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429B1 -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429B1
KR101496429B1 KR20140074425A KR20140074425A KR101496429B1 KR 101496429 B1 KR101496429 B1 KR 101496429B1 KR 20140074425 A KR20140074425 A KR 20140074425A KR 20140074425 A KR20140074425 A KR 20140074425A KR 101496429 B1 KR101496429 B1 KR 101496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exterior material
concrete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2014007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는, 서포트 바(115, 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110)과, 상기 서포트 바(115)에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벽(110)으로부터 이격된 외장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은, 서포트 바(115, 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110)을 시공하는 콘크리트벽 시공단계와, 상기 서포트 바(115)에 외장재(120)를 지지되도록 하는 커버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벽(110)과 외장재(120) 사이에 접착물질(130)을 충전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장재(120)의 바디(121)에 구성된 골조(124)를 콘크리트벽(110)의 서포트 바(115)에 걸고나서 접착물질(130)을 충전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수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Wall that attached exterior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콘크리트벽에 외장재를 시공하는 과정이 간편하고 외장재의 부착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콘크리트벽(W)의 외측면에 타일이나 패널 내지는 블록 등의 외장재(20)를 시공한 벽체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벽(W)이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벽(W)에 인서트 되어 외측방으로 돌출된 기초볼트(B)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초볼트(B)에 체결된 체결구(10)가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10)에 볼트(30)로 고정된 외장재(20)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10)는 기초볼트(B)가 끼워지는 관 모양의 것으로서 전방에 탭홀(15)이 관통된 플랜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구(10)에 기초볼트(B)가 삽입되도록 한 후, 체결구(10) 밖으로 돌출된 기초볼트(B)에 너트(N)를 체결하므로 체결구(10)를 콘크리트벽(W)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20)에는 상기 탭홀(15)에 대응하는 볼트홀(27)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홀(27)을 통해서 볼트(30)를 관통시킨 후 탭홀(15)에 체결하므로 체결구(10)에 외장재(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일일이 기초볼트(B)에 체결구(10)를 고정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구(10)에 외장재(20)를 하나하나 볼트(30)로 체결시켜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일례로서 건물의 외측면에 외장재(20)를 모두 마감한다면, 먼저, 체결구(10)를 건물의 외측면 즉, 콘크리트벽(W)에 장착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그러고나서, 일일이 외장재(20)를 한 장씩 체결구(10)에 볼트(30)를 죄어가면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장재(20)는 볼트(30)에 의해서 체결구(10)에 고정될 뿐이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강력한 바람에 의해서 외장재(20)가 체결구(10)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외장재(20)는 체결구(10)에 의해서 콘크리트벽(W)으로터 떨어져서 구성된다. 따라서, 강우 시, 빗물이 체결구(10)와 콘크리트벽(W) 사이로 누수되어 흘러내리게 되므로 상기 기초볼트(B)나 볼트(30)가 부식되어 외장재(20)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외장재(20)와 체결구(10) 사이에 장시간 빗물이 빠지지 않고 충전된 상태에서 겨울에 결빙할 경우, 결빙된 얼음이 팽창하면서 외장재(20)를 외측방으로 밀어내게 되어 상기 외장재(20)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10-2005-0081206호 (2005년 08월 18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벽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배경기술에 비해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와 같은 접착물질이 충전되고 외장재에 구성된 골조가 접착물질에 함침되도록 하거나, 외장재의 골조가 바로 콘크리트벽에 함침되도록 하므로, 외력에 의해서 외장재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빗물이 누수되어 외장재의 골조를 부식시켜서 외장재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겨울에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빗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빗물이 결빙되어 팽창하므로 외장재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는, 서포트 바(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과, 상기 서포트 바에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벽으로부터 이격된 외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벽과 외장재 사이에 충전된 접착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콘크리트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바에 걸리도록 구성된 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골조는 상기 커버의 후방으로 돌출된 인서트 바(bar)와, 상기 인서트 바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바와, 상기 인서트 바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후면에 부착되어 다수의 상기 커버를 일체로 지지하는 콘크리트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바는 상기 콘크리트판의 외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평바 및 수직바는 상기 콘크리트판의 외측방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판을 둘러싸며 내부에 함침되어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콘크리트판을 둘러싸는 테와, 상기 테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된 내부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콘크리트벽과, 상기 콘크리트벽의 외측면에 밀착된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상기 콘크리트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벽에 