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480B1 - 차광성 장식 시트 - Google Patents
차광성 장식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4480B1 KR101494480B1 KR1020107000777A KR20107000777A KR101494480B1 KR 101494480 B1 KR101494480 B1 KR 101494480B1 KR 1020107000777 A KR1020107000777 A KR 1020107000777A KR 20107000777 A KR20107000777 A KR 20107000777A KR 101494480 B1 KR101494480 B1 KR 101494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ecorative
- color
- sensitive adhesive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05—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86—Ornamental, decorative, pattern, or indici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의장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창 유리, 실내를 나누기 위한 파티션 등을 위한,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투과광의 헤이즈값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상기 베이스층과 동계색인 장식부와 비장식부로 이루어진 의장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광성 장식 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광성 장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불투명한 베이스층에, 상기 베이스층과 동계색(同系色)의 의장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차광성 장식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는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를 갖고, 게다가 의장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창 유리, 실내를 나누기 위한 파티션 등을 위한 차광성 장식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다.
종래, 투명한 창 유리나 실내의 투명한 파티션 등에 있어서 시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가리고 싶은 부분에는 문자나 모양이 인쇄된 장식 시트나 매트 가공을 한 장식 시트를 붙이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 시트를 투명한 창 유리나 파티션에 붙이면, 시트를 붙인 부분과 붙이지 않은 부분의 경계 부분이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버리기 때문에 의장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경계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장식 필름을 창 유리 등의 거의 전면(全面)에 붙이는 것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한 장식 시트 또는 필름으로는 장식층과 베이스층으로 이루어지고, 장식층에서의 불투명 영역과 투명 영역의 면적비를 변화시킨 차광성 장식 시트(특허 문헌 1), 필름 상에 길이 방향으로 점증 또는 점감하는 그라데이션을 갖는 모양을 부여한 장식용 필름(특허 문헌 2)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중 그라데이션 영역을 갖는 장식 필름에는 투명 부분이 있어, 그 부분은 시선을 차단할 수 없었다. 즉, 시각 가림 효과를 발휘시키려면 일정한 거리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가까워지면 투명 부분으로부터 들여다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특허 문헌에서 소개된 장식용 필름 이외에, 시각 가림 효과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로서 균일한 백색 필름을 이용한 단순한 것은 예로부터 사용되고 있었지만, 백색 필름에 특정한 의장성을 갖는 백색의 모양을 인쇄한 것은 없었다.
또, 상기의 것은 모두 본 발명에서의 하기의 같은 개념을 응용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는 유니존(unizone)이라는 개념을 응용한 것이며, 의장성도 뛰어나 투명한 유리 등에 대해서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2209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6-23188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투명한 유리 등에 대해서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를 부여할 수 있고, 의장성도 뛰어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유니존이라는 개념을 응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상기 베이스층과 동계색인 장식부와 비장식부로 이루어진 의장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차광성 장식시트,
(2) 상기 장식부와 상기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색이 공히 백색인 상기 (1)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3) 상기 의장층이 전자 사진 인쇄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또는 열전사 인쇄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인 상기 (1)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4) 상기 의장층이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층을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5) 상기 의장층과 상기 베이스층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4)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6) 상기 보호층이 의장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5)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7) 상기 점착제층의 보호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상기 (6)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8) 상기 베이스층이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9)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상기 (8)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10) 상기 의장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4)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11) 상기 베이스층이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10)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12)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상기 (11)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13) 상기 보호층이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상기 (10)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
(14)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보호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상기 (13)에 기재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장성도 뛰어나고 투명한 유리 등에 대해서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는 베이스층과 의장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층은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의장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층과 동계색인 장식부와 비장식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의장층에서의 비장식부라는 것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의 노출부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장식부와 비장식부를 합하여 의장층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장식부와 비장식부가 동계색」인가 아닌가는 차광성 장식 시트가 유채색인가 무채색인가에 따라 구별 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우선, 장식부가 유채색인가 무채색인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유채색과 무채색은 이하와 같이 구별된다.
