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721B1 -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721B1
KR101487721B1 KR20130042116A KR20130042116A KR101487721B1 KR 101487721 B1 KR101487721 B1 KR 101487721B1 KR 20130042116 A KR20130042116 A KR 20130042116A KR 20130042116 A KR20130042116 A KR 20130042116A KR 101487721 B1 KR101487721 B1 KR 10148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groove
wire rope
semicircula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4520A (ko
Inventor
엄갑식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72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7/00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207/40Machine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4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원형의 페룰을 단번에 원통형의 일체형 보강부재로 전환시켜 와이어 로프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원형 형상의 이음쇠 부분과 이음쇠 부분에 인접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타원형 형태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보강부재 부분으로 구성되는 페룰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의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페룰을 압착 성형하여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압착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에는 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게 구비되어 상부에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수평판 상부에 구비되고 수평판에 로드가 관통 구비되는 압착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의 누름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누름판에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밀착되는 각각의 밀착면에는 상기 페룰의 이음쇠 부분과 보강부재 부분의 외면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여 페룰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압착 결합시키는 하부 성형홈과 상부 성형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the Wire Rope with the Aluminium Ferrul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장착된 와이어 로프의 단말부분과 와이어 로프 본선부분을 금형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압착시켜 단번에 와이어 로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는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로프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선박 건조분야,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는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강인한 인장력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가는 철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소선을 한쪽 방향으로 꼬아서 하나의 스트랜드를 만들고, 다시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한쪽 방향으로 꼬아서 하나의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고 있다. 와이어 로프는 적게는 수백 킬로그램에서 많게는 수 백톤의 중량물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와이어 로프 자체가 사용 도중에 끊어지게 되는 파단현상이 발생되어서는 않되고, 또한 와이어 로프의 사용 도중에 와이어 로프의 끝단과 로프 본선의 결합부위에서 와이어 로프의 끝단이 빠져나오게 되는 로프단부의 이탈현상이 발생되어서는 절대로 않된다.
와이어 로프는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 슬링과 고리(링)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 슬링은 로프의 한쪽 끝단을 굽혀서 고리 모양으로 만들고, 그 끝단을 로프 본선에 겹쳐서 고리부를 만든 다음, 다른 한쪽 끝단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고리 모양 및 고리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고리(링) 제품은 로프의 양쪽 끝단을 서로 중첩되게 겹치고, 그 중첩된 부분을 견고하게 상호 결합시켜서, 전체적으로 이들을 엔드리스 타입으로 형성한 것이다.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기 슬링 제품과 상기 고리(링) 제품은 와이어 로프의 본선과 그 끝단을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삽입시킨 다음, 수백 톤의 압력으로 금형의 내부에서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을 압착하여 이음쇠를 만든 다음, 상기의 로프 끝단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방식은 본 발명자가 알고 있는 범위내에서 3가지 타입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알루미늄 보강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알루미늄 보강재를 이음쇠와 별개로 형성하거나, 이음쇠와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이 방식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그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주고 있지 않다. 아마도 그 이유는 분리형 보강재와 일체형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이전에, 그 결과물만을 도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둘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알루미늄 보강재 대신에 사출성형에 의하여 합성수지재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23546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465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상기의 알루미늄 이음쇠를 형성한 다음, 와이어 로프 본선과 끝단 부위를 사출성형기에 의해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방식에 의하면, 상기 이음쇠의 압착이 약할 경우 그 보강부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의 끝단이 빠져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518호에서 그 단점을 지적해주고 있는데, 이를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도 12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셋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용융금속에 의한 주물방식으로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태까지 소개된 다른 방법들에 비하여 훨씬 뛰어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예컨대, 그 제조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간편할 뿐만아니라, 와이어 로프의 틈새발생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의 이음쇠를 형성한 다음에, 별도의 과정으로 보강부재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2단계의 과정을 진행하는 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정리하면, 종래의 제1 방식은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제조과정을 전혀 밝혀주지 못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만들어 실시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가 매우 불명료한 것이고, 종래의 제2 방식은 이음쇠와 인접한 보강부재를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로프의 끝단이 이음쇠의 내부에서 빠져나와서 와이어 로프의 대형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으며, 종래의 제3 방식은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각각 별도의 과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제조과정을 단순화시키지 못한 각각의 단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 "와이어 로프의 아이 가공 압축 쇠장식" (1994. 08. 19.);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33084호 "중량물 하역작업용 와이어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방법" (2008. 04. 