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17B1 -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17B1
KR102147117B1 KR1020180118080A KR20180118080A KR102147117B1 KR 102147117 B1 KR102147117 B1 KR 102147117B1 KR 1020180118080 A KR1020180118080 A KR 1020180118080A KR 20180118080 A KR20180118080 A KR 20180118080A KR 102147117 B1 KR102147117 B1 KR 10214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einforcing member
opening
joint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633A (ko
Inventor
상 범 강
Original Assignee
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훈 filed Critical 강성훈
Priority to KR102018011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의 고리부가 각각 마련된 로프 몸체; 상기 로프 몸체의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절곡된 소선과, 상기 소선의 단부와 중첩되는 본선의 부위를 에워싸는 관형의 이음부재; 및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소선의 길이방향 단부를 에워싸는 관형의 보강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WIRE ROPE SAFETY SLING}
본 발명은 크레인 하역 작업 시와 같이 화물 등의 중량을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되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견인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첩되는 2가닥의 와이어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구성된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시에 주로 사용되는 견인부재로서, 호이스트를 비롯한 기계장비나 크레인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설, 선박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고리에 걸리어지는 한 쌍의 고리부(20)와, 이 고리부(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소선의 단부를 절곡되지 않은 소선과 결속시키는 이음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은, 이음부재(30)가 한 쌍의 고리부(20) 사이에 배치된 소선의 외측에서 단차부를 형성한 채 마련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주변 구조물 등에 이음부재(30)의 길이방향 단부가 걸려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음부재(30)의 외측으로 노출된 소선(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소선)의 날카로운 단부에 의해 작업자가 상처를 입게되는 문제점도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0854654호의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서는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합성수지재의 보강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마련하여 이음부재(3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노출된 소선을 감싸고, 아울러, 보강부재를 테이퍼 형태로 형성하여 주변 구조물에 이음부재(30)가 걸리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보강부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이음부재(30)에 마련하는 방식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중량의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을 사출성형기로 옮긴 후 다시 사출성형기에서 작업이 완료된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을 다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작업비용도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음부재(30)와 보강부재는 서로 이종의 재질이므로, 상호간의 결합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져서 이음부재(30)와 보강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곡된 소선의 단부를 절곡되지 않은 소선의 부위가 중첩시킬 시에, 절곡된 소선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와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강부재를 구비한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의 고리부가 각각 마련된 로프 몸체; 상기 로프 몸체의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절곡된 소선과, 상기 소선의 단부와 중첩되는 본선의 부위를 에워싸는 관형의 이음부재; 및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소선의 길이방향 단부를 에워싸는 관형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제1개구부가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본선이 통과되는 제2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채로 서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부피가 작아지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소선의 단부 및 상기 소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본선의 부위가 함께 배치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되, 상기 소선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는 상기 본선의 부위만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본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부위는 경사진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소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 부위는 상기 제1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과 접촉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으로는 상기 결합부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된 상기 이음부재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 부위에는 상기 제1소선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는 점검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은,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된 소선의 단부가 보강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소선의 단부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은, 보강부재가 압착 방식에 의해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음부재상에서 보강부재가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은, 보강부재가 전체적으로 굴곡진 곡면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보강부재의 단부가 외부 구조물이나 또는 작업자의 신체와 접촉됨에 따라 발생되는 간섭(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인양 작업 또는 리프팅 작업 상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은, 보강부재의 외면에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고유정보가 각인 또는 인쇄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고유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와 보강부재가 압착공정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와 보강부재가 압착공정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0)은,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의 고리부(111)가 각각 마련된 로프 몸체(110); 상기 로프 몸체(110)의 고리부(111)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절곡된 소선(S1)과,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와 중첩되는 본선(S2)의 부위를 에워싸는 관형의 이음부재(120); 및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음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를 에워싸는 관형의 보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로프 몸체(110)는, 원형의 고리부(111)를 형성하는 소선(S1)과, 상기 한 쌍의 고리부(111)를 서로 연결하는 본선(S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선(S1)과 상기 본선(S2)은 실질적으로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 로프라고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고리부(111)를 형성하는 와이어 로프의 부위를 소선(S1)이라 정의하고, 상기 고리부(111)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 로프의 부위를 본선(S2)이라 정의하였다.