JIS Z8729에 기재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채도에 상당하는 양인 ab 크로머 c*=√(a*2+b*2)이 12 보다 큰 색을 유채색, 12 이하인 색을 무채색으로 한다.
다음에 유채색의 경우와 무채색인 경우에서의 동계색인가 아닌가의 정의를 기재한다.
(1) 유채색인 경우
JIS Z8729에 기재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2개 색의 ab 색상각 h=tan-1(b*/a*)의 차가 30도 이하인 경우, 2개의 색은 동계색인 것으로 한다. 차가 30도를 넘는 경우, 동계색이 아닌 것으로 한다.
(2) 무채색인 경우
무채색은 명도에 따라서 백색, 회색, 흑색이 있고, 명도가 0에 근접한 것이 흑색, 40 보다 큰 것이 백색, 그 중간이 회색으로 보이지만, 이것들은 명도의 차이뿐이고, 2개의 색이 모두 무채색인 경우 그것들은 동계색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서의 의장층에 있어서, 비장식부라는 것은 장식부가 전혀 없는(예를 들어, 장식부가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인쇄 부분이 전혀 없다) 것을 주로 의미하지만, 장식부에 대해서 옅은 장식이 실시되어 있는 것도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층이 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필름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로판, 연신 폴리프로필렌, 캐스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각종 기능성을 부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중에서에 헤이즈값을 조정하는 것이 용이한 것으로부터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의 두께는 통상 5~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의 범위이다.
200㎛ 이하로 함으로써 필름의 유연성이 확보되어 차광성 장식 시트로서의 시공성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다. 5㎛ 이상으로 함으로써 차광성 장식 시트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여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무색의 것이어도 착색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베이스층이 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는 자외선 흡수제나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나 벤조페논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광 안정제로는 힌더드 아민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힌더드 페놀계, 인계, 유황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은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하, 단순히 헤이즈값이라고 기재하기도 한다)이 20% 이상이지만,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헤이즈값을 20% 이상으로 함으로써 시각 가림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베이스층에서의 헤이즈값을 2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안료를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에 반죽하고 필름화하던지, 그러한 안료를 바인더가 되는 수지 등에 혼합하여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도포하던지, 발포제를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층에 이겨 넣어 발포시키던지, 또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요철 가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베이스층에서의 헤이즈값을 2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안료로는 산화 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 지르코늄,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카올린 등과 같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안료 또는 폴리에틸렌이나 아크릴 등 수지의 미립자 등 유기 재료(베이스층이 되는 필름의 재료인 열가소성 수지와 다른 재료, 즉 다른 굴절률을 가지고 있는 것을 필요로 한다)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산화 티탄, 황산바륨, 실리카가 바람직하고, 굴절률이 높고 빛을 잘 산란시키는 것으로부터 산화 티탄이 특히 바람직하다.
베이스층의 균일성, 즉 베이스층이 균일한 헤이즈값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을 나타내는 관점으로부터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료의 입경과 표준 편차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안료는 동적 산란법에 의해 구한 평균 입자 지름이 0.1㎛~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의 표준 편차가 1.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입자 지름이 0.1㎛~2.0㎛이고, 평균 입자 지름의 표준 편차가 1.7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베이스층의 헤이즈값을 20%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혼합하는 안료의 입자 지름과 함께 함유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차광성 장식 시트에 있어서 자주 이용되는 두께 50㎛ 정도의 투명한 필름을 이용하고, 백색 안료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입자 지름 0.1~3.0㎛의 산화 티탄을 사용하는 경우 그 함유율은 5~35 중량% 정도이다.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요철 가공함으로써 헤이즈값을 20% 이상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샌드블라스트법, 엠보스법 등 여러 가지의 요철 가공법을 들 수 있다. 엠보스법은 표면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롤을 압착함으로써 요철 가공하는 방법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90% 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30% 이상으로 함으로써 장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장식부가 옅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예를 들어, 인쇄가 없는 부분 또는 옅게 인쇄되어 있는 부분)의 명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으로 요철 가공하여 베이스층을 조제하는 경우에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실시해도 되고, 한면에만 실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서의 헤이즈값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은 헤이즈값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헤이즈값이 거의 제로인 투명 필름의 적층체여도 된다.