16.);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854654호 "와이어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장치 및 방법" (2008. 08. 2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게 제조하면서도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장착된 와이어 로프의 단말부분과 와이어 로프 본선부분을 금형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압착시켜 단번에 와이어 로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페룰에 형성되는 관찰구멍을 변형시키지 않고 압착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는, 타원형 형상의 이음쇠 부분과 이음쇠 부분에 인접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타원형 형태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보강부재 부분으로 구성되는 페룰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의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페룰을 단번에 압착 성형하여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압착 결합시키는 것으로,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에는 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마주보는 상부에 수평판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수평판에 상부에 구비되고 수평판에 로드가 관통 구비되는 압착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의 누름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부와 누름판에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밀착되는 각각의 밀착면에는 상기 페룰의 이음쇠 부분과 보강부재 부분의 외면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여 페룰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프 끝단과 로프 본선을 압착 결합시키는 하부 성형홈과 상부 성형홈이 각각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상부 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 성형홈은, 상기 페룰의 이음쇠 부분이 올려져 이음쇠 부분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하부 반원형 성형홈과,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에 인접하여 연통되게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페룰의 보강부재 부분이 올려져 보강부재 부분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성형홈은, 상기 하부 성형홈의 하부 반원형 성형홈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페룰의 이음쇠 부분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반원형 성형홈과, 상기 하부 성형홈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페룰의 보강부재 부분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테이퍼 성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상기 페룰은, 이음쇠 부분과 보강부재 부분의 경계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찰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성형홈은, 하부 반원형 성형홈과 하부 테이퍼 성형홈의 경계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찰구멍이 삽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은,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의 반대쪽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페룰의 압착 성형시 페룰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돌출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반원형 성형홈은, 상기 하부 돌출턱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페룰의 압착 성형시 페룰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돌출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과 상부 반원형 성형홈의 길이는 상기 페룰의 이음쇠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과 상부 테이퍼 성형홈의 길이는 상기 페룰의 보강부재 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장치는,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하나로 일체화시켜 제조한 페룰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삽입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동시에 압착결합시킴으로써, 이음쇠의 압착결합작업과 보강부재의 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로프 끝단을 모두 로프 본선에 역시 압착결합시키게 되므로, 상기의 로프 끝단이 종래와 같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종래의 와이어 로프에 비하여 그 인장력이 더욱 향상되는 간접적인 효과을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압착 전 타원형의 페룰에 형성되는 관찰구멍도 변형 없이 함께 압착 성형하므로, 페룰의 압착 후 관찰구멍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병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투입되는 타원형 페룰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원통관의 일단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일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원통관을 압착하여 타원형 형상의 페룰로 성형한 제1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타원형 형상의 페룰에 관찰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 제2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통한 로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압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압착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 로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의 제조장치에 투입되는 타원형 페룰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원통관의 일단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일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원통관을 압착하여 타원형 형상의 페룰로 성형한 제1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4c는 타원형 형상의 페룰에 관찰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 타원형 형상의 제2 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는, 와이어 로프(200)의 로프 끝단(202)과 로프 본선(201)을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 성형하여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로 제조함과 동시에, 상기 일체형 이음보강재(30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200)의 로프 끝단(202)과 로프 본선(201)을 단번에 압착시켜 와이어 로프 제품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투입되어 압착되는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초기의 원통형 형상의 페룰(100)을 타원형 형상으로 가공한 이후에 사용되어진다.