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52B1 - 항균제 - Google Patents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52B1
KR101492652B1 KR20097012241A KR20097012241A KR101492652B1 KR 101492652 B1 KR101492652 B1 KR 101492652B1 KR 20097012241 A KR20097012241 A KR 20097012241A KR 20097012241 A KR20097012241 A KR 20097012241A KR 101492652 B1 KR101492652 B1 KR 10149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lybdenum
delete delete
powder
tungs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12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277A (ko
Inventor
죠셉 피터 구근비클러
니코 에베르하르드트
한스-피터 마르틴즈
헤이코 윌드너
Original Assignee
죠셉 피터 구근비클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셉 피터 구근비클러 filed Critical 죠셉 피터 구근비클러
Publication of KR20090094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lubricating compositions
    • A61L29/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03Compounds of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4Biocides, antimicrobial agents, antisept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수소 양이온을 생성하는 무기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소 양이온은 항균 효과를 일으키며, 상기 물질은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균제{ANTIMICROBIAL AGENT}
본 발명은 항균 효과를 얻기 위한 물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아와 균류와 같은 미생물은 우리의 생활 공간에 편재하며, 매우 다양한 종류의 표면에 존재한다. 많은 미생물은 병원체이며, 따라서, 이들의 확산 및/또는 제어는 공중보건과 위생에 있어 특별한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미생물이 우리의 몸에 들어가게 되면, 이들은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일 병원에서 이러한 감염에 걸리게 되면, 이를 원내감염이라 한다.
원내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제거하기 위해서, 매년 전 세계적으로 두 자리수의 10억 단위 유로(Euro)액이 요구된다는 가정으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의 제어는 공중보건과 위생에 있어 특별한 역할을 한다.
항생제로 바람직하지 않은 미생물을 예방 및/또는 사멸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면 예방조치로, 미생물의 생존에 불리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예방조치들 중에, 은을 유기 및 무기 재료에 첨가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지난 몇 년에 걸쳐 급속하게 중요해졌다. 여기에서, 은 이온은 미생물의 중요 한 기능을 방해한다. 요즘에는, 은 이온이 세포 내에서 효소를 차단하고 이들의 필수 운송 기능을 막는다는 가정으로부터 진행되고 있다. 추가적인 효과로 세포의 구조적 강도의 손상 및/또는 막 구조의 손상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효과들은 세포 손상 및/또는 세포사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은은 다중-저항성 세균에 대하여 매우 넓은 활성 범위를 가진다. 적은 투여량으로 장기간의 효과를 이루기에 충분하다. 이를 미량작용효과라고 한다. 은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여전히 일부 경우에 유기화합물이 추가된다. 충분한 은 이온이 존재하는 것은 항상 중요하다. 따라서, 소위 은나노라 불리는 나노 크기의 은 분말는 큰 입자 표면을 이루기 위해 사용된다.
은은 넓은 복용 범위에서 어떠한 독성 부작용도 갖지 않는다. 오직 은이 체내에 너무 많이 축적된 경우에만 은 중독, 돌이킬 수 없는 피부 및 점막의 자회색 변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은 농도의 증가는 미각 장애, 후각장애 및 대뇌 경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나노 크기의 입자와 인체 사이의 상호작용이 아직 충분히 조사되지 않았다는 점이 언급되어야 한다. 광범위한 연구 계획은 최근에야 시작되었다. 은의 항균 효과는 다양한 응용을 위해 충분하지 않다. 효과는 생리식염수 0.25 몰까지만 주어진다. 이를 넘으면, 염화은이 생성된다. 은나노의 사용에 의한 필연적인 단점은 불만족스러운 원가 상황에 있다. 한편으로 이것은 은의 높은 가격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은의 나노입자로의 가공이 시간 소모적이고 비싸기 때문이다. 문제는 은나노 공정에 더 있으며, 이는 덩어리, 응집 및 클러스터의 형성 때문이다. 이 때문에, 활성 표면이 감소되고, 추가적인 결과로 항균효과도 감소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은나노를 담체, 예를 들어 TiO2의 입자 표면에 증착시키는데, 이는 이번에는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다른 금속에서 항균 효과, 미량작용효과 및 살균효과를 발견하려는 시도가 충분히 있어왔다. 예를 들어, 구리가 또한 강한 항균 효과를 가지지만, 너무 높은 세포독성이 있다. 인터넷 위키백과에서 검색어를 미량작용효과로 하여 검색한 결과, 지금까지는, 이러한 효과가 이들의 효과가 낮아지는 순서로 다음의 금속들에게서 발견되었다: 수은, 은, 구리, 주석, 철, 납 및 비스무트. 금과 오스뮴의 두 가지 비활성이고 값비싼 금속 또한 이러한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많은 응용에 있어서, 충분한 항균 효과 이외에도, 활성 물질이 어떠한 세포독성과 응혈성도 갖지 않고 일반적으로 생체적합성일 것이 요구된다. 수은, 비스무트 또는 구리와 같은 활성 물질들은 이들의 높은 세포독성과 주어지지 않은 생체적합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다수의 특허와 비특허 문헌들이 은나노의 제조와 용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추가적인 금속과 무기 화합물은 특정 사례에만 기재되어 있다. US 5,520,664에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진 카테터를 기재하고 있다. 원자들이 항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이온 주입법에 의하여 도입된다. 은, 크로뮴, 알루미늄,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백금, 이리듐, 금, 은, 수은, 구리, 아연 및 카드뮴은 항균 효과를 가지는 금속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오직 은과 구리만이 실시예와 특별한 구현예로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JP 2001-54320에서는 0.005 내지 1 중량%의 몰리브덴 삼산화물과 은 산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항균 수지 성분과, 무균실의 파티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바닥재, 안감, 서류가방, 책상용 깔개, 식탁보, 포장 봉투, 직물등의 맨 위층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들로 이루어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문제는 무기의, 항균 활성 물질이 포함된 경우에, 예를 들어 염화 비닐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의 투명성을 잃게 된다는 점이다. 투명성의 상실은 6가 몰리브덴 산화물의 혼합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응용은, 몰리브덴 삼산화물과 은 산화물의 중량비가 95 : 5를 초과하면 더 이상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쉽게 드러낸다. 따라서, 항균 효과는 몰리브덴 산화물 그 자체에 기인하지 않는다. 몰리브덴 산화물과 은 산화물의 비율이 30 : 70 보다 낮으면, 즉 몰리브덴 산화물의 분율이 적으면, 염화 비닐 수지의 변색이 일어난다.
JP 2001-04022에는 항균효과를 가진 유기 성분 및 금속 성분을 모두 포함하 는 항균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은, 백금, 구리, 아연, 니켈, 코발트, 몰리브덴 및 크로뮴은 항균 효과를 가지는 금속 성분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은과 구리는 또다시 실시예와 바람직한 구현예에만 활성인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JP 2000-143369에는 몰리브덴산 은을 포함하는 세라믹 성분용 유약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는, 0.01 내지 1 %의 몰리브덴산 은을 첨가하여 금속성 은으로 전환시킨다. 효과는 10 내지 50 %의 티타늄 산화물의 첨가에 의해 증가된다.
항균 효과는 또한 광 산화 효과를 가진 성분에 의해서도 얻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미생물을 손상시키는 반응성 자유 라디칼이 형성된다. JP 11012479에는 유기 및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항균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은, 아연 및 구리와 같은 금속 입자와, 칼슘 아연 인산염, 세라믹, 유리 분말, 알루미늄 규산염, 티타늄 제올라이트, 인회석 및 칼슘 탄산염과 같은 추가적인 화합물이 무기 성분의 예로 언급되어 있다. 여기에서, 아연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또는 몰리브덴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은 광 산화 효과를 위한 촉매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JP 11012479는 광 산화 메카니즘이 일어나는 경우에만 항균 효과가 일어난다는 점, 즉 효과의 전제조건이 전자기 방사선의 발생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항균 효과를 가진 저렴한 재료의 가용성은 더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많은 사람이 붐비거나, 예를 들면 병원, 의료실습, 요양소 및 공공기관과 같이 위생이 굉장히 요구되는 곳에서 특히 중요하다. 여기에서, 원내감염을 줄이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모든 고관절 임플란트의 0.5 % 및 모든 슬관절 임플란트의 2 내지 4 %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카테터에는 특히 높은 감염 위험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더 많은 응용 분야에서 미생물의 습식과 전파를 제어 및/또는 예방하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항균 효과를 가진 물질의 가용성 이외에도, 카테터 임플란트, 필터, 튜브, 컨테이너, 케이블 등과 같은 해당 물품으로 제조되는 복합 재료에 포함 되더라도 항균 활성 물질의 효과가 약화되지 않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원칙적으로, 플라스틱 재료의 생산은 저렴하고 이들의 취급은 간편하다. 따라서, 이들은 많은 응용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유연성 및/또는 강성 및 작업 응력과 같은 특성이 플라스틱 재료의 종류에 의존하기 때문에, 다른 응용을 위해서는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모든 플라스틱 재료가 모든 응용에 적합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테터 또는 주입 백은 임플란트나 폐기물 컨테이너와 대조적으로 여전히 일정한 유연성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항균 물질이 해당 플라스틱 재료와 결합하여 이들의 효과를 유지하는지 및/또는 이들의 효과를 얻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와 어떻게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하는지, 사용되는 각 플라스틱 재료의 종류마다 테스트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시간-소모적이고 값비싸고 광범위한 일련의 테스트를 초래, 즉 다시 각각의 바람직한 응용을 위해, 이번에는 더 높은 생산 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나노에 비하여 높은 항균 효과를 가진 활성 물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활성 물질은 오직 약간의 세포독성 및 응혈을 형성하며 또한 의학적 응용을 위하여 높은 일반적인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활성 물질은 높은 비용-이익 비율과 유리한 공정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더 나아가, 만일 물질이 나노 크기 입자(100 ㎚ 미만의 입자 크기)의 형태뿐만 아니라, 비흡입성 입자(500 ㎚ 이상의 입자 크기)의 형태 및/또는 또한 조밀한 형태로도 항균 효과를 가진다면 유리하다. 또한, 항균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많은 용도를 가지는 복합재료가, 상기 물질이 상기 복합 재료 내에서 그것의 완전한 효과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적인 목적은 항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에 수소 양이온의 생성을 일으키는 무기물질을 이용하여 얻어지며, 상기 물질은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량작용효과, 즉 살아있는 세포상에서의 금속 양이온의 손상 효과가, 오늘날까지 무기 활성 물질에 유용하게 사용된 반면에, 물질과 접촉시 매질의 pH 값을 낮춰주는 수소 양이온의 생성은 본 발명에서 이용된 점이다. 여기에서, 자유 양성자들은 그들의 매우 작은 반경 때문에, 옥소늄 이온(H3O+)을 형성하는 물 분자에 스스로 즉시 붙는다. 만일 농도 비가 이를 허용한다면, 몇 개의 물 분자에 옥소늄 이온의 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H+ 이외에도, 물과 H+의 반응으로 생성된 양이온들 및 이들의 수화물 역시 수소 양이온으로 지정된다. 옥소늄 이온(H3O+) 이외에, 이들로는 Zundel 양이온(H5O2 +) 및 Eigen 양이온(H9O4 +)이 있다.
