J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 ,라벤더오일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라벤더오일의 주성분은 리나로올(linalool), 테르펜알콜, 및 리나릴아세테이트이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J의 pH를 필요에 따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4.7로 조정하였다.
표 8에 기술된 실시조성물 J는 아주 두껍게 되었으며 공정동안 및 대기압하에서 방치되는 경우 모두 플루오로카본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킨 큰 겔덩어리 형상이었다.
이 겔조성물은 사용시 손에서 현저한 량의 자발적 거품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플루오로카본/이센셜오일 모두는 계면활성제 메트릭스내에 갇혀있지는 않았으며, 갇혀있지않는 부분은 조성물의 겔화된 부위 주위에 축적되었다. 전 제조공정을 통하여 자발적 발포형성을 보이지 않았다.
리나로올과 리나릴 아세테이트는 모두 선형구조이며 나머지 성분들과 같이 링(고리)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은 안정화 메커니즘에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링구조보다 원래 덜 극성이다.
이와같이 테르펜알콜의 구조는 어떠한 형태일 수 있으나, 링구조를 갖는 테르펜알콜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11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K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28%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차나무오일 차나무오일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K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차나무(tea tree)오일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차나무오일의 주성분은 테르피넨-4-올(terpinen-4-ol), 테르펜알콜 및
Figure 112011045564886-pct00001
-테르피넨이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A의 pH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3.5∼4.7로 조정하였다.
표 9에 기술된 실시 조성물K는 pH가 3.5∼4.7사이로 될 때가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조정됨에 따라, 조성물은 반투명 회색외관을 띄었으며 비이커 내에서 자발적발포를 중단하였다.
이 조성물은 비이커내에서나 혹은 비생물적 표면에 적용시 자발적 발포 형태를 나타내지 않았다. 손에 적용하고 비볐을때 약간의 발포가 발생되었으나 시험한 다른 안정된 조성물만큼 많지는 않았다.
어느 이론에 기초한 것은 아니지만, 차나무 오일내에 몇몇 성분들이 pH조정에 따라 알콜형태로 양자 첨가되고 이에 따라 pH가 낮게 조정됨에 따라 조성물이 안정된 거품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12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을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L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28%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유카립투스오일 유카립투스오일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실시예 조성물L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유카립투스 오일을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유카립투스오일의 주성분은 1,8-시네올(cineole)이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L의 pH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3.5∼4.7로 조정하였다.
표 10에 기술된 실시조성물 L은 괜찮았으나, pH가 4.7로 조정됨에 따라 안정화 거동이 보다 확충되었다. 이 조성물은 pH가 조정됨에 따라 크림색을 띤 백색으로 부터 오렌지색으로 반투명 형상으로 되었다.
이 조성물은 비이커내에서나 표면에 놓았을 때, pH조정에 따른 불안정성 징조는 보이지 않았다. 어떠한 이론에 근거한 것은 아니나, 이는 테르페노이드, 1,8-시네올이 알콜형태로 양자 부가되어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서스펜딩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손에 놓았을 때 자발적 발포가 발생되었다.
실시예13( 비교예 )
본 실시예에서는,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를 갖는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 조성물M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28%
구조 XL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 3.0%
Xantan Gum Xanthan Gum 0.35%
Ultragel 300 폴리쿼터니움-37 0.1%
글리세린 글리세린 1.0%
Miracare SLB 205 물, 소디움트리데세스 술페이트, 소디움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소디움 크로라이드, 메틸이소티아 졸리논 35%
3M Cosmetic Fluid CF-76 에틸 퍼플루오로 부틸에테르, 에틸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10%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0.05%
소디움 벤조에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0.5%
소디움 클로라이드 소디움 클로라이드 2.5%
시트르산 시트르산 q.s. pH 4.7
비교 조성물M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폴리커터니움-37을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히드록시프로필 전분 포스페이트를 부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그 후 크산탄 검(xanthan gum)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가지 혼합하였다.
그 후 구조 계면활성제 혼합물, Miracare SLB 205, 을 부가하고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여 계면활성제 상(surfactant phase)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를 부틸레이트화 히드록시톨루엔에 부가하고 그 부틸레이트화된 히드록시톨루엔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여(필요하면 50℃까지 가열) 오일상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오일상을 상기 계면활성제 상에 부가하였다.
그 후, Cosmetic Fluid, 염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첨가한 다음, 그 결과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조성물M의 pH를 시트르산을 이용하여 약 3.5∼4.7로 조정하였다.