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한도에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원통관의 일단부를 테이퍼지게 가공하여 원통관 및 테이퍼진 일단부로 형성된 원통형 형상의 페룰(100)을 제조하는 과정(도 4a 참조)을 거친 다음, 상기 원통관 및 상기 테이퍼진 일단부를 동시에 압착하여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로 성형하는 과정(도 4b 참조)을 거쳐서 제1 실시예에 의한 페룰로 완성되어지고,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로프의 연결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관찰구멍(103)을 천공함으로써(도 4c 참조) 제2 실시예에 의한 타원형 형상의 페룰로 완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제반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타원형 형상의 이음쇠 부분(101)과, 상기 이음쇠 부분(101)에 인접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타원형 형태로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보강부재 부분(10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우를 막론하고, 모두 본 발명에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로서 사용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이용하여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는, 지면에 세워지며 상부에 베이스(11)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와 마주보는 상부에 수평판(21)을 구비하고 있는 상부 프레임(2)과, 상기 수평판(21)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21)에 로드(31)를 관통시켜 형성된 압착 실린더(3)와, 상기 로드(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의 누름판(4)과,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와 상기 누름판(4)에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로프 끝단(202)과 로프 본선(201)을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 성형하는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는 직육면체의 골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성형장치의 중량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베이스(11)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을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하부 금형(5)을 볼트 결합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2)은 상기 본체(1)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 금형(6)을 안정된 상태로 승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2)은 본체(1)의 후방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판과, 수직판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압착 실린더(3)가 고정되는 수평판(21)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판(21)의 중앙에는 상기 압착 실린더(3)의 로드(31)가 관통될 수 있도록 수직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 실린더(3)는 상기 상부 금형(6)을 승하강시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 실린더(3)는 상기 수평판(2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판(21)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누름판(4)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31)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4)은 상기 압착 실린더(3)의 로드(31)와 상기 상부 금형(6)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기 로드(31)가 다수의 볼트를 통해 연결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 금형(6)이 다수의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 금형(6)에 맞추어 하부금형(5)이 서로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로 단번에 전환시키고, 또한 그와 동시에 그 내부의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압착 결합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은, 상기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을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 성형하여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일체형 이음보강재(300)의 내부에서 상기 로프 끝단(202)과 로프 본선(201)을 압착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하부 성형홈(51)을 형성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상부 금형(6)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상부 성형홈(61)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홈(51)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이 올려져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에 인접하여 연통되게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이 올려져 보강부재 부분(102)를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홈(61)은 상기 하부 성형홈(51)의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과, 상기 하부 성형홈(51)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과 상기 상부 금형(6)이 압착되어지면, 상기 하부 성형홈(51)과 상기 상부 성형홈(61)이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과 보강부재 부분(102)의 타원형의 외면을 압착하게 되고, 상기 하부 성형홈(51)과 상기 상부 성형홈(61)의 내부에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이 점차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전환되어지게 되고,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은 점차적으로 압착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의 길이는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의 길이를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경우, 상기 상부 금형(6)의 하강을 통해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쇠 부분(101)의 바깥쪽 부분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의 길이는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의 길이를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경우, 상기 상부 금형(6)의 하강을 통해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보강부재 부분(102)의 바깥쪽 부분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역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은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의 반대쪽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돌출턱(513)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은 상기 하부 돌출턱(513)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는 상부 돌출턱(61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돌출턱(513)과 상부 돌출턱(613)은 상기 상부 금형(6)의 하강을 통해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음쇠 부분(101)의 바깥쪽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턱(513)과 상부 돌출턱(613)이 상로 마주보면서 포개진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돌출턱(513)과 상부 돌출턱(613)의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 로프(200)가 통과되는 통과홀이 형성되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통한 로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압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b는 압착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와이어 로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을 겹쳐서 집어넣는다. 상기 로프 끝단(202)은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말단부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을 되돌려서 고리를 만든 다음, 역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과 함께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끼워넣은 것이다.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과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 로프 본선(201) 및 로프 끝단(202)을 상기 하부 금형(5)의 하부 성형홈(51)의 내부에 장착한다.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설명의 필요상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서, 관찰구멍(1030이 형성된 것을 선정하여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다음, 상기 압착 실린더(3)의 로드(31)를 하강시켜 상부 금형(6)을 1차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과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 로프 본선(201) 및 로프 끝단(202)을 상기 상부 금형(6)의 상부 성형홈(61)의 내부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의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을 잡아끌거나 밀어 넣어 적당한 고리를 형성한다.
