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842B1 - 와이어로프슬링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42B1
KR101601842B1 KR1020150108700A KR20150108700A KR101601842B1 KR 101601842 B1 KR101601842 B1 KR 101601842B1 KR 1020150108700 A KR1020150108700 A KR 1020150108700A KR 20150108700 A KR20150108700 A KR 20150108700A KR 101601842 B1 KR101601842 B1 KR 10160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xing member
reinforcing member
rope sling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갑식
천상동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의 운반 및 이동 시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슬링에 대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한 보호부재의 누설을 방지하여 마감처리를 깔끔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슬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슬링 {WIRE ROPE SLING}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중량물의 운반 및 이동 시 사용하는 와이어로프슬링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로프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여러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하는 것으로, 후크 등에 걸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상한 구조인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로 주로 사용 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로프슬링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운반하거나, 무거운 중량물을 운반체에 옮겨 싣거나 운반체로부터 하역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로프슬링의 일반적인 사용분야를 살펴보면,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 크레인을 이용한 건설분야, 선박에 의한 물품의 하역장, 중소형의 어선 등에 사용되는 어업 분야, 공중 케이블, 대형의 교량에 사용되는 강철제 현수선,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 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로프슬링의 종류로는,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각각 고리 형상으로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고, 와이어로프의 양 끝단을 겹쳐 루프(링 형상)를 만들고 와이어로프의 겹쳐지는 부분을 금속재질로 압착(슬리브 압착 등)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금속재질로 압착하여 고정한 부분과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부분(두 가닥의 와이어로프) 및 와이어로프가 겹쳐지지 않은 부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이 단차진 형상(계단 형상)을 갖게 되어 와이어로프슬링을 사용할 때, 주변 구조물 등에 로프의 끝단부 또는 이음쇠 등이 걸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이러한 로프 걸림 문제는 결국 와이어 로프의 연결부가 끊어져 하역 작업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위험이 있고, 또한 주변 구조물에 걸림에 따라 하역 작업을 방해할 수 있음은 물론, 금속 소선들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국등록특허 [10-0854654]에서는 와이어 로프의 고리부에서 이음쇠로 고정된 부분 옆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보강 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구성하여 이음쇠와 로프 사이의 단차를 해소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음쇠와 와이어로프 사이의 단차를 완만한 경사로 해소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의 경우 와이어로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 측 끝단부에 용융압출된 소재가 누설되어 마감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슬링는 그 기능상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보다는 실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그 작업장은 실외의 자연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작업의 성격상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진행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되고 있다. 와이어로프슬링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주간에는 와이어로프슬링의 존재를 쉽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야간에 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비가 오고 눈이 오는 날씨에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들에게 와이어로프슬링의 식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854654](2008년08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슬링을 제작함에 있어서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한 보호부재의 누설을 방지하여 마감처리를 깔끔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어로프슬링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은, 와이어로프(100);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200);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벗어난 부분 중 상기 고정부재(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300); 및 상기 고정부재(200) 및 보강부재(300) 사이에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된 보호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부재(400)는 보강부재(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부(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제1경사부(410) 사이에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4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부재(400)의 수평부(42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수평부(420) 사이에 고정부재(2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영역을 형광물질로 피복처리하거나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 형광물질부(401); 및 상기 형광물질부(401)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물질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길이만큼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물질부(402); 및 상기 투명물질부(402)로부터 보강부재(300) 까지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 형광물질부(4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에 의하면,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의 강선과 강선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움으로써,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되는 보호부재의 누설을 방지하여 와이어로프슬링에 대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감처리를 깔끔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부재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단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테이퍼 형상의 제1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로프슬링의 사용 시에 외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심플한 외관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수평부를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중첩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의 제2경사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고정부재와 보호부재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보호부재를 투명물질부 내부에 형광물질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형광처리부분을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기후의 변화와 기상의 변화에 대해서도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보호부재를 와이어로프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투명물질부로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을 형광물질부로 일부분씩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로프슬링의 안전성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과 동시에 형광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4는 도 2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5는 도 1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6은 도 2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7은 도 3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8은 도 4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9는 도 3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도 10은 도 4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2의 보호부재의 형상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3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4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3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보호부재의 재질을 달리한 와이어로프슬링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은 와이어로프(100), 고정부재(200), 보강부재(300) 및 보호부재(400)를 포함한다.