몰리브덴 산화물은 예를 들면, 물과 반응하며 몰리브덴산(H2MoO4)을 형성하며, 이는 다시 물과 반응하여 H3O+ 및 MoO4 - 또는 MoO4 2 -를 형성한다. 텅스텐 산화물 또한 물과 텅스텐산(H2WO4)을 생성하고, 이는 물과 반응하여 H3O+ 및 WO4 - 또는 WO4 2 -를 생성한다. 아레니우스에 따라 수소 양이온은 산성 특성의 담체이다. pH 값은 mole/ℓ 단위의 수소 이온 농도 수치의 음의 십진법상 로그값이다. 물의 순수한 중성 용액을 위하여, 수소 이온과 OH-(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은 같은 값(10-7 mole/ℓ)을 가지고, pH 값은 7이다. 만일 물질이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수소 양이온을 형성한다면, 수소 양이온의 수치가 증가하고, 따라서, 수용성 매질은 산성이 된다.
놀랍게도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수소 양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이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짐이 판명되었다. 근본적인 이점은 또한 물질이 실질적으로 소모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이는 물질이 수용성 매질에서 낮은 용해도를 가지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용해도는 0.1 mole/ℓ미만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의 용해도는 0.02 mole/ℓ미만이다. 따라서, 항균 효과는 거의 시간에 제한 없이 존재한다.
수용성 매질은, 예를 들면 물,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용액의 예로는 체액, 현탁액의 예로는 액상조직이 있다. 여기에서, 수용성 매질은 얇은 층의 형태로 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면 충분하다. 흡착질의 경우에 그러하듯이, 나노미터 범위의 필름 두께로 본 발명의 효과가 이미 달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물질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면 이미 발생한다. 수소 양이온의 형성으로 인해, pH 값이 전형적으로 6보다 낮아지고, 바람직하게는 5보다 낮아진다. 이로 인해 발생된 산성 환경이 미생물의 죽음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효과는 광범위하게 고안된 일련의 테스트에 의해 연구되었다. 여기에서, 항균 효과와, 부분적으로, 세포 독성과 응혈성 역시 시험되었다.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함유 재료의 예에서 기재하고 있듯이, 이들의 표면은 산화되거나 산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표면이 특히 효과적이다. 몰리브덴은 다양한 산화 형태(Ⅵ, Ⅴ, Ⅳ)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화합물과 상대적으로 약한 착물을 형성하는 산화 환원 과정에 참여한다. 비록 몰리브덴이 필수적인 생화학적 부분을 차지하더라도, 신진대사 과정에 심각한 방해 효과를 가질 만큼 충분히 강한 정도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화합물에 결합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인체에 대한 독성이 또한 없다. 몰리브덴이 동물 및 식물 내에 섭취되어 간단한 몰리브덴산 이온 [MoO4]2-의 형태로 수송된다는 가정으로부터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MoO4]2- 음이온은 세포의 손상 없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몰리브덴은 세포독성이 아니라는 가정 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응혈 효과 역시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몰리브덴은 또한 의학적 응용에 적합하다. 텅스텐-함유하는 재료들 역시 높은 항균 효과를 보여준다. 현재, 첫 번째 테스트에서 약간의 응혈 효과가 제시되었기 때문에, 응혈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설명은 할 수 없다. 이것이 텅스텐 고유의 성질인지 또는 가공 상태에 의존하는 것인지 여부는 여전히 명백해져야 한다.
몰리브덴- 및 텅스텐- 함유 재료 이외에도, pH 값을 낮추는 것과 관계 있는 항균 효과는 니오븀 산화물, 망간 산화물 및 탄화규소에서도 또한 발견되었다.
항균 효과를 특정하기 위해, 하기의 전문 논문에 상세하게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었다.
· Fremdkorper-assoziierte Infektionen in der Intensivmedizin - Therapie und Pravention, J. P. Guggenbichler, Antibiotika Monitor 20 (3), 2004, 페이지 52 내지 64
· Inzidenz und Pravention Fremdkorper-assoziierter Infektionen, J. P. Guggenbichler, Biomaterialien 5 (4) 2004, 페이지 228 내지 236.
특히, 상기에 기재된 롤-아웃 배양 방법은 항균 효과를 시험하기 위한 그것의 유용성이 증명되었다. 여기에서, 활성 물질의 시료는 특정 시간 동안, 예를 들면 3시간 동안 세균 현탁액 안에 주입된다. 세균은 표면상에서 성장한다. 이러한 시간이 지난 후에 시료는 소위 아가 배지 전역에 걸쳐 굴리며, 멸균 생리 식염수 안에 넣는다. 이 과정은 매 3시간 마다 몇 번 반복된다. 이러한 3시간 간격으로 반복되는 롤-아웃 활성은 세균-감소 또는 세균-사멸 효과가 발생하는지, 그 발생 여부와 그 효과의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다른 미생물,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의 시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시험은 표준 균주인 녹농균,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별도로 수행되었다. 은과 구리는 기준 물질로 사용되었다.
이미 언급했듯이, 몰리브덴과 텅스텐을 포함하는 물질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였다. 여기에서, 몰리브덴 산화물 또는 텅스텐 산화물이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기본 활성 물질 사이의 경계 부분에서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을 위해 필수적이다. 만일 이러한 산화물의 형성이 충분한 정도로 일어나지 않거나 이에 상응하는 형태라면, 항균 효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또한 몰리브덴과 텅스텐이 지금까지 항균 활성 재료로 사용되어오지 않은 이유를 설명해준다.
항균 효과는 유리하게는 3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적 전-산화(pre-oxidation)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전-산화는 또한 화학적으로 또는 전기화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산화는 고체 Mo 및 W 시료의 경우에 필요하다. 여기에서, 인시츄로 형성된 산화물 필름과 비교하여, 어닐링에 의해 전-산화된 재료가 더 좋은 항균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전-산화는 특히, 사용되는 조건이 어떠한 충분한 산화도 일으키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산화물 필름이 넓은 특정 표면을 가지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순수한 몰리브덴과 순수한 텅스텐 이외에도, 충분하게 안정하고 그 표면에 산화물 필름을 형성하는 화합물과 이들 화합물의 합금 또한 효과적이다. 항균효과를 갖는 몰리브덴 화합물은 탄화 몰리브덴, 질화 몰리브덴, 규화 몰리브덴 및 황화 몰리브덴을 포함한다. 몰리브덴, 몰리브덴 산화물 및 전술된 물질들은 또한 1 ㎛보다 작은 피셔(Fisher)에 따른 입자크기를 가지는 매우 미세한 형태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적합한 몰리브덴 합금 중에서, 몰리브덴과 0.1 내지 1 중량%의 La2O3와의 합금, 몰리브덴과 0.5 중량%의 Ti, 및 0.08 중량%의 Zr, 0.01 내지 0.04 중량%의 C와의 합금, 몰리브덴과 5 내지 50 중량%의 Re과의 합금, 몰리브덴과 1.2 중량%의 Hf, 0.02 내지 0.15 중량%의 C와의 합금이 언급되어야 한다.
이들 합금은 항균 활성 산화물 필름을 표면에 형성한다. 텅스텐의 경우, 텅스텐 재료는 또한 인시츄로 또는 선행하는 어닐링에 의해 산화물 필름을 형성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산화된 순수한 텅스텐 이외에도, 텅스텐의 산화물도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텅스텐 블루 산화물(WO2 ,84)과 WO3가 특히 언급된다. 텅스텐 합금인 텅스텐과 0.1 내지 1 중량%의 La2O3의 합금, 텅스텐과 1 내지 26 중량%의 Re의 합금이 또한 좋은 항균 효과를 가진다. 탄화 텅스텐, 규화 텅스텐 및 황화 텅스텐은 표면에 산화물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텅스텐 화합물들 중에서도 특히 적합하다.
만일 은이 매우 미세한 입자 상태로 존재한다면, 항균 효과는 은에서만 충분한 정도로 일어나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 또한 이들이 조밀한 고밀도의 형태로 존재한다면 항균 효과를 가진다. 테스트는 표면이 확장되어도 여전히 효과가 증가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물질이 다공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많은 응용을 위하여 유리할 수 있다.
물질이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 존재하는 경우 또한 효과가 있다. 몰리브덴 산화물의 층과 텅스텐 산화물의 층 및/또는 또한 몰리브덴 층과 텅스텐 층은, 인시츄로 산화되거나 만일 인시츄로 산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면 전-산화에 의해 산화되며, 이는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층은 플라스틱 재료, 세라믹 또는 금속상에 증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증착 공정은 열 증착, 스퍼터링, 화학적 기상 증착법, 전기침전법 및 전기 아크 증착법이다. 몰리브덴 산화물 층은 예를 들면 대기압에서 몰리브덴 헥사카르보닐(Mo(CO)6)의 분해에 의한 화학적 기상 증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기금속 CVD(MOCVD)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서, 몰리브덴 아세틸 아세토네이트(MoO2(CH3COCH2COCH2)2)는 예를 들면 유기금속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몰리브덴 산화물 필름은 대략 400 내지 500 ℃의 온도 범위에서 이러한 유기금속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MoO3 이외에도 Mo9O26와 Mo4O11 또한 검출될 수 있다. 수㎛ 범위의 층 두께를 가진 1 ㎛보다 작은 입자크기는 항균 효과를 촉진한다. 몰리브덴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 필름은 반응성 전자-빔 증착법에 의해 또한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또한 50 내지 100 ㎚ 크기의 기공을 가진 매우 미세한-입자 구조를 가진다.
전기영동과 졸-겔 공정은 특히 적합한 증착 방법으로서 여전히 언급되어야 한다.
만일 층이 금속상에 증착된다면, 티타늄, 철 및 코발트, 그리고 이들의 합금과 같은 일반적인 임플란트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세라믹 기판 재료의 경우에는 순도가 99 중량%보다 높은 ZrO2 및 Al2O3와 같은 확립된 재료로부터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은 또한 유리 또는 유리 세라믹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하였듯이, 물질이 수용성 매질에 대해 가능한 한 넓은 표면을 가진다면 효과가 증가한다. 특히 층이 50 내지 900 ㎛ 크기의 기공을 가진 스펀지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구조는, 예를 들면 슬러리 형태 또는 선택적인 후속 어닐링 처리로 기체 상으로부터 항균 활성 물질을 증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층이 섬과 같은 형태, 실질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덩어리의 형태로 존재한다면 넓은 표면을 이룰 수 있다. 이들 섬과 같은 형태의 덩어리가 기판 재료 표면의 40 내지 90 %를 덮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각 물질 덩어리의 크기는 5 ㎛미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이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면, 많은 응용을 위해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매우 미세한-입자 형태의 분말이 사용된다면, 즉 피셔에 따른 입자 크기가 5 ㎛ 미만이면, 바람직하게 1 ㎛ 미만인 것이 유리하다.
최선의 결과는 금속 복합재료 및/또는 복합 분말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복합재료는 또한 복합 분말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복합재료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금속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에서,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금속 사이의 상호작용이 수소 양이온의 형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들과 비활성인 금속의 혼합물은, 시료가 전-산화되지 않는다고 해도 항균 효과를 가진다.