함침되어 구성된 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은, 서포트 바(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을 시공하는 콘크리트벽 시공단계와, 상기 서포트 바에 외장재를 지지되도록 하는 커버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벽과 외장재 사이에 접착물질을 충전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콘크리트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바에 걸리도록 구성된 골조를 포함한 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의 다른 예로서, 철근골조를 시공하는 골조 시공단계와, 상기 철근골조의 일측에 거푸집을 배치하는 거푸집 시공단계와, 상기 철근골조의 상대측에 외장재를 배치하는 커버단계와, 상기 거푸집과 외장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타설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분리시키는 이탈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콘크리트벽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철근골조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골조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상기 외장재를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를 서로 밀착시켜 상기 바디가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 밀착단계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서 상기 커버의 접촉부를 마감하여 백화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감단계와, 상기 바디의 후면에 프레임을 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 장착단계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판이 양생되도록 하는 타설단계와,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 장착단계에서, 상기 커버는 후방으로 인서트바가 함침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것을 사용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인서트바에 고정되어 콘크리트를 수용하는 테와, 상기 테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부골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크리트벽에 돌출된 서포트 바에 외장재의 골조를 걸고나서 접착물질을 충전하는 것으로 작업이 완료되므로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외장재의 골조를 서포트 바에 거는 작업은 기중기 등으로 작업할 수 있고 접착재를 충전하는 것은 펌프에 의해서 작업이 가능하므로 사용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접착물질이 충전되고 외장재에 구성된 골조가 접착물질에 함침되도록 하거나, 외장재의 골조가 바로 콘크리트벽에 함침되도록 하므로, 외장재의 골조는 접착물질 또는 콘크리트벽에 견고하게 함침되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 외장재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빗물이 누수되어 외장재의 골조를 부식시켜서 외장재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빗물이 누수되어 겨울에 결빙되어 팽창하므로 외장재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콘크리트벽에 외장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에 구성되는 외장재의 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접착물질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접착물질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2실시예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콘크리트벽에 외장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에 구성되는 외장재의 후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접착물질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1실시예로서 외장재와 콘크리트벽 사이에 접착물질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제2실시예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으로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1실시예를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포트 바(115, 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110)이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 바(115)에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벽(110)으로부터 이격된 외장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콘크리트벽(110)과 외장재(120) 사이에 충전되어 응고되는 것으로서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접착물질(130)이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바(115)는 일례로서 기초볼트나 철근이 콘크리트벽(110)에 함침되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콘크리트벽(110)이 양생될 때 삽입시켜서 굳힌 것일 수도 있고, 양생된 콘크리트벽(110)에 구멍을 뚫어서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넣은 후, 서포트 바(115)를 삽입하여 고정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외장재(120)는 콘크리트벽(110)에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서포트 바(115)에 지지되며 접착물질(130)이 충전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벽(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장재(120)는 상기 콘크리트벽(11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12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바(115)에 걸려서 지지되는 골조(124)가 구성된다.
상기 바디(121)는 일례로서 블록이나 플레이트 형상의 것이 가능한데 표면은 바위 나 나무모양 등 다양하게 형성되며 콘크리트벽(110)을 커버하면서 장식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121)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된 커버(123)가 조합된 것으로서, 상기 커버(123)가 골조(124)에 의해서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커버(123)를 동시에 콘크리트벽(110)의 서포트 바(115)에 걸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 경우 상기 접착물질(130)이 모르타르이거나 콘크리트이면 응고되기 전에 시멘트가 용해된 물이 커버(123) 사이로 흘러나오므로 바디(121)의 표면을 하얗게 물들여 외관을 흉하게 하는 백화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서 상기 커버(123)의 접촉부를 발라서 마감하는 방수 테이프(12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21)와 바디(121) 사이에도 시멘트가 용해된 물이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140) 등의 충전재로 마감하여 구성한다.
