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23B1 -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23B1
KR101602723B1 KR1020150146609A KR20150146609A KR101602723B1 KR 101602723 B1 KR101602723 B1 KR 101602723B1 KR 1020150146609 A KR1020150146609 A KR 1020150146609A KR 20150146609 A KR20150146609 A KR 20150146609A KR 101602723 B1 KR101602723 B1 KR 101602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rope sling
sling
upper mol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갑식
천상동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 D06B1/06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pouring or allowing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textile material flowing along an inclined surfa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1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for softening, lubricating or impregnating ropes, cables, or component strand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5Auxiliary apparatus for making sling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의 운반 및 이동 시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슬링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WIRE ROPE SLING USING PRESS WORKING}
본 발명은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의 운반 및 이동 시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슬링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후크 등에 걸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상한 구조인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로 주로 사용 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로프슬링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슬링의 종류로는,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각각 고리 형상으로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고,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겹쳐 루프(링 형상)를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금속재질로 압착하여 고정한 부분과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부분(두 가닥의 와이어로프) 및 와이어로프가 겹쳐지지 않은 부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이 단차진 형상(계단 형상)을 갖게 되어 와이어로프슬링을 사용할 때, 주변 구조물 등에 로프의 끝단부 또는 이음쇠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이러한 로프 걸림 문제는 결국 와이어로프의 연결부가 끊어져 하역 작업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또한 주변 구조물에 걸림에 따라 하역 작업을 방해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 소선들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국등록특허 [10-0854654]에서는 와이어로프의 고리부에서 이음쇠로 고정된 부분 옆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보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구성하여 이음쇠와 로프 사이의 단차를 해소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음쇠와 와이어로프 사이의 단차를 완만한 경사로 해소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의 경우 와이어로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 측 끝단부에 용융압출된 소재가 누설되어 마감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슬링는 그 기능상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보다는 실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그 작업장은 실외의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작업의 성격상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고 있다. 와이어로프슬링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주간에는 와이어로프슬링의 존재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야간에 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비가 오고 눈이 오는 날씨에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들에게 와이어로프슬링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54654](2008년08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슬링을 제작함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슬링의 단차진 부분을 완만한 경사가 지도록 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없앰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한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와이어로프(11)가 중첩되는 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시킨 와이어로프슬링(10)에, 와이어로프(11)의 중첩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부재(13)를 성형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 및 고정부재(12)가 거치되되 상기 와이어로프(11)와 고정부재(12)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성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고정부재(12)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고정부재(12)를 고정시키는 페룰고정부(200);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와이어로프(11)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를 고정시키는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와이어로프고정부(300)가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형성홈(120)에 끼움결합 가능하며, 상기 연장형성홈(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부금형(400); 및 상기 상부금형(400)과 연결되고, 상부금형(400)을 하부금형(100)에 밀착시켜 압축하는 압착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테이퍼성형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제1테이퍼성형홈(111) 사이에 수직단면이 동일한 수평성형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수평성형홈(112) 사이에 수직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2테이퍼성형홈(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금형(400)의 둘레면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의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 면과 와이어로프고정부(300)의 상기 페룰고정부(200) 측 면 및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 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100)은 외부에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으로 재료가 투입되도록 관통된 재료투입구(1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녹이는 재료용융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료용융부(600)로부터 용융된 재료를 상기 재료투입구(130)에 투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료용융부(600)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610); 및 보호부재(13)의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가열실린더(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상기 재료용융부(600)와 재료투입구(130)를 연결하는 이송라인(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라인(700)은 가열이 가능한 열전달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금형(400)은 상부에 형성된 수평한 누름판(410); 및 상기 상부금형(400)이 삽입되는 깊이의 한계를 두기 위해, 상기 누름판(410)의 하부로부터 상부금형의 특정 위치까지 돌출 형성된 상부가이드(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500)는 압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에 의하면, 보호부재를 이용하여 날카로운 부분을 없앰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깔끔한 마감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테이퍼 형상의 제1테이퍼성형홈을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로프슬링의 사용 시에 외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심플한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성형홈을 더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2테이퍼성형홈을 더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재와 보호부재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료투입구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스 성형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가열이 가능한 열전달호스를 이송라인으로 사용함으로써, 보호부재의 재료를 이송 시 보호부재의 재료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부가이드로 상부금형이 삽입되는 깊이의 한계를 둠으로써, 균일한 보호부재의 형상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도 3의 페룰고정부와 와이어로프고정부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5는 도 3의 페룰고정부와 와이어로프고정부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하부성형홈 형상을 달리한 개념도.
