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188A -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188A
KR20200075188A KR1020180163134A KR20180163134A KR20200075188A KR 20200075188 A KR20200075188 A KR 20200075188A KR 1020180163134 A KR1020180163134 A KR 1020180163134A KR 20180163134 A KR20180163134 A KR 20180163134A KR 20200075188 A KR20200075188 A KR 20200075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rope
under
mold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917B1 (ko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퓨리텍
Priority to KR102018016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38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초기 권회작업시 내부심지로프(R2)를 중심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노출로프(R1)가 내부심지로프(R2)를 통해 부표(V)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BUOY AND THERE OF MANUFACTURING MOLD}
본 발명은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초기 권회작업시 내부심지로프를 중심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를 통해 부표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부표는 양식장 시설물을 고정하고,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나아가 어망을 잡아주거나 어망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수상 태양광 시설을 물 위로 부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부표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스티로폼 부표인데, 스티로폼 부표는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파손되고, 알갱이로 잘게 부스러져 수거 및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먹이로 오인한 물고기, 새 등 동물의 폐사로 이어져 해양생태계 파괴와 자연경관 훼손 등 해양 환경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00525호;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을 성형하기 위한 스치로폼 부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의 몸통커버가 스치로폼 부표의 외경을 따라 수축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의 친환경 부표에 대한 완성상태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원료를 공급하여 금형에서 발포에 의해 고밀도의 스치로폼 부표(10)를 성형하는 것이며, 고밀도 스치로폼 부표(10)는 원통형의 몸체(11) 양쪽으로 로프를 고정할 수 있는 절곡홈(12)이 형성되고, 절곡홈(12)의 외측으로 코너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측면(13)으로 이루어진다.
스치로폼 부표(10)의 외경 전체면을 감싸서 성형하기 위한 친환경 부표(50)는 몸체(11)와 절곡홈(12) 및 측면(13)의 안쪽 일부에서 일체형으로 접합되도록 하는 몸통커버(30)로 이루어진다.
몸통커버(30)는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0.8∼2.8㎜의 두께를 갖도록 시트형태로 성형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 역시 몸통커버(30)의 훼손시 고밀도 스치로폼 부표(10)가 쉽게 파손되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특히 원통형의 몸체(11) 외부에 형성된 절곡홈(12)에 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로프를 느슨하게 매거나 바닷물 등에 의해 헐거워질 경우 몸체(11)와 로프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9904호; 친환경 발포형 부표)에 따른 발포형 부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형 부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2의 친환경 발포형 부표는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100㎜ 이상의 두꺼운 제품 성형이 불가능하다는 일반적인 기술을 극복하여 지름이 200∼3000㎜ 제품을 제조토록 한 것으로 부력부(10)와, 본체부(20)로 구성된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친환경 발포형 부표(40)는 원통형으로 양측에 결속홈(21)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발포폴리에틸렌 부표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다.
부력부(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부력부(10)의 내부에 삽입홀(11)이 다수 개 형성되고, 삽입홀(11)은 부력부(10)의 양끝단면을 관통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부력부(10)는 발포폴리스틸렌(EPS,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삽입홀(11)에 폐 PT병(30)이 삽입되어 부력이 더 발생되도록 이루어진다.
본체부(20)는 부력부(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성형되고, 본체부(2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입자로 이루어지는데,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연 양측에 결속홈(21)이 형성된다.
