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685B1 -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685B1
KR101500685B1 KR1020130136615A KR20130136615A KR101500685B1 KR 101500685 B1 KR101500685 B1 KR 101500685B1 KR 1020130136615 A KR1020130136615 A KR 1020130136615A KR 20130136615 A KR20130136615 A KR 20130136615A KR 101500685 B1 KR101500685 B1 KR 10150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plate material
tile plate
installing
me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279A (ko
Inventor
최재화
Original Assignee
최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화 filed Critical 최재화
Publication of KR20140137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의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은, 금속틀(11)에 다수개의 타일(12)을 결속되게 하여 타일판재(1)를 제작하는 타일판재 제작단계와, 타일판재(1)들을 상,하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수단 설치단계와, 결합되는 판재를 앵커(2)로 벽면에 설치하는 타일판재 설치단계로 구성되는 건식 타일부착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일거에 다수개의 타일판재(1)를 부착하여 품질의 안정성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고, 결로(結露) 및 들뜸의 하자를 감소케 할 수 있게 하고, 시멘트 및 골재에 의한 비환경적 과제를 감소할 수 있게 하는 타일판재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Method and the structure for installing tilis to the panel-type on the wall}
본 발명은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낱장의 타일을 다수개로 결합하여 일거에 타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기존의 공법들은 환경과 여건에 적합하도록 부착수단과 부착방법을 통해 타일을 한 장씩 낱장으로 부착하는 공법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시멘트몰탈을 부착수단으로 하여 타일 배면에 몰탈을 떠 얹어 벽면에 대고 두들겨 붙이는 속칭 “떠붙이기공법”과, 벽면을 몰탈로 미리 평탄화시킨 후 평탄면에 무기질 또는 유기질 접착제를 발라 타일을 붙이는 속칭 “몰탈압착공법”과, 시공할 벽면에 금속 각재(角材)로 된 틀을 미리 설치하고 설치된 틀 위에 시멘트보드나 합판 등의 판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판재의 표면에 접착제로 타일을 부착되게 하는 속칭 “본드접착공법”과, 높은 온도에서 소성(燒成)된 폴리싱(Polishing) 및 포세린(Porcelain) 이라 불리우는 대형 자기질타일을 배면에 에폭시본드를 떠 얹혀 벽면에 대고 두들겨 붙이는 속칭 “에폭시접착공법”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떠붙이기공법”은 공사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은 있으나, 동절기 영하 기온시 작업이 중단되고 타일 배면의 공극(空隙) 현상과 함께 품질과 자재에서 로스(Loss)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몰탈압착공법”은 품질의 안정성을 높일려는 목적의 공법이나, 동절기 작업이 곤란한 점 외에 작업 공정의 난도가 높아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기후 및 기온과 접착제간의 상호 부조화로 인하여 타일에 들뜸의 하자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본드접착공법”은 시공성이 용이하고 하자발생이 적은 장점이 있어나, 상기와 같은 복합적 공정이므로 타 공법 보다 자재비와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에폭시접착공법”은 에폭시의 특성상 자체적으론 강력한 접착력을 지니고 있으나, 겨울철 영하의 기온에 단열층이 없거나 빈약한 골조면 등에 있어서는 수축팽창성이 민감하게 작용하여 타일 및 골조면에 들뜸의 하자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계절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는 생산적 환경에서 다수개의 타일로 결합된 타일판재를 현장에 공급하게 하고, 시공 현장에서는 벽면에 앵커를 설치하여 타일판재들을 용이하게 부착되게 함으로서, 설계도면을 기준하여 규격적이고 견고한 품질로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하고,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케 하고, 하자 발생과 자재의 낭비를 크게 감소할 수 있게 하고, 시멘트와 골재에 의한 자연 환경적 폐해를 감소되게 하고, 공사비의 절감은 물론 타일의 건식화 공법의 고(高)비용 과제 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은, 다수개의 타일에 금속틀을 결속하여 타일판재를 제작하는 타일판재 제작단계와, 상기 제작된 타일판재를 상,하측으로 인접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상,하측으로 결합되는 타일판재를 앵커와 앵커보울터에 결합되게 하는 타일판재 설치단계로 구성되되,