도 9 내지 도 10은 상부금형의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1은 도 3에 재료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2는 도 11의 상부금형이 하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3은 도 3에 재료용융부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4는 도 3의 상부금형에 누름판 및 상부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5는 도 14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6은 상부금형이 연장형성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7은 재료의 용융에서부터 재료의 압착까지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페룰고정부와 와이어로프고정부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의 페룰고정부와 와이어로프고정부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3의 하부성형홈 형상을 달리한 개념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상부금형의 형상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1은 도 3에 재료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부금형이 하부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3은 도 3에 재료용융부가 추가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4는 도 3의 상부금형에 누름판 및 상부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5는 도 14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16은 상부금형이 연장형성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17은 재료의 용융에서부터 재료의 압착까지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와이어로프(11)가 중첩되는 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시킨 와이어로프슬링(10)에, 와이어로프(11)의 중첩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부재(13)를 성형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에 있어서,(도1~2 참조) 하부금형(100), 페룰고정부(200),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상부금형(400) 및 압착부(500)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100)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다수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한다.
강삭의 모양 중 소선은 1% 정도의 탄소를 함유하는 양질의 고탄소강선이며, 0.9~1.0 탄소의 강선은 냉간가공과 페이턴팅(patenting)이라는 열처리의 조합에 의해 인장강도가 1mm당 300kg이 넘는다.
와이어로프의 구조는 통상 중심과 이를 둘러싼 수개의 스트랜드로 크게 구별되며 스트랜드 수는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3~8개로 이뤄진다.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강선의 수는 로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된다.
와이어로프의 꼬임에는 보통꼬임과 랑그꼬임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랑그꼬임로프는 보통꼬임 로프보다 사용 시 표면전체가 균일하게 마모됨으로 인해 수명이 다소 길고 보통꼬임의 로프는 랑그꼬임에 비해 더 한층 유연해 EYE 작업(고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의 종류에는 일반연 로프와 평행연 로프 등이 있다. 일반연로프는 각층별 소선간의 접촉형태가 점으로 이뤄져 있으며 각층별 소선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많아 굴곡을 크게 받는 용도인 슬링(Sling)으로 많이 사용된다.
평행연로프는 선접촉꼬임 로프로 이들 굴곡 및 내부마모를 경감해 단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랜드 내 소선의 접촉상태를 개량한 것이다. 2차 굴곡에 의한 피로가 발생하지 않고 내부마모가 거의 없다. 유효 단면적이 크므로 절단하중이 크며 스트랜드의 소선이 긴밀하게 꼬여 있어 형태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와이어로프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동력전달, 중량지지, 안장목적 등에 폭 넓게 사용되는 제품으로 주로 광산용, 유전용, 어업용에 사용될 뿐 아니라 선박, 기계, 항공기, 크레인, 엘리베이터, 케이블카, 교량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고정부재(12)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페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는 와이어로프(11)의 겹쳐진 부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압착기 등을 이용하여 강하게 압착시켜 고정함으로써 겹쳐진 와이어로프(11)가 서로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1)는 양 단부 각각을 고리모양으로 구부려 중첩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또는, 상기 와이어로프(11) 전체가 하나의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와이어 로프의 양 단부를 구부려 중첩부분을 형성(도 2 참조)하여 링 형상의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보호부재(13)는 상기 와이어로프(11)의 중첩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보호부재(13)는 수지를 압착(프레스성형)시켜 제조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재(12)로부터, 와이어로프(11)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벗어난 부분 중 상기 고정부(12)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까지, 상기 고정부재(12)와 와이어로프(11) 간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해 가열된 수지를 압착(프레스성형)시켜 제조한다.
하부금형(100)은 내부에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 및 고정부재(12)가 거치되되 상기 와이어로프(11)와 고정부재(12)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성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다.
즉. 하부금형(100)은 고정부재(12)로 고정된 와이어로프슬링(10)에 보호부재(13)를 성형하기 위한 베이스 금형으로, 와이어로프슬링(10)의 최종 성형될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부성형홈(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400)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다.
와이어로프슬링(10)의 고정부재(12)가 형성되는 부분은 와이어로프(11) 두 가닥이 겹쳐지는 부분으로 고정부재(12)의 단면 형상이 일반적으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페룰고정부(200)가 형성되는 측의 하부성형홈(110)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 한 가닥이 있는 부분은 단면 형상이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와이어로프고정부(300)가 형성되는 측의 하부성형홈(110)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고정부(200)는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고정부재(12)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고정부재(12)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하부금형(100)에 거치시키기 위해 페룰고정부(200)를 열 수(도 4참조) 있고,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하부금형(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페룰고정부(200)를 닫을 수(도 4참조)도 있다
상기 페룰고정부(200)는 와이어로프슬링(10)의 고정부재(12)에 닿는 부분이 상기 고정부재(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고정부재(12)에 밀착하여 상기 고정부재(12)와 페룰고정부(200)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12)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페룰고정부(200)는 연장형성홈(120) 상부로 보호부재(13)의 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고정부(300)는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와이어로프(11)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하부금형(100)에 거치시키기 위해 와이어로프고정부(300)를 열 수(도 4참조) 있고,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하부금형(1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로프고정부(300)를 닫을 수(도 4참조)도 있다
상기 와이어로프고정부(300)는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에 닿는 부분이 상기 와이어로프(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와이어로프(11)에 밀착 하여 상기 와이어로프(11)와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와이어로프(1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와이어로프고정부(300)는 연장형성홈(120) 상부로 보호부재(13)의 재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부금형(40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와이어로프고정부(300)가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형성홈(120)에 끼움결합 가능하며, 상기 연장형성홈(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즉. 상부금형(100)은 고정부재(12)로 고정된 와이어로프슬링(10)에 보호부재(13)를 성형하기 위하여 압축하기 위한 금형으로, 와이어로프슬링(10)의 최종 성형될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면이 형성된다.
