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300B1 - 산업용 로보트 - Google Patents

산업용 로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300B1
KR101498300B1 KR1020090065375A KR20090065375A KR101498300B1 KR 101498300 B1 KR101498300 B1 KR 101498300B1 KR 1020090065375 A KR1020090065375 A KR 1020090065375A KR 20090065375 A KR20090065375 A KR 20090065375A KR 101498300 B1 KR101498300 B1 KR 10149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riving
down driving
rac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486A (ko
Inventor
다카유키 야자와
준노스케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25J9/0021All motors in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07Arms the end effector rotating around a fixed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25J9/1035Pinion and fixed rack drivers, e.g. for rotating an upper arm support on the robot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Abstract

<과제> 대형화하는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로보트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산업용 로보트는 반송대상물이 탑재되는 핸드와, 핸드가 선단 측에 연결되는 암과, 암의 기단(基端) 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산업용 로보트는 지지부재(7)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기구(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하구동기구(16)는 복수의 구동용 모터(2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로보트{INDUSTRIAL ROBOT}
본 발명은 소정의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정의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보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산업용 로보트로서, 반송대상물이 탑재되는 핸드(hand)와, 핸드를 유지하는 암(arm)과, 암을 상하이동시키는 볼나사(ball screw)를 구비하는 산업용 로보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산업용 로보트에서는 볼나사에 1대의 모터가 연결되어 있고, 볼나사는 1대의 모터로 구동되고 있다.
또,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보트는 아니지만, 로보트의 본체 부분을 탑재하는 베이스가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산업용 로보트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산업용 로보트는 베이스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랙(rack) 및 피니언(pinion)과, 피니언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1대의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6-10288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6-106487호 공보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 등과 같이, 산업용 로보트에 의해서 반송되는 반송대상물 중에는, 매년, 대형화하는 것이 있다. 이 반송대상물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대형화하는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보트는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다. 또, 산업용 로보트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산업용 로보트의 코스트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대형화하는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로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산업용 로보트는 반송대상물이 탑재되는 핸드(hand)와, 핸드가 연결되는 암(arm)과, 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주상(柱狀)부재와, 지지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하구동기구는,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와, 상하구동기구를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크 기구와, 주상부재에 고정되는 상하구동용 랙(rack)과, 상하구동용 랙과 치합(齒合)하는 복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pinion)과, 복수의 감속기를 구비하며, 상하구동용 피니언은,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되고, 브레이크 기구는, 감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송대상물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상하구동기구에서 요구되는 상하구동용 모터의 총용량이 커진다. 그 때문에,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로 상하구동기구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체격이 큰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산업용 로보트가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산업용 로보트에서는 상하구동기구가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구동기구에서 요구되는 구동용 모터의 총용량이 큰 경우라도 체격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체격이 큰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체격이 작은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구동용 모터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큰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로보트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하구동용 모터의 용량이 소정 용량을 넘으면, 상하구동용 모터의 가격은 급격하게 높아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용량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산업용 로보트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량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상하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톱니바퀴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하구동기구가 상하구동기구를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1개의 브레이크 기구가 파손되어도 다른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서 상하구동기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큰 반송대상물이라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복수의 브레이크 기구를 단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하구동기구의 급제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핸드로부터의 반송대상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구동을 실시하는 경우, 반송대상물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대형화하는 산업용 로보트에서는 랙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복수의 랙편을 이어 맞춤으로써 랙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랙에는 랙편끼리의 이음매가 생기고, 이 이음매 부분에서는 랙편의 조립정밀도에 기인하여, 랙에 형성되는 톱니의 피치가 어긋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랙편의 이음매에서도 본래, 랙의 톱니와 피니언의 톱니가 복수 치합해야 됨에도 불구하고, 랙편의 이음매에서, 예를 들어, 랙의 톱니와 피니언의 톱니가 1매밖에 치합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구동기구가 상하구동용 랙과 치합하는 복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랙편의 이음매에서 상하구동용 랙의 톱니와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톱니가 1매밖에 치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해도, 다른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복수의 톱니와 상하구동용 랙의 복수의 톱니를 치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상하구동용 랙의 톱니 및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톱니에 과잉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상하구동용 랙 및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구성을 간소화해도 상하구동용 랙 및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상하구동용 피니언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감속기의 작용으로 상하구동용 랙과 치합하는 상하구동용 피니언에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하구동기구는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브레이크 