결합수단 설치단계는, 타일판재를 구성하는 금속틀의 상부에 상향의 돌출결합돌기를 설치하는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과, 하향으로 개구되는 삽입구멍 및 내부에 접착제를 충진할 공간을 가지는 캡슐을 금속틀의 하부에 설치하는 캡슐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타일판재 설치단계는, 하단 타일판재의 상향 돌출결합돌기를 앵커의 밑으로 부터 위로 돌출시켜 앵커에 결합되는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과, 상기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에서 앵커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결합돌기에 상단 타일판재의 캡슐을 끼워 결합되는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캡슐 설치공정은, 상단측 금속틀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슐의 내부 구멍에 연질마개를 부착하는 연질마개 부착공정과, 연질마개가 부착된 캡슐의 내부공간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공정과, 상기 접착제가 주입된 캡슐의 저부입구에 확장된 삽입구멍으로 하단 타일판재의 상향 돌출결합돌기를 끼우는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금속틀의 상부에 상향의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은 돌출결합돌기를 인서트에 먼저 결합하는 공정과, 상기 인서트와 금속틀이 결합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은 각 단계별 공정들의 실행이 완성되면, 기존공법의 노동 기능성 위주의 주관적 품질성의 과제와, 속칭 “떠붙이기공법”의 품질과 자재의 낭비성 과제와, 선(先 )공종의 공기지연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 후속 공종으로서의 피해적 과제와, 겨울철 영하의 결빙으로 매년 되풀이 되는 공사의 중단 및 하자발생의 피해적 과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사의, 품질, 자재, 공정관리 등의 후(後)결과적 시스템을 선(先) 예측이 가능한 생산적 관리시스템으로 정착할 수 있는 효과와, 판재의 경량화로 작업의 용이성과, 소요 자재의 단순화와 규격화로 자재의 로스(Loss)를 크게 감소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겨울철 작업의 연속성 확보와 결로 및 수축팽창성 하자에 대한 억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골재와 시멘트의 사용을 배제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어 습식공법의 비환경적 과제들을 개선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특히 공사비의 절감과 함께 타일의 건식화 시스템를 저(低) 비용으로 시행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타일판재 뭉치 4개를 연접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일판재의 결합수단 구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타일판재의 상,하 결합상태의 단면 및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타일판재 뭉치 4개를 연접한 상태의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타일판재의 결합수단 구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타일판재의 상,하 결합상태의 단면 및 확대도,
도 7a 내지 7d는 도 2와 도 5에 도시된 타일판재의 배면에 보강층을 설치한 여러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d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타일판재(1) 뭉치는, 금속틀(11)과, 상기 금속틀(11)에 결속되는 다수개의 타일(12)과, 상기 타일(12)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층(13)과, 상기 금속틀(11)의 상부에 위치되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돌출결합돌기(3) 및 인서터(Insert)(6)와, 상기 금속틀(11)의 하부에 위치되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돌출결합돌기(3) 및 캡슐(Capsule)(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타일판재(1)의 결속체로서 타일판재(1)의 지주가 됨과 동시에 결합수단들의 장치처(裝置處)가 되어주는 금속틀(11)과, 상기 타일판재(1)를 상,하간 연결되게 하는 결합수단인 돌출결합돌기(3) 및 캡슐(5) 간의 장치 및 역할과 그 뭉치를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설계 면적과 현장의 실시 면적이 동일하도록 타일판재(1)를 제작하는 타일판재 제작단계와, 상기 제작된 타일판재(1)들을 상,하단으로 인접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상,하단으로 결합되는 타일판재(1)를 앵커(2)로 벽면에 결합되게 하는 타일판재 설치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타일판재 제작단계는, 타일판재(1)의 설계공정과, 금속틀 및 타일의 결속공정과, 타일판재 보강층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타일판재(1) 제작단계에 있어서 타일판재(1)의 설계공정은, 현장에 설치할 타일판재(1)들의 실제 크기를 미리 결정하는 공정으로서 설계도면에 도시된 면적을 기준하되, 실시 벽면 중심부에는 타일판재(1)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일정크기로 고정화된 타일판재(1)들로 제작 실시되고, 나머지 가장자리 코너(Corner)면에는 비규격의 맞춤형 타일판재(1)들로 실시되도록 타일판재(1)의 크기에 관한 제작 기준을 미리 제시하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틀 및 타일의 결속공정에 있어서 금속틀(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판재(1)의 다수개 타일(12)이 횡(橫) 방향으로 배열하게 되면 금속틀(11)도 타일(12) 배면의 상,하 가장자리 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수평(횡)으로 배열되는 경우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12)이 종(縱) 방향으로 배열하면 금속틀(11)도 타일(12) 배면의 좌,우 가장자리 위치에서 각각 하나씩 수직(종)으로 배열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타일판재(1)에 있어서 타일(12)의 횡,종 방향의 배열 결정은 설계도면에 도시된 타일(12)의 설치도를 기준으로 배열한다.