다음에 의장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장층은 장식부와 비장식부로 이루어져 있고, 통상은 인쇄 방식에 따라 상기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형성된다. 베이스층에 의장층을 형성시킬 때, 후에 말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층」의 한쪽면에 의장층을 형성하고, 점착제층을 통하여 의장층을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적층해도 된다.
의장층은 전자 사진 인쇄 방식, 열전사 인쇄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스크린 인쇄 방식, 오프셋 인쇄 방식, 그라비어 인쇄 방식, 플렉소 인쇄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된다. 잉크젯 인쇄 방식에는 자외선 경화형, 수성 열경화형, 식물유(植物油)형, 용제(溶劑)형 등이 있다. 잉크젯 인쇄 방식은 고해상도ㆍ고정밀 장식부를 얻을 수 있고, 자외선 경화형, 수성 열경화형은 잉크 수용성이 부족한 베이스층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열전사 인쇄 방식은 고속으로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인쇄 방식 중에서 온 디멘드(on demend) 인쇄가 가능한 점에서 전자 사진 인쇄 방식, 열전사 인쇄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인쇄는 1회 인쇄여도 되고, 여러번 인쇄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형성되는 의장층에서의 장식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베이스층 전면에 대해서 시각 가림 효과와 의장성의 밸런스가 좋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통상 5~95% 정도이며, 장식부는 각종 도안, 모자이크 모양이나 기하학 모양이어도 되고, 문자 혹은 그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각종 모양이나 문자는 농담(濃淡)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모양이나 문자에 농담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베이스층과 장식부를 합한 전체 광선 투과율은 장식부의 평면 위치에 의해서 구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 있어서는 베이스층과 장식부가 동계색이면 백색으로 한정되지 않지만, 반사광과 투과광의 명도 차이가 크고 의장성이 뛰어난 점에서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서의 베이스층의 헤이즈값은 20% 이상인 것이 필수이며,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다음에 상기 의장층의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층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보호층은 베이스층 상에 형성된 의장층이 벗겨져 떨어지거나 더러워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시각 가림 효과나 의장성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투명한」이라는 것은 보호층의 헤이즈값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를 말한다. 보호층의 헤이즈값을 20%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의 의장성이 유지된다. 보호층으로는 상기 베이스층이 되는 필름을 헤이즈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던지, 낮은 헤이즈값이 되도록 가공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층과 동일한 정도이면 된다.
또, 보호층을 설치할 때 점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히트 실(heat seal) 방식으로 의장층과 보호층을 밀착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에 있어서 보호층을 설치하는 경우, 의장층을 우선 보호층 상에 설치하고, 그 다음에 점착제층을 통하여 베이스층에 적층하는 순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을 설치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층 상에 의장층을 설치하는 경우에 준하면 된다.
다음에 점착제층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a) 베이스층과 의장층 사이, (b) 베이스층의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 (c) 의장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 및 (d) 보호층의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필요에 따라서 설치된다.