상기 이음부재(120)는 상기 소선(S1)과 상기 본선(S2)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선(S2)과 상기 본선(S2)을 수용한 채로 프레스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이음부재(120)는 그 내면이 상기 소선(S2)의 외면 또는 상기 본선(S2)의 외면과 밀착됨에 따라서 로프 몸체(110)상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이음부재(120)는, 프레스에 의해 압착되기 이전에는 타원의 단면 형태를 가지다가 프레스에 의해 압착되면 원형의 단면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소선(S2) 및 상기 본선(S2)과 견고히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서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3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개구부가 각각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보강부재(13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제1개구부(131)가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본선(S2)이 통과되는 제2개구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로 노출되는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 및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본선(S2)의 길이방향 부위는 상기 보강부재(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33)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부(131) 및 상기 제2개구부(132)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채로 서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구부(131)의 중심축선과 상기 제2개구부(132)의 중심축선은 서로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제1개구부(131)의 직경과 상기 제2개구부(132)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개구부(131) 및 상기 제2개구부(132)가 서로 다른 중심축선을 가지도록 형성한 이유는, 상기 제1개구부(131)에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와 상기 본선(S2)이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제2개구부(132)에는 상기 본선(S2)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33)은 상기 제1개구부(131)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부피가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부재(130)가 형성하는 내부공간(133)은, 상기 제1개구부(131)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소선(S1)의 단부 및 상기 소선(S1)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본선(S2)의 부위가 함께 배치되는 제1수용부(133a); 및 상기 제1수용부(133a)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되, 상기 소선(S1)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는 상기 본선(S2)의 부위만 배치되는 제2수용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133)의 제1수용부(133a) 및 상기 제2수용부(133b)에 배치된 상기 본선(S2)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130)의 일측 부위는 경사진 테이퍼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내부공간(133)에서 상기 본선(S2)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외부로 부터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부터 상기 본선(S2)이 상기 보강부재(130)의 내부공간(133)에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견인 작업 또는 리프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내부공간(133)에 수용된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130)의 타측 부위는 상기 제1개구부(131)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선(S2)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33)의 제1수용부(133a)에 배치된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제2개구부(132)가 배치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보강부재(13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가 그 곡면의 형태에 의해 외부 구조물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130)는,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단부로 노출된 소선(S1)의 단부 및 상기 소선(S1)의 단부와 접촉된 본선(S2)의 길이방향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더불어, 상기 소선(S1)의 단부가 외부 구조물에 간섭되거나 작업자가 상기 소선(S1)의 단부에 의해 상처를 입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기 보강부재(130)는, 내주면이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과 접촉되는 결합부(134); 및 상기 결합부(134)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체결홀(134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4)는, 상기 제1개구부(131)를 구획하는 상기 보강부재(13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라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을 수용한 체 프레스에 가압을 받는 부위라 할 수 있다.
즉,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을 수용한 채 상기 이음부재(120)와 연결된 보강부재(130)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스의 가동 금형에 가압을 받아 압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34)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부위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그 일부가 상기 결합부(134)에 형성된 체결홀(134a)으로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120)와 상기 보강부재(130)가 더욱 견고히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재(120)의 외면과 상기 보강부재(130)의 외면이 서로 단차를 형성하지 않는 동일한 수평면을 가지게 되므로, 인양 작업 또는 리프팅 작업상에서 상기 이음부재(120)와 상기 보강부재(130)의 결합부위가 주변 구조물이나 작업자의 신체 또는 기타 장치 등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음부재(120)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보강부재(130)는 상기 이음부재(120)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인장강도가 더 우수한 탄소강이나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30)의 내부공간(133)에 수용된 상기 소선(S1)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130)의 타측 부위에는 점걸홀(13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점검홀(135)은, 상기 보강부재(130)가 프레스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공간(133)의 제1수용부(133a)에 배치되는 소선(S1)의 단부가 상기 보강부재(130)의 타측 부위에 정확히 배치되었는 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점검홀(135)을 통해 소선(S1)의 단부가 확인되지 않고 상기 본선(S2)의 길이방향 부위만 확인된다면, 상기 본선(S2)은 상기 보강부재(130)의 타측 형태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33)내에서 직선 형태가 아닌 굴곡진 형태로 변형된 채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강부재(130)의 