또, 상기 금속틀 및 타일의 결속공정에 있어서 금속틀(11)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독립된 막대로서 “ㄷ"자형과 3각형과 4각형을 포함하는 파이프(Pipe) 또는 폐색(閉塞) 도형체 일 수도 있으며, 에폭시(Epoxy)와 같이 접착력이 매우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들뜸과 같은 하자가 발생되지 않도록 금속틀(11)의 접착단면을 요(凹)모양으로 골이 파이게 하거나 거칠게 하는 것이 타일(12) 배면과의 결속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결속체의 재질은 금속체 외에 합성수지의 형체도 포함된다.
상기 타일판재 보강층 설치공정에 있어서 보강층(13)은, 도 1과 도 4에 도시된 타일판재(1)의 배면에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과제에 따라 추가로 설치하는 공정인 바, 타일(12)의 파손 예방과 타일판재(1)의 강도(强度)를 보강할 목적으로 보강시멘트 또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접착력이 매우 우수한 접착제로 라스층(13a)을 설치하는 공정과, 겨울철 결로(結露) 및 수축팽창성의 들뜸 하자에 대한 억지력으로 라스층(13a) 외방에 추가로 단열층(13b)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데, 단열층(13b)은 경량 몰탈층 또는 스티로폴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인, 타일판재(1)를 상,하단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수단 설치단계는, 금속틀(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철(凸)의 역할을 하는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과, 금속틀(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요(凹)의 역할을 하는 캡슐 설치공정을 포함하고, 캡슐(5)내에서의 접착제 주입공정을 캡슐 설치공정에 포함된다.
즉, 상기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에 있어서 돌출결합돌기(3)는, 금속틀(11)의 상부에 상향으로 장착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틀(11)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경우에서는 금속틀(11)의 내부 및 금속틀(11) 외부의 상향 돌출결합돌기(3)를 끼운 앵커(2)의 속에서도 너트(31)로 장착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틀(11)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서는 상향 돌출결합돌기(3)를 인서트(6)(Inset)에 먼저 나사로 장착한 후, 인서트(6)가 금속틀(11)의 상부 중공부에 삽입되어 보울트(61)로 금속틀(11)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캡슐 설치공정에 있어서 캡슐(5)은, 금속틀(11)의 하부에 장착하되 하단측 타일판재(1)의 금속틀(11) 상부에 장착된 상향 돌출결합돌기(3)가 용이하게 끼워져 들어올 수 있도록 캡슐(5)의 저부 입구가 확장된 삽입구멍(51)을 가지며, 캡슐(5)안으로 들어온 상향 돌출결합돌기(3)가 유격으로 인하여 덜렁거리지 않도록 에폭시본드(Epoxy bond)로 이루어진 내부 접착제(53)가 주입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이 저장공간에 주입된 내부 접착제(53)가 캡슐(5)의 저부 삽입구멍(51)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캡슐(5)내부 구멍에 부착되는 연질마개 부착공정을 포함한다.