다음, 상기 압착 실린더(3)를 가동시켜 상기 상부 금형(6)을 고압력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압착 성형을 진행한다. 상기 상부 금형(6)이 서서히 가압되어지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서 서로 압착되어지고, 상기 상부 금형(6)과 상기의 하부 금형(5)이 더욱 가압되어지면, 하부 성형홈(51)의 내면과 상부 성형홈(61)의 내면에 의한 폐쇄된 구조에 의해 더욱 압박을 받게 되고, 상기 하부 금형(5)과 상부 금형(6)이 더욱 가압되어지면,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서 상기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이 서로 찌그러지면서 강하게 밀착되어지게 되고,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두께부분은 찌그러들면서 빈공간부를 채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은 상기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이 서로 찌그러지면서 강하게 밀착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공간부에는 알루미늄 금속이 꽉 채워져 있는 모습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금형(6)이 서서히 가압되어지면, 상기 하부 금형(5)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상기 상부 금형(6)의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에 의해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 및 상기 로프 끝단(202)이 서로 압력을 받아 밀착되어지고,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지게 되는데, 특별히 상기 로프 끝단(202)에서는 역시 빈공간부에 알루미늄 재질로 꽉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과 상기 로프 끝단(202)이 역시 강하게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합성수지에 의한 보강부재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알루미늄 재질의 페룰에 의해 압착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여 거치는 동안,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그 내부에서 강력한 힘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201) 및 상기 로프 끝단(202)을 서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반면에, 그의 외관은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에 의해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전환되어지게 되고, 결국에는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투입되는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음쇠 부분(101)과 보강부재 부분(102)의 경계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찰구멍(103)을 형성한 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관찰구멍(103)은 상기 상부 금형(6) 및 상기 하부 금형(5)의 작동과정에서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관찰 구멍(103)은 추후 와이어 로프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와이어 로프의 끝단(201)이 와이어 로프의 본선(201)과 충분할 정도로 압착 결합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작업자들이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에 형성되는 하부 성형홈(51)은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의 경계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찰구멍(103)이 삽입되는 돌출부(5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514)는 상기 하부 성형홈(51)을 가공하면서 상부로 돌출되게 가공되는 것으로, 외경의 직경을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형성된 관찰구멍(103)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찰구멍(103)의 내경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514)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관찰구멍(103)에 삽입될 경우, 상기 상부 금형(6)을 하강시켜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관찰구멍(103)이 축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관찰구멍(103)의 형상을 그대로 보존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도 6과 같은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를 형성한 와이어 로프 제품이 완성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를 형성한 와이어 로프 제품에 상기 관찰 구멍(103)이 존재할 경우, 작업자는 완성된 와이어 로프 제품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와이어 로프 제품의 품질을 판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 또는 검사자가 자신의 육안으로 상기 관찰 구멍(103)을 통하여 상기 일체형 이음보강재(300)의 내부를 들여다 볼 때, 그 내부에서 상기 로프 끝단(202)이 보일 경우에는, 상기 로프 끝단(202)이 상기 관찰구멍(103)의 형성위치 지점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지점에 이르기까지 로프 본선(201)과 압착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에, 상기 로프 끝단(202)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로프 끝단(202)이 상기 관찰구멍(103)의 형성위치 지점에 이르기 전의 어느 지점까지만 연장되어 있고, 그 지점에 이르기까지만 로프 본선(201)과 압착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의 와이어 로프 제품은 매우 견고하고 강인한 인장력을 구비한 제품인 반면에, 후자의 와이어 로프 제품은 그 인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제품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기술 분야의 와이어 로프 제조/판매 및 사용분야에서는 상기 관찰구멍(103)을 통하여 로프 끝단(202)의 존재 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와이어 로프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상기 관찰구멍(103)은 완성된 와이어 로프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본체
11 : 베이스
2 : 상부 프레임
21 : 수평판
3 : 압착 실린더
31 : 로드
4 : 누름판
5 : 하부 금형
51 : 하부 성형홈
511 : 하부 반원형 성형홈, 512 : 하부 테이퍼 성형홈,
513 : 하부 돌출턱, 514 : 돌출부
6 : 상부 금형
61 : 상부 성형홈
611 : 상부 반원형 성형홈, 612 : 상부 테이퍼 성형홈,
613 : 상부 돌출턱
100 : 원통형 형상의 알루미늄 페룰
101 : 이음쇠 부분, 102 : 보강부재 부분
103 : 관찰구멍
110 : 타원형 형상의 알루미늄 페룰
200: 와이어 로프
201 : 로프 본선, 202 : 로프 끝단
300 : 일체형 이음보강재

Claims (7)

  1. 지면에 세워진 본체(1)에 지지되게 구비되어 있고, 본체의 베이스(11)와 마주보는 상부에 수평판(21)이 구비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2)과;
    상기 수평판(21)의 상부에 구비되고 수평판(21)에 로드(31)가 관통 구비되는 압착 실린더(3)와;
    상기 로드(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의 누름판(4)과;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성형홈(51)을 포함하고 있는 하부 금형(5)과;
