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000B1 -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000B1
KR100962000B1 KR1020090130636A KR20090130636A KR100962000B1 KR 100962000 B1 KR100962000 B1 KR 100962000B1 KR 1020090130636 A KR1020090130636 A KR 1020090130636A KR 20090130636 A KR20090130636 A KR 20090130636A KR 100962000 B1 KR100962000 B1 KR 10096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itting
wire rope
rope en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갑식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4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joining par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67Auxiliary apparatus for joining rop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고무 및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보다 저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상호 겹치게 한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어 상기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재의 이음쇠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양측단부에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한 고무재질의 보강재A,B와; 상기 보강재와 이음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보강재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 및 경사단부:로 구성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폐고무 및 재생고무의 재활용으로 폐고무 및 재생고무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로프, 이음쇠, 보강재, 상.하부 금형, 프레스 성형기, 접착층

Description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Wire rope loop for weight cargo loading and unloading work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고무 및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보다 저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는 크레인 하역 작업시 화물 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즉 하역 작업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크레인의 후크와 화물을 묶은 끈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와이어 로프 고리를 링형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 로프의 양단부를 이음쇠 등을 이용하여 압착 고정하게 되나, 이러한 이음쇠를 이용한 와이어 로프 고리는 이음쇠만으로 연결부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된 로프 연 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823546호 (2008.04.21 공고)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제조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구조로 배치되고, 상호 겹쳐지게 위치된 와이어 로프(100)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겹쳐진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압착 고정되어 와이어 로프(100)를 링형 구조로 연결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이음쇠(110)(111)와; 상기 복수의 이음쇠(110)(111) 사이 및 이음쇠(110)(111)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100)의 겹쳐진 부분에 합성수지재로 압축 성형되는 보강부재(113)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113)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복수의 이음쇠(110)(11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부재(113a)와,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되어 이음쇠(110)(111)의 사이가 아닌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100)의 겹쳐진 한쪽 끝단부를 포함하도록 위치되는 제2 부재(113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이음쇠(110)(111)는 요철부(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113a)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제2 부재(113b)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로프 고리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로프(100)를 링형 구조로 배치하고, 양단부가 겹치도록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겹쳐진 와이어 로프(100) 부분에 복수개의 이음쇠(110)(111)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이음쇠(110)(111)가 압착된 와이어 로프(100)의 연결부를 사출 금형에 넣고, 상기 복수의 이음쇠(110)(111) 사이 및 이음쇠(110)(111) 바깥쪽에서 와이어 로프(100)의 겹쳐진 부분에 상기 보강부재(113)를 압축하여 성형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 부재(113b)를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주변 물체와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테이퍼형 구조는 일본실용신안등록(JU 3,054,614)(1998.09.24 등록) 및 일본공개특허 (JP 1994-115853)(1994.04.26 공개) 등에 의해 이미 상기 종래의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의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방법은, 알겡이 형태의 고체 고무 원료를 사출성형기에 투입하여 용융시킨 뒤 고압으로 금형의 내부에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고가의 인서트 사출성형에 의해서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성형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이종재질인 금속 재질의 이음쇠와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서로 맞대기 접합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있어 상호 결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이음쇠로부터 분리되어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사이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시각적인 하역 작업의 불안전성을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벌어진 이음쇠와 보강부재 사이의 공간에 주변 다른 물체가 걸릴 수 있어 하역 작업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하역 작업시 이음쇠와 보강부재가 벌어지게 되는 것은 와이어 로프가 중량물에 의해 힘을 받으면 와이어 로프의 외경이 가늘어지면서 늘어나게 되어 합성수지 재질의 보 강부재가 금속 재질의 이음쇠로부터 분리 및 벌어지게 되는데 기인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고무 및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보다 저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쇠의 압착 고정력과 보강재에 의한 보강력과 함께 서로 겹치는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 사이의 결속력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의 한 형태는,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상호 겹치게 한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어 상기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재의 이음쇠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양측단부에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한 고무재질의 보강재A,B와; 상기 보강재와 이음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보강재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 및 경사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링형 