기구와,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과,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감속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각각은 복수 상하구동용 모터의 각각의 출력축에 고정되며, 복수의 브레이크 기구는 복수의 감속기 각각의 출력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 각각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기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개별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각의 상하구동용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상하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이 상하구동용 랙과 치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톱니와 상하구동용 랙의 톱니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치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상하구동용 피니언 및 상하구동용 랙의 손상을 억제하여 상하구동기구로 지지부재를 적절히 상하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산업용 로보트는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수평구동기구는 복수의 수평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평구동기구에서 요구되는 수평구동용 모터의 총용량이 큰 경우에도, 체격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격이 큰 1대의 수평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체격이 작은 복수의 수평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평구동용 모터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큰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로보트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평구동용 모터의 용량이 소정 용량을 넘으면, 수평구동용 모터의 가격은 급격하게 높아지지만,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량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수평구동용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산업용 로보트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량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 대의 수평구동용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톱니바퀴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산업용 로보트는 주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수평구동기구는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수평구동용 랙과, 수평구동용 랙과 치합하는 복수의 수평구동용 피니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령, 랙편의 이음매에서 수평구동용 랙의 톱니와 수평 구동용 피니언의 톱니가 1매밖에 치합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다른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복수의 톱니와 수평구동용 랙의 복수의 톱니를 치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수평구동용 랙의 톱니 및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톱니에 과잉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수평구동용 랙 및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구성을 간소화하여도 수평구동용 랙 및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구동기구는 수평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수평구동용 피니언을 구비하고, 복수의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각각은 복수의 수평구동용 모터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각의 수평구동용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수평구동용 피니언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수평구동용 피니언이 수평구동용 랙과 치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톱니와 수평구동용 랙의 톱니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치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수평구동용 피니언 및 수평구동용 랙의 손상을 억제하여, 수평구동기구로 지지부재를 적절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산업용 로보트는, 상하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지지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하며, 회전구동기구는, 복수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구동기구에서 요구되는 회전구동용 모터의 총용량이 큰 경우에도, 체격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체격이 큰 1대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체격이 작은 복수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전구동용 모터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큰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산업용 로보트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구동용 모터의 용량이 소정 용량을 넘으면, 회전구동용 모터의 가격은 급격하게 높아지지만,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량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회전구동용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산업용 로보트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용량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 대의 수평구동용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회전구동용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톱니바퀴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산업용 로보트에서는 대형화하는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산업용 로보트를 소형화하는 것 및 산업용 로보트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산업용 로보트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산업용 로보트(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방향으로부터 산업용 로보트(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F-F방향에서 산업용 로보트(1)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형태의 산업용 로보트(1)(이하, 「로보트(1)」로 한다.)는 반송대상물인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기판(2)(이하, 「기판(2)」으로 한다.)을 반송하기 위한 로보트이다. 본 형태의 로보트(1)는 특히 대형 기판(2)의 반송에 적절한 대형 로보트로서, 예를 들어, 1변이 약 3m의 대략 정방형(正方形) 모양의 기판(2)을 반송한다. 또한, 반송대상물은 기판(2)으로 한정되지 않고, 반도체 웨이퍼 등이라도 된다.
이 로보트(1)는, 도 1 ~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이 탑재되는 2개의 핸드(3)와, 2개의 핸드(3)의 각각이 선단 측에 연결되는 2개의 암(4)과, 2개의 암(4)을 지지하는 본체부(5)와, 본체부(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5)는 2개의 암(4)의 기단(基端) 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이동가능한 지지부재(7)와, 지지부재(7)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주상부재(8)와, 본체부(5)의 하단 부분을 구성함과 동시에 베이스부재(6)에 대해서 수평이동가능한 기대(基臺)(9)와, 주상부재(8)의 하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기대(9)에 대해서 선회(旋回)가능한 선회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주상부재(8)는 지지부재(7)를 지지하는 본체부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로보트(1)는 대형 로보트이다. 예를 들어, 로보트(1)의 높이는 약 7m이고, 지지부재(7)의 상하방향의 스트로크(이동량)는 약 5m이다. 또, 예를 들어, 핸드(3)의 수평방향의 스트로크는 약 5.5m이다.
핸드(3)는 기판(2)을 탑재하기 위한 복수의 손톱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드(3)의 기단은 암(4)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4)은 2개의 관절부(13)를 가지고, 전체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암(4)의 기단은 지지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핸드(3)와 2개의 암(4)이 상하방향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형태의 로보트(1)는 더블 암 타입의 로보트이다. 또한, 로보트(1)는 1개의 핸드(3)와 1개의 암(4)을 구비하는 싱글 암 타입의 로보트라도 된다.
