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132B1 -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132B1
KR101729132B1 KR1020150153348A KR20150153348A KR101729132B1 KR 101729132 B1 KR101729132 B1 KR 101729132B1 KR 1020150153348 A KR1020150153348 A KR 1020150153348A KR 20150153348 A KR20150153348 A KR 20150153348A KR 101729132 B1 KR101729132 B1 KR 10172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sealed
screw portion
dutch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석
Original Assignee
권민석
주식회사 황금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석, 주식회사 황금나무 filed Critical 권민석
Priority to KR102015015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0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a valve at the filter-outlet; Anti-dri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보관하는 물 수용공간을 가지며, 설정 양의 물을 하부로 공급하는 출수 관을 갖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출수 관에 마주하여 물을 공급 받으며 커피를 담아 보관하는 커피 수납공간을 갖는 제2 몸체와, 제2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커피 수납공간을 통해 추출된 더치커피를 저장하는 제3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CLOSED TYPE DUTCH COFFEE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기능을 가져 실온 및 냉장고 내에서 더치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또는 '콜드 브류(cold brew)'라 함)는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를 말한다.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로부스타 종의 커피가 재배되었는데, 커피를 유럽으로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먹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라고 한다. 장기간의 항해 기간 동안에, 커피를 먹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고안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현재의 더치커피로 발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커피를 내린 결과, 커피의 쓴 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그 제조 방법이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더치커피를 가정에서 추출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추출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커피의 경우 주변의 냄새를 잘 흡착하므로 특히 다수의 음식물 들이 보관되는 냉장고 등과 같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장시간 더치커피를 추출하게 될 경우 고유의 풍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 장시간 추출하는 특성으로 커피가 상하거나 공기 중의 박테리아(대장균)과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될 소지가 많이 있다.
관련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2668호(공고일자 2015년 8월 6일) '더치커피 추출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기능을 갖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온은 물론 냉장고 등과 같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더치커피를 장시간 추출할 경우 주변 냄새의 흡착을 방지하여 더치커피 고유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잇는 밀폐 기능을 갖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치커피의 경우 상온에서 장시간 추출하는 특성으로 인해 커피가 상하거나 공기 중의 박테리아(예: 대장균 등) 또는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될 소지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는, 물을 보관하는 물 수용공간을 가지며, 설정 양의 물을 하부로 공급하는 출수 관을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상기 출수 관에 마주하여 물을 공급 받으며 커피를 담아 보관하는 커피 수납공간을 갖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상기 커피 수납공간을 통해 추출된 더치커피를 저장하는 제3 몸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에는 물 주입을 위한 넥부가 구비되며, 상기 넥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물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밀폐 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 수용공간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출수 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 형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1 공기이동 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기이동 유로는, 상기 호퍼 형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내부 벽면에 근접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된 대롱 형상의 부재의 중공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 관을 통해 상기 커피 수납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1 암 나사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암 나사부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수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암 나사부 및 상기 제2 수 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2 암 나사부와, 상기 제3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암 나사부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3 수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암 나사부 및 상기 제3 수 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제3 몸체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 각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상호 연통시켜 공기의 유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제2 공기이동 유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2 암 나사부가 형성된 외장 부재와, 상기 출수 관에 마주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피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바스켓 형상의 내장 부재와, 상기 외장 부재와 상기 내장 부재를 단면방향으로 가로막아 형성되는 단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공기이동 유로는, 상기 단면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커피 수납공간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부재의 바닥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는, 철 망, 실크 망, 다공 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교체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추출장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 이동유로를 형성하여 수조의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동안 밀폐된 추출장치 내에서 더치커피의 추출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냉장도 등과 같이 음식물이 많이 보관된 장소에 둘 경우에도 주변 냄새의 흡착이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온으로 커피를 추출하여 카페인이 적은 커피가 추출되도록 유도하며 박테리아 등의 오염원으로부터 더치커피 고유의 풍미와 위생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추출장치의 해체가 용이하며 청소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간략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Dutch coffee)(또는 '콜드 브류(cold brew)'라 함)는 뜨거운 물이 아닌 차가운 물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서 우려내는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찬물로 커피를 내린 결과, 커피의 쓴 맛이 적게 나면서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되어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더치커피는 상온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풍미를 잃지 않는 기간이 다른 커피보다 길어 유통에 유리하고, 또한 원액상태로 판매가 되기 때문에, 물이나, 우유, 시럽 등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넣기만 하면 커피가 완성되어, 오히려 캡슐커피보다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그 제조 방법이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제조를 하더라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확장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이러한 더치커피를 가정에서 추출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추출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커피의 경우 주변의 냄새를 잘 흡착하므로 특히 다수의 음식물 들이 보관되는 냉장고 등과 같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장시간 더치커피를 추출하게 될 경우 고유의 풍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온에서 장시간 추출하는 더치커피의 특성상 커피가 상하거나 공기 중의 박테리아(예: 대장균 등) 또는 곰팡이 등에 의해 오염될 소지가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밀폐 기능을 갖는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제공하여, 주변 냄새의 흡착이 방지되어 장시간 추출을 통해 더치커피 고유의 풍미와 본질적인 맛을 살릴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외관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100)는 제1 몸체(110)와, 이를 밀폐하는 밀폐 캡(120), 제2 몸체(130), 및 제3 몸체(150)를 포함하는 3단 분리형 몸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몸체들은 나사 결합되어 외부와 밀폐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간략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의 내부 구조 및 제1, 2, 3 몸체(110, 130, 150) 간의 나사 결합 구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물을 보관하는 수조의 역할을 하며, 내부에 물 수용공간(112)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몸체(110)는 설정 양의 물을 하부로 공급하는 출수 관(118)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 관(118)의 반대편에는 물 수용공간(112)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밀폐 캡(12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 수용공간(112)의 형상은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 캡(120)이 결합되는 부위는 제1 몸체(110)의 상단으로서 병목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를 넥부(111)라 지칭할 수 있다.