즉, 상기 연질마개(52)는 은박지(Aluminium)나 얇은 비닐막과 같이 돌출결합돌기(3)에 의하여 쉽게 뚫혀질 수 있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캡슐 설치공정에 있어서 캡슐(5)의 설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틀(11)이 수평(횡)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캡슐(5)에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하부 금속틀(11)을 억지끼움으로 관통시킨 후, 금속틀(11) 위로 돌출된 캡슐(5)의 외면과 금속틀(11)의 바닥면이 서로 “ㄴ”자 형태를 이루는 둘레 공간에 외부 접착제(54)를 발라서 캡슐(5)의 돌출 외면과 금속틀(11)의 바닥면이 상호 견고히 파지되도록 캡슐(5)을 고정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틀(11)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서는 금속틀(11)의 하부 중공부에 캡슐(5)을 삽입시켜 보울트(61)로 금속틀(11)과 캡슐(5)간을 결합한다.
상기 캡슐 설치공정에 있어서 접착제 주입공정은, 캡슐(5)의 저장공간에 내부 접착제(53)를 주입하여 상향 돌출결합돌기(3)가 연질마개(52)을 뚫고 캡슐(5) 내부로 관통되면, 접착제(53)의 경화로 인하여 돌출결합돌기(3)를 강하게 파지함으로써 캡슐(5)의 내부공간과 돌출결합돌기(3)간의 유격이 없도록 고정된다. 이때, 돌출결합돌기(3)는 파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부에 많은 요철부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 단계인 타일판재(1)의 설치단계는, 상향의 돌출결합돌기(3)를 앵커(2)에 끼워서 타일판재(1)가 설치되는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과, 이 하단 타일판재(1)의 상향 돌출결합돌기(3)와 앵커(2)가 결합된 상태 위에 상단측 타일판재(1)의 하부 캡슐(5)이 끼워져 결합되는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하단으로 결합되는 타일판재(1)를 벽면에 연결되는 앵커 설치공정이 이들 상,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에 각각 포함된다.
상기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 있어서 하단 타일판재(1)의 설치는, 하단 타일판재(1)를 먼저 바닥 슬라브(Slab)면 위에 몰탈로 수평되게 견고히 세팅(Setting)하고, 이 세팅된 하단 타일판재(1)의 상부 상향 돌출결합돌기(3)를 앵커(2)의 밑으로 부터 위로 돌출되게 끼워 앵커(2)와 하단 타일판재(1)와 보울트(61)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앵커 설치공정을 포함하여 시행한다.
상기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 있어서 상단 타일판재(1)의 설치는, 먼저 앵커 설치공정으로 벽면에 연결 설치된 하단 타일판재(1)의 상향 돌출결합돌기(3) 위에 상단 타일판재(1)를 수직되게 얹혀 상단 타일판재(1)의 캡슐(5)이 끼워지게 하는 결합공정 시행과 동시에 앵커 설치공정을 상단 타일판재(1)에 시행한다.
본 발명으로 벽면 전체를 실시 완성하려면, 위의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최하단((最下段) 중심부 벽면에서의 규격이 고정된 타일판재(1)들의 설치와 인접한 가장자리 코너(Corner)면에서의 비규격 타일판재(1)의 설치로 먼저 하단(下段) 일행(一行)의 벽면을 완성한 후, 설치된 일행(一行)의 하단 타일판재(1) 위에 상단 타일판재(1)를 얹혀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일행(一行)씩 시행하게 되면 벽면 전체가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타일판재 2 : 앵커
3 : 돌출결합돌기 5 : 캡슐
6 : 인서트 11 : 금속틀
12 : 타일 13 : 보강층
13a : 라스층 13b : 단열층
21 : 앵커보울터 31 : 너트
51 : 삽입구멍 52 : 연질마개
53 : 접착제 54 : 접착제
61 : 보울트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개의 타일(12)에 금속틀(11)을 결속하여 타일판재(1)를 제작하는 타일판재 제작단계와,
    상기 제작된 타일판재(1)를 상,하측으로 인접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설치단계와,
    상기 상,하측으로 결합되는 타일판재(1)를 앵커(2)와 앵커보울터(21)에 결합되게 하는 타일판재 설치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수단 설치단계는,
    타일판재(1)를 구성하는 금속틀(11)의 상부에 상향의 돌출결합돌기(3)를 설치하는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과,
    하향으로 개구되는 삽입구멍(51) 및 내부에 접착제(53)를 충진할 공간을 가지는 캡슐(5)을 금속틀(11)의 하부에 설치하는 캡슐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타일판재 설치단계는,
    하단 타일판재(1)의 상향 돌출결합돌기(3)를 앵커(2)의 밑으로 부터 위로 돌출시켜 앵커(2)에 결합되는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과,
    상기 하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에서 앵커(2)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결합돌기(3)에 상단 타일판재(1)의 캡슐(5)을 끼워 결합되는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 설치공정은,
    상단측 금속틀(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캡슐(5)의 내부 구멍에 연질마개(52)를 부착하는 연질마개 부착공정과,
    연질마개(52)가 부착된 캡슐(5)의 내부공간에 접착제(53)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공정과,