또, 로보트(1)는 지지부재(7)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기구(16)(도 4 참조)와, 본체부(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기구(17)(도 7 참조)와, 기대(9)에 대해서 선회부재(10)를 선회시키는 회전구동기구(18)(도 7 참조)를 구비하 고 있다. 이하,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의 구성 및 그 주변 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하구동기구 및 그 주변부의 구성)
도 4는 도 1의 F-F방향에서 지지부재(7) 및 상하구동기구(16)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4의 G-G방향에서 지지부재(7), 주상부재(8) 및 상하구동기구(16)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4의 H-H방향에서 상하구동기구(16)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하구동기구(1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부재(8)의 측방(도 5에서의 주상부재(8)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하구동기구(16)는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와,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의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감속기(2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 2개의 감속기(21) 및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가 위로부터 이 순번(順番)으로 지지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하구동기구(16)는 2개의 감속기(21)의 각각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상하구동용 피니언으로서의 2개의 피니언(작은 톱니바퀴)(22)과, 2개의 피니언(22)과 치합하는 상하구동용 랙으로서의 랙(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2개의 피니언(22)과 랙(23)에 의해서, 지지부재(7)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하구동기구(16)는 상하구동기구(16)를 정지시키기 위한(즉, 지지부재(7)를 정지시키기 위한)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로보트(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7)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25)는 가이드 레일(26)과 가이드 레일(26)에 걸어 맞추는 가이드 블록(2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상부재(8)는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대략 각주상(角柱狀)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7)는 블록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하구동용 모터(20)는 상하구동용 모터(2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속도검출기구는, 예를 들어,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슬릿판과, 슬릿판을 끼운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출력축에는 풀리(28)가 고정되어 있다. 또, 감속기(21)의 입력축에는 풀리(28)보다 지름의 큰 풀리(29)가 고정되어 있다. 풀리(28, 29)에는 벨트(30)가 걸쳐져 있고, 상하방향으로 인접배치되는 상하구동용 모터(20)와 감속기(21)가 이 벨트(3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랙(23)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서 주상부재(8)에 고정되어 있다(도 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지지부재(7)의 상하방향의 스트로크가 길다. 즉, 랙(23)의 길이는 길다. 그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랙(23)은 복수의 랙편을 이어 맞추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랙편의 길이는 2개의 피니언(22)의 배치 피치보다 길게 되어 있다.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29)에 인접하도록 감속기(21)의 입력축에 장착되어 있다. 즉,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각각은 풀리(28, 29) 및 벨트(30)를 통하여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의 각각 에 연결되어 있다.
이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는 이른바 무여자(無勵磁) 작동형 브레이크이며, 코일이 수납되는 케이스체와, 케이스체에 고정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케이스체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아마츄어(amateur)와, 사이드 플레이트와 아마츄어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감속기(21)의 입력축에 고정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아마츄어를 브레이크 디스크로 향하여 가압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에서는 코일이 통전(通電) 상태가 되면, 아마츄어가 케이스체에 흡인(吸引)되어 브레이크 디스크가 해방된다. 또, 코일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압축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아마츄어와 사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끼워져 감속기(21)에 급격하게 브레이크가 걸린다. 또한, 1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는 기판(2), 핸드(3), 암(4) 및 지지부재(7) 등을 포함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충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제동력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레일(26)은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서 주상부재(8)에 고정되어 있다(도 5 참조). 본 형태에서는 2개의 가이드 레일(26)이 주상부재(8)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좌우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주상부재(8)의 장착면의 각각에 가이드 레일(26)이 고정되어 있다. 또,도 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26)은 랙(23)에 인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27)은 지지부재(7)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재(7)의 암(4)의 고정면(도 5의 우단면)에 직교하는 면에 가이드 블록(27)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블록(27)은 도 5의 상하방향의 외측으로부터 가이드 레일(26)에 걸어 맞춰져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상부재(8)에 커버부재(31)가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부재(31)는 도 5의 상하방향에서 가이드 레일(26)을 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평구동기구 및 그 주변부의 구성)