여기에서,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금속은 은, 구리, 주석 및 이들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복합재료인 몰리브덴-은, 몰리브덴-구리, 몰리브덴-주석, 텅스텐-은, 텅스텐-구리 및 텅스텐-주석은 특히 유리하다. 여기에서,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원자%이며, 30 내지 80 원자%인 경우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재료가 세포독성과 응혈성을 갖지 않는다면, 은의 사용이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많은 응용에 있어 어떠한 역할도 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위생실용 부품은 예로써 언급된다. 여기에서, 구리는 값비싼 은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항균 효과에 있어서는 은을 능가한다. 만일 몰리브덴-구리 또는 텅스텐-구리 분말이 다른 재료에 첨가된다면 매우 높은 효과가 또한 얻어진다. 더 나아가, 금속 복합재료는 층으로 또는 예를 들면 다공성 형체로서 조밀한 형태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제조는 조밀한 복합재료를 위한 침투 기술에 의해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항균 플라스틱 재료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재료는, 이러한 복합재료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고, 이의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다면, 특히 이롭다. 이러한 고분자 혼합물은 0.37 이상의 탄소 원자 1000 개당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총량을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합재료는 다목적 기재로 사용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고분자 혼합물내 불포화 폴리올레핀의 사용은 고분자 혼합물이 가교 가능하게 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혼합물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에 의해 일어난다. 이때, 가교 정도는 이러한 폴리올레핀 내 뿐만 아니라 고분자 혼합물 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수를 기초로 하여, 이들 이중결합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가교도는 고분자의 유연성 및/또는 강성을 결정한다. 높은 가교도를 갖는 고분자는 또한 낮은 가교도를 갖는 고분자에 비해 더 높은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는 매우 다양한 응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이 추가의 공중합체 (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불포화 폴리올레핀 (A)"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총량" 이라는 용어는 비닐, 비닐리덴 및/또는 트랜스-비닐렌기로부터 유래되는 이중결합과 관련이 있다. 어떠한 종류의 이중결합의 양도 EP 1 731 566의 실험 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결정된다.
고분자 혼합물의 가교 특성은 이중결합의 도입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어, 바람직한 가교도가 조정될 수 있다.
탄소 원자 1000개당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총 함량은 적어도 0.40인 것이 다양한 응용을 위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 1000개당 0.45 내지 0.80의 함량이 특히 이롭다.
또한, 불포화 폴리올레핀 내의 비닐기의 총 함량은 탄소 원자 1000개당 0.11 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탄소 원자 1000개당 0.15 내지 0.8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나, 더 높을 수도 있다.
고분자들 중에는 두 가지 종류의 비닐기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종류는 2차 라디칼의 β-분열 반응에 의한 중합과정에서 제조되거나, 소위 사슬 이동제의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두 번째 종류는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단량체와 적어도 하나의 고도불포화 단량체 사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비닐기의 두 종류 모두 본 발명의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 단량체와 적어도 하나의 고도불포화 단량체 사이의 중합에 의해 형성된 비닐기의 함량은 적어도 탄소 원자 1000개당 0.03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 1000개당 0.06 내지 0.40의 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폴리올레핀은 단일모달과, 예를 들면 바이모달과 같은 멀티모달 둘 다일 수 있고, 0.860 내지 0.960 g/㎤, 바람직하게는 0.880 내지 0.955 g/㎤, 가장 바람직하게는 0.900 내지 0.950 g/㎤의 밀도를 갖는다.
또한, 불포화 폴리올레핀은 올레핀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 적어도 하나의 고도불포화 단량체로부터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중합은 어떠한 임의의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WO 93/08222에 더욱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듯이 높은 압력에서의 라디칼 중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불포화 폴리올레핀은 적어도 60 중량%의 에틸렌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은 적어도 70 중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적어도 80 중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적어도 90 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도불포화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디엔이다.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엔이 특히 바람직하다.
- 헤테로원자가 없는 탄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로 적어도 여덟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네 개의 탄소 원자는 컨쥬게이션 되지 않은 이중결합 사이에 있고 이들 이중결합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 위치에 있는 단량체,
- 화학식 Ⅰ에 따른 실록산(siloxane)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1
상기식에서, R1과 R2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상이하거나 유사한 알킬기 및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n 은 1 내지 200 인 알콕시기일 수 있음.
- 화학식 Ⅱ에 따른 α,ω-디비닐 에테르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2
상기식에서, R은 - (CH2)m- O-, 또는 - (CH2CH2O)n- 또는 -CH2-C6H10-CH2-O- 이고, m 은 2 내지 10이고 n 은 1 내지 5이다.
디엔은 유추 가능한 모든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엔 및 이의 제조는 여기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WO 93/08222, WO 96/35732 및 WO 97/45465에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디엔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7-옥타디엔; 1,9-데카디엔; 1,11-도데카디엔; 1,13-테트라데카디엔; 테트라-메틸 디비닐 디실록산; 디비닐폴리(디메틸 실록산); 및 1,4-부타디엔 디비닐에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
고도불포화 단량체 이외에도,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및 1-노넨 등의 C3 내지 C20 알파-올레핀과 같은 추가적인 공단량체들, 또는 예를 들면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극성 공단량체들이 중합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불포화 폴리올레핀 (A) 내의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150 마이크로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125 마이크로몰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마이크로몰 미만이다.
또한, 고분자 혼합물은 공중합체 (B)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체 (B)는 바람직하게는 극성이다.
더 나아가, 불포화 폴리올레핀과 같은 극성 공중합체 (B)는 상기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응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혼합물의 가교성은 이에 의해 여전히 증가 된다.
여기에서, 극성 공중합체 내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함량은 적어도 탄소 원자 1000개당 0.15이다. 탄소 원자 1000개당 0.20 내지 0.35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극성 공중합체는 극성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것, 즉 극성 공중합체의 그램당 적어도 500 마이크로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0 마이크로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0 마이크로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100 마이크로몰의 양으로 포함하는것 자체로 구별한다.
극성 공중합체는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극성 공단량체로부터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에서, 상기에 기재된 고도불포화된 단량체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극성 공단량체는 C3 내지 C20인 단량체로,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 알콕시기, 카보닐기, 카르복시기, 에스테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단량체 단위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공단량체는 C1 내지 C6 알킬 아크릴레이트, C1 내지 C6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단량체이다.
예를 들면 메틸, 에틸 또는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메타아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의 극성 단량체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들의 열적 안정성 때문에 아크릴레이트 종류가 바람직하다.
극성 공중합체 (B)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0 g/10 min,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5 g/10 min,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g/10 min의 MFR2 .16/190℃, 소위 용융 흐름 속도를 가져야 한다.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성분 - 불포화 폴리올레핀 (A) 및 극성 공중합체 (B)의 혼합에 의해 제조된다. 각 성분 (A) 및 (B)의 제조과정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EP 1,731,566에 있다.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은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인 것,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의 극성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은 탄소 원자 1000개당 탄소-탄소 이중결합 총 함량이 0.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 1000개당 탄소-탄소 이중결합 총 함량은 0.35; 0.40; 0.45, 0.50; 0.55 이상이며, 특히 0.6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불포화 폴리올레핀 (A) 및 극성 공중합체 (B) 모두의 탄소 원자 1000개당 비닐, 비닐리덴 및 트랜스-비닐리덴기의 함량을 기초로 결정된다.
여기에서, 비닐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05 내지 0.45, 더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40,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5의 비닐기이다.
본 발명에서 고분자 매트릭스는 상기 기재된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의 가교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가교제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작용제는 라디칼을 재생시키며, 그 결과 가교 반응을 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O-O- 또는 하나의 -N=N-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특히 바람직한 작용제이다. 과산화물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터트-아밀 페록사이드; 2,5-디(터트-부틸 페록시)-2,5-디메틸-3-헥산; 2,5-디(터트-부틸 페록시)-2,5-디메틸 헥산, 터트-부틸쿠밀 페록사이드; 디(터트-부틸) 페록사이드; 디쿠밀 과산화물; 디(터트-부틸 페록사이드-이소-프로필) 벤젠, 부틸-4,4-비스(터트-부틸 페록시) 발러레이트; 1,1-비스(터트-부틸 페록시)-3,3,5-트리메틸 시클로헥산; 터트-부틸페록시 벤조에이트, 디엔 벤조일 페록사이드가 예를 들면, 과산화물로서 적합하다.