(a)에서의 점착제층은 베이스층과 의장층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b)에서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를 유리 등의 피착체에 붙이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c)에서의 점착제층은 의장층과 상기 보호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d)에서의 점착제층은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를 유리 등의 피착체에 붙이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모두 점착제의 종류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의 예로는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비닐부티랄계 점착제, 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내후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등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내후성(耐候性) 향상제를 배합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상기의 베이스층을 설명한 곳에서 예시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점착제층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0.1~20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5~30㎛ 정도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를 1㎛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요한 점착력 및 응집력(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50㎛ 이하로 함으로써 비용 상승을 막는 것과 동시에 점착제층이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제를 도포하려면 통상 실시되고 있는 그라비어 코트법, 바 코트법, 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핫멜트 코트법, 커텐 코트법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피착체에 붙이기 위해서 점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즉 상기 (b) 베이스층의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 및 (d) 보호층의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형성된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해서 박리지 또는 박리 필름 등의 박리 시트가 첩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로는 상기 베이스층이 되는 각종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나 그라신지와 같은 고밀도 원지(原紙), 클레이 코트지, 그라프트지, 상질지(上質紙) 등의 종이에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등에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카르바메이트 등의 박리제를 코팅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박리 시트의 두께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통상은 10~250㎛, 바람직하게는 20~200㎛이다.
박리제를 건조 중량으로 0.01~3g/m2 정도가 되도록 도포하고 열경화나 자외선 경화 등에 의해서 박리제층을 형성시킨다. 이 박리제층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0.01~3㎛ 정도의 범위이다.
인쇄시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한 방해 전파를 막기 위하여, 표면 저항율이 1012Ω 이하가 되도록 대전 방지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발명에서의 각층의 적층 상태를 정리하여 이하에 기재한다.
발명 (1): 의장층/베이스층
발명 (4): 보호층/의장층/베이스층
발명 (5): 보호층/의장층/점착제층/베이스층
발명 (6): 점착제층/보호층/의장층/점착제층/베이스층
발명 (7): 박리 시트/점착제층/보호층/의장층/점착제층/베이스층
발명 (8): 의장층/베이스층/점착제층
발명 (9): 의장층/베이스층/점착제층/박리 시트
발명 (10): 보호층/점착제층/의장층/베이스층
발명 (11): 보호층/점착제층/의장층/베이스층/점착제층
발명 (12): 보호층/점착제층/의장층/베이스층/점착제층/박리 시트
발명 (13): 점착제층/보호층/점착제층/의장층/베이스층
발명 (14): 박리 시트/점착제층/보호층/점착제층/의장층/베이스층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질적으로 투명한 보호층[JIS 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 1.0%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프린터[린텍(주)제“윈테리어 화이트메이커 WM-110UV”]를 이용하고, 직경 10 mm, 간격 10 mm의 물방울 무늬를 갖는 백색의 장식부를 갖는 의장층(전체 면적 중 약 20%가 장식층)을 형성하고, 이 의장층 위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 헤이즈값 48.8%인 백색의 베이스층[불소 수지제의 필름의 표면에 엠보스 가공을 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2]
헤이즈값이 79.8%인 백색의 베이스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백색의 안료를 반죽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린텍(주)제“루미쿨 1301”」]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프린터[린텍(주)제 “윈테리어 화이트메이커 WM-110UV”]를 이용하여 직경 10 mm, 간격 10 mm의 물방울 무늬로 이루어진 백색의 장식부를 갖는 의장층이 형성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3]
헤이즈값이 92.2%인 백색의 베이스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백색의 안료를 반죽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린텍(주)제“미스트라스 MST5000”」]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4]
헤이즈값이 93.2%인 백색의 베이스층[폴리염화피닐 수지에 백색의 안료를 반죽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시트 「린텍(주)제 ”TT 마운트 BL-1」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차광성 장식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5]
헤이즈값이 26.1%인 시안색의 베이스층[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시안색의 안료를 반죽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린텍(주)제“뷰컬 92919”」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프린터[린텍(주)제“윈테리어 화이트메이커 WM-110UV”]를 이용하여 직경 10 mm, 간격 10 mm의 물방울 무늬의 형상을 갖는 시안색[베이스층과 동계색의 잉크 사용]의 장식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6]
헤이즈값이 46.6%인 진홍색(magenta)의 베이스층[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진홍색의 안료를 반죽함으로써 헤이즈값을 조정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린텍(주)제, 뷰컬 9234]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과 반대측의 면에, 진홍색[베이스층과 동계색의 잉크 사용]의 장식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실시예 1~4에서 얻어진 차광성 장식 시트는 무채색인 백색의 베이스층에 무채색인 백색의 장식부를 형성시킨 예이다.