도 7은 도 2의 J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3의 K-K방향에서 수평구동기구(17) 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도 8의 L-L방향에서 수평구동기구(17)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수평구동기구(1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에서의 기대(9)의 좌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수평구동기구(17)는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는 도 8의 좌우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각각은 기대(9)에 고정된 2개의 브래킷(52)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2개의 브래킷(52)의 각각에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53)이 베어링(5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2개의 회전축(53)은 도 8의 좌우방향에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수평구동기구(17)는 2개의 회전축(53)의 각각의 하단에 고정되는 수평구동용 피니언으로서의 2개의 피니언(42)과, 2개의 피니언(42)과 치합하는 수평구동용 랙으로서의 랙(43)을 구비하고 있다. 이 2개의 피니언(42)과 랙(43)에 의해서, 기대(9)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수평구동기구(17)는 수평구동기구(17)를 정지시키기 위한(즉, 기대(9)를 정지시키기 위한)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또, 로보트(1)는 기대(9)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부(45)는 가이드 레일(46)과 가이드 레일(46)에 걸어 맞추는 가이드 블록(4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재(6)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2개의 레일모양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일모양 부재(51)는 도 7의 좌우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수평구동용 모터(40)는 수평구동용 모터(4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속도검출기구는, 예를 들어,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슬릿판과, 슬릿판을 끼운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출력축에는 풀리(48)가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축(53)의 상단 측에는 풀리(48)보다 지름이 큰 풀리(49)가 고정되어 있다. 풀리(48, 49)에는 벨트(50)가 걸쳐져 있고, 도 8의 상하방향에서 인접배치되는 수평구동용 모터(40)와 회전축(53)이 이 벨트(50)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랙(43)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모양 부재(5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기대(9)의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랙(43)의 길이는 길다. 그 때문에, 랙(43)은 복수의 랙편을 이어 맞추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리(48)에 인접하 도록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다. 이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는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무여자 작동형의 브레이크이며,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에서는, 코일이 통전 상태가 되면, 아마츄어가 케이스체에 흡인되어 브레이크 디스크가 해방된다. 또, 코일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압축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아마츄어와 사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끼워져 수평구동용 모터(40)에 급격하게 브레이크가 걸린다.
가이드 레일(46)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모양 부재(51)의 상면에 고정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레일모양 부재(51)의 각각의 상면에 가이드 레일(46)이 고정되어 있다. 또, 도 8의 위쪽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6)은 랙(43)에 인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47)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의 좌우방향에서의 기대(9)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블록(47)은 위쪽으로부터 가이드 레일(46)에 걸어 맞춰져 있다.
(회전구동기구 및 그 주변부분의 구성)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선회부재(10)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M-M단면의 단면도이다.
회전구동기구(18)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부재(10)의 선회중심이 되는 중심축(CL)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구동기구(18)는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는 중심축(CL)에 대해서 점대칭에 배치되며, 선회부재(10)의 중 심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구동기구(18)는 선회부재(1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감속기(6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구동기구(18)는 회전구동기구(18)를 정지시키기 위한(즉, 선회부재(10)를 정지시키기 위한) 1개의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회부재(10)는 가늘고 긴 블록 모양의 부재이며, 일단 측(도 10의 좌단 측)에 주상부재(8)의 하단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구동용 모터(60)는 회전구동용 모터(6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검출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속도검출기구는, 예를 들어,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슬릿판과, 슬릿판을 끼운 상태로 대향 배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구동용 모터(60)의 출력축에는 출력톱니바퀴(68)가 고정되어 있고, 2개의 출력톱니바퀴(68)가 감속기(61)의 입력톱니바퀴(69)와 치합하고 있다. 이 2개의 출력톱니바퀴(68)와 입력톱니바퀴(69)를 포합하는 감속기(61)에 의해서, 선회부재(10)는 기대(9)에 대해서 선회한다. 즉, 선회부재(10)의 중심부에는 감속기(61)의 출력 측이 고정되어 있고, 감속기(61)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구동용 모터(60)의 동력으로 선회부재(10)는 기대(9)에 대해서 선회한다.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부재(10)의 중심부에 베어링(74)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회전축(7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73)의 하단에는 감속기(61)의 입력톱니바퀴(69)와 치합하는 톱니바퀴(70)가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CL)을 중심에 회전구동용 모터(60)를 90°회전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는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무여자 작동형의 브레이크이며,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 브레이크 기구(64)에서는 코일이 통전 상태가 되면, 아마츄어가 케이스체에 흡인되어 브레이크 디스크가 해방된다. 또, 코일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압축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아마츄어와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끼워져, 입력톱니바퀴(69)에 급격하게 브레이크가 걸린다.
(제어부의 구성)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산업용 로보트(1)의 제어부(80) 및 그 관련 부분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2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의 제어에 관련하는 제어부(8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8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의 제어에 관련하는 구성으로서,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제어하는 상하모터 제어부(81)와,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제어하는 수평모터 제어부(82)와,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제어하는 회전모터 제어부(83)와,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제어하는 상하 브레이크 제어부(84)와,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제어하는 수평 브레이크 제어부(85)와, 1개의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를 제어하는 회전 브레이크 제어부(8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부(80)에는 제어지령부(87)가 접속되어 있다.
