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26B1 - 끈 단부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끈 단부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26B1
KR101978626B1 KR1020190023091A KR20190023091A KR101978626B1 KR 101978626 B1 KR101978626 B1 KR 101978626B1 KR 1020190023091 A KR1020190023091 A KR 1020190023091A KR 20190023091 A KR20190023091 A KR 20190023091A KR 101978626 B1 KR101978626 B1 KR 10197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press
metal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문식 filed Critical 유문식
Priority to KR102019002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끈의 단부에 금속마감재를 마감처리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로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하부 프레스와,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부 프레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금속마감재를 포함한 끈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하면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압착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에 안착되면 상기 압착부의 표면에 상기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접촉하면서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끈에 말아지도록 변형되면서 끈의 단부가 처리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끈 단부 마감장치{Apparatus for finishing end of string}
본 발명은 끈 단부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조된 끈의 양단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끈 단부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끈의 단부는 특정 영역에 끼우기 용이하면서도 쉽게 풀어지지 않도록 마감재로 처리된다.
종래에는 열에 수축되는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프 필름을 끈의 단부에 감아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끈 제조에 수반되는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들고 생산속도가 떨어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합성수지사로 제조되는 것으로 서로 미끄러지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장시간 경과시 또는 세탁시 마감재가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금속마감재를 사용하여 끈의 단부에 고정시키는 프레스 금형 장치가 개발되어 보다 빠른 속도로 끈을 제조하고 있다.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끈의 단부를 마감하는 장치에서 금속마감재는 끈에 양단이 말리는 형태로 고정되는데, 이 과정에서 금속마감재의 양단이 서로 부딪혀 끈을 제대로 감싸지 못하거나 금속마감재가 변형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끈의 단부에 금속판재가 서로 부정합 없이 롤상으로 말려 단부 처리되도록 구현되는 끈 단부 마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는 끈의 단부에 금속마감재를 마감처리하는 장치로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하부 프레스와,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부 프레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금속마감재를 포함한 끈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하면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압착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에 안착되면 상기 압착부의 표면에 상기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접촉하면서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끈에 말아지도록 변형되고, 상기 압착부의 단면은 중심 방향으로 파여진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단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에는 두개의 금속마감재가 나란히 안착되며, 상기 홈부의 중심부에는 금속마감재의 영역을 분할하는 분할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분할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커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홈부에는 금속마감재가 적어도 2개 이상 끼워진 끈이 배치되며, 상기 홈부의 양측에는 끈이 안착되면서 이동하는 공간인 끈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스의 표면에는 소정의 길이와 깊이를 갖는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표면에는 상기 정렬홈에 위치에 대응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정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치가 정렬되어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와 접촉함에 따라 상기 커터부가 상기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하면, 상기 상부 프레스를 탈착하여 상기 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한쌍의 금속마감재를 끈에 끼우고 다시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부 프레스에 접촉시켜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함으로써 양단에 금속마감재가 처리된 하나의 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끈의 단부를 마감하는 장치에서 금속마감재는 끈에 양단이 말리는 형태로 고정되는데, 금속마감재를 압착하는 부재가 금속마감재의 일단이 먼저 말리도록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끈의 단부를 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하부 프레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상부 프레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상부 프레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하부 프레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압착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로 제조한 끈의 마감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하부 프레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끈 단부 마감장치의 하부 프레스(100)는 가로 세로로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블록(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록(101)의 상면에는 끈이 일방향으로 배치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록(101)의 일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의 사이에는 직선형태로 파여진 홈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40)는 금속마감재가 안착되는 공간으로, 두개의 금속마감재가 나란히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홈부(140)의 중간에는 상기 홈부(14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분할 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 부재(130)는 상기 홈부(140)의 영역을 두 부분으로 나누기 위해 상기 홈부(14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금속마감재는 상기 분할 부재(13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한 개씩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40)에 금속마감재가 안착된 후에는, 상기 금속마감재에 끼워지도록 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부(140)에 끈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홈부(140)의 상하부로는 끈이 ?