상기 골조(124)는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커버(123)에 함침되어 후방으로 돌출된 인서트 바(125, bar)가 구성되며, 상기 인서트 바(125)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바(127)가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바(125)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바(129)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127)와 수직바(129)는 격자형이 되며, 상기 인서트 바(125), 수평바(127), 수직바(129)는 용접이나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수평바(127)가 서포터 바(115)에 걸리므로 외장재(120)를 서포터 바(115)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물질(130)은 골조(124)와 서포트 바(115)를 수용한 상태에서 응고된 것이므로 골조(124)와 서포트 바(115)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장재(120)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디(121)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측방으로 상호 밀착된 커버(123)가 조합된 것으로서, 커버(123)의 후면에는 인서트바(125)가 함침되어 구성되고, 커버(123)의 후면에 부착되어 다수의 커버(123)를 일체로 지지하는 콘크리트판(155)이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바(125)는 콘크리트판(155)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바(125)에 수평바(127)와 수직바(129)로 조합된 상기 골조(124)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판(155)을 둘러싸며 내부에 함침되어 구성되어 콘크리트판(155)의 갈라짐을 방지하는 프레임(150)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50)은 콘크리트판(155)을 둘러싸는 테(151)와 상기 테(151)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된 내부골조(153)가 구성된다. 상기 내부골조(153)는 일례로서 철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내측면의 일측에서 상대측으로 가로질러 용접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바(125)에 끼워져서 콘크리트판(155)의 후면에 함침되고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오목커버(157)가 구성된다.
상기 오목커버(157)는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서 인서트바(125)가 끼워지는 관통구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외장재(120)의 골조(124)를 상기 콘크리트벽(110)의 서포트바(115)에 걸고나서, 외장재(120)와 골조(124) 사이에 상기 접착물질(130)을 충전한 후, 양생하게 되면 도 11에서처럼, 접착물질(130)이 오목커버(157)에 충전된 상태이므로 보다 견고하게 접착물질(130)에 의해서 외장재(120)가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서 커버(123)의 접촉부를 발라서 마감하는 방수 테이프(122)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21)와 바디(121) 사이에 실리콘(140) 등의 충전재로 마감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장재(120)의 바디(121)에 구성된 골조(124)를 콘크리트벽(110)의 서포트 바(115)에 걸고나서 접착물질(130)을 충전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수월하다. 특히, 바디(121)가 다수 개의 커버(123)로 구성된 경우, 다수 개의 커버(123)를 동시에 콘크리트벽(110)에 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일일이 커버(123) 하나하나를 달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20)를 서포트 바(115)에 걸 때에는 기중기 등을 사용하게 되고, 접착물질(130)을 충전하는 것도 펌프를 사용하므로 인력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접착물질(130)에 의해서, 강우 시 빗물이 외장재(120)와 콘크리트벽(11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골조(124)와 서포트 바(115)가 부식되어 손상되므로 외장재(120)가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접착물질(130)이 골조(124)와 인서트 바(125)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외장재(120)가 접착물질(13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장재(120)는 견고하게 콘크리트벽(110)에 지지될 수 있으며 태풍과 같은 외력에도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접착물질(130) 때문에 빗물이 외장재(120)와 콘크리트벽(110) 사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유입된 빗물이 겨울에 동결되어 외장재(12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2실시예를 도 12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철근골조(117)가 내부에 구성된 콘크리트벽(110)이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벽(1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외장재(120)가 구성된다.