상하 모터 제어부(81)는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 중 한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다른 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한다. 즉, 상하모터 제어부(81)는 한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에 대해서는 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속도검출기구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피드백제어와, 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전력값을 제어하는 토크제어를 실시하며, 다른 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에 대해서는 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속도검출기구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드백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토크제어를 실시한다.
수평모터 제어부(82)는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 중 한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한다. 또, 수평모터 제어부(82)는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정지 전에는, 한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와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지만,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정지 전을 제외한 그 외의 시간에는,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한다. 즉, 수평모터 제어부(82)는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정지 전을 제외한 그 외의 시간에는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에 대해서, 이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속도검출기구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는 피드백제어를 실시하지 않고 토크제어를 실시한다.
마찬가지로, 회전모터 제어부(83)는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 중 한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한다. 또, 회전모터 제어부(83)는 다른 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의 정지 전에는, 한쪽의 회전구동용 모 터(60)와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 의해서 제어하지만, 다른 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의 정지 전을 제외한 그 외 시간에는 다른 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한다.
상하 브레이크 제어부(84)는 제어지령부(87)로부터 지지부재(7)의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단계적으로 작동시킨다. 즉, 제어지령부(87)로부터 지지부재(7)의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상하 브레이크 제어부(84)는 한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작동개시 타이밍과 다른 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작동개시 타이밍이 바뀌도록(어긋나도록)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브레이크 제어부(84)는 다른 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작동개시 타이밍이 한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작동개시 타이밍보다 늦도록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작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브레이크 제어부(84)는 다른 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타이밍이 한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타이밍보다 늦도록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코일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수평 브레이크 제어부(85)는 제어지령부(87)로부터 기대(9)의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단계적으로 작동시킨다. 즉, 제어지령부(87)로부터 기대(9)의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수평 브레이크 제어부(85)는 한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의 작동개시 타이밍과 다른 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의 작동개시 타이밍이 바뀌도록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브레이크 제어부(85)는 다른 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의 작동개시 타이밍이 한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의 작동개시 타이밍보다 늦도록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작동시킨다. 또한, 수평 브레이크 제어부(85)는 제어지령부(87)로부터 기대(9)의 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동시에 작동시켜도 된다.
(본 형태의 주요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는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형 기판(2)을 반송하기 위해서, 상하구동기구(16)에서 요구되는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총용량이 커지는 경우라도 비교적 체격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구동기구(16)에서 요구되는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총용량이 10kW인 경우에는 체격이 큰 10kW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체격이 작은 5kW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체격이 큰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체격이 작은 2개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구동용 모터(20)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큰 기판(2)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로보트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용량이 소정의 용량을 넘으면, 상하구동용 모터(20)의 가격은 급격하게 비싸지지만,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로보트(1)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상하구동용 모터(20)의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21), 피니언(22) 및 랙(23)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고, 감속기(21), 피니언(22) 및 랙(23) 등의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감속기(21), 피니언(22) 및 랙(23) 등의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는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한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가 파손되어도 다른 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에 의해서, 상하구동기구(16)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지지부재(7)를 정지시켜 핸드(3) 및 암(4)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큰 기판(2)이라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메인터넌스(maintenance)시에 한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떼어내는 경우라도 다른 쪽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에서 