항균 활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가교 반응 이전에 혼합되며, 고분자 매트릭스와 함께, 복합재료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플라스틱 재료 내에, 특히 상기에 기재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0.1 내지 50 부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구현예는 3 내지 15 부피%이다.
가교 반응은 통상적인 조건, 예를 들면, 적어도 160 ℃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가교된 고분자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는 17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미만의 파단시 연신율(elongation at break), 소위 핫-세트 연신율을 가지며, 이는 IEC 60811-2-1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파단시 연신율의 값은 가교도와 관련이 있다. 파단시 연신율의 값이 낮을수록, 고분자 혼합물의 가교도는 높아진다.
가교도와, 그에 따른 고분자 혼합물의 강성은, 이미 언급했듯이 이중결합의 함량과 라디칼 개시제의 양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고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은 많은 응용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료는 사출성형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압출기 내에서 혼합된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된 복합재료의 제조에 사용되는 동시에, 가교 반응의 대상이다. 은 나노 분말과 함께 제조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복합재료의 제조에 반하여, 만일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이 사용된다면 활성 물질을 위한 담체는 덩어리 또는 클러스터의 형성을 피하기 위해 포기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가교도와, 이에 따른 다양한 응용 가능성 이외에, 예를 들어 하기에서 기재하듯이 복합재료 내의 사용된 고분자 매트릭스는 또한 양호한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대한 첨가제로서 몰리브덴 산화물, 전-산화 몰리브덴, 텅스텐 산화물, 전-산화 텅스텐, 몰리브덴-구리, 텅스텐-구리, 몰리브덴-은 및 텅스텐-은은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고분자 매트릭스 복합 재료에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져온다. 몰리브덴-구리, 텅스텐-구리, 몰리브덴-은 및 텅스텐-은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했다. 여기에서, 또한,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금속은 비-비활성 금속의 산화를 촉진하여, 이에 따라 그 결과로서 수소 이온의 제조를 촉진한다는 가정으로부터 다시 진행되어야 한다. 만일 몰리브덴-구리, 텅스텐-구리, 몰리브덴-은 또는 텅스텐-은 복합 분말이 첨가제로서 사용된다면,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 상과 구리 및/또는 은 상이 매우 미세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이 다시 중요하다. 코팅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복합 분말이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있다. 복합 분말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5 ㎛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또한 하나 또는 몇몇의 세라믹 물질과의 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조는 예를 들면, 가열압축에 의해 일어난다. 알루미나, 티타늄 산화물, 규소 산화물, 탄화 규소 및 지르코늄 산화물이 세라믹 상으로 특히 적합하다. 세라믹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 및 조건의 사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MoO3 및 WO3와 같이 최고 산화 상태로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가 적합하다. 이에 더하여, 여전히 금속 몰리브덴 및 텅스텐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기 재료들의 조합이 적합한 세라믹 복합 재료를 가져온다: Al2O3-MoO3, Al2O3-WO3, ZrO2-MoO3, ZrO2-WO3, Al2O3-Mo-MoO3, Al2O3-W-WO3, ZrO2-Mo-MoO3, ZrO2-W-WO3, TiO2-MoO3, TiO2-WO3, TiO2-Mo-MoO3, TiO2-W-WO3, SiO2-MoO3, SiO2-WO3, SiO2-Mo-MoO3 및 SiO2 -W-WO3. 여기에서, MoO3 또는 WO3의 유리한 분율은 0.001 내지 50 몰%이다. ZrO2, Al2O3, TiO2 또는 SiO2의 MoO3 또는 WO3에 대한 유리한 몰비는 1 내지 100이다.
높은 항균 효과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에 대해 다수의 유리한 응용이 이루어진다. 이는 임플란트 및 의료 기술을 위한 다른 기구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임플란트에 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카테터, 스텐트, 뼈 임플란트, 치아 임플란트, 혈관 삽입물 및 관내 인공 삽입물에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 분야에서의 유리한 응용은 포트 카테터 및 방광 카테터를 포함한다. 포트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막과 연결튜브를 가지는 챔버를 포함한다. 현재까지, 챔버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 플라스틱으로 씌워진 티타늄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이제, 카테터 또는 카테터의 챔버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또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층을 갖는 카테터 또는 그 일부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만일 챔버가 몰리브덴-은으로 구성되어 있고, 은 함량이 1 내지 40 중량%라면 매우 좋은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챔버는 다시 플라스틱 재료로 씌워진다. 또한, 만일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실리콘 막이 물질을 포함한다면 이 또한 유리하다.
박테리아 오염에 따른 문제는 또한 루어락(Luerlock) 연결, 세 가지-방식의 콕(cock) 및 콕 벤치(cock benches)로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위한 바람직한 응용에 해당한다.
관상 스텐트에는, 형상 기억 합금, 예를 들면 니티놀로 제조되어진 스텐트상의 코팅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는 물질은 또한 요로 스텐트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요로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으로부터 제조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고분자 재료에 첨가될 수 있고, 또는 다시 표면에 층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뼈 임플란트는 조직액과 접촉한다. 여기에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층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뼈 임플란트의 예로는 고관절이 있다. 임플란트 축이 스펀지 코팅을 가질 수 있는데 반하여, 관절구 부분에서는 층을 매끄럽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이미 언급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이 쉽게 고분자 재료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혈관 삽입물 또는 헤르니아 장막에서 항균 효과를 얻는 것이 또한 적합하다. 의학-기술적 용도는 외과적 용도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의학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컨테이너에도 사용될 수 있다. 미생물 오염의 높은 위험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사용은 코 스프레이 용기에 유리하다.
순수의학 및 수의학적 유용성 이외에도, 위생 분야에서의 다수의 응용이 가능하다. 물질은 흡수성 위생 용품 또는 창상 피복제에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위생 용품 및 창상 피복제는 고분자 섬유 또는 래티스를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유리하게는 섬유 및/또는 래티스의 표면에 증착될 수 있고, 또는 섬유 및/또는 래티스가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요즘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바와 같은, 창상 코팅 스프레이 -또한 "액상 창상 코팅 반창고" 라 불림- 에 이들이 종종 단기간의 항균 효과만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항균 효과를 강화하거나 더 긴시간 동안 이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해졌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사용은, 몰리브덴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리브덴 및/또는 이들의 화합물 및 이들의 합금이 창상 코팅 스프레이에 0.05 내지 1.0 부피%의 농도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1 내지 0.5 부피% 농도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또한 바니시(varnishes), 코팅 물질 및 접착제용 첨가제로서 적합하다. 여기에서, 바니시, 코팅 물질 또는 접착제가 0.01 내지 70 부피%의 물질을 포함한다면 그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40 부피%이다. MoO3 및/또는 WO3는 비용에 민감한 제품의 첨가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여기에서, 피셔에 따른 바람직한 입자 크기는 0.5 내지 10 ㎛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은과 같은 비활성 금속의 첨가는 포기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높은 효과가 요구된다면, 텅스텐-은, 텅스텐-구리, 몰리브덴-은, 몰리브덴-구리, 몰리브덴-주석 및 텅스텐-주석을 기초로 하는 첨가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의 피셔에 따른 크기의 입자는, 통상적인 분산 기술에 의해서, 두 가지-성분의 폴리우레탄 바니시와 같은 액상 바니시 시스템에 포함 될 수 있다.
의학 및 위생 분야에서의 응용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또한 개인 위생 제품용 첨가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연고, 비누, 치아세정제 조성물, 치약, 의치용 접착제, 칫솔, 치아 사이의 세정제 및 치아 세정 츄잉검이 여기에서 유리한 제품으로 언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또한 필터용 접착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특별한 정도로 그 가치가 증명된 금속 복합재료는 텅스텐 또는 몰리브덴 이외에도, 예를 들면 은, 구리 또는 주석과 같은 비활성 상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필터는 다시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물질로 코팅된 고분자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 항균 활성 물질은 이미 의류제품 및 구두 깔창용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응용 분야에서, 또한 은나노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분자 섬유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물질이 고분자 섬유에 증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바니시, 코팅 물질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에 쉽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비품, 특히 위생실용 비품으로 적합하다.
이러한 응용 분야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위한, 특히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제품들을 위한 더 많은 응용 분야들이 존재한다. 이는 예를 들면 스위치, 부품, 신용카드, 키보드, 핸드폰 하우징, 동전, 지폐, 문 손잡이 및 대중교통 수단 내부 비품의 부품을 포함한다. 더 유리한 용도는 에어컨 시스템용 부품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예를 들면 자동차와 같은 운송기관의 에어컨용으로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된 방열 핀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로 유리하게 코팅될 수 있다. 건물 내 에어컨 시스템의 축 또한, 축 재료에 활성 물질을 첨가하거나 또는 그것으로 축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항균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공기 가습기 역시 상응하는 항균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케이블, 특히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오직 가능한 유리한 응용의 예시와 같은 목록만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은나노가 이미 사용되거나 또는 사람들이 이미 그것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 모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응용 분야에 따라 항균 효과, 응혈성 및 세포독성에 관하여 만족시키기 위한 요건이 다르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사항을 더욱 특징으로 한다:
