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26Y1 -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26Y1
KR200481426Y1 KR2020150003253U KR20150003253U KR200481426Y1 KR 200481426 Y1 KR200481426 Y1 KR 200481426Y1 KR 2020150003253 U KR2020150003253 U KR 2020150003253U KR 20150003253 U KR20150003253 U KR 20150003253U KR 200481426 Y1 KR200481426 Y1 KR 200481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side plate
coffe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희
Original Assignee
유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준희 filed Critical 유준희
Priority to KR2020150003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커피 드립을 저장하는 용기의 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배면에 결합된 배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정면에 결합되고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물탱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의 받침이 복수 장착된 하판으로 구성된 함체; 상기 함체 중앙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를 고정 지지하는 U자형 거치대; 상기 함체 하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슬롯, 및 각 모서리에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형성된 제1슬롯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며 저장용기를 올려놓는 높이조절용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커피탱크와 저장용기 사이의 거리를 저장용기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커피탱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더치커피 추출기의 기능향상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Dutch Coffee Extractor of Closed Type}
본 고안은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추출된 커피 드립을 저장하는 용기의 받침대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이 아닌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장시간에 걸쳐 우려낸 커피를 가리킨다. 더치커피의 제조방식은 전용의 기구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찬물 또는 상온의 물에 짧게는 3~4시간, 길게는 8~12시간 정도 우려내 커피 원액을 추출한다.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점적식과 침출식으로 구분한다. 점적식은 용기에서 우려낸 커피가 한 방울씩 떨어지게 하는 방식으로, 이 때문에 더치커피를 '커피의 눈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침출식은 용기에 분쇄한 원두와 물을 넣고 10~12시간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킨 뒤 찌꺼기를 걸러내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추출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로 짧은 시간에 추출한 일반 커피에 비하여 쓴맛이 덜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데, 원두의 분쇄 정도와 물의 맛, 추출시간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 추출된 커피원액은 밀봉해서 냉장 보관하는데, 하루 이틀 정도 저온 숙성하면 풍미가 더 살아난다. 원액을 그대로 마시는 것보다는 입맛에 따라 우유나 시럽 또는 물을 타서 희석하거나 얼음을 넣고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에 더치커피 기구는 상단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 및 공급하는 물탱크가 설치되고, 물탱크 아래에 일정량의 분쇄된 커피탱크를 수용하는 커피탱크가 설치되며, 커피탱크로부터 추출되어 공급된 커피원액을 저장하는 저장용기가 각각 대략 상하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커피탱크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양에 따라 저장용기의 용량 및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커피원액의 추출량에 따라 저장용기가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에 커피원액의 추출량에 따른 저장용기를 커피탱크 아래에 위치시킬 때에 저장용기가 작은 경우에 커피탱크의 출구와 저장용기의 입구 사이가 멀어지고 저장용기가 큰 경우에 커피탱크의 출구와 저장용기의 입구 사이가 가까워져 커피원액의 추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양에 따라 이에 적합한 용량 및 크기의 더치커피 기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0912호(2014.08.18.)
본 고안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커피탱크 아래에 설치되는 저장용기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탱크에서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양에 따른 저장용기의 용량 및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장용기 위에 설치되는 커피탱크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커피탱크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배면에 결합된 배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정면에 결합되고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물탱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의 받침이 복수 장착된 하판으로 구성된 함체; 상기 함체 중앙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를 고정 지지하는 U자형 거치대; 상기 함체 하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슬롯, 및 각 모서리에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형성된 제1슬롯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며 저장용기를 올려놓는 높이조절용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은,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과, 상기 좌측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배면에 결합된 배판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정면에 결합되고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힌지 결합된 도어와,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물탱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의 받침이 복수 장착된 하판으로 구성된 함체; 상기 함체 중앙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를 고정 지지하는 U자형 거치대; 상기 함체 하부의 좌측판과 우측판의 동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장공, 및 각 모서리에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상기 장공과 일치하는 위치에 장공을 통해 삽입된 결합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저장용기를 올려놓는 높이조절용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함체 중앙부의 좌측판과 우측판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거치대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에 형성된 제2슬롯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2슬라이딩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높이조절용 받침판 저면에 제1마그네트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하판 저면에 제2마그네트패드가 장착되어 하판 저면의 제2마그네트패드에 높이조절용 받침판의 제1마그네트패드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을 하판 저면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잇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배판과 도어는 함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 커피탱크와 저장용기 사이의 거리를 저장용기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커피탱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더치커피 추출기의 기능향상과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의 저장용기 높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의 저장용기 높이 조절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의 저장용기 높이 조절장치에서 플레이트를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의 저장용기 높이 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1)는 함체(10) 내에 물탱크(40), 커피탱크(42) 및 저장용기(44)가 설치된 것이다.