지지부재(7)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하구동기구(16)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단계적으로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하구동기구(16)의 급제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7)가 급정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핸드(3)로부터의 기판(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의 각각이 풀리(28, 29)와 벨트(30)를 통하여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하 브레이크 기구(20)에 의해서,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개별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는 랙(23)과 치합하는 2개의 피니언(22)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와 같이 랙(23)이 복수의 랙편을 이어 맞추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랙편끼리의 이음매에서 랙(23)의 톱니의 피치가 어긋나, 랙편의 이음매에서 랙(23)의 톱니와 한쪽의 피니언(22)의 톱니가 1매밖에 치합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해도 다른 쪽의 피니언(22)의 복수의 톱니와 랙(23)의 복수의 톱니를 치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랙(23)의 톱니 및 피니언(22)의 톱니에 과잉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랙(23) 및 피니언(22)의 구성을 간소화하여도 랙(23) 및 피니언(2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하구동기구(16)의 경우에는 기판(2), 핸드(3), 암(4) 및 지지부재(7) 등에 발생하는 중력의 영향으로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랙(23)의 톱니 및 피니언(22)의 톱니에 과잉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본 형태에서는 이 과잉응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피니언(22)의 각각이 감속기(21) 등을 통하여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상하모터 제어부(81)가 2대의 상하구동용 모터(20) 중 한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며, 다른 쪽의 상하구동용 모터(2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피니언(22)이 랙(23)과 치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2개의 피니언(22)의 톱니와 랙(23)의 톱니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치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22) 및 랙(23)의 손상을 억제하여, 상하구동기 구(16)로 지지부재(7)를 적절히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피니언(22)은 상하구동용 모터(20)에 연결된 감속기(21)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감속기(21)의 작용으로 랙(23)과 치합하는 피니언(22)에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수평구동기구(17)는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구동기구(16)와 마찬가지로, 수평구동기구(17)에서 요구되는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총용량이 커지는 경우라도, 비교적 체격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사용할 수 있고, 또, 수평구동용 모터(40)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큰 기판(2)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로보트(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로보트(1)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구동용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는 피니언(42) 및 랙(43)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수평구동용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수평구동용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수평구동기구(17)는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한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가 파손되어도 다 른 쪽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에 의해서 수평구동기구(17)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본체부(5)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큰 기판(2)이라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단계적으로 작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평구동기구(17)의 급제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5)가 급정지하는 것에 기인하여 생길 수 있는 핸드(3)로부터의 기판(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의 각각이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각각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평 브레이크 기구(40)에 의해서,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개별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수평구동기구(17)는 랙(43)과 치합하는 2개의 피니언(42)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형태와 같이 랙(43)이 복수의 랙편을 이어 맞추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랙편끼리의 이음매에서 랙(43)의 톱니의 피치가 어긋나고, 랙편의 이음매에서 랙(43)의 톱니와 한쪽의 피니언(42)의 톱니가 1매밖에 치합하지 않는 상황이 생겼다고 해도, 다른 쪽의 피니언(42)의 복수의 톱니와 랙(43)의 복수의 톱니를 치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랙(43)의 톱니 및 피니언(42)의 톱니에 과잉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랙(43) 및 피니언(42)의 구성을 간소화하여도 랙(43) 및 피니언(4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구동기구(17)의 경우에는 수평구동용 모터(40)의 기동(起動) 직후나 정지 직전의 가감속도시에 랙편의 이음매에 위치하는 랙(23)의 톱니 및 피니언(22)의 톱니에 과잉응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형태에서는, 2개의 피니언(42)의 각각이 풀리(48, 49) 및 벨트(50)를 통하여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의 각각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또, 본 형태에서는, 수평모터 제어부(82)가 2대의 수평구동용 모터(40) 중 한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다른 쪽의 수평구동용 모터(4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피니언(42)이 랙(43)과 치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피니언(42)의 톱니와 랙(43)의 톱니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치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42) 및 랙(43)의 손상을 억제하고, 수평구동기구(17)로 본체부(5)를 적절히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회전구동기구(18)는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구동기구(16)와 마찬가지로, 회전구동기구(18)에서 요구되는 회전구동용 모터(60)의 총용량이 커지는 경우라도 비교적 체격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사용할 수 있고, 또, 회전구동용 모터(60)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큰 기판(2)을 반송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로보트(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회전구동용 모터(60)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로보트(1)의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비교적 용량이 작은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1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은 작아진다. 