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467B1 -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467B1
KR101341467B1 KR1020120051444A KR20120051444A KR101341467B1 KR 101341467 B1 KR101341467 B1 KR 101341467B1 KR 1020120051444 A KR1020120051444 A KR 1020120051444A KR 20120051444 A KR20120051444 A KR 20120051444A KR 101341467 B1 KR101341467 B1 KR 101341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cylindrical
manufacturing
aluminum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715A (ko
Inventor
엄갑식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46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5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ments for indicating or detecting the rope or cable st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5Auxiliary apparatus for making s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포함하고 있는 이음쇠 부분(110)과, 상기 이음쇠 부분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프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보강부재 부분(120)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은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의 형태는 최초의 원형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이며,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은 역시 타원형의 형태로서 상기 이음쇠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테이퍼부(12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테이퍼부(122)의 경우에도 최초의 원형 테이퍼부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타원형 테이퍼부의 형태로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임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Aluminium Ferr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Wire R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the Wire Rope with the Aluminium Ferrul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를 고정하는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단일의 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게 제조하면서도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장착된 와이어 로프의 단말부분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압착된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는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로프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는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강인한 인장력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가는 철선으로 구성된 다수의 소선을 한쪽 방향으로 꼬아서 하나의 스트랜드를 만들고, 다시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한쪽 방향으로 꼬아서 하나의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고 있다. 와이어 로프는 적게는 수백 킬로그램에서 많게는 수 백톤의 중량물을 들어올려야 하므로, 와이어 로프 자체가 사용 도중에 끊어지게 되는 파단현상이 발생되어서는 않되고, 또한 와이어 로프의 사용 도중에 와이어 로프의 끝단과 로프 본선의 결합부위에서 와이어 로프의 끝단이 빠져나오게 되는 로프단부의 이탈현상이 발생되어서는 절대로 않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로프 제품으로서는, 하나의 와이어 로프 양단에 각각 하나씩의 고리(eye)를 형성한 슬링 제품과, 하나의 와이어 로프 전체를 하나의 원형으로 묶어서 사용하는 고리(링)형 제품이 있다. 그 밖에 몇 몇 특수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와이어 로프의 양쪽 끝단에 소켓을 결합시켜 사용하는 소켓형과, 와이어 로프의 끝단과 로프 본선을 겹쳐놓은 상태에서 이들을 클립으로 결합시킨 클립형 제품이 존재하고 있다.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기의 슬링 제품과 상기의 고리(링)형 제품은 와이어 로프의 본선과 그 끝단을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삽입시킨 다음, 수백 톤의 압력으로 금형의 내부에서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을 압착하여 이음쇠를 만든 다음, 상기의 로프 끝단에 의한 작업자의 상해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방식은 본 발명자가 알고 있는 범위내에서 3가지 타입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알루미늄 보강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알루미늄 보강재를 이음쇠와 별개로 형성하거나, 이음쇠와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이 방식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그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주고 있지 않다. 아마도 그 이유는 분리형 보강재와 일체형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이전에, 그 결과물만을 도면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둘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알루미늄 보강재 대신에 사출성형에 의하여 합성수지재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23546호 및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465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상기의 알루미늄 이음쇠를 형성한 다음, 와이어 로프 본선과 끝단 부위를 사출성형기에 의해 합성수지로 사출하여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방식에 의하면, 상기 이음쇠의 압착이 약할 경우 그 보강부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의 끝단이 빠져나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518호에서 그 단점을 지적해주고 있는데, 이를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도 14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셋째는, 이음쇠에 인접한 바로 그곳에 용융금속에 의한 주물방식으로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여태까지 소개된 다른 방법들에 비하여 훨씬 뛰어난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예컨대, 그 제조방식이 매우 간단하고 간편할 뿐만아니라, 와이어 로프의 틈새발생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의 이음쇠를 형성한 다음에, 별도의 과정으로 보강부재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2단계의 과정을 진행하는 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정리하면, 종래의 제1 방식은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그 제조과정을 전혀 밝혀주지 못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만들어 실시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가 매우 불명료한 것이고, 종래의 제2 방식은 이음쇠와 인접한 보강부재를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로프의 끝단이 이음쇠의 내부에서 빠져나와서 와이어 로프의 대형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으며, 종래의 제3 방식은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각각 별도의 과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와이어 로프의 제조과정을 단순화시키지 못한 각각의 단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 "와이어 로프의 아이 가공 압축 쇠장식" (1994. 