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306B1 -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306B1
KR101490306B1 KR20140060396A KR20140060396A KR101490306B1 KR 101490306 B1 KR101490306 B1 KR 101490306B1 KR 20140060396 A KR20140060396 A KR 20140060396A KR 20140060396 A KR20140060396 A KR 20140060396A KR 101490306 B1 KR101490306 B1 KR 101490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ceiving portion
powder
liquid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0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종
오택훈
Original Assignee
오택훈
남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택훈, 남우종 filed Critical 오택훈
Priority to KR20140060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306B1/ko
Priority to PCT/KR2014/006349 priority patent/WO201517853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내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력유지관을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승강수단을 통해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를 결합할 때 동일한 외력으로 천천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치커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dutch coffee}
본 발명은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내부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력유지관을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세균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승강수단을 통해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를 결합할 때 동일한 외력으로 천천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상부에 수용된 물이 장시간 동안 커피가루를 용해시켜 커피액을 추출하는 공정을 통해 만드는 것으로, 일반 커피와 대비하여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어 각광을 받고 있고, 이러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16101호(공개일: 2014. 2. 7.)인 '더치커피 메이커'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워터탱크의 물을 공급받아 일정시간 간격으로 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워터드립, 내부에 커피가 담겨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워터드립에서 떨어지는 물이 공급되어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커피추출부에서 추출되는 커피가 담겨지는 커피저장부를 포함하고, 워터탱크에는 그 내부에 담긴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부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더치커피 메이커는 더치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실내공간을 무균상태로 유지해야 추출되는 더치커피 내부에 외부공기로 유입되는 부유세균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유지비용의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워터탱크, 커피추출부, 커피저장부를 완전 밀폐하면 되지만, 커피를 추출하는 동안 커피메이커 내부의 압력 특히 워터탱크 내 공기 압력이 시간에 따라 변하여 압력에 따라 낙하하는 물의 양 및 속도가 달라지며, 심지어 물의 낙하가 중단되는 등 원활한 커피추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더치커피 메이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여 위생적인 더치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완전 밀폐구조를 가지면서도 추출과정에서 일어나는 커피메이커의 내부압력변화를 없앰으로써 원하는 속도로 커피를 추출하게 되어 고품질의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수용부와, 내부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며, 상기 워터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커피가루와 용해되어 커피추출액이 생성되고, 생성된 상기 커피추출액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상기 워터수용부와 밀폐 결합하는 분말수용부와, 상기 분말수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말수용부 외부로 배출된 커피추출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분말수용부와 밀폐 결합하는 액상수용부와,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일단이 상기 워터수용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액상수용부와 결합하며, 상기 워터수용부와 상기 액상수용부 사이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커피추출액의 생성시간을 일정하게 하도록 구비되는 압력유지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워터수용부, 상기 분말수용부 및 상기 액상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가 개방되며, 외면이 상기 승강수단에 지지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결합 할 수 있도록 가공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 및 서로 결합하는 상기 용기와 상기 덮개의 이음부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터수용부 하부에 상기 분말수용부의 상부와 밀폐 결합하고 상기 분말수용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분말수용부 하부에 상기 액상수용부의 상부와 밀폐 결합하고 상기 액상수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통과되는 물질의 양을 조절하여 물 또는 커피추출액의 유출속도를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분말수용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상기 액상수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이 점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는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가 서로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수단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가지며, 수직길이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조절공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다수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분할 형성하고, 상기 워터수용부 또는 상기 분말수용부가 삽입되어 설치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본체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공과 끼움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격벽패널 및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중 적어도 하나이상의 외면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승강수단 상부에 안착하여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승강시키는 지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양측에 각각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고정설치되는 제1받침패널과,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상기 제1받침패널과 수직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가 형성된 제2받침패널과, 하부가 상기 제1절곡부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제2절곡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받침패널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다수가 서로 힌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링크와, 힌지 결합하는 상기 링크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전진 또는 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회전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링크를 절첩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내부에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면서도 압력유지관을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위생적인 더치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유지관을 통해 커피메이커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활한 물의 낙하를 유도하여 일정한 속도의 커피추출을 할 수 있으며, 승강수단을 통해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간의 결합시 동일한 외력으로 천천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메이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워터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워터수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분말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액상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액상수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몸체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는 크게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액상수용부(300), 베이스부(400), 승강수단(500) 및 압력유지관(600)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수용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치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물이 수용되는 구성이다. 