실시예 5 및 6은 유채색인 베이스층에 유채색인 장식부를 형성시킨 예이다.
실시예 1~4는 투과광으로 보았을 경우 장식부와 비장식부의 ab 크로머 c*가 모두 12 이하이며, 장식부와 비장식부가 동계색(유니존)이 된다.
또, 장식부에 대해서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비교해 보았을 경우, 모두 ab 크로머 c*가 12 이하이며, 동계색(유니존)이 된다.
실시예 5 및 6은 투과광으로 보았을 경우, 장식부와 비장식부의 ab 색상각 h의 차이가 30도 이하이며, 장식부와 비장식부가 동계색(유니존)이 된다.
또, 장식부에 대해서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비교해 보았을 경우, 반사광과 투과광의 ab 색상각 h의 차이가 30도 이하이며,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동계색(유니존)이 된다.
명도 L*에 대해서 보면, 반사광에서는 장식부가 비장식부보다 높지만 투과광에서는 장식부가 비장식부보다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차광성 장식 시트는 베이스층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3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층의 의장층과는 반대측으로부터도 의장층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실시예 4~6에서는 장식부와 비장식부가 동계색일 뿐만 아니라, 반사광에서의 명도의 차이를 10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조명이 어두워지는 경우에는 반사광으로는 장식부를 인식할 수 없지만, 배면에 백 라이트를 비추면 투과광으로는 장식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의장성도 발휘하고 있다.
[비교예 1]
JIS 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 2.0%인 무색의 베이스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린텍(주)제“루미쿨 1501UH”]의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과는 반대의 면에 실시예 2와 같은 백색의 장식부를 갖는 의장층이 형성된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진홍색[백색의 베이스층과 동계색이 아닌 잉크 사용]의 장식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시안색[진홍색의 베이스층과 동계색이 아닌 잉크 사용]의 장식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의장층이 형성된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를 제작했다.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는 베이스층의 헤이즈값이 20% 보다 작기 때문에 시각 가림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는 무채색인 백색의 베이스층에 유채색인 진홍색의 장식부를 형성시킨 예이며, 동계색이 아닌 예이다. 장식부를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비교하면, 반사광에서는 ab 크로머 c*가 55.2로 높고, 선명한 진홍색이었던 것이 투과광에서는 ab 크로머 c*가 1.9로 저하하여 무채색이 되어 버려,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동계색(유니존)이 되지 않는다.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는 유채색인 진홍색의 베이스에 유채색인 시안색의 장식부를 설치한 예이다. 장식부는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ab 색상각 h의 차이가 30도 보다 커져,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동계색(유니존)이 되지 않는다(장식부는 반사광에서는 시안색이지만 투과광에서는 베이스층인 진홍색의 영향을 받아 붉은기가 강해져 있다).
실시예 1~7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비교용 차광성 장식 시트에 관해서 시각 가림 효과 및 의장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1에 있어서, 「명도 L*」, 「색 좌표 a*」, 「색 좌표 b*」, 「ab 크로머 c*」, 「ab 색상각 h(도)」는 JIS Z8729(색의 표시 방법)에 근거하여 측정[측정기: 일본전색공업(주)제의 동시 측광 분광식 색도계 SQ2000을 사용]된 수치로, 반사에서의 측정에 있어서는 야간에서의 배경이 흑색이 되는 것을 상정하여 흑색의 누름판을 이용했다.
「명도 L*」는 밝기의 정도를 나타내고, 수치가 클수록 색이 밝은 것, 수치가 작을수록 색이 어두운 것을 나타낸다.
「색 좌표 a*」는 그 값이 플러스인 경우에는 적색을,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초록색을 나타낸다.