와이어로프(100)는 선재의 2차 가공 제품으로, 강삭(steel wire rope)라고도 하며 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strand:새끼줄)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마닐라삼으로 만든 로프나 그 밖의 섬유를 심으로 해 그 주위에 다수 개의 스트랜드를 꼬아 만든 것을 말한다.
강삭의 모양 중 소선은 1% 정도의 탄소를 함유하는 양질의 고탄소강선이며, 0.9~1.0 탄소의 강선은 냉간가공과 페이턴팅(patenting)이라는 열처리의 조합에 의해 인장강도가 1mm당 300kg이 넘는다.
와이어로프의 구조는 통상 중심과 이를 둘러싼 수개의 스트랜드로 크게 구별되며 스트랜드 수는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3~8개로 이뤄진다.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강선의 수는 로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된다.
와이어로프의 꼬임에는 보통꼬임과 랑그꼬임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랑그꼬임로프는 보통꼬임 로프보다 사용 시 표면전체가 균일하게 마모됨으로 인해 수명이 다소 길고 보통꼬임의 로프는 랑그꼬임에 비해 더 한층 유연해 EYE 작업(고리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의 종류에는 일반연 로프와 평행연 로프 등이 있다. 일반연로프는 각층별 소선간의 접촉형태가 점으로 이뤄져 있으며 각층별 소선간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많아 굴곡을 크게 받는 용도인 슬링(Sling)으로 많이 사용된다.
평행연로프는 선접촉꼬임 로프로 이들 굴곡 및 내부마모를 경감해 단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랜드 내 소선의 접촉상태를 개량한 것이다. 2차 굴곡에 의한 피로가 발생하지 않고 내부마모가 거의 없다. 유효 단면적이 크므로 절단하중이 크며 스트랜드의 소선이 긴밀하게 꼬여 있어 형태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와이어로프는 각종 산업분야에서 동력전달, 중량지지, 안장목적 등에 폭 넓게 사용되는 제품으로 주로 광산용, 유전용, 어업용에 사용될 뿐 아니라 선박, 기계, 항공기, 크레인, 엘리베이터, 케이블카, 교량 등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활용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고정부재(200)는 금속 재질로,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와이어로프(100)로 와이어로프슬링을 만들기 위해, 와이어로프(100)를 와이어로프슬링의 형태로 만든 후, 와이어로프(100)의 겹쳐진 중첩부분을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200)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고정부재(20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 페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00)는 와이어로프(100)의 겹쳐진 부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압착기 등을 이용하여 강하게 압착시켜 고정함으로써 겹쳐진 와이어로프(100)가 서로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300)는 금속 재질로,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벗어난 부분 중 상기 고정부재(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보강부재(300)는 고정부재(200)의 압착 이후에 보호부재(400)의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 보호부재(400)의 사출 성형 시 보호부재(400)로 사용되는 재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부재(400)가 안정적으로 굳어 보호부재(400)의 마감 처리를 깔끔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와이어로프(100)에 직접 보호부재(400)를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 하게 되면, 강선과 강선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그 틈새로 보호부재(400)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없어 마감처리가 깔끔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추후 보호부재(400)가 손상되는 시기가 빨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보강부재(300)로 와이어로프(100)의 강선과 강선 사이에 틈새를 막아주는 것이다.