구조로 형성하면서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상호 겹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금속재의 이음쇠를 압착 고정하여 상기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양측단부를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의 양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 및 고무접착제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재를 넣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형을 합형하여 이음쇠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A,B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을 탈형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링형 구조로 형성하고, 양단부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일부 스트랜드를 각각 풀고 서로 교차시켜 풀림 스트랜드A 및 풀림 스트랜드B를 다시 감아 합친 스트랜드 결속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어 상기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재의 이음쇠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양측단부에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한 고무재질의 보 강재A,B와; 상기 보강재와 이음쇠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보강재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 및 경사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링형 구조로 형성하면서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 로프단부A및 로프단부B의 일부 스트랜드를 각각 풀고 서로 교차시켜 풀림 스트랜드A 및 풀림 스트랜드B를 다시 감아 합친 스트랜드 결속부가 형성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금속재의 이음쇠를 압착 고정하여 상기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양측단부를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된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의 양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 및 고무접착제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재를 넣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형을 합형하여 이음쇠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A,B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을 탈형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쇠는 이음쇠A 및 이음쇠B의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쇠A 및 이음쇠B는 와이어 로프의 로프단부A 및 로프단부B의 외측에 서로 틈새없이 밀착되게 압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금형은 합형에 의해 일측은 이음쇠에 밀착 고정됨과 동시에 내측에 경사단부 성형턱을 갖는 이음쇠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와이어 로프에 밀착 고정되는 로프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하부 금형의 내부에 로프 관통 홀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성형부를 갖는 채움공간부가 형성되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폐고무 및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보다 저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폐고무 및 재생고무의 재활용으로 폐고무 및 재생고무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시각적인 하역작업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기존에 주변 물체가 벌어진 공간부에 걸릴 수 있는 방해 요인이 제거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음쇠의 압착 고정력과 보강재에 의한 보강력과 함께 서로 겹치는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 사이의 결속력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큰 중량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 즉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가 서로 겹친 부분에 압착 고정되는 이음쇠(1)와, 상기 이음쇠(1)의 양단부, 즉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가 노출된 부분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고무가 감싸도록 보강재A,B(2)(2a)를 일체로 성형하여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A,B(2)(2a)는 프레스 성형기(3)에 의해 압축 성형되고, 보강재A,B(2)(2a)와 이음쇠(1) 사이에 접착층(6)이 형성되며, 걸림 방지를 위해 상기 보강재A,B(2)(2a)의 전방측에 테이퍼(2b)가 형성되고, 후방측에 경사단부(2c)가 형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강재A,B(2)(2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스 성형기(3)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스 성형기(3)는 다이(3c) 상에 좌.우 한 쌍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하부 금형(3b)과 상기 하부 금형(3b)의 상부에서 유압실린더(3d)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 금형(3a)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 금형(3a)(3b) 모두 히터(H)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히터(H)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하부 금형(3a)(3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형에 의해 일측은 이음쇠(1)에 밀착 고정됨과 동시에 내측에 경사단부 성형턱(32)을 갖는 이음쇠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와이어 로프(100)에 밀착 고정되는 로프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로프 관통홀(33)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성형부(35)를 갖고 폐고무 및 재생고무로 이루어진 고무자재(5)가 채워지는 채움공간부(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은 합형시 이음쇠 관통홀(31)에 삽입된 이음쇠(1)와 로프 관통홀(33)을 관통한 와이어 로프(100)에 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접착층(6)은 아연 및 알루미늄의 금속재질과 친화적인 통상의 금속접착제(6a)와 상기 금속접착제(6a)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면서 고무와 친화적인 통상의 고무접착제(6b)에 의한 적층 구조를 이룬다. 즉, 아연 및 알루미늄의 금속재질로 형성된 이음쇠(1)의 일측 둘레에 먼저 금속접착제(6a)를 도포한 후, 다시 금속접착제(6a) 위에 고무접착제(6b)를 순차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를 서로 겹치게 하는 제1 단계와, 그 겹쳐진 부분에 이음쇠(1)를 압착 고정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양측단부를 좌.우 한 쌍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프레스 성형기(3)의 상.하부 금형(3a)(3b)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1)의 양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6a) 및 고무접착제(6b)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6)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재를 넣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 형(3a)(3b)을 합형하여 이음쇠(1)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3a)(3b)을 탈형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는 통상에서와 같이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100b)를 굽혀 본선(100a)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100c)의 형태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상의 이음쇠(1)를 그 겹친 부분에 위치시킨 후, 통상의 이음쇠 압착장치(미도시됨)을 이용해 이음쇠(1)를 압착시켜 고정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한다.