워터수용부(100)는 내부에 다량의 물이 수용될 수 있는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부(입/출구)가 각각 개방되어 상부로는 사용자에 의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부는 수용된 물이 분말수용부(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워터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부 및 하부는 각각 내부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 입구 및 출구를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워터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조절부재(440)가 끼움 결합하며, 상기 조절부재(440)에는 압력유지관(600)의 일단과 밀폐결합하여 후술하는 액상수용부(300) 내부 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갖도록하고, 일정속도로 물이 분말수용부(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워터수용부(100)는 일 예로,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용기(110), 개방된 용기(110) 상부를 개폐하도록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120) 및 상기 용기(110)와 상기 덮개(120)가 결합한 이음부(P)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클램프(130)의 구성을 포함하는 분리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일체형 플라스크(110')으로 구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워터수용부(100)를 형성하는 용기(110)는 하부가 후술하는 분말수용부(200)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덮개(120) 상부는 사용자에 의해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개방되고, 상기 덮개(120) 상면에는 베이스부(400)와 고정 결합하는 연결구(1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말수용부(2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워터수용부(100) 개방된 하부와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고, 후술하는 액상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커피추출액을 생성할 수 있는 분쇄된 커피가루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분말수용부(200)는 워터수용부(1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유입된 물을 통해 장시간 동안 커피가루가 용해되어 생성되는 커피추출액이 액상수용부(3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분말수용부(200)의 개방된 상/하부는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와 동일한 이유로 개방된 입구 및 출구를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말수용부(200) 하부에는 액상으로 용해된 커피추출액 이외에 다른 찌꺼기 등이 액상수용부(300) 내부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말수용부(200)는 일 예로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와 동일한 분리형의 용기(210), 덮개(220) 및 클램프(230)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일체형의 플라스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말수용부(200)의 구성인 용기(210), 덮개(220) 및 클램프(230)는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의 용기(110), 덮개(120) 및 클램프(13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단, 상기 분말수용부(200)를 형성하는 용기(210)는 외면에 지지패널(430)에 형성된 관통공(43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턱부(211)가 형성되는 것에 유의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액상수용부(30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말수용부(200)를 통해 생성된 커피추출액이 수용되기 위한 구성이다. 액상수용부(300)는 상부가 분말수용부(200) 하부와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하부는 생성된 커피추출액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폐쇄된다. 이때 액상수용부(300) 외면에는 상기 액상수용부(3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관(34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40)은 일단이 워터수용부(100) 상부와 결합하는 압력유지관(600)의 타단과 끼움 결합되어 외부의 오염공기가 액상수용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워터수용부(100)에서 분말수용부(200)로 유입되는 물 및 상기 분말수용부(200)에서 액상수용부(300)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의 유입속도가 일정할 수 있게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관(340)은 액상수용부(300) 내부에 수용되는 커피추출액의 정확한 추출량 또는 압력유지관(600)을 통해 워터수용부(100) 내부 압력과 액상수용부(300)의 내부 압력의 동일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수평 또는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이때 연결관(340)은 액상수용부(300) 외면에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액상수용부(300) 내부에 추출되는 커피추출액의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연결관(34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상수용부(300) 내부압력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마개(미도시) 등에 의해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나아가, 상술한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는 각각 외부에서 육안으로 사용자가 제조과정을 확인할 수 있거나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재질이 사용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상수용부(300)는 일 예로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와 동일한 분리형의 용기(310), 덮개(320) 및 클램프(330)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체형의 플라스크(310')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때 액상수용부(300)의 구성인 용기(310), 덮개(320) 및 클램프(330)는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의 용기(110), 덮개(120) 및 클램프(13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워터수용부(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단, 상기 액상수용부(300)를 형성하는 용기(210) 또는 덮개(320) 외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따라 연결관(340)이 형성되는 것에 유의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400)는 도 2,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나 형상을 갖는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410), 격벽패널(420) 및 지지패널(430)을 포함하는 몸체부재 및 공기유입관(441), 밸브(443) 및 조인트(445)를 포함하는 조절부재(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부재는 본 발명인 더치커피 추출장치(1)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본체(410)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브라켓(411, 413)들의 결합을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수직브라켓(411)의 외면에는 격벽패널(420)과 끼움 결합하여 상기 격벽패널(420)이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의 다양한 크기나 형상에 따라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천공형성된 다수개의 조절공(4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패널(4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술한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공(421)이 천공형성되어 고정력을 부여한다. 이때 격벽패널(420) 외면에는 조절공(415)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하는 돌출부(423)가 돌출형성되어 격벽패널(420)이 본체(410)와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의 형상에 따라 공간부(S)가 분할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격벽패널(420)은 일 예로, 워터수용부(100) 또는 승강수단(500)이 본체(410)에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410)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게 다수 구비된다.