08. 19.);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33084호 "중량물 하역작업용 와이어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방법" (2008. 04. 16.);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854654호 "와이어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장치 및 방법" (2008. 08. 21.); [문헌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93518호 "투명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 방법" (2011. 12. 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고정하는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단일의 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게 제조하면서도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의 내부에 장착된 와이어 로프의 끝단 부분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견고하게 일체형으로 압착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제2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포함하고 있는 이음쇠 부분과, 상기 이음쇠 부분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프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보강부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의 이음쇠 부분은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의 형태는 최초의 원형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이며,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은 역시 타원형의 형태로서 상기 이음쇠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테이퍼부의 경우에도 최초의 원형 테이퍼부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타원형 테이퍼부의 형태로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임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준비하고, 그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합체된 길이만큼 절단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제1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원통형 제1 부재의 보강부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공기계로 경사지게 깎아내어 원통형 이음쇠 부분과 테이퍼형의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원통형 제2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원통형 제2 부재의 원통형 이음쇠 부분 및 테이퍼형의 보강부재 부분을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하여 압착하여 타원형의 이음쇠 부분과 타원형의 테이퍼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체형 이음쇠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이음쇠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제조한 다음,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타원형 중간재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과 그 로프 본선을 되돌려 고리를 만든 그 로프 끝단을 함께 삽입하고 압착기의 금형의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S 240)와; 상기의 압착기의 금형을 이동시켜 금형 내부에 존재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일체형 이음쇠보강재의 타원형 중간재를 그 금형의 내부에서 압착성형함으로써 원형의 일체형 이음쇠보강재를 형성함으로써,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동시에 그 내부에서 압착결합시키고 있는 일체형 이음쇠보강재를 포함한 와이어 로프 제품을 제조하는 완성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는 상기의 원통형 제1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와,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와이어 로프 본선 및 로프 끝단을 동시에 겹쳐서 금형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S 240)와, 상기의 와이어 로프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와이어 로프 본선과,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 및 로프 끝단을 내부에 삽입시켜서 고압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일체형 고정보강재는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 및 상기 로프 끝단을 모두 압착결합시키고 있는 이음쇠부분과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 및 상기 로프 끝단의 말단부를 압착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프 끝단의 빈공간부를 알루미늄재질로 압착하여 채우되, 그 외부 표면은 완만한 경사부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은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되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타원형의 봉을 그 끝단에서 경사부분을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통상의 원통형 봉의 끝단을 경사부분으로 가공한 다음, 이것을 압착하여 타원형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므로, 매우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원통형 봉을 가공하고, 그 이후에는 통상적인 가공장비에 의하여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 또는 추가적인 투자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이음쇠와 보강부재를 하나로 일체화시켜 제조한 것이므로, 이음쇠의 압착결합작업과 보강부재의 형성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하나의 부품을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을 동시에 압착결합시키고, 그와 더불어 상기 로프 끝단을 모두 로프 본선에 역시 압착결합시키게 되므로, 상기의 로프 끝단이 종래와 같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장점도 있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하여 종래의 와이어 로프에 비하여 그 인장력이 더욱 향상되는 간접적인 효과도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이음쇠 부분과 보강부재 부분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은 경사진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의 작업 중 로프의 엉킴 현상이나 걸림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에 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 및 원통형의 제1 부재(20)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원통형의 제2 부재(3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5a, 도 6a 및 도 7a는 그 실시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 도 6b 및 도 7b는 각각 그 실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에 별도의 관찰구멍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압착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압착하여 성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2는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한쪽 방향으로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압착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에 