이때, 보강부재(30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부재(200)에 비해 강성이 약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와이어로프(100)의 강선과 강선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워주는 역할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고정부재(200),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부분(두 가닥의 와이어로프) 및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지지 않은 부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단차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는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지지 않은 부분(한 가닥의 와이어로프)의 강선과 강선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워줄 수 있는 한도에서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200) 및 보강부재(300) 사이에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된다.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 및 보강부재(300)를 설치한 후에,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 하게 된다.
보호부재(400)는 PE, PP 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상기 보호부재(400)는 보강부재(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400)의 보강부재(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 구조로 보호부재(4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로프슬링의 사용 시에 외부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심플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보강부재(300) 사이에서 와이어로프(100)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압착 고정되어 고정부재(200) 및 이어로프(100)의 상호 겹쳐진 부분 등에서 발생된 단차를 해소하고, 와이어로프슬링 연결부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함과 아울러, 고정부재(20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의(와이어로프슬링이 링 형상) 경우, 고정부재(200)와 고정부재(200) 사이에도 보호부재(400)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차를 해소하기위한 본원발명의 목적과도 부합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제1경사부(410) 사이에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400)의 고정부재(200) 측에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420)가 형성되고, 이어서 테이퍼형 구조인 제1경사부(410)가 형성된다. 이는,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의(와이어로프슬링이 링 형상) 경우, 고정부재(200)와 고정부재(200) 사이에도 보호부재(400)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차를 해소하기위한 본원발명의 목적과도 부합한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400)의 수평부(42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위해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보다 수평부(420)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수평부(420) 사이에 고정부재(2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보호부재(400)의 고정부재(200) 측에 고정부재(2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부(430)가 형성되고, 이어서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420)가 형성되며, 이어서 테이퍼형 구조인 제1경사부(410)가 형성된다. 이는, 고정부재(200)와 보호부재(400)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제2경사부(430)는 고정부재(200)의 일측 일정 구간을 덮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서 보호부재(400)가 고정부재(200)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호부재(400)가 고정부재(200)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보호부재(400)는 형광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형광물질을 사용한 후 투명 재질의 물질로 형광물질을 둘러싸도록 2중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상기 보호부재(400)는 형광물질부(401) 및 투명물질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물질부(401)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영역을 형광물질로 피복처리하거나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다.
형광물질부(401)로 형광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야간에 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비가 오고 눈이 오는 날씨에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들에게 와이어로프슬링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와이어로프(100)의 끝단을 형광물질로 스프레이 처리하거나 형광물질로 도포하여 피복시키거나 형광물질에 침지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와이어로프(100) 끝단의 외주면을 형광물질로 뒤덮을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은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받으면 그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빛이 사라졌을 때, 그 빛에 의해 얻은 에너지를 밝은 색상으로 하여 외부로 나타내도록 해주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형광물질은 통상적으로 야광안료 또는 축광안료로 불려지기도 한다. 상기 형광물질은 방사성 물질이나 중금속을 포함해서는 안되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빛을 흡수 저장하여 방출할 때, 높은 발광성을 가진 것으로서 반구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물질부(402)는 상기 형광물질부(401)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물질부(402)는 투명한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성형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성형방식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방식으로 진행되거나 주물 성형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열가소성 합성수지일 경우에는 사출성형기 또는 사출성형기를 개조하여 간편하게 만든 간편사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과 같은 열경화성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과 같은 경우에는 주물방식으로 성형하는 주물성형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물성형기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하여 특허권을 획득한 특허등록 제10-961997호에서 소개된 성형장치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보호부재(400) 내부에 형광물질이 존재하고, 와이어로프슬링을 실외에서 사용할 경우, 실외의 악천후 상황에서도 장시간 상기 형광물질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보호를 받게 되므로,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슬링의 상기 보호부재(400)는 형광물질부(401) 및 투명물질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물질부(402)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길이만큼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물질부(402)를 투명 재질로 성형하는 것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와이어로프(100)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로프(100)의 끝단이 상기 고정부재(200)로부터 충분하게 돌출하여 빠져 나와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고정부재(200)로부터 탈락될 위험이 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형광물질부(401)는 상기 투명물질부(402)로부터 보강부재(300) 까지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다.