과하는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140)의 상부와 하부에는 끈이 안착되면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인 끈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부 플레이트(100)를 일정부분 깎아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120)의 측면에는 소정의 길이와 깊이를 갖는 정렬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홈(160)은 상부 프레스와의 정렬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의 상부 프레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끈 단부 마감장치의 상부 프레스(200)는 가로 세로로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블록(20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록(201)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프레스(100)의 상면에 배치된 구성들과 대응되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부 프레스(200)에는 하부 프레스(200)에 마련된 정렬홈(160)에 삽입되는 돌출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00)에 마련된 고정부(250)가 하부 프레스(100)에 마련된 정렬홈(160)에 삽입됨에 따라 하부 프레스(100) 상에 상부 프레스(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스(100)에서 하부 프레스(100)의 홈부(14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압착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부(230)의 중심에는 상기 압착부(230)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커터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부(240)의 양측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압착부(230)가 홈부(140) 내부로 인입될 때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상부 프레스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스(200)에 마련된 압착부(230)는 상면이 삼각형상으로 움푹 파인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230)의 상면은 상부 프레스(200)가 하부 프레스(100)에 접촉하였을 때, 끈과 끈을 감싸도록 배치된 금속마감재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압착부(230)와 수직하도록 배치된 커터부(240)는 압착부(230)의 내부로 인입된 끈을 커팅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 상부 프레스(200)가 하부 프레스(100) 상면으로 압착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절단될 수 있으며, 절단되는 부위는 두개의 금속마감재 사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하부 프레스에 끈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끈 단부 마감장치를 사용하여 끈의 단부를 마감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 프레스(100)의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 사이에 마련된 홈부(140)에 한쌍의 금속마감재(71, 72)를 삽입한다. 금속마감재(71, 72)는 끈의 연장방향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표면이 일부 개구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금속마감재(71, 72)를 홈부(140)에 삽입한 후에 끈을 금속마감재(71, 72)에 끼우거나, 금속마감재(71, 72)를 끈에 끼운 후에 금속마감재(71, 72)를 홈부(140)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금속마감재(71, 72)는 분할 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홈부(140)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금속마감재(71, 72)의 오픈된 영역이 상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끈을 둘러싼 금속마감재(71, 72)가 홈부(14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스(100) 상에 상부 프레스(200)의 하면이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스(2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프레스(200)에 마련된 압착부(230) 내부에 금속마감재(71, 72)의 오픈된 영역을 포함한 상부 영역이 접촉할 수 있다. 상부 프레스(200)가 완전히 하부 프레스(100)에 안착되면, 압착부(230)의 경사면에 의해 금속마감재(71, 72)의 상면은 끈을 감싸도록 내부로 휘어지면서 말아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착부(230)의 중간에 마련된 커터부(240)는 하부 프레스(100)의 홈부(140)의 중심에 마련된 가로 방향의 삽입홈(132) 내부로 인입되면서 금속마감재(71, 72) 사이의 끈을 커팅하게 된다.
끈이 커팅된 후에 목표로 하는 길이만큼 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와 같이 금속마감재를 삽입하여 커팅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양측에 금속마감재가 마감처리된 하나의 끈을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압착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압착부(230)는 내부로 파여진 공간을 가지며, 이 공간에는 금속마감재의 오픈된 영역이 접촉하여 압착부(230)의 누르는 힘에 의해 금속마감재의 오픈된 영역이 닫히면서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에서 압착부(230)의 단면은 중심을 기준으로 제1 경사면(230a)과 제2 경사면(230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경사면(230a)과 제2 경사면(230c)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230a)과 제2 경사면(230c)의 사이에는 일정길이의 단차면(230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상기 압착부(230)의 내부에 접촉하는 경우, 제1 경사면(230a)에 의한 경사가 제2 경사면(230c)에 의한 경사가 더 크기 때문에 금속마감재의 단부는 압착부(23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치우친 상태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로 제조한 끈의 마감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를 사용하여 양측에 금속마감재가 마감처리된 하나의 끈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끈 단부 마감장치를 사용하면, A-A'의 단면에서와 같이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끈에 말아지기 때문에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서로 접촉하여 불량이 일어나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끈의 단부를 마감하는 장치에서 금속마감재는 끈에 양단이 말리는 형태로 고정되는데, 금속마감재를 압착하는 부재가 금속마감재의 일단이 먼저 말리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끈의 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부 프레스
101: 블록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30: 분할 부재
131: 홀
132: 삽입홈
140: 홈부
150: 끈 지지부
160: 정렬홈
200: 상부 플레스
201: 블록
220: 돌출부
230: 압착부
240: 커터부
50: 끈
71, 72: 금속마감재