비교 조성물 M은 시료가 플루오로카본 유체와 혼화적인 것으로 알려진 에스테르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로 제조됨에 따라 보여진 결과 최소 부분적으로 풀루오르화된 화합물에 혼화성오일을 단지 첨가하는 결과는 아니라는 것을 예시한다.
제조동안 조성물은 자발적으로 발포하였다. 조성물이 제조된 후, 이 산물은 비이커뿐만 아니라 비생물적 표면에 적용될 때에도 계속하여 발포하였다.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의 첨가에 기인하여 조성물이 불안정하였다.
실시예14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하나의 테르펜알콜을 함유한 오일상과 최소 부분적으로 플로오르화된 화합물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을 에멀션화제의 존재하에 제조하였다. 조성성분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 조성물N
명칭 INCI 명칭 조성 중량%
70.05%
Viscarin SD 389 카라기난(carrageenan) 0.4%
TIC 사전수화처리된
Xanthan Gum
Xanthan Gum 0.05%
3M CF 76 Cosmetic Fluid 에틸 퍼플루오로부틸에테르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테르
19.5%
멘톨 멘톨 5%
Velvetex BA 35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5%
실시예 조성물N을 제조하기 위하여, 용기에 물을 첨가하였다. 그 후 카라기난 및 크산탄 검을 부가하고 물과 함께 균일하게 될 때까지 40℃에서 혼합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멘톨에 코스메틱유도체(cosmetic fluid)를 부가하고, 그 결과물을 40℃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상기 2가지 성분을 천천히 함께 혼합하였다. 천천히 혼합하면서, 에멀션화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을 그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실시 조성물 N은 에멀션화제가 첨가될 때까지 반투명이었다. 첨가시, 이 배합물은 로션형태로 되었다. 이 배합물은 여러시간에 걸쳐 휘발성 성분의 가시적 분리없이 이 외관을 유지하였다.
벤치탑(bench top)에서 약 60시간 방치후, 이 조성물N은 여전히 로션형태를 가졌으며, 비이커 바닥에 약간의 휘발성성분 분리가 있었다.
비이커 상부로부터 실시조성물N을 손에 놓고 비볐더니, 자발적 발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에멀션화제내의 멘톨에 의해 최소 부분적으로 풀르오르화된 화합물이 안정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그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 할 것이다.

Claims (24)

  1. 캐리어;
    최소 하나의 테르펜알콜 성분을 함유한 오일상(oil phase);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배합물 내에서 안정한,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2.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리나로올(linalool),게라니올(geraniol),시트로넬롤(citronellol), 네롤(nerol),α-테르펜 알콜, 보르네올(borneol), 테르피넨-4-올, 리모넨-4-올, 카베올(carveol), 라반둘롤(lavandulol), 멘톨(menthol), 8-p-시메놀, 피나놀, 디하이드로미르세놀(dihydromyrcenol), 미르세놀, 디하이드로리나로올(dihydrolinalool), 이소멘톨(isomenthol), 네오멘톨,이소푸레골(isopulegol), 트랜스-p-멘탄-3,8-디올, 이소보르네올, 그로불롤(globulol), 세드롤, 멘트-1-엔-9-올(menth-1-en-9-ol), 소브레롤(sobrerol), 움벨루롤(umbellulol), 네로리돌(nerolidol), 피나네디올, 파르네졸(farnesol), 프렌치일(frenchyl) 알콜, 유제놀(eugenol), 피톨(phytol), 이소피톨, 피탄트리올,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3.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멘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4.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20% 테르펜 알콜성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5. 1항에 있어서, 상기 테프렌 알콜성분은 링(ring)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6. 1항에 있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은 테르펜 알콜성분으로 변환된 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7. 6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페노이드는 상기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에 산을 부가함으로서 테르펜 알콜로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8.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은 에틸 퍼플루오로이소부틸 에테르, 에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 이소부틸 에테르, 메틸 퍼플루오로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헥산, 퍼플루오로헵탄, 퍼플루오로헥실에틸 디메틸부틸 에테르, 퍼플루오로디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메틸시클로펜탄, 퍼플루오로시클로헥실 메탄올, 및 그 조합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9.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5%∼40%의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0.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에 대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의 중량비는 2:1-40: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1.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알콜성분에 대한 상기 최소 부분적으로 플루오로화된 화합물의 중량비는 4: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구조계면활성제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6. 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최소 하나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최소 하나의 전해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7.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계면활성제는 최소 하나의 알카놀아미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8.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개인위생조성물.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17013793A 2008-12-16 2009-11-22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KR101500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36,297 2008-12-16