형광물질부(401)로 형광물질을 사용하는 것은 야간에 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비가 오고 눈이 오는 날씨에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들에게 와이어로프슬링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와이어로프
200: 고정부재
300: 보강부재
400: 보호부재
410: 제1경사부
420: 수평부
430: 제2경사부

Claims (8)

  1. 와이어로프(100);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 금속 재질의 고정부재(200);
    상기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벗어난 부분 중 상기 고정부재(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외부에서 압착하여 고정시킨 금속 재질의 보강부재(300); 및
    상기 고정부재(200) 및 보강부재(300) 사이에 사출성형 또는 주물성형된 보호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강부재(300)는 와이어로프(100)의 강선과 강선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워주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00)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재(20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보강부재(3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1경사부(4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제1경사부(410) 사이에 외경이 동일한 수평부(4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의 수평부(42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와 수평부(420) 사이에 고정부재(200) 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2경사부(4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슬링.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영역을 형광물질로 피복처리하거나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 형광물질부(401); 및
    상기 형광물질부(401)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물질부(402);
    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슬링.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고정부재(200)의 보강부재(300)측 끝단으로부터 보강부재(300) 측으로 와이어로프(100)가 겹쳐진 중첩부분을 포함하여 일정 길이만큼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투명물질부(402); 및
    상기 투명물질부(402)로부터 보강부재(300) 까지 형광 합성수지로 성형처리한 형광물질부(401);
    를 포함하는 와이어로프슬링.
KR1020150108700A 2015-07-31 2015-07-31 와이어로프슬링 KR101601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00A KR101601842B1 (ko) 2015-07-31 2015-07-31 와이어로프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700A KR101601842B1 (ko) 2015-07-31 2015-07-31 와이어로프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42B1 true KR101601842B1 (ko) 2016-03-09

Family

ID=5553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700A KR101601842B1 (ko) 2015-07-31 2015-07-31 와이어로프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8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54B1 (ko) 2008-04-11 2008-08-27 김대연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53381B1 (ko) * 2009-11-25 2010-04-20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20120061699A (ko) * 2010-12-03 2012-06-13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63685A (ko) * 2010-12-08 2012-06-18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277B1 (ko) * 2012-08-20 2013-05-10 대광기업 주식회사 형광 합성수지층을 결합한 형광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54B1 (ko) 2008-04-11 2008-08-27 김대연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53381B1 (ko) * 2009-11-25 2010-04-20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20120061699A (ko) * 2010-12-03 2012-06-13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63685A (ko) * 2010-12-08 2012-06-18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3277B1 (ko) * 2012-08-20 2013-05-10 대광기업 주식회사 형광 합성수지층을 결합한 형광 와이어 로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03939C2 (en) Rope, method of forming an eye in a rope, and use of a rope.
US11221055B2 (en) Inspectable synthetic tensile member assembly
US7272921B2 (en) Wire rope with galvanized outer wires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101663456B1 (ko) 와이어로프슬링 및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KR101601842B1 (ko) 와이어로프슬링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KR101058400B1 (ko)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U2013262883B2 (en) Inspectable synthetic tensile member assembly
KR101757807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라운드 슬링
KR101716813B1 (ko)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4319A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KR101292165B1 (ko) 형광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KR100648009B1 (ko) 로프 보호용 재킷
WO2014011058A1 (en) Device for use with a hand rail of a net cage
EP2850340B1 (en) Inspectable synthetic tensile member assembly
KR20120061699A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63831B1 (ko) 주간 확인 및 야간 식별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
CN219472653U (zh) 防爆起重链条
EP1048604B1 (en) Protected cable device for the safe lifting and handling of materials
KR101180186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CN212982227U (zh) 一种多功能吊装带
KR20170006979A (ko) 형광 와이어로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