1.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 물질로 만들어진 복합재료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재료는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은 탄소 원자 100개당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총량이 0.37 이상인 불포화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2. 제1항에 따른 복합재료에 있어서, 가교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은 공중합체 (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합재료 내 물질의 부피함량은 0.1 내지 50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몰리브덴 산화물 또는 텅스텐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몰리브덴, 몰리브덴 합금 및/또는 몰리브덴 화합물이고, 상기 표면은 몰리브덴 산화물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텅스텐, 텅스텐 합금 및/또는 텅스텐 화합물이고, 상기 표면은 텅스텐 산화물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은 몰리브덴과 0.1 내지 1 중량% La2O3의 화합물, 몰리브덴과 0.5 중량% Ti, 0.08 중량% Zr, 0.01 내지 0.04 중량% C의 화합물, 몰리브덴과 5 내지 50 중량% Re의 화합물, 또는 몰리브덴과 1.2 중량% Hf, 0.02 내지 0.15 중량% C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리브덴 화합물은 탄화 몰리브덴, 질화 몰리브덴, 규화 몰리브덴 및/또는 황화 몰리브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합금은 텅스텐과 0.1 내지 1 중량% La2O3의 합금, 또는 텅스텐과 1 내지 26 중량% Re의 합금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화합물은 탄화 텅스텐, 질화 텅스텐, 규화 텅스텐 및/또는 황화 텅스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가능한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불포화 폴리올레핀 (A)는 올레핀 단량체와 적어도 하나의 고도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단량체는 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불포화 단량체는 디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불포화 성분은 하기의 a), b), c), 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a) 헤테로원자가 없고 적어도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적어도 4개의 탄소 원자는 컨쥬게이션 되지 않은 이중결합 사이에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 위치에 있는 탄소 사슬, 또는
b) 화학식 Ⅰ에 따른 α,ω-디비닐 실록산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3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상이하거나 유사한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알킬기 및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기이고, n은 1 내지 200임, 또는
c) 화학식 Ⅱ에 따른 α,ω-디비닐 에테르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4
상기식에서, R은 - (CH2)m- O-, 또는 - (CH2CH2O)n- 또는 -CH2-C6H10-CH2-O- 이고, m은 2 내지 10이며, n은 1 내지 5임,
d) 또는, a), b) 및/또는 c) 의 혼합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B)는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공중합체는 하나의 올레핀과 적어도 하나의 극성 공중합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
18. 제1항 내지 제17항에 따른 복합재료의 세균 증식을 피하기 위한 물품으로의 용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은 의료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실리콘 막을 가진 챔버 및 연결튜브를 포함하는 포트 카테터이고, 상기 챔버 및/또는 튜브는 제1항 내지 제17항에 따른 복합재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루어락(Luerlock) 연결, 세 가지 방식의 콕 및/또는 콕벤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표 1은 시료의 제조에 대한 지시를 나타낸다.
표 2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며, 표 3은 대장균에 대한 효과, 표 4는 녹농균에 대한 효과를 보여준다.
조사된 물질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또한 출발 재료의 구성 및 시료 제조의 개략적인 설명을 포함한다. 압축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W 02, W 03, W 04, W 05, Mo 02, Mo 03, Mo 04 및 Mo 05를 대상으로, 대략 250 ㎫의 압축 압력에서 다이 프레스(die press)로 수행되었다. 소결 과정은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텅스텐 튜브 전기로에서 순 수소 조건 하에 850℃의 온도로 60분간 수행되었다. 비합금 텅스텐(시료 W 09) 및 비합금 몰리브덴(시료 Mo 09)는 220 ㎫에서 등압 방식으로 압축되고, 2250 ℃에서 4 시간 동안 및/또는 2100 ℃에서 4 시간 동안 소결되고, 이어서 롤 벤딩 과정을 거쳐 변형도가 대략 70 %가 되었다.
트랜소피틱(transoptic). 뷔흘러(Buhler)사 유래의 아실 수지는 일반적으로 연마된 단편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분자 매트릭스 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한 고분자 매트릭스로 사용되었다. 대기 플라즈마 스프레잉은 몰리브덴 층(시료 SL 50, SL 51, SL 52)의 증착을 위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층 두께는 대략 100 ㎛이고, 층 밀도는 이론상 밀도의 85 %이었다. 코팅 과정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수행되었기 때 문에, 층 내 산소 함량은 대략 1.5 중량%이었다. 여기에서, 산소는 주로 MoO3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몰리브덴 층은 티타늄 합금(SL 50), 니오븀(SL 51) 및 금속간 재료(SL 52)상에 증착되었다.
비합금 구리(Cu 01), 비합금 은(SL 14),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박힌 20 중량%의 구리분말(SL 20),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박힌 50 중량%의 구리분말(SL 20),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박힌 20 중량%의 은(SL 21),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박힌 50 중량%의 은(SL 27)은 비교 시료로 사용되었다. 또한, 니오븀, 탄탈 및 티타늄을 기초로 하는 다수의 추가적인 재료의 항균 효과는 비교 목적으로 측정되었다.
이미 기재된 롤-아웃 배양은 항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실험은 녹농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별도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활성-물질 시료가 세균 현탁액에 첨가되었다. 표면상에 세균 증식이 일어났다. 시료는 3, 6, 9 및 12 시간 후에 소위 아가 배지의 전역에 굴렸으며, 멸균 생리 식염수에 첨가된다. 이러한 롤링 과정 후에, 아가 배지의 사진을 찍고, 세균-감소 및/또는 세균사멸 효과에 대해 평가했다.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사진 및 효과의 평가는 표 2에 나타냈고, 대장균은 표 3, 그리고 녹농균은 표 4에 나타냈다.
여기에서, 텅스텐 또는 몰리브덴을 기초로 하는 모든 물질이, 항균 효과에 있어 적어도 조밀한 형태의 순은과 동일하거나, 부분적으로는 명백히 뛰어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료는, 몰리브덴 이외에도 은 또는 구리를 포함하거나, 텅스텐 이외에도 은 또는 구리를 포함한 것이 특히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몰리브덴 산화물 또는 텅스텐 산화물을 함유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복합재료는 또한 좋은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서 또한 평가되어야만 한다. 미세한 입자의 분말, 바람직하게는 5 ㎛ 미만의 피셔에 따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분말의 사용이 유리하다.
구리와 혼합된 시료를 제외하고, 탄탈 또는 니오븀을 기초로 하는 시료는 어떠한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세포독성을 동반하는 구리의 높은 항균 효과는 탄탈-구리 및 니오븀-구리의 결과를 초래한다.
티타늄을 기초로 하는 비교 시료의 효과 또한 음성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고분자 매트릭스 재료와의 테스트는 그 효과가 첨가된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 분말의 양과 입자 크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 분말이 미세할수록, 이들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SL 33, SL 34). 여기에서, 몰리브덴 산화물 분말은 몰리브덴 금속 분말보다 더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진다(SL 22, SL 33).
여기에 기재된 시료 이외에도 니오븀 산화물, 탄화 규소 및 망간 산화물은 pH 값을 낮추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항균 효과를 가진다.
더 나아가, 세포독성에 관한 첫 번째 테스트 또한 수행되었다. 모든 구리-함유 재료들이 세포독성인 것이 명백해졌다. 응혈성에 관한 첫 번째 테스트 역시 수행되었다. 은-함유 텅스텐 합금은 은-함유 몰리브덴 합금에 비해 더 높은 응혈성을 가진다. 그러나, 표면의 품질 또한 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제한적으로 주목되어야 한다.
수용성 몰리브덴 및 텅스텐 염의 테스트 역시 작용 메커니즘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소듐 몰리브덴산 염(Na2MoO4) 및 텅스텐 몰리브덴산 염(Na2WO4)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박혀지고, 상기에 기재된 테스트를 했다.
여기에서, 생리식염수의 pH는 낮춰지지 않았다. 시료는 항균적으로 비효과적이었다. 그 때에, 식염수내에 녹는 성분의 함량은 24 시간의 시효 경화 시간 후에 측정되었다. 예상했듯이, 이러한 값은 수용성 화합물에 대해 매우 높다. 50 ㎎/1 ㎠인 식염수 내의 몰리브덴의 함량은, 예를 들면 소듐 몰리브덴산 염에 대해 측정 되었다. 비교 방법으로, 항균 활성 물질에 대한 이값은 0.1(시료 SL 18), 0.4(시료 SL 22) 및 0.4 ㎎/1·㎠(시료 SL 24)이다. 따라서, 항균 효과는 생리 식염수 내의 몰리브덴 또는 텅스텐의 함량과는 관련이 없다.
또한, 소듐 텅스텐산 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에서, 식염수 내의 텅스텐의 함량은 324 ㎎/1·㎠이었다. 예로써, 시료 SL 17에 대해 0.1의 값, 시료 SL 19에 대해 0.3의 값 및 시료 SL 35에 대해 0.9 ㎎/1·㎠의 값이 측정되었다.
생리 식염수에서의 24 시간의 시효 경화 후에 은의 함량은 은-함유 재료, 예를 들면 텅스텐 02 및 텅스텐 03을 대상으로 측정되었다. 여기에서, 텅스텐 02의 값은 28.6이었고, 텅스텐 03의 값은 68.2 ㎎/1·㎠이었다.
문헌에 알려져 있듯이, 은은 Ag+이온의 형성을 통해 항균적으로 작용한다. 은이온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는 증가한다. 그러나, 몰리브덴 및 텅스텐을 대상으로, 생리 식염수에 있는 몰리브덴 및/또는 텅스텐의 함량에 의한 항균 효과의 어떠한 의존도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따라서, 몰리브덴 및 텅스텐 자체로는 활성이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생리 식염수의 pH 값은 테스트가 끝난 후에 측정되었다. pH 값은 탄탈, 탄탈05은, 탄탈-20은, 니오 븀, 니오븀-5은, 니오븀-20은과 같은 어떠한 항균 효과도 가지지 않는 재료에서 거의 중성이었다. 순은 역시 어떠한 pH 값도 낮추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시료 중에 pH 값을 낮추는 것을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다. pH 값은 W 09는 4,8, W 02는 3.3, W 03은 3.1이었고, 20 중량%의 은을 가지는 탄화 텅스텐 시료를 대상으로는 5.3, Mo 09는 4.0, Mo 02는 3.9 및 Mo 03은 3.8이었다. pH 값을 낮추는 것은 옥소늄 이온(H3O+)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H2MoO4 및/또는 H2WO4와 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며, MoO4 -, MoO4 2 -, WO4 - 또는 WO4 2 -를 방출한다.
H2MoO4 및/또는 H2WO4은 MoO3 및/또는 WO3와 물 및/또는 용존산소의 반응으로부터 다시 형성된다.
시료 제작의 지침(1/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출발 물질 시료의 제조
비합금 텅스텐,
산화됨