US12/336,297 US8846063B2 (en) 2008-12-16 2008-12-16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volatile and a terpene alcohol
PCT/IB2009/055269 WO2010070501A2 (en) 2008-12-16 2009-11-22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 volatile and a terpene alcoh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336A KR20110102336A (ko) 2011-09-16
KR101500991B1 true KR101500991B1 (ko) 2015-03-10

Family

ID=4224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793A KR101500991B1 (ko) 2008-12-16 2009-11-22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46063B2 (ko)
KR (1) KR101500991B1 (ko)
AU (1) AU2009329147B2 (ko)
BR (1) BRPI0917754B1 (ko)
CO (1) CO6440552A2 (ko)
CR (1) CR20110259A (ko)
MX (1) MX2011005082A (ko)
RU (1) RU2543644C2 (ko)
WO (1) WO20100705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6029B1 (fr) * 2010-02-09 2012-06-01 Fabre Pierre Dermo Cosmetique Composition cosmetique, en particulier shampoing pour cheveux crepus et/ou tres secs
ITRC20120007A1 (it) * 2012-04-10 2013-10-11 Russo Maria Schiuma ad uso flebologico
US8481480B1 (en) 2012-04-30 2013-07-09 Uyen T. Lam Anti-adherent formulation including a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and a fatty alcohol
JP6083993B2 (ja) * 2012-09-07 2017-02-22 ノーベル化学宏業株式会社 発泡性の1剤式二酸化炭素外用剤
US8697043B1 (en) 2013-01-08 2014-04-15 Chattem, Inc. Odor suppression of volatile organic analgesic compounds and method of use
KR101614803B1 (ko) * 2014-03-18 2016-04-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자가 발포 기능을 갖는 클렌징용 마스크시트형 화장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303043A1 (en) * 2015-04-16 2016-10-20 Kate Somerville Skincare, LLC Self-foam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313369B1 (en) * 2015-08-04 2020-07-15 Eupharma Pty Ltd Emollient composition
CN107397686A (zh) * 2017-07-19 2017-11-28 广州欧慕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自发泡组合物及其应用
US11617727B2 (en) 2019-04-30 2023-04-04 Bayer Healthcare Llc Topical analgesic gel compositions
KR102495748B1 (ko) * 2020-09-08 2023-02-06 주식회사 블리스팩 고내상 수중유형 유화 알코올계 손소독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982B1 (en) * 1998-08-04 2001-12-1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Cool feeling composition
US20140136916A1 (en) * 2011-12-08 2014-05-15 Arteris SAS Differential formatting between normal and retry data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626A (en) 1885-05-12 oanfield
US1291073A (en) 1917-10-01 1919-01-14 Victoria Grace Miller Armpit-shield.
US2165359A (en) 1937-06-21 1939-07-11 Kleinert I B Rubber Co Dress shield
GB1026831A (en) 1963-05-31 1966-04-20 Mediline Ag Preparations for use in feminine hygiene
US3970766A (en) 1973-09-20 1976-07-20 General Foods Corporation Fixed volatile flavor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3987198A (en) 1973-10-16 1976-10-19 Syntex (U.S.A.) Inc. Method for lower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 in sebum using certain fatty acid amides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3997920A (en) 1975-08-19 1976-12-21 Beltx Corporation Dress shield
US4078061A (en) 1976-05-10 1978-03-07 Richardson-Merrell Inc. Method of treating acne
AT358147B (de) 1976-12-03 1980-08-25 Gergely Gerhard Reinigungsmaterial
FR2414332A1 (fr) 1978-01-13 1979-08-10 Unilever Nv Articles desodorisants a jeter apres usage
US4221600A (en) 1978-02-02 1980-09-09 Westvaco Corporation Liquid defoaming composition
DE3152893A1 (de) 1981-06-12 1983-06-16 Rorer Int Overseas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akne
NL8301550A (nl) 1983-05-03 1984-12-03 Gist Brocades Nv Imidazolethanol esters.