관한 개략도로서, 도 1a는 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투명사시도이며, 도 1c는 그의 개략적인 전면도이며, 도 1d는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e는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포함하고 있는 이음쇠 부분(11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알루미늄 페룰(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알루미늄 재질은 가공이 용이하고 고압력에 의한 형태 변경시에 다른 금속과는 달리 깨지거나 파열되지 않고 가공완료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은 알루미늄 페룰(100)에 있어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상기의 로프 끝단(54)을 압착 결합시키게 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은 종래의 고정쇠, 이음쇠, 쇠장식, 또는 슬리브에 해당하는 부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은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비어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의 타원형의 형태는 최초의 원형 내지 원통형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타원형의 형태를 처음부터 타원형의 형상으로 압출하여 제조하거나 타원형의 형상으로 인발하여 제조한 것이 아님을 명확하게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알루미늄 페롤(100)을 처음부터 타원형의 형태를 가진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으로부터 제작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타원형의 형태를 가진 알루미늄 봉인가, 아니면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 형성된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인가의 여부는, 각 알루미늄 봉의 단면 조직을 살펴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은 상기 이음쇠 부분(110)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 부분(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은 종래의 보강부재, 또는 합성수지 보강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기의 로프 끝단(54)이 외부로 돌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은 역시 타원형의 형태로서 상기 이음쇠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테이퍼부(122)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보강부재 부분(120)의 타원형의 형태의 경우에도, 최초의 원형 내지 원통형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테이퍼부(122)는 타원형의 형태로 제작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원통형의 제품에서 이미 테이퍼부로서 형성되어 있던 것이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되어 형성된 것임을 명확하게 밝혀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은 매우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그 기술적인 특징을 간과한 채, 단순한 설계변경이라고 단정해버릴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사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제대로 이해하는 처사가 아니므로, 본 발명이 처음부터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을 사용하지 않고, 원통형의 알루미늄 봉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는 그 최종적인 형상이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그 출발점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봉의 형상을 사용하고, 이것을 가공하여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의 형상으로 전환시켜 사용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 본 발명의 상기 보강부재 부분(120)의 테이퍼부(122)의 가공의 용이성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통상적인 원통형의 봉을 그 끝단에서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은 너무나 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타원형의 봉을 그 끝단에서 경사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타원형 봉의 테이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정밀가공을 요구하고 숙련된 작업자 내지 숙련된 운전자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해당하는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의 테이퍼부를 가공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둘째,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본선과 로프 끝단의 압축결합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원통형의 알루미늄 봉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엔, 그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와이어 로프 본선 및 로프 끝단이 매우 작은 직경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의 원통형 알루미늄 봉을 타원형의 알루미늄 봉으로 전환시키게 되면, 그 내부의 형상이 약간 납작하게 바뀌어지면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 및 로프 끝단이 더 굵은 제품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은 더 굵은 제품을 삽입시킴으로써, 압착기의 금형에 의해 고압력으로 압착할 경우, 더욱 단단하게 압착할 수 있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의 인장력을 더욱 높게 할 수 있는 점과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이다.
셋째, 본 발명은 종래의 압착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종래의 압착기가 타원형 알루미늄 페룰을 압착하여 가공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을 타원형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종래의 압착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테이퍼부(122)에는 관찰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찰구멍(124)은 상기 테이퍼부(122)의 내부에 존재하는 로프 끝단(54)이 외부에서 보이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와이어 로프 제품에 있어서, 로프 끝단(54)은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의 내부에까지 뻗어나와 있어야만 하는 것인데, 통상적인 형태의 보강부재 부분(120)에 의해서는 그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로프 끝단(54)이 상기 보강부재 부분(12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의 관찰구멍(124)을 상기의 테이퍼부(122)에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준비하고, 그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를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합체된 길이만큼 절단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제1 부재(20)를 제조하는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준비한다.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는 알루미늄을 압출하거나 인발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는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합체된 길이만큼 절단한다. 절단방식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원통형 알루미늄 파이프(10)를 절단하게 되면,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제1 부재(20)를 얻게 된다.