지지패널(43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승강수단(500) 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중심부에 분말수용부(200)에 형성된 턱부(211)가 상면에 안착할 수 있도록 관통공(431)이 천공 형성된다. 이때 지지패널(430)은 승강수단(500)의 승강에 의해 분말수용부(200)가 워터수용부(100)와 밀폐 결합이 용이하게 본체(410)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부재(440)는 공기량의 조절을 통해 워터수용부(100)에서 제공되는 물의 양 및 액상수용부(300)로 수용되는 커피추출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공기유입관(441)은 일 예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양측이 개방된 속이 빈 형상을 갖는다.
밸브(443)는 공기유입관(441) 외부에서 내부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회전에 의해 공기유입관(44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조인트(445)는 상부가 공기유입관(441)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하부가 분말수용부(200)의 개방된 상부 또는 액상수용부(300)의 개방된 상부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 내면에 물이나 커피추출액이 흘러내리지 않게 점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조인트(445) 하부는 점적으로 물이나 커피추출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와 끼움 결합시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의 파손방지패드(44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아울러, 조절부재(400)는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를 이루는 각각의 용기(110,210,3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500)은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재질로 형성된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이 승강하여 서로 탈부착시 파손되지 않도록 서로 동일한 조건의 외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받침패널(510), 제2받침패널(520), 링크(530) 및 레버(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받침패널(5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본체(410)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패널(420)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제1받침패널(510) 양측은 링크(530) 하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511)가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받침패널(52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제1받침패널(510)과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어 격벽패널(420)의 하면, 액상수용부(300)의 상면 및 분말수용부(200) 외면에 형성된 턱부(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하거나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받침패널(520)의 양측은 각각 링크(530)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제2절곡부(521)가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크(530)는 수직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레버(5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2받침패널(520)이 승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링크(530)는 서로 이웃하는 제1받침패널(510)과 제2받침패널(520) 사이에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각각의 링크(530) 힌지 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회전축(540) 양측과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축(540)은 한 쌍의 링크(530)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상기 링크(530)의 힌지부분과 회전가능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회전축(540) 중앙부에는 레버(550)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공(541)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55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회전축(540)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레버(550)는 한 쌍의 회전축(540)과 각각 나사 결합하며, 회전방향에 회전축(54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링크(530)가 절첩되어 제2받침패널(520)을 승강시킨다.
즉, 한 쌍의 회전축(540)과 나사 결합하는 레버(550)를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의 회전축(540) 중 어느 하나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하고, 이동하는 회전축(540)에 의해 링크(530)가 수직방향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절첩이 이루어져 제2받침패널(520)을 천천히 승강시켜 워터수용부(100)와 커피수용부(200) 간의 밀폐결합 또는 분말수용부(200)와 액상수용부(300) 간의 밀폐결합시에 동일한 외력을 갖도록 결합이 가능하여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유지관(6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워터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액상수용부(300) 외면에 돌출형성된 연결관(340) 외면과 끼움 결합하여 워터수용부(100) 및 액상수용부(300) 내부에 동일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압력유지관(600)은 파손방지를 위해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더치커피 추출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 내부에 외부의 오염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압력유지관(600)을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더치커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유지관(600)을 통해 워터수용부(100) 및 액상수용부(300)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원활한 물이나 커피추출액의 낙하를 유도하여 일정한 속도의 커피추출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더치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추출장치(1)를 제공할 수 있으며, 승강수단(500)을 통해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 간의 결합시 동일한 외력으로 천천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워터수용부(100), 분말수용부(200) 및 액상수용부(30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더치커피 추출장치
100: 워터수용부 200: 분말수용부
300: 액상수용부 110, 210, 310: 용기
120, 220, 320: 덮개 130, 230, 330: 클램프
400: 베이스부 410: 본체
420: 격벽패널 430: 지지패널
440: 조절부재 500: 승강수단
600: 압력유지관

Claims (6)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수용부(100);
    내부에 커피가루가 수용되며, 상기 워터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커피가루와 용해되어 커피추출액이 생성되고, 생성된 상기 커피추출액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상기 워터수용부와 밀폐 결합하는 분말수용부(200);
    상기 분말수용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말수용부 외부로 배출된 커피추출액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분말수용부와 밀폐 결합하는 액상수용부(300);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500); 및
    일단이 상기 워터수용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액상수용부와 결합하며, 상기 워터수용부와 상기 액상수용부 사이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기 커피추출액의 생성시간을 일정하게 하도록 구비되는 압력유지관(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수용부, 상기 분말수용부 및 상기 액상수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가 개방되며, 외면이 상기 승강수단에 지지되는 용기(110);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결합 할 수 있도록 가공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120); 및 서로 결합하는 상기 용기와 상기 덮개의 이음부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클램프(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수용부 하부에 상기 분말수용부의 상부와 밀폐 결합하고 상기 분말수용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분말수용부 하부에 상기 액상수용부의 상부와 밀폐 결합하고 상기 액상수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의 유입속도를 조절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회전가능하게 관통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통과되는 물질의 양을 조절하여 물 또는 커피추출액의 유출속도를 조절하는 밸브(443); 및 상기 분말수용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상기 액상수용부로 유입되는 커피추출액이 점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조인트(4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가 서로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수단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가지며, 수직길이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조절공을 갖는 본체(410);