본체부(20)는 발포 금형 내에 부력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입자를 발포한 상태로 내입한 다음 가압력과 증기압에 의해 부력부(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는 부력을 위하여 부력부(10)에 삽입홀(11)을 형성시킨 후 폐 PT병(30)을 삽입시킨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용 중 삽입홀(11)로부터 PT병(30)이 빠져 나와 환경오염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특히 본체부(20)의 외부에 형성된 결속홈(12)에 로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로프를 느슨하게 매거나 바닷물 등에 의해 헐거워질 경우 본체부(20)와 로프가 쉽게 분리되어 통째로 바다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00525호;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89904호; 친환경 발포형 부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초기 권회작업시 내부심지로프를 중심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를 통해 부표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를 통해 부표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융착층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나선형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에어셀들과 나선형에어포켓의 합체를 통해 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 공정에 의한 부표의 완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된 합성수지, 즉 합성수지발포시트의 특성상 쿠션력이 좋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환경오염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융착층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나선형에어포켓에 의해 공기의 함유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어 부력의 보장과 더불어 자체 파손 및 충격 상대의 훼손을 현저하게 없앨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표 자체가 외부의 충격이나 잡아당김으로 인해 내부심지로프로부터 쉽게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에 이어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일반적인 로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심지로프가 방수필름으로 씌워져 내부심지로프를 타고 합성수지발포시트 속의 에어셀들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필름이 내부심지로프를 감쌈과 동시에 와인딩뭉치의 양측 표면으로 펼쳐져 표면융착층과 함께 일체화되도록 하여 외부의 물이 부표 속으로 침투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통해 와인딩뭉치에 열을 가해줄 때 외부노출로프의 안정적인 인출상태를 보장하여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부표를 완성토록 하고, 나아가 언더로프홈은 언더좌측테두리 및 언더우측테두리 각각의 중심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외부노출로프의 폐구형을 보장케 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리형상으로 폐구된 외부노출로프로 하여금 언더볼록부에 의해 양분되도록 하여 언더볼록부의 길이만큼 외부노출로프의 폐구형 거리를 보장케 하여 다양한 크기의 부표를 완성할 수 있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노출로프가 부표를 정중앙에서 종단면으로 분할할 경우 그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면에 설치된 부표의 부력 중심을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발포시트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을 마련한 부표에 있어서,
외부노출로프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를 중심에 두고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를 와인딩시켜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층간 경계를 따라 상기 내부심지로프로부터 연속되는 나선형에어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발포시트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을 마련한 부표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마련되는 나선형에어포켓의 중간에 외부노출로프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를 개재시킨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언더전측테두리, 언더후측테두리, 언더좌측테두리 및 언더우측테두리를 지니면서 언더금형공간을 지닌 하부금형과, 어퍼전측테두리, 어퍼후측테두리, 어퍼좌측테두리 및 어퍼우측테두리를 지니면서 어퍼금형공간을 지닌 상부금형을 포함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언더금형공간의 안쪽에서 바깥방향으로 상기 언더좌측테두리 및 언더우측테두리 위에 각각 마련된 언더로프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그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초기 권회작업시 내부심지로프를 중심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를 통해 부표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를 통해 부표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표면융착층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나선형에어포켓이 형성되어 에어셀들과 나선형에어포켓의 합체를 통해 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 공정에 의한 부표의 완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된 합성수지, 즉 합성수지발포시트의 특성상 쿠션력이 좋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환경오염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표면융착층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나선형에어포켓에 의해 공기의 함유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어 부력의 보장과 더불어 자체 파손 및 충격 상대의 훼손을 현저하게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표 자체가 외부의 충격이나 잡아당김으로 인해 내부심지로프로부터 쉽게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노출로프가 내부심지로프에 이어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일반적인 로프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심지로프가 방수필름으로 씌워져 내부심지로프를 타고 합성수지발포시트 속의 에어셀들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수필름이 내부심지로프를 감쌈과 동시에 와인딩뭉치의 양측 표면으로 펼쳐져 표면융착층과 함께 일체화되도록 하여 외부의 물이 부표 속으로 침투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통해 와인딩뭉치에 열을 가해줄 때 외부노출로프의 안정적인 인출상태를 보장하여,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부표를 완성토록 하고, 나아가 언더로프홈은 언더좌측테두리 및 언더우측테두리 각각의 중심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외부노출로프의 폐구형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리형상으로 폐구된 외부노출로프로 하여금 언더볼록부에 의해 양분되도록 하여 언더볼록부의 길이만큼 외부노출로프의 폐구형 거리를 보장케 하여 다양한 크기의 부표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노출로프가 부표를 정중앙에서 종단면으로 분할할 경우 그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면에 설치된 부표의 부력 중심을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을 성형하기 위한 스치로폼 부표의 정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의 몸통커버가 스치로폼 부표의 외경을 따라 수축한 상태의 정면 단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의 친환경 부표에 대한 완성상태 사시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발포형 부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포형 부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표(V)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M)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을 마련하고, 이때 외부노출로프(R1)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R2)를 중심에 두고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층간 경계를 따라 내부심지로프(R2)로부터 연속되는 나선형에어포켓(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V)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M)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을 마련하고, 이러한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마련되는 나선형에어포켓(N)의 중간에 외부노출로프(R1)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R2)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성수지발포시트(S)는 PE, LDPE, PP, PVC 또는 합성고무에 가교제 및 발포제를 혼합한 후 발포로를 통해 발포시켜 독립된 에어셀(Air Cell; A)들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PE(Polyethylene)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방습성 내한성 가공성이 뛰어나 절연재료 등으로 흔히 쓰이고,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밀도 0.91∼0.94)로 결정화가 낮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농업용·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 랩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PP(Polypropylene)는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이불솜 돗자리 보온병 등에 쓰이고, PVC(Polyvinyl chloride)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폴리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수지로서 필름 시트 성형품 캡 등 광범위한 제품으로 쓰이며, 합성고무(Synthetic rubber)는 천연고무와 유사한 성상(性狀)을 지니는 합성고무상 물질 또는 고무상 탄성체가 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탄성 내한성 내화성 내열성 내산화성 내약품성을 지녀 전선피복 신발 문구 가방 등의 제조에 쓰인다.