GB8430594D0 (en) 1984-12-04 1985-01-09 Morris B V Cleaning silver
US4631752A (en) 1985-04-19 1986-12-30 Eleanor Heyman Disposable garment shield
IL75189A (en) 1985-05-14 1988-01-31 Arie Brecher Medicated diaper
DE3738407A1 (de) 1987-11-12 1989-05-24 Henkel Kgaa Sebosuppressive topische zubereitungen
JPH01153607A (ja) 1987-12-11 1989-06-15 Kao Corp 皮膚化粧料
US4919918A (en) 1988-03-14 1990-04-24 Spectrum Consumer Products Co., Inc. Non-alcoholic mouthwash
US5322683A (en) 1989-05-01 1994-06-21 Leonard Mackles Anhydrous aerosol foam
FR2659554B1 (fr) 1990-03-16 1994-09-30 Oreal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cosmetique et/ou pharmaceutique des couches superieures de l'epiderme par application topique sur la peau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US5152925A (en) 1990-08-27 1992-10-06 Exxon Chemical Patents Inc. Polymeric defoamer compositions
CZ286149B6 (cs) 1991-09-17 2000-01-12 Sonus Pharmaceuticals, Inc. Plynná prostředí pro zvýšení kontrastnosti obrazu, získaného ultrazvukem a způsob výběru plynů pro toto použití
IL104084A (en) 1992-01-24 1996-09-12 Bracco Int Bv Sustainable aqueous suspensions of pressure-resistant and gas-filled blisters, their preparation, and contrast agents containing them
EP0652739A1 (en) 1992-07-28 1995-05-17 DowBrands Inc. An instantaneously self-foaming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and dispenser therefor
US5306439A (en) 1993-02-24 1994-04-26 Lockhart Ronald R Jewelry cleaner formulation
US5431841A (en) 1993-06-23 1995-07-11 Lockhart; Ronald R. Golf equipment cleaner formulation
PL312387A1 (en) 1993-07-02 1996-04-15 Molecular Biosystems Inc Proteinous microbeads of encapsulated non-dissolving gas and method of making them and their application as ultrasonic visualisation medium
US5855865A (en) 1993-07-02 1999-01-05 Molecular Biosystems, Inc. Method for making encapsulated gas microspheres from heat denatured protein in the absence of oxygen gas
US5443817A (en) 1993-08-23 1995-08-2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elf-foaming cleanser
AU7655194A (en) 1993-09-09 1995-03-27 Schering Aktiengesellschaft Active principles and gas containing microparticles
AT404095B (de) 1993-12-10 1998-08-25 Petritsch Erich Reinigungs- und pflegemittel für humanhaa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429815A (en) 1994-04-11 1995-07-04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single-phase self-foaming cleanser
US5551989A (en) 1994-04-15 1996-09-03 United Laboratories,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foamed liquid
GB9414574D0 (en) 1994-07-19 1994-09-0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5562893A (en) 1994-08-02 1996-10-08 Molecular Biosystems, Inc. Gas-filled microspheres with fluorine-containing shells
US5529788A (en) 1994-10-07 1996-06-25 Southland, Ltd. Enzyme containing effervescent cleaning tablet
US5674469A (en) 1995-06-07 1997-10-07 Molecular Biosystems, Inc. Gas-exchange method of making gas-filled microspheres
US5820850A (en) 1995-06-07 1998-10-13 Molecular Biosystems, Inc. Gas-filled amino acid block co-polymer microspheres useful as ultrasound contrast agents
DE19534209A1 (de) 1995-09-15 1997-03-20 Jenapharm Gmbh Hormonales Mittel zur Behandlung der Haut
US5707735A (en) 1996-03-18 1998-01-13 Midkiff; David Grant Multilobal conjugate fibers and fabrics
US6225299B1 (en) 1996-09-16 2001-05-01 Jenapharm Gmbh & Co. Kg Hormonal agent for skin treatment
US5932528A (en) 1996-09-23 1999-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hich contain an encapsulated lipophilic skin moisturizing agent comprised of relatively large droplets
US5879666A (en) 1996-10-24 1999-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odor
DE19649895A1 (de) 1996-12-02 1998-06-04 Henkel Kgaa Schäumende Körperreinigungsmittel
US5965500A (en) 1997-07-24 1999-10-12 Levers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Stable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high levels of emollients
US5993854A (en) 1997-09-17 1999-11-30 Phyzz, Inc. Exothermic effervescent composition for improved fragrance dispersion