    상기 접착제(53)가 주입된 캡슐(5)의 저부입구에 확장된 삽입구멍(51)으로 하단 타일판재(1)의 상향 돌출결합돌기(3)를 끼우는 상단 타일판재 설치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틀(11)의 상부에 상향의 돌출결합돌기 설치공정은 돌출결합돌기(3)를 인서트(6)에 먼저 결합하는 공정과,
    상기 인서트(6)와 금속틀(11)이 결합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KR1020130136615A 2013-05-22 2013-11-12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KR101500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875 2013-05-22
KR20130057875 2013-05-22
KR1020130081417 2013-07-11
KR20130081417 2013-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9A KR20140137279A (ko) 2014-12-02
KR101500685B1 true KR101500685B1 (ko) 2015-03-09

Family

ID=5245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15A KR101500685B1 (ko) 2013-05-22 2013-11-12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785B1 (ko) 2015-10-02 2016-05-03 최재화 건축패널 부착 구조체
KR20200047282A (ko) 2018-10-25 2020-05-07 최지아 원터치형 타일부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771B (zh) * 2020-05-09 2021-09-21 绍兴市亮戈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墙面砖预粘贴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784A (ja) * 1991-12-04 1993-06-22 Y K K Architect Prod Kk 建築用パネルユニット
JPH06123149A (ja) * 1992-10-12 1994-05-06 Sekisui House Ltd 外壁パネルの支持装置
JP2000045392A (ja) * 1998-05-22 2000-02-15 Sekisui Chem Co Ltd 壁パネル間の接合構造、柱の接合構造、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構造
JP2003138665A (ja) * 2001-11-06 2003-05-14 Teruo Takei 建築物の外断熱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784A (ja) * 1991-12-04 1993-06-22 Y K K Architect Prod Kk 建築用パネルユニット
JPH06123149A (ja) * 1992-10-12 1994-05-06 Sekisui House Ltd 外壁パネルの支持装置
JP2000045392A (ja) * 1998-05-22 2000-02-15 Sekisui Chem Co Ltd 壁パネル間の接合構造、柱の接合構造、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構造
JP2003138665A (ja) * 2001-11-06 2003-05-14 Teruo Takei 建築物の外断熱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785B1 (ko) 2015-10-02 2016-05-03 최재화 건축패널 부착 구조체
KR20200047282A (ko) 2018-10-25 2020-05-07 최지아 원터치형 타일부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9A (ko)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500685B1 (ko) 벽면에 판재 형태로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
KR101526889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코핑 시공방법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CN105297921A (zh) 一种预制板与预制墙的连接节点及其施工方法
JP607166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強工法
JP5928781B2 (ja) 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CN108952018B (zh) 预制剪力墙构件内部套筒灌浆连接钢筋被截断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51106B1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내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6368346A (zh) 外墙板与飘窗板同时预制的夹心保温混凝土外墙板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CN215630682U (zh) 预制件的干式连接件及预制件的连接节点
JP5281919B2 (ja) 外断熱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0562804U (zh) 一体式保温建筑墙体
CN211341295U (zh) 外挂墙板与梁的连接节点
KR101834205B1 (ko) 외단열 벽체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벽체 시공방법
CN112575907A (zh) 预制件的干式连接件及预制件的连接节点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RU156207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CN117403806B (zh) 一种可无损集成瓷砖及保温层的叠合墙的预制方法
CN215053984U (zh) 预制构件的连接组件以及预制构件的连接节点
KR20130076845A (ko) 하이브리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