이러한 PE, LDPE, PP, PVC 또는 합성고무를 50wt%에 발포제(ADCA; azodicarbonamide) 25wt%, 가교제(DCP; Di Cumyl Peroxide) 3.8wt%, 나아가 제올라이트 아연 또는 은으로 된 항균제 21.2wt%를 혼합하여 발포로를 통해 발포시켜 각각의 독립된 에어셀(A)들을 지닌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마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합성수지발포시트(S)는 에어셀(A)들에 의해 부력이 형성되면서 제올라이트, 아연 또는 은으로 된 항균제에 의해 수질정화까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와인딩뭉치(M)를 마련한 후 하부금형(70) 및 상부금형(80) 속에 넣어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이 형성되도록 하여 부표(V)를 완성하는 것이며, 표면융착층(P)은 하부금형(70) 및 상부금형(80)의 열, 예를 들면 150∼250℃[150℃보다 낮을 경우 표면융착층(P)의 형성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고 250℃보다 높을 경우 표면융착층(P)이 지나치게 깊숙하게 형성되어 전체가 딱딱해짐]의 하부금형(70) 및 상부금형(80)의 열에 의해 와인딩뭉치(M)의 표면이 융해되면서 고착 형성되고, 이에 따라 표면융착층(P)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나선형에어포켓{螺線型 Air Pocket[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와인딩에 의해 층간 경계를 따라 나선처럼 계속적으로 연결된 에어포켓]; N}이 형성되어 에어셀(A)들과 나선형에어포켓(N)의 합체를 통해 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특히 간단 공정에 의한 부표(V)의 완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된 합성수지, 즉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특성상 쿠션력이 좋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환경오염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즉, 스티로폼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파손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환경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표면융착층(P)으로 가둬진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형성된 나선형에어포켓(N)에 의해 공기의 함유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에 대한 완충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현케 할 수 있어 부력의 보장과 더불어 자체 파손 및 충격 상대의 훼손을 현저하게 없앨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특히,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초기 권회시 작업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내부심지로프(R2)를 중심에 두고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초기 권회작업시 내부심지로프(R2)를 중심으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노출로프(R1)가 내부심지로프(R2)를 통해 부표(V)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표(V)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많은 공기의 함유율을 가지도록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키는 과정에서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층간 경계를 따라 마련되는 나선형에어포켓(N)의 중간에 내부심지로프(R2)를 개재시켜 마련된 와인딩뭉치(M)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노출로프(R1)가 내부심지로프(R2)를 통해 부표(V)와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수명까지 보장케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내부심지로프(R2)는 볼록걸침부(B)를 더 포함하여, 부표(V) 자체가 외부의 충격이나 잡아당김으로 인해 내부심지로프(R2)로부터 쉽게 빠져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고, 설령 볼록걸침부(B)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표(V) 자체가 내부심지로프(R2)로부터 빠지더라도 여전히 외부노출로프(R1)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부표(V)를 통째로 바다에 분실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노출로프(R1)는 내부심지로프(R2)에 이어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일반적인 로프와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더 나아가, 내부심지로프(R2)는 방수필름(F)으로 씌워져 내부심지로프(R2)를 타고 합성수지발포시트(S) 속의 에어셀(A)들로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바람직하게, 방수필름(F)은 내부심지로프(R2)를 감쌈과 동시에 와인딩뭉치(M)의 양측 표면으로 펼쳐져 표면융착층(P)과 함께 일체화되도록 하여 외부의 물이 부표(V) 속으로 침투되는 현상을 더욱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부노출로프(R1)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R2)와 일체화된 부표(V)를 제작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표 제조용 금형은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전측테두리(71), 언더후측테두리(72),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를 지니면서 언더금형공간(75)을 지닌 하부금형(70)과, 어퍼전측테두리(81), 어퍼후측테두리(82), 어퍼좌측테두리(83) 및 어퍼우측테두리(84)를 지니면서 어퍼금형공간(85)을 지닌 상부금형(80)을 포함한다.