US5911981A (en) 1997-10-24 1999-06-15 R.I.T.A. Corporation Surfactant blends for generating a stable wet foam
EP0927536A1 (de) 1997-12-19 1999-07-07 LEIFHEIT Aktiengesellschaft Wischtuch
JP3422468B2 (ja) 1998-02-24 2003-06-30 花王株式会社 皮脂選択除去方法
BR9908565A (pt) 1998-03-12 2000-12-12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e processo para reduzir a atividade enzimática de uma enzima fecal em uma parte da pele de um usuário de um artigo absorvente
JP3025673B2 (ja) 1998-05-14 2000-03-27 花王株式会社 皮脂除去方法
US20010003565A1 (en) 1998-06-30 2001-06-14 Mcosker Jocelyn Elaine Disposable applicator for skin care compositions
US6063390A (en) 1998-08-07 2000-05-16 Chesebrough-Pond's Usa Co., 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effervescent cleansing pillow
EP0987018A3 (en) 1998-08-27 2000-04-26 Givaudan Roure (International) S.A. Post-foaming shower gel
FR2784589B1 (fr) 1998-10-19 2001-01-05 Marie Claude Meyer Produit capable de transformer un produit liquide toxique, corrosif ou nuisible pour l'environnement en residu non agressif ou non nuisible
US6177092B1 (en) 1998-11-10 2001-01-23 Color Access, Inc. Self-foaming cleansing systems
AT407111B (de) 1998-12-22 2000-12-27 Gergely Dr & Co Zucker- und/oder zuckeralkoholhältiges matrix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GB9828719D0 (en) 1998-12-24 1999-02-17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6136768A (en) 1999-01-06 2000-10-24 Chem-Link Laboratories Llc Drain cleaner
US6440437B1 (en) 2000-01-24 2002-08-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s having skin health benefits
US6524594B1 (en) 1999-06-23 2003-02-25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Foaming oil gel compositions
US7115535B1 (en) 1999-08-02 2006-10-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 care articles comprising batting
US6121215A (en) 1999-08-27 2000-09-19 Phyzz, Inc. Foaming effervescent bath product
US6437040B2 (en) 1999-09-01 2002-08-20 Rhodia Chimie Water-soluble block copolymers comprising a hydrophilic block and a hydrophobic block
US6533873B1 (en) 1999-09-10 2003-03-1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uspending clear cleansing formulation
US6841393B2 (en) 1999-10-19 2005-0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lectiv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a surface using colored particles and articles having magnets
JP3532479B2 (ja) 1999-12-15 2004-05-31 株式会社小久保工業所 洗顔用泡立て具
US6713441B1 (en) 2000-03-15 2004-03-30 Chemlink Laboratories, Llc Toilet bowl cleaner
WO2001074988A1 (en) 2000-04-03 2001-10-11 Chemlink Laboratories, Llc Foaming garbage disposal sanitizer tablet and method of cleaning garbage disposals
US7820615B2 (en) 2000-05-11 2010-10-26 R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viding delayed release of a volatile solvent from hydro-alcoholic cosmetic compositions
JP2002047125A (ja) 2000-05-26 2002-02-12 Shiseido Co Ltd 皮脂分泌抑制用皮膚外用剤
US6855173B2 (en) 2000-06-05 2005-02-15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bsorbent materials to separate water from lipophilic fluid
FR2810542B1 (fr) 2000-06-23 2004-02-27 Oreal Creme cosmetique moussante
JP3822782B2 (ja) 2000-07-06 2006-09-20 三好化成株式会社 皮脂吸着性粉体及びその使用
US20020122772A1 (en) 2000-07-14 2002-09-05 Elvin Lukenbach Self foaming cleansing gel
US6916468B2 (en) 2000-12-14 2005-07-12 The Gillette Company Post-foaming shave gel
WO2002056728A1 (en) 2001-01-18 2002-07-25 Chemlink Laboratories, Llc Toilet bowl cleaner effervescent tablet
US6863933B2 (en) 2001-01-30 2005-03-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of hydrophilizing materials
US6638611B2 (en) 2001-02-09 2003-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purpose cosmetic wipes
US6491896B1 (en) 2001-03-19 2002-12-1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Polybutene containing denture cleanser compositions
DE10114419B4 (de) 2001-03-23 2004-11-18 Battenfeld Gmbh Verfahren zum Spritzgießen von mindestens einen Hohlraum aufweisenden Formteilen
US6674172B2 (en) * 2001-05-08 2004-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ip-chip package with underfill having low density filler