「색 좌표 b*」는 그 값이 플러스인 경우에는 노란색을,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파란색을 나타낸다.
「ab 크로머 c*」는 직교하는 2개의 색 좌표(a*, b*)로 표시되는 특정 색에 대해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즉 채도를 나타내고, 그 값이 큰 경우에는 유채색, 작은 경우에는 적색, 초록색, 노란색 및 파란색이 없는 무채색이 된다.
「ab 색상각 h」는 직교하는 2개의 색 좌표(a*, b*)로 표시되는 특정 색에 대해서 색 좌표축 a*로부터의 왼쪽 회전의 각도를 나타내고, tan-1(b*/a*)로 계산된다. 값이 0도인 경우에는 빨강, 90도는 노랑, 180도는 초록, 270도는 파랑을 나타낸다.
무채색인 경우에는 a*, b*의 값이 작기 때문에 a*, b*의 측정 오차에 의해서 ab 색상각이 크게 편차가 나므로 무채색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헤이즈(%)」및 「전체 광선 투과율(%)」는 JIS K7105(플라스틱의 광학적 특성 시험 방법)에 근거하여 측정[일본전색공업(주)제의 탁도계 NDH2000이 사용]된 수치이다.
또한, 표 1 중, W, C, M은 각각, 흰색, 시안(청록), 진홍색(적자)을 나타낸다.
<시각 가림 효과>
차광성 장식 시트의 시각 가림 효과는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차광성 장식 시트를 통해 1m 떨어진 개소에 있는 사람의 윤곽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를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 있음), 간신히 식별할 수 있는 경우는 ○(시각 가림 효과 있음),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경우를 ×(시각 가림 효과 없음)로 했다.
<의장성>
차광성 장식 시트의 의장성은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장식부가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동계색(유니존)이 되는 경우를 ○, 실내의 조명을 어둡게 하면 장식부를 인식할 수 없지만, 백 라이트를 비추면 장식부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 장식부가 반사광과 투과광에서 동계색(유니존)이 되지 않는 경우를 ×로서 평가했다.
표 1의 결과에 의해 실시예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는 비교용에서 얻어진 것에 비해 시각 가림 효과 및 의장성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성 장식 시트는 뛰어난 시각 가림 효과를 갖고, 의장성이 뛰어나 건축물의 창 유리, 실내를 나누기 위한 파티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4)
- JISK7105에 준거하여 측정된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층의 한쪽면에, 상기 베이스층과 동계색(同系色)인 장식부와 비장식부로 이루어진 의장층(意匠層)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유채색의 경우, JIS Z8729에 기재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2개 색의 ab 색상각 h=tan-1(b*/a*)의 차가 30도 이하인 경우, 2개의 색을 동계색인 것으로 하고, 2개의 색이 모두 무채색인 경우, 그것들을 동계색인 것으로 하며;
JIS Z8729에 기재된 L*a*b* 표색계에 있어서, 채도에 상당하는 양인 ab 크로머 c*=√(a*2+b*2)이 12 보다 큰 색을 유채색, 12 이하인 색을 무채색으로 정의하는 차광성 장식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와 상기 헤이즈값이 2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색이 공히 백색인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장층이 전자 사진 인쇄 방식, 잉크젯 인쇄 방식 또는 열전사 인쇄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인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장층의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헤이즈값이 20% 이하인 보호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장층과 상기 베이스층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의장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보호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장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베이스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상기 의장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보호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박리 시트를 갖는 차광성 장식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188046 | 2007-07-19 | ||
JP2007188046 | 2007-07-19 | ||
PCT/JP2008/063101 WO2009011446A1 (ja) | 2007-07-19 | 2008-07-22 | 遮光性装飾シー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51788A KR20100051788A (ko) | 2010-05-18 |
KR101494480B1 true KR101494480B1 (ko) | 2015-02-17 |
Family
ID=4025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00777A KR101494480B1 (ko) | 2007-07-19 | 2008-07-22 | 차광성 장식 시트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377534B2 (ko) |