일측 부위, 즉, 테이퍼 형태를 가지는 부위에 상기 소선(S1)의 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130)의 타측 부위, 즉, 곡면의 형태를 가지는 부위에 상기 본선(S2)의 굴곡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되게되면 상기 본선(S2)의 인장강도가 약해질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형 또는 파단될 우려가 있어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0)의 수명을 줄이고 심각하게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점검홀(135)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소선(S1)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이음부재(12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보강부재(130)의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여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30)의 외면에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0)의 고유정보가 각인 또는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정보란 로프 몸체(110)의 직경 및 길이, 제조일자, 안전 작업하중, 파단하중 등을 포함한 정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100)을 이용한 인양 작업 또는 리프팅 작업이 안전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130)의 외면에 각인 또는 인쇄된 고유정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110 : 몸체 111 : 고리부
120 : 이음부재 130 : 보강부재
131 : 제1개구부 132 : 제2개구부
133 : 내부공간 133a : 제1수용부
133b : 제2수용부 134 : 결합부
134a : 체결공 135 : 점검홀
S1 : 소선 S2 : 본선

Claims (6)

  1.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의 고리부가 각각 마련된 로프 몸체;
    상기 로프 몸체의 고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절곡된 소선과, 상기 소선의 단부와 중첩되는 본선의 부위를 에워싸는 관형의 이음부재; 및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와 압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소선의 길이방향 단부를 에워싸는 관형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되는 제1개구부가 마련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본선이 통과되는 제2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채로 서로 편심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부피가 작아지는 것이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기 소선의 단부 및 상기 소선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본선의 부위가 함께 배치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되, 상기 소선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는 상기 본선의 부위만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본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의 일측 부위는 경사진 테이퍼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기 소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 부위는 상기 제1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2개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본선의 길이방향 부위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곡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보강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이음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면과 접촉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와 접촉된 상기 이음부재의 외주면 일부가 상기 체결홀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것이고,
    상기 보강부재의 타측 부위에는 상기 소선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는 점검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118080A 2018-10-04 2018-10-04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KR10214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80A KR102147117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080A KR102147117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33A KR20200038633A (ko) 2020-04-14
KR102147117B1 true KR102147117B1 (ko) 2020-08-24

Family

ID=7029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080A KR102147117B1 (ko) 2018-10-04 2018-10-04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400B1 (ko) 2011-05-11 2011-08-26 이병규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093518B1 (ko) * 2011-02-07 2011-12-14 (주)고려기업 투명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586A (ja) * 1994-08-12 1996-04-30 Kunio Ichikawa ロープの表示・被覆構造
KR101180252B1 (ko) * 2010-12-08 2012-09-05 김규남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518B1 (ko) * 2011-02-07 2011-12-14 (주)고려기업 투명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 방법
KR101058400B1 (ko) 2011-05-11 2011-08-26 이병규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633A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982B2 (en) Thimble with element retaining feature
US7222903B2 (en) Spreader bar apparatus
US9447843B2 (en) Belt or belt segment having an open end and attachment device therefor
US8517439B2 (en) Detachable ears rope thimble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7117B1 (ko) 와이어 로프 안전슬링
AU2020287266A1 (en) A coupling device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US2025556A (en) Method of and means for lockingly engaging coacting elements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16813B1 (ko) 케이블레이드 슬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N106144891A (zh) 一种新型叠片式板钩
EP3973100B1 (en) Rope having an end connector segment comprising two rope-branches with unequal lengths
US3032846A (en) Wire rope fitting
KR101062788B1 (ko) 케이블 레이드 슬링 및 그 제조방법
KR101370329B1 (ko) 철근 결합구
CN211998470U (zh) 一种船舶轴系吊装用抱箍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JPS623848A (ja) 疲労強度のすぐれたスタツド付きフラツシユバツト溶接アンカ−チエ−ン
JP6214340B2 (ja) Pcケーブル定着具
KR20190054319A (ko)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KR102062346B1 (ko) 안전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전슬링
CN103517866B (zh) 悬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