제3 단계는 도 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성형기(3)를 이용하여 이음쇠(1)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가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쇠(1)에 의해 고리가 형성된 와이어 로프(100)를 프레스 성형기(3)에 세팅한 다음 고무가 압착 고정될 이음쇠(1)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에 금속재질과 친화적인 통상의 금속접착제(6a)를 도포한 후, 다시 금속접착제(6a) 위에 상기 금속접착제(6a)에 친화적이면서 고무와 접착성이 우수한 고무접착제(6b)를 도포하여 접착층(6)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4 단계는 프레스 성형기(3)의 상.하부 금형(3a)(3b)에 고무자재(5)를 넣고 상.하부 금형(3a)(3b)의 합형에 의해 이음쇠(1)의 양측단부에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를 성형하는 것으로, 먼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판재 및 편으로 절단된 고무자재(5)를 하부 금형(3b)에 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무자재(5)는 하부 금형(3b)의 상측으로 솟아오를 정도로 충분한 양을 채워 넣은 후, 유 압실린더(3d)를 이용해 상부 금형(3a)을 고무자재(5)의 상측이 상부 금형(3a)의 내부로 수용되어 이탈되지 않은 상태까지 하강시킨 다음, 히터(H)를 작동시켜 상.하부 금형(3a)(3b)을 180 ~ 200도씨로 가열하게 되고, 이 가열된 하부 금형(3b)에 대하여 상부 금형(3a)을 유압실린더(3b)로 하강 및 합형시켜 상.하부 금형(3a)(3b) 내부의 고무자재(5)를 압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하부 금형(3a)(3b) 내부의 고무자재(5)는 열에 의해 연화(軟化)되면서 합형된 상.하부 금형(3a)(3b) 내부의 채움공간부(34)를 연화된 고무자재(5)가 채우게 됨은 물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의 내부까지 침투하게 되고, 또한, 경사단부 성형턱(32)에 의해서 형성된 상.하부 금형(3a)(3b)과 이음쇠(1) 사이의 이격된 공간 내부, 즉 이음쇠(1)의 단부 외측 둘레까지 채우게 되고, 이 압착된 상태를 대략 5분 정도 유지하게 되면, 이음쇠(1)의 일측 단부 외측 둘레를 고무가 감싼 형태로 고무 재질의 보강재A,B(2)(2a)가 일체로 성형되고, 이 성형된 보강재A,B(2)(2a)는 접착층(6)에 의해서 보다 견고하게 이음쇠(1)에 압착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상부 금형(3a)을 유압실린더(3d)로 상승시켜 하부 금형(3b)으로부터 탈형시킨 후 하부 금형(3b)으로부터 제품을 회수 및 수거함으로써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 즉 로프단부 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서로 겹치게 하는 제1 단계에서, 이음쇠에 의한 압착력과 보강재A,B에 의한 보강력과 함께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 사이의 결속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센터코어의 외부를 6개의 외측 스트랜드가 감싸 꼬여진 구조로 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100)에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에 감겨진 6개의 스트랜드 중에 3개의 스트랜드를 풀어 이 풀어진 3개의 스트랜드로 풀림 스트랜드A(4a) 및 풀림 스트랜드B(4b)를 형성하고,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에 풀고 남겨진 풀림 공간부A(4e) 및 풀림 공간부B(4f)가 형성되며, 상기 풀림 공간부A(4e) 및 풀림 공간부B(4f) 사이에 감김 스트랜드A(4c) 및 감김 스트랜드B(4d)가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풀림 공간부A(4e) 및 풀림 공간부B(4f)가 서로 맞닿게 교차시킨 다음,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풀림 스트랜드A(4a) 및 풀림 스트랜드B(4b)를 다시 원래의 풀고 남은 자리, 즉 풀림 공간부A(4e) 및 풀림 공간부B(4f)에 감게 되는데, 이때 서로 교차된 부분의 상대방 로프단부를 거쳐 감겨지게 되므로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교차 부분에 스트랜드 결속부(4)가 형성됨으로써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 B(100b) 간의 결속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이음쇠(1)를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의 복수개로 구비하여 서로 겹친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압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는 틈새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이는 한개의 이음쇠(1)보다 복수개의 이음쇠A,B(1a)(1b)로 서로 겹친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압착 및 고정할 때, 그 압착 고정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데 기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이역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이음쇠(1)를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의 복수개로 구비하여 틈새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보다 큰 압착 고정력을 요할 때 적합하다.
이같이 본 발명은 폐고무 및 재생고무를 이용하여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고무 재질의 보강재가 보다 저렴하게 일체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프레스 성형기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중량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와이어 로프 세팅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b는 금형 내부에 고무자재를 넣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상.하부 금형의 합형에 의한 압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음쇠 1a,1b: 이음쇠A,B
2,2a: 보강재A,B 2b: 테이퍼
2c: 경사단부 3: 프레스 성형기
3a,3b: 상.하부 금형 3c: 다이
3d: 유압실린더 4: 스트랜드 결속부
4a,4b: 풀림 스트랜드A,B 5: 고무자재
6: 접착층 6a: 금속접착제
6b: 고무접착제 31: 이음쇠 관통홀
32: 경사단부 성형턱 33: 로프 관통홀
34: 채움공간부 35: 테이퍼 성형부
100:와이어 로프 H: 히터(Heater)

Claims (8)

  1.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상호 겹치게 한 와이어 로프(100)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어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재의 이음쇠(1)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양측단부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프레스 성형기(3)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한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와;
    상기 보강재A,B(2)(2a)와 이음쇠(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6)과;
    상기 보강재A,B(2)(2a)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2b) 및 경사단부(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쇠(1)는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의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는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서로 틈새없이 밀착되게 압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3. 링형 구조로 형성하면서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상호 겹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금속재의 이음쇠(1)를 압착 고정하여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양측단부를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3a)(3b)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1)의 양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6a) 및 고무접착제(6b)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6)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재를 넣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형(3a)(3b)을 합형하여 이음쇠(1)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3a)(3b)을 탈형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은 합형에 의해 일측은 이음쇠(1)에 밀착 고정됨 과 동시에 내측에 경사단부 성형턱(32)을 갖는 이음쇠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와이어 로프(100)에 밀착 고정되는 로프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로프 관통홀(33)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성형부(35)를 갖는 채움공간부(34)가 형성되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제조방법.