EP (1) | EP2172334B1 (ko) |
JP (1) | JP5502472B2 (ko) |
KR (1) | KR101494480B1 (ko) |
CN (1) | CN101815616B (ko) |
WO (1) | WO20090114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20637A1 (en) * | 2009-07-03 | 2011-01-27 | Nitto Denko Corporation | Laminated film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FR2986994B1 (fr) * | 2012-02-21 | 2015-02-20 | Aladine | Element adherent decoratif |
CN102925069A (zh) * | 2012-10-08 | 2013-02-13 |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 晶圆贴模用胶带构造、贴膜设备及贴膜方法 |
CN103694911A (zh) * | 2013-12-20 | 2014-04-02 | 杨川林 | 一次性汽车反光遮光膜 |
US10174234B2 (en) | 2014-03-31 | 2019-01-08 | Lintec Corporation |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
TWI674970B (zh) * | 2015-01-27 | 2019-10-21 | 日商王子控股股份有限公司 | 積層體、裝飾成形體及裝飾成形體之製造方法 |
KR102255602B1 (ko) * | 2015-06-15 | 2021-05-24 |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 점착 필름, 적층체 및 가식 성형체 |
CA3011392A1 (en) | 2016-01-22 | 2017-07-27 | Ab Ludvig Svensson | Greenhouse screen |
JP6795474B2 (ja) * | 2017-08-30 | 2020-12-02 |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 印刷物作成方法及び印刷物 |
JP7544569B2 (ja) * | 2017-08-30 | 2024-09-03 |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 印刷物及び印刷物作成方法 |
JP6983585B2 (ja) * | 2017-09-05 | 2021-12-17 |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 調色シート |
JP6950877B2 (ja) * | 2019-07-09 | 2021-10-1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加飾品の製造方法、加飾シート、及び加飾品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8320A (ja) * | 1998-01-20 | 1999-07-27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化粧シート |
JP2001260302A (ja) | 2000-03-21 | 2001-09-25 | Ibiden Co Ltd | 化粧板 |
JP2005022096A (ja) | 2003-06-30 | 2005-01-27 |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 遮光性装飾シート |
JP2005231041A (ja) | 2004-02-17 | 2005-09-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多層積層フィル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7643A (ja) * | 1989-07-26 | 1991-03-13 | Goyo Shiko Kk | 熱シール性隠蔽性積層材料 |
JP2844973B2 (ja) * | 1990-06-30 | 1999-01-13 | 王子製紙株式会社 | フィルム印刷シート |
JPH059444A (ja) * | 1991-07-03 | 1993-01-19 | Sekisui Chem Co Ltd | 装飾用粘着シート |
DE4135097A1 (de) * | 1991-10-24 | 1993-04-29 | Hoechst Ag | Nicht siegelbare, matte, truebe biaxial orientierte polyolefin-mehrschicht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JP3500240B2 (ja) * | 1995-10-27 | 2004-02-23 | リンテック株式会社 | 着色フイルム |
US6753056B1 (en) * | 1999-03-10 | 2004-06-2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ecorative films for glass-paned window |
JP2000256041A (ja) * | 1999-03-10 | 2000-09-19 | Minnesota Mining & Mfg Co <3M> | 窓ガラス用装飾フィルム |
EP1203657A4 (en) * | 2000-03-24 | 2002-08-21 | Ibiden Co Ltd | DECORATIVE MATERIAL AND DECORATIVE PLATE |
JP2002002192A (ja) | 2000-06-21 | 2002-01-08 | Nissha Printing Co Ltd | 加飾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
JP4052900B2 (ja) | 2002-08-23 | 2008-02-27 | 日栄化工株式会社 | 装飾用シート |
JP4269099B2 (ja) * | 2002-11-29 | 2009-05-27 | Dic株式会社 | 反射・遮光性粘着テープ |
JPWO2004087432A1 (ja) * | 2003-03-31 | 2006-06-29 | ゼオン化成株式会社 |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材料、それを用いた印刷物積層体及び印刷物貼着体の製造方法 |
JP2005178062A (ja) | 2003-12-17 | 2005-07-07 | Teijin Chem Ltd | 多層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170936B2 (ja) | 2004-03-12 | 2008-10-22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遮光性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容器 |