    상기 본체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다수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분할 형성하고, 상기 워터수용부 또는 상기 분말수용부가 삽입되어 설치가능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면에 상기 본체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공과 끼움 결합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격벽패널(420); 및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면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승강수단 상부에 안착하여 상기 워터수용부, 분말수용부 및 액상수용부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승강시키는 지지패널(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양측에 각각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가 형성되며, 베이스부(400)와 고정설치되는 제1받침패널(510);
    전체적으로 판 형상이고, 상기 제1받침패널과 수직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하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가 형성된 제2받침패널(520);
    하부가 상기 제1절곡부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제2절곡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2받침패널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다수가 서로 힌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링크(530);
    힌지 결합하는 상기 링크에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전진 또는 후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540); 및
    상기 회전축과 회전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링크를 절첩시키는 레버(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40060396A 2014-05-20 2014-05-20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49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0396A KR101490306B1 (ko) 2014-05-20 2014-05-20 더치커피 추출장치
PCT/KR2014/006349 WO2015178533A1 (ko) 2014-05-20 2014-07-15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0396A KR101490306B1 (ko) 2014-05-20 2014-05-20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306B1 true KR101490306B1 (ko) 2015-02-04

Family

ID=525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0396A KR101490306B1 (ko) 2014-05-20 2014-05-20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0306B1 (ko)
WO (1) WO201517853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26Y1 (ko) * 2015-05-21 2016-09-29 유준희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KR101704350B1 (ko) 2016-07-06 2017-02-08 이수민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729132B1 (ko) 2015-11-02 2017-04-21 권민석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WO2017111329A1 (ko) * 2014-12-26 2017-06-29 남우종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80005015A (ko) * 2016-07-05 2018-01-15 이대열 더치 커피 제조장치
KR20230087019A (ko) 2021-12-09 2023-06-16 이상록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3433A (ja) 2003-01-06 2004-07-2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コーヒー抽出装置
JP3985662B2 (ja) 2002-11-12 2007-10-0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KR101398674B1 (ko) 2012-11-14 2014-05-27 강성호 더치식 커피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649A (ja) * 2003-12-01 2005-06-2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KR101190147B1 (ko) * 2012-07-02 2012-10-12 최현진 커피 농도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커피 머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5662B2 (ja) 2002-11-12 2007-10-0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JP2004213433A (ja) 2003-01-06 2004-07-2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コーヒー抽出装置
KR101398674B1 (ko) 2012-11-14 2014-05-27 강성호 더치식 커피 추출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329A1 (ko) * 2014-12-26 2017-06-29 남우종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0481426Y1 (ko) * 2015-05-21 2016-09-29 유준희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KR101729132B1 (ko) 2015-11-02 2017-04-21 권민석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80005015A (ko) * 2016-07-05 2018-01-15 이대열 더치 커피 제조장치
KR101866847B1 (ko) * 2016-07-05 2018-06-12 이대열 더치 커피 제조장치
KR101704350B1 (ko) 2016-07-06 2017-02-08 이수민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230087019A (ko) 2021-12-09 2023-06-16 이상록 분말 수용부, 커넥터 및 분말 수용부 결합체, 및 이를 구비하는 더치커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533A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306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6239012B2 (ja) 容器の蓋向けの、殺菌物質を用いた処理装置
ES2333174T3 (es) Maquina de llenado giratoria para llenar recipientes con liquidos.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ES2489640T3 (es) Procedimiento de fermentación y aparato adaptado a dicho procedimiento
KR101615852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3835760B2 (ja) 生水安全注出装置
JP3939392B2 (ja) 有毒性液体のサンプル採取装置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KR20160079678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60082301A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60018113A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100001223U (ko) 실험용 자동 분수 장치
KR101845449B1 (ko) 더치커피 추출기의 유량조절밸브
WO2016021035A1 (ja) 浄水器付飲用器具
RU85464U1 (ru) Моду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горловины стеклянной емкости к сливному каналу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учного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и/или газированных напитков под давлением
CN102144891B (zh) 一种饮料萃取过滤装置
KR102015036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101701251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JPH0343395A (ja) 充填装置の自動空寸調整装置
KR20150112321A (ko) 세면대 배수장치
JP6263558B2 (ja) 容器の蓋向けの、殺菌物質を用いた処理装置
KR102139562B1 (ko) 내압형 국솥 장치
KR101566315B1 (ko) 수처리시스템의 스컴제거장치
JP2003235709A (ja) 飲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