압착부(500)는 상기 상부금형(400)과 연결되고, 상부금형(400)을 하부금형(100)에 밀착시켜 압축한다.
압착부(500)는 수지(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를 경화시키기 위해 압축성형을 할 수 있다. 압축성형은 금형에 성형재료를 넣은 후에 금형을 폐쇄하고 가열 가압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가압에는 주로 프레스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하부성형홈(11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 하부성형홈(110) 실시 예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테이퍼성형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13)의 페룰고정부(200)측에서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구조로 보호부재(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로프슬링의 사용 시에 외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심플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재(13)는, 고정부재(12)와 와이어로프(11)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고정부재(12)와 와이어로프(11) 및 와이어로프(11)의 상호 겹쳐진 부분 등에서 발생된 단차를 해소하고, 와이어로프슬링 연결부(고정부재 등)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함과 아울러, 고정부재(12)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의(와이어로프슬링이 링 형상) 경우, 고정부재(12)와 고정부재(12) 사이에도 보호부재(13)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차를 해소하기위한 본원발명의 목적과도 부합한다.
- 하부성형홈(110) 실시 예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제1테이퍼성형홈(111) 사이에 수직단면이 동일한 수평성형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13)의 고정부재(12) 측에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가 형성되고, 이어서 페룰고정부(200)측에서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구조가 형성된다. 이는, 와이어로프(111)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 하부성형홈(110) 실시 예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수평성형홈(112) 사이에 수직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2테이퍼성형홈(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페룰고정부(200)측에서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테이퍼형 구조가 형성되고, 이어서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가 형성되며, 이어서 페룰고정부(200)측에서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보호부재(13)는 고정부재(12)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재(12)와 보호부재(13)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부금형(4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400)의 둘레면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의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 면과 와이어로프고정부(300)의 상기 페룰고정부(200) 측 면 및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 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금형(400)은 페룰고정부(200), 와이어로프고정부(300) 및 연장형성홈(120)의 내면에 끼움결합 가능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면은 와이어로프슬링(10)의 최종 성형될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와이어로프슬링(10)의 보호부재를 압착하여 성형시키기 위함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하부금형(100)은 외부에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으로 재료가 투입되도록 관통된 재료투입구(1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보호부재(13)의 재료로 사용될 수지를 녹여서 투입할 수 있는 재료투입구(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료투입구는 상기 하부금형(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재료를 투입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400)이 위로 올라간 상태에서 재료투입구(130)를 통해 재료를 투입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투입구(130)의 재료투입을 중단한 상태로 상부금형(400)을 내려 투입된 재료를 압착하여 보호부재(13)를 성형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녹이는 재료용융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료용융부(600)로부터 용융된 재료를 상기 재료투입구(130)에 투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3)의 재료로 사용되는 수지는 열가소성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녹이기 위해 재료용융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료용융부(600)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610) 및 보호부재(13)의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가열실린더(620)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610)는 재료를 균일하게 가열실린더(620)에 투입시키기 위해 가열실린더(6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재료를 투입 및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상기 재료용융부(600)와 재료투입구(130)를 연결하는 이송라인(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라인(700)은 가열이 가능한 열전달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달호스는 가열이 가능한 호스를 말하며, 상기 보호부재(13)의 재료가 이송 중에 굳지 않도록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0도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400)은 상부에 형성된 수평한 누름판(410) 및 상기 상부금형(400)이 삽입되는 깊이의 한계를 두기 위해, 상기 누름판(410)의 하부로부터 상부금형의 특정 위치까지 돌출 형성된 상부가이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410)은 압착부(500)와 연결되는 상부금형의 말단으로, 압착부의 접촉되는 면 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종의 누름판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가이드(420)는 상기 상부금형(400)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보호부재(13)의 형상을 일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압착부(500)는 압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실린더 형태의 압착기(압착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금형(400)이 연장형성홈(120)에 끼워지기 전에 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400)이 연장형성홈(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재료가 투입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하부금형에 재료를 투입시킬 때 외부로 재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7에 재료의 용융에서부터 재료의 압착까지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한 와이어로프슬링 역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와이어로프슬링