함체(10)는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12)이 구비되고,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13)이 구비된다. 좌측판(12)과 우측판(13) 배면에는 배판(14)이 결합되고, 좌측판(12)과 우측판(13) 정면에는 도어(11)가 결합된다. 도어(11)는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에 힌지(18)로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11) 일측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장착된다. 도어(11) 내측에는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 전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9)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력에 의한 결합을 위한 마그네트(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좌측판(12), 우측판(13), 배판(14) 및 도어(11) 상단에는 상판(15)이 결합된다. 상판(15) 중앙에는 상부에서 물탱크(40)를 삽입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16)은 좌측판(12), 우측판(13), 배판(14) 및 도어(11) 하단에 결합된다. 하판(16)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 두께의 받침(17)이 복수로 장착된다.
함체(10)의 좌측판(12) 및 우측판(13)과 상판(15)과 하판(16)은 금속, 목질,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고, 도어(11)와 배판(14)은 함체(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U자형 거치대(22)는 함체(10)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U자형 거치대(22)는 좌측판(12)과 우측판(13)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42)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즉 U자형 거치대(22)는 정면이 개방되어 커피탱크(42)를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고, 좌측, 우측 및 배면은 각각 좌측판(12), 우측판(13) 및 배판(14)이 접촉되어 고정 지지된다.
제1슬롯(23)은 함체(10) 하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제1슬롯(23)은 좌측판(12)과 우측판(13)의 내측면 정면에서 후방으로 관통 형성되고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이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 기능과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고정 지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각 모서리, 즉 직각하는 모서리에 홈(29)이 형성된 형상이다. 홈(29)은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하판(16) 저면에 부착 보관할 때 하판(16) 저면에 장착된 받침(17)을 수용하는 공간이 된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양측면이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형성된 제1슬롯(23)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슬라이딩돌기(2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상면 중심에는 센터마크(26)가 형성되어 저장용기(44)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상면 전방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홈(27)이 형성되어 손잡이홈(27)에 손가락을 넣어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제1마그네트패드(30)가 장착되고 하판(16) 저면에 제2마그네트패드(31)가 각각 장착되어 하판(16) 저면의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제1마그네트패드(30)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하판(16) 저면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기(1)의 제1실시 예는 물탱크(40)에서 커피탱크(42)로 물을 떨어뜨려 커피탱크(42)에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저장용기(44)에 담는다. 이때, 커피탱크(42)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저장용기(44)에 저장하는 양에 따라 저장용기(44)의 용량 및 크기 달라진다. 따라서 추출할 커피원액이 상대적으로 적어 작은 크기의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을 담을 경우 또는 추출할 커피원액이 상대적으로 많아 큰 크기의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을 담을 경우이므로 저장용기(44)는 용량에 따라 그 높이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저장용기(44)의 높이에 따라 커피탱크(42)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저장용기(44)를 높이조절용 받침판(25)으로 높낮이를 조절한다. 저장용기(44)의 높낮이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복수의 제1슬롯(23) 중에서 끼우는 위치에 따라 조절된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양측면에 돌출된 슬라이딩돌기(28)를 제1슬롯(23)에 각각 끼운 상태에서 밀어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저장용기(44)를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상면 중심에 표시된 센터마크(26)에 위치시킨다. 또한,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커피원액이 채워진 저장용기(44)를 꺼낸다. 그리고 저장용기(44)를 떠받치던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손잡이홈(27)에 손가락 등으로 잡아 빼내어 분리한다. 더욱이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다른 용량의 저장용기(44)의 높이에 따라 다른 위치의 제1슬롯(23)에 삽입하면 될 것이다.
제1슬롯(23)으로부터 분리된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장착된 제1마그네트패드(30)를 하판(16) 저면에 장착된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U자형 거치대(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함체(10) 중앙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슬롯(24)을 형성하고, U자형 거치대(22) 양측면이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형성된 제2슬롯(24)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2슬라이딩돌기(36)를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물탱크(40)와 커피탱크(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커피탱크(42)에서 저장용기(4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U자형 거치대(22)를 복수의 제2슬롯(2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커피탱크(42)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 예로서, 도 4 및 도 5에서,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1)는 함체(10) 내에 물탱크(40), 커피탱크(42) 및 저장용기(44)가 설치된 것이다.
함체(10)는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12)이 구비되고,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13)이 구비된다. 좌측판(12)과 우측판(13) 배면에는 배판(14)이 결합되고, 좌측판(12)과 우측판(13) 정면에는 도어(11)가 결합된다. 도어(11)는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에 힌지(18)로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11) 일측에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가 장착된다. 도어(11) 내측에는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 전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9)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력에 의한 결합을 위한 마그네트(20)가 장착된다.