도 2는 상기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10) 및 상기 원통형의 제1 부재(20)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통형 제1 부재(20)의 보강부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공기계로 경사지게 깎아내어 원통형 이음쇠 부분과 테이퍼형의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원통형 제2 부재(30)를 제조하는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원통형 제1 부재(20)를 선반과 같은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그 끝단 부위를 경사지게 가공한다. 가공되어지는 부분(34)은 상기 원통형 제1 부재(20)의 한쪽 단말 부분으로서 보강부재에 해당하는 곳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중에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삽입할 경우, 상기의 로프 끝단(54)이 겹쳐져서 존재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기의 원통형 제1 부재(20)는 가공되지 않은 원통형 이음쇠 부분(32)과 테이퍼형으로 가공된 보강부재 부분(34)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원통형의 제2 부재(30)로 전환되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원통형의 제2 부재(30)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3a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부이고, 도 3b는 그의 앞쪽에서 바라본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제2 부재(30)를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하여 압착하여 타원형의 이음쇠 부분(110)과 타원형의 테이퍼 보강부재 부분(120)을 일체형으로 제조하여 완료하는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완성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제2 부재(30)를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하여 압착하여 타원형으로 가공한다.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는 단순한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원통형 이음쇠 부분(32)과, 그에 연접하여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테이퍼형 보강부재 부분(34)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통상적인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집어넣고, 고압력으로 가압한다. 상기의 금형장비는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의 오일실린더(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고압력으로 압착력을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에 가한다.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는 점점 찌그러들어 타원형으로 전환되어지면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완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수행하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 4a는 그 실시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그 실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금형장비는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이 일정한 한도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7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의 스톱퍼(76)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의 실수 또는 금형장비의 에러작동시에도 상기의 상부금형(72)과 상기의 하부금형(74)이 더 이상 압착되지 않고 멈추게 되므로, 실제로 예정하였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통형 제2 부재(30)의 내부에 원형 보조기구(82) 또는 타원형 보조기구(84)를 삽입시켜 놓음으로써,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가 과도하게 찌그러지지 않고 적당한 내부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수행하는 바람직한 도면으로서, 도 5a, 도 6a 및 도 7a는 그 실시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 도 6b 및 도 7b는 각각 그 실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테이퍼부(122)에 별도의 관찰구멍(12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찰구멍(124)의 형성 방법은 통상적인 수단 및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드릴(62)과 같은 작업 공구를 이용할 수 있고, 선반이나 밀링머신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관찰구멍(124)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8은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테이퍼부(122)에 별도의 관찰구멍(124)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와 같은 제반 과정을 거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행운을 누릴 수 있다.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며, 그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이용하여 일체형 이음보강재(150)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제조한 다음,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그 로프 본선을 되돌려 고리(56)를 만들고 그 로프 본선의 끝단(54)을 함께 삽입하고, 압착기의 금형의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제조한다. 그 제조방법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겹쳐서 집어넣는다. 상기 로프 끝단(54)은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말단부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을 되돌려서 고리(56)를 만든 다음, 역으로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함께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 끼워넣은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과 그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압착기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의 내부에 장착한다.
도 9는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9a는 압착기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의 내부에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과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로프 끝단(54)을 장착한 상태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b는 상기 도 9a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압착기의 금형으로 그 내부의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과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로프 끝단(54)을 동시에 압착 성형하여 일체형 이음보강재를 포함한 와이어 로프를 제조하는 완성단계(S 2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착기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의 내부에 끼워진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잡아끌거나 밀어넣어 적당한 고리를 형성한 다음, 상기의 상부금형(72) 또는 하부금형(74)을 가동시켜 고압력으로 압착 성형을 진행한다. 상기의 상부금형(72) 또는 하부금형(74)은 외부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유압장치에 의해 가동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움직이는 금형이 가동금형으로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금형(72)이 서서히 가압되어지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은 상기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서 서로 압착되어지고, 상기의 상부금형(72)과 상기의 하부금형(74)이 더욱 가압되어지면, 금형내부의 상부벽면(73)과 금형내부의 하부벽면(75)에 의한 폐쇄된 구조로 인하여 더욱 압박을 받게 된다. 상기의 상부금형(72)과 상기의 하부금형(74)이 더욱 가압되어지면, 상기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서 상기의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이 서로 찌그러지면서 강하게 밀착되어지게 되고, 상기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의 두께부분은 찌그러들면서 빈공간부를 채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의 이음쇠 부분(110)은 상기의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이 서로 찌그러지면서 강하게 밀착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는 공간부에는 알루미늄 금속이 꽉 채워져 있는 모습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의 상부금형(72)이 서서히 가압되어지면, 상기 상부금형(72)의 상부 경사벽면(77)과 상기 하부금형(74)의 하부 경사벽면(79)에 의해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상기의 로프 끝단(54)이 서로 압력을 받아 밀착되어지고,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어지게 되는데, 특별히 상기의 로프 끝단(54)에서는 역시 빈공간부에 알루미늄 재질로 꽉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상기 로프 끝단(54)이 역시 강하게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합성수지에 의한 보강부재와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압착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도 10은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압착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10a는 압착기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과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로프 