(W_09)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압축→소결→재성형→기계적 공정→산화 (조밀한 재료)
텅스텐-5은

(W_02)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텅스텐-20은

(W_03)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텅스텐-5구리

(W_04)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텅스텐- 20구리

(W_05)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텅스텐 분말

( SL _17)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텅스텐 분말

( SL _23)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 텅스텐20은 ) 분말

( SL _19)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은 분말:피셔 입자크기 1.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텅스텐20은 ) 분말

( SL _25)
본 발명에 따름 ·텅스텐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0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합성수지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WO3 분말

( SL _35)
본 발명에 따름 ·WO3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2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비합금 몰리브덴, 산화됨

( Mo _09)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8 ㎛ 압축→소결→재성형→기계적 공정→산화 (조밀한 재료)
몰리브덴-5은

( Mo _02)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피셔 입자크기 3.8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몰리브덴-20은

( Mo _03)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피셔 입자크기 3.8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몰리브덴-5구리

( Mo _04)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피셔 입자크기 3.8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시료 제작의 지침(2/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출발 물질 시료의 제조
몰리브덴- 20구리

( Mo _05)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피셔 입자크기 3.8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몰리브덴 분말

( SL _16)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8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몰리브덴 분말
( SL _22)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8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 몰리브덴20은 ) 분말

( SL _18)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8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몰리브덴20은 ) 분말

( SL _24)
본 발명에 따름 ·몰리브덴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8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MO 2 분말

( SL _33)
본 발명에 따름 ·MoO2 분말 : 피셔 입자크기 3.6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MO 3 분말

( SL _34)
본 발명에 따름 ·MoO3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5.9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티타늄-46. 5알루미 늄-4(크롬,니오븀,탄탈,붕소),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0)
본 발명에 따름 ·녹는 주괴 압출→기계적 공정→대기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한 몰리브덴 코팅
비합금 니오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1)
본 발명에 따름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압축→소결→재성형→기계적 공정→대기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한 몰리브덴 코팅
티타늄- 6알루미늄 - 4 바나듐-2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2)
본 발명에 따름 ·녹는 주괴 기계적 공정→대기 플라즈마 용사법에 의한 몰리브덴 코팅
비합금 탄탈

( Ta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탄탈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1.0 ㎛ 압축→소결→재성형→기계적 공정 (조밀한 재료)
탄탈-5은

( Ta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탄탈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1.0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탄탈-20은

( Ta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탄탈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1.0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탄탈-5구리

( Ta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탄탈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1.0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시료 제작의 지침(3/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출발물질 시료의 제작
탄탈- 20구리

( Ta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탄탈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1.0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비합금 니오븀

( Nb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압축→소결→재성형→기계적 공정 (조밀한 재료)
니오븀-5은

( Nb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니오븀-20은

( Nb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니오븀-5구리

( Nb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니오븀- 20구리

( Nb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니오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4.7 ㎛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혼합→압축→소결→기계적 공정 (다공성 재료 : 이론상 밀도의 60~70%)
티타늄- 6알루미늄 -4바 나듐 -2은

( IM - Ti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녹는 주괴 기계적 공정
티타늄-46. 5알루 미늄-4(크롬,니오븀,탄탈,붕소)

( IM - TiAl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녹는 주괴 압출→기계적 공정
비합금 구리

( Cu _01)
종래기술 ·재성형된 구리 로드 기계적 공정
비합금

( SL _14)
종래기술 ·재성형된 은 파이프 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구리 분말

( SL _20)
종래기술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구리 분말

( SL _26)
종래기술 ·구리 분말 : 피셔 입자크기 6.9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은 분말

( SL _21)
종래기술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은 분말

( SL _27)
종래기술 ·은 분말 : 피셔 입자크기 1.0 ㎛
·플라스틱 매트릭스 : 뷔흘러 게엠베하사의 트랜소피틱 분말(아실 수지)
혼합→압축→기계적 공정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효과(1/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비합금 텅스텐, 산화됨
(W_0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5
텅스텐-5은

(W_02)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6
텅스텐-20은

(W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7
텅스텐-5구리

(W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8
텅스텐- 20구리

(W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09
플라스틱 매트릭스+ 20텅스텐 분말
( SL _17)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0
플라스틱 매트릭스+ 50텅스텐 분말
( SL _23)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1
플라스틱 매트릭스+ 20( 텅스 텐2 0은 )분말
( SL _1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2
플라스틱 매트릭스+ 50( 텅스텐20은 )분말
( SL _25)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3
플라스틱 매트릭스+50 WO 3 분말
( SL _35)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4
비합금 몰리브덴, 산화됨
( Mo _09)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5
몰리브덴-5은

( Mo _02)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6
몰리브덴-20은

( Mo 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7
몰리브덴-5구리

( Mo 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8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효과(2/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몰리브덴- 20구리

( Mo 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19
플라스틱 매트릭스+ 20몰리브 덴 분말
( SL _16)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0
플라스틱 매트릭스+ 50몰리브 덴 분말
( SL _22)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1
플라스틱 매트릭스+20( 몰리브 덴2 0은 ) 분말
( SL _18)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2
플라스틱 매트릭스+50(몰 리브덴 20은) 분말
( SL _24)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3
플라스틱 매트릭스+50 MO 2 분말
( SL _33)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4
플라스틱 매트릭스+50 MO 3 분말
( SL _34)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5
티타늄-46. 5알 루미늄-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0)
본 발명에 따름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6
비합금 니오븀,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1)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7
티타늄- 6알루미 늄- 4바나듐 -2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2)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8
비합금 탄탈
( Ta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29
탄탈-5은
( Ta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0
탄탈-20은

( Ta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1
탄탈-5구리

( Ta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매우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2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효과(3/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탄탈- 20구리

( Ta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3
비합금 니오븀

( Nb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4
니오븀-5은

( Nb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5
니오븀-20은

( Nb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6
니오븀-5구리

( Nb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7
니오븀- 20구리

( Nb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8
티타늄- 6알루미늄 - 4바나듐 -2은
( IM - Ti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39
티타늄-46. 5알루미 늄-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
( IM - TiAl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0
비합금 구리

( Cu _01)
종래기술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1
비합금

( SL _14)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2
플라스틱 매트릭스+ 20구리 분말
( SL _20)
종래기술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3
플라스틱 매트릭스+ 50구리 분말
( SL _26)
종래기술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4
플라스틱 매트릭스+20은 분말
( SL _21)
종래기술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5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은 분말
( SL _27)
종래기술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6
대장균에 대한 효과(1/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비합금 텅스텐,
산화됨
(W_0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7
텅스텐-5은

(W_02)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8
텅스텐-20은

(W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49
텅스텐-5구리

(W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0
텅스텐- 20구리

(W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1
플라스틱 매트릭스 +20텅 스텐 분말

( SL _17)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50텅 스텐 분말

( SL _23)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20(텅 스텐 20은) 분말
( SL _19)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50(텅 스텐 20은) 분말
( SL _25)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 WO 3 분말

( SL _35)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비합금 몰리브덴, 산화된
( Mo _0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2
몰리브덴-5은

( Mo _02)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3
몰리브덴-20은

( Mo 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4
몰리브덴-5구리

( Mo 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5
대장균에 대한 효과(2/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몰리브덴- 20구리

( Mo 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6
플라스틱 +
20몰리브덴 분말

( SL _16)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50몰 리브덴 분말

( SL _22)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20(몰 리브덴 20은) 분말
( SL _18)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50(몰 리브덴 20은) 분말
( SL _24)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50MO 2 분말
( SL _33)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합성수지 매트릭스+ 50MO 3 분말
( SL _34)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티타늄-46. 5알루미 늄-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0)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7
비합금 니오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1)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8
티타늄- 6알루미늄 - 4 바나듐-2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2)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비합금 탄탈

( Ta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59
탄탈-5은

( Ta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0
탄탈-20은

( Ta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1
탄탈-5구리

( Ta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2
대장균에 대한 효과(3/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탄탈- 20구리

( Ta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3
비합금 니오븀

( Nb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4
니오븀-5은

( Nb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5
니오븀-20은

( Nb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6
니오븀-5구리

( Nb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7
니오븀- 20구리

( Nb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8
티타늄- 6알루미늄 - 4바나듐 -2은

( IM - Ti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69
티타늄-46. 5알루미늄 -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
( IM - TiAl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0
비합금 구리

( Cu _01)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1
비합금

( SL _14)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2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구 분말

( SL _20)
종래기술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구 분말

( SL _26)
종래기술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은 분말

( SL _21)
종래기술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은 분말

( SL _27)
종래기술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녹농균에 대한 효과(1/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비합금 텅스텐,
산화됨
(W_0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3
텅스텐-5은

(W_02)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4
텅스텐-20은

(W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5
텅스텐-5구리

(W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6
텅스텐- 20구리

(W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7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텅 스텐 분말

( SL _17)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8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텅 스텐 분말

( SL _23)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79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텅 스텐2 0은) 분말
( SL _19)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0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텅 스텐2 0은) 분말
( SL _25)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1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WO 3 분말
( SL _35)
본 발명에 따름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2
비합금 몰리브덴,
산화됨
( Mo _09)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3
몰리브덴-5은

( Mo _02)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4
몰리브덴-20은

( Mo _03)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5
몰리브덴-5구리

( Mo _04)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6
녹농균에 대한 효과(2/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몰리브덴- 20구리

( Mo _05)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7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몰 리브덴 분말

( SL _16)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8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몰 리브덴 분말

( SL _22)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89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몰 리브덴2 0은) 분말
( SL _18)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0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몰 리브덴2 0은)
분말
( SL _24)
본 발명에 따름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1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MO 2 분말
( SL _33)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2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MO 3 분말
( SL _34)
본 발명에 따름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3
티타늄-46. 5알루미늄 -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0)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4
비합금 니오븀, 몰리
브덴으로 코팅됨
( SL _51)
본 발명에
따름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5
티타늄- 6알루미늄 - 4 바나듐-2은, 몰리브덴으로 코팅됨
( SL _52)
본 발명에 따름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비합금 탄탈

( Ta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6
탄탈-5은

( Ta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7
탄탈-20은

( Ta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8
탄탈-5구리

( Ta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099
녹농균에 대한 효과(3/3)
재료
[중량%]