그리고 좌측판(12), 우측판(13), 배판(14) 및 도어(11) 상단에는 상판(15)이 결합된다. 상판(15) 중앙에는 상부에서 물탱크(40)를 삽입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하판(16)은 좌측판(12), 우측판(13), 배판(14) 및 도어(11) 하단에 결합된다. 하판(16)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일정 두께의 받침(17)이 복수로 장착된다.
함체(10)의 좌측판(12) 및 우측판(13)과 상판(15)과 하판(16)은 금속, 목질, 합성수지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고, 도어(11)와 배판(14)은 함체(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한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좋다.
U자형 거치대(22)는 함체(10)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U자형 거치대(22)는 좌측판(12)과 우측판(13)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42)를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즉 U자형 거치대(22)는 정면이 개방되어 커피탱크(42)를 용이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고, 좌측, 우측 및 배면은 각각 좌측판(12), 우측판(13) 및 배판(14)이 접촉되어 고정 지지된다.
장공(32)은 함체(10) 하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의 동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복수 관통 형성된다. 장공(32)은 대략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관통 형성된다. 장공(32)은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각 모서리, 즉 직각하는 모서리에 홈(29)이 형성된 형상이다. 홈(29)은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하판(16) 저면에 부착 보관할 때 하판(16) 저면에 장착된 받침(17)을 수용하는 공간이 된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양측면에는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장공(32)과 일치하는 위치에 장공(32)을 통해 삽입된 결합부재(33)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33)로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고정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에 결합부재(33)가 결합공(34)으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너트(35) 또는 핀이 결합되는 것이 좋다.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상면 중심에는 센터마크(26)가 형성되어 저장용기(44)의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제1마그네트패드(30)가 장착되고 하판(16) 저면에 제2마그네트패드(31)가 각각 장착되어 하판(16) 저면의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제1마그네트패드(30)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하판(16) 저면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치커피 추출기(1)의 제2실시 예는 물탱크(40)에서 커피탱크(42)로 물을 떨어뜨려 커피탱크(42)에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저장용기(44)에 담는다. 이때, 커피탱크(42)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저장용기(44)에 저장하는 양에 따라 저장용기(44)의 용량 및 크기 달라진다. 따라서 추출할 커피원액이 상대적으로 적어 작은 크기의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을 담을 경우 또는 추출할 커피원액이 상대적으로 많아 큰 크기의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을 담을 경우이므로 저장용기(44)는 용량에 따라 그 높이가 달라진다. 그러므로 저장용기(44)의 높이에 따라 커피탱크(42)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저장용기(44)를 높이조절용 받침판(25)으로 높낮이를 조절한다.
저장용기(44)의 높낮이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함체(10) 하부에서 승강시킨 후에 적절한 위치가 결정되면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각각 형성된 장공(32) 외측에서 결합부재(33)를 삽입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34)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재(33)에 너트(35)를 개입되어 결합부재(33)가 무단으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장공(32)을 통해 4개의 결합부재(33)를 해당하는 장공(32)을 통해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장공(32)에 고정 결합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용기(44)를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상면 중심에 표시된 센터마크(26)에 위치시킨다. 또한, 저장용기(44)에 커피원액의 추출이 완료되면 커피원액이 채워진 저장용기(44)를 꺼낸다. 그리고 저장용기(44)를 떠받치던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각 결합공(34)에 나사 결합된 결합부재(33)를 풀어 분리한 후 빼내면 된다. 더욱이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은 다른 용량의 저장용기(44)의 높이에 따라 해당하는 위치에서 장공(32)을 통해 결합부재(33)를 결합공(34)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될 것이다.