JP2006231880A (ja) | 2005-02-28 | 2006-09-07 | Riken Technos Corp | 装飾用フイルム |
-
2008
- 2008-07-22 JP JP2009523697A patent/JP5502472B2/ja active Active
- 2008-07-22 WO PCT/JP2008/063101 patent/WO200901144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7-22 KR KR1020107000777A patent/KR101494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7-22 US US12/669,348 patent/US8377534B2/en active Active
- 2008-07-22 CN CN200880024756.2A patent/CN101815616B/zh active Active
- 2008-07-22 EP EP08791382.8A patent/EP217233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98320A (ja) * | 1998-01-20 | 1999-07-27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化粧シート |
JP2001260302A (ja) | 2000-03-21 | 2001-09-25 | Ibiden Co Ltd | 化粧板 |
JP2005022096A (ja) | 2003-06-30 | 2005-01-27 |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 遮光性装飾シート |
JP2005231041A (ja) | 2004-02-17 | 2005-09-02 | Dainippon Printing Co Ltd | 多層積層フィル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11446A1 (ja) | 2009-01-22 |
US8377534B2 (en) | 2013-02-19 |
EP2172334B1 (en) | 2015-09-02 |
CN101815616A (zh) | 2010-08-25 |
CN101815616B (zh) | 2014-02-26 |
EP2172334A1 (en) | 2010-04-07 |
US20100221476A1 (en) | 2010-09-02 |
EP2172334A4 (en) | 2012-02-08 |
KR20100051788A (ko) | 2010-05-18 |
JP5502472B2 (ja) | 2014-05-28 |
JPWO2009011446A1 (ja) | 2010-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4480B1 (ko) | 차광성 장식 시트 | |
US10989975B2 (en) | Electrochromic component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 |
US7410685B2 (en) | Infrared-reflective material comprising interference pigments having higher transmission in the visible region than in the NIR region | |
EP3115423B1 (en) | High-quality/high-definition screen printing ink composition for glass substrate, printed product obtained by screen printing said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id printed product | |
CN102689483B (zh) | 装饰用贴膜及其制备方法 | |
US6358598B1 (en) | Decorative translucent window covering | |
KR101767453B1 (ko) | 자동차 및 인테리어용 필름 | |
JP6820164B2 (ja) | 装飾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20003546A (ko) | 창 유리용 장식 필름 | |
JP2019209548A (ja) | 金属調加飾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調加飾成形体 | |
US20030211337A1 (en) | Decorative films for windowpane | |
US10676665B2 (en) | Outdoor color-changeable film having self-recovering properties | |
JP2000136361A (ja) | 粘着シ―ト | |
JP2002278490A (ja) | グラフィックス表示シート | |
EP1348539A3 (en) | A mar resistant, non-glare transparent acrylic sheet with consistent optical properties at various sheet thicknesses | |
WO2017023009A1 (ko) | 홀로그램을 갖는 유리창 부착용 착색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JP7133695B1 (ja) | 装飾体、装飾体製造装置及び装飾体製造方法 | |
GB2245742A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reflective sheets | |
EP1315620A2 (en) | Image-recording medium | |
KR101725362B1 (ko) |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용 광보정 은반사시트 | |
JP6627355B2 (ja) | 印刷物及び該印刷物を用いた容器 | |
JP6627354B2 (ja) | 印刷物及び該印刷物を用いた容器 | |
EP2364863A1 (en) | Assembly for improving visibility in the dar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assembly | |
US20040126508A1 (en) | Image-recording medium | |
JP2023550733A (ja) | 印刷可能フィル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