  5. 링형 구조로 형성하고, 양단부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일부 스트랜드를 각각 풀고 서로 교차시켜 풀림 스트랜드A(4a) 및 풀림 스트랜드B(4b)를 다시 감아 합친 스트랜드 결속부(4)를 갖는 와이어 로프(100)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압착 고정되어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재의 이음쇠(1)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양측단부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프레스 성형기(3)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한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와;
    상기 보강재A,B(2)(2a)와 이음쇠(1)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6)과;
    상기 보강재A,B(2)(2a)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2b) 및 경사단부(2c):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쇠(1)는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의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이음쇠A(1a) 및 이음쇠B(1b)는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서로 틈새없이 밀착되게 압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7. 링형 구조로 형성하면서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일부 스트랜드를 각각 풀고 서로 교차시켜 풀림 스트랜드A(4a) 및 풀림 스트랜드B(4b)를 다시 감아 합친 스트랜드 결속부(4)가 형성되게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의 외측에 금속재의 이음쇠(1)를 압착 고정하여 상기 로프단부A(100a) 및 로프단부B(100b)를 서로 연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양측단부를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3a)(3b)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1)의 양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6a) 및 고무접착제(6b)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6)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 재를 넣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형(3a)(3b)을 합형하여 이음쇠(1)의 양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A,B(2)(2a)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3a)(3b)을 탈형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금형(3a)(3b)은 합형에 의해 일측은 이음쇠(1)에 밀착 고정됨과 동시에 내측에 경사단부 성형턱(32)을 갖는 이음쇠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와이어 로프(100)에 밀착 고정되는 로프 관통홀(33)이 형성되며, 상.하부 금형(3a)(3b)의 내부에 로프 관통홀(33)측으로 경사진 테이퍼 성형부(35)를 갖는 채움공간부(34)가 형성되고, 히터(H)에 의해 가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의 제조방법.
KR1020090130636A 2009-12-24 2009-12-24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36A KR100962000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36A KR100962000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000B1 true KR100962000B1 (ko) 2010-06-08

Family

ID=4236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636A KR100962000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0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17B1 (ko) 2013-11-14 2014-07-24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의 액상 실리콘수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487721B1 (ko) * 2013-04-17 2015-01-29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20200075188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CN114951518A (zh) * 2022-07-26 2022-08-30 南通飞神金属制品有限公司 用于钢丝绳圈的一体化成型智能制造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21B1 (ko) * 2013-04-17 2015-01-29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101423217B1 (ko) 2013-11-14 2014-07-24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의 액상 실리콘수지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200075188A (ko) * 2018-12-17 2020-06-26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215917B1 (ko) * 2018-12-17 2021-03-10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CN114951518A (zh) * 2022-07-26 2022-08-30 南通飞神金属制品有限公司 用于钢丝绳圈的一体化成型智能制造设备
CN114951518B (zh) * 2022-07-26 2022-12-30 南通飞神金属制品有限公司 用于钢丝绳圈的一体化成型智能制造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999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000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JP5585069B2 (ja) 連結部材の製造方法
US20110101686A1 (en) Coupling construction for high-pressure pipe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CN103895717A (zh) 纤维增强塑料车体结构及其制造方法
CN105538695B (zh) 连接元件的方法
US4560525A (en) Method of making a molded fiber reinforced plastic leaf spring
KR20120063685A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13043527B (zh) 一种轻量化复合材料推力杆制作方法
KR101487721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 제조장치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KR100974304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1995B1 (ko)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
KR101910946B1 (ko)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탄소복합재 판 스프링
CN211592711U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的氢能汽车a柱结构
CN214874078U (zh) 一种轻量化复合材料推力杆
CN206031558U (zh) 分段式可拆卸橡胶履带
CN203474111U (zh) 一种焊丝盘
CN212114092U (zh) 一种增加拉力的连接器结构
KR20110074406A (ko) 와이어 로프 슬링
CN102189620B (zh) 履带一次性硫化模具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