상기 넥부(111)는 더치커피 추출을 위해 필요한 양의 물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 몸체(11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버리는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넥부(111)의 외주 면에는 수 나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밀폐 캡(12)의 내주 면에 형성된 암 나사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물 수용공간(112)의 바닥에는 호퍼 형상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 형상부(117)는 상기 물 수용공간(112)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출수 관(118)을 향해 깔때기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으로, 물 수용공간(112)에 보관된 물이 상기 출수 관(118)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출수 관(118)을 통해 후술될 커피 수납공간(132)으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119)는 출수 관(118) 내부의 물 공급 유로를 개폐 조절하여 상기 물 수용공간(112)에 보관된 물이 상기 커피 수납공간(132)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 또는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까지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119)의 구성은 관용적으로 알려진 밸브라면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하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 각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연통하는 제1 공기이동 유로(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이동 유로(116)는 제1, 2, 3 몸체(110, 130, 150)의 나사 결합을 통해 전체적으로 외부로부터 밀폐된 구조를 갖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100)에서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30)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로써, 상기 물 수용공간(112)으로부터 상기 커피 수납공간(132)으로 물 공급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기이동 유로(116)는 호퍼 형상부(117)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30)의 내부 벽면에 근접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된 대롱 형상 부재의 중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공기이동 유로(116)를 통해 제1 몸체(110)에 보관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만이 제1, 2 몸체(110, 130)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제2 몸체(130)는 상기 제1 몸체(110)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제2 몸체(130)의 상단은 상기 제1 몸체(110)의 하단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밸브(119)의 작용에 의해 상기 출수 관(118)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며 커피를 담아 보관하는 커피 수납공간(132)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몸체(110)에서 공급된 물은 제2 몸체(130)에서 커피와 만나게 되고 오랜 시간을 들여 우려진 후 제3 몸체(150) 쪽으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몸체(110)의 하단에는 제1 암 나사부(115)가 형성되며, 이는 제2 몸체(130)의 상단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 몸체(130)의 상단에는 제2 수 나사부(135)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제1 암 나사부(115)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암 나사부(115)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암 나사부(115)와 상기 제2 수 나사부(135)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몸체(130)의 하단에는 제2 암 나사부(137)가 형성되며, 이는 제3 몸체(150)의 상단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3 몸체(150)의 상단에는 제3 수 나사부(157)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제2 암 나사부(137)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며 상기 제2 암 나사부(137)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암 나사부(137)와 상기 제3 수 나사부(157)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몸체(130)와 상기 제3 몸체(150)는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제2 몸체(130)는 상기 제2 암 나사부(135)가 형성된 외장 부재(134)와, 상기 출수 관(118)에 마주하여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커피 수납공간(132)을 제공하는 바스켓 형상의 내장 부재(13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몸체(130)와 상기 제3 몸체(15)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간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제2 공기이동 유로(136)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공기이동 유로(116)와 상기 제2 공기이동 유도(136)에 의해 제1, 2, 3 몸체(110, 130, 150)의 결합 후 내부 공간을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해 질 수 있다. 이로써, 물의 공급 작용 및 더치커피의 추출 작업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공기이동 유로(136)는 상기 외장 부재(134)와 상기 내장 부재(131)를 단면방향(즉, 수평 방향)으로 가로막아 연결하는 단면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공기이동 유로(136)는 상기 커피 수납공간(132)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내장 부재(131), 구체적으로는 커피 수납공간(132)의 바닥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133)는, 철 망, 실크 망, 다공 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133)는 장시간 사용 시 손상이나 훼손될 수 있어 교체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3 몸체(150)는 상기 제2 몸체(130)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커피 수납공간(132)을 오랜 시간 우려진 후 추출된 더치커피를 담아 저장하는 수용 용기로서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전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2, 3 몸체가 상하로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른 구조 및 형상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몸체가 제1 몸체와 제3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 몸체의 상단(즉, 제2 몸체의 하단과 결합되는 부위)가 병목 형태로 이루어져 제2 몸체로부터 추출된 더치커피를 보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밀폐된 추출장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기 이동유로를 형성하여 수조의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동안 밀폐된 추출장치 내에서 더치커피의 추출작업이 가능해짐에 따라 냉장도 등과 같이 음식물이 많이 보관된 장소에 둘 경우에도 주변 냄새의 흡착이 방지되어 더치커피 고유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추출장치의 해체가 용이하며 청소 및 보관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식 더치커퍼 추출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110: 제1 몸체