끝단(54)을 강하게 압착한 결과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b는 상기 도 10a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와이어 로프의 제조 완성단계(S 250)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의 테이퍼부(122)에 존재하는 관찰구멍(124)이 존재할 경우, 금형의 압착가공에 의해 상기의 관찰구멍(124)이 찌그러지는 것을 예방하고 압착가공 이후에도 외부에서 그 내부를 잘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금형은 상부금형(72) 또는 하부금형(74)에 압착핀(94)을 형성하고, 상기의 압착핀(94)이 상기의 관찰구멍(1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부금형(72)에 상기의 압착핀(9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관찰구멍(124)에 일치시킨 다음, 상기의 상부금형(72) 및 상기의 하부금형(74)을 가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와이어 로프의 제조 완성단계(S 250)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더욱 정교하고 정밀한 가공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과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로프 끝단(54)을 약간씩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에 의한 압착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단번에 타원형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압착 가공하는 것이 아니고, 한쪽 방향으로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가압하여 압착 가공하는 것이므로, 보다 정밀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압착기의 금형 내부에서 상기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등을 한쪽 방향으로 약간씩 회전시키면서 압착하여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각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거치는 동안, 상기의 고정형 알루미늄 페룰(100)은 그 내부에서 강력한 힘으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상기의 로프 끝단(54)을 서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반면에, 그의 외관은 상기의 상부금형(72)과 상기의 하부금형(74)에 의해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전환되어지게 되고, 결국에는 일체형 이음보강재(15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일체형 이음보강재(150)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의 와이어 로프(200)는 그 제조과정에 의한 기술적 특징과 그 완성된 형태상의 기술적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이는 종래의 선행기술에 속하는 일본의 공개실용신안 평6-59374호와 비교할 때 서로 구별되고 차별화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는 상기의 원통형 제1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의 타원형 중간재를 제조하는 단계(S 230)와, 상기의 타원형 중간재와 와이어 로프 본선 및 로프 끝단을 동시에 겹쳐서 금형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S 240)와, 상기의 와이어 로프 제품을 완성하는 단계(S 25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제조되어진다. 상기의 각 단계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위에서 이미 실시한 바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것을 요청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200)는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을 되돌려서 만든 고리부(56)와,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상기 고리부(56)에서 연장된 로프 끝단(54)을 내부에 삽입시켜서 고압으로 압착하여 고정시킨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은 다수의 소선과 다수의 스트랜드를 꼬아서 만든 통상적인 와이어 로프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고리부(56)는 중량물이나 크레인 등을 와이어 로프 본선(52)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걸고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통상적으로 와이어 로프 본선(5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고리부는 중량물에 걸려지고, 다른 하나의 고리부는 크레인 등에 걸려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는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상기의 고리부(56)의 사이에 형성되어지고, 그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상기 로프 끝단(54)을 모두 압착결합시키고 있는 부재이다. 상기의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는 원통형의 고정부분(152)과, 상기 원통형의 고정부분으로부터 로프 본선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분(15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원통형의 고정부분(152)은 그 내부에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상기 로프 끝단(54)을 모두 강력하게 압착결합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의 경사부분(154)은 그 내부에서 상기의 와이어 로프 본선(52) 및 상기 로프 끝단(54)을 모두 압착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로프 끝단(54)에서의 빈공간부를 알루미늄재질로 압착하여 채우고 있고 그의 외부 표면은 상기 고정부분(152)에서 로프 본선(52)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는 상기의 경사부분(154)에 관찰구멍(15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찰구멍(156)을 형성할 경우, 상기의 로프 끝단(54)이 원통형의 고정부분(152)에서 밖으로 더욱 빠져나와 있고 상기의 경사부분(154)에 이르기까지 존재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링형 와이어 로프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중에 우측의 일체형 고정보강재(150)는 상기의 경사부분(154)에 관찰구멍(156)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관찰구멍(156)은 상기 로프 끝단(54)이 위치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알루미늄 파이프, 20 : 원통형 제1 부재,
30 : 원통형 제2 부재, 32 : 원형 보조기구,
34 : 타원형 보조기구, 52 : 와이어 로프 본선,
54 : 로프 끝단, 56 : 고리부,
72 : 상부금형, 74 : 하부금형,
76 : 스톱퍼, 77 : 상부 경사벽면,
79 : 하부 경사벽면, 100 :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110 : 이음쇠 부분, 120 : 보강부재 부분,
124 : 관찰구멍, 150 : 일체형 이음보강재,
152 : 고정부분, 154 : 경사부분

Claims (13)

  1.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52)과 로프 끝단(54)을 포함하고 있는 이음쇠 부분(110)과, 상기 이음쇠 부분에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프 끝단(54)이 외부로 돌출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보강부재 부분(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의 이음쇠 부분(110)은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원형의 형태는 최초의 원형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이며,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은 역시 타원형의 형태로서 상기 이음쇠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테이퍼부(12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의 테이퍼부(122)는 최초의 원형 테이퍼부의 형태에서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타원형 테이퍼부의 형태로 변형된 결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부재 부분(120)은
    로프 끝단(54)이 상기 이음쇠 부분(110)의 밖으로 빠져나와 존재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찰구멍(12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
  3.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준비하고, 그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합체된 길이만큼 절단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제1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원통형 제1 부재의 보강부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공기계로 경사지게 깎아내어 원통형 이음쇠 부분과 테이퍼형의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원통형 제2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원통형 제2 부재의 원통형 이음쇠 부분을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하여 압착하여 타원형의 이음쇠 부분과 타원형의 테이퍼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이음쇠보강재의 타원형 중간재를 제조하는 단계(S 2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형장비는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이 일정한 한도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76)를 설치하여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비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은 원통형 제2 부재(30)를 삽입시키고,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의 내부에 원형 보조기구(82) 또는 타원형 보조기구(84)를 삽입시켜 놓고 가압에 의한 압착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72)과 상기 하부금형(74)의 가압에 의한 압착작업을 진행하는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테이퍼부(122)에 별도의 관찰구멍(12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제조방법.