따라서, 회전구동용 모터(60)의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톱니바 퀴(68)나 감속기(61) 등의 동력전달기구로의 전달동력을 작게 할 수 있어, 회전구동용 모터(6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회전구동용 모터(6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회전모터 제어부(83)가 2대의 회전구동용 모터(60) 중 한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속도제어와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다른 쪽의 회전구동용 모터(60)를 토크제어에 의해서 제어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출력톱니바퀴(68)가 감속기(61)의 입력톱니바퀴(69)와 치합하고 있는 경우라도 출력톱니바퀴(68)의 톱니와 입력톱니바퀴(69)의 톱니가 필요 이상의 힘으로 치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입력톱니바퀴(68) 및 출력톱니바퀴(69)의 손상을 억제하고, 회전구동기구(18)로 선회부재(10)를 적절히 선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는 2대의 구동용 모터(20, 40, 6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또는 회전구동기구(18)는 3대 이상의 구동용 모터(20, 40, 6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가 모두 2대의 구동용 모터(20, 40, 60)를 구비하고 있지만,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1개의 구동 기구가 2대의 구동용 모터(20, 40, 60)를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구동기구가 구비하는 구동용 모터(20, 40, 60)는 1대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는 감속기(21)의 입력축에 장착되어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는 상하구동용 모터(20)의 출력축이나 감속기(21)의 출력축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판상(板狀)의 브레이크판이 주상부재(8)에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부재와 함께 상하이동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아마츄어가 이 브레이크판을 끼운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 브레이크 기구가 구성되어도 된다. 즉, 상하 브레이크 기구는 상하구동용 모터(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는 수평구동용 모터(40)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지만,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는 회전축(53)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 수평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가늘고 긴 판상의 브레이크판이 레일모양 부재(51)에 고정됨과 동시에, 기대(9)와 함께 수평이동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아마츄어가 이 브레이크판을 끼운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수평 브레이크 기구가 구성되어도 된다. 즉, 수평 브레이크 기구는 수평구동용 모터(4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상하구동기구(16)는 2개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구비하고 있지만, 상하구동기구(16)는 3개 이상의 상하 브레이크 기구(24)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수평구동기구(17)는 3개 이상의 수평 브레이크 기구(44)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하구동기구(16) 또는 수평구동기구(17)의 한쪽이 2개의 브레이크 기구(24, 44)를 구비하고 있으면, 다른 쪽의 구동기구가 구 비하는 브레이크 기구(24, 44)는 1개로 하여도 된다. 또, 상술한 형태에서는, 회전구동기구(18)는 1개의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를 구비하고 있지만, 회전구동기구(18)가 2개 이상의 회전 브레이크 기구(64)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2개의 피니언(22)과 랙(23)에 의해서, 지지부재(7)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볼나사와 이 볼나사에 나사맞춤하는 복수의 너트부재에 의해서, 지지부재(7)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또, 소정의 링크기구에 의해서, 지지부재(7)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형태에서는 2개의 피니언(42)과 랙(43)에 의해서 기대(9)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볼나사와 이 볼나사에 나사맞춤하는 복수의 너트부재에 의해서, 기대(9)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로보트(1)는 상하구동기구(16)와 수평구동기구(17)와 회전구동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로보트(1)는 상하구동기구(16), 수평구동기구(17) 및 회전구동기구(18) 중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2개 혹은 1개의 구동기구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반송대상물을 반송하는 산업용 로보트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산업용 로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방향에서 산업용 로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F-F방향에서 산업용 로보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F-F방향에서 지지부재 및 상하구동기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4의 G-G방향에서 지지부재, 주상부재 및 상하구동기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4의 H-H방향에서 상하구동기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2의 J부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도 3의 K-K방향에서 수평구동기구 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도 8의 L-L방향에서 수평구동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선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M-M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산업용 로보트의 제어부 및 그 관련 부분의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로보트(산업용 로보트)
2 기판(반송대상물)
3 핸드
4 암
6 베이스부재
7 지지부재
8 주상부재(본체부)
16 상하구동기구
17 수평구동기구
18 회전구동기구
20 상하구동용 모터(구동용 모터)
21 감속기
22 피니언(상하구동용 피니언)
23 랙(상하구동용 랙)
24 상하 브레이크 기구(브레이크 기구)
40 수평구동용 모터(구동용 모터)
42 피니언(수평구동용 피니언)
43 랙(수평구동용 랙)
44 수평 브레이크 기구(브레이크 기구)
60 회전구동용 모터(구동용 모터)
CL 중심축

Claims (12)

  1. 반송대상물이 탑재되는 핸드(hand)와, 상기 핸드가 연결되는 암(arm)과, 상기 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주상(柱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구동기구는, 복수의 상하구동용 모터와, 상기 상하구동기구를 정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주상부재에 고정되는 상하구동용 랙(rack)과, 상기 상하구동용 랙과 치합(齒合)하는 복수의 상하구동용 피니언(pinion)과, 복수의 감속기를 구비하며,
    상기 상하구동용 피니언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기구는,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상기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상기 상하구동용 피니언과,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상기 감속기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상하구동용 피니언의 각각은, 복수의 상기 감속기의 각각의 출력축에 고정되고,