US20020192268A1 (en) 2001-06-19 2002-12-19 Alwattari Ali Abdelaziz Substrates utilizing shear responsive micropockets for storage and delivery of substances
US6499901B1 (en) 2001-06-25 2002-12-31 Shahrokh Rabbani Washcloth that makes bubbles
US20030083210A1 (en) 2001-08-24 2003-05-01 Unilever Home And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Lamellar post 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and dispensing system
US20030103922A1 (en) * 2001-11-20 2003-06-05 Avon Products, Inc. Renewable textured cosmetic compositions
CA2471043C (en) 2001-12-21 2012-06-19 Rhodia Inc. Stable surfactant compositions for suspending components
US6583103B1 (en) 2002-08-09 2003-06-24 S.C. Johnson & Son, Inc. Two part cleaning formula resulting in an effervescent liquid
US20040136864A1 (en) 2003-01-10 2004-07-15 Barham William L. Treatment of dentures at elevated pressure
CN1997335A (zh) 2004-04-15 2007-07-11 罗迪亚公司 结构化表面活性剂组合物
US20060135627A1 (en) 2004-08-17 2006-06-22 Seren Frantz Structured surfactant compositions
WO2006127394A2 (en) 2005-05-20 2006-11-30 Rhodia Inc. Structured surfactant compositions
EP1988985B1 (en) 2005-06-24 2013-08-07 Rhodia, Inc. Structured surfactant compositions
US8815224B2 (en) 2005-12-21 2014-08-26 Avon Products, Inc Hair treatment compositions
US20070148101A1 (en) 2005-12-28 2007-06-28 Marcia Snyder Foamable alcoholic composition
JP2008018644A (ja) * 2006-07-14 2008-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WO2008039440A1 (en) 2006-09-26 2008-04-03 Rhodia Inc. Structured surfactant system
US8039011B2 (en) 2006-10-10 2011-10-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ooling compositions
JP2008189644A (ja) 2007-02-01 2008-08-21 Supplement Co Ltd 自己発泡可能な皮膚清浄剤組成物
US20090036856A1 (en) 2007-07-31 2009-02-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iggerable self-generating liquid foam barrier/intercep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8982B1 (en) * 1998-08-04 2001-12-1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Cool feeling composition
US20140136916A1 (en) * 2011-12-08 2014-05-15 Arteris SAS Differential formatting between normal and retry data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0501A3 (en) 2010-09-30
BRPI0917754B1 (pt) 2019-12-03
BRPI0917754A2 (pt) 2019-03-19
AU2009329147A1 (en) 2010-06-24
AU2009329147B2 (en) 2015-02-05
US20100150971A1 (en) 2010-06-17
CO6440552A2 (es) 2012-05-15
MX2011005082A (es) 2011-05-30
RU2543644C2 (ru) 2015-03-10
US8846063B2 (en) 2014-09-30
CR20110259A (es) 2011-07-04
KR20110102336A (ko) 2011-09-16
WO2010070501A2 (en) 2010-06-24
RU2011129390A (ru) 201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991B1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US9855199B2 (en) Cosmetic base composition and its use
TWI379692B (en) Oil-in-water emulsified composition
CA2754023C (en) Thickening additive compositions
JP2003226609A (ja) ラノリン類似組成物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CA2572636C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improved hyposensitivity
JP3894064B2 (ja) 油性増粘ゲル状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法
WO2007039974A1 (ja) 乳剤性ローション剤
US7615231B2 (en) Methods for enhancing the morphology, tone, texture and/or appearance of skin or hair using a meadowlactone
JP4573383B2 (ja) 化粧用油剤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WO2024083001A1 (zh) 稳态双层型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2000239139A (ja) 皮膚化粧料
JP7298863B2 (ja) 乳化化粧料
JP5777859B2 (ja) 乳化組成物
US9006169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improved hyposensitivity
JP2000344697A (ja) 長鎖分岐アルコ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及び外用剤
JP7215377B2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2011126821A (ja) 洗い流さないタイプの毛髪化粧料
EP4252860A1 (en) Anhydrous formulations suitable as lip balms
JPH09164327A (ja) 乳化組成物
US20230338268A1 (en) Ethylcellulos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972345B2 (ja) 水中油型化粧料用組成物
JP6470999B2 (ja) 化粧料
WO2022181744A1 (ja) リポソーム組成物
JPH01294615A (ja) 2層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