(명칭)
주의 효과의
평가
각 시간 후의 효과
0h 3h 6h 9h 12h
탄탈- 20구리

( Ta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0
비합금 니오븀

( Nb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1
니오븀-5은

( Nb _02)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2
니오븀-20은

( Nb _03)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3
니오븀-5구리

( Nb _0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4
니오븀- 20구리

( Nb _05)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5
티타늄- 6알루미늄 - 4바나듐 -2은
( IM - Ti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나쁨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6
티타늄-46. 5알루미늄 -4(크로뮴,니오븀,탄탈,붕소)
( IM - TiAl _01)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조사되지 않음
비합금 구리

( Cu _01)
종래기술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7
비합금

( SL _14)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8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구 분말
( SL _20)
종래기술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09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구 분말
( SL _26)
종래기술 매우좋음
Figure 112009035653869-pct00110
플라스틱 매트릭스 + 20은 분말
( SL _21)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111
플라스틱 매트릭스 + 50은 분말
( SL _27)
종래기술 만족스러움
Figure 112009035653869-pct00112

Claims (52)

  1. 수용성 매질과 접촉시 수소 양이온을 형성하여 항균효과를 일으키는 MoO2, MoO3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무기 물질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성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물질은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 존재하고, 상기 물질은 하나 이상의 재료와 조합하여 복합 재료로서 존재하며, 상기 복합 재료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상기 복합 재료 내에 3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매질은 물, 용액 또는 현탁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매질은 체액 또는 액상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매질은 상기 물질의 표면에 흡착된 수분 필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매질의 pH값은 수소 양이온의 형성에 의해 6.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매질 내에서 상기 물질의 용해도는 0.1 mole/ℓ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비활성 금속인, 추가의 상(phase)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은 은, 구리, 주석,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다공성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전자-빔 증착법, 스퍼터링, 화학적 기상 증착법, 전기영동, 슬러리 기술, 졸-겔 기술 또는 플라즈마 스프레잉에 의해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50 내지 900 ㎛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스펀지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섬과 같은(island-like), 연결되지 않은 덩어리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물질 덩어리의 평균 크기는 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덩어리는 슬러리 사용, 또는 기체상으로부터의 증착 및 추가의 후속 어닐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고도로 가교된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재료는 Al2O3-MoO3, ZrO2-MoO3, Al2O3-Mo-MoO3, ZrO2-Mo-MoO3, TiO2-MoO3, TiO2-Mo-MoO3, SiO2-MoO3 또는 SiO2-Mo-Mo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MoO3의 분율은 0.001 내지 50 mole%이고, MoO3에 대한 ZrO2, Al2O3, TiO2 또는 SiO2의 몰비는 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임플란트용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카테터, 스텐트, 뼈 임플란트, 치아 임플란트, 혈관 삽입물 또는 관내 인공 삽입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니티놀로 제조된 관상동맥 스텐트이고, 이는 상기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실리콘 막을 가지는 챔버 및 이에 연결된 튜브를 포함하는 포트 카테터이고,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로 씌워진 재료로 구성된 상기 챔버 및/또는 적어도 그 일부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가지고 및/또는 상기 고분자 재료 및/또는 실리콘 막은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흡수성 위생용품 또는 창상 피복제를 위한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 사용되고, 이는 그 표면상에 상기 물질이 증착되거나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고분자 섬유 또는 고분자 래티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필터를 위한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표면에 상기 물질이 증착되거나 상기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섬유를 포함하는 의류제품을 위한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위생실용 비품(furnishings)을 위한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스위치, 부속품, 신용카드, 키보드, 핸드폰 하우징, 동전, 지폐, 문 손잡이 또는 대중교통 수단 내부 장비의 부품을 위한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삭제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코 스프레이 용기에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층 또는 층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KR20097012241A 2006-11-13 2007-11-13 항균제 KR101492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GM805/2006U AT12981U1 (de) 2006-11-13 2006-11-13 Stoff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ATGM805/2006 2006-11-13
PCT/EP2007/009814 WO2008058707A2 (de) 2006-11-13 2007-11-13 Stoff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410A Division KR101547782B1 (ko) 2006-11-13 2007-11-13 항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277A KR20090094277A (ko) 2009-09-04
KR101492652B1 true KR101492652B1 (ko) 2015-02-16