  7.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준비하고, 그 원통형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합체된 길이만큼 절단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제1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10)와;
    상기 원통형 제1 부재의 보강부재에 해당하는 부분을 가공기계로 경사지게 깎아내어 원통형 이음쇠 부분과 테이퍼형의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원통형 제2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원통형 제2 부재의 원통형 이음쇠 부분을 압착기의 금형장비에 의하여 압착하여 타원형의 이음쇠 부분과 타원형의 테이퍼 보강부재 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을 제조하는 단계(S 230)와;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내부에 와이어 로프 본선과 그 로프 본선을 되돌려 고리를 만든 그 로프 끝단을 함께 삽입하고 압착기의 금형의 내부에 장착하는 단계(S 240)와;
    상기 압착기의 금형을 이동시키고, 상기 금형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과 상기 로프 본선과 상기 로프 끝단을 동시에 성형하여 압착결합시킴으로써, 일체형 이음쇠보강재를 포함한 와이어 로프 제품을 제조하는 완성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형장비는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이 일정한 한도의 범위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76)를 설치하여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비의 상부금형(72)과 하부금형(74)은 원통형 제2 부재(30)를 삽입시키고, 상기의 원통형 제2 부재(30)의 내부에 원형 보조기구(82) 또는 타원형 보조기구(84)를 삽입시켜 놓고 가압에 의한 압착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의 완성단계(S 230)는, 상기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100)의 테이퍼부(122)에 별도의 관찰구멍(124)을 더욱 형성하여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구멍(124)은 상부금형(72) 또는 하부금형(74)에 형성된 압착핀(94)을 삽입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의 제조방법.
  12. 제 7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
  13. 제 10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일체형 고정보강재를 포함하고 있는 와이어 로프(200).

KR1020120051444A 2012-05-15 2012-05-15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KR101341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44A KR101341467B1 (ko) 2012-05-15 2012-05-15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44A KR101341467B1 (ko) 2012-05-15 2012-05-15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15A KR20130127715A (ko) 2013-11-25
KR101341467B1 true KR101341467B1 (ko) 2013-12-16

Family

ID=4985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44A KR101341467B1 (ko) 2012-05-15 2012-05-15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83B1 (ko) * 2015-09-17 2016-02-01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83B1 (ko) * 2015-09-17 2016-02-01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15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709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rranging an aluminium ferrule to a high strength eve of a steel wire
US4130926A (en) Method of producing a rod anchoring structure
KR100366669B1 (ko) 형철구및형철가공방법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101058400B1 (ko)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KR100962000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1995B1 (ko)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
KR20120061699A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KR101180186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74406A (ko) 와이어 로프 슬링
US1908600A (en) Attachment for wire rop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764900B2 (ja) ワイヤロープ接続方法および接続部
KR102147117B1 (ko)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CN113236711B (zh) 用于钢丝绳的端部连接件和钢丝绳端部接头的方法
KR20190054319A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CN212177765U (zh) 一种钢绳套结构
CN103517866B (zh) 悬吊装置
KR100275316B1 (ko) 하역장비 와이어로프의 고리성형방법 및 로크의 압착을 위한 금형장치
CN105798208A (zh) 整束挤压式钢绞线锚具拉索大吨位挤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