11: 와이어로프 12: 고정부재
13: 보호부재
100: 하부금형
110: 하부성형홈
111: 제1테이퍼성형홈 112: 수평성형홈
113: 제2테이퍼성형홈
120: 연장형성홈 130: 재료투입구
200: 페룰고정부
300: 와이어로프고정부
400: 상부금형
410: 누름판 420: 상부가이드
500: 압착부
600: 재료용융부
610: 호퍼 620: 가열실린더
700: 이송라인

Claims (13)

  1. 와이어로프(11)가 중첩되는 부분을 고정부재(12)로 고정시킨 와이어로프슬링(10)에, 와이어로프(11)의 중첩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부재(13)를 성형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 및 고정부재(12)가 거치되되 상기 와이어로프(11)와 고정부재(12)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성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 하부금형(100);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고정부재(12)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고정부재(12)를 고정시키는 페룰고정부(200);
    상기 하부성형홈(110)의 와이어로프(11)가 거치되는 측 하부금형(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의 와이어로프(11)를 고정시키는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와이어로프고정부(300)가 상기 와이어로프슬링(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연장형성홈(120)에 끼움결합 가능하며, 상기 연장형성홈(12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부금형(400); 및
    상기 상부금형(400)과 연결되고, 상부금형(400)을 하부금형(100)에 밀착시켜 압축하는 압착부(500);
    를 포함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으로 갈수록 수직단면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테이퍼성형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제1테이퍼성형홈(111) 사이에 수직단면이 동일한 수평성형홈(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와 수평성형홈(112) 사이에 수직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2테이퍼성형홈(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400)의 둘레면은
    상기 페룰고정부(200)의 와이어로프고정부(300) 측 면과 와이어로프고정부(300)의 상기 페룰고정부(200) 측 면 및 연장형성홈(120)이 형성된 면을 상측에서 바라본 형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100)은
    외부에서 상기 하부성형홈(110)으로 재료가 투입되도록 관통된 재료투입구(130);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녹이는 재료용융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료용융부(600)로부터 용융된 재료를 상기 재료투입구(130)에 투입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용융부(600)는
    보호부재(13)의 재료를 투입하는 호퍼(610); 및
    보호부재(13)의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가열실린더(620);
    를 포함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는
    상기 재료용융부(600)와 재료투입구(130)를 연결하는 이송라인(700);
    을 더 포함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700)은
    가열이 가능한 열전달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400)은
    상부에 형성된 수평한 누름판(410); 및
    상기 상부금형(400)이 삽입되는 깊이의 한계를 두기 위해, 상기 누름판(410)의 하부로부터 상부금형의 특정 위치까지 돌출 형성된 상부가이드(420);
    를 포함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500)는
    압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13. 삭제
KR1020150146609A 2015-10-21 2015-10-21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101602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09A KR101602723B1 (ko) 2015-10-21 2015-10-21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609A KR101602723B1 (ko) 2015-10-21 2015-10-21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723B1 true KR101602723B1 (ko) 2016-03-21

Family

ID=5565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609A KR101602723B1 (ko) 2015-10-21 2015-10-21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5764A (zh) * 2017-07-04 2017-11-10 西安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索接头收口压紧方法及压紧模具
KR101978626B1 (ko) * 2019-02-27 2019-05-14 유문식 끈 단부 마감장치
KR102068925B1 (ko) 2019-02-27 2020-01-21 김근태 와이어 자동 압착 장치
CN112310926A (zh) * 2020-09-30 2021-02-02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地面线缆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99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999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5764A (zh) * 2017-07-04 2017-11-10 西安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索接头收口压紧方法及压紧模具
KR101978626B1 (ko) * 2019-02-27 2019-05-14 유문식 끈 단부 마감장치
KR102068925B1 (ko) 2019-02-27 2020-01-21 김근태 와이어 자동 압착 장치
CN112310926A (zh) * 2020-09-30 2021-02-02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一种地面线缆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US9869056B2 (en) Rope end-fastening method, rope with end fastener, and end fitting for use in rope end-fastening method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3456B1 (ko) 와이어로프슬링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US3317233A (en) Sl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058400B1 (ko)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01842B1 (ko) 와이어로프슬링
KR101716813B1 (ko)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6790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와이어로프슬링
KR100961995B1 (ko)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
KR101292165B1 (ko) 형광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KR101180186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CN215100012U (zh) 一种钢丝管链机盘片固定机构
KR20190054319A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US2850316A (en) Load-transfer cable equipment
CN211998470U (zh) 一种船舶轴系吊装用抱箍
KR102147117B1 (ko)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