상기 외장재(120)는 상기 콘크리트벽(11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121)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벽(110)에 함침되어 상기 철근골조(117)에 연결된 골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장재(120)는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120)는 콘크리트벽(110)에 밀착된 것이므로 빗물에 의해서 상기 골조(124)가 부식되어 외장재(12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외장재(120)와 콘크리트벽(110)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어 겨울에 동결되므로 상기 외장재(120)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벽(110)에 골조(124)가 함침되어 철근골조(117)에 연결된 것이므로 견고하게 외장재(120)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철근골조(117)를 시공한 후, 도 13과 같이, 상기 철근골조(117)의 일측에는 거푸집(S)을 배치시키고 그 상대측에는 외장재(120)가 대향하도록 한 후, 상기 거푸집(S)과 외장재(1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고나서, 양생한 후, 거푸집(S)을 떼어내면 콘크리트벽(110)이 완성된다. 즉, 일측에는 일반 거푸집(S)을 사용하고 그 상대측에는 거푸집(S) 대신에 상기 외장재(120)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외장재(120)가 시공된 콘크리트벽(110)을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1실시예가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11, 도 14 및 도 15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 바(115, support bar)가 돌출된 상기 콘크리트벽(110)을 시공하는 콘크리트벽 시공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 바(115)에 상기 외장재(120)를 지지되도록 하는 커버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벽(110)과 외장재(120) 사이에 접착물질(130)을 충전하는 타설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물질(130)을 양생시키는 양생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벽 시공단계는 콘크리트를 양생시켜서 시공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벽(110)이 양생될 때 서포트 바(115)를 삽입시켜서 굳힌 것일 수도 있고, 양생된 콘크리트벽(110)에 구멍을 뚫어서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넣은 후, 상기 구멍에 서포트 바(115)를 넣어서 고정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벽(110)에 구멍을 뚫어서 모르타르나 접착제를 넣은 후 서포트 바(115)를 삽입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외장재(120)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상기 접착물질(130)은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생단계는 접착물질(130)이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일 때, 평균 기온이 20℃에서 4∼5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단계에서 외장재(120)의 골조(124)가 서포트 바(115)에 걸리도록 하는데 와이어를 감아서 골조(124)와 서포트 바(115)를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의 제1실시예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 외장재(120)는 일례로서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상기 각 커버(123)의 테두리를 밀착시켜 상기 바디(121)가 형성되도록 하는 커버 밀착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서 커버(123)의 접촉부를 마감하여 백화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감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 상기 콘크리트판(155)을 지지하도록 하는 프레임(150)을 장착하는 프레임 장착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판(155)이 양생되도록 하는 타설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단계에서는 커버(123)가 상하좌우로 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마감단계에서는 바디(121)의 후면에서 커버(123)의 접촉부를 방수 테이프(122)로 마감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장착단계에서 바디(121)를 구성하는 커버(123)는 후방으로 인서트바(125)가 함침되어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바(125)에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테(151)를 고정하는데 용접 내지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151)의 내측면에 내부골조(153)를 용접으로 부착시킨다. 상기 내부골조(153)는 금속재의 바(bar), 이를테면 철근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테(151)의 높이는 인서트바(125)보다 낮은 것으로 사용한다.
상기 타설단계에서는 상기 테(151)를 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상기 인서트바(125)에 상기 오목커버(157)를 끼워서 콘크리트에 함침하되 오목한 표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인서트바(125)는 스크류축으로 구비할 수 있고, 오목커버(157)의 상기 관통구는 탭홀로 구성하므로 오목커버(157)가 스크류축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양생단계는 평균 기온이 20℃에서 4∼5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시예가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 12, 도 13 및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철근골조(117)를 시공하는 골조 시공단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철근골조(117)의 일측에 거푸집(S)을 배치하는 거푸집 시공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철근골조(117)의 상대측에 외장재(120)를 배치하는 커버단계가 이루어지며, 상기 거푸집(S)과 외장재(120) 사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타설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양생단계가 이루어지며, 상기 거푸집(S)을 분리시키는 이탈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재(120)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상기 양생단계는 평균 기온이 20℃에서 4∼5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단계에서 외장재(120)의 골조(124)가 철근골조(117)에 연결되도록 하는 데 와이어를 감아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타설단계 이후에 철근골조(117)의 일부가 콘크리트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므로 양생 후, 철근골조(117)를 연결하여 상기 시공과정을 반복하므로 콘크리트벽(110)을 높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의 시공방법의 제2실시예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100)의 제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110: 콘크리트벽