    상기 누름판(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상부 성형홈(61)을 포함하고 있는 상부 금형(6); 으로 구성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과 상기 상부 금형(6)이 압착되어지면, 상기 하부 성형홈(51)과 상기 상부 성형홈(61)이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과 보강부재 부분(102)의 타원형의 외면을 압착하게 되고, 상기 하부 성형홈(51)과 상기 상부 성형홈(61)의 내부에서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을 점차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전환시켜서 일체형 이음보강재(30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로프 본선(201)과 로프 끝단(202)을 점차적으로 압착 결합시키고 있으며,
    상기 하부 성형홈(51)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이 올려져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에 인접하여 연통되게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이 올려져 보강부재 부분(102)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의 경계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홈(61)은,
    상기 하부 성형홈(51)의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과;
    상기 하부 성형홈(51)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부재 부분(102)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은,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의 반대쪽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압착 성형시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돌출턱(5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은,
    상기 하부 돌출턱(513)와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압착 성형시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이 금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돌출턱(6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의 길이는 상기 이음쇠 부분(1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의 길이는 상기 보강부재 부분(1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장치.
  6.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하부 성형홈(51)을 형성하고 있는 하부 금형(5)과;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상부 성형홈(61)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상부 금형(6); 으로 구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성형장치의 금형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5)의 하부 성형홈(51)은,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에 인접하여 연통되어 있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타원형 형상의 페룰(110)의 보강부재 부분(102)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의 경계부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514)를;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 금형(6)의 상부 성형홈(61)은,
    상기 하부 반원형 성형홈(511)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쇠 부분(101)을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상부 반원형 성형홈(611)과; 상기 하부 테이퍼 성형홈(512)과 마주 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재 부분(102)을 테이퍼지게 원형으로 압착 성형하는 반원형의 상부 테이퍼 성형홈(61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성형장치의 금형.

  7. 삭제
KR20130042116A 2013-04-17 2013-04-17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10148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116A KR101487721B1 (ko) 2013-04-17 2013-04-17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116A KR101487721B1 (ko) 2013-04-17 2013-04-17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20A KR20140124520A (ko) 2014-10-27
KR101487721B1 true KR101487721B1 (ko) 2015-01-29

Family

ID=5199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116A KR101487721B1 (ko) 2013-04-17 2013-04-17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859B1 (ko) * 2019-01-16 2020-11-0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
CN110552218A (zh) * 2019-08-29 2019-12-10 泰州力虎工具有限公司 两头扣环形吊带生产线及其生产方法
KR102218399B1 (ko) * 2020-08-20 2021-02-19 김정호 어업용 로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54B1 (ko) * 2008-04-11 2008-08-27 김대연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62000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252B1 (ko) 2010-12-08 2012-09-05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0183B1 (ko) 2010-12-03 2012-09-05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54B1 (ko) * 2008-04-11 2008-08-27 김대연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62000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183B1 (ko) 2010-12-03 2012-09-05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80252B1 (ko) 2010-12-08 2012-09-05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20A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US4130926A (en) Method of producing a rod anchoring structure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6810994U (zh) 冲压模具安装装置
KR100962000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CN218579457U (zh) 一种用于竖向管道的无损吊装装置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CN211904917U (zh) 一种用于高强度钢丝绳整绳破断试验的装置
CN210586702U (zh) 一种加强冲头结构
CN105689427A (zh) 一种用于制作锥套的挤压装置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KR101447971B1 (ko)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CN210914950U (zh) 一种钢精笼吊装装置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N208894881U (zh) 一种用于成型机挤压封头模具
KR102147117B1 (ko)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KR101180186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0060B1 (ko) 안전띠 고리 금형장치
CN205599688U (zh) 一种用于制作锥套的挤压装置
CN212177765U (zh) 一种钢绳套结构
CN205906928U (zh) 一种叠片式炼钢专用吊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