Family

ID=379057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12241A KR101492652B1 (ko) 2006-11-13 2007-11-13 항균제
KR1020147018410A KR101547782B1 (ko) 2006-11-13 2007-11-13 항균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410A KR101547782B1 (ko) 2006-11-13 2007-11-13 항균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62013B2 (ko)
EP (2) EP2428118A3 (ko)
JP (3) JP5437809B2 (ko)
KR (2) KR101492652B1 (ko)
CN (2) CN103300065B (ko)
AT (1) AT12981U1 (ko)
BR (1) BRPI0718908A2 (ko)
DE (1) DE202006018695U1 (ko)
RU (1) RU2473366C2 (ko)
WO (1) WO20080587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98A1 (ko) * 2018-05-08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용성 코팅재 및 그의 코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2981U1 (de) 2006-11-13 2013-03-15 Josef Peter Dr Guggenbichler Stoff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GB2451824A (en) * 2007-08-11 2009-02-18 Qinetiq Nanomaterials Ltd 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of a tungsten compound
DE102007061965A1 (de) 2007-12-21 2009-06-25 Guggenbichler, Joseph Peter Reduzierung der mikrobiellen Kontamination in Kühltürmen
KR101135184B1 (ko) 2009-09-05 2012-04-16 위승용 항균 세정제 조성물
GB201001511D0 (en) * 2010-02-01 2010-03-17 Giltech Ltd Glass
DE202010006267U1 (de) * 2010-04-23 2010-11-11 Anbatec Gmbh Produkt mit einer antimikrobiell wirksamen Oberfläche
WO2013052683A2 (en) * 2011-10-05 2013-04-11 Hunt Emily M Antibacterial metallic nanofoam and related methods
DE102011085862A1 (de) 2011-11-07 2013-05-08 AMiSTec GmbH & Co. KG Zusammensetzung mit wenigstens einem antimikrobiell wirksamen Wirkstoff
DE102012103064A1 (de) * 2012-04-10 2013-10-10 AMiSTec GmbH & Co. KG Verbundmaterial mit einem Trägermaterial und einem antimikrobiell wirksamen Agens
EP2671449A1 (en) 2012-06-06 2013-12-11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Use of vanadium pentoxide particles as a biocide
DE102013101909A1 (de) 2013-02-26 2014-08-28 AMiSTec GmbH & Co. KG Verwendung von sauren Makromolekülen zum Herstellen einer antimikrobiell wirksamen Oberfläche
DE102013104284A1 (de) 2013-04-26 2014-10-30 Amistec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tierten oder undotierten Mischoxids für einen Verbundwerkstoff und Verbundwerkstoff mit einem solchen Mischoxid
CA2920830C (en) * 2013-08-13 2021-01-12 Share-X Co., Ltd. Hydrogen-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
DE102013220090A1 (de) * 2013-10-02 2015-04-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antibakteriellen Oberfläche
WO2015054101A1 (en) * 2013-10-09 2015-04-16 Icon Medical Corp. Improved metal alloy for medical devices
DE102013114575A1 (de) * 2013-12-19 2015-06-25 AMiSTec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ntimikrobiell wirksamen Verbundwerkstoffs und antimikrobiell wirksamer Verbundwerkstoff
DE102013114573B4 (de) * 2013-12-19 2022-10-13 Fritz Egger Gmbh & Co. O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ntimikrobiell wirksamen Möbel- und/oder Innenausbauteils
US9992917B2 (en) 2014-03-10 2018-06-05 Vulcan GMS 3-D printing method for producing tungsten-based shielding parts
DE102015105761A1 (de) * 2015-04-15 2016-10-20 HDO Druckguss- und Oberflächentechnik GmbH Bauteil mit aufgebrachter Chromschicht mit Wolframanteil und Molybdänan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Bauteils mittels ternärer Abscheidung
WO2016172687A1 (en) 2015-04-23 2016-10-27 Lawrence Carlson Stable electrolyte material containing same
AU2016289456A1 (en) * 2015-07-03 2018-01-18 Tygrus, LLC Material for enhancing attributes of a topical or surface treatment composition
DE102015111582A1 (de) 2015-07-16 2017-01-19 Bsn Medical Gmbh Verpackung für ein medizinisches Produkt
DE202015103747U1 (de) 2015-07-16 2015-07-28 Bsn Medical Gmbh Verpackung für ein medizinisches Produkt
US10472157B1 (en) 2015-08-14 2019-11-12 CLAW Biotech Holdings LLC Pathogen eliminating article
JP2017171608A (ja) * 2016-03-24 2017-09-28 株式会社サンワード商会 水性組成物および粉体組成物
CN109640925B (zh) * 2016-03-31 2023-02-17 泰格鲁斯有限责任公司 化妆品材料组合物
CN105854901A (zh) * 2016-04-21 2016-08-17 国家纳米科学中心 一种三氧化钼和二硫化钼复合材料的制备方法
US9675079B1 (en) * 2016-06-16 2017-06-13 CLAW Biotech Holdings LLC Pathogen eliminating article
WO2017223554A1 (en) 2016-06-24 2017-12-28 Tygrus, LL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nd remediating aqueous waste streams
CN106278386B (zh) * 2016-07-26 2019-09-03 深圳市家鸿口腔医疗股份有限公司 一种义齿染色工艺
RU2630140C1 (ru) * 2016-08-01 2017-09-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химии твердого тела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та триоксид молибдена/углерод
US10959426B1 (en) 2016-11-28 2021-03-30 CLAW Biotech Holdings LLC Pathogen eliminating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CN110446508A (zh) * 2016-12-29 2019-11-12 泰普治疗公司 用于治疗医疗植入物部位的方法和系统
WO2019017647A1 (ko) 2017-07-19 2019-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DE102017121439A1 (de) * 2017-09-15 2019-03-21 Hecosol Gmbh Anti-mikrobielle Beschichtung
CN108048807B (zh) * 2017-09-22 2019-07-30 南京航空航天大学 具有抗菌生物活性MoO3-SiO2纳米晶复合涂层的制备方法
CN107556852A (zh) * 2017-10-17 2018-01-09 三河市安霸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单组份抗菌涂料
WO2019083967A1 (en) * 2017-10-23 2019-05-02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CERAMIC BODY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868251B2 (ja) * 2018-03-30 2021-05-12 地方独立行政法人神奈川県立産業技術総合研究所 抗ウイルス剤
CN110835845A (zh) * 2018-08-17 2020-02-25 三河市安霸生物技术有限公司 抗菌整理剂、抗菌织物及其制备方法
CA3149928A1 (en) * 2019-08-29 2021-03-04 Claw Biotech Holdings, Llc Anti-pathogen compositions
CN110495473A (zh) * 2019-08-30 2019-11-26 江苏大学 一种二硫化钼/双苯丙氨酸抗菌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110902785A (zh) * 2019-10-22 2020-03-24 杭州善上水科技有限公司 一种小分子饮用水和制备方法及应用
KR102097714B1 (ko) * 2019-11-05 2020-04-06 곽성근 맥섬석 과립을 이용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667866B2 (ja) * 2019-11-26 2020-03-18 株式会社サンワード商会 水性組成物および粉体組成物
EP3881679A1 (de) * 2020-03-17 2021-09-22 Amistec GmbH & Co. KG Verbesserte wolfram-haltige antimikrobielle verbundwerkstoffe
DE102020204162A1 (de) 2020-03-31 2021-09-30 Dr. Doll Engineering Gmbh Trennwandsystem
EP3907261A1 (en) 2020-05-06 2021-11-10 Hecosol GmbH Use of antimicrobial coating
DE102020123494A1 (de) 2020-08-28 2022-03-03 Grohe Ag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Gegenstands, Verwendung von Nanopartikeln und Gegenstand mit einer beschichteten Oberfläche
JP2022001542A (ja) * 2020-06-22 2022-01-06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ランタン・モリブデン複合酸化物、抗菌性焼結体及び抗ウイルス性焼結体
CN111850492B (zh) * 2020-07-03 2021-09-21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摩擦诱导抗菌特性增强涂层的制备方法
CN111802405B (zh) * 2020-08-20 2022-04-01 三河市安霸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水溶液抗菌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3095102A1 (en) * 2021-11-29 2023-06-01 Fondazione Istituto Italiano Di Tecnologia Transparent composite material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CN114855130B (zh) * 2022-04-27 2023-11-21 鑫合德(清远)智能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低激光反射率铬包铜复合粉体的制备方法及其制备装置
DE102022128461A1 (de) 2022-10-27 2024-05-02 Carl Freudenberg Kg Polyurethanschaum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8637A1 (en) 1994-01-11 1995-07-13 Spire Corporation Catheter having a long-lasting antimicrobial surface treatment
EP0882398A1 (en) * 1996-09-30 1998-12-09 Hazama Corporation Thiobacillus thiooxidans growth inhibitor
US6004667A (en) 1994-06-30 1999-12-21 Shinshu Ceramics Company, Ltd. Low temperature melt injected anti-microbial films, articles containing such fil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2000154320A (ja) * 1998-11-19 2000-06-06 Mitsubishi Chem Mkv Co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抗菌性透明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40571A (en) * 1983-05-17 1988-08-16 Jerry Lippman Foam coated fabrics
JPS6399867A (ja) * 1986-10-17 1988-05-02 ペルメレツク電極株式会社 リン酸カルシウム化合物被覆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GB9114994D0 (en) 1991-07-10 1991-08-28 Mini Agriculture & Fisheries Destruction of gram negative bacteria
SE9103077D0 (sv) 1991-10-22 1991-10-22 Neste Oy Omaettad etensampolymer och saett foer framstaellning daerav
JP3752710B2 (ja) * 1994-11-01 2006-03-08 東レ株式会社 樹脂組成物、抗菌方法および抗カビ方法
JPH08296031A (ja) 1995-04-24 1996-11-12 Toppan Printing Co Ltd 金属酸化物被覆体とその製造方法
SE504364C2 (sv) 1995-05-12 1997-01-20 Borealis Holding As Kiselinnehållande etenpolymer baserad på alfa, omega- divnylsiloframställning därav och användning av denna i kompositioner för elektriska kablar
US6472346B1 (en) * 2000-01-25 2002-10-2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Photocatalytic nuisance organism inhibitor agents
SE507045C2 (sv) 1996-05-31 1998-03-23 Borealis As Etensampolymer med förhöjd omättnadsgrad och sätt för framställning därav
US5880067A (en) * 1997-05-20 1999-03-09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Photocatalytic surfacing agents with varying oxides for inhibiting algae growth
JPH1112479A (ja) * 1997-06-19 1999-01-19 Toyobo Co Ltd 抗菌性樹脂組成物
JP4052526B2 (ja) * 1997-07-22 2008-02-27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抗菌性樹脂
JPH11236699A (ja) 1998-02-23 1999-08-31 Kobe Steel Ltd 耐摩耗性と抗菌性に優れた表面処理金属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43369A (ja) * 1998-11-05 2000-05-23 Mitsubishi Materials Corp 表面処理材及び抗菌性窯業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0247805A (ja) * 1999-03-01 2000-09-12 Shintoo Fine Kk 無機系抗菌防カビ組成物および抗菌防カビ性樹脂組成物
JP2001040222A (ja) 1999-05-24 2001-02-13 Osaka Gas Co Ltd 抗菌性ポリマー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54320A (ja) 1999-08-13 2001-02-27 Mitsubishi Chemicals Corp 植物栽培方法
US6419792B1 (en) * 1999-08-20 2002-07-16 Ein Kohsan Co., Ltd. Photocatalytic pulp composition
CN1303599A (zh) * 1999-11-23 2001-07-18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抗菌软质材料和用途
US7445799B1 (en) * 2000-06-21 2008-11-04 Icet, Inc. Compositions for microbial and chemical protection
DE10054248A1 (de) * 2000-11-02 2002-05-08 Inst Neue Mat Gemein Gmbh Mikrobizid beschichteter Gegensta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RU2195961C2 (ru) * 2000-11-30 2003-01-10 Институт химии растворов РАН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US20040245496A1 (en) * 2001-09-27 2004-12-09 Hiroshi Taoda Cleaning agent, antibacterial material, environment clarifying material, functional adsorbent
DE10225324A1 (de) * 2002-06-06 2003-12-18 Itn Nanovation Gmbh Antimikrobielle Beschichtung
EP1536848B1 (de) * 2002-09-10 2007-11-14 Prof. Dr. Josef-Peter Guggenbichler,Dr. Christoph Cichos GBR Antimicrobial Argentum Technolog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timikrobiellen kunststoffproduktes
ATE538073T1 (de) * 2004-04-26 2012-01-15 Showa Denko Kk Beschichtungsstoff und dessen verwendung
WO2005122773A1 (en) * 2004-06-21 2005-12-29 Mbec Bioproducts Inc. The use of heavy metals in the treatment of biofilms
PL1731566T3 (pl) 2005-06-08 2010-09-30 Borealis Tech Oy Kompozycja polimerowa o ulepszonych cechach starzenia wilgotnościowego
US7807199B2 (en) * 2006-08-30 2010-10-05 Allen Thomas K Antimicrobial composition
AT12981U1 (de) 2006-11-13 2013-03-15 Josef Peter Dr Guggenbichler Stoff mit antimikrobieller wirk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8637A1 (en) 1994-01-11 1995-07-13 Spire Corporation Catheter having a long-lasting antimicrobial surface treatment
US6004667A (en) 1994-06-30 1999-12-21 Shinshu Ceramics Company, Ltd. Low temperature melt injected anti-microbial films, articles containing such fil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EP0882398A1 (en) * 1996-09-30 1998-12-09 Hazama Corporation Thiobacillus thiooxidans growth inhibitor
JP2000154320A (ja) * 1998-11-19 2000-06-06 Mitsubishi Chem Mkv Co 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抗菌性透明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6598A1 (ko) * 2018-05-08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용성 코팅재 및 그의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00065B (zh) 2017-04-12
JP5711328B2 (ja) 2015-04-30
EP2428118A3 (de) 2012-10-10
WO2008058707A3 (de) 2008-10-02
RU2473366C2 (ru) 2013-01-27
JP2010509385A (ja) 2010-03-25
JP2014024854A (ja) 2014-02-06
DE202006018695U1 (de) 2007-03-22
CN101610679B (zh) 2013-02-20
CN101610679A (zh) 2009-12-23
BRPI0718908A2 (pt) 2013-12-10
KR101547782B1 (ko) 2015-08-26
JP5437809B2 (ja) 2014-03-12
AT12981U1 (de) 2013-03-15
US20100057199A1 (en) 2010-03-04
EP2428118A2 (de) 2012-03-14
WO2008058707A2 (de) 2008-05-22
RU2009117726A (ru) 2010-12-20
KR20140098244A (ko) 2014-08-07
JP2013209374A (ja) 2013-10-10
KR20090094277A (ko) 2009-09-04
JP5722942B2 (ja) 2015-05-27
CN103300065A (zh) 2013-09-18
US9162013B2 (en) 2015-10-20
EP2091333B1 (de) 2014-03-05
EP2091333A2 (de)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52B1 (ko) 항균제
JP5128757B2 (ja) 抗菌性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
US10251392B2 (en) Antimicrobial devices and compositions
US8075823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timicrobial plastic bodies having improved long-time performance
JP5268198B2 (ja) 抗菌性プラスチック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NZ275066A (en) Method of creating a localised antimicrobial effect achieved by sustained release of atoms, ions, molecules or clusters of at least one (heavy) metal into an alcohol or water based electrolyte
NZ252076A (en) Biocompatible metal anti-microbial coating (preferably by vapour deposition) for medical devices
EP2605659B1 (en) Silver iodate compound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JP2014080624A (ja) 改良された長期効能を有する抗菌性プラスチック体の製造法
EP4057814A1 (en) Antimicrobial and antiviral, biologically active polymer composites effective against sars-cov-2 and other viral, bacterial and fungal targets, and related methods, materials, coatings and devices
US20200231441A1 (en) Functionalized fullerene metal nanocomposites
US20100155978A1 (en) Biocidal metal-doped material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H04231062A (ja) 抗菌性医療用品
EP2968686A1 (en) Polymeric coating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Olejnik et al. Biological evaluation of modified DLC coating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