    복수의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복수의 상기 감속기의 각각의 입력축에 연결됨과 아울러 복수의 상기 상하구동용 모터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버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구동기구는, 복수의 수평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구동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수평구동용 랙과, 상기 수평구동용 랙과 치합하는 복수의 수평구동용 피니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기구는 상기 수평구동용 모터와 같은 수의 상기 수평구동용 피니언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수평구동용 피니언의 각각은 복수의 상기 수평구동용 모터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6. 청구항 1, 2, 4,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기구는, 복수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하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구동기구는, 복수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보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65375A 2008-07-22 2009-07-17 산업용 로보트 KR101498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8424 2008-07-22
JP2008188424A JP2010023195A (ja) 2008-07-22 2008-07-22 産業用ロボ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486A KR20100010486A (ko) 2010-02-01
KR101498300B1 true KR101498300B1 (ko) 2015-03-11

Family

ID=4159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375A KR101498300B1 (ko) 2008-07-22 2009-07-17 산업용 로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023195A (ko)
KR (1) KR101498300B1 (ko)
CN (1) CN101633167B (ko)
TW (1) TWI560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379A1 (ja) * 2011-11-16 2013-05-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
JP5959221B2 (ja) 2011-11-16 2016-08-0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
CN108067603A (zh) * 2017-12-25 2018-05-25 宁波振锐智能机器科技有限公司 一种铸件喷雾生产加工设备
CN112591665B (zh) * 2020-12-09 2022-05-13 西安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高效传动式的空间升降式叉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497A (ja) * 2006-07-13 2008-01-31 Yaskawa Electric Corp 走行装置およびロボット
JP2008028078A (ja) * 2006-07-20 2008-02-07 Yaskawa Electric Corp 防塵機構を備えた基板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8485A (ja) * 1989-05-10 1990-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
JP2625325B2 (ja) * 1992-09-02 1997-07-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階層化ロボット装置
JP3595357B2 (ja) * 1994-06-30 2004-12-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サーボによるタンデム制御方法
JPH08267386A (ja) * 1995-03-30 1996-10-15 Canon Inc ロボット装置
US5789890A (en) * 1996-03-22 1998-08-04 Genmark Automation Robot having multiple degrees of freedom
JP3791573B2 (ja) * 1998-04-22 2006-06-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同期駆動装置
JP2000033529A (ja) * 1998-07-16 2000-02-02 Toyoda Mach Works Ltd 主軸装置
JP2000141274A (ja) * 1998-11-05 2000-05-23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の動力伝達装置
JP2000190093A (ja) * 1998-12-22 2000-07-11 Toyota Motor Corp 位置決め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方法
JP2001113488A (ja) * 1999-10-15 2001-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
JP3973006B2 (ja) * 2000-03-23 2007-09-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ブルアーム型ロボット
JP2002166377A (ja) * 2000-12-04 2002-06-11 Yaskawa Electric Corp 基板搬送用ロボット
WO2005002804A1 (ja) * 2003-07-04 2005-01-13 Rorze Corporation 搬送装置、薄板状物の搬送方法、及び薄板状物製造システム
JP4063781B2 (ja) * 2004-03-04 2008-03-19 株式会社ラインワークス 搬送装置
JP4495509B2 (ja) * 2004-04-30 2010-07-07 株式会社ダイヘン トランスファロボット
JP2007085530A (ja) * 2005-09-26 2007-04-05 Nabtesco Corp 中空減速機
JP4291344B2 (ja) * 2006-08-31 2009-07-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497A (ja) * 2006-07-13 2008-01-31 Yaskawa Electric Corp 走行装置およびロボット
JP2008028078A (ja) * 2006-07-20 2008-02-07 Yaskawa Electric Corp 防塵機構を備えた基板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23195A (ja) 2010-02-04
TWI560035B (en) 2016-12-01
CN101633167A (zh) 2010-01-27
KR20100010486A (ko) 2010-02-01
CN101633167B (zh) 2016-03-02
TW201008727A (en) 2010-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84B1 (ko) 산업용 로보트
JP6283623B2 (ja) 機械グリッパ駆動装置
KR101498300B1 (ko) 산업용 로보트
KR101498301B1 (ko) 산업용 로보트
TWI572467B (zh) Industrial robots, control methods for industrial robots, and teaching methods for industrial robots
JP6173678B2 (ja) 産業用ロボットおよび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方法
KR102184615B1 (ko) 반송 장치
WO2012059791A1 (en) Robotic snake-like movement device
JP6616606B2 (ja) 産業用ロボット
US10913147B2 (en)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and reverse installation method thereof
JP2007237346A (ja) 搬送用ロボットアーム
JP6199284B2 (ja) ロボットの駆動方法、ロボット、並進運動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の駆動方法
JP5262810B2 (ja) パラレルメカニズム
JP2011115921A (ja) 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67239A (ko) 벨트를 이용한 단축로봇
TWI819444B (zh) 機器人以及機器人的控制方法
JPH10193287A (ja) 閉リンクロボット装置
CN101799104A (zh) 一杆式双轴运动机构
KR200428064Y1 (ko) 직선 구동 장치
JP2006159318A (ja) 搬送ロボットおよびその搬送方法
EP2731757A1 (fr) Table motorisee pour le positionnement micrometrique
JP2010042472A (ja) 産業用ロボット
KR20140000006A (ko) 모션 전달 장치의 백 클리어런스 제어 방법.
JP6231330B2 (ja) 制振装置
TW200936335A (en)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