즉, 하부금형(70)에 와인딩뭉치(M)를 넣고 상부금형(80)으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열[예를 들면 150∼250℃]을 가해 와인딩뭉치(M) 내부의 2차 발포를 통한 독립된 에어셀(A)의 형성과 더불어 와인딩뭉치(M) 표면의 표면융착층(P)이 함께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층간 경계를 따라 나선형에어포켓(N)이 형성되어 에어셀(A)들과 나선형에어포켓(N)의 합체를 통한 부력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간단 공정에 의한 부표(V)의 완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된 합성수지, 즉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특성상 쿠션력이 좋고 충격에 의한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환경오염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즉, 스티로폼과 같은 알갱이 형태의 파손이 전혀 일어나지 않아 환경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부표(V) 속에 일체화된 내부심지로프(R2)로부터 외부노출로프(R1)가 부표(V)의 외부로 노출되어 부표(V)를 바다 등에 설치하고자 할 때 극히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금형(70)은 언더금형공간(75)의 안쪽에서 바깥방향으로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 위에 각각 마련된 언더로프홈(70a)을 포함하여, 하부금형(70) 및 상부금형(80)을 통해 와인딩뭉치(M)에 열을 가해줄 때 외부노출로프(R1)의 안정적인 인출상태를 보장하여 더욱 견고하고도 안전한 부표(V)를 완성토록 하고, 나아가 언더로프홈(70a)은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 각각의 중심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외부노출로프(R1)의 폐구형을 보장케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언더금형은 한 쌍의 언더로프홈(70a)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오른 언더볼록부(70b)를 가지고, 상부금형(80)은 언더볼록부(70b)에 합형되는 어퍼오목부(80b)를 가지도록 하여, 고리형상으로 폐구된 외부노출로프(R1)로 하여금 언더볼록부(70b)에 의해 양분되도록 하여 언더볼록부(70b)의 길이만큼 외부노출로프(R1)의 폐구형 거리를 보장하여 다양한 크기의 부표(V)를 완성케 할 수 있다.
나아가, 상부금형(80)은 한 쌍의 언더로프홈(70a)에 각각 대향되는 한 쌍의 어퍼로프홈(80a)을 포함하여, 부표(V)의 완성시 외부노출로프(R1)가 부표(V)를 정중앙에서 종단면으로 분할할 경우 그 중심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수면에 설치된 부표(V)의 부력 중심을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양식장 시설물을 고정하고,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암초·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수상 태양광 시설을 물 위로 부상시키기 위한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V : 부표 S : 합성수지발포시트
M : 와인딩뭉치 P : 표면융착층
N : 나선형에어포켓 A : 에어셀
R1 : 외부노출로프 R2 : 내부심지로프
B : 볼록걸침부 F : 방수필름
70 : 하부금형 70a : 언더로프홈
70b : 언더볼록부 71 : 언더전측테두리
72 : 언더후측테두리 73 : 언더좌측테두리
74 : 언더우측테두리 75 : 언더금형공간
80 : 상부금형 80a : 어퍼로프홈
80b : 어퍼오목부 81 : 어퍼전측테두리
82 : 어퍼후측테두리 83 : 어퍼좌측테두리
84 : 어퍼우측테두리 85 : 어퍼금형공간

Claims (10)

  1.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M)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을 마련한 부표에 있어서,
    외부노출로프(R1)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R2)를 중심에 두고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층간 경계를 따라 상기 내부심지로프(R2)로부터 연속되는 나선형에어포켓(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2. 합성수지발포시트(S)를 와인딩시켜 형성된 와인딩뭉치(M)의 전방위 표면에 열을 가해 표면융착층(P)을 마련한 부표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발포시트(S)의 와인딩에 의한 층간 경계를 따라 마련되는 나선형에어포켓(N)의 중간에 외부노출로프(R1)에 이어지는 내부심지로프(R2)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심지로프(R2)는 볼록걸침부(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노출로프(R1)는 상기 내부심지로프(R2)에 이어지는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심지로프(R2)는 방수필름(F)으로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필름(F)은 상기 내부심지로프(R2)를 감쌈과 동시에 상기 와인딩뭉치(M)의 양측 표면으로 펼쳐져 상기 표면융착층(P)과 함께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7. 언더전측테두리(71), 언더후측테두리(72),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를 지니면서 언더금형공간(75)을 지닌 하부금형(70)과, 어퍼전측테두리(81), 어퍼후측테두리(82), 어퍼좌측테두리(83) 및 어퍼우측테두리(84)를 지니면서 어퍼금형공간(85)을 지닌 상부금형(80)을 포함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언더금형공간(75)의 안쪽에서 바깥방향으로 상기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 위에 각각 마련된 언더로프홈(7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로프홈(70a)은 상기 언더좌측테두리(73) 및 언더우측테두리(74) 각각의 중심에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금형은 상기 한 쌍의 언더로프홈(70a)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오른 언더볼록부(70b)를 가지고,