Claims (5)

  1. 끈의 단부에 금속마감재를 마감처리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로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하부 프레스와,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부 프레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프레스의 상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금속마감재를 포함한 끈이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하면에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중심에서 상기 압착부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에 안착되면 상기 압착부의 표면에 상기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접촉하면서 금속마감재의 단부가 끈에 말아지도록 변형되고,
    상기 압착부의 단면은 중심 방향으로 파여진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에는 일정 높이의 단차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두개의 금속마감재가 나란히 안착되며, 상기 홈부의 중심부에는 금속마감재의 영역을 분할하는 분할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분할 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커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금속마감재가 적어도 2개 이상 끼워진 끈이 배치되며, 상기 홈부의 양측에는 끈이 안착되면서 이동하는 공간인 끈 지지부가 형성되는 끈 단부 마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스의 표면에는 소정의 길이와 깊이를 갖는 정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스의 표면에는 상기 정렬홈에 위치에 대응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정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치가 정렬되어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스가 하부 프레스와 접촉함에 따라 상기 커터부가 상기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하면, 상기 상부 프레스를 탈착하여 상기 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한쌍의 금속마감재를 끈에 끼우고 다시 상기 상부 프레스를 하부 프레스에 접촉시켜 금속마감재 사이의 끈을 커팅함으로써 양단에 금속마감재가 처리된 하나의 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단부 마감장치.

KR1020190023091A 2019-02-27 2019-02-27 끈 단부 마감장치 KR10197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91A KR101978626B1 (ko) 2019-02-27 2019-02-27 끈 단부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91A KR101978626B1 (ko) 2019-02-27 2019-02-27 끈 단부 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26B1 true KR101978626B1 (ko) 2019-05-14

Family

ID=6658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091A KR101978626B1 (ko) 2019-02-27 2019-02-27 끈 단부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269B1 (ko) 2020-06-09 2021-10-07 박계홍 끈 마감재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5B1 (ko) * 2003-01-08 2007-09-03 이정문 고정끈의 선단 고정을 위한 금속재 마감재 및 그 제조장치
KR20110120712A (ko) * 2010-04-29 2011-11-04 손순호 팁-결속장치
KR20130078503A (ko) * 2011-12-30 2013-07-10 이정문 텍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602723B1 (ko) * 2015-10-21 2016-03-21 대광기업 주식회사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5B1 (ko) * 2003-01-08 2007-09-03 이정문 고정끈의 선단 고정을 위한 금속재 마감재 및 그 제조장치
KR20110120712A (ko) * 2010-04-29 2011-11-04 손순호 팁-결속장치
KR20130078503A (ko) * 2011-12-30 2013-07-10 이정문 텍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602723B1 (ko) * 2015-10-21 2016-03-21 대광기업 주식회사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269B1 (ko) 2020-06-09 2021-10-07 박계홍 끈 마감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26B1 (ko) 끈 단부 마감장치
US5182933A (en) Method of producing devices for interconnecting conveyor or similar belts
DE102014113650A1 (de) Stator mit Abstützbock, Elektromotor mit einem Sta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otors
CZ21494A3 (en) Ring for tightening by narrow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US4528749A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ribbon cable
JPH0684574A (ja) 端子圧着装置
KR101239477B1 (ko) 굴곡형 채널용 금형, 이를 이용한 굴곡형 채널 제조방법
KR100804962B1 (ko) 비틀림 스프링백의 측정장치
JP5350533B2 (ja) 線と接続要素の固定装置
CN112512718A (zh) 通过成形连接金属板端部部段
JPH0149023B2 (ko)
JPH07312235A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US3089532A (en) Dies for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CN210575763U (zh) 一种断路器安装座
JPS63310514A (ja) 絶縁電線の結束方法
KR100229248B1 (ko) 냉장고용 외상의 측판 하부 홈형성방법
JPH08315947A (ja) 圧接治具
KR0139323B1 (ko) 손톱깍기의 누름편 제조방법
JPS5919347Y2 (ja) 電気接続子
JP2550167Y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S5832178Y2 (ja) 金型
JP2010049897A (ja) 端子金具の製造方法
TW201934217A (zh) 熱軋試片整平裝置
JPS61123422A (ja) シヤドウマスク成形装置
RU2062674C1 (ru) Составная вол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