115: 서포트 바 120: 외장재
121: 바디 122: 방수 테이프
123: 커버 124: 골조 125: 인서트 바 127: 수평바 129 수직바 130: 접착물질
140: 실리콘 150: 프레임
151: 테 153: 내부골조
155: 콘크리트판 157: 오목커버

Claims (16)

  1. 서포트 바(115, support bar)가 돌출된 콘크리트벽(110)과,
    상기 서포트 바(115)에 지지되며 상기 콘크리트벽(110)으로부터 이격된 외장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120)는 상기 콘크리트벽(110)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121)와,
    상기 바디(121)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 바(115)에 걸리도록 구성된 골조(124)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121)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테두리가 상호 밀착된 커버(123)를 포함하고,
    상기 골조(124)는 상기 커버(123)의 후방으로 돌출된 인서트 바(125, bar)와,
    상기 인서트 바(125)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바(127)와,
    상기 인서트 바(125)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바(12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벽(110)과 외장재(120) 사이에 충전된 접착물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3)의 후면에 부착되어 다수의 상기 커버(123)를 일체로 지지하는 콘크리트판(155)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바(125)는 상기 콘크리트판(155)의 외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평바(127) 및 수직바(129)는 상기 콘크리트판(155)의 외측방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판(155)을 둘러싸며 내부에 함침되어 구성된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50)은 상기 콘크리트판(155)을 둘러싸는 테(151)와,
    상기 테(151)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구성된 내부골조(15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140074425A 2014-06-18 2014-06-18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9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425A KR101496429B1 (ko) 2014-06-18 2014-06-18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4425A KR101496429B1 (ko) 2014-06-18 2014-06-18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429B1 true KR101496429B1 (ko) 2015-02-27

Family

ID=5259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4425A KR101496429B1 (ko) 2014-06-18 2014-06-18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137A (ja) * 1994-09-16 1996-05-28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壁体に対するタイル装着法
JPH08209825A (ja) * 1995-02-06 1996-08-13 Masahiko Kanbayashi 建物の外壁パネルおよび建物の壁面工事方法
KR0114278Y1 (ko) * 1994-05-27 1998-04-17 임익성 타일부착용 지지틀
JPH10205031A (ja) *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壁の構成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278Y1 (ko) * 1994-05-27 1998-04-17 임익성 타일부착용 지지틀
JPH08135137A (ja) * 1994-09-16 1996-05-28 Kumagai Gumi Co Ltd 建築物壁体に対するタイル装着法
JPH08209825A (ja) * 1995-02-06 1996-08-13 Masahiko Kanbayashi 建物の外壁パネルおよび建物の壁面工事方法
JPH10205031A (ja) *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壁の構成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0932A1 (en) Method for providing attachments between a concrete part to a further part
CN108589975A (zh) 现场组装骨架外墙及施工工艺
KR101508960B1 (ko) 외단열 벽체의 창틀 시공방법
KR20120013739A (ko) 선가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1016345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KR101496429B1 (ko) 외장재가 부착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9060110A (ja) 手すり支柱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500685B1 (ko)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JP5302441B2 (ja) コンクリート・コンテナハウスの建築施工方法
KR101550712B1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WO2019222893A1 (zh) 混凝土墙及其建造方法
CA3107993A1 (en) Method and formwork for producing a plate, and plate
KR100962001B1 (ko) 마감일체형 철근콘크리트벽체의 시공구조와 시공방법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10189972A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0129953A (ja) 免震装置の基礎への取付け工法
JPH11217931A (ja) 発泡断熱型枠
KR1004711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용 거푸집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RU2387762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жилых домов,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е
KR101332527B1 (ko) 슬래브용 전기박스 탄성 고정구
JP3721666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JPS6033973A (ja) 建造物の被覆形成方法
JP3865484B2 (ja) 遮音体、遮音壁および遮音壁の施工方法
JPH0823150B2 (ja) 老朽化した擁壁の補修工法及び擁壁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