    상기 상부금형(80)은 상기 언더볼록부(70b)에 합형되는 어퍼오목부(80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80)은 상기 한 쌍의 언더로프홈(70a)에 각각 대향되는 한 쌍의 어퍼로프홈(8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 제조용 금형.
KR1020180163134A 2018-12-17 2018-12-17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21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34A KR102215917B1 (ko) 2018-12-17 2018-12-17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34A KR102215917B1 (ko) 2018-12-17 2018-12-17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188A true KR20200075188A (ko) 2020-06-26
KR102215917B1 KR102215917B1 (ko) 2021-03-10

Family

ID=711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134A KR102215917B1 (ko) 2018-12-17 2018-12-17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764A (ja) * 1994-04-05 1995-10-24 Sekisui Chem Co Ltd 浮力材
KR20100013746A (ko) * 2008-08-01 2010-02-10 정삼면 용융피막이 형성된 바다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000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2067A (ko) * 2013-01-15 2014-07-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력을 가지는 수중용 이송부재
KR101600525B1 (ko) 2015-10-20 2016-03-07 (주) 태광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160089904A (ko) 2015-01-20 2016-07-29 이경철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20170048678A (ko) * 2015-10-27 2017-05-10 김영리 일체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부표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부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764A (ja) * 1994-04-05 1995-10-24 Sekisui Chem Co Ltd 浮力材
KR20100013746A (ko) * 2008-08-01 2010-02-10 정삼면 용융피막이 형성된 바다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962000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2067A (ko) * 2013-01-15 2014-07-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력을 가지는 수중용 이송부재
KR20160089904A (ko) 2015-01-20 2016-07-29 이경철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101600525B1 (ko) 2015-10-20 2016-03-07 (주) 태광 스치로폼 부표를 감싸 성형하는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170048678A (ko) * 2015-10-27 2017-05-10 김영리 일체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부표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체형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부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917B1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130B1 (ko) 부표
KR20170063032A (ko) 친환경 부표
KR20130005538A (ko) 어업용 부자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89904A (ko) 친환경 발포형 부표
KR20200131079A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102392482B1 (ko) 부표
KR20090102532A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144957B1 (ko) 부표
KR20210056034A (ko) 폴리에틸렌 발포체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5188A (ko)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038993B1 (ko)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회전식 부표
KR101867569B1 (ko) 다공성 폼이 내장된 부력체
KR102280129B1 (ko)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352B1 (ko) 친환경 코르크 부이의 제조방법
KR102115376B1 (ko) 부표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20210032201A (ko)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KR101863517B1 (ko) 수산양식용 부유체
KR20210023267A (ko) 부력을 극대화 시킨 부표
KR10221500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616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2095258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