장공(32)으로부터 분리된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장착된 제1마그네트패드(30)를 하판(16) 저면에 장착된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U자형 거치대(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함체(10) 중앙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슬롯(24)을 형성하고, U자형 거치대(22) 양측면이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형성된 제2슬롯(24)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2슬라이딩돌기(28)를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물탱크(40)와 커피탱크(4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커피탱크(42)에서 저장용기(4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U자형 거치대(22)를 복수의 제2슬롯(2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에 삽입함으로써 커피탱크(42)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터치커피 추출기 10: 함체 11: 도어 12: 좌측판 13: 우측판 14: 배판 15: 상판 16: 하판 17: 받침 18: 힌지 19, 20: 마그네트 21: 관통공 22: 거치대 23, 24: 슬롯 25: 받침판 26: 센터마크 27: 손잡이홈 28, 36: 슬라이딩돌기 29: 홈 30, 31: 마그네트패드 32: 장공 33: 결합부재 34: 결합공 35: 너트 40: 물탱크 42: 커피탱크 44: 저장용기

Claims (5)

  1.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12)과, 상기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13)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배면에 결합된 배판(14)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정면에 결합되고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힌지 결합된 도어(11)와,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물탱크(4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판(15), 및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의 받침이 복수 장착된 하판(16)으로 구성된 함체(10);
    상기 함체(10) 중앙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42)를 고정 지지하는 U자형 거치대(22);
    상기 함체(10) 하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슬롯(23), 및
    각 모서리에 홈(29)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형성된 제1슬롯(23)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1슬라이딩돌기(28)가 형성되며 저장용기(44)를 올려놓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제1마그네트패드(30)가 장착되고 상기 하판(16) 저면에 제2마그네트패드(31)가 장착되어 하판 저면의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제1마그네트패드(30)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하판 저면에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2. 좌측면에 결합된 좌측판(12)과, 상기 좌측판과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된 우측판(13)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배면에 결합된 배판(14)과,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 정면에 결합되고 좌측판 또는 우측판에 힌지 결합된 도어(11)와,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물탱크(4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상판(15), 및 상기 좌측판, 우측판, 배판 및 도어 하단에 결합되고 저면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의 받침이 복수 장착된 하판(16)으로 구성된 함체(10);
    상기 함체(10) 중앙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사이에 결합되어 커피탱크(42)를 고정 지지하는 U자형 거치대(22);
    상기 함체(10) 하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의 동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관통 형성된 복수의 장공(32), 및
    각 모서리에 홈(29)이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상기 장공(32)과 일치하는 위치에 장공을 통해 삽입된 결합부재(33)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공(34)이 형성되며 저장용기(44)를 올려놓는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용 받침판(25) 저면에 제1마그네트패드(30)가 장착되고 상기 하판(16) 저면에 제2마그네트패드(31)가 장착되어 하판 저면의 제2마그네트패드(31)에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의 제1마그네트패드(30)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높이조절용 받침판(25)을 하판 저면에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함체(10) 중앙부의 좌측판(12)과 우측판(13) 내측면의 동일한 위치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제2슬롯(24)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거치대(22) 양측면이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에 형성된 제2슬롯(24)에 수평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2슬라이딩돌기(36)가 각각 형성된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판(14)과 도어(11)는 함체(10)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KR2020150003253U 2015-05-21 2015-05-21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KR20048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53U KR200481426Y1 (ko) 2015-05-21 2015-05-21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53U KR200481426Y1 (ko) 2015-05-21 2015-05-21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426Y1 true KR200481426Y1 (ko) 2016-09-29

Family

ID=5704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53U KR200481426Y1 (ko) 2015-05-21 2015-05-21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302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더치콩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693A (ko) * 2013-01-21 2013-02-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20140040504A (ko) * 2012-09-26 2014-04-03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KR101490306B1 (ko) * 2014-05-20 2015-02-04 오택훈 더치커피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504A (ko) * 2012-09-26 2014-04-03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KR101430912B1 (ko) 2012-09-26 2014-08-18 주은숙 더치 커피 머신
KR20130014693A (ko) * 2013-01-21 2013-02-08 정삼규 온도조절 및 살균 시스템을 탑재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490306B1 (ko) * 2014-05-20 2015-02-04 오택훈 더치커피 추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302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더치콩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448981B1 (ko) * 2020-10-07 2022-09-29 주식회사 더치콩 더치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413B2 (en) Beverage server with a drip tray assembly
US7210401B1 (en) Single cup pod beverage brewer
AU2008278586B2 (en) A holder for cups or other containers in machines for preparing beverages
US20130112318A1 (en) Secure cup support for beverage machine
RU2705618C1 (ru) Машина по приготовлению напитков
EP2131705B1 (en) Support to hold cups and coffee machine or the like comprising said support
US20120112019A1 (en) Modular beverage holder
KR101430912B1 (ko) 더치 커피 머신
KR200481426Y1 (ko) 밀폐형 더치커피 추출기
US10244889B2 (en) Multi-purpose coffee maker pod holder
KR10143713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추출기구
CN111345712A (zh) 一种使用安全防止孩童玩耍的菜刀放置装置及使用方法
US20210330114A1 (en) Portable coffee drip-brewer
CN108324108B (zh) 茶叶冷水滴泡机
US20170095108A1 (en) Beverage brewer with adjustable shelf
US9801501B1 (en) Tray holder
CN108709362A (zh) 瓶座组件及具有其的冰箱
KR101615996B1 (ko) 휴대용 더치 커피 드립 장치
KR101455150B1 (ko) 커피가루를 다지는 탬퍼 보관용 받침대와 겸용으로 사용되는 더치커피 추출용 홀더
US3968740A (en) Coffeemaker
CN217547764U (zh) 具有收纳功能的咖啡机
CN217337787U (zh) 一种茶水柜
CN205682866U (zh) 一种钱币形文物展示架
KR20140040452A (ko) 더치커피 기구
KR20150095569A (ko) 얼음홀더를 구비한 컵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