111: 넥부 112: 물 수용공간
113: 물 수용용기 115: 제1 암 나사부
116: 제1 공기이동 유로 117: 호퍼 형상부
118: 출수관 119: 조절밸브
120: 밀폐 캡 121: 캡 체결부
130: 제2 몸체 131: 내장 부재
132: 커피 수납공간 133: 판 부재
134: 외장 부재 135: 제2 수 나사부
136: 제2 공기이동 유로 137: 제2 암 나사부
150: 제3 몸체 151: 서버용기
152: 커퍼 저장공간 157: 제3 수 나사부

Claims (10)

  1. 물을 보관하는 물 수용공간을 가지며, 설정 양의 물을 하부로 공급하는 출수 관을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상기 출수 관에 마주하여 물을 공급 받으며 커피를 담아 보관하는 커피 수납공간을 갖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하단에 밀폐 결합되며, 상기 커피 수납공간을 통해 추출된 더치커피를 저장하는 제3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 수용공간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출수 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호퍼 형상부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공기이동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이동 유로는 상기 호퍼 형상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내부 벽면에 근접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된 대롱 형상의 부재의 중공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상단에는 물 주입을 위한 넥부가 구비되며,
    상기 넥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물 수용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는 밀폐 캡을 더 포함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관을 통해 상기 커피 수납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1 암 나사부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암 나사부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 수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암 나사부 및 상기 제2 수 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는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돌출되는 제2 암 나사부와,
    상기 제3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암 나사부를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제3 수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암 나사부 및 상기 제3 수 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제3 몸체는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 각각의 밀폐된 내부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이동 유로를 포함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수납공간의 바닥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재가 구비되는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0150153348A 2015-11-02 2015-11-02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72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48A KR101729132B1 (ko) 2015-11-02 2015-11-02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48A KR101729132B1 (ko) 2015-11-02 2015-11-02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32B1 true KR101729132B1 (ko) 2017-04-21

Family

ID=5870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348A KR101729132B1 (ko) 2015-11-02 2015-11-02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1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490306B1 (ko) 2014-05-20 2015-02-04 오택훈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21B1 (ko) * 2013-05-31 2014-10-23 주식회사 상리 더치커피 제조용 휴대용기
KR101490306B1 (ko) 2014-05-20 2015-02-04 오택훈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29Y1 (ko) 찻잎을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차 물병
WO2015131764A1 (zh) 冰箱
US20170198824A1 (en) Multi-purpose Valve for Vacuuming, De-vacuuming, Gas Injecting and Pressure Regulating
KR101729132B1 (ko) 밀폐식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542668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1643327B1 (ko) 일체 결합형 더치 커피 드립퍼
US3874344A (en) Self-maintaining poultry waterer
KR101609511B1 (ko) 스팀 조리 용기
CN103662415B (zh) 一种葡萄酒储存保鲜方法及装置
JP3216472U (ja) 食品熟成容器
KR101347147B1 (ko) 저수통의 살균공기 공급형 냉온수기
CN104719260A (zh) 一种饲养昆虫的供水装置
KR20160140096A (ko) 고압 스팀 조리 용기
KR101661585B1 (ko) 애완동물용 휴대형 물통
US2904004A (en) Heated livestock fountain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WO2014137472A2 (en) Stackable brewing hoppers
KR101346923B1 (ko) 발효식품 저장통 온도유지장치
KR200432876Y1 (ko) 디스펜서를 갖춘 애완동물용 먹이통
CN207151567U (zh) 四孔保温饮水器
CN206345178U (zh) 一种花茶包装罐
CN105015917A (zh) 平放自动关闭倾倒容器
KR101834354B1 (ko) 김치숙성용 저장통
RU152613U1 (ru) Поилка для птиц
CN205585567U (zh) 一种便携式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